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158Y1 - Continuously variable work center height control device of centerless grinding machine - Google Patents
Continuously variable work center height control device of centerless grinding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2158Y1 KR200482158Y1 KR2020160001486U KR20160001486U KR200482158Y1 KR 200482158 Y1 KR200482158 Y1 KR 200482158Y1 KR 2020160001486 U KR2020160001486 U KR 2020160001486U KR 20160001486 U KR20160001486 U KR 20160001486U KR 200482158 Y1 KR200482158 Y1 KR 20048215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djusting
- pedestal
- grinding stone
- workpiece
- grin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5/1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less means for supporting, guiding, floating or rotating work
- B24B5/307—Means for supporting wor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5/1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less means for supporting, guiding, floating or rotating work
- B24B5/2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less means for supporting, guiding, floating or rotating work for grinding cylindrical surfaces, e.g. on 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 Of Cylindrical And Plane Surfa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센터리스연삭기의 무단 심고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1)와 상기 베이스(1)의 상측에 구비되며, 공작물(3)과 접하여 공작물(3)의 표면을 연삭하는 주연삭돌(5)과 상기 베이스(1)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주연삭돌(5)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공작물(3)의 표면과 접하여 연삭 작업을 수행하는 조정연삭돌(9)과 상기 주연삭돌(5)과 조정연삭돌(9)의 사이에 구비되며, 공작물(3)을 지지하는 받침대(100)와 상기 베이스(1)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받침대(100)가 상하로 유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받침다이(110)와 상기 받침다이(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캠(220)에 의해 상기 받침대(100)의 상하 이동을 조정하는 조정수단(200);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의 세밀한 조작을 요하는 초정밀 연삭작업에 용이하며, 또한 스페이서 교체의 번거로움이 해결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enterless grinding machine and includes a base 1 and a main grinding ston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1 for grinding the surface of the workpiece 3 in contact with the workpiece 3 5 and an adjusting grinding stone 9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1 and contacting the surface of the workpiece 3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main grinding stone 5 to perform a grinding operation, A pedestal 100 provided between the stone 5 and the control grinding stone 9 for supporting the work 3 and a pedestal 100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pedestal 100, (200) which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receiving die (110) and adjust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edestal (100) by the cam (220);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easy to perform an ultra-precision grinding operation that requires a precise operation by a user, and the trouble of replacing the spacer is solved, so that the safety of the user and the work efficiency can be expected to be improved.
Description
본 고안은 센터리스연삭기(Centerless gringding machine)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작물을 지지하는 받침대의 높이 조정이 가능한 연삭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nterless grind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inding machine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a pedestal supporting a workpiece.
센터리스연삭기는 일반 공작기계에서 공작물을 클램핑하는 것과 달리 공작물을 고정하지 않고 일정한 중심이 없이 외경을 연삭하기 위하여 사용한다.The centerless grinding machine is used to grind the outer diameter without a fixed center without fixing the workpiece unlike clamping the workpiece in a general machine tool.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298809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55131호 등에서 관련기술을 제시하고 있다.In this connection, Korean Patent No. 10-0298809 and Korean Patent No. 10-0955131 disclose relevant technologies.
그러나 공작물의 높이를 조정함에 있어서, 종래의 센터리스연삭기는 서로 다른 크기의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두께로 가공된 스페이서(Spacer)를 일일이 교체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However, in adjusting the height of the workpiece, the conventional centerless grinding machine has had to be replaced with a spac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order to process workpieces of different sizes.
또한, 공작물을 지지하는 받침대의 높이를 조정하는데 있어서, 미세하고 정밀한 조작이 이루어지지 못해 초정밀 연삭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edestal supporting the workpiece, fine and precise operation can not be performed, and super-precision grinding is difficult.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여러 두께의 공작물 가공을 위해 스페이서를 교체하면서 삽입하는 대신 무단으로 높이를 조정하여 불필요한 동작을 줄임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센터리스연삭기의 무단 심고 조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the unnecessary operation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pacer without replacing the spacer while replacing the spac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enterless grinding machine for grinding a grinding wheel and shortening a working time.
