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742Y1 - Block for Retaining Wall - Google Patents
Block for Retaining Wal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2742Y1 KR200482742Y1 KR2020150004211U KR20150004211U KR200482742Y1 KR 200482742 Y1 KR200482742 Y1 KR 200482742Y1 KR 2020150004211 U KR2020150004211 U KR 2020150004211U KR 20150004211 U KR20150004211 U KR 20150004211U KR 200482742 Y1 KR200482742 Y1 KR 20048274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retaining wall
- coupled
- hole
- pres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옹벽용 블록은 상하로 연통하는 통공을 갖는 몸체; 몸체의 상측 단부를 따라 형성되는 함몰 단턱부; 몸체의 하측 단부를 따라 형성되고, 함몰 단턱부의 일부를 내장할 수 있는 절결부를 갖는 돌출 단턱부를 갖는다.The retaining wall block includes a body having a through-hole communicating vertically; A depressed step formed along the upper end of the body; And a protruding step portion formed along the lower end of the body and having a cutout portion capable of embedding a part of the depressed step portion.
Description
본 고안은 절개지 또는 성토지 등에 축조되어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는 옹벽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옹벽의 견고성을 높일 수 있는 옹벽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constructed to prevent disintegration of gravel by being built in a cutter or a gravel land,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taining wall capable of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retaining wall.
옹벽은 토사가 변형 또는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개지, 성토지, 도로의 비탈면, 제방, 하안, 아파트 단지의 조경 벽면 등에 축조된다. 옹벽은 보통 석재, 콘크리트 등으로 만든 블록을 적층하여 구성한다.The retaining walls are constructed on cut-outs, gross lands, road slopes, banks, underpasses, and landscaping walls of apartment complexes to prevent deformation or collapse of gravel. Th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by laminating blocks made of ordinary stone, concrete or the like.
실용신안등록 제386423호는 자연형 식생 블록을 제시하고 있는데, 블록의 양측에 블록 끼움용 주름편을 형성하여 블록에 각도를 부여함으로써, 옹벽을 경사지게 축조할 수 있다.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86423 proposes a natural vegetation block. By forming a corrugated piece for block-fitting on both sides of the block and giving an angle to the block, the retaining wall can be inclined.
실용신안등록 제448904호도 옹벽용 블록을 제시하고 있는데, 블록의 상부에 경사 걸림면과 수직 걸림면으로 이루어진 돌기를 형성하고, 블록의 하부에 돌기의 경사 걸림면 또는 수직 걸림면을 수용하며 경사 걸림면의 경사각으로 블록의 결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폐쇄홈을 형성하고 있다.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448904 also proposes a retaining wall block, in which a projection having an inclined retaining surface and a vertical retaining surface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lock, and a sloped or vertical retaining surface of the projection is received in a lower portion of the block, Thereby forming a closed groov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of engagement of the block with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urface.
종래의 옹벽 블록은 곡면 옹벽을 쉽게 축조할 수 있고, 블록을 촘촘하게 배열시킬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상하층 블록 사이 또는 좌우측 블록 사이가 벌어질 수 있어, 옹벽의 견고성이 약해질 수 있다.The conventional retaining wall block can easily construct the curved retaining wall and can arrange the blocks in a tight arrangement, but the gap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loor blocks or between the left and right blocks can be widened, so that the rigidity of the retaining wall can be weakened.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첫째, 좌우 블록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고,First, the shaking of the left and right blocks can be minimized,
둘째, 상하 블록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으며,Second, the bonding force of the upper and lower blocks can be increased,
셋째, 옹벽의 측방 지지력을 높일 수 있는, 옹벽용 블록을 제공하고자 한다.Third, it is intended to provide a retaining wall block capable of increasing the lateral supporting force of the retaining wall.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옹벽용 블록은 몸체, 함몰 단턱부, 돌출 단턱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retaining wall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body, a recessed step, a protruding step, and the like.
