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81467Y1 - Scaffold assembly for plant facilities - Google Patents

Scaffold assembly for plant faciliti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467Y1
KR200481467Y1 KR2020160000606U KR20160000606U KR200481467Y1 KR 200481467 Y1 KR200481467 Y1 KR 200481467Y1 KR 2020160000606 U KR2020160000606 U KR 2020160000606U KR 20160000606 U KR20160000606 U KR 20160000606U KR 200481467 Y1 KR200481467 Y1 KR 2004814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side frame
frame body
frame portion
assemb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60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공병석
Original Assignee
공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준혁 filed Critical 공준혁
Priority to KR20201600006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46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4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467Y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4Comprising essentially pre-assembled two-dimensional frame-like elements, e.g. of rods in L- or H-shape, with or without bra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04G5/141Railings with an access door or the like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6Struts or stiffening rods, e.g. diagonal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4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positive engagement, e.g. hooks or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는, 프레임몸체와, 판면에서 규칙적으로 함몰 형성되는 세로방향 보강리브와, 상기 세로방향 보강리브와 교대로 마련되되 판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플랜트 설비에 작업하는 작업자의 이동 시 슬립을 방지하는 슬립방지용 돌기가 마련되는 프레임 본체부; 상기 프레임 본체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상기 프레임 본체부의 가로방향 양 측부에서 상기 프레임 본체부의 중심 측으로 다중 절곡되어 연장되는 측부 프레임부; 상기 측부 프레임부에 부분 결합되는 핸드레일(handrail); 및 상기 측부 프레임부와 상기 핸드레일을 상호 클램핑시키는 클램핑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는, 종래 그레이팅 및 프레임을 프레임 본체부와 일체로 제작되는 측부 프레임부가 대신하여 조립 비용이 감소되고 결합강화부를 통한 핸드레일의 결합력이 증가되어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절감될 수 있는 한편 크기나 핸드레일의 배치가 용이하게 조절하며 선 제작 및 조립되기 때문에 실제 플랜트 현장에서 제작 및 조립 비용이 감소되고 특히 설치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The chief assembly for a plant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ame body, a longitudinal direction reinforcing rib which is recessed from the plate surface regularly, and a plurality of longitudinal reinforcing ribs which are provided alternately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inforcing ribs and protrude from the plate surface, A frame body portion provided with a slip prevention protrusion for preventing slippage when moving; A side frame portion extending in multiple bending from both lateral sides of the frame body to the center of the frame body to support a load applied to the frame body; A handrail partially coupled to the side frame portion; And a clamping bolt for mutually clamping the side frame portion and the handrai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uck assembly for a plant facility, in which a grating and a frame are integrally formed with a frame body part to reduce the assembly cost and increase the coupling force of the handrail through the joint strengthening part, While the size and hand rail placement can be easily adjusted, prefabricated, and assembled, reducing fabrication and assembly costs and, in particular, installation time at the actual plant site.

Description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SCAFFOLD ASSEMBLY FOR PLANT FACILITIES}{SCAFFOLD ASSEMBLY FOR PLANT FACILITIES}

본 고안은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그레이팅 및 프레임을 일체로 마련하고 족장에 대한 핸드레일의 결합력을 증대시킨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generally to a chief assembly for a plant facil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ief assembly for a plant facility in which a conventional grating and a frame are integrally provided and the coupling force of the handrail to the chief is increased.

현대 사회에서, 플랜트 설비(plant facilites) 또는 플랜트 산업(plant industries)은 일상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플랜트 산업은 대표적으로 석유화학/정유 공장, 원자력이나 화력 발전소 등과 같은 발전 설비 뿐만 아니라 해양 구조물 등의 해양 플랜트 설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 및 산업군에서 한 국가의 경제에 지대한 영향과 파급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In modern society, plant facilites or plant industries are closely linked to everyday life. The plant industry has a great impact on the economy of a country in various fields and industries, ranging from petrochemical / refineries, power plants such as nuclear power plants and thermal power plants to offshore plant facilities such as offshore structures .

이러한 플랜트 설비는, 일반적으로 경공업이 아닌 중화학 공업과 관련되어 있고 규모의 경제가 동반되기 때문에 대규모, 대형화되어 있는 상황이다. 또한, 플랜트 설비는 한번 설치하거나 시공하면 완료되는 건축물과는 달리, 설치나 시공 이후에도 운전 공정마다 제대로 운전되고 있는지 모니터링하고, 유지보수 및 관리하는 관리자 또는 작업자가 상주해야 한다.Such plant facilities are generally associated with heavy chemical industry, not light industry, and economies of scale are accompanied by large-scale and large-scale production. In addition, the plant facility must be maintained by a manager or a worker who monitors, maintains, and manages whether the plant is operating properly during installation or after operation, unlike a structure that is completed once it is installed or constructed.

이와 같은 대형의 플랜트 설비를 관리 감독하려면, 작업자는 필연적으로 고소 작업을 수행해야만 한다.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안전하게 고소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대형의 플랜트 설비에 족장(또는 스캐폴드, 이하 족장이라 함) 구조체가 필수적으로 마련될 필요가 있다. In order to supervise and supervise such a large plant facility, the operator must inevitably carry out the complaint work. In order to facilitate the operator's convenience and carry out the complaint process safe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chief (or a scaffol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hieftain) structure in a large-scale plant facility.

