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80983Y1 - 세면도구 복합 거치대 - Google Patents

세면도구 복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983Y1
KR200480983Y1 KR2020150001483U KR20150001483U KR200480983Y1 KR 200480983 Y1 KR200480983 Y1 KR 200480983Y1 KR 2020150001483 U KR2020150001483 U KR 2020150001483U KR 20150001483 U KR20150001483 U KR 20150001483U KR 200480983 Y1 KR200480983 Y1 KR 2004809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soap
holder
toothbrush
receiv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4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선
Original Assignee
김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선 filed Critical 김희선
Priority to KR20201500014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9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9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98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18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for both soap and toothpaste or the like; in combination with holders for drinking glasses, toothbrushes, or the like ; Toothpaste dispensers; Dental care cen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8Accessories for toilet tables, e.g. glass plates, supports therefor
    • A47K1/09Holders for drinking glasses, tooth brushes, hair brushe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면도구 복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면(洗面)과 관련된 용품인 비누, 칫솔, 치약 등과 같은 세면도구를 한 곳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바쁜 현대인에게 각각의 세면도구를 찾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고 거치공간 효율을 높이기 위한 세면도구(洗面道具) 복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세면도구 복합 거치대는 비누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타원형의 비누거치부와; 상기 비누거치부 일측에 연장되어 칫솔을 거치할 수 있는 삽입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블록 형상의 칫솔거치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비누거치부는, 비누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수용부 바닥으로부터 돌출되어 소정의 두께와 높이를 가지고 상기 높이가 상기 두께의 폭보다 크며 상기 비누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복수 개 형성된 받침돌출판과, 받침돌출판간 사이 수용부에 물 배출 구멍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배수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칫솔거치부는, 삽입홈 양측면에 형성되어 칫솔을 잡아주기 위한 소정 두께의 탄성부재와, 삽입홈 하부에는 물 배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면도구 복합 거치대{Toiletries composite cradle}
본 고안은 세면도구 복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면(洗面)과 관련된 용품인 비누, 칫솔, 치약 등과 같은 세면도구를 한 곳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바쁜 현대인에게 각각의 세면도구를 찾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고 거치공간 효율을 높이기 위한 세면도구(洗面道具) 복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洗面)을 위해서 다양한 도구를 이용한다. 이를테면, 칫솔, 치약, 비누 등이 그러하고, 이러한 도구들은 현대생활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용품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세면도구(洗面道具)로는 양치(養齒)를 할 때 사용하는 치약 및 칫솔, 얼굴을 씻거나 머리를 감을 때 사용하는 비누 등이 포함되는데, 통상 가정집 등에서는 이러한 세면도구를 개별적으로 보관 또는 거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세면도구들은 비누, 치약, 칫솔 등이 각각 나누어 분산 보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서 각각의 세면도구를 별도로 찾아 사용하게 되고 세면도구를 각각 나누어 보관하는 경우, 각각의 세면도구가 분산 보관되므로 세면도구가 차지하는 수용공간이 한 곳에 집중하여 보관하는 것보다 많이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일반적으로 세면장 또는 욕실에서 사용되고 있는 세면도구인 비누, 칫솔, 치약 등을 동시에 보관하는 거치대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지 않고 비누, 칫솔, 치약 등을 욕실의 진열장에 넣어 사용하고 있으며 비누, 칫솔, 치약 등을 보관 또는 거치하는 거치대가 있어도 각각 세면장이나 욕실에 분리되어 별도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수용 공간이 분산되어 있어 불편하였고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1-0065640호 '세면도구 보관케이스' (공개일자 2011년06월16일)가 소개되고 있다.