그리고 무단으로 심고를 조정함으로써, 심고각이 조정되므로 초정밀 연삭이 가능한 센터리스연삭기의 무단 심고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d a planting and adjustment device for a centerless grinding machine capable of super-precision grinding because the planting angle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planting without any chang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한 센터리스 연삭기의 무단 심고 조정장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구비되며, 공작물과 접하여 공작물의 표면을 연삭하는 주연삭돌과;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주연삭돌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공작물의 표면과 접하여 연삭 작업을 수행하는 조정연삭돌과; 상기 주연삭돌과 조정연삭돌의 사이에 구비되며, 공작물을 지지하는 받침대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받침대가 상하로 유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받침다이와; 상기 받침다이의 일측에 구비되며, 캠에 의해 상기 받침대의 상하 이동을 조정하는 조정수단;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endlessness of a centerless grinding machine, the apparatus comprising: a base; A main grinding stone provided on the base and grinding the surface of the workpiece in contact with the workpiece; An adjusting grinding stone provided on the base and contacting the surface of the workpiec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main grinding stone to perform a grinding operation; A pedestal provided between the main grinding stone and the adjusting grinding stone and supporting the workpiece; A support die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base and supporting the support so that the support can move up and down; And adjusting mean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die for adjusting the up-and-down movement of the pedestal by a cam.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받침다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의 회전중심과 다른 회전중심을 가지는 캠과; 상기 받침대와 캠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받침대가 상하로 유동하도록 하는 조정핀;을 포함한다.Wherein the adjusting means comprises: a driving shaft rotatably installed in the receiving die, the driving shaft having a cylindrical shape; A cam integrally formed with the drive shaft and having a rotation center different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drive shaft; And an adjusting pin provided between the pedestal and the cam and allowing the pedestal to move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cam.
그리고 상기 받침다이의 일측에는 상기 받침대가 상기 받침다이의 일면에 고정되도록 강제하는 조정볼트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받침대(100)에는, 상기 조정볼트가 관통되는 조정홀이 형성된다.And an adjusting bolt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die for forcing the receiving bar to be fixed to one surface of the receiving die; The
그리고 상기 조정핀의 일측에는, 상기 조정핀의 일단이 상기 캠의 외면에 접하도록 강제하는 압력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받침다이의 일면에는, 상기 압력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가 더 구비되고; 상기 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와 조정핀 사이의 틈새를 차폐하는 패킹이 더 구비된다.And a pressure member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adjustment pin to force the one end of the adjustment pin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cam; A cover for preventing the pressure member from coming off is further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receiving die; A packing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ver to shield a gap between the cover and the adjustment pin.
또한, 상기 받침다이에는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제어하는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일단이 각각 상기 구동축의 외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가 서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하여,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가 상기 구동축과 접하는 세기를 조절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ceiving die may further include fixing means for controlling rotation of the driving shaft; The fixing means may include a first fixing member and a second fixing member which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which are provid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drive shaft, And a fixing bolt for adjusting the intensity of contact between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driving shaft so that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come close to or away from each other.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센터리스연삭기의 무단 심고 조정장치는 공작물을 지지하는 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함에 있어, 종래와 같이 스페이서를 일일이 교체하여 높이를 조정하는 방식이 아니라, 받침대의 높이를 스패너 조작에 따른 캠의 회전운동을 통해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훨씬 적은 힘을 들이면서 세밀한 조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apparatu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edestal supporting the workpiece is not a method of adjusting the height by replacing the spacers one by one as in the conventional art, It is possible to perform fine manipulation while applying a much smaller force.