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82557Y1 - Connecting member and door frame using same - Google Patents

Connecting member and door frame us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557Y1
KR200482557Y1 KR2020160002859U KR20160002859U KR200482557Y1 KR 200482557 Y1 KR200482557 Y1 KR 200482557Y1 KR 2020160002859 U KR2020160002859 U KR 2020160002859U KR 20160002859 U KR20160002859 U KR 20160002859U KR 200482557 Y1 KR200482557 Y1 KR 2004825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rner portion
insertion groove
width
engaging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85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환기
Original Assignee
정환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환기 filed Critical 정환기
Priority to KR20201600028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55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5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557Y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52Frames;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호 이웃한 일면과 타면에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며, 결합부에 프레임이 물림 결합됨으로써,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프레임 사이의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창호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레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용 도어 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프레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용 도어 프레임은, 창호를 이루는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상호 결합시키는 프레임 연결구에 있어서, 창호의 코너부분에 배치되는 코너부; 상기 코너부의 일단에 세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에 삽입 결합되는 제1결합부; 상기 코너부의 일단과 이웃한 타단에 가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프레임에 삽입 결합되는 제2결합부; 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connector and a frame connector which can prevent a gap between frames from being generated even when the frame is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to improve the airtightness of a window by protruding a coupling portion on one surface and another surface of mutually adjacent portions, And to provide a door frame for a window using the same.
A frame connection 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oor frame for a window using the frame connection port include a corner portion disposed at a corner portion of a window, the frame connection port coupling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 first engaging portion protru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t one end of the corner portion and inserted and coupled to the first frame; A second engaging portion protruding laterally from the other end adjacent to the one end of the corner portion and inserted and coupled to the second frame; .

Description

프레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용 도어 프레임{Connecting member and door frame using same}Frame connecting port and a door frame for a window using the same,

본 고안은 프레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용 도어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의 테두리를 이루는 프레임을 서로 연결시키는 프레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용 도어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connection port and a door frame for a window using the frame connection port,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ame connection port for connecting frames constituting a rim of a door and a door frame for a window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창호는 가로 및 세로 프레임을 서로 교차시켜 형성한다. In general, windows are formed by cross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frames.

창호는 외풍을 막아주기 위한 것으로서 프레임 사이의 기밀성이 중요시된다.The window is intended to prevent drafts and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frames is important.

따라서 이러한 창호의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구에 대한 기술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Therefore, techniques for connecting the horizontal frame to the vertical frame of the window are continuously being developed.

특히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의 단부를 잇는 연결구를 어떻게 형성하느냐에 따라 설치비용이나 원가가 달라지게 된다. Especially, the installation cost and the cost are different depending on how to form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ends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107645호(2005. 11. 15 공개), "프레임 연결부재"는 중공의 프레임들을 연결하기 위한 프레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중공 형성된 프레임에 끼워지고, 폭방향으로 벌어지면서 프레임 내벽에 강하게 밀착되어 프레임을 고정하는 두개 이상의 끼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5-0107645 (published on November 15, 2005) discloses a frame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hollow frames. The frame connecting member is inserted into a hollow frame, And two or more fitting portions for tightly fitting the frame to the inner wall of the frame so as to fix the frame.

그러나 상기의 종래의 기술은 가로 프레임과와 세로 프레임의 단부를 각각 45도 절단한 후, 코너앵글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프레임의 기밀성 및 작업성이 떨어지며, 수정작업이 불가능하며 연결부분의 단차와 틈이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며, 고가의 장비를 이용하여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 the end portions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re cut by 45 degrees, respectively, and then fixed by using corner angles. The airtightness and workability of the frame are deteriorated. And there is a limit that the expensive equipment should be use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10765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107654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호 이웃한 일면과 타면에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며, 결합부에 프레임이 물림 결합됨으로써,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프레임 사이의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창호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레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용 도어 프레임을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nector for connecting a frame to a connector, the connector being formed by projecting the connector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or,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rame connector and a door frame for a window that can improve airtightnes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프레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용 도어 프레임은, 창호를 이루는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상호 결합시키는 프레임 연결구에 있어서, 창호의 코너부분에 배치되는 코너부; 상기 코너부의 일단에 세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에 삽입 결합되는 제1결합부; 상기 코너부의 일단과 이웃한 타단에 가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프레임에 삽입 결합되는 제2결합부; 를 포함한다.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a fram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oor frame for a window using the same, the frame connector for coupling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which are windows, to each other, includes: a corner portion disposed at a corner portion of a window; A first engaging portion protru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t one end of the corner portion and inserted and coupled to the first frame; A second engaging portion protruding laterally from the other end adjacent to the one end of the corner portion and inserted and coupled to the second frame; .