상기 '세면도구 보관케이스'는 전방에는 개폐 가능하도록 도어가 결합되고, 바닥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안착홈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세면도구가 끼움 결합되도록 다수의 걸이홈이 형성된 걸이대; 상기 몸체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대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세면도구 중 하나인 비누를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이 없고, 개폐 가능하나 통기성이 떨어지는 내부 공간에 칫솔을 보관하게 되어 칫솔에 묻은 수분이 용이하게 증발하지 못하는 점 등 개선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세면도구들은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일목요연하게 보관 또는 거치할 수 있는 세면도구 거치대가 있으면 매우 편리할 것이다.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1-0065640호 '세면도구 보관케이스' (공개일자 2011년06월16일)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과 필요성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세면(洗面)과 관련된 용품인 비누, 칫솔, 치약 등과 같은 세면도구를 한 곳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바쁜 현대인에게 각각의 세면도구를 찾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고 거치공간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세면도구(洗面道具) 복합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세면도구 복합 거치대는 비누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타원형의 비누거치부와; 상기 비누거치부 일측에 연장되어 칫솔을 거치할 수 있는 삽입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블록 형상의 칫솔거치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비누거치부는, 비누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수용부 바닥으로부터 돌출되어 소정의 두께와 높이를 가지고 상기 높이가 상기 두께의 폭보다 크며 상기 비누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받침돌출판과, 받침돌출판간 사이 수용부에 물 배출 구멍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칫솔거치부는, 삽입홈 양측면에 형성되어 칫솔을 잡아주기 위한 소정 두께의 탄성부재와, 삽입홈 하부에는 물 배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세면도구가 종래에는 세면실이나 화장실 등의 각각 거치대에 분산되어 있었으나 세면도구가 한곳에 모여 있어 비누, 칫솔 또는 치약을 찾기 위해 시간을 소비하지 않고 세면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개방된 칫솔거치부를 둠으로 건조가 간편하고 삽입홈이 칫솔 하부를 꽉 잡아줘서 본 고안의 세면도구 복합 거치대를 이동하거나 흔들려도 쉽게 빠지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치약짜개부를 통하여 치약을 용이하게 짤 수 있는 이점이 부가적으로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세면도구 복합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세면도구 복합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세면도구 복합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세면도구 복합 거치대를 적용한 예시적인 사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세면도구 복합 거치대를 적용한 예시적인 사진이다.
이하,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의 도시에 있어서 요소들 간의 크기 비율이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간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상에 나타나는 표현의 차이는 해당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가능한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세면도구 복합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세면도구 복합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세면도구 복합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세면도구 복합 거치대(10)는 크게 비누를 거치하는 비누거치부(100)와, 칫솔을 꽂을 수 있는 칫솔거치부(20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선택적으로 치약을 거치할 수 있는 치약거치부(300) 또는 치약짜개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세면도구 복합 거치대(10)는 비누(S)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타원형의 비누거치부(100)와; 비누거치부 일측에 연장되어 칫솔(B)을 거치할 수 있는 삽입홈(21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블록 형상의 칫솔거치부(20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비누거치부(100)는, 비누(S)가 수용되는 수용부(110)와, 수용부(110) 바닥으로부터 돌출되어 소정의 두께와 높이를 가지고 상기 높이가 상기 두께의 폭보다 크며 비누(S)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받침돌출판(120)과, 받침돌출판(120)간 사이 수용부(110) 바닥면에 물 배출 구멍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홀(1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칫솔거치부(200)는, 삽입홈(210) 내측 양측면에 형성되어 칫솔(B)을 잡아주기 위한 소정 두께의 탄성부재(220)와, 상기 삽입홈(210) 하부에는 물 배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2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110)의 바닥은 물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배수홀(130) 방향으로 소정 각도 구배(slope) 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세면도구 복합 거치대(10)는 비누거치부(100) 또는 칫솔거치부(200) 일측과 결합되어 치약(P) 뚜껑이 아래로 향하게 세워 둘 수 있는 소정 깊이 들어간 바스켓(basket) 형상의 치약거치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세면도구 복합 거치대(10)는 칫솔거치부(200) 일측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치약을 짤 수 있는 치약짜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치약짜개부(400)는, 치약(P) 양측부를 지지하고 치약이 짜지도록 압박하여 치약짜기를 보조하는 치약지지부(410)와, 치약지지부(410)에 연결되어 치약(P) 하부 끝단이 삽입되는 롤러홈이 형성되는 주롤러부(420)와, 치약지지부(410) 일측에 형성되어 주롤러부(420)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보조롤러부(430)와, 주롤러부(420) 일측에 연장되어 주롤러부(42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파지부(44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주롤러부(420) 및 보조롤러부(420)의 외피는 상기 치약(P)의 측부를 유연하게 압박할 수 있는 탄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럼, 비누거치부(100)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세면도구 복합 거치대(10)는 비누(S)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타원형의 비누거치부(100)를 포함한다.
