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81459Y1 - 산기식 수중폭기 장치 - Google Patents

산기식 수중폭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459Y1
KR200481459Y1 KR2020160002412U KR20160002412U KR200481459Y1 KR 200481459 Y1 KR200481459 Y1 KR 200481459Y1 KR 2020160002412 U KR2020160002412 U KR 2020160002412U KR 20160002412 U KR20160002412 U KR 20160002412U KR 200481459 Y1 KR200481459 Y1 KR 2004814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water
rope
unit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4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영
Original Assignee
김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영 filed Critical 김두영
Priority to KR20201600024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4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4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459Y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3/04099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01F2215/005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산기식 수중폭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중에서 불규칙한 유동이 발생하더라도 그 복원력을 가지게 함으로써, 항시 산기판의 안정된 유지에 따른 공기공급관과 엉키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산기판과 수위조절추를 연결하는 로프의 상,하 유동을 원활하게 유도함으로써, 항시 안정된 수위조절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수중의 바닥에 침전된 침전물의 유입은 물론, 수중에 떠다니는 부유물까지도 산기판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산기식 수중폭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산기식 수중폭기 장치{Diffused-air submerged aeration divice}
본 고안은 산기식 수중폭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중에 설치되는 산기판의 안정된 설치가 가능하게 하면서도, 수중에 떠다니는 부유물까지 산기판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 폭기성능의 향상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산기식 수중폭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수지나 댐과 같이 물이 거의 흐르지 않고 정체되어 있는 담수는 물의 흐름이 비교적 빠른 하천에 비하여 담수의 성층화현상이 뚜렷하게 발생하고, 담수의 표층과 심층의 혼합이 어렵게 된다. 이러한 담수에서는 연중 일정한 시기에 표층에서의 조류 과다증식과 이로 인한 악취발생, 미관장애, 취수원의 정수장애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담수 상층부의 조류 증식과, 이로 인한 악취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담수의 심층부는 각종 퇴적물과 외부에서 유입되어 침전되는 유기물이 등이 부패됨으로 인하여 용존 산소가 고갈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인, 망간 등의 영양 염류의 용출에 의해서 부영양화가 촉진되는 등의 악순환이 반복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요인으로 인한 수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중에 산기식 수중폭기 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수중폭기 장치는 부구와 로프로 연결되는 한편 수중에 가라앉는 산기판이 구비되고, 그 산기판에는 외부의 공기공급장치와 연결되는 공기공급관이 연결되어 담수의 정수와 용존산소량을 증가시켜 정체된 수질의 오염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중폭기 장치는 산기판이 중량에 의해 수중의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특성상 산기되는 기포가 바닥의 침전물과 함께 부양하여 담수의 탁도를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폭기성능의 저하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용신안출원등록 제20-0208112호와 같이 산기판이 항시 수중에서 일정한 높이에 위치되도록하여 산기되는 기포에 침전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 폭기성능이 한층 향상된 수중폭기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중폭기는 수중의 산기판이 중량추 및 수위조절추와 로프로 연결된 것인바, 수중에서 불규칙한 유동이 발생하여 산기판이 불규칙하게 회전하거나 이에 따른 공기공급관이 엉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산기판과 수위조절추를 연결하는 로프가 수위조절추의 안내구를 통과하게 구성된 특성상 그 로프의 수직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는 그 수위조절이 용이하였으나, 자칫 수직상태가 불량시 로프의 절곡으로 인해 안내구에 