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의 세밀한 조작을 요하는 초정밀 연삭작업에 용이하며, 또한 스페이서 교체의 번거로움이 해결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easy to perform an ultra-precision grinding work requiring a precise operation by a user, and the trouble of replacing the spacer is solved, so that the safety of the user and the work efficiency can be expected to be improved.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센터리스연삭기의 무단 심고 조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실시 예를 구성하는 받침대와 조정수단의 구성을 보인 부분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받침대와 조정수단의 구성을 보인 부분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조정핀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주연삭돌과 조정연삭돌의 설치위치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고정수단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endless crucible for a centerless gri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artial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edestal and an adjust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artial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edestal and an adjust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an adjusting pin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installation positions of a main grinding stone and an adjusting grinding ston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fix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센터리스연삭기의 무단 심고 조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n endless crucible for a centerless gri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센터리스연삭기의 무단 심고 조정장치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n endless crucible for a centerless gri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센터리스연삭기의 무단 심고 조정장치는, 베이스(1)와, 상기 베이스(1)의 상측에 구비되어 공작물(3)과 접하여 공작물(3)의 표면을 연삭하는 주연삭돌(5)과, 상기 베이스(1)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주연삭돌(5)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공작물(3)의 표면과 접하여 연삭 작업을 수행하는 조정연삭돌(9)과, 상기 주연삭돌(5)과 조정연삭돌(9)의 사이에 구비되어 공작물(3)을 지지하는 받침대(100)와, 상기 베이스(1)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받침대(100)가 상하로 유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받침다이(110)와, 상기 받침다이(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캠(220)에 의해 상기 받침대(100)의 상하 이동을 조정하는 조정수단(200) 등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apparatus for endless adjustment of a centerless gri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상기 베이스(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베이스(1)의 상측에는 다수의 부품들이 장착된다.The
상기 베이스(1)의 상측에는 주연삭대(7)와 조정연삭대(11)가 각각 구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의 좌측 상부에는 주연삭대(7)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주연삭대(7)는 상기 주연삭돌(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On the upper side of the
상기 베이스(1)의 우측 상부에는 조정연삭대(11)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조정연삭대(11)는 상기 조정연삭돌(9)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상기 주연삭돌(5)은, 상기 베이스(1)의 상측에 이격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주연삭대(7)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작물(3)과 접하여 상기 공작물(3)의 표면을 연삭하게 된다.The main grinding
상기 조정연삭돌(9)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의 상측에 구비되는 조정연삭대(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연삭돌(5)과 조정연삭돌(9)은 좌우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각각 공작물(3)의 표면과 접하여 연삭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The adjusting
상기 주연삭돌(5)과 조정연삭돌(9)의 사이에는 받침대(100)가 구비된다. 상기 받침대(100)는 공작물(3)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단은 우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A
상기 받침대(100)는 받침다이(110)에 의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받침다이(110)는, 상기 베이스(1)의 상측에 구비되어 받침대(100)가 상하로 유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다이(110)의 상단 우측면(도 1에서)에 상기 받침대(100)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상기 조정수단(200)은, 도 1에서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받침다이(110)의 일측(내측)에 구비되어 캠(220)에 의해 상기 받침대(100)의 상하 이동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조정수단(200)의 구성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FIG. 1, the adjusting means 200 is provided at one side (inside) of the receiving die 110 and serves to adjust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한편, 상기 베이스(1)의 상측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수단(13)이 더 구비된다. 상기 이송수단(13)은 상기 조정연삭대(11)를 좌우(도 1에서)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주연삭돌(5)과 조정연삭돌(9) 사이에 공작물(3)이 쉽게 출입하도록 하고, 상기 공작물(3)과 조정연삭돌(9)의 접촉점 또는 접촉지점을 조절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on the upper side of the