실제, 플랜트 설비 현장에서는 족장(scaffold) 구조체가 설치되어 있는데, 일반적인 족장 구조체는, 복수의 가로, 세로 구획부재로 족장이 설치되어야 하는 판면을 구획하는 프레임과 별도의 상판 부분인 사각 형상의 그레이팅과, 별도의 난간 부분이 구비된다. 그리고, 각 구획부재를 상호 용접 등의 결합과정을 거쳐 프레임을 완성한 다음, 프레임에 발판 지지체인 그레이팅(grating)을 얹고 난간 부분을 별도의 체결구 등을 이용하여 용접하거나 결합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Actually, a scaffold structure is installed in a plant facility site. A general patriarchal structure includes a plurality of horizontal and vertical partition members, a frame for separating a plate surface on which a patriot is to be installed, and a rectangular grating , And a separate railing portion is provided. Then, each partition member is welded to each other to complete a frame, and then a grating for supporting the footrest is placed on the frame, and the parapet is welded or joined using a separate fastener or the like .

그러나, 그레이팅과 프레임을 별도로 마련하여 조립 비용이 증가되고 조립 상의 결함이 발생되거나, 프레임에 대한 난간 부분의 결합력이 약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a grating and a frame are provided separately to increase the assembly cost, the occurrence of a defect in the assembly, and the possibility of a safety accident due to a weak coupling force of the rail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rame.

또한, 종래의 대부분의 족장 구조체는 작업 현장에 필요한 크기나 수요에 맞춰 새로 제작되거나 조립되어야 하기 때문에 실제 플랜트 현장에서 제작과 조립 비용이 증가되고 무엇보다 설치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most of the conventional chieftain structures must be newly manufactured or assembled to meet the size and demand of the work si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and assembly costs increase in the actual plant site, and the installation time increases.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종래 그레이팅 및 프레임을 프레임 본체부와 일체로 제작되는 측부 프레임부가 대신하여 조립 비용이 감소되고 결합강화부를 통한 핸드레일의 결합력이 증가되어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절감될 수 있는 한편 크기나 핸드레일의 배치가 용이하게 조절하며 선 제작 및 조립되기 때문에 실제 플랜트 현장에서 제작 및 조립 비용이 감소되고 특히 설치 시간이 감소되는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conventional art, the assembling cost is reduced and the engaging force of the handrail through the joint reinforcing portion is increased in place of the side frame portion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ame body portion, The possibility of accidents can be reduced while the size and handrail layout can be easily adjusted and prefabricated and assembled to reduce the cost of fabrication and assembly at the plant site, to provi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는, 프레임몸체와, 판면에서 규칙적으로 함몰 형성되는 세로방향 보강리브와, 상기 세로방향 보강리브와 교대로 마련되되 판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플랜트 설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이동 시 슬립을 방지하는 슬립방지용 돌기가 마련되는 프레임 본체부; 상기 프레임 본체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상기 프레임 본체부의 가로방향 양 측부에서 상기 프레임 본체부의 중심 측으로 다중 절곡되어 연장되는 측부 프레임부; 상기 측부 프레임부에 부분 결합되는 핸드레일(handrail); 및 상기 측부 프레임부와 상기 핸드레일을 상호 클램핑시키는 클램핑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huck assembly for a plant facility, comprising: a frame body; longitudinally reinforcing ribs recessed from the plate surface regularly; A frame body portion provided with a slip prevention protrusion for preventing a slip when an operator working in a plant facility moves; A side frame portion extending in multiple bending from both lateral sides of the frame body to the center of the frame body to support a load applied to the frame body; A handrail partially coupled to the side frame portion; And a clamping bolt for mutually clamping the side frame portion and the handrail.

상기 프레임 본체부 및 상기 측부 프레임부는 포밍 가공(forming processing) 방식으로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The frame body portion and the side frame por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by a forming processing method.

상기 프레임 본체부는, 상기 프레임 본체부의 저면에서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가로방향 보강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body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transverse reinforcing rib which is lateral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body portion.

상기 측부 프레임부 및 상기 핸드레일과 상호 결합시 상기 측부 프레임부에 대한 상기 핸드레일의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결합강화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강화부는, 상기 측부 프레임부의 저면에서 두께방향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레일결합용 요홈부; 및 상기 핸드레일의 양 단부에 마련되되 상기 클램핑 볼트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내벽에 형성되도록 파이프의 직경이 감소되는 레일결합용 직경감소부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coupling reinforcing portion for reinforcing a coupling force of the handrail to the side frame portion when the side frame portion and the handrail are coupled to each other, A rail coupling recessed groove portion; And a diameter reduction portion for rails to be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handrail, wherein the diameter of the pipe is reduced so that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wall to be screwed with the clamping bolt.