비누거치부(100)는, 비누(S)가 수용되는 수용부(110)와, 수용부(110) 바닥으로부터 돌출되어 소정의 두께와 높이를 가지고 높이가 두께의 폭보다 크며 비누(S)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받침돌출판(120)과, 받침돌출판(120)간 사이 수용부(110)에 물 배출 구멍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홀(130)을 포함하고, 배수홀(130)에서 빠져나오는 물이 수용부(110) 저면에 머물러 있지 않도록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홈(140)이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수용부(110)는 비누(S)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그 형상은 비누(S) 크기보다 약간 크게 여유 공간이 있는 비누(S)의 외부 형상을 따른다. 본 고안에서는 비누(S)의 외부 타원형상에 따라 구현하였으나 일 특정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자유롭게 그 형상을 변경, 선택할 수 있다.
받침돌출판(120)은 소정의 두께와 높이 및 길이를 가지는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받침돌출판(120)의 높이는 두께의 폭보다 커서 수용부(110)의 바닥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형상을 이룬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돌출판(120)이 수용부(110)의 바닥면에 일렬로 배열되고 복수 개가 형성되어 비누(S)를 지지한다. 이에 사용자가 비누(S)를 사용한 후, 복수 개의 받침돌출판(120)이 물기가 많이 함유되었을 비누(S)를 용이하게 건조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게 해준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비누거치부(100)는 비누(S) 건조를 원활하게 진행시켜 종래 물이 고여 비누(S)가 물러지는 등 하여 비누 사용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한다.
배수홀(130)은 물을 배출할 수 있는 구멍(hole)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받침돌출판(120)간 사이의 수용부(110) 바닥에 형성된다.
수용부(110)의 바닥면은 배수홀(130) 방향으로 소정 각도 구배(slope) 지어 낮아지게 형성하여 물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홈(140)은 수용부(110) 하부 일측면에 형성되어 배수홀(130)에서 배출되는 물이 수용부(110) 저면에 머물지 않고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출구 기능을 한다.
참고로,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비누(S)는 세면대에 별도의 거치공간을 마련해두고 거치 된 비누를 세안 또는 세수를 할 때마다 꺼내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비누 거치 방식은 거치공간에 물이 고여있는 경우 비누가 물러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비누의 사용 수명을 크게 단축시켰다. 또한 물러진 비누가 비누 거치부에 달라붙어 미관상 좋지 않았기 때문에, 종래의 비누거치부는 비누의 소비를 가속화시키고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누거치부에 비누가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누 내부를 천공하여 비누를 거치하는 걸이 방식의 거치대가 사용되었지만, 비누 사용이 다되면, 새로운 비누를 사용자가 천공하여 사용하는 작업이 번거롭기 때문에, 걸이 방식의 거치부에 천공되어 판매되는 새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는 경제적인 문제점 등이 있었으나,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비누거치부(100)를 적용하므로 비누(S) 건조가 용이한 구조로 인하여 상기한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다.
다음, 칫솔거치부(200)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세면도구 복합 거치대(10)는 비누거치부(100) 일측에 연장되어 칫솔(B)을 거치할 수 있는 삽입홈(21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블록 형상의 칫솔거치부(200);를 포함한다.
칫솔거치부(200)는, 삽입홈(210) 내측 양측면에 형성되어 칫솔(B)을 잡아주기 위한 소정 두께의 탄성부재(220)와, 삽입홈(210) 하부에는 물 배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230)을 포함하고 고정홀(240) 또는 부착부재(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삽입홈(210)은 일반적인 칫솔(B)의 손잡이가 소정 깊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오목하게 함몰되는 하부가 막혀있는 튜브 형상이다.
탄성부재(220)는 삽입홈(210) 내측 양측면을 따라 소정 깊이까지 형성되고 칫솔(B)을 잡아주기 위한 소정 두께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삽입홈(210) 내측 양측면에 형성된 탄성부재(220)가 칫솔(B)의 손잡이 부위의 외주면에 닿아 꽉 잡아 주는 역할을 한다.
배출공(230)은 삽입홈(210) 내부에 유입되는 물기(물)을 배출하기 위해서 삽입홈(210) 하부에 형성되는 관통구멍(hole)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고정홀(240)은 본 고안의 거치대(10)를 세면실 주변 벽면 등에 거치하기 위한 고리에 걸기 위한 일측이 개방된 슬롯 구멍이다.
부착부재(250)는 부착테이프와 같은 부착액이 도포된 부착재로 고정홀(240)을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도 4는 비누거치부(100)와 칫솔거치부(200)가 포함된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세면도구 복합 거치대를 적용한 예시적인 사진이다.
