[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83169Y1 -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169Y1
KR200483169Y1 KR2020150008103U KR20150008103U KR200483169Y1 KR 200483169 Y1 KR200483169 Y1 KR 200483169Y1 KR 2020150008103 U KR2020150008103 U KR 2020150008103U KR 20150008103 U KR20150008103 U KR 20150008103U KR 200483169 Y1 KR200483169 Y1 KR 2004831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late
guides
front plate
fen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1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주
Original Assignee
장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동주 filed Critical 장동주
Priority to KR20201500081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1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1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169Y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05Stable partitions
    • A01K1/0017Gates, do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07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축사 둘레에 설치되는 펜스와 도어에 각각 부착되며 요홈부가 형성된 걸림키와 요홈부에 걸어 도어를 폐쇄하는 누름구를 통해 가축이 임의대로 도어를 개방할 수 없도록 하는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Door lock for a cowhouse}
본 고안은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축사 둘레에 설치되는 펜스와 도어에 각각 부착되며 요홈부가 형성된 걸림키와 요홈부에 걸어 도어를 폐쇄하는 누름구를 통해 가축이 임의대로 도어를 개방할 수 없도록 하는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사는 가축을 사육하는 우리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외부환경으로부터 가축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축사는 통풍이 잘되어 환기가 용이하고, 채광이 잘들며, 보온이 용이하도록 건축되어 여러 마리의 가축이 함께 수용되어 키워지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축사에는 일반적으로 가축의 보호와 무단 출입을 방지하기 위해 펜스가 설치되며, 이러한 펜스의 일측에는 축사용 도어가 형성되어 관리자가 출입하며, 가축을 이동시키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축사에서 사육되는 가축은 각기 개체마다 차이가 있지만 호기심이 많고 축사 밖으로 나가고 싶어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펜스와 축사용 도어를 잠그는 잠금장치는 결코 가축이 스스로 열지 못하는 구조로 형성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소는 다른 가축에 비해 비교적 긴 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혀를 사용하여 종래에 사용되는 간단한 구조의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를 해제한 후 탈출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했다.
또한 축사에 사육되는 가축은 일반적으로 그 수가 매우 많고 무게가 많이 나가기 때문에 축사 내에 가축 간의 소동이 일어나 펜스나 도어에 부딪힌다 하더라도 잠금장치가 파손되지 않고 그 충격을 견디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소는 약 350kg ~ 450kg, 돼지는 약 200kg ~ 230kg, 양은 약170kg ~ 200kg 까지 성장하기 때문에 축사 둘레에 설치되는 펜스 뿐만 아니라 축사용 도어 및 잠금장치 역시 매우 견고한 재질과 구조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이다.
한편 종래에 공지된 기술로는 국내공개특허 10-2014-0124980에 기술된 축사 도어 잠금장치가 있다.
상기 공지기술에 기재된 축사 도어 잠금장치에 대해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상기 축사 도어 잠금장치는 소정 두께를 갖는 판 형태의 잠금장치(100)를 도어(20) 또는 축사의 기둥(10)에 설치, 고정하고, 체인(200)을 이용하여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잠그도록 구성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잠금장치(100)를 도어(20)에 용접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하고, 체인(200)을 기둥(100)에 묶은 후 체인(200)의 단부를 잠금장치(100)에 고정시킴으로써 축사의 도어가 잠기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공지기술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축사 잠금장치는 소정 두께의 판 형태를 갖는 몸체(101)중심에 횡방향으로 고정슬롯(103)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슬롯(103) 중심부에서 상향으로 몸체(101) 외면까지 연장되는 입출슬롯(102)이 형성되어 상기 입출슬롯(102)으로 체인(200)이 삽입되고 고정슬롯(103)에 안착되어 잠기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구조가 간단하여 소가 혀로 체인을 잡아당기는 등 조작을 통해 쉽게 잠금장치가 해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가축이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체인이 벌어지거나 끊어져 다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지 기둥에 체인을 묶어 사용하므로 체인이 기둥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수단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국내공개특허공보 10-2014-0124980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축사 둘레에 설치되는 펜스와 도어에 각각 부착되며 요홈부가 형성된 걸림키와 요홈부에 걸어 도어를 폐쇄하는 누름구를 통해 가축이 임의대로 도어를 개방할 수 없도록 하는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는 축사 둘레에 설치되는 펜스와 펜스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열고 닫히는 도어에 설치되는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도어와 펜스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상하 회동하는 판상형의 걸림키가 구비된 제1고정부; 및 걸림키가 삽입되도록 전방과 후방으로 