원활한 안내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등 이에 따른 순기판의 수위조절에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바닥에 침전된 첨전물의 유입은 방지할 수 있었으나, 수중에 떠다니는 부유물이 산기판으로 유입되거나 하부를 막아 폭기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208112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수중에서 산기판에 유동이 발생하더라도 그 복원력을 가지게 함으로써, 항시 산기판의 안정된 유지에 따른 공기공급관과 엉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산기식 수중폭기 장치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산기판과 수위조절추를 연결하는 로프의 상,하 유동을 원활하게 유도함으로써, 항시 안정된 수위조절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산기식 수중폭기 장치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수중의 바닥에 침전된 침전물의 유입은 물론, 수중에 떠다니는 부유물까지도 산기판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산기식 수중폭기 장치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수중의 바닥에 지지되는 중량추와, 중량추와 연결되며 수중의 바닥으로 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지상의 공기공급장치로부터 공기공급관이 연결되는 산기판과, 산기판과 로프로 연결되며 부구에 형성되는 회전풀리를 경유하여 연결되는 수위조절추로 된 산기식 수중폭기 장치에 있어서,
원형관 형태를 이루며 로프가 연결되며 하단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는 산기판과, 물의 유입이 가능한 무수한 통공이 형성되며 외둘레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산기판과 이격되게 하우징의 하단에 나사결합되는 타공판과, 하우징의 내부에서 산기판과 타공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형태의 공기공급공간으로 된 산기유닛;
중량추와 산기유닛을 연결하며, 산기유닛의 회전 유동을 제한하는 유동 방지수단; 및
수위조절추의 외측에 형성되어 산기유닛과 회전풀리를 경유하는 로프의 상,하 유동을 안내하는 로프 유도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산기식 수중폭기 장치는, 수중에 설치된 산기판이 중량추와 스프링관을 통해 연결되되, 그 스프링관을 통한 탄력 복원력으로 산기유닛이 로프 및 공기공급관과 엉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산기유닛의 높이 조절을 위해 수위조절추와 연결된 로프가 사방의 롤러로 된 로프 유도부에 의해 상,하 유동이 안내되어 항시 안정된 수위 조절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산기유닛의 저면에 형성된 스크레퍼를 통해 물속에 떠다니는 부유물이 산기판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산기되는 기포의 탁도 향상되는 등 정수성능이 한층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산기식 수중폭기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산기식 수중폭기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산기식 수중폭기 장치의 산기유닛 요부도.
도 4는 본 고안 산기식 수중폭기 장치의 산기유닛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고안 산기식 수중폭기 장치의 유동 방지수단 요부도.
도 6은 본 고안 산기식 수중폭기 장치의 로프 유도부 요부도.
도 7은 본 고안 산기식 수중폭기 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8은 본 고안 산기식 수중폭기 장치의 산기유닛 유동시 작동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산기식 수중폭기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산기식 수중폭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산기식 수중폭기 장치(1)는, 수중의 바닥에 지지되는 중량추(10)와, 중량추(10)와 연결되며 수중의 바닥으로 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지상의 공기공급장치(60)로부터 공기공급관(61)이 연결되는 산기판(20)과, 산기판(20)과 로프(40)로 연결되며 부구(30)에 형성되는 회전풀리(31)를 경유하여 연결되는 수위조절추(50)로 된 산기식 수중폭기 장치로부터,
산기유닛(100)과, 유동 방지수단(200)과, 로프 유도부(300)가 더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산기유닛(100)은, 상기 산기판(20)을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먼저, 원형관 형태를 이루며, 상부에는 상기 수위조절추(50)와 로프(40)로 연결되게 하우징(110)이 구성된다.
이때, 하우징(110)의 하단 내측에는 하기하는 타공판(120)의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암나사부(111)가 구성된다.
또한, 산기유닛(100)에는, 상기 산기판(20)이 형성된 것으로, 산기판(20)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 상부에 내입되게 구성된다.
또한, 산기유닛(100)에는, 물의 소통이 가능하도록 무수한 통공(121)(121')이 관통 형성된 타공판(120)이 구성된 것으로, 타공판(120)은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를 마감하되, 산기판(20)과 이격되는 위치에서 하우징(110)의 하부를 마감하게 구성된다.
