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507Y1 - connector - Google Patents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2507Y1 KR200482507Y1 KR2020150003008U KR20150003008U KR200482507Y1 KR 200482507 Y1 KR200482507 Y1 KR 200482507Y1 KR 2020150003008 U KR2020150003008 U KR 2020150003008U KR 20150003008 U KR20150003008 U KR 20150003008U KR 200482507 Y1 KR200482507 Y1 KR 20048250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ng
- clamp
- connector
- integral clamp
- protrus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01R13/5221—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having cable sealing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넥터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커넥터는, 급전선의 자켓과 외부도체를 동시에 고정시키는 일체형 클램프; 상기 일체형 클램프를 내부에 삽입 고정하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급전선의 자켓과 접촉하는 상기 일체형 클램프의 내부 일측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내부 타측에는 급전선의 외부도체와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connecto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nector comprising: an integral clamp for simultaneously fixing a jacket of a feeder wire and an outer conductor;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integral clamp that contacts the jacket of the feeder line and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onductor of the feeder line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tegral clamp, .
Description
본 고안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클램프(Clamp)와 백 너트(Back Nut)를 일체화시킨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in which a clamp and a back nut are integrated.
커넥터는 급전선에 체결되어 장비와 장비 간을 연결시켜주는 무선 통신의 가장 기본적인 자재이다.The connector is the most basic material of wireless communication which is connected to the feeder cable and connects equipment and equipment.
커넥터는 급전선의 형태에 따라, Feeder Type, Smooth Wall Type 등으로 구분되며 상기 급전선의 형태에 따라 체결방식이 달라진다.The connector is classified into a feeder type and a smooth wall ty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eeder line, and the fastening method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eeder line.
이 중 Feeder Type 형태의 급전선은 외부도체가 오목부 및 볼록부가 번갈아 형성된 주름진 관 형상을 하고 있는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Feeder Type 형태의 급전선에 체결되는 커넥터는 백 너트(Back nut), 클램프(Clamp) 및 바디(Body)를 포함할 수 있다.Among them, the feeder type feeder line is most commonly used in which the outer conductor has a corrugated tube shape in which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are alternately formed. The connector to be connected to the feeder type feeder wire is a back nut, a clamp Clamp < / RTI > and Body.
상술한 바와 같이 Feeder Type 형태의 급전선에 체결되는 커넥터는, 우선 자켓의 일부가 제거된 급전선에 가스켓링과 백 너트를 결합한 후, 클램프를 급전선의 외부도체에 고정하고 마지막으로, 바디와 백 너트를 조이는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커넥터와 급전선 간의 보다 자세한 체결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nector fastened to the feeder type feeder wire, first, the gasket ring and the back nut are coupled to the feeder wire from which a part of the jacket is removed, and then the clamp is fixed to the outer conductor of the feeder wire. Finally, It can be fastened in a tightening manner. A detailed procedure of fastening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feeder wir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와 급전선 간의 체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fastening process between a connector and a feeder wi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종래 기술에 따르면, 커넥터와 급전선 간의 체결은 개략적으로 가스켓링 결합단계, 백 너트(Back Nut) 결합단계, 클램프(Clamp) 결합단계, 바디(Body) 결합단계 및 조임단계의 총 5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fastening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feeder line can roughly be divided into five steps: a gasket ring joining step, a back nut joining step, a clamp joining step, a body joining step and a tightening step have.
도 1을 참조하면, 자켓의 일부가 제거된 급전선의 외부에 가스켓링을 끼워넣는다. 이때, 상기 가스켓링은 후술할 바디의 내부로 삽입되어 커넥터 내부로 물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백너트의 내부에도 물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켓링이 삽입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a gasket ring is fitted to the outside of a feeder line from which a part of a jacket is removed. At this time, the gasket ring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a body to be described later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water and dust from penetrating into the connector. Although not shown in FIG. 1, a gasket ring is inserted into the back nut to prevent foreign matter such as water or dust from penetrating into the back nut.
