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82767Y1 - Injection apparatus for beverage - Google Patents

Injection apparatus for bever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767Y1
KR200482767Y1 KR2020140008794U KR20140008794U KR200482767Y1 KR 200482767 Y1 KR200482767 Y1 KR 200482767Y1 KR 2020140008794 U KR2020140008794 U KR 2020140008794U KR 20140008794 U KR20140008794 U KR 20140008794U KR 200482767 Y1 KR200482767 Y1 KR 2004827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injection
beverage container
container
nozz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794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01967U (en
Inventor
이시행
Original Assignee
(주)제이알피코퍼레이션
엔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알피코퍼레이션, 엔피씨(주) filed Critical (주)제이알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201400087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767Y1/en
Publication of KR201600019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967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7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767Y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2Beer engines or like manually-operable pump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2Beer engines or like manually-operable pumping apparatus
    • B67D1/025Beer engines or like manually-operable pump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arbonating the beverage, or for maintaining its carbo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맥주 등의 액상의 음료를 음용할 때 사용되는 음료 용기 중, 바닥의 주입구를 통해 하부에서부터 음료가 채워지는 음료 용기를 위한 음료 주입 장치에 있어서, 안착부에서 상향 돌출된 음료 노즐을 구비하여, 음료 용기를 안착부에 안착시키면, 상기 음료 노즐에 의해 주입구를 폐쇄하는 홀더가 상승 개방되어 음료 주입이 이루어지는 음료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주입 장치는 수용부 바닥에 구비된 주입구를 갖는 몸체와, 상기 주입구에 결합되어 주입구를 개폐하는 홀더로 구성되어, 음료가 바닥에서 주입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음료 주입 장치에 있어서, 음료 공급 수단이 내장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음료 용기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음료 공급 수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부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기 음료 용기의 주입구에 삽입되어 음료를 주입하는 음료 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for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es for beverage containers filled with beverage from the bottom through an inlet of a bottom of a beverage container used for drinking a liquid beverage such as beer, And a holder for closing the injection port is opened by the beverage nozzle so that the beverage is injected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seated on the seat por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beverage inj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having an inlet provided at the bottom of a receptacle, and a holder coupled to the inlet to open and close the inlet, A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for a beverage container,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beverage supply means built therein; A seating part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on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is seated; And a beverage nozzle connected to the beverage supply means and protruding upward from the seating portion and inserted into an injection port of the beverage container to inject beverage.

Description

음료가 바닥에서 주입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음료 주입 장치{INJECTION APPARATUS FOR BEVERAG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for a beverage container,

본 고안은 맥주 등의 액상의 음료를 음용할 때 사용되는 음료 용기 중, 바닥의 주입구를 통해 하부에서부터 음료가 채워지는 음료 용기를 위한 음료 주입 장치에 있어서, 안착부에서 상향 돌출된 음료 노즐을 구비하여, 음료 용기를 안착부에 안착시키면, 상기 음료 노즐에 의해 주입구를 폐쇄하는 홀더가 상승 개방되어 음료 주입이 이루어지는 음료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for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es for beverage containers filled with beverage from the bottom through an inlet of a bottom of a beverage container used for drinking a liquid beverage such as beer, And a holder for closing the injection port is opened by the beverage nozzle so that the beverage is injected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seated on the seat portion.

음료(飮料, Beverage)는 알콜성 음료 또는 비알콜성 음료로 구분되어지고, 알콜성 음료에는 맥주, 소주 등의 주류가 있고, 비알콜성 음료에는 콜라, 사이다 등의 탄산음료 등이 있으며, 이밖에 물, 우유등의 일반적인 식음료가 있다.Beverage is classified into alcoholic beverages or non-alcoholic beverages. Alcoholic beverages include beer, shochu, etc. Non-alcoholic beverages include carbonated beverages such as cola and cider. outside Water, and milk.

우선 맥주는 주로 공장에서 제조되어 대략으로 판매되는 병맥주 또는 캔맥주가 있으며, 일반 호프집에서는 맥주가 맥주통에 저장되어 판매 장소에서 음료 용기에 담겨져 음용자에게 공급되는 생맥주가 있다.First of all, beer is mainly bottled beer or canned beer, which is usually manufactured at a factory. In general hops, beer is stored in a beer barrel and placed in a beverage container at the place of sale.

또 탄산음료 역시 병음료 또는 캔음료가 있으며, 패스트푸드점 등에서는 소정의 저장통에 탄산 원액이 저장된 상태로 공급되고, 원액과 물을 혼합하여 음료 용기에 담겨져 음용자에게 공급된다.The carbonated beverage also has a bottled beverage or a canned beverage. In a fast food store or the like, a carbonic acid stock solution is supplied in a predetermined reservoir and mixed with the undiluted solution and water, which is supplied to the user.

이러한 음료가 수용되는 용기로써, 일례로 가장 보편화되어 사용되는 맥주잔은 투명한 재질의 유리 또는 합성수지 제품으로 이루어지며, 한 번에 비교적 많은 양을 따라 마시게 되므로, 통상적으로 500cc, 1000cc의 맥주를 담아 마실 수 있는 맥주잔이 널리 사용된다.As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such a drink, for example, the most commonly used beer glass is made of transparent glass or synthetic resin product, and drinks relatively large amounts at a time, so that usually 500cc and 1000cc of beer Drinkable beer glasses are widely used.

상기 종래의 맥주잔은 하부 바닥이 차단되고, 상부가 개구되어 상측 개구부를 통해 음료가 주입되도록 구성된다.The conventional beer cup is structured such that the lower floor is blocked and the upper portion is opened and the beverage is injected through the upper opening.

특히 생맥주는 맥아즙을 발효, 숙성시켜 여과만 하고, 가열, 살균과정을 거치지 않은 맥주를 말하며, 이러한 생맥주는 생맥주 주입 장치를 통해 제공된다.In particular, draft beer is fermented malt juice, which is fermented, aged, filtered, heated, and sterilized. The draft beer is supplied through a draft beer injection device.

그리고 맥주 전문점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생맥주 주입 장치는 생맥주통에 공급관을 연결하고, 공급관에 구비된 밸브를 이용하여 관로를 개폐하므로 음료 용기에 맥주를 공급하는 방식을 주로 이용한다.Conventional draft beer injection equipment used in a beer specialty store mainly uses a method of supplying beer to a beverage container by connecting a supply pipe to a draft beer barrel and opening / closing a duct using a valve provided in the supply pipe.