이때, 타공판(120)의 둘레에는 상기 하우징(110)의 암나사부(111)와 나사 체결되는 수나사부(122)가 형성된 것으로, 그 수나사부(122)를 통해 하우징(110)에 착탈 결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산기유닛(100)에는, 공기공급공간(130)이 구성된 것으로, 공기공급공간(130)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산기판(20)과 타공판(120)의 사이의 이격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공급장치(60)로부터 연결되는 공기공급관(61)이 진입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유닛(100)에는, 그 내부에 공기공급관(61)과 연결되어 공기의 분산이 가능한 공기 분산수단(140)이 더 포함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공기 분산수단(140)은, 먼저, 상기 공기공급관(61)이 연결되는 메인공급관(141)이 구성되고, 그 메인공급관(141)의 상단에는 다수 방향으로 분기 형성되며, 각각의 상단이 산기판(20)의 저면 다수 위치에 연결되는 분기관(142)(142')으로 구성된 것으로, 공기 분산수단(140)에서는 공급되는 공기를 산기판(20)의 다수 곳으로 공급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산기유닛(100)은, 하우징(110)의 상부에 산기판(20)이 형성되고, 하부에 타공판(120)이 형성되며, 산기판(20)과 타공판(120)의 사이에 공기공급공간(130)이 형성된 것으로, 타공판(120)의 통공(121)(121')을 통해 물이 공기공급공간(130)으로 유입되며, 산기판(20)의 저면에 연결된 공기 분산수단(140)을 통해 공기가 고르게 분사 및 산기판(20)을 통해 기포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 산기유닛(100)에는, 상기 공기공급공간(130)으로 물속에서 떠다니는 부유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크레퍼 유닛(150)이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스크레퍼 유닛(150)은, 도 4의 도시와 같이 먼저,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에서 타공판(120)과 이격되는 위치에 하우징(110)에 연결 지지되는 다수의 지지대(155)를 통해 구동모터(151)가 수직 형성되며, 그 구동모터(151)에는 구동축(152)이 상부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151)의 구동축(152)에는 양측으로 돌출되는 양날개로 된 스크레퍼(153)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스크레퍼(153)는 그 상단이 타공판(120)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즉, 스크레퍼 유닛(150)은, 구동모터(151)가 구동시 스크레퍼(153)가 회전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회전하는 스크레퍼(153)가 타공판(120)의 저면을 긁어내어 흡착되는 부유물을 제거하게 되며, 이에 타공판(120)의 통공(121)(121')으로 부유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상기 유동 방지수단(200)은, 상기 중량추(10)와 산기유닛(100)을 연결하는 한편, 수중에서 산기유닛(100)의 유동을 최소화 하게 구성된다.
이때, 유동 방지수단(200)은, 일단이 중량추(10)의 상부에서 사방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산기유닛(100)의 하우징(110) 하단 사방에 연결되는 다수의 스프링관(210)(210')으로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스프링관(210)(210')은, 수직 형태로 중량추(10)와 산기유닛(100)을 연결하게 구성된다.
한편, 각각의 스프링관(210)(210')은, 도 5를 참조하여 먼저, 중량추(10)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봉(211)이 구성된다.
또한, 스프링관(210)(210')에는, 복원스프링(212)이 구성된 것으로, 복원스프링(212)은 통상의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며, 그 하부가 상기 지지봉(211)을 감싸면서 중량추(10)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에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때, 복원스프링(212)은, 지지봉(211)을 통해 하부가 수직방향 기초를 이루어 항시 수직 형태의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을 가지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복원스프링(212)의 둘레는 주름관(213)으로 감싸지게 구성된다.
즉, 각각의 스프링관(210)(210')은, 지지봉(211)을 통해 복원스프링(212)이 수직 방향의 기초를 유지 및 복원력을 가지는 복원스프링(212)을 통해 산기유닛(100)이 회전하려는 것을 탄력 지지하는 한편, 회전 및 유동 되었더라도 복원스프링(212)의 복원력에 의해 신속히 제자리로 복구하게 된다.
또한, 지지봉(211)과 복원스프링(212)을 감싸는 주름관(213)은, 산기유닛(100)이 심하게 회전하거나 유동시 각각의 복원스프링(212)이 엉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로프 유도부(300)는, 상기 수위조절추(50)에 형성되어 산기유닛(100)과 회전풀리(31)를 경유하는 로프(40)의 상,하 유동을 안내하게 구성된 것으로, 수위조절추(50)의 외측에서 상부 및 하부에서 동일 수직선상으로 한 쌍을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로프 유도부(300)는, 도 6을 참조하여 먼저, 로프(4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하 관통형 사각관 형태의 설치관(310)이 구성된다.
또한, 로프 유도부(300)에는, 상기 설치관(310)의 내측으로 다수의 가이드롤러(320)(320')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가이드롤러(320)(320')는, 설치관(310)의 내측에서 사방으로 형성되어 그 가이드롤러(320)(320')의 사이에 로프(40)가 구속되게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이웃하는 가이드롤러(320)(320')의 사이에는 로프(40)과 통과되지 않는 정도의 틈새가 구성됨은 당연할 것이다.