상기 제1결합부는 일면이 개방된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돌출되며, 가로 및 세로의 폭이 상기 코너부의 일면의 가로 및 세로의 폭 보다 작고, 각 모서리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원형의 제1돌출부가 형성된다.Wherein the first engaging portion protrudes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with one side opened and has a width and a width smaller than a width and a width of one side of the corner portion and a circular first projection along the length direction is formed at each corner portion .

상기 제2결합부는 일면이 개방된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돌출되며, 가로 및 세로의 폭이 상기 코너부의 타면의 가로 및 세로의 폭 보다 작고, 양측면에는 다수개의 제2돌출부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The second engaging portion protrudes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with one side opened and has a width and a width smaller than a width and a width of the other surface of the corner por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project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

창호의 코너부분에 배치되는 코너부와, 상기 코너부의 일단에 돌출 형성된 제1결합부 및 상기 코너부의 일단과 이웃한 타단에 돌출 형성된 제2결합부로 이루어진 연결구; 상기 코너부에 세로로 배치되며, 상기 제1결합부가 삽입되도록 세로 방향으로 제1관통공이 개방 형성된 제1프레임; 상기 코너부에 가로로 배치되며, 상기 제2결합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가로 방향으로 제2관통공이 개방 형성된 제2프레임; 을 포함하되,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에는 가이드돌기 또는 가이드레일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에는 나머지 어느 하나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게 가이드 된다.A connecting portion comprising a corner portion disposed at a corner portion of the window, a first engaging portion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corner portion,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adjacent to the one end of the corner portion; A first frame vertically disposed in the corner portion and having a first through hole op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insert the first engaging portion; A second frame horizontally disposed at the corner portion and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open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engaging portion is inserted and engaged; Wherein one of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is formed o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the other protrusion is formed o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guid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and slidingly moved.

상기 제1결합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이 각각 개방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레일은 2개로 이루어지며,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 사이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제1결합공이 형성된다.The guide rails are each formed by two openings. The guide rail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A first engagement hole is formed between the guide rails to receive the bolts.

상기 코너부에는 상기 제1결합부를 따라 세로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며, 가스켓이 삽입 장착되는 제1삽입홈과, 상기 제2결합부를 따라 가로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며 가스켓이 삽입 장착되는 제2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에는 상기 제1삽입홈과 연결되는 제3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에는 상기 제2삽입홈과 연결되는 제4삽입홈이 형성된다.A first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corner portion alo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gasket inserted therein and a second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lateral direction along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 third insertion groove connected 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the first frame, and a fourth insertion groove connected 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the second fram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프레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용 도어 프레임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fram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door frame for a window using the frame connector have the following effects.

코너부(110)의 상호 이웃한 일면과 타면에 제1결합부(120)와 제2결합부(130)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에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각각 물림 결합됨으로써,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프레임 사이의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창호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The first engaging portion 120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30 are protruded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orner portion 110 and the first engaging portion 120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30 are protruded from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frame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a clearance between the frames from being generated even if they are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the airtightness of the window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제1결합부(120)의 가로 및 세로의 폭을 상기 코너부(110)의 가로 및 세로의 폭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코너부(110)의 외측면과 상기 제1프레임(200)의 외측면일 일치되게 하여 단차 없이 외관을 매끄럽게 보이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The width of the first engaging part 120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corner part 110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corner part 11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200 So that the outer appearance smoothly appears without a step.

또한, 상기 제1결합부(120)에 상기 제1돌출부(12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결합부(120)가 상기 제1프레임(200)의 내부에 삽입 결합될 때 상기 제1프레임(200)과의 접촉 면적을 줄여 마찰을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조립을 용이하게 하면서 유격 발생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The first protrusion 121 is formed in the first engaging part 120 so that when the first engaging part 1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frame 200, 200 to reduce friction, thereby facilitating assembly and minimizing occurrence of clearance.

상기 제1결합공(122)과 제2결합공(132)이 상기 가이드레일(410) 사이에 각각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결합부(120)와 상기 제1프레임(200)의 유격과, 상기 제2결합부(130)와 상기 제2프레임(300)의 유격을 최소화하고, 조립 공차를 줄여 볼트를 체결할 때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The first engaging hole 122 and the second engaging hole 132 are disposed between the guide rails 410 so that the gap between the first engaging portion 120 and the first frame 200, The clearance between the second engaging part 130 and the second frame 300 is minimized and the assembling tolerance is reduced to facilitate assembling when fastening the bolt.

상기 제1결합부(120)와 제2결합부(130)에 각각 가이드레일(410)이 형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200)과 제2프레임(300)에 제1가이드레일(4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드돌기(420)가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프레임(200)을 상기 제1결합부(120)에 조립할 때 유격을 최소화 하고, 조립 공차를 줄여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A guide rail 410 is formed 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arts 120 and 13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rames 200 and 300 can be guided along the first guide rail 410 The guide protrusions 420 are slidably moved to minimize the clearance when assembling the first frame 200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120 and to reduce the assembly tolerance and facilitate assembly .