그런데 주류에서도 맥주는 낮은 알코올 도수에 간편하고 부담 없이 누구라도 즐길 수 있는 것으로서, 음료 주입 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생맥주 등의 음료는 다른 음료에 비하여 맥주를 상부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따르게 됨에 따라 주입 압력에 의하여 맥주 거품이 많은 양의 거품이 발생 되는바, 맥주잔 등의 용기에 음료를 주입한 후 거품을 일일이 제거해주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However, even in the case of alcoholic beverages, beer can be easily enjoyed by anyone with a low alcohol content. As a beverage such as draft beer supplied through a beverage injecting device is poured through the open portion of the beer compared to other beverages, The beer bubbles generate a large amount of bubble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everage is injected into a container such as a beer cup, and then the bubbles are removed one by one.

따라서 기존의 생맥주 주입 장치로 음료 용기에 생맥주를 공급할 때, 주로 상측에서 공급하므로 온도가 맞지 않는 경우 거품이 다량 발생하여 흘러 내려 의복을 젖게 하거나 위생상 좋지 않았으며, 너무 많은 거품으로 인해 생맥주 맛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when a draft beer is supplied to a beverage container through a conventional beer injection device, it is mainly supplied from the upper side. Therefore, when the temperature does not match, a large amount of bubbles are generated to flow down to wet clothes or hygiene. There is a problem of deterioration.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음료 용기의 저면에 주입구를 형성하여, 생맥주가 바닥에서부터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생맥주 거품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는 대안이 제시되었으며, 이러한 대안으로써, 본 고안의 출원인은 출원번호 제10-2014-0085888호(2014.07.09.) 및 출원번호 제10-2014-0145312호(2014.10.24.)의 "바닥을 통해 음료 주입이 이루어지는 음료 용기"를 출원하고, 제품 출시를 앞두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 alternative is proposed in which an injection hole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and the draft beer is filled from the bottom, thereby appropriately maintaining the brewing beer bubbles. As such an alternative, 10-2014-0085888 (Apr. 19, 2014) and No. 10-2014-0145312 (Apr. 24, 2014) filed for "Beverage container with beverage injection through the bottom"

따라서 상기한 새로운 형태의 음료 용기의 바닥에 주입구를 개폐함과 동시에, 적절한 분사압력으로 생맥주를 주입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음료 주입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new type of beverage injecting apparatus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injection port on the bottom of the above-mentioned new type of beverage container and injecting draft beer with an appropriate injection pressure.

그러나 이러한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바닥에서 음료가 주입되는 음료 용기만을 위한 음료 주입 장치에 관한 기술이 제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Despite this necessity, however, there is no description about a beverage injection apparatus for a beverage container in which beverage is injected at the bottom.

참고로, 상측 개구부를 갖는 일반적인 음료 용기에 맥주 등의 음료를 주입하기 위한 음료 주입 장치에 관한 종래 기술로써,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102805호(2008.11.26.) "음료 자동주입장치"등이 있고,For reference, as a prior art related to a beverage injection apparatus for injecting beverage such as beer into a general beverage container having an upper opening,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8-0102805 (November 26, 2008) And the like,

바닥에서부터 음료 주입이 이루어지는 음료 용기에 관한 종래 기술로써, 본 고안의 출원이의 특허 출원 외에도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3382호(2013.03.07.) "음료컵 주입구 차단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등이 있다.
In addition to the patent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Korean Patent No. 10-1243382 (Mar. 23, 2013) "Beverage Cup Injection Port Cutoff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have.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바닥이 폐쇄되고 상측 개구부를 갖는 일반적인 음료 용기가 아닌, 바닥에 주입구가 구비되어 음료가 바닥에서 주입되는 새로운 형태의 음료 용기를 위한 새로운 방식의 음료 주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w type of beverage injecting apparatus for a new type of beverage container in which a bottom is closed and an upper opening is provided and an opening is provided at the bottom so that the beverage is injected from the bottom.

특히 본 고안은 새로운 형태의 음료 용기에 있어서, 음료 용기를 음료 주입 장치의 안착부에 탈착시키는 것만으로, 음료 용기의 바닥 주입구에 구비된 필수 요소인 홀더(캡부재)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본체의 상면에 구비된 안착부에서 상향 돌출되어 음료 용기의 주입구에 삽입될 수 있는 음료 노즐을 포함하는 음료 주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 type of beverage container, in which a holder (cap member), which is an essential element provided in a bottom opening of a beverage container, can b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by merely detaching the beverage container to the seating portion of the beverage- And a beverage injecting device which includes a beverage nozzle which is protruded upward from a seating part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can be inserted into an injection port of the beverage container.

그리고 본 고안은 안착부에 음료 용기가 안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음료가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고, 음료 주입 장치를 별도로 작동시킬 필요 없이 상기 센서를 이용해 음료 용기가 소정 시간 동안 안착된 상태에서 자동으로 음료의 주입이 시작되는 음료 주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for preventing a beverage from being injected in a state in which a beverage container is not seated in a seating part, and in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is se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using the sensor, In which the injection of the beverage is automatically started.

아울러 본 고안은 상기 음료 노즐이 음료 용기의 주입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음료 주입이 이루어질 때 음료 분사공이 노즐의 상부면에 형성되면 음료 분사 압력에 의하여 주입구를 개폐하는 홀더가 주입구에서 이탈, 분리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음료 노즐의 외주면에서 측방향으로 개구된 하나 이상의 분사공을 포함하는 음료 주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everage injection nozzl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ozzle when the beverage injection is performed while the beverage nozzle is inserted into the injection port of the beverage container, the hold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jection port may be separated from the injection port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verage injecting apparatus including at least one spray hole laterally opened from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everage nozzle so as to prevent the beverage injec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주입 장치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수용부 바닥에 구비된 주입구를 갖는 몸체와, 상기 주입구에 결합되어 주입구를 개폐하는 홀더로 구성되어, 음료가 바닥에서 주입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음료 주입 장치에 있어서,1. A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for a beverage container, comprising: a body having an inlet provided at a bottom of a container; and a holder coupled to the inlet and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음료 공급 수단이 내장된 본체;A main body having a beverage supply means built therein;

상기 본체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음료 용기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A seating part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on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is seated; And