상기 프레임부의 상면에는 상기 핸드레일의 상기 핸드레일의 일부 구간이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클램핑 볼트는, 상기 레일결합용 요홈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레일결합용 직경감소부에 결합될 수 있다.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a part of the handrail of the handrail is partially inserted, the clamping bolt penetrating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rail coupling short groove portion, Lt; / RTI >

상기 레일결합용 직경감소부의 내벽부는 탭핑 가공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inner wall of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for rail coupling may be manufactured by a tapping process.

상기 핸드레일은, 상기 핸드레일의 일부 구간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핸드레일이 형성하는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의 공간구획바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andrail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pace dividing bars for interconnecting some sections of the handrail to divide a space formed by the handrail.

본 고안에 의한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는, 종래 그레이팅 및 프레임을 프레임 본체부와 일체로 제작되는 측부 프레임부가 대신하여 조립 비용이 감소되고 결합강화부를 통한 핸드레일의 결합력이 증가되어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절감될 수 있는 한편 크기나 핸드레일의 배치가 용이하게 조절하며 선 제작 및 조립되기 때문에 실제 플랜트 현장에서 제작 및 조립 비용이 감소되고 특히 설치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uck assembly for a plant facility, in which a grating and a frame are integrally formed with a frame body part to reduce the assembly cost and increase the coupling force of the handrail through the joint strengthening part, While the size and hand rail placement can be easily adjusted, prefabricated, and assembled, reducing fabrication and assembly costs and, in particular, installation time at the actual plant sit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의 일 구간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결합강화부)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의 일부 구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의 일 구간의 정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chief assembly for a plant facilit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section of a plant facility chief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Figure 2;
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A (joint strengthening part) in Fig. 3;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ction of a chief assembly for a plant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of a section of a plant facility chief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의 일 구간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결합강화부)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의 일부 구간의 분해 사시도이다.2 is a front view of a section of a plant assembly for a plant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ide view of FIG. 2 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A (joint strengthening part) of FIG. 3,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 section of a plant facility chief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1)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1)의 핸드레일(40)의 배치 또한 다양할 수 있다. 그리고,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1)의 크기, 길이, 핸드레일(40)의 배치 등은 플랜트 설비의 크기나 현장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르게 적용될 수 있는바,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U자형(정확히 말하면, U자형이 뒤집어진 형상) 핸드레일(40)의 1개의 폭을 기준으로 하여 길이방향으로 총7개의 핸드레일(40)이 장착되는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1)로 특정하고, 이 중 1개의 핸드레일(40)에 해당되는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1)의 일 구간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the length of the plant facility chief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variously formed as needed. The arrangement of the hand rails 40 of the plant facility chief assembly 1 may also be varied. The size, length, arrangement of the handrail 40, and the like of the plant facility chief assembly 1 can be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lant equipment and the situation of the plan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 A plant facility chief assembly (not shown) in which a total of seven hand rails 40 are moun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one width of a U-shaped (more precisely, U-shaped inverted) handrail 40 (1), and a section of the plant facility chief assembly 1 corresponding to one of the handrails 40 will be described.

본 고안에 의한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1)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몸체(11)와, 판면에서 규칙적으로 함몰 형성되는 세로방향 보강리브(12)와, 세로방향 보강리브(12)와 교대로 마련되되 판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플랜트 설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이동 시 슬립을 방지하는 슬립방지용 돌기(13)가 마련되는 프레임 본체부(10)와, 프레임 본체부(1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프레임 본체부(10)의 가로방향 양 측부에서 프레임 본체부(10)의 중심 측으로 다중 절곡되어 연장되는 측부 프레임부(20)와, 측부 프레임부(20)에 부분 결합되는 핸드레일(40)(handrail)과, 측부 프레임부(20)와 핸드레일(40)을 상호 클램핑시키는 클램핑 볼트(5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5, the chief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body 11, longitudinally reinforcing ribs 12 that are regularly recessed from the plate surface, A frame body portion 10 which is provided alternately with the rib 12 and protrudes from the flat surface and is provided with a slip prevention projection 13 for preventing slippage when an operator working on the plant equipment moves, A side frame portion 20 extending in multiple folds from the lateral side portions of the frame body portion 10 toward the center of the frame body portion 10 so as to support a load applied to the side frame portion 20, And a clamping bolt 50 for interlocking the side frame portion 20 and the handrail 40 with each other.

프레임 본체부(10)는 도 1 내지 도 3을 주로 참조하면, 발판이 되는 프레임몸체(11)와, 프레임몸체(11)의 판면에서 함몰 형성되는 세로방향 보강리브(12)와, 교번적(상호 교대로)으로 돌출 형성되는 슬립방지용 돌기(13)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the frame body portion 10 includes a frame body 11 serving as a footstool, a longitudinal reinforcing rib 12 recessed from a surface of the frame body 11, And a slip prevention protrusion 13 protruding from the slip prevention protrusion 13 in mutually alternate fashion.

프레임몸체(11)는 작업자와 직접 접촉되는 발판이 되는 부분으로서, 1개의 롤 또는 강판이 풀려나며 마련될 수 있다.The frame body 11 is a part which becomes a stepping plate that is in direct contact with an operator, and one roll or steel plate may be provided in a loosened state.