상기 제1프레임(200)에 상기 제1삽입홈(111)과 연결되는 제3삽입홈(220)이 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300)에 상기 제2삽입홈(112)과 연결되는 제4삽입홈(320)이 형성됨으로써, 가스켓을 상기 제1프레임(200) 및 상기 제2프레임(300) 뿐만 아니라 상기 코너부(110)에도 연장하여 부착할 수 있어 창호의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A third insertion groove 220 connected 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1 is formed in the first frame 200 and a second insertion groove 220 connected 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12 is formed in the second frame 300. [ 4 insertion grooves 320 are formed so that the gasket can be extended not only to the first frame 200 and the second frame 300 but also to the corner portion 110 so as to improve the airtightness of the window .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100)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를 이용한 창호용 도어 프레임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를 이용한 창호용 도어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프렐임 연결구를 이용한 창호용 도어 프레임의 정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ame connec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or frame for a window using a fram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oor frame for a window using a fram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
FIG.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2,
FIG. 6 is a front view of a door frame for a window using a framed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100)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를 이용한 창호용 도어 프레임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를 이용한 창호용 도어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프렐임 연결구를 이용한 창호용 도어 프레임의 정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ame connec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or frame for a window using a fram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ame Fig.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2, Fig.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Fig.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를 이용한 창호용 도어 프레임은 연결구(100), 제1프레임(200) 및 제2프레임(300)으로 이루어진다.1 to 6, a door frame for a window using a fram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or 100, a first frame 200, and a second frame 300.

일반적으로 창호용 도어는 사각형 형상이며, 프레임을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상호 연결하여 사각 틀을 형성하게 되는데, 여기에서 프레임을 상호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연결구(100)를 이용하게 된다.Generally, the door for a window is a rectangular shape, and the frames are interconnected in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directions to form a rectangular frame, wherein the connection 100 is used to interconnect the frames.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구(100)는 코너부(110), 제1결합부(120) 및 제2결합부(130)로 이루어진다.Specifically, the connec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rner portion 110, a first coupling portion 120,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130.

상기 코너부(11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창호의 코너부분에 배치된다.The corner portion 110 is formed in a hexahedron shape and disposed at a corner portion of a window.

일반적으로 사각형 형상을 갖는 창호는 4개의 코너, 즉 꼭지점 부분을 갖게 되며, 상기 코너부(110)는 하나의 창호를 완성하는데에 4개가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된다.In general, a window having a rectangular shape has four corners, that is, a vertex portion, and the corner portion 110 is indispensably required to complete one window.

또한, 상기 코너부(110)에는 가스켓(미도시)이 장착되는 제1삽입홈(111)과 제2삽입홈(112)이 각각 형성된다.The corner portion 110 is formed with a first insertion groove 111 and a second insertion groove 112 to which a gasket (not shown) is mounted, respectively.

상기 제1삽입홈(111)은 후술할 상기 제1결합부(120)가 돌출된 방향, 즉 세로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할 상기 제2결합부(130)가 형성된 면의 반대편에 구비된다.The first insertion groove 111 is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30 is form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do.

상기 제2삽입홈(112)은 상기 제2결합부(130)가 돌출된 방향, 즉 가로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할 상기 제1결합부(120)가 형성된 면의 반대편에 구비된다.The second insertion groove 112 is 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engaging part 130 protrudes, that i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engaging part 120 is formed.

이러한 상기 제1삽입홈(111)과 상기 제2삽입홈(112)에는 가스켓이 장착되는데, 이 가스켓은 후술할 상기 제1프레임(200) 및 상기 제2프레임(300)에도 연장되어 부착되는 것으로, 창호의 기밀성을 확고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즉, 상기 프레임 연결구(100)에 부착되어 상기 제1프레임(200)까지 연장되어 부착되는 가스켓과, 상기 프레임 연결구(100)에 부착되어 상기 제2프레임(300)까지 연장되어 부착되는 가스켓을 이용해 창호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A gasket is attached 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1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12 and extends to the first frame 200 and the second frame 300 to be described later , And the airtightness of the window is firmly established.
A gasket attached to the frame connector 100 and extending to the first frame 200 and a gasket attached to the frame connector 100 and extending to and attached to the second frame 300, It can increase the confidentiality of window.

또한, 상기 코너부(11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수단(500)이 장착되는 관통공(115)이 형성된다.6, a through hole 115 through which the locking means 500 is mounted is formed in the corner portion 110. As shown in FIG.

상기 관통공(115)은 상하로 길게 관통 형성되며, 후술할 상기 제1결합부(120)와 제1프레임(200)의 내부와 통하도록 개방된다.The through hole 115 is vertically penetrated and open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first frame 200 and the first engaging part 120 to be described later.

이러한 상기 관통공(115)은, 상기 잠금수단(500)의 잠금축(510)이 상하 이동하게 장착된다.In the through hole 115, the lock shaft 510 of the lock means 500 is mounted to move up and down.