즉, 상기 로프 유도부(300)는, 로프(40)가 어떠한 절곡 각도를 가지더라도 항시 어느 하나의 가이드롤러(320)(320')에 지지된 상태를 이루는 것인바, 수위 조절에 따른 로프(40)의 상,하 유동이 안전하게 이루어져 그 산기판(20)의 안정된 수위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위조절추(50)의 중량은 중량추(10)보다는 가볍고 산기유닛(100)보다는 무겁게 구성함은 당연할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 산기식 수중폭기 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산기식 수중폭기 장치(1)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 7의 도시와 같이 수중에 투척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이렇게 투척된 수중폭기 장치(1)는, 먼저 중량추(10)가 수중의 바닥에 가라앉아 중심을 이루게 되며, 그 상부로 산기유닛(100)이 위치되고, 수면에는 부구(30)에 의해 산기유닛(100)을 수중에서 일정한 위치에 떠 있는 상태를 유지시켜준다.
즉, 부구(30)의 회전풀리(31)에는, 산기유닛(100)과 연결된 로프(40)가 회전풀리(31)를 경유하여 수위조절추(50)와 연결된 것인바, 그 수위조절추(50)가 가라앉는 과정에서 상기 산기유닛(100)을 끓어올려 일정한 위치에 위치되게 하는 것으로, 이는 상기 산기유닛(100)은, 중량추(10)와 유동 방지수단(200)의 다수의 스프링관(210)(210')으로 연결된 것인바, 그 스프링관(210)(210')의 탄성 범위만큼 중량추(10)와 이격된 위치에서 수중에 위치되게 된다.
이에, 본 고안 산기식 수중폭기 장치(1)는, 도 3을 참조하여 통상의 수중폭기 장치와 같이 지상에 위치된 공기공급장치(60)로부터 공기공급관(61)을 통해 산기유닛(100)으로 공기를 공급하되, 공급된 공기는 산기유닛(100)의 공기공급공간(130)에서 공기 분산수단(140)의 메인공급관(141)으로 공급 및 다시 분기관(142)(142')을 통해 산기판(20)의 저면 다수곳으로 공급되어 산기판(2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폭기가 이루어져 기포를 생성하게 된다.
즉, 산기판(20)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분기관(142)(142')을 통해 다수 위치에서 공급 분포되는 것인바, 그 폭기가 고르게 이루어지는 등 그 폭기성능의 향상을 가져오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이 폭기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산기유닛(100)의 공기공급공간(130)에는 타공판(120)의 통공(121)(121')을 통해 폭기에 사용되는 물이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것인데, 이때 타공판(120)에서는 수중에 떠다니면서 폭기에 악영향을 주는 부유물을 걸러내게 됨으로, 폭기시 부유물을 최소화시켜 탁도를 맑게 하면서도 정수능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타공판(120)의 저면에는 걸러지는 부유물이 흡착되어 통공(121)(121')을 막을 수 있게 되는 것인데,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타공판(120)의 저면에 스크레퍼 유닛(150)을 형성하게 되면, 스크레퍼(153)가 구동모터(151)의 구동에 의해 지속적으로 타공판(120)의 저면을 긁어내어 부유물을 제거 및 통공(121)(121')을 통해 원활하게 맑은 물만이 유입되게 하는 등 이에 따른 정수능력 또한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치된 산기유닛(100)은, 수중에서 회전 및 유동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인데, 본 고안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중량추(10)와 산기유닛(100)이 사방에서 수직선상으로 다수의 스프링관(210)(210')으로 연결된 것인바, 산기유닛(100)을 사방에서 고르게 잡아주어 그 유동을 최소화시키게 되게 이에, 수중에서 산기유닛(100)과 공기공급관(61) 및 로프(40) 등이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스프링관(210)(210')은, 항시 복원스프링(212)을 통해 복원되려는 탄성을 가지는 것인바, 산기유닛(100)에 유동이 발생하더라도 적절히 대응하게 되며, 산기유닛(100)에 심한 유동이 발생하더라도 신속한 위치의 복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스프링관(210)(210')은, 그 복원스프링(212)이 주름관(213)으로 감싸지게 구성된 것인바, 그 유동이 발생하여 서로간에 간섭되더라도 그 엉킴이 방지되게 되는 등 항시 안정된 탄성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갈수기 등으로 인하여 수위가 낮아지더라도 부구(30)를 기준으로 하여 수위조절추(50)가 로프(40)를 따라 수위의 변화에 따라 하강하게 됨으로 산기유닛(100)은 항시 일정한 위치에 있게 되는 것으로, 이때 수위조절추(50)는 도 6을 참조하여 일측에 형성된 로프 유도부(300)에 의해 안정된 상,하 안내를 받으면서 로프(40)가 꼬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산기유닛(100)과 부구(30)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지 않아 로프(40)에 절곡력이 부여되더라도 그 로프(40)는 항시 어느 하나의 가이드롤러(320)(320')와 접한 상태을 이루는 것인바, 로프(40)의 상,하 유동을 원활하게 안내하게 된다.
