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289Y1 - Coupling module of assembly furniture - Google Patents
Coupling module of assembly furni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2289Y1 KR200482289Y1 KR2020150005857U KR20150005857U KR200482289Y1 KR 200482289 Y1 KR200482289 Y1 KR 200482289Y1 KR 2020150005857 U KR2020150005857 U KR 2020150005857U KR 20150005857 U KR20150005857 U KR 20150005857U KR 200482289 Y1 KR200482289 Y1 KR 20048228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sertion holes
- panel
- inner tube
- outer tube
- screw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83—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with four vertical uprigh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조립가구의 결합모듈이 개시된다. 개시된 조립가구의 결합모듈은 사각파이프 형태를 이루어지며,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복수의 제1삽입공이 형성된 외관과, 상기 외관보다 작은 단면크기를 갖는 사각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외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상기 복수의 제1삽입공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삽입공이 형성된 내관과, 상기 외관의 일단부를 통과하고 상기 내관의 일단부에 나사체결되도록 설치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내관을 상기 외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나사부재로 구성된 사각지지대; 및, 일측단에 상기 복수의 제1삽입공과 상기 복수의 제2삽입공에 삽입가능한 복수의 결합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사각지지대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1판넬;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삽입공과 상기 복수의 제2삽입공이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가 상기 복수의 제1삽입공과 상기 복수의 제2삽입공에 삽입된 다음, 상기 나사부재를 상기 내관의 일단에 나사체결시켜 상기 내관이 상기 외관에 대해 일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제1삽입공과 상기 복수의 제2삽입공의 위치가 어긋나면서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가 상기 복수의 제1삽입공과 상기 복수의 제2삽입공에 고정되어, 상기 제1판넬이 상기 사각지지대에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coupling module of an assembled furniture is disclosed. The joining module of the disclosed assembled furniture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ipe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ipe having a cross sectional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appearance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hole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thereof, An inner tube which is formed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a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hol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holes on at least one side surface thereof and an inner tube which passes through one end of the outer tube, And a screw member which is installed to be fastened and moves the inner tub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tube according to the rotation; And a first panel having a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holes and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holes, the first panel being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ectangular support, Wherein the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ar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first inserting hol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inserting holes in a state where the inserting hol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inserting holes are aligned with each other, And the inner tube is mov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tube so that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hol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holes are shifted so that the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are engaged with the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holes and the plurality And is fixed to the second insertion hole, so that the first panel is fixedly coupled to the rectangular support.
Description
본 고안은 조립가구의 결합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사각 지지대와 판넬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조립가구의 결합모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module of an assembled furni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upling module of an assembled furniture which can easily connect a rectangular support and a panel.
일반적으로, 가구는 판넬이나 지지대의 구성들을 나사나 못, 접착제을 이용하여 고정결합하여 제조된다. Generally, furniture is manufactured by fixing the panel or support structure by screws, nails, or adhesives.
최근에는 가구를 구매하는 구매자가 직접 쉽게 조립하여 사용하는 조립식가구(이하 '조립가구')가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Recently, prefabricated furni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ssembled furniture"), which is easily assembled and used by buyers who purchase furniture, has been developed and sold.
