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82636Y1 - Rrh용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Rrh용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636Y1
KR200482636Y1 KR2020160006629U KR20160006629U KR200482636Y1 KR 200482636 Y1 KR200482636 Y1 KR 200482636Y1 KR 2020160006629 U KR2020160006629 U KR 2020160006629U KR 20160006629 U KR20160006629 U KR 20160006629U KR 200482636 Y1 KR200482636 Y1 KR 2004826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rh
power
voltage
main body
rechargeable batte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6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4043U (ko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태형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형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형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66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636Y1/ko
Publication of KR201600040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0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6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63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RRH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RRH(110) 내에 구비되고, 상용교류전원을 입력받아서 이를 RRH 본체(114)를 동작시키는 DC 전압 및 전류로 변환하여 RRH 본체(114)로 출력하는 AC/DC 파워 모듈(112); 상용교류전원을 입력받아서 충전 배터리(124)의 입력 전압 및 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C/DC 충전기(122); 상기 AC/DC 충전기(122)로부터 출력되는 충전 전류를 입력받아서 충전하고, 상기 AC/DC 파워 모듈(112)에서 상기 RRH 본체(114)로의 DC전원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상기 RRH 본체(114)로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배터리(12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에 의하면 제품의 원가를 현격하게 낮추고 설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RRH용 전원공급장치{A POWER SUPPLY DEVICE FOR Remote Radio Head}
본 고안은 RRH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품의 원가를 현격하게 낮추고 설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RRH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표준인 LTE-A 시스템에서는 데이터 전송률 향상을 위해 기존 표준에서는 지원되지 않았던 CoMP(Coordinated Multi Point) 방식, Multi User-MIMO(MU-MIMO) 방식을 지원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서, CoMP 시스템은 음영 지역에 있는 단말 및 기지국(셀 또는 섹터) 간의 통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2 개 이상의 기지국 혹은 셀이 서로 협력하여 단말과 통신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CoMP 방식은 데이터 공유를 통한 협력적 MIMO 형태의 조인트 프로세싱(CoMP-JP: CoMP-Joint Processing) 및 협력 스케줄링/빔포밍(CoMP-CS: CoMP-Coordinated Scheduling/beamforming)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조인트 프로세싱(CoMP-JP) 방식에서 단말은 CoMP를 수행하는 각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순간적으로 동시에 수신할 수 있으며, 각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한 신호를 결합하여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협력 스케줄링/빔포밍 방식(CoMP-CS)에서 단말은 빔포밍을 통해 데이터를 순간적으로 하나의 기지국을 통해서 수신할 수 있다.
MU-MIMO 기술은 기지국이 각 안테나 자원을 다른 단말에게 할당하는 것으로, 안테나별로 고속 데이터 전송률이 가능한 단말을 선택하여 스케줄링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MU-MIMO 방식은 시스템 처리율(system throughput)을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한편,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기기들의 광범위한 보급으로 무선데이터 양이 급격하게 증가되었고 이로 인해 음성 서비스를 중심으로 최적화되었던 이동통신망을 데이터 서비스를 중심으로 고도화해야 하는 필요가 생겼다.
이와 같은 무선망 재구성 과정에는 기지국(Base Station)의 추가적인 증설이 필요한데 이는 막대한 재원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통신망 고도화에 필요한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데이터 고속의 무선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하나로 고안된 것이 RRH(Remote Radio Head)이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RRH용 전원공급장치의 블록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RRH 전원공급장치는 상용교류전원을 DC전압(현재 실시되고 있는 통신시스템의 RRH의 경우에는 DC 48 V 전압)으로 정류하는 정류기 박스(22)와, 정류기 박스(22)에서 출력되는 48 V의 DC전원으로 충전되어서 정전시에 RRH의 비상전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배터리 박스(24)와, 상기 정류기 박스(22)에서 출력되는 DC전압(상기 예의 DC 48 V)을 RRH 동작전압(현재 현장에서 설치된 RRH의 경우에는 DC 27 V 또는 DC 28 V)으로 변환하여 RRH 본체(12)[즉, RRH 시스템 자체]로 공급하는 DC/DC 컨버터(11)로 구성된다.