몸체는 대략 육면체로 구성할 수 있고, 내부에는 상하로 연통하는 통공을 가질 수 있다.The body may have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and may have a through-hole communicating vertically therein.
함몰 단턱부는 몸체의 상측 단부를 따라 형성되는데, 함몰 단턱부는 통공이 형성된 내측과 몸체의 하측의 방향으로 함몰된다.The recessed step portion is formed along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body, and the recessed step portion is recessed toward the inner side where the through hole is formed and the lower side direction of the body.
돌출 단턱부는 몸체의 하측 단부를 따라 형성되는데, 돌출 단턱부는 몸체의 하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고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성할 수 있다. 돌출 단턱부는 절결부를 구비할 수 있는데, 절결부는 돌출 단턱부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에 폭 방향으로 절결되게 형성할 수 있다.The projecting step portion is formed along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body. The projecting step portion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bod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protrude downward. The protruding step may have a notch, and the notch may be formed to be cut out in the width direction substantially at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ruding step.
본 고안의 옹벽용 블록에서, 몸체는 측벽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옹벽용 블록은 내측 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내측 걸림부는 몸체의 측벽 내면에 결합할 수 있다.In the retaining wall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may have at least one through hole in its side wall. The retaining wall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ner engaging portion, wherein the inner engaging portion can engage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body.
본 고안의 옹벽용 블록은 외측 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측 걸림부는 몸체의 측벽 외면에 결합할 수 있다.The retaining wall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engaging portion. The outer engaging portion can engage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body.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옹벽용 블록에 의하면, 상측의 함몰 단턱부와 하측의 돌출 단턱부가 삽입하는 형태로 결합하므로 상하/좌우 블록이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고, 그 결과 블록 사이가 벌어지거나 블록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taining wall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upper and lower protruding step portions and the protruding step portion on the lower side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upper / lower / left and right blocks can be firmly coupled. As a resul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haken.
본 고안의 옹벽용 블록에 의하면, 관통홀에 끈이나 철사를 삽입하고, 끈이나 철사의 다른 쪽을 내측 걸림부에 걸어 고정하므로, 상하 블록의 결합력을 크게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taining wall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rd or a wire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the other of the cord and the wire is fastened to the inner fastening portion, so that the binding force of the upper and lower blocks can be greatly increased.
또한, 본 고안의 옹벽용 블록에 의하면, 끈이나 철사의 한쪽을 외측 걸림부에 걸고 다른 쪽을 토사에 매몰된 고정대에 결합할 수 있으므로, 옹벽의 측방 지탱력을 크게 높일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retaining wall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e side of the string or wire can be hooked to the outer side engaging portion and the other side can be coupled to the fixed base buried in the gravel, the retaining force of the retaining wall can be greatly increas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옹벽용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옹벽용 블록을 적용한 제1 실시예 옹벽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옹벽용 블록을 적용한 제2 실시예 옹벽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옹벽용 블록을 적용한 제3 실시예 옹벽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of a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of a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옹벽용 블록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옹벽용 블록은 몸체(10), 함몰 단턱부(20), 돌출 단턱부(30), 관통홀(40), 내측 걸림부(50), 외측 걸림부(60)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1, the retaining wall block includes a
몸체(10)는 대략 육면체의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몸체(10)는 내부를 상하로 관통되게 구성하여, 도 1과 같이 그 내부에 통공(H)을 가질 수 있다. 몸체(10)는 거푸집 속에 철근으로 뼈대를 만들고, 거푸집 속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함몰 단턱부(20)는 몸체(10)의 상측 단부를 따라 형성할 수 있다. 함몰 단턱부(20)는 통공(H)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고, 몸체(10)의 하측 방향으로 함몰되는, 예를들어 'ㄴ'자의 계단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The
돌출 단턱부(30)는 몸체(10)의 하측 단부를 따라 형성할 수 있다. 돌출 단턱부(30)는 통공(H)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고, 하측 단부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하며, 함몰 단턱부(20)에 대응하면서 그 속에 내장되는 형상, 예를들어 'ㄷ'자의 돌출바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돌출 단턱부(30)는 하부에 결합하는 하층 블록의 함몰 단턱부(20)에 삽입되는 형태로 하층 블록의 상부와 결합할 수 있다.The protruding