이러한 조립가구는 판넬이나 지지대의 구성들을 사용자가 어렵지 않게 서로 체결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판넬이나 지지대의 구성들을 연결하는 각 체결부분마다 체결작업을 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작업이 쉽기는 하나, 반복된 체결작업을 여러 번 함으로써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Such assembled furnitur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anel or support structure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without difficulty by the user, but it is troublesome to fasten each fastening portion connecting the components of the panel or the support, Although it is easy,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assemble by repeatedly performing repeated tightening operations.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체결이 용이할 뿐 아니라, 한번 작업공정에 의해 다수의 체결부분이 한꺼번에 체결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조립가구의 결합모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joining module for assembled furnitur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a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can be fastened together at one time .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조립가구의 결합모듈은 사각파이프 형태를 이루어지며,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복수의 제1삽입공이 형성된 외관과, 상기 외관보다 작은 단면크기를 갖는 사각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외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상기 복수의 제1삽입공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삽입공이 형성된 내관과, 상기 외관의 일단부를 통과하고 상기 내관의 일단부에 나사체결되도록 설치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내관을 상기 외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나사부재로 구성된 사각지지대; 및, 일측단에 상기 복수의 제1삽입공과 상기 복수의 제2삽입공에 삽입가능한 복수의 결합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사각지지대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1판넬;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삽입공과 상기 복수의 제2삽입공이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가 상기 복수의 제1삽입공과 상기 복수의 제2삽입공에 삽입된 다음, 상기 나사부재를 상기 내관의 일단에 나사체결시켜 상기 내관이 상기 외관에 대해 일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제1삽입공과 상기 복수의 제2삽입공의 위치가 어긋나면서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가 상기 복수의 제1삽입공과 상기 복수의 제2삽입공에 고정되어, 상기 제1판넬이 상기 사각지지대에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joining module for a building furniture, comprising: an outer tube having a square pipe shape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hole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thereof; An inner tube inserted into the outer tube and formed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hol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hole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thereof; And a screw member installed on the one end of the inner tube so as to be screwed on the inner tube and configured to move the inner tub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tube according to rotation; And a first panel having a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holes and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holes, the first panel being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ectangular support, Wherein the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ar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first inserting hol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inserting holes in a state where the inserting hol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inserting holes are aligned with each other, And the inner tube is mov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tube so that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hol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holes are shifted so that the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are engaged with the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holes and the plurality And is fixed to the second insertion hole, so that the first panel is fixedly coupled to the rectangular support.
상기 사각지지대의 상단 또는 하단에 설치되도록, 상단 일측에 상기 나사부재가 통과가능한 나사통과홀이 형성된 제2판넬;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And a second panel having a threaded hole through which the screw member can pass, the first panel being provided at one end of the upper end or the lower end of the rectangular support.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는 "T"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의 폭은 상기 제1삽입공 및 상기 제2삽입공의 직경과 같거나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may be formed in a "T" shape, and the width of the engaging projections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insertion holes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s.
상기 외관은 일측단내부에 삽입된 형태로 고정설치되며, 상기 나사부재가 통과되도록 나사통과공이 형성된 고정블록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outer tube may be fixedly installed at one end thereof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therein, and may include a fixing block having a screw hole to allow the screw member to pass therethrough.
상기 내관은 일측단내부에 삽입된 형태로 고정설치되며, 상기 나사부재가 나사체결되는 나사체결블록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inner tube may be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inner tube and fixed to the inner tube so that the screw member is screwed into the screw coupling block.
상기 복수의 제1삽입공과 상기 복수의 제2삽입공은 각각 상기 외관의 네측면에 상기 내관의 네측면에 모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hol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holes may be configured to be formed on all four sides of the inner tube on four sides of the outer tube.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은 체결이 용이할 뿐 아니라, 한번의 체결작업을 통해 복수의 체결부위가 한꺼번에 체결되는 방식이므로, 보다 손쉽게 조립이 가능하면서도 기존에 비해 조립시간을 매우 많이 절약할 수 있어, 조립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aspect,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easy to assemble but also is a method in which a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are fastened together at a time through one fastening operation, it is possible to assemble more easily, So that the assembly can be performed quickly.