상기 음료 공급 수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부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기 음료 용기의 주입구에 삽입되어 음료를 주입하는 음료 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beverage nozzle connected to the beverage supply means and protruding upward from the seating portion and inserted into an injection port of the beverage container to inject beverage.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주입 장치에서 In the beverage inj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안착부 일측에는 상기 음료 용기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beverage container is seated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ating part.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주입 장치는 상기 센서가 상기 음료 용기의 안착을 감지한 후 소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음료 주입이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everage inj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everage injection is automatically start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sensor detects the seating of the beverage container.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주입 장치에서 상기 음료 노즐은 하나 이상의 분사공이 외주면에서 측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beverage inj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nozzle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injection holes are laterally opene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주입 장치는 상측에서 음료가 주입되는 일반적인 음료 용기가 아닌, 바닥에서부터 음료가 주입되는 새로운 형태의 음료 용기를 위한 것으로, 음료 용기의 수용부에 안정적으로 음료를 주입할 수 있고,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a beverage container of a new type in which a beverage is injected from the floor rather than a general beverage container into which the beverage is injected from the upper side and can be stably injec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음료 주입 장치를 통해 주입되는 음료는 공기와 접촉하여 산화되는 것이 방지되어 음용자에게 음료 본연의 맛이 최대한으로 유지된 최상의 음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Accordingly, the beverage injected through the beverage inj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vented from being oxidized by contact with the air, so that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the best beverage having the maximum taste of the beverage,

뿐만 아니라, 음료가 기존의 방식처럼 음료 노즐에서 음료 용기의 바닥을 향해 낙하되면서 주입되는 것과 달리 바닥에서부터 채워지므로, 음료 주입 시 발생하는 거품이 과도하게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음료 주입 후 거품만을 떠서 버리는 등의 번거로움과, 과도한 거품으로 인한 음료의 맛의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In addition, since the beverage is filled from the bottom of the beverage container to the bottom of the beverage container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the bubbles generated during the beverage injection are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generated,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can prevent the troubles such as throwing away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taste of the beverage due to excessive bubbles.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주입 장치는 안착부에서 상향 돌출되어 음료 용기의 바닥 주입구에 삽입되는 음료 노즐을 도입하여, 음료 용기를 안착부에서 탈착시키는 것만으로도 음료 용기에서 주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필수 요소인 홀더의 자동 개폐가 이루어져 사용이 편리하며, 이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음료 용기를 사용할 수 있는 저변을 확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Particularly, the beverage inj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the beverage nozzle which is protruded upward from the seat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bottom inlet of the beverage container, and by merely detaching the beverage container from the seat portion, The holder can b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to facilitate the use of the beverage container.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주입 장치는 센서를 통해 음료 용기의 안착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실수 등에 의하여 의도치 않게 음료가 분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센서가 음료 용기의 안착을 감지한 후 소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음료가 주입되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In addition, the beverage inj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whether or not the beverage container is seated through the sensor, thereby preventing the beverage from being inadvertently injected due to a user's mistake or the like, and when the sensor senses the seating of the beverage container Since the beverage is injected automatically after a predetermined time, it is very convenient to use,

이러한 음료 주입 장치를 공개된 공간에 설치하여, 음료 주입 과정을 음용자에게 보여줌으로써, 차별화된 음료 주입 방법을 마케팅적으로 활용하여, 음용자에게 재미를 선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installing the beverage dispensing device in the open space and showing the beverage inserting process to the us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un to the user by utilizing the differentiated beverage inserting method as a marketing.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주입 장치는 새로운 형태의 음료 용기와 함께 독특한 방식의 음료 주입을 대중화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Therefore,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can popularize a unique type of beverage injection together with a new type of beverage container.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주입 장치는 음료 노즐의 외주면에서 측방향으로 개구된 하나 이상의 분사공을 도입함에 따라, 음료 주입 시 음료 분사 압력이, 홀더의 개방 방향, 즉 상측으로 발생하지 않고, 홀더의 개구된 반향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홀더가 주입구에서, 이탈, 분리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음료 용기의 안전한 사용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troducing one or more spray holes opened laterally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everage nozzle, the beverage injection pressure does not occur in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holder, that is, The hold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jection port, and thus the holder can be safely used.

도 1a, 도 1b, 도 1c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주입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음료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주입 장치의 외관을 도시 방향을 달리한 사시도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주입 장치의 1차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주입 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도 1a 내지 도 1c와 다른 형태의 음료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Figs. 1A, 1B and 1C are views for explaining a new type of beverage container which can be used in the beverage inj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A and FIG. 2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beverage inj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ifferent directions.
Fig. 3 is a first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everage inj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beverage container of a different form from Figs. 1A to 1C. Fig.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embodiments) which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can tak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is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particular, the numerals of the tens and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tens, the digits of the digits and the alphabets are the same, Member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s can be identified as members correspond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pressed by exaggeratingly larger (or thicker) or smaller (or thinner) in size or thickness considering simplicity of understanding, etc. However, sinc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It should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to second aspec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referred to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in which they are manufactured, It may not match.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주입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b 및 도 2a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보이는 방향을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이를 기준으로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In describing the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an unambiguous approximate direction reference is specified with reference to FIG. 1B and FIG. 2A for convenien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gravity acts is referred to as a downward direction Direction, and directions are specified in accordance with this standard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claims of the invention relating to other drawings.

설명에 앞서, 도 1a 내지 도 1c를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주입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음료 용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새로운 형태의 음료 용기는 수용부(10A)를 갖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바닥에 형성된 주입구(13) 및 상기 주입구(13)를 개폐하는 홀더(20; 다른 명칭으로는 캡부재 등이 사용될 수 있음.)를 포함한다.Prior to explanation, a beverage container which can be used in the beverage inj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to 1C. A new type of beverage container includes a body 10 having a receiving portion 10A, An injection port 13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ody 10 and a holder 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jection port 13 (also referred to as a cap member or the like).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고안의 출원인이 개발하여 출원한 출원번호 제10-2014-0085888호(2014.07.09.)의 음료 용기를 도시한 도면들(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구성들 중 본 고안의 특징과 본질적인 연관성이 적은 도면부호의 설명은 생략하며, 이와 관련해 후술하는 도 5의 도면부호의 설명도 생략함.)로써, 도면에 도시된 몸체(10)는 가장 일반적인 잔(컵) 형태를 대표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주둥이가 넓고 외벽(11)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된 조끼와 같은 맥주잔 또는 대용량의 음료가 채워지는 피쳐(pitcher 등으로 변형될 수 있다.FIGS. 1A to 1C are views showing the beverage container of Application No. 10-2014-0085888 (Apr. 19, 2014) developed and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having few essential correlations with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mitted, and the 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in FIG. 5 to be described later is omit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beer glass such as a vest having a wide mouth and a handle at one side of the outer wall 11, or a feature such as a pitcher that is filled with a large- .