상기 정류기 박스(22)와 배터리 박스(24)는 함체(30) 내에 구비되고, DC/DC 컨버터(11)는 RRH(10) 내에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RRH용 전원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종래 기술의 경우 정류기 박스(22)는 배터리 박스(24)의 충전용으로도 사용하고 있어서 용량이 매우 커야 하는바, 즉 대용량의 정류기로 구현할 수밖에 없었고 그 결과 전원공급장치 전체의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둘째, 종래 기술의 경우애 채택되는 정류기 박스(22)는 대용량 정류기이므로 중량이 매우 커서 RRH 설치 작업시 작업자가 무거운 정류기 박스를 들고 설치하는데에 어려움이 있어서 RRH 설치 작업성이 좋지 않았고, 또한 부피가 매우 커서 설치 작업 공간이 넓어야 하는 애로사항이 있었다.
셋째, 배터리 박스(24)는 정류기 박스(22)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았으므로 배터리 박스(24)와 정류기 박스(22)를 하나의 밀폐된 함체(30)에 구비했어야 했고, 이 때문에 배터리 박스(24)에서 발생하는 수소가스가 대용량의 정류기 박스(22)에서 발생하는 아크에 의해서 폭발하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넷째, 배터리 박스(24)의 충전을 위한 정류기 박스(22)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했고, 이 정류기 박스(22)에서 출력되는 DC 전압을 강압하기 위한 DC/DC 컨버터(11)에 의한 2 단의 정류 과정을 거쳐야 했으므로 전체적으로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섯째, 배터리 박스(24)의 충전을 위한 정류기 박스(22)와, 정류기 박스(22)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강압하기 위한 DC/DC 컨버터의 2 단계 변환을 해야 했으므로 전체 시스템의 신뢰성(MTBF)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여섯째, RRH(10)에 일대일로 대응하여서 정류기 박스(22)를 설치해야 했으므로 하나의 배터리 박스(24)로 복수의 RRH 설치가 불가능하였다.
1. 특허문헌 : 공개특허공보 10-2014-0054082(공개일자 : 2014.05.08) 2. 특허문헌 : 공개특허공보 10-2013-0131183(공개일자 : 2013.12.03)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RRH용 전원공급장치의 목적은,
첫째, 종래의 RRH의 전원공급장치에서 채용하던 정류기 박스를 채택하지 않고, 종래의 DC/DC 컨버터가 있던 자리에 AC/DC 파워 모듈을 구비하고 충전 배터리의 충전을 저가의 AC/DC 충전기에 의해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값비싼 정류기 박스를 채택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원공급장치의 전체적인 가격을 현격하게 낮출 수 있도록 하고,
둘째, 종래의 무거운 정류기 박스를 설치하지 않으면서 매우 가볍고 작은 사이즈의 충전기와 AC/DC 파워 모듈을 설치하므로 되므로, 전체적인 전원공급장치의 설치를 쉽고 간편하며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설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설치 점유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며,
셋째, 배터리를 설치되는 배터리 함체에는 종래와 같이 정류기 박스와 같이 내장할 필요가 없어지고 단지 소형 DC 충전기만을 구비하면 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함체의 폭발 우려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며,
넷째, 종래의 RRH의 전원공급장치에서 채용하던 정류기 박스와 DC/DC 컨버트를 채택하지 않고, AC/DC 파워 모듈의 하나의 구성만으로 RRH에 DC 동작 전압과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며,
다섯째, 종래와 같이 배터리 박스의 충전을 위한 정류기 박스와 정류기 박스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강압하기 위한 DC/DC 컨버터의 2 단계 변환을 할 필요가 없이 하나의 AC/DC 파워 모듈만으로 DC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전원공급장치를 간명화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신뢰성(MTBF)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여섯째, 충전 배터리의 용량을 가변함으로써 하나의 충전 배터리에 다수의 RRH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RRH용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RRH용 전원공급장치는, RRH 내에 구비되고, 상용교류전원을 입력받아서 이를 RRH 본체를 동작시키는 DC 전압 및 전류로 변환하여 RRH 본체로 출력하는 AC/DC 파워 모듈; 상용교류전원을 입력받아서 충전 배터리의 입력 전압 및 