따라서, 남녀노소 누구나 손쉽게 체결이 가능할 뿐 아니라, 특히 노약자나 여성들도 용이하게 가구를 손쉽게 조립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오랜시간을 들이지 않고 짧은 시간내에 가구를 직접조립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join anyone who is young and old, and particularly, elderly people and women can easily assemble and use the furniture easily, and it is possible to assemble and use the furniture in a short time without taking a long tim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가구의 결합모듈이 적용된 책상형 가구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가구의 결합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모듈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조립가구의 결합모듈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가구의 결합모듈이 적용된 오픈수납장형 가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esk-like furniture to which a joining module of an assembled furniture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upling module of an assembled furni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is separated; 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upling module of FIG. 2,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module of the assembled furni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cabinet type furniture to which a joining module of the assembled furni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상의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후술되는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readily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고안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또한, 고안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고안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In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details have been set forth in order to provide a more concise and clear understanding of the design.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e parts which are commonly known in the description of the design but a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desig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avoid confusion in describing the design.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attached hereto.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조립가구 결합모듈은 책상형태의 조립가구의 구성품이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조립가구 결합모듈을 적용하여 책상뿐 아니라, 선반, 장롱, 침대, 수납장 등등 여타의 모든 가구들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Referring to FIG. 1, the assembled furniture coupl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mponent of a desk-shaped assembled furnitur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a desk, Bed, cabinet, and so on.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가구의 결합모듈은 사각지지대(10)와 제1판넬(20)과 제2판넬(30)을 포함한다. The joining module of the assembled furni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사각지지대(10)는 외관(11), 내관(14), 나사부재(17)를 포함한다. The
외관(11)과 내관(14)은 이중관체 형태로 형성된다. The
외관(11)은 사각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며, 4개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원형으로 된 2개의 제1삽입공(11a)이 형성된다. 또한, 외관(11)의 상단부에는 나사부재(17)가 통과되는 나사통과공(12a)을 구비한 고정블록(12)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고정블록(12)은 외관(11)의 상단부 내측에 삽입된 형태로 고정설치되며, 중앙에는 외관(11)의 길이방향으로 나사부재(17)가 통과되는 나사통과공(12a)이 (12a)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나사부재(17)의 나사머리는 나사통과공(12a)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나사통과공(12a)을 통과하지 못한다. The
내관(14)은 사각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되, 외관(11)의 내부에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외관(11) 보다 작은 단면크기를 갖는 사각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며, 4개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원형으로 된 2개의 제2삽입공(14a)이 형성된다. 이때, 제1삽입공(11a)과 제2삽입공(14a)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며, 2개의 제2삽입공(14a)의 간격은 2개의 제2삽입공(11a)의 간격과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내관(14)의 상단부에는 나사부재(17)가 나사체결된 나사체결블록(15)이 구비된다. 나사체결블록(15)은 내관(14)의 상단 내측에 삽입된 형태로 고정설치되며, 중앙에는 암나사부(15a)가 관통형성되어, 상기 나사부재(17)가 나사체결된다. The
나사부재(17)는 고정블록(12)의 나사통과공(12)을 통과하여 나사체결블록(15)의 암나사부(15a)에 나사체결될 수 있다. The
나사부재(17)를 고정블록(12)의 나사통과공(12)에 통과시키고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나사부재(17)가 나사체결블록(15)에 체결되는 방향으로 나사체결되고 이에 따라, 내관(14)이 외관(11)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반대로, 나사부재(17)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나사부재(17)가 나사체결블록(15)에 대해 해제되면서 내관(15)이 외관(11)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When the
제1판넬(20)은 사각지지대(10)의 일측면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에 서로 이격된 2개의 결합돌기(23)가 구비된다. 이때 2개의 결합돌기(23)는 2개의 제1삽입공(11a)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2개의 결합돌기(23) 각각은 "T"자 형태로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 결합돌기(23)의 좌우 폭은 제1삽입공(11a) 및 제2삽입공(14a)과 직경이 같거나 다소 작도록 구성된다. The
