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379Y1 - Supporting post - Google Patents
Supporting pos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2379Y1 KR200482379Y1 KR2020160001528U KR20160001528U KR200482379Y1 KR 200482379 Y1 KR200482379 Y1 KR 200482379Y1 KR 2020160001528 U KR2020160001528 U KR 2020160001528U KR 20160001528 U KR20160001528 U KR 20160001528U KR 200482379 Y1 KR200482379 Y1 KR 20048237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be
- pipe
- height
- base
- adjus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1—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pi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a threaded n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바리에 관한 것으로서, 장공(112)이 형성되고 조절나사부(111)가 상단부에 구비되는 베이스관(110); 상기 베이스관(110)에 삽입 배치되어 높낮이 조절용으로 사용되고, 다수의 핀구멍(121)이 간격 형성되는 파이프형 높낮이조절관(120); 상기 베이스관(110)이 갖는 조절나사부(111)의 장공(112)과 높낮이조절관(120)의 핀구멍(121)에 관통 삽입되어 높낮이조절관(120)을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고정핀(130); 상기 베이스관(110)의 조절나사부(111)에 나사 체결되고 고정핀(13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조절핸들구(140);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관(110)의 조절나사부(111)는 상단부에 대해 직경을 축소시킨 축관부(111a)를 형성하고, 상기 높낮이조절관(120)의 하단부는 직경을 확대시킨 확관부(120a)를 형성하며, 상기 높낮이조절관(120)의 핀구멍(121)은 천공 형성하여 깔끔하고 매끈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펀칭금형을 이용하여 천공방식으로 핀구멍을 형성하므로 깔끔하고 매끈하게 형성하면서 다각형상으로 처리 또한 가능하고 고정핀의 체결시 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바리의 수직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등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용이한 가설작업을 가능하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ench, comprising: a base tube (110) in which a long hole (112) is formed and an adjustment screw (111) is provided at an upper end; A pipe type height-adjusting pipe 120 inserted in the base pipe 110 and used for height adjustment, and having a plurality of pin holes 121 formed therein; The fixing pin 130 is inserted into the hole 112 of the adjusting screw 111 of the base pipe 110 and the pin hole 121 of the height adjusting pipe 120 to fix the height adjusting pipe 120. ); And an adjusting handle 140 screwed to the adjusting screw 111 of the base tube 110 and supporting the fixing pin 130 at the lower portion of the adjusting screw 111. The adjusting screw 111 of the base tube 110 And the lower end of the elevation control tube 120 is formed with an expanded tube portion 120a having an enlarged diameter and the lower end of the elevation control tube 120 is formed with a pin hole 121 are perforated to be neat and sm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in holes are formed by the punching method using the punching mold, it can be processed in a polygonal shape while being clean and smooth,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rotation when fastening pins are fastened. And durability can be improved, 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an easy installation work.
Description
본 고안은 거푸집이나 버팀목 등의 지지 및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가설부재인 동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설시 수직상태를 지속적이면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안전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조립은 물론 사용 후 해체 작업까지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동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vering member used as a hiding member used for supporting a form or a strut, and more particularly, to improve stability and durability such that a vertical state can be maintained continuously and stably during a hurdle. So that it can be easily carried out from assembly to disassembly work.
일반적으로 동바리는 건축 토목용으로 주로 많이 사용되는 가설부재로서, 거푸집 등을 지지하는 기둥형 서포트(support)이며, 거푸집 위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소정의 강도를 얻기까지 고정하중 및 시공하중 등을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가설부재이다.Generally, a torsion bridge is a columnar support that supports a formwork and is used widely for construction civil engineering. It is used to support a fixed load and a construction load until the concrete placed on the formwork has a predetermined strength Is a hypothetical member to be installed.
또한, 동바리는 조선소 등 각종 산업현장에 적용되어 지지구조물의 하중 등을 지지하는데에도 사용되고 있다.Also, it is applied to various industrial sites such as shipyards and is used to support loads of supporting structures.