여기에서 상기 잠금수단(500)은 잠금레버(520)를 90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잠금축(510)이 상하 이동하여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하게 된다.Here, the lock means 500 rotates the lock lever 520 by 90 degrees, and the lock shaft 510 moves up and down to lock or unlock the door.

또한, 상기 코너부(110)의 일단에는 상기 제1결합부(120)가 구비되고, 일단과 이웃한 타단에는 상기 제2결합부(130)가 구비된다.The first engaging portion 12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rner portion 110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30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adjacent to the first end.

구체적으로 상기 제1결합부(120)는 상기 코너부(110)의 일단에 세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후술할 상기 제1프레임(200)에 삽입 결합된다.Specifically, the first engaging part 12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orner part 110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serted into the first frame 20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1결합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개방된 사각 틀 형상의 단면을 갖으며, 가로 및 세로의 폭이 상기 코너부(110)의 일면의 가로 및 세로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first engaging portion 120 has a rectangular frame-shaped cross-section with one side opened, and the width and the width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120 are equal to the width and width of one side of the corner portion 110 Width.

따라서 상기 제1결합부(120)에 결합되는 상기 제1프레임(200)에 의해 상기 제1결합부(120)는 완전히 가려지게 되며, 상기 제1프레임(200)은 외측면이 상기 코너부(110)의 외측면과 일치되게 배치된다.Therefore, the first engaging part 120 is completely covered by the first frame 200 coupled to the first engaging part 120, and the first frame 200 has an outer surfa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corner part 110).

이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120)의 가로 및 세로의 폭을 상기 코너부(110)의 가로 및 세로의 폭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코너부(110)의 외측면과 상기 제1프레임(200)의 외측면일 일치되게 하여 단차 없이 외관을 매끄럽게 보이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The width of the first engaging part 120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corner part 110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corner part 11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200 So that the outer appearance smoothly appears without a step.

또한, 상기 제1결합부(120)의 각 모서리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원형의 제1돌출부(121)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circular first protrusion 121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each corner of the first coupling part 120.

이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120)에 상기 제1돌출부(12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결합부(120)가 상기 제1프레임(200)의 내부에 삽입 결합될 때 상기 제1프레임(200)과의 접촉 면적을 줄여 마찰을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조립을 용이하게 하면서 유격 발생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The first protrusion 121 is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part 120 so that when the first coupling part 1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frame 200, 200 to reduce friction, thereby facilitating assembly and minimizing occurrence of clearance.

또한, 상기 제1결합부(120)에는 상기 제2결합부(130) 방향의 일면에 가이드레일(410)이 개방 형성된다.A guide rail 41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art 120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coupling part 130.

상기 가이드레일(410)은 세로 방향으로 길게 개방 형성된 홈으로, 2개로 이루어지며,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The guide rail 410 is a groove formed in a longitudinally elongated shape and is formed of two grooves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이러한 상기 가이드레일(410)에는 상기 제1프레임(200)에 형성된 가이드돌기(420)가 슬라이딩 이동되게 삽입된다.The guide protrusion 420 formed on the first frame 200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410.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410) 사이에는 상기 제1프레임(200)과 상기 제1결합부(120)을 결합시키는 볼트가 삽입되는 제1결합공(122)이 형성된다.A first engaging hole 122 is formed between the guide rails 410 to receive a bolt for engaging the first frame 200 and the first engaging portion 120.

이와 같이 상기 제1결합공(122)이 상기 가이드레일(41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결합부(120)와 상기 제1프레임(200)의 유격을 최소화하고, 조립 공차를 줄여 상기 제1결합공(122)으로 볼트를 체결할 때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The first engaging hole 122 is disposed between the guide rails 410 to minimize the clearance between the first engaging portion 120 and the first frame 200, When the bolt is fastened to the one coupling hole 122, an effect of facilitating assembly is generated.

상기 제2결합부(130)는 상기 코너부(110)의 일단과 이웃한 타단에 가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결합부(120)와 직각을 이루게 되며, 후술할 상기 제2프레임(300)에 삽입 결합된다.The second engaging part 130 protrudes laterally at the other end adjacent to the one end of the corner part 110 and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engaging part 120, (300).

상기 제2결합부(130)는 상기 제1결합부(120)와 마찬가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개방된 사각 틀 형상의 단면을 갖으며, 가로 및 세로의 폭이 상기 코너부(110)의 타면의 가로 및 세로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5, the second engaging part 130 has a cross-section of a square frame whose one surface is opened, and the width and the width of the second engaging part 130 are equal to the width of the corner part Is smaller than the width and the width of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따라서 상기 제2결합부(130)에 결합되는 제2프레임(300)에 의해 상기 제2결합부(130)는 완전히 가려지게 되며, 상기 제2프레임(300)은 외측면이 상기 코너부(110)의 외측면과 일치되게 배치된다.The second frame 300 is completely covered by the second frame 300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part 130 and the second frame 300 has an outer surface which faces the corner 110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상기 제2결합부(130)의 가로 및 세로의 폭을 상기 코너부(110)의 가로 및 세로의 폭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코너부(110)의 외측면과 상기 제2프레임(300)의 외측면일 일치되게 하여 단차 없이 외관을 매끄럽게 보이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The width of the second engaging part 130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corner part 110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corner part 11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300 So that the outer appearance smoothly appears without a step.