이러한 음료 용기는 음료 바닥에 주입구(1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홀더(20)의 개폐, 특히 음료 주입 시 홀더(20)가 주입구(13)를 개방한 상태에서, 음료 주입 완료 후 홀더(20)가 주입구(13)를 자동을 폐쇄하고, 이 폐쇄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어야만 음료가 주입구(13)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바,Since the holder 13 is formed in the bottom of the beverage container, the holder 20 can be opened and closed, particularly when the beverage is injec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everage from leaking to the injection port 13 only when the injection port 13 is automatically closed and the closed state is maintained firmly.

상기 홀더(20)는 새로운 형태의 음료 용기에 필수적인 구성이며, 이러한 홀더(20)의 폐쇄 상태를 강제하는 락킹수단 역시 또 다른 필수 구성이라 할 수 있다.The holder 20 is an essential structure for a new type of beverage container, and a locking means for forcing the closed state of the holder 20 is another essential configuration.

도면에서는 본 고안의 출원인이 개발한 홀더(20)와, 락킹부재(28)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홀더(20)는 주입구(13)에 결합되는 것으로, 주입구(13)를 덮는 상부벽체(21)와, 홀더(20)의 승하강을 보장하는 승강벽체(22) 및 상기 상부벽체(21)와 상기 승강벽체(22)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밴드(23)로 구성된다.The holder 20 and the locking member 28 are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the figure. The holder 20 is first coupled to the injection port 13, and the injection port 13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bands 23 for connecting the upper wall 21 and the raising and lowering wall 22 to each other. The upper wall 21 covers the upper wall 21 and the upper wall 21, .

그리고 상기 연결밴드(23)들 사이가 개구되어 노즐(120)에서 분사되는 음료가 몸체(10)의 수용부(10A)로 주입되도록 한다.The connection bands 23 are opened to allow the beverage injected from the nozzle 120 to be injec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10A of the body 10. [

또한 상기 락킹부재(28)는 상기 승강벽체(22)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10)의 바닥 저면에 접촉하여 상기 홀더(20)가 하강 폐쇄되도록 강제하는 복수개의 탄성암(29)이 구비된다.The locking member 28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silient arms 29 which are coupled to the lifting and lowering wall 22 and which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 to force the holder 20 to be lowered and closed .

즉, 음료 노즐(120)에 의하여 상기 홀더(20)가 상측으로 밀려 주입구(13)가 개방된 상태에서 음료 주입이 이루어지고, 음료 주입이 완료되어 음료 용기를 음료 노즐(120)에서 분리시키면 상기 홀더(20)가 탄성암(29)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되어 홀더(20)가 주입구(13)에서 하강하면서 주입구(13)가 폐쇄되고, 탄성암(29)을 통해 주입구(13)의 폐쇄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That is, when the holder 20 is pushed upward by the beverage nozzle 120, the beverage is injected in a state where the injection port 13 is opened. When the beverage injection is completed and the beverage container is separated from the beverage nozzle 120, The holder 20 is pushed downward by the elastic arm 29 so that the holder 20 is lowered at the injection port 13 and the injection port 13 is closed and the closed state of the injection port 13 through the elastic arm 29 Is maintained firmly.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원리로 주입구(13)가 개폐되는 모든 음료 용기를 위한 것으로, 그러나 본 명세서의 도면에 도시된 음료 용기의 사용에만 한정될 필요는 없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 all beverage containers in which the injection port 13 is opened and closed in accordance with the above-described principle, but need not be limited to the use of the beverage container show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홀더(20) 및 락킹수단의 구성은 새로운 음료 용기의 구조상 필수적이나, 락킹수단의 구체적인 방식은 도면과 다르게 다양한 방법이 도입될 수 있고(예를 들어 상기한 등록특허 제10-1243382호에는 자력을 이용해 홀더가 승하강되면서 주입구가 개폐되는 구조가 공개되어 있음.),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of the holder 20 and the locking means is essential in the structure of the new beverage container. However, various methods can be introduced for the concrete method of the locking means different from the drawing (for example, 10-1243382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a holder is moved up and down using a magnetic force to open and close an injection port)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특정 구조의 음료 용기를 대표하여 설명하나, 홀더(20)의 승하강 개폐 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이면 그 구체적인 구조에 상관없이 본 고안을 통해 음료를 주입할 수 있는 것이 자명하므로, 이에 따라 본 고안의 권리 해석이 제한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Therefore, although a beverage container having a specific structure is described as an example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beverage container having a lifting / lowering structure of the holder 20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matter of fact, the interpretation of rights of this invention should not be restricted accordingly.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주입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beverage inj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도 2a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주입 장치는 크게 음료 공급 수단(130)이 내장된 본체(100)와, 음료 용기가 탈착되는 안착부(110) 및 상기 안착부(110)에 구비되어 음료 용기의 수용부(10A)로 음료를 주입하는 음료 노즐(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2A to 4, the beverage inj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includes a main body 100 having a beverage supply means 130 built therein, a seating portion 110 where the beverage container is detached, And a beverage nozzle (120) provided in the beverage container (110) for injecting beverage into the accommodating portion (10A) of the beverage container.

도면에서는 본체(100)의 상부에 두 개의 안착부(110) 및 노즐(12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안착부(110) 및 노즐(120)의 개수는 음료 주입 장치의 사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안착부 및/또는 노즐의 사이즈는 도면과 같이 조끼 잔이나 피쳐의 사이즈 별로 각기 다르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t can be seen that two seating portions 110 and nozzles 120 ar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number of the seating portions 110 and the nozzles 120 In this cas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size of the seat portion and / or the nozzle may be differently form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vest or the feature as shown in the drawing.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조작부(150)가 구비되는데, 상기 조작부(150)는An operation unit 150 is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음료 주입 장치의 전원 버튼, 수동으로 음료가 주입되도록 하는 주입 버튼, 음료 용기의 사이즈에 맞게 음료의 주입량을 조절하는 조절 버튼, 두 개 이상의 안착부(110) 및 노즐(120)에 대하여 작동을 개별적으로 on/off 할 수 있는 스위칭 버튼 등을 포함한다.A power button of the beverage injection device, an injection button for manually injecting the beverage, an adjustment button for adjusting the amount of beverage to be injec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everage container, two or more seating parts 110 and the nozzle 120, And a switching button which can be turned on / off.