다음, 치약거치부(300)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세면도구 복합 거치대(10)는 비누거치부(100) 또는 칫솔거치부(200) 일측과 결합되어 치약(P) 뚜껑이 아래로 향하게 세워 둘 수 있는 소정 깊이 들어간 바스켓(basket) 형상의 치약거치부(30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치약(P)은 기둥형상의 튜브 내에 내용물(치약액)이 저장된 용기로 이빨을 닦는 치약액과 구분하고자 하고, 본 명세서에서는 치약액을 담은 기둥형상의 튜브 용기로 정의하겠다.
바스켓부(310)는 소정 깊이 들어가 내부로 함몰된 바스켓(basket) 형상으로 치약(P)의 뚜껑이 아래로 향하여 세워 둘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바닥부(320)는 바스켓부(310)와 일체로 연결되어 평평한 바닥면을 형성하고 메쉬 타입으로 물이 용이하게 하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작은 구멍들이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5는 비누거치부(100)와 칫솔거치부(200), 치약거치부(300)가 포함된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세면도구 복합 거치대를 적용한 예시적인 사진이다.
마지막으로, 치약짜개부(400)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세면도구 복합 거치대(10)는 칫솔거치부(200) 일측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치약을 짤 수 있는 치약짜개부(400)를 포함한다.
치약짜개부(400)는, 치약(P) 양측부를 지지 및 압박하여 치약 짜기를 보조하는 한 쌍의 치약지지부(410)와, 치약지지부(410)에 결합되어 치약(P) 하부 끝단이 삽입되는 롤러홈(421)이 형성되는 주롤러부(420)와, 치약지지부(410) 일측에 형성되어 주롤러부(420)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보조롤러부(430)와, 주롤러부(420) 일측에 연장되어 상기 주롤러부(42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파지부(44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주롤러부(420) 및 보조롤러부(420)의 외피는 상기 치약(P)의 측부를 유연하게 압박할 수 있는 탄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치약지지부(410)는 치약(P) 몸체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되어 일측으로 기울어진 한 쌍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삽입된 치약(P)의 양측부를 지지한다.
또한 한 쌍의 치약지지부(410)가 상부로 갈수록 상호 이격 거리가 좁아져 있어 삽입된 치약(P) 양측부를 압박하는 역할도 한다.
즉, 후술하는 주롤러부(420)를 통하여 본격적으로 치약액을 짜기 전에 1차적으로 치약(P)을 압박하여 주어 치약짜기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주롤러부(420)는 수평으로 눕혀진 원기둥 형상으로 그 중심에는 회전축이 있고, 회전축은 치약지지부(410) 하부 일측에 의해 지지된다.
특히 주롤러부(420) 외피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 재질로 도포되거나 전체가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후술하는 보조롤러부(430)와 연동하여 치약(P) 하부부터 압박하면서 회전하여 치약액을 치약(P)의 입구를 통해 배출시킨다.
롤러홈(421)는 주롤러부(4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된 것으로, 치약(P) 하부 끝단이 삽입되는 슬롯(slot) 타입의 요(凹)홈이다.
보조롤러부(430)는 치약지지부(410) 일측 내에 설치되는 수평으로 눕혀진 원기둥 형상으로 치약(P)이 삽입되어 주롤러부(420)가 회전하면 주롤러부(420)와 연동되어 회전한다.
추가로 일측단에 톱니기어로 연결하는 보조 수단(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보조롤러부(430) 외피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 재질로 도포되거나 전체가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주롤러부(430)와 연동하여 치약(P) 하부부터 압박하면서 회전되어 치약액을 치약(P)의 입구를 통해 배출시킨다.
파지부(440)는 주롤러부(420) 일측에 연장되어 사람의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이다.