상기 이송수단(13)은, 상기 조정연삭대(11)의 하측 또는 측방(도 1에서는 전방 또는 후방) 등에 설치될 수 있다.The conveying means 13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r the side (forward or rearward in FIG. 1) of the adjustment grinding table 11 or the like.
상기 이송수단(13)은 조정나사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엘엠(LM)가이드 등의 구조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주연삭돌(5)과 공작물(3)의 거리를 조정하여 상기 공작물(3)의 치수를 정밀하게 가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이송수단(13)의 구성은 많이 사용되는 것이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The conveying means 13 may be configured to be operated by a user using an adjusting screw or the like, and may be constructed using a structure such as an LM guide.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grinding
도 2 및 도 3에는 상기 받침대(100)와 조정수단(200)의 구성을 보인 부분 정단면도와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상기 조정수단(200)을 구성하는 조정핀(230)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2 and 3 are a partial front sectional view and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정수단(200)은 상기 받침다이(1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축(210)과, 상기 구동축(210)의 회전중심과 다른 회전중심을 가지는 캠(220)과, 상기 받침대(100)와 캠(2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캠(2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받침대(100)가 상하로 유동하도록 하는 조정핀(230) 등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adjusting means 200 includes a
상기 구동축(210)은 상기 받침다이(110)의 내부에 전후(도 3에서는 좌우)로 길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다이(110)는 전체적으로 'ㄴ'자 형상(도 2에서)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받침다이(110)의 내부에 원기둥 형상의 구동축(21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상기 구동축(210)의 좌측단(도 3에서)에는 스패너부(15)가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스패너부(15)는 사용자가 스패너(spanner)나 렌치(wrench) 등의 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축(21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스패너부(15)의 외면은 육각볼트의 머리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스패너(spanner)로 돌릴 수 있거나, 외면 중앙부에 육각 또는 사각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렌치(wrench)을 삽입하여 돌릴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3) of the
상기 구동축(210)의 일부에는 캠(220)이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210)의 회전 중심과 다른 회전 중심을 가지는 캠(220)이 상기 구동축(210)의 중간부에 형성된다. 여기에서는 상기 캠(220)이 상기 구동축(210)의 2부분에 형성(도 3 참조)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A
상기 캠(2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210)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21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조정핀(230)이 상하로 유동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축(210)의 중심과 캠(220)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편심량(G)이 되며, 상기 받침대(100)는 이러한 편심량(G)의 2배 만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The
상기 조정핀(2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100)와 캠(22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캠(2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받침대(100)가 상하로 유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한편, 상기 받침다이(110)의 일측에는 상기 받침대(100)가 상기 받침다이(110)의 일면에 고정되도록 강제하는 조정볼트(130)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받침대(100)에는 상기 조정볼트(130)가 관통되는 조정홀(120)이 형성된다.The supporting die 100 may further include an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받침다이(110)의 상단부에는, 상기 받침대(100)가 상기 받침다이(110)의 일면에 고정되도록 강제하는 조정볼트(130)가 더 구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다이(110)의 상단부에는 조정볼트(130)가 나사 체결된다.More specifically,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die 110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djusting
상기 조정볼트(130)는 상기 받침대(100)가 상기 받침다이(110)의 상단부 우측면(도 2에서)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 받침대(100)에는 상기 조정볼트(130)가 관통되는 조정홀(120)이 좌우(도 2에서)로 관통 형성된다.The adjusting
그리고 상기 조정홀(120)은 상하의 길이가 측방의 길이보다 큰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조정홀(120)의 좌우 크기는 상기 조정볼트(130)의 지름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조정홀(120)의 상하 길이는 상기 조정볼트(130)의 지금보다 더 큰 크기(약 2배 정도)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adjustment holes 120 are formed such that the upper and lower lengths are larger than the lateral lengths. That is, the left and right size of the
상기 조정홀(120)의 상하길이가 좌우길이보다 더 크도록 하는 것은, 상기 조정볼트(130)가 상기 조정홀(120)을 관통하여 상기 받침다이(110)에 체결된 상태에서도 상기 받침대(10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vertical length of the
이와 같이, 상기 조정홀(120)의 상하길이가 어느 정도 길게 형성되면, 사용자가 상기 조정볼트(130)의 조임을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받침대(100)를 상하로 움직이면, 상기 조정홀(120)의 상하 길이만큼 상기 받침대(100)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When the user adjusts the height of the adjusting