이격을 두고 배치되는 두개의 가이드을 포함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두개의 가이드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하는 누름구를 포함하며, 제1고정부에 이웃하는 도어와 펜스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구는 상기 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도록 중앙이 개방된 파이프형상의 고정편; 및 상기 고정편과 결합되며 나머지 하나의 가이드이 사이에 위치하도록 돌출되는 두개의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는 전방에 형성되는 전면판, 전면판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부판, 및 전면판의 하단에 형성되는 하부판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전면판의 배후로 이격을 두고 형성되는 배면판; 및 상기 전면판과 배면판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힌지결합되어 상하 회동하며 요홈부가 형성된 걸림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각각의 가이드의 하단을 연결하는 이탈방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키와 상부판 사이에는 전면판과 배면판을 관통하는 이동제한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턱은 두 개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에 결합된 고정편의 외면에서 나머지 어느 하나의 가이드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는 구조가 간단하되 가축이 임의로 작동시킬 수 없도록 하여 가축이 축사용 도어를 임의로 열고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제한 방지핀이 하우징의 전면판을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걸림키가 과도하게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조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두개의 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고정편의 외면에서 나머지 하나의 가이드이 사이에 위치하도록 두개의 걸림턱이 형성되므로 가축이 임의로 걸림턱을 건드린다 하더라도 걸림턱이 가이드에 걸려 임의대로 위치 이탈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2는 종래기술의 잠금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인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의 설치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인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의 또 다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인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의 확대도.
도 7은 본 고안인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의 제2고정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8a 내지 8c는 누름구의 실시 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본 고안인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 제1고정부(100) 및 제2고정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부(100) 및 제2고정부(200)는 축사 둘레에 설치되는 펜스(400)와 펜스(40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열고 닫히는 도어(300)에 각각 설치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도 3에서는 제1고정부(100)가 축사용 도어(300)에 설치되고, 제2고정부(200)가 펜스(400)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반대로 설치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제1고정부(100)가 축사용 도어(300)에 설치되고, 제2고정부(200)가 펜스(400)에 설치되는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100)는 하우징(110), 배면판(114), 및 하우징(110)과 힌지결합되는 걸림키(120)를 포함한다.
먼저 하우징(110)은 전면판(111), 전면판(111)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부판(112), 및 전면판(111)의 하단에 형성되는 하부판(11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면판(111)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상부판(112)과 하부판(113)의 끝단은 축사용 도어(300)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전면판(111)에는 추가적으로 이동제한핀(115)이 더 결합될 수도 있는데 이는 이후에 배면판(114) 및 걸림키(120)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전면판(111)의 배후에는 배면판(114)이 이격을 두고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전면판(111)과 배면판(114) 사이에는 판상형의 걸림키(120)가 삽입된 상태로 힌지축(116)에 의해 상기 전면판(111) 및 배면판(114)과 결합된다.
상기 걸림키(120)가 전면판(111)과 배면판(114)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힌지결합되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116)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걸림키(120)와 상부판(112) 사이에는 전면판(111)과 배면판(114)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이동제한핀(115)이 삽입되므로 상기 걸림키(120)가 이동제한키에 걸리게되어 필요 이상으로 회전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걸림키(120)에는 움푹 파인 형태로 요홈부(121)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키(120)의 요홈부(121)에는 제2고정부(200)의 누름구(220)가 안착되어 축사용 도어(300)를 폐쇄하는데 상기 누름구(220)에 대해서는 이후에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고정부(100)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2결합부는 걸림키(120)가 삽입되도록 전방과 후방으로 이격을 두고 배치되는 두개의 가이드(211)를 포함하는 가이드레일(210), 및 상기 두개의 가이드(211)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하는 누름구(220)를 포함한다.
먼저 가이드레일(210)은 두개의 가이드(211)를 포함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집힌 U자형으로 형성되어있다.