이러한 종래 동바리는 하부받이판을 하단에 구비하고 장공을 갖는 조절나사부를 상단부에 구비한 파이프형 외관과, 상기 외관에 삽입 배치되어 높낮이 조절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높낮이 조절에 사용하기 위한 다수의 핀구멍이 길이방향으로 간격 형성되고 상부받이판을 상단에 구비하는 파이프형 내관과, 상기 내관을 높낮이 조절한 상태에 외관이 갖는 조절나사부의 장공과 내관의 핀구멍에 동시 삽입되어 내관의 높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과, 상기 외관의 조절나사부에 나사 체결되고 고정핀을 하부에서 떠받쳐 지지하는 조절핸들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conventional tongs are provided with a pipe-shaped outer tube having a lower receiving plate at its lower end and an adjusting screw having an elongated hole at its upper end, and a plurality of pin holes inserted in the outer tube for use in adjusting the height, A pipe-shaped inner tube which is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an upper receiving plate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 pipe-shaped inner pipe which is provided at an upper end thereof and which is inserted into a slot of the adjusting screw portion having an outer appearance, And a control handle which is screwed to the adjustment screw portion of the outer tube and supports the fixing pin on the lower portion.
하지만,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 동바리에 있어서는 내관에 형성되는 핀구멍을 드릴로 뚫어 사용하고 있는데, 이때 회전력을 갖는 드릴을 이용하므로 철가루가 많이 발생되어 작업환경이 좋지 않을뿐더러 뚫린 구멍에 버 등이 발생되어 거칠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드릴로 핀구멍을 형성하므로 원형으로밖에 형성할 수 없어 고정핀이 회전하게 되므로 조립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드릴 작업에 의한 핀구멍들에 있어 센터가 맞지않는 경우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높낮이가 맞지않아 고정핀을 삽입 고정한 후 조절핸들구를 조이면 수직 상태를 나오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drill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drill is used to drill the pin hole formed in the inner pipe. Since a drill having a rotational force is used at this time, a large amount of iron powder is generat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formed roughly, and since the pin hole is formed by the drill, the pin can be formed only in a circular shape, and the fixing pin is rotated, so that the assembling property may be lowered. The fixing pin is inserted and fixed and the adjustment handle can not be turned out when the adjustment handle is tightened.
또한, 상기 외관에 삽입 배치되어 연결되는 내관은 체결부위인 조절나사부와 유격이 형성되므로 흔들림이 발생하는 등 수직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휨 등 변형을 초래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ner tube connected to the outer tube and connected to the outer tube has an adjusting thread portion and a clearance which are the fastening portions,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vertical state constantly, such as shaking.
덧붙여, 상기 고정핀을 고정한 후 이를 하부 떠받쳐 지지하도록 조절핸들구를 나사 조립시 안정된 고정상태의 유지를 위해 망치를 사용하여 강한 결합력을 부여하고 있는데, 조립 및 해체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adjusting handle is screwed so as to support the fixing pin after fixing the fixing pin, a strong coupling force is provided by using a hammer to maintain a stable fixing stat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when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한편, 상기 동바리에 관한 종래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44361호에서는 "하단에 고정판이 형성된 고정볼트의 수나사부에 회전너트의 암나사를 나사조립하고 회전너트의 암나사관 외주에 환상고정홈을 형성하고 환상고정홈 하측 외주에 직경이 확대되면서 환상으로 돌출되는 회전대를 형성하여 그 위에 회전링을 얹어 환상고정홈과 회전링 내측상면 사이에 걸쳐지도록 스넵링을 끼워 회전링을 지지시키고 회전링 상면에 동바리 본체의 하단부를 접착하고 회전너트 외면에 핸들을 부착하여서 되는 건축용 동바리"의 구성을 제안 및 개시하고 있다.[0004] In the conventional art, there has been proposed a method of attaching a female screw of a rotary nut to a male screw portion of a fixing bolt having a fixing plate formed at the lower end thereof, And a rotating ring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annular fixing groove so as to protrude in an annular shape with its diameter enlarged. A rotating ring is placed on the rotating ring, and the rotating ring is supported by interposing a snap ring so as to span between the annular fixing groove and the inner side of the rotating ring And a handlebar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ry nut by adhering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rotary barrel main body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ry ring ".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 등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핀구멍에 대해 펀칭금형을 이용한 펀칭방식에 의해 천공함으로써 깔끔하고 매끈한 처리를 가능하게 하면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다각 구조의 적용을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동바리에 체결 고정된 고정핀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체결력 저하를 방지 및 안정성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하며, 베이스관(외관)의 조절나사부와 높낮이조절관(내관) 사이에 발생되던 유격을 없앨 수 있도록 하여 수직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 및 휨 변형을 방지하는 등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동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form various shapes while allowing clean and smooth processing by punching the pin holes by a punching method using a punching mold, The rotation of the fixing pin fastened and fastened to the shaft can be prevented so that the fastening force can be prevented from decreasing and the stability can be ensured. Also, the adjustment screw portion of the base tube (outer tube) and the height adjusting tub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mbbell which is capable of maintaining durability such as maintaining a vertical state and preventing warpage.