세로방향 보강리브(12)는 프레임몸체(11)의 가로방향을 따라 ‘V’자형으로 함몰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세로방향 보강리브(12)를 통해, 프레임몸체(11)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한편 함몰 형성된 사이 공간으로 물이나 이물질의 배출을 돕는다.The longitudinal direction reinforcing ribs 12 may be formed to be bent in a 'V' shape along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rame body 11. And supports the load applied to the frame body 11 through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inforcing ribs 12, and assists the discharge of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into the space formed by the recessed formation.

슬립방지용 돌기(13)는, 규칙적으로 형성되는 세로방향 보강리브(12)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슬립방지용 돌기(13)는 프레임몸체(11)의 판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프레임몸체(11)의 저면에서 상면 방향으로 방향성이 고려되어 가공될 필요가 있다. 슬립방지용 돌기(13)는 작업자가 미끄러져 낙하하는 등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을 줄인다.The slip prevention protrusions 13 may be provided between the longitudinally-extending reinforcing ribs 12 formed regularly. The slip prevention protrusions 13 are provid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frame body 11.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cess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body 11 in 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 in the top surface direction. The slip prevention projection (13) reduces the possibility of a safety accident such as an operator slipping down and falling down.

프레임 본체부(10)의 길이방향의 양 측부에는 측부 프레임부(20)가 마련될 수 있다. 측부 프레임부(20)는 프레임 본체부(10)의 프레임몸체(11)가 다중 절곡되게 연장되며 마련된다. 이를 위해, 프레임 본체부(10) 및 측부 프레임부(20)는 포밍 가공(forming processing) 방식으로 일체로 제작된다.Side frame portions 2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body portion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ide frame portion 20 is provided so that the frame body 11 of the frame body portion 10 is extended in multiple bending. To this end, the frame body portion 10 and the side frame portion 20 are integrally fabricated by a forming processing method.

이로써, 종래 그레이팅 및 프레임을 프레임 본체부(10)와 일체로 제작되는 측부 프레임부(20)가 대신할 수 있어 제작 시간이 절감될 수 있고, 조립 비용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since the side frame portion 20, which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ame body portion 10, can replace the conventional grating and frame, the manufacturing time can be reduced and the assembly cost can be reduced.

각 측부의 측부 프레임부(20)의 단면 형상은 대략 ‘ㅁ’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종래의 족장 구조체의 프레임에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측부 프레임부(20)에는 후술할 핸드레일(40)을 포함하여 프레임 본체부(10)에 대한 핸드레일(40)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한 결합강화부(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ide frame portions 20 on the respective sides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ㅁ' shape and may be replaced with a frame of a conventional patriarchal structure. The side frame portion 20 may include an engaging reinforcing portion 30 for reinforcing the engaging force of the handrail 40 with respect to the frame body portion 10 including the handrail 40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프레임 본체부(10)는, 프레임 본체부(10)의 저면에서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가로방향 보강리브(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로방향 보강리브(14)는 세로방향 보강리브(12)와 마찬가지로, 프레임 본체부(10)의 강도를 향상하여 수직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frame body 10 may further include a transverse reinforcing rib 14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body 1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Like the longitudinal reinforcing ribs 12, the lateral reinforcing ribs 14 serve to enhance the strength of the frame body portion 10 and to support the vertical load.

핸드레일(40)은 대략 ‘U’를 뒤집어놓은 형상으로 마련되어, 측부 프레임부(20)에 결합된다. 핸드레일(40)은 파이프 배관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전술한 프레임 본체부(10) 및 측부 프레임부(20)와는 달리, 별도로 마련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핸드레일(40)에는, 핸드레일(40)의 일부 구간을 상호 연결하여 핸드레일(40)이 형성하는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의 공간구획바아(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and rail 40 is provided in a substantially inverted U shape and is coupled to the side frame portion 20. [ The handrail 40 may be made of a pipe pipe and may be separately provided and coupled to the frame body 10 and the side frame portion 20 described above. The handrail 4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pace dividing bars 41 for dividing a space formed by the handrail 40 by interconnecting some sections of the handrail 40.

한편, 프레임 본체부(10) 및 이와 일체로 연결된 측부 프레임부(20)에 대한 핸드레일(40)의 결합력이 종래보다 강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는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1)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과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hat the coupling force of the handrail 40 with respect to the frame body portion 10 and the side frame portion 20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rame body portion 10 is strengthened. This is because it is directly related to the safety of workers working in the chief assembly 1 of the plant facilit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1)는 결합강화부(30)를 포함하고 있다. 결합강화부(30)는, 측부 프레임부(20)의 저면에서 두께방향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레일결합용 요홈부(31)와, 핸드레일(40)의 양 단부에 마련되되 클램핑 볼트(50)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35)이 내벽에 형성되도록 핸드레일(40)의 직경이 감소되는 레일결합용 직경감소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plant facility chief assembly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joining strengthening portion 30. The joining reinforcing portion 30 includes a rail coupling recessed groove portion 31 which is recessed inward in the thickness dir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ide frame portion 20 and a clamping bolt 50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handrail 40, For reducing the diameter of the handrail (40) so that threaded threads (35) threadedly engaged with the rail (40) are formed on the inner wall.