또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음료 저장량, 음료 용기의 안착 상태, 음료 주입 상태, 음료 주입을 실시한 카운트 횟수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16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60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o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such as a beverage storage amount, a beverage container seating state, a beverage infusion state,

특히, 본체(100)의 후면에는 각종 광고 및 이벤트 등에 관한 화상 정보를 사용자에게 노출시킬 수 있는 광고부(180; 도 2b 참고.)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새로운 방식의 음료 주입 장치를 음용자가 보이도록 설치하여 마케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조작부(150)가 음용자 방향과 반대 방향(사용자 방향)이 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므로, 본체(100)의 후면에 광고부(180)를 설치하여, 다양한 정보를 음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main body 100 may further include an advertisement unit 180 (see FIG. 2B) for exposing image information on various advertisements and events to a user.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new type of beverage injecting apparatus by marketing it so that the drink can be seen by the user. In this case, since the operation unit 150 is installed to be opposite to the user direction (user direction) The advertisement unit 180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to the users.

이밖에 음료 주입 완료 신호 등을 알려주는 알람부(미도시)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And an alarm unit (not shown) for notifying a drink completion signal or the like.

그리고 본체(100)에 내장된 음료 공급 수단(130)은 생맥주 등의 저장된 음료를 음료 노즐(120)을 통해 분사, 주입할 수 있는 것으로, 도 3과 같이, 음료가 저장된 별도의 저장통(미도시)과 음료 노즐(120)을 연결하는 각종 파이프 및/또는 호스 등으로 형성되는 유로와, 상기 유로를 개폐시켜 음료의 주입을 제어하는 개폐수단(미도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beverage supply means 130 incorporated in the main body 100 is capable of injecting and storing a stored beverage such as draft beer through the beverage nozzle 120. As shown in Figure 3,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injection of the beverage by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and the like.

뿐만 아니라,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음료 공급 수단(130)으로써, 음료 저장통 자체가 본체(100) 내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구조 또한 가능하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structure in which the beverage reservoir itself is integrally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0 is also possible as the beverage supply means 130.

즉, 음료 공급 수단(130)의 본질은 음료가 노즐(120)을 통해 분사, 배출될 수 있는 구성이면 족하고, 이러한 음료 공급 수단(130)은 일반 음료 주입 장치 등에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의 핵심만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at is, the essence of the beverage supply means 130 may be such that the beverage can be inject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nozzle 120, and such a beverage supply means 130 is variously known in general beverage injection devices,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in order to effectively explain only the essence of the invention.

한편 상기 본체(100)는 내부판(170)에 의하여 내부 공간의 상, 하부가 서로 구획화되고, 이렇게 구획화된 상부 공간상에 안착부(110)가 구비되어, 안착부(110)와 하부 공간이 서로 격리됨으로써, 상부 공간이 음료 배출 공간(171)으로 기능하도록 한다.Meanwhile, the main body 100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inner space by the inner plate 170, and the seating part 110 is provided on the divided upper space, so that the seating part 110 and the lower space So that the upper space functions as the beverage discharge space 171. [

즉, 음료 주입 중, 음료가 음료 용기에서 넘치거나, 홀더(20)의 주입구(13) 폐쇄 전에 음료의 일부가 누설될 수 있는데, 본 고안은 음료 배출 공간(171)으로 누설된 음료가 모이도록 함으로써, 음료가 본체(100) 내부로 침투하여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during beverage injection, the beverage may overflow in the beverage container, or a part of the beverage may leak before closing the inlet 13 of the holder 20. In this embodiment, the beverage is collected in the beverage discharge space 17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everage from penetrating into the main body 100 and causing a trouble.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본체(100)는 상기 음료 배출 공간(171)에 남은 음료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main body 100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path for discharging the remaining beverage to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본체(100)는 상기 음료 배출 공간(171) 상부에 상판(140)이 결합되며, 상판(140)에는 다수의 낙하공(141)이 천공되어 음료 용기에서 넘친 음료가 음료 배출 공간(171)으로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본체(100) 외부에 음료가 넘쳐서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한다.In the main body 100, an upper plate 140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discharge space 171, and a plurality of drop holes 141 are formed in the upper plate 140 so that the beverage overflowed from the beverage container flows into the beverage discharge space 171 Thereby preventing the beverage from overflowing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damaging the aesthetic appearance.

그리고 상기 상판(140)에는 음료 배출 공간(171)상에 설치되는 안착부(110)와 연결된 장착구(142)가 구비되어 있으며, 장착구(142)를 통해 노출된 안착부(110)에 음료 용기가 안착된다.The top plate 14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hole 142 connected to the mounting portion 110 installed on the beverage discharging space 171. The mounting portion 142 exposed through the mounting hole 142 is provided with a beverage The container is seated.

상기 장착구(142) 둘레에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제작된 밀착부재(143)가 결합되어, 안착부(110)에 안착되는 음료 용기의 파손을 방지하고, 음료 주입 중 음료 용기가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A contact member 143 made of soft synthetic resin or the like is coupled around the mounting hole 142 to prevent breakage of the beverage container that is seated in the seating portion 110 and to prevent the beverage container from being stably fixed , To be supported.

이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도 3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은 도 2a 참고.), 상기 안착부(110)는 음료 노즐(120)이 상향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안착판(111) 및 상기 안착판(111) 둘레를 따라 입설된 고정벽체(112)로 구성된다.3, the seating part 110 includes a seating plate 111 coupled to the beverage nozzle 120 so as to protrude upward, and a seating plate 111 coupled to the seating plate 111, And a fixed wall 112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wall 111.

상기 고정벽체(112)는 상기 음료 배출 공간(171)의 상하 높이에 맞게 형성되며, 장착구(142)를 통해 음료 용기가 안착되면, 고정벽체(112)가 음료 용기의 바닥 외벽을 고정시킨다.The fixed wall 112 is formed to match the vertical height of the beverage discharge space 171.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seated through the mounting hole 142, the fixed wall 112 fixes the bottom wall of the beverage container.

또 상기 고정벽체(112)는 안착판(111)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분리된 분체들로 구성되어 안착판(111)에 개별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분체들마다 안착판(111)의 직경 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구조 등을 채택하여, 분체들 간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하나의 안착부(110)에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음료 용기를 교체 사용할 수 있는 형태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fixed wall body 112 may be separately connected to the seating plate 111 by being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wder piec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ating plate 111. In this case, The beverage container having different diameters can be used in one seating part 110 by adjusting the spacing between the powder particles by adopting a structure that is slidingly coupl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eating plate 111 every time Do.