본 고안은 구조 개선을 통해서 기존에 비해 동바리의 가설을 위한 조립과 사용 후 해체 작업까지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동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is design is to provide a construction that can be easily carried out for assembling and dismantling work for the construction of the tramp compared to the existing ones through improvement of the structur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동바리는, 장공(112)이 형성되고 외면에 나사산을 갖는 조절나사부(111)가 상단부에 위치하여 일체로 구비되는 파이프형 베이스관(110); 상기 베이스관(110)에 상측 방향에서 삽입 배치되어 높낮이 조절용으로 사용되고,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핀구멍(121)이 간격 형성되는 파이프형 높낮이조절관(120); 상기 높낮이조절관(120)을 베이스관(110) 상에서 높낮이 조절한 상태에 베이스관(110)이 갖는 조절나사부(111)의 장공(112)과 높낮이조절관(120)의 핀구멍(121)에 관통 삽입되어 높낮이조절관(120)을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고정핀(130); 상기 베이스관(110)의 조절나사부(111)에 나사 체결되고 고정핀(130)을 하부에서 떠받쳐 지지하는 조절핸들구(140);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관(110)의 조절나사부(111)는 상단부에 대해 직경을 축소시킨 축관부(111a)를 형성하여 높낮이조절관(120)과의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높낮이조절관(120)의 하단부는 직경을 확대시킨 확관부(120a)를 형성하여 베이스관(110)과의 사이에 지지력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직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높낮이조절관(120)의 핀구멍(121)은 펀칭금형을 이용한 펀칭방식으로 천공 형성하여 깔끔하고 매끈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ubular base pipe (110) having an elongated hole (112) and an adjusting screw portion (111) A pipe type
여기에서, 상기 베이스관(110)의 내부 하측에는 탄성지지체(150)를 삽입 배치하여 베이스관(110)에 삽입 배치되는 높낮이조절관(120)의 하면을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동바리의 가설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여기에서, 상기 조절핸들구(140)는, 하부에 육각너트 몸체를 일체로 갖는 육각너트부(141)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여 스패너를 이용한 조립과 해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작업에 따른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여기에서, 상기 핀구멍(121)은 사각이나 육각을 비롯한 다각 구조로 형성하여 상기 고정핀(130)의 체결 고정시 회전을 방지하여 체결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본 고안에 따르면, 핀구멍을 펀칭금형을 이용한 펀칭방식에 의해 천공하므로 기존 드릴방식에 비해 깔끔하고 매끈한 처리를 가능하게 하면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다수 형성하는 핀구멍들에 대해 센터 배열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 및 수직상태 배열을 용이하게 하며, 특히 다각 구조를 적용시 동바리에 체결 고정된 고정핀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어 체결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in holes are punched by a punching method using a punching mold, various shapes can be formed while allowing a neat and smooth process to be performed as compared with existing drilling methods. It is easy to form and vertically arrange it easily. In particular, when a polygonal structure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otation of the fixing pin fastened and fixed to the rotor, thereby providing a useful effect of preventing the deterioration of the fastening force.
본 고안은 베이스관의 조절나사부에 축관부를 구비하고 높낮이조절관에 확관부를 구비함에 따라 높낮이조절관과의 체결부위에 발생되던 사이 유격을 없앨 수 있어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상호간에 지지력을 갖도록 할 수 있어 수직상태를 안정되게 유지 및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휨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등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안전한 동바리를 제공할 수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xial tube portion in the adjustment screw portion of the base tube and has an expansion portion in the height adjustment tub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clearance between the joint portion with the height adjustment tube so as to prevent shaking,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vertical state stably and continuously, to prevent the warp deformation, and to improve the durability and to provide a safe shore.