돌출 단턱부(30)는 절결부(35)를 가질 수 있다. 절결부(350는 길이가 긴 방향의 대략 중앙 부근에 폭 방향으로 절결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절결부(35)는 하부에 결합하는 하층 블록의 단부 돌출부를 2개 내장할 수 있는 정도의 폭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단부 돌출부는 함몰 단턱부(20)를 형성함으로써 몸체(10)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이다.The protruding
관통홀(40)은 몸체(10)의 측벽에 형성할 수 있다. 관통홀(40)은 몸체(10)의 측벽 어느 곳에 형성해도 무방하나, 길이 방향으로 블록을 결합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길이가 짧은 측벽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관통홀(40)은 하나 이상을 형성할 수 있다.The through hole (40) can be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body (10). The through
관통홀(40)은 노끈이나 철사를 삽입할 수 있는 정도의 직경으로 형성할 수 있다. 관통홀(40)은 인접 블록의 관통홀(40)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하여, 2개 블록을 측방으로 결합할 때 관통공(40)이 서로 연통되게 할 수 있다.The through hole (40) can be formed to have a diameter enough to insert a wire or wire. The through
내측 걸림부(50)는 몸체(10)의 측벽 내면에 형성할 수 있다. 내측 걸림부(50)는 내면 어느 곳에 형성해도 좋으나, 상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서 길이가 긴 측벽의 내면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내측 걸림부(50)는 한쪽 측벽 또는 대향하는 측벽 모두에 구비할 수 있다. 내측 걸림부(50)는 고리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데, 상측을 개방하는 또는 전체를 폐쇄하는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내측 걸림부(50)는 플라스틱, 철사, 철근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내측 걸림부(50)는 그 높이를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몸체(10)의 중간 높이 이상에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inner
외측 걸림부(60)는 몸체(10)의 측벽 외면에 형성할 수 있다. 외측 걸림부(60)는 외면 어느 곳에 형성해도 좋으나, 옹벽을 쌓을 때 블록을 길이 방향으로 적층하는 것이 보통이므로, 길이가 긴 측벽의 외면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외측 걸림부(60)는 한쪽 측벽의 외면에만 형성할 수 있다. 외측 걸림부(60)는 고리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데, 상측을 개방하는 또는 전체를 폐쇄하는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외측 걸림부(60)는 플라스틱, 철사, 철근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외측 걸림부(60)는 그 높이를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몸체(10)의 중간 높이 이상에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outer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옹벽용 블록을 적용한 제1 실시예 옹벽의 단면도이다.2 is a sectional view of a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층에 블록이 인접하여 결합하고, 하층의 인접 블록의 결합 부분에 상층 블록의 중앙부가 결합할 수 있다. 상측 블록의 돌출 단턱부(30)는 하층 블록의 함몰 단턱부(20)에 삽입된다. 하층 블록이 결합하는 2개의 단부 돌출부는 상층 블록의 돌출 단턱부(30)에 형성된 절결부(35)에 삽입된다. 이러한 결합으로, 상층 블록이 하층 블록에 삽입되면서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blocks may be adjacent to and joined to the lower layer,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upper layer block may be coupled to the joining portion of the adjacent block in the lower layer. The protruding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 옹벽은 결합끈(70)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끈(70)의 일측은 하층 블록의 관통홀(40)에 삽입되어 하층 블록과 결합하고, 결합끈(70)의 타측은 상측 블록의 내측 걸림부(50)에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끈(70)은 하층 블록과 상측 블록의 상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고, 또한 블록이 측방으로 벌어지는 것도 차단할 수 있다. 결합끈(70)은 노끈, 철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retaining wall of the first embodiment may include a joining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옹벽용 블록을 적용한 제2 실시예 옹벽의 단면도이다.3 is a sectional view of a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끈(70)이 짧은 경우, 또는 결합끈(70)의 장력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측 블록의 내측 걸림부(50)와 결합끈(70) 사이에 장력조절 수단을 삽입할 수 있다.3, whe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joining
장력조절 수단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버클(turnbuckle:75)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턴버클(75)은 두 점 사이에 연결되는 조임 기구의 하나로, 좌우에 나사 막대가 있고, 나사부가 공통 너트로 연결되어 있다. 한쪽 수나사는 오른나사이고, 다른쪽 수나사는 왼나사로 되어 있다. 암나사 부분, 즉 너트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2개의 수나사는 서로 접근하고, 너트를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2개의 수나사는 멀어진다.As shown in Fig. 3, a turnbuckle 75 or the like can be used as the tension adjusting means. The turnbuckle (75) is one of the fastening devices connected between two points, with screw rods on the right and left sides, and threaded portions are connected by a common nut. One male screw is the right screw and the other male screw is the left screw. When the female thread portion, that is, the nut is turned in one direction, the two male threads approach each other, and when the nut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the two male threads are distant.