그리고 상기 받침대(100)가 상하로 이동하여 원하는 위치에 놓이게 되면, 이때 사용자가 상기 조정볼트(130)를 조임으로써, 받침대(100)가 받침다이(110)에 그대로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조정홀(120)의 상하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상기 조정볼트(130)를 받침다이(110)로부터 완전히 풀어 분리하지 아니하고도 받침대(10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상기 조정핀(2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의 외경이 상반부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즉, 상기 조정핀(230)은 하단부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볼트(bolt)와 같은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는 상대적으로 외경이 크게 형성되어 머리부(232)를 형성하며, 이러한 머리부(232)의 상측에는 상기 머리부(232)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몸체(234)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물론, 상기 조정핀(230)의 몸체(234)와 머리부(232)가 원형의 단면을 가지지 아니하고,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Of course, the
상기 조정핀(230)의 일측에는, 상기 조정핀(230)의 일단(도 2에서는 하단)이 상기 캠(220)의 외면에 접하도록 강제하는 압력부재(250)가 더 구비된다.A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다이(110)에는 상하로 핀홀(240)이 형성된다. 상기 핀홀(240)은 상기 조정핀(230)이 수용되도록 하는 홀(hole)이다. 그리고 이러한 핀홀(240)은 상기 조정핀(230)은 물론, 상기 압력부재(25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충분한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upport die 110 has
상기 조정핀(230)이 머리부(232)가 아래를 향하도록 설치되면, 상기 조정핀(230)의 머리부(232)가 상기 캠(220)의 외면에 접하게 되는데, 상기 조정핀(230)이 계속적으로 상기 캠(220)의 외면에 접하도록 캠(220)을 하측(도 2에서)으로 미는 역할을 상기 압력부재(250)가 하게 되는 것이다. The
상기 압력부재(250)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압력부재(250)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원통 형상을 가지는 상기 조정핀(230)의 몸체(234)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된다.The
또한,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압력부재(250)의 내경은 상기 조정핀(230)의 머리부(232) 외경보다는 작은 크기를 가져야 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홀(240)에 설치되는 조정핀(230)은 머리부(232)가 하측으로 향하도록 설치되고, 이러한 조정핀(230)의 몸체(234) 외면에 상기 압력부재(250)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inner diameter of the
따라서, 상기 조정핀(230)의 머리부(232) 외경 크기가 상기 압력부재(250)의 내경 크기보다는 더 크므로, 상기 압력부재(250)가 조정핀(230)의 머리부(232)에 걸려 하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The outer diameter of the
상기 받침다이(110)의 일면(도 2에서는 상면)에는, 상기 압력부재(250)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260)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압력부재(250)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홀(240) 내부에서 조정핀(230)의 몸체(234)를 감싸도록 설치되는데, 이러한 압축스프링이 상기 핀홀(240)의 상측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커버(260)가 설치된다.A
상기 커버(26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정핀(230)의 몸체(234)만 통과하고 상기 압력부재(250)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홀(hole)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커버(260)는 커버볼트(270)에 의해 상기 받침다이(110)에 체결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상기 커버(260)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260)와 조정핀(230) 사이의 틈새를 차폐하는 패킹(280)이 더 구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60)의 상측에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패킹(280)이 상기 조정핀(230)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조정핀(230)의 몸체(234) 외면과 커버(26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윤활유나 이물질 등의 배출이나 유입이 차단된다.A packing 280 is furth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그리고 상기 받침다이(110)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고정수단(300)이 더 구비되어 상기 구동축(21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The supporting
도 5에는 상기 주연삭돌(5)과 조정연삭돌(9)의 설치위치를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주연삭돌(5)과 조정연삭돌(9)의 중심으로부터 공작물(3)이 얼마만큼 높은 곳에 위치되는지를 나타내는 심고(H)가 중요하다.5 is a front view showing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받침대(100)가 너무 낮게 설치되어 공작물(3)이 아래로 지나치게 내려와 심고(H)가 작게 되면, 공작물(3)이 주연삭돌(5)과 조정연삭돌(9) 사이에서 강한 힘을 받게 되어 찌그러진 상태로 연삭이 진행이 된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반대로, 상기 받침대(100)가 너무 높게 설치되어 공작물(3)이 위로 지나치게 올라가 심고(H)가 크게 되면, 공작물(3)이 주연삭돌(5)과 조정연삭돌(9)과의 마찰계수가 줄어 위쪽으로 공작물(3)이 떠오르게 되어 떨림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오히려 진원을 나쁘게 한다.On the contrary, when the
이와 같이, 공작물(3)의 심고(H)가 적정해야 공작물(3)을 진원으로 가공하기 용이하고, 고정밀의 진원 제품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planting height H of the
다양한 실험치(경험치)에 의해 상기 받침대(100)의 상단부 경사각(α)은 60도(°)로 형성되고, 상기 공작물(3)의 중심(Q)이 상기 주연삭돌(5)의 중심(O)과 조정연삭돌(9)의 중심(P)을 연결하는 선과 이루는 각(β및γ)의 합이 7~8도(°)가 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도 5에서 ∠QOP의 크기인 β의 값과 ∠QPO의 크기인 γ의 합(β+γ)이 7~8도(°)가 되는 경우에 공작물(3)의 떨림이나 찌그러짐이 발생하지 아니하고 정확한 진원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The angle of inclination α of the upper end of the
도 6에는 상기 받침다이(110)의 내부에 구비는 고정수단(300)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xing means 300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다이(110)에는 상기 구동축(210)의 회전을 제어하는 고정수단(300)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구동축(210)이 스패너(spanner)나 렌치(wrench)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받침대(100)의 높이를 설정하고 나면, 그 위치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는데, 이와 같은 구동축(210)의 고정을 고정수단(300)이 하게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support die 110 is further provided with fixing means 300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driving