본 고안은 동바리의 가설을 위한 조립과 사용 후 해체 작업까지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is design can provide a useful effect that can be performed more conveniently from assembly to disassembly for disassembly and disassembly after use.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동바리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동바리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동바리에 있어 요부 단면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동바리를 설치한 사용 상태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main portion in a tr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orsetail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고안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고안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동바리(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이프형 몸체를 갖는 베이스관(110)과 높낮이조절관(120), 고정핀(130), 조절핸들구(140), 탄성지지체(1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to 4, a
상기 베이스관(110)은 일정 길이를 갖는 파이프형 몸체로서, 상하 길이방향으로 장공(112)이 형성되고 외나사산을 갖는 조절나사부(111)가 파이프형 몸체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일체로 구비된다.The
이때, 상기 베이스관(110)의 조절나사부(111)는 상단부에 대해 하부보다 직경을 축소시킨 축관부(111a)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베이스관(110)에 삽입 배치되는 높낮이조절관(120)과의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토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The adjusting
상기 축관부(111a)는 조절나사부(111)의 상단부 약 20~30mm 부분을 직경 축소시켜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상기 높낮이조절관(120)과의 유격을 없애 좀더 밀착 지지할 수 있어 흔들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수직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측에서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휨 등의 변형이 쉽게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여기에서, 상기 베이스관(110)의 하면에는 플레이트부재인 하부받침판(162)이 고정 결합된다.Here, a
상기 높낮이조절관(120)은 일정 길이를 갖는 파이프형 몸체로서, 상기 베이스관(110)의 내부로 삽입 가능하도록 구비된다.The
이때, 상기 높낮이조절관(120)의 하단부는 직경을 확대시킨 확관부(120a)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상기 베이스관(110)과의 사이에 지지력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직상태를 안정되고 용이하게 유지토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end of the
또한, 상기 높낮이조절관(120)은 상기 베이스관(110)에 상측 방향에서 삽입 배치되어 동바리(100)의 전체적인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용으로 사용되며, 고정핀(130)의 삽입 고정에 사용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핀구멍(121)이 간격 형성된다.The
여기에서, 상기 핀구멍(121)은 기존 드릴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펀칭금형을 이용한 펀칭방식으로 천공하여 형성함으로써 철가루나 버 등이 발생되지 않게 하는 등 깔끔하고 매끈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센터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하며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Here, the
여기에서, 상기 핀구멍(121)은 펀칭방식으로 천공하여 형성함으로써 원형이나 사각 또는 육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Here, the
특히, 상기 핀구멍(121)은 원형이 아닌 사각이나 육각을 비롯한 다각 구조로 형성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다각 구조의 적용을 통해 상기 고정핀(130)을 삽입하여 체결 고정시 체결된 고정핀(130)의 회전을 방지하여 체결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particular,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여기에서, 상기 핀구멍(121)은 펀칭금형에 높낮이조절관(120)을 일정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한 상태에 펀칭하여 2~3개씩 천공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으며, 때로는 높낮이조절관(120)에 일정 간격으로 한번에 다수를 펀칭으로 천공하여 형성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The
여기에서, 상기 높낮이조절관(120)의 상면에는 플레이트부재인 상부받침판(164)이 고정 결합된다.Here, the
상기 고정핀(130)은 상기 높낮이조절관(120)을 베이스관(110) 상에서 높낮이 조절한 상태에 베이스관(110)이 갖는 조절나사부(111)의 장공(112)과 높낮이조절관(120)의 어느 하나의 핀구멍(121)에 맞춰 관통 삽입함에 의해 위치 조정한 높낮이조절관(120)을 고정 배치하는데 사용된다.The
이때, 상기 고정핀(130)은 상기 핀구멍(12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한데, 도시한 바와 같이 핀구멍(121)이 사각형상일 경우 사각몸체로 구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조절핸들구(140)는 대략 링 형상의 몸체이되 외면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를 갖는 구성으로서, 내나사산이 형성된다.The
이때, 상기 조절핸들구(140)는 상기 베이스관(110)의 조절나사부(111)에 나사 체결하되, 체결 고정된 고정핀(130)을 하부에서 떠받쳐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수직상태 및 높낮이 조절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At this time, the