그리고 상기 고정벽체(112)는 내측면에서 돌출된 고정돌기(113a)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탄성편(113)이 구비된다.The fixed wall body 112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resilient piece 113 having a fixing protrusion 113a protruding from the inner side thereof.

상기 탄성편(113)은 고정벽에에 대하여 내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것으로, 안착부(110)에 음료 용기가 안착될 때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고정돌기(113a)가 음료 용기의 외벽을 가압하여, 음료 용기를 고정시킨다.The elastic piece 113 is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in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xing wall.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seated on the seating part 110, the fixing protrusion 113a presses the outer wall of the beverage container by the elastic force, Fix the beverage container.

또한 상기 고정벽체(112)와 상기 안착판(111) 사이에는 음료 배출 공간(171)과 연통된 배출홀(112a)이 형성되어, 음료 주입 중 누설되는 음료가 있을 경우, 상기 배출홀(112a)을 통해 음료 배출 공간(171)으로 흘러서 안착부(110) 상에 잔류 음료가 남지 않도록 할 수 있다.A discharge hole 112a communicating with the beverage discharge space 171 is formed between the fixed wall 112 and the seating plate 111. When there is a beverage leaked during beverage injection, To the beverage discharge space 171, so that the residual beverage is not left on the seating part 110.

나아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안착부(110)의 일측에 음료 용기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광센서(114)가 구비되어 있다.Further, as shown in FIG. 3,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sensor 114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beverage container is seated on one side of the seating unit 110.

상기 광센서(114)는 광센서(114)가 안착부(110) 상에 음료 용기가 안착되어 있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에만, 음료가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The light sensor 114 may allow the beverage to be injected only when the light sensor 114 senses that the beverage container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110.

이러한 광센서(114)를 통한 음료의 주입 및/또는 주입 차단 제어는 후술하는 광센서(114)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구현된다.The beverage injection and / or injection blocking control through the optical sensor 114 is implemented through a control unit (not shown)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optical sensor 114 described below.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추가적으로 안착부(110) 상에 리미트센서가 구비되어, 음료 용기의 안착 여부를 2중으로 감지할 수 있다.Furthe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limit sensor is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seating part 110 to double detect whether the beverage container is seated.

이 경우, 광센서(114)와 리미트 센서의 감지가 동시에 충족되는 경우에만 음료의 주입 및/또는 주입 차단이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센서의 오작동에 의하여 음료가 분사되는 것을 방지한다.In this case, the beverage injection and / or injection blocking is controlled only when the photosensor 114 and the limit sensor are detected at the same time, thereby preventing the beverage from being sprayed by the malfunction of the sensor.

다음으로 상기 안착부(110) 중앙(음료 용기의 구조에 따라 중앙이 아닐 수도 있음.)에 설치된 음료 노즐(120)은 상기 음료 공급 수단(130)과 연결된 것으로, 상기 안착부(110)에서(보다 엄밀하게는 상기 안착판(111)에서) 상향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된다.Next, the beverage nozzle 120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seating part 110 (which may not be the center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beverage container) is connected to the beverage feeding device 130, (More precisely, in the seating plate 111).

상기 음료 노즐(120)은 음료 용기가 안착부(110)에 안착될 때 노즐(120)의 상부면이 음료 용기의 홀더(20)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주입구(13)를 개방시키고, 이 상태에서 음료 공급 수단(130)으로부터 음료가 분사공(121)을 통해 분사되어 음료 용기의 수용부(10A)에 음료가 채워지도록 한다.The upper surface of the nozzle 120 presses the holder 20 of the beverage container upward to open the inlet 13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seated in the seating part 110, The beverage is injected from the beverage supply means 130 through the injection hole 121 so that the beverage is fill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0A of the beverage container.

상기 음료 노즐(120)에는 하나 이상의 음료 분사공(121)이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음료 분사공(121)은 음료 노즐(120)의 상부면이 아닌, 외주면에서 측방향으로 개구된 형태로 구비된다.The beverage nozzle 12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beverage dispensing hole 121. The beverage dispensing hole 121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is laterally opene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everage nozzle 120 do.

이는 음료 분사공(121)이 음료 노즐(120)의 상부면에 형성될 경우, 음료가 분사되면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하여 홀더(20)가 상측으로 가압되면서 주입구(13)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beverage spray hole 12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verage nozzle 120, the holder 2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or separated from the injection hole 13 while being pressed upward by the pressure generated by spraying the beverage. .

또한 상기 음료 노즐(120)의 상부면과, 상기 음료 분사공(121) 하측의 외주면에는 각각 삽입홈이 구비되어 삽입홈마다 오링(미도시)이 끼워된다.Further, an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verage nozzle 120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side of the beverage injection hole 121, respectively, and an O-ring (not shown) is inserted into each insertion groove.

음료 노즐(120)의 제1 삽입홈(미지칭)에 결합되는 제1 오링(122; 도 1c 참고.)은 홀더(20)의 상부벽체(21) 저면과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해소함과 동시에 홀더(20)와 음료 노즐(120)이 접하는 사이로 음료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first O-ring 122 (refer to FIG. 1C) coupled 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not shown) of the beverage nozzle 120 relieves the impact caused by th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wall 21 of the holder 20, And prevents the beverage from flowing into the space between the beverage nozzle (20) and the beverage nozzle (120).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음료 노즐(120)의 음료 분사공(121) 하측 외주면을 따라 제2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삽입홈에 제2 오링(32)이 결합되어, 홀더(20)와 음료 노즐(120) 사이의 수밀성을 보장하여, 분사되는 음료가 주입구(13) 하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a second insertion groove (not shown) is formed along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verage spray hole 121 of the beverage nozzle 120, and a second O-ring 32 is coupled 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 Watertightness between the holder 20 and the beverage nozzle 120 can be ensured and leakage of the beverage spray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jection port 13 can be prevented.