또한, 상기 제2결합부(130)의 양측면에는 다수개의 제2돌출부(131)가 일정 간격 이격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13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second engaging part 13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제2돌출부(131)는 세로 방향으로 길고 폭이 얇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로 방향으로 상호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된다.The second protrusions 131 are formed in a longitudinally long and thin rod shape, and ar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이러한 상기 제2돌출부(131)는 상기 제1돌출부(121)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프레임(300)에 상기 제2결합부(130)가 삽입 결합될 때 상기 제2프레임(300)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면적을 줄여주어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유격 발생을 최소화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The second protrusion 131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300 when the second engaging part 13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rame 300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protrusion 121. [ The contact area is reduced to facilitate the insertion, and the occurrence of the play is minimized.

또한, 상기 제2결합부(130)에는 상기 제1결합부(120) 방향의 일면에 가이드레일(410)이 개방 형성된다.A guide rail 41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art 130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coupling part 120.

상기 가이드레일(410)은 가로 방향으로 길게 개방 형성된 홈으로, 2개로 이루어지며,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The guide rail 410 is formed by two long open groov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이러한 상기 가이드레일(410)에는 상기 제2프레임(300)에 형성된 가이드돌기(420)가 슬라이딩 이동되게 삽입된다.The guide protrusion 420 formed on the second frame 300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410.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410) 사이에는 상기 제2프레임(300)과 상기 제2결합부(130)을 결합시키는 볼트가 삽입되는 제2결합공(132)이 형성된다.A second engaging hole 132 is formed between the guide rails 410 to receive the bolts for engaging the second frame 300 and the second engaging part 130.

이와 같이 상기 제2결합공(132)이 상기 가이드레일(41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2결합부(130)와 상기 제2프레임(300)의 유격을 최소화하고, 조립 공차를 줄여 상기 제2결합공(132)으로 볼트를 체결할 때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Since the second engaging holes 132 are disposed between the guide rails 410, the clearance between the second engaging portions 130 and the second frame 300 is minimized, When the bolts are fastened to the two coupling holes 132, an effect of facilitating assembly is generated.

한편, 상기 제1프레임(20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긴 사각형의 막대 형상이며, 상기 코너부(110)에 세로로 배치되고, 상기 제1결합부(120)가 삽입되도록 세로 방향으로 제1관통공(210)이 개방 형성된다.2 to 4, the first frame 200 may have a shape of a bar having a rectangular shap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ay be vertically disposed on the corner portion 110, The first through hole 210 is op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first through hole 120 is inserted.

또한, 상기 제1관통공(210)의 내측에는 상기 제1결합부(120)의 가이드레일(410)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420)가 형성된다.A guide protrusion 420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410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120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through hole 210.

상기 가이드돌기(420)는 세로 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며, 2개로 이루어져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된다.The guide protrusions 420 protru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이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120)에 가이드레일(410)이 형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200)에 상기 제1가이드레일(4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드돌기(42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프레임(200)을 상기 제1결합부(120)에 조립할 때 유격을 최소화 하고, 조립 공차를 줄여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Since the guide rails 410 are formed on the first engaging part 120 and the guide protrusions 420 are formed on the first frame 200 to slide along the first guide rails 410, When the first frame 200 is assembled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120, the clearance is minimized and the assembling tolerance is reduced to facilitate assembly.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제1프레임(200)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120)에 가이드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As a matter of course, guide rails may be formed in the first frame 200 and guide protrusions may be formed in the first engaging portions 120. [

또한, 상기 제1프레임(200)에는 상기 제1삽입홈(111)과 연결되는 제3삽입홈(220)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third insertion groove 220 connected 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1 is formed in the first frame 200.

상기 제3삽입홈(220)은 상기 제1삽입홈(111)과 마찬가지로 세로 방향으로 길게 개방 형성되며, 가스켓(미도시)이 삽입 고정된다.Like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1, the third insertion groove 220 is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gasket (not shown) is inserted and fixed.

상기 제2프레임(300)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긴 사각형의 막대 형상이며, 상기 코너부(110)에 가로로 배치되고, 상기 제2결합부(130)가 삽입되도록 가로 방향으로 제2관통공(310)이 개방 형성된다. 3 and 5, the second frame 300 may have a shape of a bar having a rectangular shape elonga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second frame 300 may be disposed horizontally in the corner portion 110, The second through hole 310 is open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또한, 상기 제2관통공(310)의 내측에는 상기 제1결합부(120)의 상기 가이드레일(410)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420)가 형성된다.A guide protrusion 420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410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120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through hole 310.