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C/DC 충전기; 상기 AC/DC 충전기로부터 출력되는 충전 전류를 입력받아서 충전하고 상기 AC/DC 파워 모듈에서 상기 RRH 본체로의 DC전원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상기 RRH 본체로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RRH용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충전 배터리와 RRH 본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충전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입력전압을 강압하거나 또는 승압하여서 RRH 본체로 출력하는 DC/DC 컨버터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RRH용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충전 배터리의 출력단에 구비되어서 상기 충전 배터리로부터 RRH 본체로 출력되는 충전전원을 단속하는 제1 스위치와,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단에 구비되어서 DC/DC 컨버터로부터 RRH 본체로 출력되는 충전전원을 단속하는 제2 스위치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RRH용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AC/DC 충전기와 DC/DC 컨버터는 상기 충전 배터리를 보관하고 있는 배터리 함체에 함께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인 RRH용 전원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종래의 RRH의 전원공급장치에서 채용하던 정류기 박스를 채택하지 않고, 종래의 DC/DC 컨버터가 있던 자리에 AC/DC 파워 모듈을 구비하고 충전 배터리의 충전을 저가의 AC/DC 충전기에 의해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값비싼 정류기 박스를 채택하지 않아도 되고 그 결과 전원공급장치의 전체적인 가격을 현격하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종래의 무거운 정류기 박스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매우 가볍고 작은 사이즈의 충전기(DC 충전기 자체는 정류기 박스에 비하여 매우 작고 가벼움)와 AC/DC 파워 모듈을 설치하면 되므로, 전체적인 전원공급장치의 설치를 쉽고 간편하며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설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설치 점유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배터리를 설치되는 배터리 함체에는 종래와 같이 정류기 박스와 같이 내장할 필요가 없어지고 단지 소형 DC 충전기만을 구비하면 되므로, 배터리 함체의 폭발 우려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종래의 RRH의 전원공급장치에서 채용하던 정류기 박스와 DC/DC 컨버트를 채택하지 않고, AC/DC 파워 모듈의 하나의 구성만으로 RRH에 DC 동작 전압과 전류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전원공급장치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종래와 같이 배터리 박스의 충전을 위한 정류기 박스와 정류기 박스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강압하기 위한 DC/DC 컨버터의 2 단계 변환을 할 필요가 없이 하나의 AC/DC 파워 모듈만으로 DC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전원공급장치를 간소화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신뢰성(MTBF)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충전 배터리의 용량을 가변함으로써 하나의 충전 배터리에 다수의 RRH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RRH용 전원공급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RRH용 전원공급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다음은 본 고안인 RRH용 전원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RRH용 전원공급장치는 AC/DC 파워 모듈(112)과 AC/DC 충전기(122)와 충전 배터리(1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C/DC 파워 모듈(112)은 RRH(110) 내에 구비되어서 RRH 본체(114) 즉, RRH 시스템에 정격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한전 전원인 상용교류전원을 입력받고 이 입력된 상용교류전원을 RRH 본체(114)를 동작시킬 수 있는 DC 전압(예컨대 27 V 또는 47 V) 및 전류(예컨대 13 A)로 변환하여 RRH 본체(114)로 출력하는 구성이다.