다음으로, 백 너트는 급전선의 외부도체를 삽입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백 너트는 급전선의 외부도체를 삽입 관통하여 설치되므로, 상기 백 너트의 내부 직경은 급전선의 외부도체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백 너트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바디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구와 조임 결합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Next, the back nut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outer conductor of the feeder wire. At this time, since the back nut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outer conductor of the feeder lin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backnut is larger than the outer conductor diameter of the feeder line. In addition,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ck nut and can be coupled with a screw thread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through a tight coupling.
이후, 자켓 일부가 제거되어 드러난 외부도체의 일측 끝부분에 위치하도록 클램프를 상기 외부도체 상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클램프는 외측 일부가 절개된 형태(정면에서 바라보았을 경우 C자 형태)로 탄성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외부도체의 주름진 관의 오목부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는 외부도체의 일측 끝부분에 고정시켜 상기 백 너트가 급전선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외부도체의 일측 끝부분에 고정된 클램프를 중심으로 백너트와 바디가 조여지면서 급전선에서 커넥터가 이탈되지 않는다. Then, the clamp is positioned on the outer conductor so that the jacket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exposed outer conductor. At this time, the clamp may have elasticity in the form of a part of the outer part being cut (C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may be fixed to the concave part of the corrugated pipe of the outer conductor. As described above, the clamp is fixed to one end of the outer conductor to prevent the back nut from deviating from the feed line. More specifically, the back nut and the body are tightened around the clamp fixed to one end of the outer conductor, so that the connector is not detached from the feeder line.
마지막으로, 바디를 백 너트에 결합시키고 조임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바디와 백 너트를 조임으로써 커넥터를 완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디와 백 너트를 결합하여 커넥터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구성의 조임을 위한 별도의 조임 장치가 필요하므로 결합 간에 번거로움이 발생한다.Finally, the connector can be completed by fastening the body to the back nut and fastening the body and back nut using fasteners. At this time, in order to complete the connector by combining the body and the back nut, a separate tightening device for tightening the structure is required, so that there is a complication among the assemblies.
또한, 커넥터의 주요 인장력이 클램프가 고정되어 있는 급전선의 외부도체에 발생하는데, 상기 외부도체의 재질 및 형태에 따라 급전선과 커넥터 간의 이탈/파단현상이 발생하므로 상술한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특성에 맞는 커넥터를 구분해서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In addition, the main tensile force of the connector is generated in the outer conductor of the feeder line to which the clamp is fixed. In ord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phenomenon described above, the feeder wire and the connector are separated or broken according to the material and the shape of the outer conductor. It is troublesome to use a connector different from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nector.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클램프와 백 너트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일체형 클램프를 구비하여 커넥터와 급전선 간의 체결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커넥터와 급전선 간의 인장력을 강화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egrated clamp in which a clamp and a back nut are integrally formed to simplify a fastening process between a connector and a feeder line,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and attain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thereof.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커넥터는 급전선의 자켓과 외부도체를 동시에 고정시키는 일체형 클램프; 상기 일체형 클램프를 내부에 삽입 고정하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급전선의 자켓과 접촉하는 상기 일체형 클램프의 내부 일측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내부 타측에는 급전선의 외부도체와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nector comprising: an integral clamp for simultaneously fixing a jacket of a feeder wire and an outer conductor;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integral clamp that contacts the jacket of the feeder line and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onductor of the feeder line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tegral clamp, .
상기 일체형 클램프의 양 끝단에는 외측 바깥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 사이에는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At both ends of the integral clamp,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outward outer direction, and recesses may be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s.
상기 바디의 내부에는 C링이 삽입되고, 상기 일체형 클램프와 바디의 결합 시, 상기 C링은 상기 일체형 클램프의 외부에 형성된 상기 오목부에 결합될 수 있다.A C-ring is inserted into the body, and when the integral clamp and the body are coupled, the C-ring can be coupled to the reces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integral clamp.