여기에서, 상기 조절핸들구(140)는 링 형상 몸체의 하부에 육각너트 몸체를 일체로 추가 형성함으로써 육각너트부(141)를 포함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상기 육각너트부(141)를 통해 망치를 사용하지 않고 스패너를 이용하여 상기 조절핸들구(140)를 조절나사부(111) 측에 보다 쉽게 조립과 해체를 가능하게 한 것이며, 작업에 따른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다.The adjusting
상기 탄성지지체(150)는 상기 베이스관(110)의 내부 하측에 삽입 배치하여 베이스관(110)에 삽입 배치되는 높낮이조절관(120)의 하면을 탄성 지지하도록 구비된다.The
이때, 상기 탄성지지체(150)로는 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높낮이조절관(120)을 지탱할 수 있도록 적정한 압력을 갖게 함이 바람직하며, 동바리(100)의 가설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 수직 상태를 유지토록 할 수 있다.The
이와 같은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동바리(1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 개를 설치하여 거푸집이나 버팀목(1) 등을 지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내구성 있는 개선 구조를 제공하므로 하중의 작용에도 수직상태를 지속적이면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견고함을 발휘할 수 있고 휨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또한, 핀구멍(121)을 다각 구조로 형성시 동바리(100)에 체결 고정된 고정핀(13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어 기존에 비해 체결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기존에 비해 동바리의 가설을 위한 조립과 사용 후 해체 작업까지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a specific embodimen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100: 동바리 110: 베이스관
111: 조절나사부 111a: 축관부
112: 장공 120: 높낮이조절관
120a: 확관부 121: 핀구멍
130: 고정핀 140: 조절핸들구
141: 육각너트부 150: 탄성지지체
162: 하부받침판 164: 상부받침판100: Divers 110: Base tube
111: adjusting
112: long hole 120: height adjustment pipe
120a: Expansion part 121: Pin hole
130: fixing pin 140: adjusting handle
141: hexagonal nut part 150: elastic support
162: lower support plate 164: upper support plate
Claims (4)
상기 베이스관(110)의 조절나사부(111)는 상단부에 대해 직경을 축소시킨 축관부(111a)를 형성하여 높낮이조절관(120)과의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높낮이조절관(120)의 하단부는 직경을 확대시킨 확관부(120a)를 형성하여 베이스관(110)과의 사이에 지지력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직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높낮이조절관(120)의 핀구멍(121)은 펀칭금형을 이용한 펀칭방식으로 천공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관(110)의 내부 하측에는 탄성지지체(150)를 삽입 배치하여 베이스관(110)에 삽입 배치되는 높낮이조절관(120)의 하면을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동바리의 가설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조절핸들구(140)는,
하부에 육각너트 몸체를 일체로 갖는 육각너트부(141)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여 스패너를 이용한 조립과 해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A pipe type base pipe 110 formed with an elongated hole 112 and an adjusting screw portion 111 having a screw thread on the outer surface, A pipe type height adjusting pipe 120 inserted into the base pipe 110 from above to be used for height adjustment and having a plurality of pin holes 121 formed in the length direction thereof; The height of the height adjusting tube 120 is adjusted on the base tube 110 and the length of the adjusting screw portion 111 of the base tube 110 and the height of the hole 121 of the height adjusting tube 120 A fixing pin 130 used to fix the height adjusting tube 120 by being inserted therethrough; An adjustment handle 140 screwed to the adjustment screw 111 of the base tube 110 and supporting the fixing pin 130 from the lower side; In the cour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justment screw portion 111 of the base tube 110 is formed with a shaft portion 111a whose diameter is reduced with respect to the upper end portion to prevent a gap from being formed between the adjustment screw portion 111 and the height adjustment tube 120,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20 is formed with an expanded tube 120a having a larger diameter so as to have a support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base tube 110 so that the vertical state can be stably maintained,
The pin hole 121 of the elevation control tube 120 is formed by punching using a punching mold,
The elastic supporting body 150 is inserted into the base pipe 110 to elastically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pipe 120 inserted in the base pipe 110, So that the vertical state can be maintained,
The adjustment handle (140)
And a hexagonal nut portion (141) having a hexagonal nut body integrally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which enables assembly and disassembly using a spanner.