상기 AC/DC 파워 모듈(112)은 하나의 PCB 모듈로 구현이 가능한데, AC 입력을 전파 정류하여 출력하는 PFC(Power Factor) 회로부(미도시)와, 상기 PFC 회로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회로부로서 PFC 회로부에 연결되어서 CCM(Continuous Conduction Mode) 방식의 Feed Forward 제어에 의해 입력 전류의 파형을 입력 전압의 파형에 추종하도록 PFC 회로부를 제어함으로써 입력 전류 파형을 정현파 형태가 되도록 하며 역률을 개선하고 PFC 회로부의 안정된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PFC PWM 제어회로부(미도시)와, 상기 PFC 회로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서 PFC 회로부로부터 입력된 직류 전압을 고주파 스위칭에 의해서 교류로 변환한 후에 전압을 강압하여 출력하는 DC/DC 회로부(미도시)와, 상기 DC/DC 회로부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압을 검출하고 기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주 스위치의 duty(온-오프 비율)을 제어하는 DC/DC PWM 제어회로부(미도시)와, 상기 DC/DC 회로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DC/DC 회로부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의 교류 전압을 역기전력을 제거하고 구형파 전압을 정류하고 정류된 구형파 전압을 순수한 직류 전압으로 생성하는 고속 정류 및 필터부(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AC/DC 파워 모듈(112)은 full brick 사이즈(116.8 mm * 61 mm * 13 mm)로 구성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에는 RRH 본체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정류기 박스와 DC/DC 컨버터의 2 단의 과정을 거치므로 정류기 박스의 효율 90 %, DC/DC 컨버터의 효율 94 %일 경우 최종적인 효율은 0.9 * 0.94 = 0.846 즉 84.6 %의 효율이나, 본원고안의 경우에는 AC/DC 파워 모듈(112)의 최종 효율이 91.5 %이므로 효율이 종래에 비해서 최소 6 % 이상 증가하게 되고, 그만큼 전력요금을 절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AC/DC 파워 모듈(112)은 종래의 RRH 내부에 구비되는 DC/DC 컨버터 자리에 그대로 대체되어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배터리 박스의 충전을 위한 정류기 박스와 정류기 박스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강압하기 위한 DC/DC 컨버터의 2 단계 변환을 할 필요가 없이 하나의 AC/DC 파워 모듈(112)만으로 DC 전원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전원공급장치를 간소화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신뢰성(MTBF)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AC/DC 충전기(charger)는 충전 배터리(124)를 충전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용교류전원을 입력받아서 충전 배터리(124)의 입력 전압 및 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구성이다.
이 AC/DC 충전기(122)는 상용교류전원에서 직접 RRH(110)로 전원을 공급하는 동안에는 계속적으로 충전 배터리(124)를 충전하고 있으므로, AC/DC 충전기(122)의 용량은 전혀 무관한바 즉 그 용량이 작아도 충분하다.
따라서, mmA 단위의 전류값과 3 ~ 6 V 단위의 DC 전압을 출력하는 DC 충전기라면 충분하므로, 제품의 가격이 종래의 정류기 박스에 비하여 현격하게 낮아지므로 전체적으로 RRH 전원공급장치의 가격이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무거운 정류기 박스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매우 가볍고 작은 사이즈의 AC/DC 충전기(122)를 설치하면 되므로 전체적인 전원공급장치의 설치가 쉽고 간편하며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또한 설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설치 점유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충전 배터리(124)는 AC/DC 충전기(122)로부터 출력되는 충전 전류를 입력받아서 충전하고, 상기 AC/DC 파워 모듈(112)에서 상기 RRH 본체(114)로의 DC전원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상기 RRH 본체(114)로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충전 배터리(124)는 전압의 선정을 자유롭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충전 배터리(124)는 배터리 함체(130)의 내부에 설치가능한데, 이때 종래와 같이 부피와 무게가 큰 정류기 박스를 배터리 함체(130) 내부에 함께 구비할 필요가 없이 사이즈가 매우 작은 AC/DC 충전기(122)만을 구비하면 되므로, 배터리 함체(130)의 사이즈를 작게 해도 충분하며 종래와 같이 배터리 함체(130)의 폭발 우려가 없어진다.