제2판넬(30)은 사각지지대(10)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에는 나사부재(17)가 통과가능한 나사통과홀(31)이 형성된다. 이때, 나사통과홀(31)은 나사부재(17)의 나사머리보다는 작도록 구성되어, 나사통과홀(31)을 통해 나사부재(17)의 나사머리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The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가구의 결합모듈의 조립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the assembly of the coupling module of the assembled furni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3과 같이, 2개의 제1삽입공(11a)과 2개의 제2삽입공(14a)이 일치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제1판넬(20)의 2개의 결합돌기(23)를 상기 제1삽입공(11a)과 제2삽입공(14a)에 삽입시키고, 나사통과홀(31)과 나사통과공(12a)이 일치하도록 제2판넬(30)을 사각지지대(10)의 상단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나사부재(17)를 나사통과홀(31)과 나사통과공(12a)에 통과시키고 암나사부(15a)에 위치시킨 다음, 공구를 이용해 나사부재(17)를 조이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내관(14)이 외관(11)에 대해 일방향 즉 도 3기준으로 상승하면서, 제1삽입공(11a)과 제2삽입공(14a)이 일치되지 않고 어긋나게 되어 결합돌기(23)가 제1삽입공(11a) 및제2삽입공(14a)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고정됨으로써 제1판넬(20)이 사각지지대(10)에 견고하게 고정될 뿐 아니라, 제2판넬(30)이 사각지지대(10)의 상단에 고정조립되게 된다. 3, the two
이처럼, 본 고안은 제1판넬(20)에 형성된 2개의 결합돌기(23)를 일치상태의 2개의 제1삽입공(11a)과 2개의 제2삽입공(14a)에 끼운 다음, 제2판넬(30)을 사각지지대(30)의 단부에 놓고 나사부재(17)로 체결해주면, 내관(14)이 외관(11)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2개의 결합돌기(23)가 한꺼번에 2개의 제1삽입공(11a)과 2개의 제2삽입공(14a)에 고정되어 제1판넬(20)의 사각지지대(10)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제2판넬(30)이 사각지지대(10)의 상단에 고정되기 때문에, 체결작업이 쉬울 뿐 아니라, 나사부재(17)를 돌리는 한번의 조작에 의해 복수의 체결부위가 동시에 체결되게 되어 조립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한편, 상기에서 본 고안은 결합돌기(23), 제1삽입공(11a), 제2삽입공(14a)이 2개씩으로 구성되어, 2개의 체결부위를 형성하는 구조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돌기(23), 제1삽입공(11a) 및 제2삽입공(14a)은 3개, 4개 , 5개 등 그 이상의 복수로도 구성될 수 있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아울러, 상기에서 제1삽입공(11a) 및 제2삽입공(14a)은 원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돌기(23)가 통과할 수 있는 형태이면 제1삽입공(11a) 및 제2삽입공(14a)은 여타의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또한, 상기에서 본 고안은 나사부재(17)가 통과되는 고정블록(12)이 외관(11)의 일단에 별도로 구비되고, 나사부재(17)가 나사체결되도록 나사체결블록(15)이 내관(14)의 일단에 별도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블록(12)과 같은 구성이 외관(11)의 일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나사체결블록(15)과 같은 구성이 내관(14)의 일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외관(11)의 일단이 막힌 형태로 형성되어, 나사부재(17)가 외관(11)의 일단에 나사통과공(12a)이 형성되고, 내관(14)의 일단이 막힌 형태로 형성되어, 나사부재(17)가 내관(14)의 일단에 나사체결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the
상기에서, 본 고안은 도 1과 같이, 서로 직교되게 2개의 제1판넬(20)을 연결하는 사각지지대(10)의 경우, 사각지지대(10)의 네측면 중 2개의 측면에 각각 복수의 제1삽입공(11a)과 제2삽입공(14a)이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도 1과 같이, 일측면에만 1개의 제1판넬(20)을 연결하는 사각지지대(10)의 경우, 사각지지대(10)의 네측면 중 1개의 측면에 각각 복수의 제1삽입공(11a)과 제2삽입공(14a)이 형성된다. 1, in the case of a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은 사각지지대(10)는 네측면 중 3개의 측면에 3개의 제1판넬(20)을 결합할 수 있도록 각 측면에 복수개의 제1삽입공(11a)과 제2삽입공(14a)이 형성될 수 있을 뿐 아니라, 4개의 제1판넬(20)을 사각지지대(10)의 네측면에 모두 결합할 경우, 외관(11)과 내관(14)의 네측면 모두에 각각 복수의 제1삽입공(11a)과 제2삽입공(14a)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 경우, 4개의 판넬(20)에 구비된 복수의 결합돌기(23)를 외관(11)과 내관(14)의 네측면에 모두 형성된 복수의 제1삽입공(11a)과 복수의 제2삽입공(14a)에 모두 삽입한 상태에서, 나사부재(17)를 회전시켜 주면, 4개의 판넬(20)이 한꺼번에 사각지지대(10)의 네측면에 모두 고정조립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아울러, 상기에서 본 고안은 나사부재(17)를 이용한 한번의 체결작업을 통해, 제1판넬(20)의 복수의 체결부위 뿐 아니라, 제2판넬(30)도 사각지지대(10)에 고정되는 형태로서, 책상등과 같은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은 사각지지대(1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제2판넬(30)이 설치될 필요가 없는 다른 형태의 가구의 경우, 본 고안의 결합모듈은 사각지지대(10)과 제1판넬(20)로만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나사부재(17)를 나사통과공(12)에 통과시켜 나사체결블록(15)에 체결함으로써, 제1판넬(20)과 사각지지대(10)의 복수의 체결부위를 한꺼번에 체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not only a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of the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결합모듈을 적용하여, 오픈 수납장 형태의 가구를 제작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an open cabinet type furniture can be manufactured by applying the coupl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오픈수납장은 4개의 사각지지대(10)와 4개의 제1판넬(20)과 1개의 제2판넬(30)로 구성되어, 도 5와 같이, 4개의 사각지지대(10)의 측면들 사이에 4개의 제1판넬(20)을 서로 배치시키고, 제2판넬(30)을 사각지지대(10) 위에 올려 놓은 다음, 나사부재(17)를 나사통과홀(31)과 나사통과공(12a)에 통과시킨 다음, 나사부재(17)를 회전시켜주면, 도 4에 나타난 것은 같이, 내관(14)이 외관(11)에 대해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사각지지대(10)와 제1판넬(20)의 복수의 체결부위가 동시에 체결됨과 동시에 제2판넬(30)이 사각지지대(10)의 측단에 고정될 수 있다. The open storage unit is composed of four