또한, 수면위에는 항시 물의 출렁임에 의해 그 부구(30)의 높낮이가 수시로 변화되게 되는 것으로, 이에 산기유닛(100) 및 수위조절추(50)의 높낮이 또한 수시로 변경되게 되는 것인바, 이때에도 그 로프(40)의 상,하 유동을 원활하게 하여 항시 산기유닛(100)의 안정된 설치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10 : 중량추 20 : 산기판
30 : 부구 31 : 회전풀리
40 : 로프 50 : 수위조절추
60 : 공기공급장치 61 : 공기공급관
100 : 산기유닛 110 : 하우징
111 : 암나사부 120 : 타공판
121,121' : 통공 122 : 수나사부
130 : 공기공급공간 140 : 공기 분산수단
141 : 메인공급관 142,142' : 분기관
150 : 스크레퍼 유닛
151 : 구동모터 152 : 구동축
153 : 스크레퍼 155 : 지지대
200 : 유동 방지수단 210,210' : 스프링관
211 : 지지봉 212 : 복원스프링
213 : 주름관
300 : 로프 유도부 310 : 설치관
320,320' : 가이드롤러

Claims (5)

  1. 수중의 바닥에 지지되는 중량추(10)와, 중량추(10)와 연결되며 수중의 바닥으로 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지상의 공기공급장치(60)로부터 공기공급관(61)이 연결되는 산기판(20)과, 산기판(20)과 로프(40)로 연결되며 부구(30)에 형성되는 회전풀리(31)를 경유하여 연결되는 수위조절추(50)로 된 산기식 수중폭기 장치에 있어서,
    원형관 형태를 이루며 로프(40)가 연결되며 하단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11)가 형성된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는 산기판(20)과, 물의 유입이 가능한 무수한 통공(121)(121')이 형성되며 외둘레에 수나사부(122)가 형성되어 산기판(20)과 이격되게 하우징(110)의 하단에 나사결합되는 타공판(120)과,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산기판(20)과 타공판(12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형태의 공기공급공간(130)으로 된 산기유닛(100);
    중량추(10)와 산기유닛(100)을 연결하며, 산기유닛(100)의 회전 유동을 제한하는 유동 방지수단(200); 및
    수위조절추(50)의 외측에 형성되어 산기유닛(100)과 회전풀리(31)를 경유하는 로프(40)의 상,하 유동을 안내하는 로프 유도부(300)를 포함하며,
    산기유닛(100)에는,
    스크레퍼 유닛(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스크레퍼 유닛(150)은,
    하우징(110)에 지지되는 다수의 지지대(155)를 통해 타공판(120)의 하부로 이격 설치되며, 상부로 구동축(152)이 돌출되는 구동모터(151); 및
    구동모터(151)의 구동축(152)에 연결되며 상단이 타공판(120)의 저면에 밀착되는 양날개로 된 스크레퍼(153)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구동모터(151)의 구동에 의해 스크레퍼(153)가 타공판(120)의 저면에 흡착되는 부유물을 긁어내어 부유물이 공기공급공간(13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산기식 수중폭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공기공급공간(130)의 내부에는,
    공기공급관(61)과 연결되어 공기의 분산이 가능한 공기 분산수단(140)이 더 포함되게 구성된 것으로,
    공기 분산수단(140)은,
    공기공급관(61)이 연결되는 메인공급관(141)과, 그 메인공급관(141)의 상부로부터 다수 방향으로 분기되어 산기판(20)의 저면의 다수 위치에 연결되는 분기관(142)(142')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산기식 수중폭기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유동 방지수단(200)은,
    일단이 중량추(10)의 상부 사방에 연결되고, 타단이 산기유닛(100)의 하우징(110) 하단 사방에 연결되는 다수의 스프링관(210)(210')으로 구성하되,
    각각의 스프링관(210)(210')은,
    중량추(10)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봉(211);
    하부가 지지봉(211)을 감싸며 중량추(10)에 연결되고, 상단이 하우징(110)에 연결되는 복원스프링(212); 및
    복원스프링(212)을 감싸는 주름관(213)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산기식 수중폭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로프 유도부(300)는,
    수위조절추(50)의 외측에서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도록 한 쌍을 이루게 구성되며,
    각각은, 로프(40)가 통과하는 상,하 관통형 사각관 형태의 설치관(310); 및
    설치관(310)의 내측 네면에 형성되어 로프(40)를 사방에서 구속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320)(32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산기식 수중폭기 장치.