상기 가이드돌기(420)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며, 2개로 이루어져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된다.The guide protrusions 420 protrude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이와 같이 상기 제2결합부(130)에 가이드레일(410)이 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300)에 상기 제2가이드레일(4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드돌기(42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프레임(300)을 상기 제2결합부(130)에 조립할 때 유격을 최소화하고, 조립 공차를 줄여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The guide protrusion 420 is formed on the second frame 300 so that the guide rail 410 is formed on the second engaging part 130 and slides along the second guide rail 410, When the second frame 300 is assembled to the second engaging part 130, the clearance is minimized and the assembling tolerance is reduced to facilitate assembly.

또한, 상기 제2프레임(300)에는 상기 제2삽입홈(112)과 연결되는 제4삽입홈(320)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econd frame 300 has a fourth insertion groove 320 connected 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12.

상기 제4삽입홈(320)은 상기 제1삽입홈(111)과 마찬가지로 세로 방향으로 길게 개방 형성되며, 가스켓이 삽입 고정된다.Like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1, the fourth insertion groove 320 is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gasket is inserted and fixed.

이와 같이 상기 제1프레임(200)에 상기 제1삽입홈(111)과 연결되는 제3삽입홈(220)이 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300)에 상기 제2삽입홈(112)과 연결되는 제4삽입홈(320)이 형성됨으로써, 가스켓을 상기 제1프레임(200) 및 상기 제2프레임(300) 뿐만 아니라 상기 코너부(110)에도 연장하여 부착할 수 있어 창호의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즉, 상기 가스켓은 상기 연결구(100)의 상기 제1삽입홈(111)에서 상기 제1프레임(200)의 상기 제3삽입홈(220)까지 연장되어 부착되고, 상기 연결구(100)의 상기 제2삽입홈(112)에서 제2프레임(300)의 상기 제4삽입홈(320)까지 연장되어 부착할 수 있어 창호의 기밀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The first frame 200 is formed with a third insertion groove 220 connected 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1 and connected 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12 through the second frame 300.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gasket not only to the first frame 200 and the second frame 300 but also to the corner portion 110 so as to improve the airtightness of the window Effect is generated.
That is, the gasket extends from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1 of the connector 100 to the third insertion groove 220 of the first frame 200, 2 can be extended from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12 to the fourth insertion groove 320 of the second frame 300 to improve the airtightness of the window.

삭제delete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용 도어 프레임은, 코너부(110)의 상호 이웃한 일면과 타면에 제1결합부(120)와 제2결합부(130)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에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각각 물림 결합됨으로써,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프레임 사이의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창호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The frame connector and the door frame for a window using the fram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arts 120 and 130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orner part 110, And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re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respectively, thereby preventing a clearance between the frames from being generated even if they are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n effect that can be improved is generated.

또한, 상기 제1결합부(120)의 가로 및 세로의 폭을 상기 코너부(110)의 가로 및 세로의 폭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코너부(110)의 외측면과 상기 제1프레임(200)의 외측면일 일치되게 하여 단차 없이 외관을 매끄럽게 보이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The width of the first engaging part 120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corner part 110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corner part 11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200 So that the outer appearance smoothly appears without a step.

또한, 상기 제1결합부(120)에 상기 제1돌출부(12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결합부(120)가 상기 제1프레임(200)의 내부에 삽입 결합될 때 상기 제1프레임(200)과의 접촉 면적을 줄여 마찰을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조립을 용이하게 하면서 유격 발생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The first protrusion 121 is formed in the first engaging part 120 so that when the first engaging part 1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frame 200, 200 to reduce friction, thereby facilitating assembly and minimizing occurrence of clearance.

상기 제1결합공(122)과 제2결합공(132)이 상기 가이드레일(410) 사이에 각각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결합부(120)와 상기 제1프레임(200)의 유격과, 상기 제2결합부(130)와 상기 제2프레임(300)의 유격을 최소화하고, 조립 공차를 줄여 볼트를 체결할 때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The first engaging hole 122 and the second engaging hole 132 are disposed between the guide rails 410 so that the gap between the first engaging portion 120 and the first frame 200, The clearance between the second engaging part 130 and the second frame 300 is minimized and the assembling tolerance is reduced to facilitate assembling when fastening the bolt.

상기 제1결합부(120)와 제2결합부(130)에 각각 가이드레일(410)이 형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200)과 제2프레임(300)에 제1가이드레일(4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드돌기(420)가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프레임(200)을 상기 제1결합부(120)에 조립할 때 유격을 최소화 하고, 조립 공차를 줄여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A guide rail 410 is formed 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arts 120 and 13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rames 200 and 300 can be guided along the first guide rail 410 The guide protrusions 420 are slidably moved to minimize the clearance when assembling the first frame 200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120 and to reduce the assembly tolerance and facilitate assembly .