이때, 오픈수납장 형태의 가구에서 제2판넬(30)에 형성된 나사통과홀(31)은 제2판넬(30)의 모서리에 형성되어, 일부가 개방된 원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furniture of the open cabinet type, the screw through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a preferred embodiment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cise arrangements and acts as illustrated and describe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all such appropriate modifications and changes, and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regarded a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사각지지대
11...외관
11a...제1삽입공
12...고정블록
12a...나사통과공
14...내관
14a...제2삽입공
15...나사체결블록
15a...암나사부
17...나사부재
20...제1판넬
23...결합돌기
30...제2판넬
31...나사통과홀10 ... square support
11 ... appearance
11a ... first insertion hole
12 ... fixed block
12a ... Thread through hole
14 ... inside
14a ... second insertion hole
15 ... Screw fastening block
15a ... female thread part
17 ... screw member
20 ... 1st panel
23 ... engaging projection
30 ... second panel
31 ... screw through hole
Claims (6)
일측단에 상기 복수의 제1삽입공과 상기 복수의 제2삽입공에 삽입가능한 복수의 결합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사각지지대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1판넬;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삽입공과 상기 복수의 제2삽입공이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가 상기 복수의 제1삽입공과 상기 복수의 제2삽입공에 삽입된 다음, 상기 나사부재를 상기 내관의 일단에 나사체결시켜 상기 내관이 상기 외관에 대해 일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제1삽입공과 상기 복수의 제2삽입공의 위치가 어긋나면서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가 상기 복수의 제1삽입공과 상기 복수의 제2삽입공에 고정되어, 상기 제1판넬이 상기 사각지지대에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가구의 결합모듈.
And an outer pipe formed in a square pipe shape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hole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thereof and a rectangular pipe shape having a smaller cross sectional size than the outer pipe, An inner tube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hol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holes formed in at least one side surface thereof and a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holes formed in at least one side surface thereof so as to pass through one end of the outer tube and be screwed to one end of the inner tube, A rectangular support having a screw member for moving the inner tub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tube; And
And a first panel installed at a side of the rectangular support with a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holes and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holes at one end,
Wherein the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ar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hol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holes in a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hol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holes are aligned with each other, And the inner tube is mov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tube so that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hol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holes are shifted so that the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are engaged with the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holes, Wherein the first panel is fix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holes, and the first panel is fixedly coupled to the rectangular support.
상기 사각지지대의 상단 또는 하단에 설치되도록, 상단 일측에 상기 나사부재가 통과가능한 나사통과홀이 형성된 제2판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가구의 결합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panel having a threaded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crew member can pass, the first panel being installed at an upper end or a lower end of the quadrangular support.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는 "T"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의 폭은 상기 제1삽입공 및 상기 제2삽입공의 직경과 같거나 작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가구의 결합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are formed in a "T" shape,
Wherein a width of the engaging projection is equal to or smaller than a diameter of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상기 외관은 일측단내부에 삽입된 형태로 고정설치되며, 상기 나사부재가 통과되도록 나사통과공이 형성된 고정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조립가구의 결합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tube is fixedly installed in one end of the inner tube and has a screw hole to allow the screw member to pass therethrough.
상기 내관은 일측단내부에 삽입된 형태로 고정설치되며, 상기 나사부재가 나사체결되는 나사체결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가구의 결합모듈.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ner tube is fixedly installed in one end of the inner tube and includes a screw fastening block to which the screw member is screwed.