이때 도 5에 도시된 본 고안의 출원인이 출원한 출원번호 제10-2014-0145312호(2014.10.24.)와 같은 음료 용기의 경우, 도 1a 내지 도 1 c와 다른 형태의 용기로써,
락킹부재(28)와 탄성암(29)과 다른 방식, 즉 용기의 주입구(13)에서 승하강하도록 결합된 홀더(20)의 내주면에 삽입홈(25)이 형성되어, 홀더(20)의 상승에 의해 주입구(13)가 개방되어 음료가 바닥에서 주입되는 음료 용기이다.
이를 위한 음료 주입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용기를 주입 노즐(120)에 하측으로 끼우면, 주입 노즐(120)이 홀더(20)를 상승시켜 주입구가 개방되면서, 상기 주입 노즐(120)의 제2 오링(32)이 홀더(20)의 삽입홈(25)에 삽입되고,
In this case, in the case of a beverage container such as the application No. 10-2014-0145312 (Apr. 24, 2014)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An insertion groove 25 is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er 20 coupled with the locking member 28 and the elastic arm 29 so as to move upward and downward in the injection port 13 of the container, And the beverage is injected from the bottom.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injection nozzle 120, the injection nozzle 120 moves up the holder 20 to open the injection port, The O-ring 3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5 of the holder 20,

음료 용기를 주입 노즐(120)에서 상측으로 빼내면, 홀더(20)의 삽입홈(25)에 삽입된 상기 주입 노즐(120)의 제2 오링(32)이, 홀더(20)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홀더(20)가 하강하면서 주입구(13)의 밀폐가 이루어진 후, 주입 노즐(120)에 구비된 제2 오링(32)이 삽입홈(25)에서 이탈하여 주입 노즐(120)에서 음료 용기가 분리된다..The second O-ring 32 of the injection nozzle 12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5 of the holder 20 presses the holder 20 downward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pulled upward from the injection nozzle 120, The second O-ring 32 provided in the injection nozzle 120 is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groove 25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r can be separated from the injection nozzle 120 Separated ..

본 고안의 음료 분사 장치는 상기 제2 오링(32)이 신축 가능한 일종의 텐션 링으로 기능하게 된다.The beverage spra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unctions as a kind of tension ring in which the second O-ring 32 can expand and contract.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5에 도시된 음료 용기에서 제2 오링(32)에 의한 홀더(20)의 하강 밀폐 후 이탈을 위한 텐션 링으로서의 기능을 위하여, 삽입홈(25)에서 제2 오링(32)의 직경이 좁아졌다 다시 복귀하게 신축될 수 있도록, 제2 오링(32)의 일부가 단절된 형태의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n the beverage container shown in Fig. 5, in order to function as a tension ring for releasing and releasing the holder 20 by the second O-ring 32, A part of the second O-ring 32 may be provided in a ring shape of a disconnected shape so that the diameter of the O-ring 32 becomes narrow and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again.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고안은 상기 음료 노즐(120)의 음료 주입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everage injection of the beverage nozzle 120.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150)의 조작 모드/선택에 따라 음료의 주입 및 중단, 음료 주입량, 음료가 주입되는 노즐(120)의 선택 등을 제어하는 것으로,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injection and stop of the beverage, the amount of the beverage, and the selection of the nozzle 120 into which the beverage is injec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 selection of the operation unit 150,

특히, 상기 광센서(114)와 연동하여, 음료 용기가 안착부(110) 상에 안착되어 있는 경우에만 음료 주입이 실시되도록 제어한다.Particularly, in conjunction with the optical sensor 114, the beverage injection is controlled to be performed only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110.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114)가 상기 음료 용기의 안착을 감지한 후 소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음료 주입이 시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beverage injection to be automatically start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optical sensor 114 detects the seating of the beverage container.

즉, 사용자가 조작부(150)를 통해 음료 주입량 등을 미리 설정하고, 자동 주입 모드로 선택을 하게 되면, 제어부는 수동 주입 버튼의 조작 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광센서(114)를 통해 안착부(110)에 음료 용기가 감지되는 경우, 감지 상태가 소정 시간(예를 들어 0.5~1초)동안 유지될 때 설정된 주입량만큼 음료가 자동으로 주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user sets the beverage injection amount or the like in advance through the operation unit 150 and selects the automatic injection mod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lacement unit 110 ),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sensed, the beverage can be automatically injected by a predetermined injection amount when the sensed stat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0.5 to 1 second).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음료 주입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varia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And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음료 용기의 몸체 13 : 주입구
20 : 홀더 28 : 락킹부재
29 : 탄성암
100 : 본체 110 : 안착부
111 : 안착판 112 : 고정벽체
112a : 분사공 113 : 탄성편
113a : 고정돌기 114 : 센서
120 : 음료 노즐 121 : 분사공
122 : 오링 130 : 음료 공급 수단
140 : 상판 141 : 낙하공
142 : 장착구 143 : 밀착부재
150 : 조작부 160 : 디스플레이부
170 : 내부판 171 : 음료 배출 공간
10: Body of beverage container 13:
20: holder 28: locking member
29: elastic arm
100: main body 110:
111: seating plate 112: fixed wall
112a: jet hole 113: elastic piece
113a: Fixing projection 114: Sensor
120: Drinking nozzle 121:
122: O-ring 130: Beverage supply means
140: top plate 141: falling ball
142: mounting hole 143: tight contact member
150: Operation section 160:
170: Inner plate 171: Drinking space

Claims (4)