상기 고정수단(300)은, 일단이 각각 상기 구동축(210)의 외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1고정부재(320) 및 제2고정부재(330)와, 상기 제1고정부재(320)와 제2고정부재(330)가 서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하여 제1고정부재(320)와 제2고정부재(330)가 상기 구동축(210)과 접하는 세기를 조절하는 고정볼트(340) 등으로 구성된다.The fixing means 300 includes a first fixing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받침다이(110)의 내부에는 좌우(도 6에서)를 관통하는 고정홀(310)이 형성되고, 이러한 고정홀(310)는 상기 구동축(210)의 상단 일부가 노출된다.6) is formed in the support die 110. A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driving
상기 고정홀(310)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홀(310)의 좌측(도 6에서)에 위치되는 제1고정부재(320)와, 상기 고정홀(310)의 우측(도 6에서)에 위치되는 제2고정부재(3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1고정부재(320)와 제2고정부재(330)가 구동축(210)에 접하는 부분에는 상기 구동축(210)의 외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의 접촉면이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부재(320)의 우측 하단부와 제2고정부재(330)의 좌측 하단부에는 각각 상기 구동축(210)의 외면과 대응되는 곡률면이 형성되어 구동축(210)의 외면과 접하게 된다.6) of the fixing
상기 고정볼트(340)는 상기 제2고정부재(33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제1고정부재(320)에는 나사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볼트(340)가 우측(도 6에서)으로부터 상기 제2고정부재(330)를 관통하여 상기 제1고정부재(320)에 체결된다. The fixing
그리고 이때, 상기 고정볼트(340)를 조이게 되면 상기 제1고정볼트(340)와 제2고정볼트(340)의 거리가 가까워지므로 상기 제1고정볼트(340) 및 제2고정볼트(340)가 구동축(210)의 외면에 접하는 강도가 세지게 되므로 구동축(210)이 회전하지 못하고 고정된다. 반대로 상기 고정볼트(340)를 느슨하게 풀게 되면, 상기 제1고정볼트(340) 및 제2고정볼트(340)가 구동축(210)의 외면에 접하는 강도가 약해지므로 구동축(21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fixing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센터리스연삭기의 무단 심고 조정장치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enterless grin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심고(H)를 정확하게 하여야 하므로, 상기 받침대(100)를 상하로 이동시켜 공작물(3)의 높이를 조절한다.The height H of the
이를 위해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이송수단(13)을 이용하여 상기 주연삭돌(5)과 조정연삭돌(9)의 간격을 조절하여 즉, 상기 조정연삭돌(9)을 점차 좌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받침대(100)의 상부에 있는 상기 공작물(3)의 위치를 적절한 상태로 조정하여 적정치수의 공작물(3)로 연삭한다.1, the distance between the
그리고 상기 조정볼트(130)를 느슨하게 하여 상기 받침대(100)가 상기 받침다이(11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고정수단(300)의 고정볼트(340)도 느슨하게 하여 상기 구동축(210)이 회전가능하도록 한다.The fixing
그런 다음, 스패너나 렌치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축(210)을 회전시킨다.Then, the
이렇게 되면, 상기 구동축(210)에 일체로 형성된 캠(220)도 함께 회전하게 되어 캠(220)과 접하는 조정핀(230)이 편심량(G)의 2배 만큼 상하로 유동한다. 상기 조정핀(230)의 상하 유동에 따라, 상기 받침대(100)가 상하로 유동하여 상기 공작물(3)의 위치도 상하로 유동하게 된다.The
이러한 조정과정에 의해 상기 공작물(3)의 중심(Q)이 상기 주연삭돌(5)의 중심(O)과 조정연삭돌(9)의 중심(P)을 연결하는 선과 이루는 각(β및γ)의 합이 7~8도(°)가 되면 정지시킨다. 즉, 도 5에서 ∠QOP의 크기인 β의 값과 ∠QPO의 크기인 γ의 합(β+γ)이 7~8도(°)가 되도록 한 다음 그 상태를 유지시킨다.By this adjustment process, the center (Q) of the work (3) and the line connecting the center (O) of the main grinding stone (5) and the center (P) of the adjustment grinding stone (9) ) Is 7 to 8 degrees (°). That is, in FIG. 5, the sum of the value of?, Which is the magnitude of? QOP and the sum of?, Which is the magnitude of? QPO, is maintained at 7 to 8 degrees.
물론 이때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정수단(200)의 작동도 정지시켜 상기 조정연삭돌(9)이 그 위치에 고정되어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조정볼트(130)를 조여 상기 받침대(100)가 상하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며, 상기 고정수단(300)의 고정볼트(340)를 조여 구동축(210)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한다.Of course,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of the adjusting means 200 is also stopped so that the adjusting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모든 기기가 정 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주연삭돌(5)과 조정연삭돌(9)을 회전시키면서 공작물(3)을 상기 받침대(100) 위를 통과(도 1에서는 전후 방향으로)하게 하면, 상기 주연삭돌(5)과 조정연삭돌(9)의 회전에 따라 공작물(3)도 회전하게 되어 연삭가공이 이루어진다.The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공작물(3)이 연삭되는 치수는 주연삭돌(5)과 조정연삭돌(9)의 원주면 사이의 거리에 의해 결정되며, 이러한 주연삭돌(5)과 조정연삭돌(9)의 원주면 사이의 거리 조절은 이송수단(13) 등에 의해 이루어진다.The dimension to which the
그리고 최적화된 심고(H) 높이를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주연삭돌(5)과 조정연삭돌(9)의 회전에 따라 공작물(3)이 회전하면서 표면의 돌출 부분이 점차 연마가공되어 무한히 동그란 진원 형상으로 연삭된다.In the state where the optimum planting height (H) is set, the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1. 베이스 3. 공작물
5. 주연삭돌 7. 주연삭대
9. 조정연삭돌 11. 조정연삭대
13. 이송수단 15. 스패너부
100. 받침대 110. 받침다이
120. 조정홀 130. 조정볼트
200. 조정수단 210. 구동축
220. 캠 230. 조정핀
240. 핀홀 250. 압력부재
260. 커버 270. 커버볼트
280. 패킹 300. 고정수단
310. 고정홀 320. 제1고정부재
330. 제2고정부재 340. 고정볼트1.
5. Main grinding stones 7. Main grinding stones
9. Adjustable grinding
13. Feeding means 15. The spanner portion
100.
120.
200. Adjusting means 210. Drive shaft
220.
240.
260.
280.