상기 핀구멍(121)은 다각 구조로 형성하여 상기 고정핀(130)의 체결 고정시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in hole (121) is formed in a polygonal structure to prevent rotation when the fixing pin (130) is fastened and fix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1528U KR200482379Y1 (en) | 2016-03-22 | 2016-03-22 | Supporting pos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1528U KR200482379Y1 (en) | 2016-03-22 | 2016-03-22 | Supporting pos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2379Y1 true KR200482379Y1 (en) | 2017-01-17 |
Family
ID=57963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1528U Expired - Fee Related KR200482379Y1 (en) | 2016-03-22 | 2016-03-22 | Supporting pos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2379Y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608386A (en) * | 2020-06-15 | 2020-09-01 | 中建海峡建设发展有限公司 | An assembled formwork aluminum alloy independent support rod |
CN111706064A (en) * | 2020-07-17 | 2020-09-25 | 北京城建科技促进会 | Multi-section stepless telescopic horizontal rod and method |
KR20210002045U (en) * | 2020-03-05 | 2021-09-15 | 박지현 | A support for constructio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4361Y1 (en) | 2008-07-11 | 2009-05-07 | 주식회사 신영 | Construction club |
KR20130000167U (en) * | 2011-06-29 | 2013-01-08 | 조대희 | A buttress for building a brick house |
KR200470336Y1 (en) * | 2011-08-31 | 2013-12-10 | 서보산업 주식회사 | Support for antinoise and gap separator |
KR20140005306U (en) * | 2013-04-03 | 2014-10-14 | 한음기업(주) | A surporter for height adjustment |
-
2016
- 2016-03-22 KR KR2020160001528U patent/KR200482379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4361Y1 (en) | 2008-07-11 | 2009-05-07 | 주식회사 신영 | Construction club |
KR20130000167U (en) * | 2011-06-29 | 2013-01-08 | 조대희 | A buttress for building a brick house |
KR200470336Y1 (en) * | 2011-08-31 | 2013-12-10 | 서보산업 주식회사 | Support for antinoise and gap separator |
KR20140005306U (en) * | 2013-04-03 | 2014-10-14 | 한음기업(주) | A surporter for height adjustment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2045U (en) * | 2020-03-05 | 2021-09-15 | 박지현 | A support for construction |
KR200495039Y1 (en) | 2020-03-05 | 2022-02-16 | 박지현 | A support for construction |
CN111608386A (en) * | 2020-06-15 | 2020-09-01 | 中建海峡建设发展有限公司 | An assembled formwork aluminum alloy independent support rod |
CN111706064A (en) * | 2020-07-17 | 2020-09-25 | 北京城建科技促进会 | Multi-section stepless telescopic horizontal rod and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82379Y1 (en) | Supporting post | |
CN204311745U (en) | A kind of construction formwork 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 | |
KR101608620B1 (en) | Bridge bearings | |
KR101129501B1 (en) | Anchor bolt | |
US12110700B2 (en) | Scaffold support | |
CN105443868A (en) | Cable hoop support system | |
JP2017031584A (en) | Reinforcing bar support and installation method of reinforcing bar for inverted concrete | |
JP6764667B2 (en) | Safety fence base | |
KR101561437B1 (en) | Support assembly for greenhouse | |
CN204174958U (en) | A kind of steel pipe scaffold early tears component and early-dismantling device open | |
CN207469443U (en) | Girt strip connection structure and assembled girt strip | |
KR20150079384A (en) | Angle supporting object for building stone panel construction | |
CN213420111U (en) | Pre-buried isolated plant of assembled station gallows | |
KR20200115799A (en) | Wedge Anchor at Face of Exterior Wall with Reinfoced Support Fixture | |
CN214498096U (en) | Positioning device for connecting reinforcing steel bars of prefabricated column | |
JP2014206027A (en) | Foundation pile and support foundation body | |
CN210253906U (en) | Eccentric pipe expander | |
KR20080071413A (en) | Hydraulic Screw Jack | |
JP2018204329A (en) | Temporary scaffolding connection | |
KR200275103Y1 (en) | fixing structure of slab support pipe for building | |
JP2008106516A (en) | Support pipe bearing device | |
JP6627118B2 (en) | Bathroom floor frame | |
KR200392272Y1 (en) | Joint equipment of concrete pile - mold | |
KR101642803B1 (en) | Pile cap structure body | |
KR102460931B1 (en) | Precast-concrete structure fixed full thread bol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60322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4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2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60609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610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7011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70112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221022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