상기 제1프레임(200)에 상기 제1삽입홈(111)과 연결되는 제3삽입홈(220)이 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300)에 상기 제2삽입홈(112)과 연결되는 제4삽입홈(320)이 형성됨으로써, 가스켓을 상기 제1프레임(200) 및 상기 제2프레임(300) 뿐만 아니라 상기 코너부(110)에도 연장하여 부착할 수 있어 창호의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A third insertion groove 220 connected 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111 is formed in the first frame 200 and a second insertion groove 220 connected 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12 is formed in the second frame 300. [ 4 insertion grooves 320 are formed so that the gasket can be extended not only to the first frame 200 and the second frame 300 but also to the corner portion 110 so as to improve the airtightness of the window .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something to do.

100 : 연결구 110 : 코너부
111 : 제1삽입홈 112 : 제2삽입홈
120 : 제1결합부 121 : 제1돌출부
122 : 제1결합공 130 : 제2결합부
131 : 제2돌출부 132 : 제2결합공
200 : 제1프레임 210 : 제1관통공
220 : 제3삽입홈 300 : 제2프레임
310 : 제2관통공 320 : 제4삽입홈
410 : 가이드레일 420 : 가이드돌기
100: connecting hole 110:
111: first insertion groove 112: second insertion groove
120: first engaging portion 121: first protrusion
122: first engaging hole 130: second engaging portion
131: second protrusion 132: second engaging hole
200: first frame 210: first through hole
220: third insertion groove 300: second frame
310: second through hole 320: fourth insertion groove
410: guide rail 420: guide projection

Claims (6)

창호를 이루는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상호 결합시키는 프레임 연결구에 있어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창호의 코너부분에 배치되는 코너부;
상기 코너부의 일단에 세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에 삽입 결합되는 제1결합부;
상기 코너부의 일단과 이웃한 타단에 가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프레임에 삽입 결합되는 제2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결합부는 일면이 개방된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돌출되며, 가로 및 세로의 폭이 상기 코너부의 일면의 가로 및 세로의 폭보다 작고, 각 모서리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원형의 제1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결합부는 일면이 개방된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돌출되며, 가로 및 세로의 폭이 상기 코너부의 타면의 가로 및 세로의 폭 보다 작고, 양측면에는 다수개의 제2돌출부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프레임 연결구에 부착되어 상기 제1프레임까지 연장되어 부착되는 가스켓과, 상기 프레임 연결구에 부착되어 상기 제2프레임까지 연장되어 부착되는 가스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구를 이용한 창호용 도어 프레임.
A frame connector for coupling a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constituting a window to each other,
A corner portion formed in a hexahedron shape and disposed at a corner portion of the window;
A first engaging portion protru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t one end of the corner portion and inserted and coupled to the first frame;
A second engaging portion protruding laterally from the other end adjacent to the one end of the corner portion and inserted and coupled to the second frame; , Wherein the first,
Wherein the first engaging portion protrudes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with one side opened and has a width and a width smaller than a width and a width of one side of the corner portion and a circular first projection along the length direction is formed at each corner portion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engaging portion protrudes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with one side opened, and the width and the width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re smaller than the width and the width of the other surface of the corner por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project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
A gasket attached to the frame connection port and extending to the first frame and a gasket attached to the frame connection port and extending to the second frame. .
삭제delete 삭제delete 창호의 코너부분에 배치되는 코너부와, 상기 코너부의 일단에 돌출 형성된 제1결합부 및 상기 코너부의 일단과 이웃한 타단에 돌출 형성된 제2결합부로 이루어진 연결구;
상기 코너부에 세로로 배치되며, 상기 제1결합부가 삽입되도록 세로 방향으로 제1관통공이 개방 형성된 제1프레임;
상기 코너부에 가로로 배치되며, 상기 제2결합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가로 방향으로 제2관통공이 개방 형성된 제2프레임; 을 포함하되,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에는 가이드돌기 또는 가이드레일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에는 나머지 어느 하나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게 가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코너부에는 상기 제1결합부를 따라 세로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며, 가스켓이 삽입 장착되는 제1삽입홈과, 상기 제2결합부를 따라 가로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며 가스켓이 삽입 장착되는 제2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에는 상기 제1삽입홈과 연결되는 제3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에는 상기 제2삽입홈과 연결되는 제4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스켓은 상기 연결구의 상기 제1삽입홈에서 상기 제1프레임의 상기 제3삽입홈까지 연장되어 부착되고, 상기 연결구의 상기 제2삽입홈에서 제2프레임의 상기 제4삽입홈까지 연장되어 부착되어 상기 연결구와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기밀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구를 이용한 창호용 도어 프레임.
A connecting portion comprising a corner portion disposed at a corner portion of the window, a first engaging portion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corner portion,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adjacent to the one end of the corner portion;
A first frame vertically disposed in the corner portion and having a first through hole op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insert the first engaging portion;
A second frame horizontally disposed at the corner portion and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open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engaging portion is inserted and engaged; ≪ / RTI >
Wherein one of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is formed in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nd the other protrusion is formed i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is guided to be slidably moved,
A first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corner portion alo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gasket inserted therein and a second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lateral direction along the second coupling portion, Formed,
Wherein the first frame has a third insertion groove connected 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and the second frame has a fourth insertion groove connected 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The gasket extends from the first insertion groove of the connector to the third insertion groove of the first frame and extends from the second insertion groove of the connector to the fourth insertion groove of the second frame, And the airtightness of the connector and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is improv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이 각각 개방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레일은 2개로 이루어지며,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 사이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제1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구를 이용한 창호용 도어 프레임.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guide rails are respectively opened in the first engaging portion,
Wherein the guide rails are formed of two pieces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first coupling hole into which a bolt is inserted is formed between the guide rails.
삭제delete
KR2020160002859U 2016-05-26 2016-05-26 Connecting member and door frame using same Active KR20048255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859U KR200482557Y1 (en) 2016-05-26 2016-05-26 Connecting member and door frame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859U KR200482557Y1 (en) 2016-05-26 2016-05-26 Connecting member and door frame using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557Y1 true KR200482557Y1 (en) 2017-02-07