KR2020160002412U 2016-05-04 2016-05-04 산기식 수중폭기 장치 Active KR2004814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412U KR200481459Y1 (ko) 2016-05-04 2016-05-04 산기식 수중폭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412U KR200481459Y1 (ko) 2016-05-04 2016-05-04 산기식 수중폭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459Y1 true KR200481459Y1 (ko) 2016-10-05

Family

ID=57139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412U Active KR200481459Y1 (ko) 2016-05-04 2016-05-04 산기식 수중폭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45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237A (ko) * 2017-08-10 2019-02-20 한국수자원공사 저수지 퇴적층의 망간 용출 억제장치 및 방법
CN119551812A (zh) * 2025-01-21 2025-03-04 新乡市普力环保净化设备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用节能环保型污水曝气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855B2 (ko) * 1983-11-30 1991-02-21 Q P Corp
KR100232051B1 (ko) * 1997-02-27 1999-12-01 최동민 가압부상 분해기
JP3012855B2 (ja) * 1993-09-17 2000-02-28 株式会社丸島アクアシステム 散気式曝気装置
KR200208112Y1 (ko) 2000-07-20 2000-12-15 김두영 산기식 수중폭기
KR101246835B1 (ko) * 2012-11-19 2013-04-03 고명한 산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855B2 (ko) * 1983-11-30 1991-02-21 Q P Corp
JP3012855B2 (ja) * 1993-09-17 2000-02-28 株式会社丸島アクアシステム 散気式曝気装置
KR100232051B1 (ko) * 1997-02-27 1999-12-01 최동민 가압부상 분해기
KR200208112Y1 (ko) 2000-07-20 2000-12-15 김두영 산기식 수중폭기
KR101246835B1 (ko) * 2012-11-19 2013-04-03 고명한 산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237A (ko) * 2017-08-10 2019-02-20 한국수자원공사 저수지 퇴적층의 망간 용출 억제장치 및 방법
KR102036604B1 (ko) * 2017-08-10 2019-10-28 한국수자원공사 저수지 퇴적층의 망간 용출 억제장치 및 방법
CN119551812A (zh) * 2025-01-21 2025-03-04 新乡市普力环保净化设备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用节能环保型污水曝气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91116C2 (ru) Аэр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ведения пузырьков газа в жидкую среду
US98555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vertical lift decanter system in a water treatment system
US7678266B2 (en) Integrated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s for natural water improvement
US3832854A (en) Bottom flow pond level control system
KR20050093813A (ko) 연못, 호수 및 기타 수역을 위한 물 순환 시스템
KR200481459Y1 (ko) 산기식 수중폭기 장치
KR101034651B1 (ko) 호소용 물순환장치
KR101012273B1 (ko) 고효율의 선회와류식 표면포기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의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WO2021131485A1 (ja) 微生物反応槽
US8622370B1 (en) Aerator air distribution manifold
EP0850882B1 (en) Apparatus for treating organic waste water utilizing microorganisms
KR102176099B1 (ko) 수평확산 임펠러부를 가진 물순환 장치
US8678358B1 (en) Buoyant aerator with support legs
KR101772239B1 (ko) 중력 공급식 저수 시설
KR101566641B1 (ko) 낙차식 폭기교반장치
EP0346109B1 (en) Device for circulation and gas exchange in liquids
DE202015103162U1 (de) Anordnung für Trägermaterialkörper zur Abwasserreinigung
KR101843034B1 (ko) 방사성 물질 흡착매체를 수면에 살포하는 확산장치
CN213012209U (zh) 一种模块化人工湿地装置
JP2014124538A (ja) 固液分離装置及びその集水孔形成方法及び水処理装置
KR101846235B1 (ko) 공전형 물 순환장치
KR20220147868A (ko) 호수 정화 시스템
KR101000022B1 (ko) 호소용 물순환장치
US9192895B2 (en) Cascade aerator assembly
JP5077874B2 (ja) 浄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6050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06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04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607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1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2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6092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