310. Fixing
330. Second fixing
Claims (3)
상기 조정수단(200)은,
상기 받침다이(1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구동축(210)과, 상기 구동축(210)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210)의 회전중심과 다른 회전중심을 가지는 캠(220)과, 상기 받침대(100)와 캠(22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캠(2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받침대(100)가 상하로 유동하도록 하는 조정핀(23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받침다이(110)의 일측에는 상기 받침대(100)가 상기 받침다이(110)의 일면에 고정되도록 강제하는 조정볼트(13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받침대(100)에는 상기 조정볼트(130)가 관통되는 조정홀(120)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다이(110)에는 상기 구동축(210)의 회전을 제어하는 고정수단(30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조정핀(230)의 일측에는 상기 조정핀(230)의 일단이 상기 캠(220)의 외면에 접하도록 강제하는 압력부재(25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받침다이(110)의 일면에는 상기 압력부재(250)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26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커버(260)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260)와 조정핀(230) 사이의 틈새를 차폐하는 패킹(280)이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수단(300)은,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일단이 각각 상기 구동축(210)의 외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1고정부재(320) 및 제2고정부재(330)와, 상기 제1고정부재(320)와 제2고정부재(330)가 서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하여 제1고정부재(320)와 제2고정부재(330)가 상기 구동축(210)과 접하는 세기를 조절하는 고정볼트(340)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부재(250)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내경은 상기 조정핀(230)의 머리부(232) 외경보다는 작은 크기를 가지면서 원통 형상을 가지는 상기 조정핀(230)의 몸체(234)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됨으로써 머리부(232)가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조정핀(230)의 머리부(232)에 걸려 하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되며;
상기 받침대(100)의 상단부 경사각(α)은 60도(°)로 형성되고, 공작물(3)의 중심(Q)이 상기 주연삭돌(5)의 중심(O)과 조정연삭돌(9)의 중심(P)을 연결하는 선과 이루는 각(β및γ)의 합이 7~8도(°)가 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리스연삭기의 무단 심고 조정장치.A main grinding stone 5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1 for grinding the surface of the workpiece 3 in contact with the workpiece 3; An adjusting grinding stone 9 for performing a grinding operation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workpiece 3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main grinding stone 5 and an adjusting grinding stones 9 between the main grinding stone 5 and the adjusting grinding stone 9 A supporting die 100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1 for supporting the workpiece 3 and supporting the supporting base 100 so that the supporting base 100 can move up and down, And adjusting means (200) for adjusting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pedestal (100) by the cam (220);
The adjusting means (200)
A drive shaft 210 rotatably installed in the support die 110 and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a cam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drive shaft 210 and has a rotation center different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drive shaft 210 And an adjusting pin 230 provided between the pedestal 100 and the cam 220 to allow the pedestal 100 to move up and down as the cam 220 rotates.
The supporting die 100 may further include an adjustment bolt 130 for fixing the support 100 to one side of the support die 110. The support bolt 130 may be provided on the support 100, And the supporting die 110 is further provided with fixing means 300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driving shaft 210;
A pressure member 25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adjustment pin 230 to force one end of the adjustment pin 230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cam 220. On one side of the support die 110, The cover 260 is furth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over 260 to prevent a gap between the cover 260 and the adjustment pin 230 ;
The fixing means (300)
A first fixing member 320 and a second fixing member 330 which are install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one end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driving shaft 210, And a fixing bolt (340) for adjusting the strength of the first fixing member (320)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330) in contact with the driving shaft (210) so that the first fixing member (330)
The pressure member (250)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adjustment pin 230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head 232 of the adjustment pin 230 so as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234 of the adjustment pin 230 having a cylindrical shape, (232) of the adjustment pin (230) installed so as to face downward, and is not released downward;
The center of the work 3 is positioned at a center O of the main grinding stone 5 and the adjustment grinding stone 9, And the sum of the angles? And? Formed with the line connecting the center P of the centerless grinding machine is 7 to 8 degre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1486U KR200482158Y1 (en) | 2016-03-18 | 2016-03-18 | Continuously variable work center height control device of centerless grinding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1486U KR200482158Y1 (en) | 2016-03-18 | 2016-03-18 | Continuously variable work center height control device of centerless grinding machin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8447 Division | 2015-07-3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2158Y1 true KR200482158Y1 (en) | 2016-12-22 |