이와 같이, 상측 블록의 내측 걸림부(50)와 결합끈(70) 사이에 턴버클(75)을 결합하면, 상측 블록과 하측 블록의 결합력을 조절할 수 있다. Thus, when the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옹벽용 블록을 적용한 제3 실시예 옹벽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블록을 적층하면, 도 4와 같은 형태로 옹벽을 축조할 수 있다. 이 경우, 함몰 단턱부(20), 돌출 단턱부(30), 절결부(35), 관통홀(40), 내측 걸림부(50), 결합끈(70), 턴버클(75)에 의해, 상측 블록과 하층 블록이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When the blo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laminated, a retaining wall can be constructed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by the recessed
그런데, 옹벽은 토압을 한쪽 방향으로 지탱할 때, 토압을 견디지 못하고 일측 방향으로 붕괴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압에 대한 옹벽의 저항력을 높이는 수단으로, 블록에 외측 걸림부(60)를 더 구비하면서, 외측 걸림부(60)와 결합하는 고정끈(80), 고정대(90) 등도 더 구비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retaining wall supports the earth pressure in one direction, the retaining wall may fail to withstand the earth pressure and may collapse in one direction.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as a means for increasing the resistance of the retaining wall with respect to the earth pressure, there are provided a fixing
외측 걸림부(60)는 도 1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The
고정대(90)는 바, 원통 등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고, 토사 내부에 매몰할 수 있다.The fixing table 9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bar, a cylinder, or the like, and may be buried in the soil.
고정끈(80)은 일측을 고정대(90)에 결합하고 타측을 외측 걸림부(60)에 결합하여, 블록을 고정대(90) 방향으로 지탱하게 할 수 있다.The fixing
도 4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 3과 같이, 외측 걸림부(60)와 고정끈(80) 사이에 턴버클(75)을 삽입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4, the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고안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라면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므로, 그러한 변형이나 수정이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orrections based on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However, sinc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몸체 20: 함몰 단턱부
30: 돌출 단턱부 35: 절결부
40: 관통홀 50: 내측 걸림부
60: 외측 걸림부 70: 결합끈
75: 턴버클 80: 고정끈
90: 고정대10: body 20:
30: protruding end jaw portion 35:
40: through hole 50: inner engaging portion
60: outer latching part 70:
75: turnbuckle 80: fastening strap
90:
Claims (3)
상기 몸체(10)의 상측 단부를 따라 형성되는 함몰 단턱부(20);
상기 몸체(10)의 하측 단부를 따라 형성되고, 하측에 결합하는 옹벽용 블록의 상기 함몰 단턱부(20)에 내장 결합하며, 절결부(35)를 갖는 돌출 단턱부(30);
상기 몸체(10)의 내측벽에 결합하여, 하측에 결합하는 옹벽용 블록의 상기 관통홀(40)에 일측이 결합하는 결합끈(70)의 타측을 결합하여 지지하는 내측 걸림부(50);
상기 몸체(10)의 외측벽에 결합하여, 측방에 이격 고정되는 고정대(90)에 일측이 결합하는 고정끈(80)의 타측을 결합하여 지지하는 외측 걸림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10) having a through hole (H) communicating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nd having a through hole (40) on both sides of the upper side of the side wall;
A recessed step 20 formed along an upper end of the body 10;
A protruding end protruding portion 30 formed along the lower end of the body 10 and internally coupled to the depressed step portion 20 of the retaining wall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and having a cutout portion 35;
An inner engaging portion 50 coupled to an inner side wall of the body 10 to engage and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engaging strap 70 which is engaged with the through hole 40 of the retaining wall 40 coupled to the lower side;
And an outer engaging portion 60 coupled to an outer wall of the body 10 to couple and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strap 80 to which the one side is coupled, , Blocks for retaining wall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4211U KR200482742Y1 (en) | 2015-06-24 | 2015-06-24 | Block for Retaining Wal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4211U KR200482742Y1 (en) | 2015-06-24 | 2015-06-24 | Block for Retaining Wal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0037U KR20170000037U (en) | 2017-01-03 |