또한 상기 두개의 가이드(211)를 포함한다면 뒤집힌 U자형이 아니더라도 하부가 개방된 사각프레임형태 및 뒤집힌 U자형 H빔형태 등등 여러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가이드레일(210)이 뒤집힌 U자형 형태를 갖는 것을 기준으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211)는 전방과 후방으로 이격을 두고 배치되며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2개의 봉으로서 상기 2개의 가이드(211) 사이에는 회동하는 걸림키(120)가 인출입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211)의 하단에는 이탈방지편(212)이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편(212)의 실시예는 누름구(220)의 실시예와 함께 하기에 기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211)에는 누름구(220)가 삽입된다.
상기 누름구(220)는 무겁고 단단한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211)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도록 중앙이 개방된 파이프형상의 고정편(221), 및 상기 고정편(221)과 결합되며 나머지 하나의 가이드(211)가 사이에 위치하도록 돌출되는 두개의 걸림턱(222)을 포함한다.
상기 누름구(220)의 형태는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211)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 고정편(221)의 외면에는 나머지 어느 하나의 가이드(211)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걸림턱(222)이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가이드(211)가 사이에 위치하도록 두개의 걸림턱(222)이 형성되므로 가축이 임의로 걸림턱(222)을 건드린다 하더라도 걸림턱(222)이 가이드(211)에 걸려 임의대로 위치 이탈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누름구(220)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211)에 결합되어 상하로 회동하며, 걸림키(120)의 요홈부(121)에 안착되어 축사용 도어(300)를 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누름구(220)를 들어올리고 걸림키(120)를 하우징(110)방향으로 회동하면 제1고정부(100)와 제2고정부(200)를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누름구(220)는 무겁고 단단한 금속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누름구(220)가 가이드(211)를 타고 하강하지 않도록 한손으로는 누름구(220)를 들어올리고 한손으로는 걸림키(120)를 회동시켜야만 개방할 수 있고, 상기 걸림키(120)가 회동 중 누름구(220)에 걸리지 않도록 걸림키(120)가 회동하는 동안 누름구(220)를 붙잡아 두어야 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가축은 스스로 잠금장치를 해제할 수 없게 되는데, 만약 가축이 혀로 누름구(220)를 들어올린다고 해도 동시에 걸림키(120)를 하우징(110) 방향으로 넘기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한편 가이드(211)의 하단에는 이탈방지편(212)이 형성되므로 누름구(220)는 이탈방지편(212)에 걸려 지면으로 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사용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자면 하기와 같다.
먼저 축사용 도어와 펜스 중 어느 하나에 제1고정부를 설치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고정부에 이웃하는 나머지 축사용 도어 또는 펜스에 제2고정부를 설치한다.
이때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2개의 가이드 사이에 걸림키가 삽입되도록 제2고정부의 위치를 조정하여 설치한다.
상기 걸림키가 2개의 가이드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걸림키의 요홈부에 누름구가 안착되도록 걸어두면 축사용 도어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축사용 도어를 개방할 때에는 먼저 누름구를 들어올린 후 걸림키를 하우징 방향으로 회동시켜 2개의 가이드 사이에서 걸림키를 빼낸다.