상기 돌기의 일측에는 상기 C링의 삽입을 가이드하기 위해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A guide formed to be sloped to guide the insertion of the C-ring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projection.
상기 돌기의 가이드부와 접촉하는 상기 C링의 일측은 상기 가이드부와 대응되게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C-ring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guide portion of the projection may be inclin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guide portion.
상기 C링은 탄성을 가질 수 있다.The C-ring may have elasticity.
케이블이 삽입되는 방향의 상기 바디의 끝단 내면 둘레에는 가스켓링의 결합시 상기 가스켓링을 압박하는 가스켓링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A gasket ring protrusion for pressing the gasket ring when the gasket ring is engaged may be formed around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of the bod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ble is inserted.
상기 가스켓링 돌기는 바디의 내부로 향할수록 돌출되도록 경사진 형태일 수 있다.The gasket ring protrusion may be inclined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체결을 위한 별도의 장비가 필요없으며, 체결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apparatus for fastening, and the fasten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또한, 커넥터와 급전선 간의 인장력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ensile force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feeder line can be enhanced.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들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와 급전선 간의 체결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다른 바디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와 급전선 간의 체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specific details for implementing the invention, And shall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matters described.
FIG. 1 is a view showing a fastening process between a connector and a feeder wi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nother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fastening a connector and a feeder w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ill b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iqu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ddition, the term "Quot; and " part "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디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는 일체형 클램프(100), 바디(200) 및 가스켓링(3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일체형 클램프(100)는 내부의 양측이 서로 다른 형상을 구비한다.The
예컨대,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의 급전선의 자켓(410)과 접촉하는 내부 일측은 다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타측은 급전선의 외부도체(430)와 대응하는 형상이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이에 따라,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를 급전선에 체결할 경우,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의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내부 일측은 급전선의 자켓(410)을 압박하여 고정하고, 내부 타측은 급전선의 외부도체(430)와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하므로 일체형 클램프(100)와 급전선의 외부도체(430)를 밀착 결합시킨다.Accordingly, when the
따라서,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는 상기 급전선의 자켓(410)과 외부도체(430)를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는 급전선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한 형태가 같은 두 개의 결합을 통해 완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또한,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의 급전선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외부 양 끝단에는 돌기(110)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110) 사이에는 오목부(130)가 형성된다.In addition,
구체적으로,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의 급전선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외부 양 끝단의 둘레에는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돌기(1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110)의 사이에는 일정 깊이를 가지는 오목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a
이때, 상기 돌기(110)의 일측에는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형태의 가이드부(1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타측은 직각의 각도를 갖는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오목부(130)의 방향으로 형성된 돌기(110)의 타측은 직각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130)의 외측 방향으로 형성된 돌기(110)의 일측은 일정한 각도로 경상진 형태의 가이드부(150)를 구비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즉, 상기 돌기(110)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부(150)를 통해 후술할 바디(200)의 내부에 삽입된 C링(230)의 삽입을 가이드할 수 있어, 바디(200)와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의 결합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110)의 타측은 직각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의 오목부(130)에 C링(230)이 삽입되면 별도의 장치를 통해 제거하지 않는 이상 C링(230)은 돌기(110)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C링(230)을 포함하는 바디(200)는 일체형 클램프(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That is, the insertion of the C-