KR200482742Y1 true KR200482742Y1 (en) | 2017-02-28 |
Family
ID=57797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4211U Expired - Fee Related KR200482742Y1 (en) | 2015-06-24 | 2015-06-24 | Block for Retaining Wal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2742Y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07751B1 (en) * | 2019-07-22 | 2020-05-07 | 박공영 | Construction Method Using Planting Block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62383A (en) * | 2002-11-13 | 2004-06-10 | Takuo Yukimoto |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for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97078A (en) * | 2004-10-25 | 2004-11-17 | 제일산업 주식회사 | Block for revetment construction |
KR100674504B1 (en) * | 2005-07-13 | 2007-01-29 | 노태길 | brick |
KR20090068865A (en) * | 2007-12-24 | 2009-06-29 | 연제완 | Eco-friendly ecological retaining wall block |
-
2015
- 2015-06-24 KR KR2020150004211U patent/KR200482742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62383A (en) * | 2002-11-13 | 2004-06-10 | Takuo Yukimoto |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for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0037U (en) | 2017-0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31811B1 (en) | Retaining wall panel with decorating panel installing member and method for consturcting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
KR101777216B1 (en) | Synthetic resins block of assembled type | |
US8973322B2 (en) | Masonry units and structures formed therefrom | |
KR101869060B1 (en) | Retaining wall using block | |
KR20150098535A (en) | a prefabricated retaining block and all its adjuncts for assembling the block. | |
KR101598148B1 (en) | Block unit for vertical retaining wall | |
KR200482742Y1 (en) | Block for Retaining Wall | |
KR20180020476A (en) | L-type precast concrete block for reinforcing slope | |
KR20180134445A (en) | Stackable Concrete Block and Formwork for the Same | |
US20140196392A1 (en) | Masonry units and structures formed therefrom | |
KR20220146799A (en) | Variable type retaining wall | |
KR20170013506A (en) | Sleeve for Cable-Tray | |
KR101551906B1 (en) | Retaining wall with preserving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647089B1 (en) | Breast wall block | |
KR101841996B1 (en) | Retaining wall using block | |
KR20220017145A (en) | Concrete retaining wall | |
JP6898626B2 (en) | Precast concrete foundation | |
JP7595934B2 (en) | Blocks | |
KR101680199B1 (en) | plastics breast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20200142308A (en) | Block and retaing wall using the same | |
JPS6042132Y2 (en) | Connection device for aligning concrete blocks | |
KR20110011559U (en) | Supporter for Burying Pipe | |
KR102124342B1 (en) | A gravitationally rusted vegetation panel that can be planted in a prefabricated part of the cut ground | |
KR102146634B1 (en) | Block retaining wall with corner block | |
KR200453240Y1 (en) | Duct Suppor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50624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61020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2D Patent event date: 20170208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2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702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70222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241205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