수용부(10A) 바닥에 구비된 주입구(13)를 갖는 몸체(10)와, 상기 주입구(13)에서 승하강하도록 결합되어 주입구(13)를 개폐하며 내주면에 삽입홈(25)이 형성된 홀더(20)로 구성되어, 음료가 바닥에서 주입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음료 주입 장치에 있어서,
음료 공급 수단(130)이 내장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음료 용기가 안착되는 안착부(110); 및
상기 음료 공급 수단(130)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부(110)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기 음료 용기의 주입구(13)에 삽입되어, 상기 홀더(20)가 상승되면서 주입구(13)의 개방이 이루어져, 수용부(10A)에 음료를 주입하는 음료 노즐(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안착부(110)는 상기 음료 노즐(120)이 결합되는 안착판(111)과, 상기 안착판(111) 둘레를 따라 입설된 고정벽체(112)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벽체(112)는, 내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며 내측면에서 돌출된 고정돌기(113a)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탄성편(113)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안착부(110)에 음료 용기가 안착될 때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고정돌기(113a)가 음료 용기의 외벽을 가압하여, 음료 용기가 고정되고,
상기 음료 노즐(120)은 측방향으로 개구된 분사공(121)의 하측 외주면에 결합된 오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오링은, 상기 삽입홈(25)에서 신축 가능하게, 오링의 일부가 단절된 형태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음료 용기를 상기 주입 노즐(120)에 하측으로 끼우면, 주입 노즐(120)이 홀더(20)를 상승시켜 주입구가 개방되면서, 상기 주입 노즐(120)의 오링(32)이, 상기 홀더(20)의 삽입홈(25)에 삽입되고,
음료 용기를 주입 노즐(120)에서 상측으로 빼내면, 상기 홀더(20)의 삽입홈(25)에 삽입된 상기 주입 노즐(120)의 제2 오링(32)이, 홀더(20)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홀더(20)가 하강하면서 주입구(13)의 밀폐가 이루어진 후, 주입 노즐(120)에 구비된 제2 오링(32)이 삽입홈(25)에서 이탈하여, 주입 노즐(120)에서 음료 용기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주입 장치.
A body 10 having an inlet 13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0A and a holder 10 coupled to the inlet 13 so as to move upward and downward to open and close the inlet 13 and having an insertion groove 25 formed therein, 20. A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for beverage containers, comprising:
A main body 100 having a beverage supply means 130 built therein;
A seating part 110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o seat the beverage container; And
And is inserted into the injection port 13 of the beverage container so that the opening of the injection port 13 is made while the holder 20 is lifted up And a beverage nozzle 120 for injecting a beverage into the accommodating portion 10A,
The seating part 110 is composed of a seating plate 111 to which the beverage nozzle 120 is coupled and a fixed wall body 112 that is installed along the seating plate 111,
The fixed wall body 112 includes at least one resilient piece 113 which is resiliently supported in an inward direction and has a fixing protrusion 113a projecting from the inner side,
The fixing protrusion 113a presses the outer wall of the beverage container by the elastic force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seated in the seating portion 110,
The beverage nozzle 120 includes an O-ring coupled to a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spray hole 121 that is opened in a lateral direction, and the O-ring is configured such that a part of the O- Shaped ring shape,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inserted downward into the injection nozzle 120, the injection nozzle 120 raises the holder 20 to open the injection port, and the O-ring 32 of the injection nozzle 120 is inserted into the holder 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5)
The second O-ring 32 of the injection nozzle 12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5 of the holder 20 is moved downward from the injection nozzle 120 The second O-ring 32 provided in the injection nozzle 120 is released from the insertion groove 25 so that the injection nozzle 120 can dispense the beverage And the container is separa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110) 일측에는 상기 음료 용기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광센서(114)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110) 상에 리미트 센서가 구비되어,
음료 용기의 안착 여부를 2중으로 감지하며,
상기 광센서(114)와 상기 리미트 센서의 감지가 동시에 충족되는 경우에만 음료의 주입 또는 음료의 주입 차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주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light sensor (114) for sensing whether the beverage container is seated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ating part (110)
A limit sensor is provided on the seat portion 110,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beverage container is doubled,
Wherein the injection of the beverage or the interruption of the injection of the beverage is controlled only when the detection of the optical sensor (114) and the limit sensor is satisfied at the same tim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114)가 상기 음료 용기의 안착을 감지한 후 소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음료 주입이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주입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everage injection is automatically start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optical sensor (114) senses the seating of the beverage container.
삭제delete
KR2020140008794U 2014-12-01 2014-12-01 Injection apparatus for beverage Expired - Lifetime KR20048276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794U KR200482767Y1 (en) 2014-12-01 2014-12-01 Injection apparatus for bever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794U KR200482767Y1 (en) 2014-12-01 2014-12-01 Injection apparatus for bever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967U KR20160001967U (en) 2016-06-09
KR200482767Y1 true KR200482767Y1 (en) 2017-03-07

Family

ID=56135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794U Expired - Lifetime KR200482767Y1 (en) 2014-12-01 2014-12-01 Injection apparatus for bever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767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1876A (en) 2018-09-17 2020-03-25 엔피씨(주) Nozzles for beverage injection apparatus
KR20200119625A (en) 2019-04-10 2020-10-20 엔피씨(주) Nozzles for beverage injection apparatus
KR20210006112A (en) 2019-07-08 2021-01-18 엔피씨(주) Beverage injection dispans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435B1 (en) * 2020-02-18 2022-02-11 엔피씨(주) Container and Modified Atmosphere For Container
KR20220087808A (en) * 2020-12-18 2022-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0277A (en) 2008-05-20 2014-03-06 Grinon Industries Fluid transfer assembly and methods of fluid transf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3911A (en) * 2006-05-26 2007-11-29 안현중 Watering machine
KR101362598B1 (en) * 2012-05-09 2014-02-12 정인 Drink supply system that equip cover on drink vessel bottoms
KR101487078B1 (en) * 2013-03-22 2015-01-28 주식회사 더팬 코리아 Fluid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s of Fluid Transf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0277A (en) 2008-05-20 2014-03-06 Grinon Industries Fluid transfer assembly and methods of fluid transf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1876A (en) 2018-09-17 2020-03-25 엔피씨(주) Nozzles for beverage injection apparatus
KR20200119625A (en) 2019-04-10 2020-10-20 엔피씨(주) Nozzles for beverage injection apparatus
KR20210006112A (en) 2019-07-08 2021-01-18 엔피씨(주) Beverage injection dispans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967U (en)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2767Y1 (en) Injection apparatus for beverage
EP3168170A1 (en) Beverage container for injecting beverage through bottom thereof
US9474405B2 (en) Cartridge with crema generating septum and method using same
KR101498251B1 (en) Bottle for beverage
KR101333154B1 (en) Draft beer dispensing system
EP3633020B1 (en) Beverage manufacturing machine
KR101330206B1 (en) Espresso coffee machine
WO2012056017A1 (en) Dispensing appliance provided with means for positionning a container
US10221956B2 (en) Filter assembly for a beverage dispenser
KR102372940B1 (en) Integral keg connector
JP3242700U (en) Water guide cup for hand drip and hand drip device assembly
KR101998023B1 (en) Beverage Dispenser
KR20150078207A (en) Updraft Type Beverage Cup And Device For Drafting Beverage Using The Same
KR101656422B1 (en) Bottle for beverage
KR102457236B1 (en) Beverage maker
KR20160005477A (en) A beverage supplying device
KR20200000346U (en) A beverage pressure vessel with improved usability
KR101331508B1 (en) Alcohol and carbonated drink bottles cap
WO2021243844A1 (en) Hot beverage machine
KR102128726B1 (en) Nozzles for beverage injection apparatus
KR200493799Y1 (en) Distributing Device of liquor
KR102200598B1 (en) Beverage maker
JP4837379B2 (en) Liquid filling device
HK1219935B (en) Beverage container for injecting beverage through bottom thereof
KR20200007187A (en) Baverage extra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4120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20150408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50924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2D

Patent event date: 20160325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6092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2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7022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5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