상술한 바와 같이 일체형 클램프(100)에 돌기(110)를 형성함으로써, 후술할 바디(200)와의 결합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바디(200)가 일체형 클램프(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By forming the
바디(200)는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를 내부에 삽입 고정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는 C링(230)을 포함한다.The
C링(230)은 상기 바디(200)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어, 바디(200)와 일체형 클램프(100)의 체결을 견고히 한다. 이때, C링(230)의 길이는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의 오목부(130)의 급전선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길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C-
또한, 상기 C링(230)은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에 체결될 경우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에 형성된 돌기(110)를 지나 오목부(130)에 결합되므로,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C-
그리고, 상기 C링(230)의 양 끝단 즉,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의 돌기(110)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부(150)와 접촉하는 부분은 상기 돌기(110)의 가이드부(150)와 대응되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C링(230)의 양 끝단을 상기 돌기(110)의 가이드부(150)와 대응되게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C링(230)이 일체형 클램프(100)의 돌기(110)에 의해 저지되지 않으므로 상기 C링(230)을 포함하는 바디(200)와 일체형 클램프(100)의 결합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The portion of the C-
또한, 상기 바디(200)의 케이블이 삽입되는 방향의 끝단 내면 둘레에는 가스켓링 돌기(210)가 형성될 수 있다.Also, a
상기 가스켓링 돌기(210)는 가스켓링(300)이 바디(200)의 내부로 삽입될 경우, 상기 가스켓링(300)이 상기 가스켓링 돌기(210)에 압박되어 방수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스켓링 돌기(210)는 바디(200)의 내부로 향할수록 돌출되도록 경사진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가스켓링(300)은 상기 바디(2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커넥터 내부로 물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가스켓링(300)은 물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이면 관계없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고무 재질인 것으로 설명한다.The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와 급전선 간의 체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fastening a connector and a feeder w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커넥터와 급전선의 체결은 개략적으로 가스켓링(300) 결합단계, 일체형 클램프(100) 결합단계 및 바디(200) 결합단계의 총 3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astening of the connector and the feeder line can roughly be divided into three steps, namely, the step of joining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자켓(410) 일부가 제거된 급전선의 외부에 가스켓링(300)을 끼워넣는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가스켓링(300)은 자켓(410) 일부를 제거하여 드러난 외부도체(430)의 후면에 위치하는 자켓(410) 상에 끼워넣어 후술할 바디(200)와 밀착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first, the
이때, 상기 가스켓링(300)은 바디(2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커넥터 내부로 물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At this time, the
다음으로, 일체형 클램프(100)를 급전선에 결합한다.Next, the
이때,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는 내부의 양측이 서로 다른 형상을 구비한다. 예컨대,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의 급전선의 자켓(410)과 접촉하는 내부 일측은 다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타측은 급전선의 외부도체(430)와 대응하는 형상이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이에 따라,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를 급전선에 체결할 경우,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의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내부 일측은 급전선의 자켓(410)을 압박하여 고정하고, 내부 타측은 급전선의 외부도체(430)와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하므로 일체형 클램프(100)와 급전선의 외부도체(430)는 밀착 결합된다.Accordingly, when the
따라서,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는 상기 급전선의 자켓(410)과 외부도체(430)를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는 급전선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한 형태가 같은 두 개의 결합을 통해 완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또한,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의 급전선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외부 양 끝단에는 돌기(110)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110) 사이에는 오목부(130)가 형성된다.In addition,
구체적으로,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의 급전선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외부 양 끝단의 둘레에는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돌기(1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110)의 사이에는 일정 깊이를 가지는 오목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a