레일결합용 요홈부(31)는 측부 프레임부(20)의 저면에 마련되며, 측부 프레임부(20)의 저면에서 두께 방향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레일결합용 요홈부(31)의 중앙부에는 클램핑 볼트(50)가 관통 배치되게 하는 관통공이 마련된다. The rail coupling recessed portion 31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ide frame portion 20 and is recessed inward in the thickness direction at the bottom surface of the side frame portion 20. [ A through hole i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rail coupling groove 31 for allowing the clamping bolt 50 to pass therethrough.

본 실시예에서의 레일결합용 요홈부(31)는 도 5를 주로 참조하면, 별도로 마련되어 측부 프레임부(20)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레일결합용 요홈부(31)는 측부 프레임부(20)의 포밍 가공이 끝난 후 프레스 가공, 펀칭 가공 등의 압착 공정을 통해 마련될 수도 있다.The rail coupling recessed portion 31 in this embodiment is separately provided and can b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ide frame portion 20 mainly referring to FIG. Alternatively, the rail-engaging recessed portion 31 may be provided through a pressing process such as a pressing process, a punching process or the like after the forming of the side frame portion 20 is finished.

이러한 레일결합용 요홈부(31)는 핸드레일(40)이 측부 프레임부(20)에 결합 시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한편, 클램핑 볼트(50)의 볼트머리가 수용 안착되는 안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클램핑 볼트(50)가 결합된 상태에서 측부 프레임부(20)의 저면이 돌출되거나 함몰되지 않은 평평한 면을 형성할 수 있어, 측부 프레임부(20)에 핸드레일(40)이 결합된 상태에서도 족장 지지체(미도시)에 용이하게 안착시키고 편리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족장 지지체는 족장 설치를 위해 플랜트 설비 자체에 마련되는 구조물을 말한다. The rail coupling recessed groove 31 can form a seating space in which the bolt head of the clamping bolt 50 is received and seated while the handrail 40 enhances the engagement force when engaged with the side frame portion 20 . This allows the bottom surface of the side frame portion 20 to be protruded or unfolded to form a flat surface while the clamping bolt 50 is engaged and the handrail 40 is coupled to the side frame portion 20 (Not shown), and can be easily combined. Here, the patriarchal support means a structure provided in the plant facility itself for the installation of a patriarch.

레일결합용 직경감소부(33)는 ‘U’자형 핸드레일(40)의 단부 구간에 마련된다. 레일결합용 직경감소부(33)는 파이프의 외경을 줄이는 넥킹 가공(necking forming, 또는 압착 가공)을 통해 제작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복수의 단차를 두며 제작될 수도 있다. 레일결합용 직경감소부(33)는 파이프 단면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어, 클램핑 볼트(50)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35)이 핸드레일(40) 단부 내벽부에 용이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레일결합용 직경감소부(33)에 클램핑 볼트(50)가 결합됨으로써 핸드레일(40)이 결합되는 강도 및 결합력이 향상된다.The rail-engaging diameter reducing portion 33 is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the U-shaped handrail 40. The diameter reduction portion 33 for rail coupling can be manufactured through necking forming (or crimping) to reduce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and can be manufactured with a plurality of steps as required. The diameter reduction portion 33 for rail engagement can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pipe cross section so that the thread 35 screwed with the clamping bolt 50 is easily formed on the inner wall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handrail 40. [ The engagement of the clamping bolt 50 with the rail-engaging diameter reducing portion 33 improves the strength and the engaging force with which the handrail 40 is engaged.

이와 같은 구성의 결합강화부(30)를 통해, 핸드레일(40)이 측부 프레임부(20)와 결합시 측부 프레임부(20)에 대한 핸드레일(40)의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종래 그레이팅 및 프레임을 프레임 본체부(10)와 일체로 제작되는 측부 프레임부(20)가 대신하여 조립 비용이 감소되고 결합강화부(30)를 통한 핸드레일(40)의 결합력이 증가되어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절감될 수 있다.The handrail 40 enhances the engagement force of the handrail 40 with respect to the side frame portion 20 when the handrail 40 is engaged with the side frame portion 20 through the coupling reinforcing portion 3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assembling cost is reduced and the coupling force of the handrail 40 through the coupling strengthening portion 30 is increased in place of the side frame portion 20 which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ame body portion 10 in the conventional grating and frame, Can be reduced.

추가로, 측부 프레임부(20)의 상면에는 핸드레일(40)의 핸드레일(40)의 일부 구간이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이 삽입공에 핸드레일(40)의 각 단부가 삽입되고 결합강화부(30)를 통해 결합됨으로써, 측부 프레임부(20)에 대한 핸드레일(40)의 지지력도 증대될 수 있다.An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frame portion 20 in which a part of the handrail 40 of the handrail 40 is partially inserted and each end of the handrail 40 is inserted So that the supporting force of the handrail 40 relative to the side frame portion 20 can also be increased.