상기 복수의 제1삽입공과 상기 복수의 제2삽입공은 각각 상기 외관의 네측면에 상기 내관의 네측면에 모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가구의 결합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hol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holes are all formed on four sides of the inner tube on four sides of the outer tub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5857U KR200482289Y1 (en) | 2015-09-02 | 2015-09-02 | Coupling module of assembly furni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5857U KR200482289Y1 (en) | 2015-09-02 | 2015-09-02 | Coupling module of assembly furni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2289Y1 true KR200482289Y1 (en) | 2017-01-18 |
Family
ID=57963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5857U Expired - Fee Related KR200482289Y1 (en) | 2015-09-02 | 2015-09-02 | Coupling module of assembly furni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2289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31719A (en) | 2019-05-14 | 2020-11-24 | 송병철 | Modular assembly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87918A (en) | 2000-03-09 | 2001-09-26 | 김현용 | Fasteners for assembling furniture |
KR100358949B1 (en) | 1999-09-15 | 2002-11-01 | (주)키즈퍼니쳐 | coupling structure for sectional furniture |
KR200402960Y1 (en) * | 2005-09-07 | 2005-12-09 | 주식회사 리바트 | A connecting structure for furniture panel |
KR100597475B1 (en) | 2004-08-30 | 2006-07-10 | 김평진 | Fastening devices for furniture assembly |
JP2008163963A (en) * | 2006-12-27 | 2008-07-17 | Rogosu Corp:Kk | Leg portion mounting structure and table using the same |
-
2015
- 2015-09-02 KR KR2020150005857U patent/KR200482289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58949B1 (en) | 1999-09-15 | 2002-11-01 | (주)키즈퍼니쳐 | coupling structure for sectional furniture |
KR20010087918A (en) | 2000-03-09 | 2001-09-26 | 김현용 | Fasteners for assembling furniture |
KR100597475B1 (en) | 2004-08-30 | 2006-07-10 | 김평진 | Fastening devices for furniture assembly |
KR200402960Y1 (en) * | 2005-09-07 | 2005-12-09 | 주식회사 리바트 | A connecting structure for furniture panel |
JP2008163963A (en) * | 2006-12-27 | 2008-07-17 | Rogosu Corp:Kk | Leg portion mounting structure and table using the sam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31719A (en) | 2019-05-14 | 2020-11-24 | 송병철 | Modular assembl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601528T3 (en) | Furniture kit | |
JP6847100B2 (en) | Couplings with wide accessibility to parts of furniture and household items | |
JP5111058B2 (en) | Bonding structure of structural materials | |
US20080164787A1 (en) | Joint device for assembled furniture and foldable cabinet using the joint device | |
US20130048632A1 (en) | Quick-disconnect storage box modular structure | |
JP6830099B2 (en) | Invisible coupling device for furniture and furnishing parts | |
WO2020237533A1 (en) | Fastening assembly | |
WO2020107570A1 (en) | Connection structure and plate assembly employing connection structure | |
KR101633702B1 (en) | Assembly type container | |
KR20170000760U (en) | non-bolted prefabricated display stand | |
KR200482289Y1 (en) | Coupling module of assembly furniture | |
KR101281525B1 (en) | Assembling device using of profile | |
JP3879835B2 (en) | Furniture with reversible top | |
KR200366190Y1 (en) | Apparatus for combining assembly frame | |
KR101495638B1 (en) | Furniture assembling set | |
KR200442669Y1 (en) | Fixtures on prefabricated shelves | |
JP2005160431A (en) | Circle for pet, cage provided with the circl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m | |
KR20190000913U (en) | Prefabricated desk | |
JP6610148B2 (en) | Connecting structure of plate material and plate material, and assembly type shelf device using the same | |
JP3218308U (en) | Joint structure for two vertical pillars | |
KR101713434B1 (en) | Sectional Furniture and Assemble Method thereof | |
KR101731268B1 (en) | Fabricated Furnitur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 |
JP4863198B2 (en) | Member mounting structure and table | |
JP5233602B2 (en) | Upper assembly structure in partition device | |
JP4707544B2 (en) | Bonding structure of structural material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50902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611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701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70102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201013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