이때, 상기 돌기(110)의 일측에는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형태의 가이드부(1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타측은 직각의 각도를 갖는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오목부(130)의 방향으로 형성된 돌기(110)의 타측은 직각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130)의 외측 방향으로 형성된 돌기(110)의 일측은 일정한 각도로 경상진 형태의 가이드부(150)를 구비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즉, 상기 돌기(110)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부(150)를 통해 후술할 바디(200)의 내부에 삽입된 C링(230)의 삽입을 가이드할 수 있어, 바디(200)와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의 결합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110)의 타측은 직각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의 오목부(130)에 C링(230)이 삽입되면 별도의 장치를 통해 제거하지 않는 이상 C링(230)은 돌기(110)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C링(230)을 포함하는 바디(200)는 일체형 클램프(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That is, the insertion of the C-
상술한 바와 같이 일체형 클램프(100)에 돌기(110)를 형성함으로써, 후술할 바디(200)와의 결합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바디(200)가 일체형 클램프(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By forming the
마지막으로,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에 바디(200)를 결합한다.Finally, the
상기 바디(200)는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를 내부에 삽입 고정하며, 내부에는 C링(230)을 포함한다.The
상기 C링(230)은 상기 바디(200)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어, 바디(200)와 일체형 클램프(100)의 체결을 견고히 한다. 이때, C링(230)의 길이는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의 오목부(130)의 급전선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길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C-
또한, 상기 C링(230)은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에 체결될 경우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에 형성된 돌기(110)를 지나 오목부(130)에 결합되므로,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C-
그리고, 상기 C링(230)의 양 끝단 즉, 상기 일체형 클램프(100)의 돌기(110)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부(150)와 접촉하는 부분은 상기 돌기(110)의 가이드부(150)와 대응되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C링(230)의 양 끝단을 상기 돌기(110)의 가이드부(150)와 대응되게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C링(230)이 일체형 클램프(100)의 돌기(110)에 의해 저지되지 않으므로 상기 C링(230)을 포함하는 바디(200)와 일체형 클램프(100)의 결합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The portion of the C-
또한, 상기 바디(200)의 케이블이 삽입되는 방향의 끝단 내면 둘레에는 가스켓링 돌기(210)가 형성될 수 있다.Also, a
상기 가스켓링 돌기(210)는 가스켓링(300)이 바디(200)의 내부로 삽입될 경우, 상기 가스켓링(300)이 돌기(110)에 압박되어 방수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스켓링 돌기(210)는 바디(200)의 내부로 향할수록 돌출되도록 경사진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는, 클램프와 백 너트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일체형 클램프(100)를 구비하므로 커넥터와 급전선 간의 체결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급전선의 탈피작업 이외에는 체결 과정간에 공구가 필요하지 않아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one-
또한, 일체형 클램프(100)가 급전선의 자켓(410)과 외부도체(430)를 동시에 잡아주는 구조로 되어있어 커넥터와 급전선 간의 인장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and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일체형 클램프
110 : 돌기
130 : 오목부
150 : 가이드부
200 : 바디
210 : 가스켓링 돌기
230 : C링
300 : 가스켓링
410 : 자켓
430 : 외부도체100: One-piece clamp
110: projection
130:
150: guide portion
200: Body
210: gasket ring projection
230: C ring
300: gasket ring
410: Jacket
430: outer conductor
Claims (8)
상기 일체형 클램프를 내부에 삽입 고정하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급전선의 자켓과 접촉하는 상기 일체형 클램프의 내부 일측에는 다수의 제 1 돌기가 형성되고, 내부 타측에는 상기 급전선의 외부도체와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하며,
상기 일체형 클램프의 양 끝단에는 외측 바깥방향으로 제 2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돌기 사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내부에는 C링이 삽입되고,
상기 일체형 클램프와 상기 바디의 결합 시, 상기 C링은 상기 일체형 클램프의 외부에 형성된 상기 오목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 2 돌기의 일측에는 상기 C링의 삽입을 가이드하기 위해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돌기의 상기 가이드부와 접촉하는 상기 C링의 일측은 상기 가이드부와 대응되게 경사지게 형성되며,
케이블이 삽입되는 방향의 상기 바디의 끝단 내면 둘레에는 가스켓링의 결합시 상기 가스켓링을 압박하는 가스켓링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스켓링 돌기는 상기 바디의 내부로 향할수록 돌출되도록 경사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An integral clamp for simultaneously fixing the jacket of the feeder wire and the outer conductor;
And a body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integral clamp,
A plurality of first projections are formed on an inner side of the integral clamp which contacts the jacket of the feeder line and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onductor of the feeder line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integral one,