또한, 측부 프레임부(20)의 측면에는 삽입된 핸드레일(40)을 수직으로 관통 형성된 레일 결합공(34)을 통해 추가의 나사 결합을 통해 핸드레일(40)의 결합력을 강화시킨다.Further, the side frame portion 20 reinforces the engagement force of the handrail 40 through the additional screw connection through the rail coupling hole 34 formed through the inserted handrail 40 vertically.

클램핑 볼트(50)는, 결합강화부(30)를 통해 결합될 때 레일결합용 요홈부(31)에 형성된 관통공(미도시)을 관통되게 배치되어 레일결합용 직경감소부(33)에 결합될 수 있다.The clamping bolt 50 is provided so as to penetrate a through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rail coupling recess 31 when the bolt 50 is coupled through the coupling strengthening portion 30, .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1)의 제작 및 조립 과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abrication and assembly process of the plant unit chopping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FIG.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형상의 강판이 프레임몸체(11)를 구성하고, 포밍 가공을 거치면서 세로방향 보강리브(12)와 측부 프레임부(20)가 마련되어 프레임 본체부(10)의 강도가 향상된다.1 to 5, a roll-shaped steel plate constitutes a frame body 11, and a longitudinal direction reinforcing rib 12 and a side frame portion 20 are provided while undergoing forming, 10 is improved.

프레임 본체부(10) 및 측부 프레임부(20)의 형상이 완성되면, 슬립방지용 돌기(13)와 레일결합용 요홈부(31)가 프레스 가공 방식이나 펀칭 가공 방식 등으로 형성되며, 가로방향 보강리브(14)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이 측부 프레임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When the shapes of the frame body portion 10 and the side frame portion 20 are completed, the slip prevention projection 13 and the rail coupling recessed portion 31 are formed by a press working method, a punching working method, The engaging holes for engaging the ribs 14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frame portion 20.

한편, 핸드레일(40)은 파이프 모재로부터 ‘U’자로 절곡되며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핸드레일(40)의 단부에 레일결합용 직경감소부(33)가 넥킹 가공(necking forming) 및 탭핑 가공 등을 통해 마련될 수 있다. 핸드레일(40)에 복수의 공간구획바아(41)가 용접되어 결합된다. Meanwhile, the handrail 40 may be provided by being bent from the pipe base material into a U-shape. Further, a diameter reducing portion 33 for rail coupling may be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the handrail 40 through necking forming, tapping, or the like. A plurality of space dividing bars (41) are welded to the handrail (40).

조립 공정이 수행된다. 도 5를 주로 참조하면, 핸드레일(40)의 각 단부 즉, 레일결합용 직경감소부(33)는 각각 측부 프레임부(20)의 삽입공에 삽입된다. 또한, 클램핑 볼트(50)는 레일결합용 요홈부(31)에 인입되어 관통공에 관통된 다음 레일결합용 직경감소부(33)의 나사산(35)과 나사 결합된다. 측부 프레임부(20)에 대한 핸드레일(40)의 결합력이 종래보다(용접이나, 일반적인 볼트 나사 결합 방식) 강화될 수 있다. 종래 그레이팅 및 프레임을 프레임 본체부(10)와 일체로 제작되는 측부 프레임부(20)가 대신하여 조립 비용이 감소되고 결합강화부(30)를 통한 핸드레일(40)의 결합력이 증가되어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절감될 수 있다.The assembly process is performed. 5, each end of the handrail 40, that is, the diameter reducing portion 33 for rail coupling,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side frame portion 20, respectively. Further, the clamping bolt 50 is inserted into the rail coupling recess 31 and penetrated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then screwed into the thread 35 of the diameter reducing portion 33 for rail coupling. The engaging force of the handrail 40 with respect to the side frame portion 20 can be strengthened (welding or a general bolt screwing method) more than in the past. The assembling cost is reduced and the coupling force of the handrail 40 through the coupling strengthening portion 30 is increased in place of the side frame portion 20 which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ame body portion 10 in the conventional grating and frame, Can be reduced.

이러한 제작 공정이나 조립 공정은 플랜트 설비 현장보다는 족장 제작 현장에서 미리 수행될 수 있다. 플랜트 설비의 사이즈나 필요에 따라 전술한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1)의 사이즈 및 핸드레일(40)의 배치가 정해져서 사전 제작되게 된다. 따라서,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1)의 크기나 핸드레일(40)의 배치가 용이하게 조절하며 선 제작(주문 제작) 및 조립되기 때문에 실제 플랜트 현장에서 제작 및 조립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조립 이후, 도장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Such a manufacturing process or assembly process can be performed in advance at the patriarchy production site rather than the plant facility site. The size of the plant unit 1 and the arrangement of the handrail 40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lant equipment and the necessity, and are pre-manufactured. Accordingly, since the size of the chief assembly 1 of the plant facility or the arrangement of the handrail 40 can be easily adjusted and manufactured (customized) and assembled, manufacturing and assembly costs can be reduced at the actual plant site. After assembly, a coating process can be performed.