Family
ID=57709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1486U Active KR200482158Y1 (en) | 2016-03-18 | 2016-03-18 | Continuously variable work center height control device of centerless grinding mach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2158Y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894935A (en) * | 2017-12-08 | 2019-06-18 | 辽宁法库陶瓷工程技术研究中心 | A kind of overlength, high-accuracy Pyrex pipe outside diameter processing technology |
KR102028879B1 (en) | 2019-01-23 | 2019-10-04 | 조기선 | Centerless grinding machine for small parts |
CN111002125A (en) * | 2019-12-23 | 2020-04-14 | 中国科学院光电技术研究所 | General type hole grinding frock of internal diameter adjustable |
CN111055208A (en) * | 2020-01-17 | 2020-04-24 | 湖州市善琏双羊湖笔有限公司 | Pen holder polishing machine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312064A (en) * | 1987-06-12 | 1988-12-20 | Hitachi Seiko Ltd | Method and device for dressing of grinding wheel |
JPH10100067A (en) * | 1996-09-26 | 1998-04-21 | Noritake Co Ltd | Diamond point dresser and dressing method |
KR100298809B1 (en) | 1998-11-12 | 2001-10-29 | 송호근 | Cylindrical grinder |
KR100955131B1 (en) | 2001-08-14 | 2010-04-28 | 베에스하 홀리체 아.에스. | Centerless Cylindrical Grinding Method and Apparatus |
KR101250601B1 (en) * | 2011-12-19 | 2013-04-03 |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 Scissors gear for automobile |
KR20150042577A (en) * | 2013-10-11 | 2015-04-21 |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 Apparatus for removing back rash of a centerless grinder |
-
2016
- 2016-03-18 KR KR2020160001486U patent/KR200482158Y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312064A (en) * | 1987-06-12 | 1988-12-20 | Hitachi Seiko Ltd | Method and device for dressing of grinding wheel |
JPH10100067A (en) * | 1996-09-26 | 1998-04-21 | Noritake Co Ltd | Diamond point dresser and dressing method |
KR100298809B1 (en) | 1998-11-12 | 2001-10-29 | 송호근 | Cylindrical grinder |
KR100955131B1 (en) | 2001-08-14 | 2010-04-28 | 베에스하 홀리체 아.에스. | Centerless Cylindrical Grinding Method and Apparatus |
KR101250601B1 (en) * | 2011-12-19 | 2013-04-03 |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 Scissors gear for automobile |
KR20150042577A (en) * | 2013-10-11 | 2015-04-21 |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 Apparatus for removing back rash of a centerless grinder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894935A (en) * | 2017-12-08 | 2019-06-18 | 辽宁法库陶瓷工程技术研究中心 | A kind of overlength, high-accuracy Pyrex pipe outside diameter processing technology |
KR102028879B1 (en) | 2019-01-23 | 2019-10-04 | 조기선 | Centerless grinding machine for small parts |
CN111002125A (en) * | 2019-12-23 | 2020-04-14 | 中国科学院光电技术研究所 | General type hole grinding frock of internal diameter adjustable |
CN111002125B (en) * | 2019-12-23 | 2021-09-21 | 中国科学院光电技术研究所 | General type hole grinding frock of internal diameter adjustable |
CN111055208A (en) * | 2020-01-17 | 2020-04-24 | 湖州市善琏双羊湖笔有限公司 | Pen holder polishing machi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82158Y1 (en) | Continuously variable work center height control device of centerless grinding machine | |
KR101688911B1 (en) | Centerless grinding machine comprising a dressing function | |
EP2594363B1 (en) | Centerless grinding machine | |
KR102139421B1 (en) | Grinder wheel holder for hand grinder | |
KR102045341B1 (en) | Grinder wheel holder for hand grinder | |
DE102009054283B4 (en) | Tellerschleifmaschine | |
KR101366762B1 (en) | Ball polishing apparatus for a ball valve | |
US10232484B2 (en) | Method and device for simultaneous centreless cylindrical grinding of multiple workpieces | |
KR102390087B1 (en) | Grinder wheel holder for hand grinder | |
EP3059048B1 (en) | Adjustable grinding jig | |
JP6268064B2 (en) | Rail grinding device | |
US20140260873A1 (en) | Saw blade tension adjusting apparatus for band saw machine | |
US3834085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cabochon | |
CN218965055U (en) | Valve grinding machine convenient to angle regulation | |
WO2017013555A1 (en) | Adaptive plate for a polishing machine with improved distribution of the working pressure | |
CN202910689U (en) | Belt sander | |
KR101747366B1 (en) | knife-edge grinding apparatus | |
CN103991032A (en) | Clamping mechanism for clamping spanner | |
KR101625844B1 (en) | Honing tool having a function of adjusting theminuteness | |
AT4931U1 (en) | MACHINES | |
KR102232687B1 (en) | Honing Angle Control Guide | |
CN210757018U (en) | Environment-friendly grinding machine for machining | |
CN219901564U (en) | Grinding wheel dresser of bearing outer ring groove grinding machine | |
KR20170058016A (en) | Hand type chamfer device for glass | |
US3857204A (en) | Centerless grind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5 | Converted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318 Patent event code: UA01011R05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Conversion into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50108447 Filing date: 20150731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60428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611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6121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61219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