즉, AC/DC 충전기(122)와 DC/DC 컨버터(126)는 상기 충전 배터리(124)를 보관하고 있는 배터리 함체(130)에 함께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종래와 같이 정류기 박스를 함께 내장하지 않아도 되고 상용교류전원을 RRH(110)로 직접 보내므로, 충전 배터리(124)의 용량을 가변함으로써 하나의 충전 배터리(124)에 다수의 RRH(110)를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구체적으로 충전 배터리(124)는 AC/DC 파워 모듈(112)과 RRH 본체(114) 간의 제1 노드(N1)에서 분기되어서 RRH 본체(114)로 비상DC전원을 공급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RRH용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 배터리(124)와 RRH 본체(114)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충전 배터리(124)로부터 인가되는 입력전압을 강압하거나 또는 승압하여서 RRH 본체(114)로 출력하는 DC/DC 컨버터(126)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비상시에 일정한 전압을 RRH 본체(114)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RRH(110)의 시스템을 안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RRH용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 배터리(124)의 출력단에 구비되어서 제2 노드(N2)와 충전 배터리(124) 사이에 구비되어서 상기 충전 배터리(124)로부터 RRH 본체(114)로 출력되는 충전전원을 단속하는 제1 스위치(124a)와, 상기 제1 노드(N1)와 DC/DC 컨버터(126)의 출력단 사이에 구비되어서 DC/DC 컨버터(126)로부터 RRH 본체(114)로 출력되는 충전전원을 단속하는 제2 스위치(126a)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고안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10 : RRH 112 : AC/DC 파워 모듈
114 : RRH 본체 122 : AC/DC 충전기
124 : 충전 배터리 124a: 제1 스위치
126 : DC/DC 컨버터 126a: 제2 스위치
130 : 배터리 함체 N1 : 제1 노드
N2 : 제2 노드

Claims (1)

  1. RRH(110) 내에 구비되고, 상용교류전원을 입력받아서 이를 RRH 본체(114)를 동작시키는 DC 전압 및 전류로 변환하여 RRH 본체(114)로 출력하는 AC/DC 파워 모듈(112)과,
    상용교류전원을 입력받아서 충전 배터리(124)의 입력 전압 및 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C/DC 충전기(122)와,
    상기 AC/DC 충전기(122)로부터 출력되는 충전 전류를 입력받아서 충전하고, 상기 AC/DC 파워 모듈(112)에서 상기 RRH 본체(114)로의 DC전원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상기 RRH 본체(114)로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배터리(124)와,
    상기 충전 배터리(124)와 RRH 본체(114)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충전 배터리(124)로부터 인가되는 입력전압을 강압하거나 또는 승압하여서 RRH 본체(114)로 출력하는 DC/DC 컨버터(12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충전 배터리(124)는 AC/DC 파워 모듈(112)과 RRH 본체(114) 간의 제1 노드(N1)에서 분기되어서 RRH 본체(114)로 비상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AC/DC 파워 모듈(112)은 풀 브릭(full brick) 사이즈로 구성되며,
    상기 AC/DC 충전기(122)와 DC/DC 컨버터(126) 간의 제2 노드(N2)와 충전 배터리(124) 사이에 구비되어서, 상기 충전 배터리(124)로부터 RRH 본체(114)로 출력되는 충전전원을 단속하는 제1 스위치(124a)와,
    상기 제1 노드(N1)와 DC/DC 컨버터(126)의 출력단 사이에 구비되어서 DC/DC 컨버터(126)로부터 RRH 본체(114)로 출력되는 충전전원을 단속하는 제2 스위치(126a)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며,
    상기 AC/DC 충전기(122)와 DC/DC 컨버터(126)는 상기 충전 배터리(124)를 보관하고 있는 배터리 함체(130)에 함께 구비되며,
    상기 AC/DC 파워 모듈(112)은,
    AC 입력을 전파 정류하여 출력하는 PFC(Power Factor) 회로부와,
    상기 PFC 회로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회로부로서 PFC 회로부에 연결되어서 CCM(Continuous Conduction Mode) 방식의 Feed Forward 제어에 의해 입력 전류의 파형을 입력 전압의 파형에 추종하도록 PFC 회로부를 제어함으로써 입력 전류 파형을 정현파 형태가 되도록 하며 역률을 개선하고 PFC 회로부의 안정된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PFC PWM 제어회로부와,,
    상기 PFC 회로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서 PFC 회로부로부터 입력된 직류 전압을 고주파 스위칭에 의해서 교류로 변환한 후에 전압을 강압하여 출력하는 DC/DC 회로부와,
    상기 DC/DC 회로부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압을 검출하고 기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주 스위치의 duty(온-오프 비율)을 제어하는 DC/DC PWM 제어회로부와,
    상기 DC/DC 회로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DC/DC 회로부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의 교류 전압을 역기전력을 제거하고 구형파 전압을 정류하고 정류된 구형파 전압을 순수한 직류 전압으로 생성하는 고속 정류 및 필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H용 전원공급장치.