Family

ID=58404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859U Active KR200482557Y1 (en) 2016-05-26 2016-05-26 Connecting member and door frame using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557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805B1 (en) 2022-04-08 2022-07-22 주식회사 엔에스폴딩 Multi-Functional Connector for Folding Door and Hinge using it
KR20230002001A (en) * 2021-06-29 2023-01-05 (주)대양이엔아이 Cattrage dry scrubber and exchange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223U (en) * 1999-06-29 1999-10-05 신양재 Small pincer
KR200300535Y1 (en) * 2002-10-04 2003-01-10 김세미 Corner connecter for crime prevention
KR20050107654A (en) 2004-05-10 2005-11-15 김시원 Pad for optical mouse and the method thereof
KR20090105516A (en) * 2008-04-03 2009-10-07 (주)엘지하우시스 Windows with corner airtight gaske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223U (en) * 1999-06-29 1999-10-05 신양재 Small pincer
KR200300535Y1 (en) * 2002-10-04 2003-01-10 김세미 Corner connecter for crime prevention
KR20050107654A (en) 2004-05-10 2005-11-15 김시원 Pad for optical mouse and the method thereof
KR20090105516A (en) * 2008-04-03 2009-10-07 (주)엘지하우시스 Windows with corner airtight gasket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2001A (en) * 2021-06-29 2023-01-05 (주)대양이엔아이 Cattrage dry scrubber and exchange device
KR102586748B1 (en) * 2021-06-29 2023-10-11 (주)대양이엔아이 Cattrage dry scrubber and exchange device
KR102423805B1 (en) 2022-04-08 2022-07-22 주식회사 엔에스폴딩 Multi-Functional Connector for Folding Door and Hinge using 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2557Y1 (en) Connecting member and door frame using same
KR20180055937A (en) Handle for Opening and Closing Sliding Door
US20140096471A1 (en) Cabinet door frame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a cabinet door frame
KR20180086171A (en) Handle for Opening and Closing Sliding Door
KR20190002196U (en) Detachable frame connector
JP2017155408A (en) Window unit connection structure
US9382748B2 (en) Intermediate member for extending the depth of a window or door and window or door constructed with same
KR20190033970A (en) Interlocking sliding door
US20140352218A1 (en) Joints for Shutter Frames and Methods for Forming Same
KR102597669B1 (en) Frame assembly for the inner gate
JP6666218B2 (en) Fitting parts and fittings
JP7061957B2 (en) Joinery
KR101432883B1 (en) A subsidiary window frame
JP4855445B2 (en) Joinery
KR200438493Y1 (en) Window frame assembly
JP2022126044A (en) Fittings
KR100784910B1 (en) Window frame assembly with safety plate
EP1122393B1 (en) Structure for wing and/or frame of a window frame
JP6945280B2 (en) Shoji and its assembly structure and its assembly method
KR200485763Y1 (en) Interlocking closing structure of casement windows consisting of a plurality
KR101628298B1 (en) Window Frame for Improving Heat Insulation and Airtight
JP2021095726A (en) Pull
KR20190042158A (en) Connector of window frame
JP7101603B2 (en) Joinery
KR101441068B1 (en) heat insulated structure of moving frame provided with wind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6052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03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26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60728

AMND Amendment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61130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U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8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X09012R01I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U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26

Patent event code: UX07013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7

Patent event code: UX07012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61130

Patent event code: UX07011S01I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04

Patent event code: UX07012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7020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