덧붙여 설명하자면 상기 누름구는 무겁고 단단한 금속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누름구가 가이드를 타고 하강하지 않도록 한손으로는 누름구를 들어올리고 한손으로는 걸림키를 회동시켜야만 개방할 수 있고, 상기 걸림키가 회동 중 누름구에 걸리지 않도록 걸림키가 회동하는 동안 누름구를 붙잡아 두어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가축은 스스로 잠금장치를 해제할 수 없게 되는데, 만약 가축이 혀로 누름구를 들어올린다고 해도 동시에 걸림키를 하우징 방향으로 넘기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100...제1고정부
110...하우징
111...전면판
112...상부판
113...하부판
114...배면판
115...이동제한핀
116...힌지축
120...걸림키
121...요홈부
200...제2고정부
210...가이드레일
211...가이드
212...이탈방지편
220...누름구
221...고정편
222...걸림턱
300...축사용 도어
400...펜스

Claims (5)

  1. 축사 둘레에 설치되는 펜스와 펜스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열고 닫히는 도어에 설치되는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도어와 펜스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상하 회동하는 판상형의 걸림키가 구비된 제1고정부; 및
    걸림키가 삽입되도록 전방과 후방으로 이격을 두고 배치되는 두개의 가이드을 포함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두개의 가이드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하는 누름구를 포함하며, 제1고정부에 이웃하는 도어와 펜스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구는
    상기 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도록 중앙이 개방된 파이프형상의 고정편; 및
    상기 고정편과 결합되며 나머지 하나의 가이드이 사이에 위치하도록 돌출되는 두개의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전방에 형성되는 전면판, 전면판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부판, 및 전면판의 하단에 형성되는 하부판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전면판의 배후로 이격을 두고 형성되는 배면판; 및
    상기 전면판과 배면판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힌지결합되어 상하 회동하며 요홈부가 형성된 걸림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각각의 가이드의 하단을 연결하는 이탈방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키와 상부판 사이에는
    전면판과 배면판을 관통하는 이동제한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두 개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에 결합된 고정편의 외면에서 나머지 어느 하나의 가이드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
KR2020150008103U 2015-12-10 2015-12-10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 Active KR2004831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103U KR200483169Y1 (ko) 2015-12-10 2015-12-10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103U KR200483169Y1 (ko) 2015-12-10 2015-12-10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169Y1 true KR200483169Y1 (ko) 2017-04-12

Family

ID=58605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103U Active KR200483169Y1 (ko) 2015-12-10 2015-12-10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16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008B1 (ko) 2017-09-29 2019-03-06 (주)태림이엔지 축사용 도어의 잠금장치
KR20210138936A (ko) * 2020-05-13 2021-11-22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문 잠금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7345A (en) * 1974-07-01 1975-09-23 Master Fence Fittings Inc Dog kennel gate latch
JPH071968Y2 (ja) * 1990-12-26 1995-01-25 士幌鉄工有限会社 畜舎の扉用ロック装置
KR200189802Y1 (ko) * 1998-03-06 2000-09-01 김봉조 경주마 발주기의 앞문 잠금장치
KR100982242B1 (ko) * 2010-03-18 2010-09-14 금재호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
KR20140124980A (ko) 2013-04-17 2014-10-28 다연산업 주식회사 축사 도어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7345A (en) * 1974-07-01 1975-09-23 Master Fence Fittings Inc Dog kennel gate latch
JPH071968Y2 (ja) * 1990-12-26 1995-01-25 士幌鉄工有限会社 畜舎の扉用ロック装置
KR200189802Y1 (ko) * 1998-03-06 2000-09-01 김봉조 경주마 발주기의 앞문 잠금장치
KR100982242B1 (ko) * 2010-03-18 2010-09-14 금재호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
KR20140124980A (ko) 2013-04-17 2014-10-28 다연산업 주식회사 축사 도어 잠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008B1 (ko) 2017-09-29 2019-03-06 (주)태림이엔지 축사용 도어의 잠금장치
KR20210138936A (ko) * 2020-05-13 2021-11-22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문 잠금장치
KR102409351B1 (ko) * 2020-05-13 2022-06-15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문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7794B2 (en) Pet door enclosure system
US20210227784A1 (en) Latching mechanism for pet enclosure
US7918188B1 (en) Cage with reversibly mounted door
CN107258556B (zh) 动物笼具及其门组合件
CN107258555B (zh) 用于动物笼具的门组合件及动物笼具
US10568296B2 (en) Pen front
US9915093B2 (en) Security gate
US9200481B2 (en) Low profile security system for canine entry and exit
KR200483169Y1 (ko)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
US20230349206A1 (en) Gate latch
KR101955008B1 (ko) 축사용 도어의 잠금장치
KR101499701B1 (ko) 축사 도어 잠금장치
KR101122312B1 (ko) 여닫이문의 3지점 잠금장치
KR20100001776A (ko) 미서기 창호의 안전 닫힘장치
US10772289B2 (en) Head gate for a cattle containment chute
KR101027039B1 (ko) 동물 포획장치
KR102286550B1 (ko) 안전용 출입문장치
CA2986987C (en) Head gate for a cattle containment chute
GB2563320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animal enclosures
JP4467510B2 (ja) ペット用サークルの扉のロック構造
US416082A (en) Latch for sliding doors
JP3819209B2 (ja) 犬舎
GB2563319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animal enclosures
CZ2010788A3 (cs) Klec pro zvírata
IE20040532A1 (en) Three way gate with "hinge/latch" hinges with side g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5121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7040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