KR2020160006629U 2016-11-15 2016-11-15 Rrh용 전원공급장치 Expired - Lifetime KR2004826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629U KR200482636Y1 (ko) 2016-11-15 2016-11-15 Rrh용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629U KR200482636Y1 (ko) 2016-11-15 2016-11-15 Rrh용 전원공급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703U Division KR20150004661U (ko) 2014-06-23 2014-06-23 Rrh용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043U KR20160004043U (ko) 2016-11-23
KR200482636Y1 true KR200482636Y1 (ko) 2017-02-15

Family

ID=57707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629U Expired - Lifetime KR200482636Y1 (ko) 2016-11-15 2016-11-15 Rrh용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636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1922A (ja) 2007-09-11 2009-04-0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直流バックアップ電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9158297A (ja) 2007-12-26 2009-07-1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直流電源用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068B1 (ko) * 2005-08-25 2007-05-07 주식회사 엘지데이콤 다중 전원을 이용한 전력변환장치
KR101117706B1 (ko) * 2010-07-28 2012-03-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력 공급 장치
WO2013027987A2 (ko) 2011-08-19 2013-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Rrh(remote radio head)를 포함하고 있는 매크로 셀 환경에서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방법 및 그 단말 장치
KR20130131183A (ko) 2012-05-23 2013-12-03 (주)카배온 브로드밴드 네트워크를 활용한 이동통신 원격 무선 장비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1922A (ja) 2007-09-11 2009-04-0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直流バックアップ電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9158297A (ja) 2007-12-26 2009-07-1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直流電源用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043U (ko)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7746B1 (ko) 충전 대기 설비, 무선 충전 장치 및 무선 충전 방법
JP6942883B2 (ja) 充電対象機器、無線充電方法及びシステム
KR102222153B1 (ko) 무선 충전 장치, 무선 충전 방법, 및 충전 대기 설비
JP6929959B2 (ja) 無線充電システム、装置および方法
KR102471450B1 (ko) 충전 방법 및 충전 장치
US11722062B2 (en) Power supply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power supply method
CN113036827B (zh) 电子设备
US12362574B2 (en) Charging and discharg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KR102522526B1 (ko) 충전 장치, 단말기 및 충전 제어 방법
EP3893352A1 (en) Wireless charging method, device to be charge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WO2020133081A1 (zh) 充电方法和装置、待充电设备、存储介质及芯片系统
CN104065145A (zh) 无线充电装置及其充电方法
CN113904425B (zh) 整合式通信电源系统
KR200482636Y1 (ko) Rrh용 전원공급장치
TW201136003A (en)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KR20150004661U (ko) Rrh용 전원공급장치
CN104852444A (zh) 一种应用于电动汽车的直流充电装置
KR102463396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WO2021093708A1 (zh) 无线充电装置、待充电设备、充电系统及方法、存储介质
CN103165927A (zh) Bop供电的控制方法、装置及设备
KR200481897Y1 (ko) 4g rrh와 3g 중계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통합 전원공급장치
CN221477575U (zh) 无人机电源
CN209419303U (zh) 一种光伏控制器与光伏系统
HK40017793A (en) Device to be charged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system
CN119582397A (zh) 具有电量检测功能的无线充电方法及无线充电路由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6 Division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5

Patent event code: UA01011R06D

Application number text: 2020140004703

Filing date: 2014062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0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7021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4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