이후, 플랜트 설비에 각각 마련된 족장 지지체에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1) 특히, 측부 프레임부(20)의 저면 일부 구간과 용접 등의 결합 공정을 거치면 종래에 비해 간편하고 편리하게 설치 공정이 완료될 수 있다.Thereafter, if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nt-making chuck assembly 1, particularly the side frame part 20, is joined to the chief support body provided for each plant facility, welding process or the like is performed, .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의 일 구간의 정면도이다.6 is a front view of a section of a plant facility chief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1)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1)와 비교할 때 측부 프레임부(20)의 구성에 다소 차이점이 있다. 이하,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측부 프레임부(20a)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The plant facility chief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construction of the side frame portion 20 in comparison with the plant facility chief assembly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Hereinafter, only the configuration of the side frame portion 20a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avoid duplication of description.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1)의 측부 프레임부(20a)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실시예의 1개의 삽입공이 마련된 것과 달리, 추가로 1개의 삽입공 총 2개의 삽입공이 더 형성된다. The side frame portion 20a of the plant facility chief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side frame portion 20a of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and 6, A total of two insertion holes are formed.

이를 통해, 족장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핸드레일(40)에 추가로, 가로방향을 따라 핸드레일(40a)이 배치될 수 있다. 족장의 설치 위치나 필요에 따라, 출입을 막거나 제한할 필요가 있을 때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1)가 적용 가능할 수 있다.Thereby, in addition to the handrail 40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triarch, the handrail 40a can be arranged along the lateral direction. The plant facility chieftain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pplicable whe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chieftain and / or the necessity of blocking or limiting access is required.

이처럼, 종래 그레이팅 및 프레임을 프레임 본체부(10)와 일체로 제작되는 측부 프레임부(20)가 대신하여 제작 시간 및 조립 비용이 감소되는 한편 결합강화부(30)를 통해 족장과 핸드레일(40)이 상호 결합됨으로써 족장에 대한 핸드레일(40)의 결합력을 강화시켜 간단한 구조로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nventional grating and frame are replaced by the side frame portion 20,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ame body portion 10, to reduce the manufacturing time and assembly cost, So that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can be remarkably reduced with a simple structure by strengthening the binding force of the handrail 40 with respect to the patriarch.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appended claim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프레임 본체부 11 : 프레임몸체
12 : 세로방향 보강리브 13 : 슬립방지용 돌기
14 : 가로방향 보강리브 20, 20a : 측부 프레임부
21 : 삽입공 30 : 결합강화부
31 : 레일결합용 요홈부 32 : 관통공
33 : 레일결합용 직경감소부 40, 40a : 핸드레일
41 : 공간구획바아 50 : 클램핑 볼트
10: frame body part 11: frame body
12: longitudinal direction reinforcing rib 13: slip prevention projection
14: transverse direction reinforcing ribs 20, 20a:
21: insertion hole 30:
31: Yawing groove for rail coupling 32: Through hole
33: diameter reduction part for rail coupling 40, 40a: handrail
41: Space compartment bar 50: Clamping bolt

Claims (7)