A second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er side in the outer side of the integral clamp, a recess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protrusions,
A C-ring is inserted into the body,
Wherein when the integral clamp and the body are coupled, the C-ring is coupled to the recess formed on the exterior of the integral clamp,
A guide formed to be sloped to guide insertion of the C ring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econd projection,
One side of the C-ring,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guide portion of the second projection, is inclin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guide portion,
A gasket ring protrusion for pressing the gasket ring is formed around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of the bod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ble is inserted,
Wherein the gasket ring protrusion is inclined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상기 C링은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ring has elasticit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3008U KR200482507Y1 (en) | 2015-05-11 | 2015-05-11 |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3008U KR200482507Y1 (en) | 2015-05-11 | 2015-05-11 | connec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3975U KR20160003975U (en) | 2016-11-21 |
KR200482507Y1 true KR200482507Y1 (en) | 2017-02-02 |
Family
ID=57708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3008U Expired - Fee Related KR200482507Y1 (en) | 2015-05-11 | 2015-05-11 | conne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2507Y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270032A1 (en) | 2006-05-18 | 2007-11-22 | Kim Eriksen | Sleeve for securing a cable in a connector |
CN202094347U (en) | 2011-04-13 | 2011-12-28 | 江苏荣联科技发展股份有限公司 | Radio frequency coaxial connector of aluminium alloy smooth bar cable |
CN203250863U (en) | 2013-02-06 | 2013-10-23 | 陕西华达电子科技有限公司 | Radio frequency coaxial connector for matching annular bellows or smooth tube cabl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3744B1 (en) | 2009-03-23 | 2011-06-27 | 주식회사 텔콘 | RF cable connector |
KR101310396B1 (en) * | 2011-12-30 | 2013-09-17 | 손호원 | Connector |
-
2015
- 2015-05-11 KR KR2020150003008U patent/KR200482507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270032A1 (en) | 2006-05-18 | 2007-11-22 | Kim Eriksen | Sleeve for securing a cable in a connector |
CN202094347U (en) | 2011-04-13 | 2011-12-28 | 江苏荣联科技发展股份有限公司 | Radio frequency coaxial connector of aluminium alloy smooth bar cable |
CN203250863U (en) | 2013-02-06 | 2013-10-23 | 陕西华达电子科技有限公司 | Radio frequency coaxial connector for matching annular bellows or smooth tube cab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3975U (en) | 2016-1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91323B2 (en) | Waterproof connector | |
US20120142214A1 (en) | Connector | |
CN106463925B (en) | Electrical equipment | |
US20130056256A1 (en) | Cable Junction | |
ITMI940351A1 (en) | PLUG-IN CONNECTOR FOR COAXIAL CABLE WITH EXTERNAL CORRUGATED TUBE CONDUCTOR | |
CN102823068A (en) | Cabl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a cable to a cable connection system | |
CA2830104A1 (en) | Flexible metal conduit to electrical metallic tubing/rigid conduit transition coupler | |
US7285013B1 (en) | Terminal fitting, a method of crimping it and a positioning jig | |
JP6590853B2 (en) | Connector waterproof structure | |
JP6604516B2 (en) | Waterproof connector | |
US20170098906A1 (en) | Fluidproof connector | |
EP2768088A1 (en) | Shield connector | |
WO2018148814A1 (en) | Connector for an optical fibre cable and jaw for an optical fibre cable | |
US20160118743A1 (en) | Connector for cable connection | |
KR200482507Y1 (en) | connector | |
US20130140075A1 (en) | Wire fixing member | |
KR101768822B1 (en) | Coupler for connecting electric wire | |
EP2593996B1 (en) | Connecting device for electrical junction boxes | |
KR101095471B1 (en) | Cable connection structure | |
KR20160000451U (en) | The connector of electric cable pipe | |
US20170141512A1 (en) | Electric Device | |
JP2011175775A (en) | Connector device | |
WO2017047468A1 (en) | Shield connector | |
WO2019239906A1 (en) | Waterproof structure for multicore wire | |
KR20100133887A (en) | Wiring Pipe Conne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U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UG1501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24012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126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