미리 설정된 1구간에 해당되는 프레임몸체와, 판면에서 규칙적으로 함몰 형성되는 세로방향 보강리브와, 상기 세로방향 보강리브와 교대로 마련되되 판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플랜트 설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이동 시 슬립을 방지하는 슬립방지용 돌기가 마련되는 프레임 본체부;
상기 프레임 본체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상기 프레임 본체부의 가로방향 양 측부에서 상기 프레임 본체부의 중심 측으로 다중 절곡되어 연장되는 측부 프레임부;
상기 1구간에 대응되게 U자 형상의 1개 단위체로 마련되며, 상기 측부 프레임부에 부분 결합되는 핸드레일(handrail);
상기 측부 프레임부와 상기 핸드레일을 상호 클램핑시키는 클램핑 볼트; 및
상기 측부 프레임부 및 상기 핸드레일과 상호 결합시 상기 측부 프레임부에 대한 상기 핸드레일의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결합강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본체부 및 상기 측부 프레임부는 포밍 가공(forming processing) 방식으로 일체로 제작되며,
상기 결합강화부는,
상기 측부 프레임부의 저면에서 두께방향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레일결합용 요홈부; 및
상기 핸드레일의 양 단부에 마련되되 상기 클램핑 볼트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내벽에 형성되도록 상기 핸드레일의 직경이 감소되는 레일결합용 직경감소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결합용 요홈부는, 상기 클램핑 볼트의 볼트머리가 수용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클램핑 볼트가 상기 측부 프레임부에 결합 시 상기 측부 프레임부의 저면이 평평한 면을 형성하며,
상기 측부 프레임부의 상면에는 상기 핸드레일의 일부 구간이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에 상기 핸드레일이 삽입되어 상기 핸드레일의 단부 일부구간이 지지되고 상기 핸드레일의 단부는 상기 결합강화부를 통해 체결되며,
상기 클램핑 볼트는, 상기 레일결합용 요홈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레일결합용 직경감소부에 결합되며,
상기 레일결합용 직경감소부의 내벽부는 탭핑 가공 방식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
A vertical reinforcing rib which is formed to be recessed regularly on the plate surface, and a slip which is formed alternately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inforcing rib and protrudes from the plate surface, A frame main body portion provided with a slip prevention projection for preventing the slip prevention projection;
A side frame portion extending in multiple bending from both lateral sides of the frame body to the center of the frame body to support a load applied to the frame body;
A handrail which is provided as one U-shaped unit piece corresponding to the one section and is partially connected to the side frame part;
A clamping bolt for clamping the side frame portion and the handrail to each other; And
And an engaging reinforcing portion for reinforcing a coupling force of the handrail to the side frame portion when the side frame portion and the handrail are mutually engaged,
The frame body portion and the side frame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by a forming processing method,
The coupling-
A rail coupling yaw groove portion recessed inward in the thickness direction at a bottom surface of the side frame portion; And
And a diameter reducing portion for rails for reducing the diameter of the handrail so as to form a thread on the inner wall, the threads being screwed to the clamping bolt,
Wherein the rail coupling recess portion forms a seating space in which the bolt head of the clamping bolt is received and seated and a bottom surface of the side frame portion is flat when the clamping bolt is coupled to the side frame portion,
At least one or more insertion holes into which a part of the handrail is partially inserted ar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ide frame portion,
The handrail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to support a part of the end of the handrail and the end of the handrail is fastened through the coupling strengthening part,
Wherein the clamping bolt is coupled to the rail-engaging diameter reducing portion through a through-hole formed in the rail-engaging recessed portion,
Wherein the inner wall of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for rail coupling is manufactured by a tapping proces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부는,
상기 프레임 본체부의 저면에서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가로방향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ame body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transverse reinforcement rib coupled laterally at a bottom surface of the frame body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은, 상기 핸드레일의 일부 구간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핸드레일이 형성하는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의 공간구획바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ndrail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space dividing bars for interconnecting some sections of the handrail to define a space formed by the handrail.
KR2020160000606U 2016-02-03 2016-02-03 Scaffold assembly for plant facilities Active KR20048146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606U KR200481467Y1 (en) 2016-02-03 2016-02-03 Scaffold assembly for plant facilit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606U KR200481467Y1 (en) 2016-02-03 2016-02-03 Scaffold assembly for plant faciliti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467Y1 true KR200481467Y1 (en) 2016-10-04

Family

ID=57139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606U Active KR200481467Y1 (en) 2016-02-03 2016-02-03 Scaffold assembly for plant faciliti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467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858U (en) 2018-10-22 2020-05-04 대명테크 주식회사 High-place workable with prefabricated struc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7218U (en) * 1991-12-27 1993-07-30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Assembled handrail
JPH0635054Y2 (en) * 1989-01-20 1994-09-14 俊和 明沼 Scaffolding equipment
JPH0711664U (en) * 1993-07-31 1995-02-21 岡部株式会社 Fixing device for columns for temporary handrails
KR20100113881A (en) * 2009-04-14 2010-10-22 한국단조공업 (주) Scaffold for work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054Y2 (en) * 1989-01-20 1994-09-14 俊和 明沼 Scaffolding equipment
JPH0557218U (en) * 1991-12-27 1993-07-30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Assembled handrail
JPH0711664U (en) * 1993-07-31 1995-02-21 岡部株式会社 Fixing device for columns for temporary handrails
KR20100113881A (en) * 2009-04-14 2010-10-22 한국단조공업 (주) Scaffold for work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858U (en) 2018-10-22 2020-05-04 대명테크 주식회사 High-place workable with prefabricated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4536B1 (en) Safe checking passage structure for maintence and inspection of bridge
KR101453065B1 (en) A built-up type a bridge inspection rail
KR100722403B1 (en) Prefab Workbench For Formwork
KR100758346B1 (en) Prefab Workbench For Formwork
KR20080037348A (en) Scaffolding scaffolding
US20080257682A1 (en) Escalator or Moving Sidewalk
KR200481467Y1 (en) Scaffold assembly for plant facilities
KR100947339B1 (en) Vertically Engaged Shear Reinforcements for Column-Slab Connections
KR101967278B1 (en) Bridge stairway fixing uni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bridge stairway using this same
KR200428125Y1 (en) Scaffolding structure
JP5374178B2 (en) Cloth frame with floor
KR102181982B1 (en) A walk plate for temporary structure installation
KR101251051B1 (en) Safety barrier for mounting beam
KR101867332B1 (en) Method for installing assembly type hand rail
KR101892635B1 (en) Hook-typed Safe Guard Support
KR102061877B1 (en) Safety parapet constructing method for construction work
KR200490975Y1 (en) H-beam safety-connecting device
KR101803328B1 (en) Extruded aluminum grati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099508B1 (en) Platform including toe board
KR200199021Y1 (en) Safty net preventing from falling
KR102516781B1 (en) Footrest All-in-one Fixture
JP4688280B2 (en) Rebar safety band locking bracket
KR101066182B1 (en) Handrail Clamp
KR101138334B1 (en) Frame for mold panel
KR101166795B1 (en) The railing prop where the establishment of b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6020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19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03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60426

UN2301 Change of applicant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2016070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2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6092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