즉, 사용자가 파지부(440)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면, 파지부(440)와 연결된 주롤러부(420)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치약(P) 하부 끝단이 삽입된 삽입홈(421)이 주롤러부(42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여 치약(P) 하부 양측부를 치약지지부(410)가 1차로 압박하면서 주롤러부(420)와 보조롤러부(430)이 동시에 상호 회전하여 하부로 유입하여 본격적인 제 2차 압박으로 치약(P)이 양측면이 힘을 받아 토출될 수 있는 치약(P)의 입구로 이동하여 치약액을 배출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보다 더욱 치약액이 치약(P) 내에 잔존하는 것이 적어지고, 잔존하는 치약액이 적어지므로 치약(P) 사용이 절약될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세면도구 복합 거치대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세면도구가 종래에는 세면실이나 화장실 등의 각각 거치대에 분산되어 있었으나 세면도구가 한곳에 모여 있어 비누, 칫솔 또는 치약을 찾기 위해 시간을 소비하지 않고 세면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개방된 칫솔거치부를 둠으로 건조가 간편하고 삽입홈이 칫솔 하부를 꽉 잡아줘서 본 고안의 세면도구 복합 거치대를 이동하거나 흔들려도 쉽게 빠지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치약짜개부를 통하여 치약을 용이하게 짤 수 있는 이점이 부가적으로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고안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세면도구 복합 거치대
100 : 비누 거치부
200 : 칫솔 거치부
300 : 치약 거치부
400 : 치약 짜개부

Claims (4)

  1. 비누(S)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타원형의 비누거치부(100)와;
    상기 비누거치부 일측에 연장되어 칫솔(B)을 거치할 수 있는 삽입홈(21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블록 형상의 칫솔거치부(200);
    상기 비누거치부(100) 또는 칫솔거치부(200) 일측과 결합되어 치약(P) 뚜껑이 아래로 향하게 세워 둘 수 있는 소정 깊이 들어간 바스켓(basket) 형상의 치약거치부(300);
    상기 칫솔거치부(200) 일측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치약을 짤 수 있는 치약짜개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비누거치부(100)는,
    상기 비누(S)가 수용되는 수용부(110)와, 상기 수용부(110) 바닥으로부터 돌출되어 소정의 두께와 높이를 가지고 상기 높이가 상기 두께의 폭보다 크며 상기 비누(S)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받침돌출판(120)과, 상기 받침돌출판(120)간 사이 상기 수용부(110) 바닥면에 물 배출 구멍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홀(130)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110)의 바닥은 물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상기 배수홀(130) 방향으로 소정 각도 구배(slope) 지어지며,
    상기 칫솔거치부(200)는,
    상기 삽입홈(210)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칫솔(B)을 잡아주기 위한 소정 두께의 탄성부재(220)와, 상기 삽입홈(210) 하부에는 물 배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230)을 포함하며,
    상기 치약짜개부(400)는,
    상기 치약(P) 양측부를 지지 및 압박하여 치약 짜기를 보조하는 한 쌍의 치약지지부(410)와, 상기 치약지지부(410)와 결합되고 상기 치약(P) 하부 끝단이 삽입되는 롤러홈이 형성되는 주롤러부(420)와, 상기 치약지지부(410)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주롤러부(420)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보조롤러부(430)와, 상기 주롤러부(420) 일측에 연장되어 상기 주롤러부(42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파지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도구 복합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롤러부(420) 및 상기 보조롤러부(420)의 외피는 상기 치약(P)의 측부를 유연하게 압박할 수 있는 탄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도구 복합 거치대.
KR2020150001483U 2015-03-10 2015-03-10 세면도구 복합 거치대 Expired - Fee Related KR2004809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483U KR200480983Y1 (ko) 2015-03-10 2015-03-10 세면도구 복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483U KR200480983Y1 (ko) 2015-03-10 2015-03-10 세면도구 복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983Y1 true KR200480983Y1 (ko) 2016-07-29

Family

ID=56613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483U Expired - Fee Related KR200480983Y1 (ko) 2015-03-10 2015-03-10 세면도구 복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98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4153A (zh) * 2018-08-28 2018-12-21 常州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可自动加热的电动牙刷装置
KR102761187B1 (ko) 2023-09-26 2025-02-03 ㈜케이비엠 세면도구 거치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7315A (ja) * 1989-10-23 1991-06-11 Mutou Komuten:Kk 多軸掘削機
KR200192281Y1 (ko) * 2000-03-03 2000-08-16 이광웅 세면용품 비치대
KR200237171Y1 (ko) * 2001-03-28 2001-10-10 김우리 튜브 압출장치
US20040060829A1 (en) * 2002-09-30 2004-04-01 Oldenkamp Bernard R. Personal product retainer system
KR20110065640A (ko) 2009-12-10 2011-06-16 (주)교원클럽 세면도구 보관케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7315A (ja) * 1989-10-23 1991-06-11 Mutou Komuten:Kk 多軸掘削機
KR200192281Y1 (ko) * 2000-03-03 2000-08-16 이광웅 세면용품 비치대
KR200237171Y1 (ko) * 2001-03-28 2001-10-10 김우리 튜브 압출장치
US20040060829A1 (en) * 2002-09-30 2004-04-01 Oldenkamp Bernard R. Personal product retainer system
KR20110065640A (ko) 2009-12-10 2011-06-16 (주)교원클럽 세면도구 보관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4153A (zh) * 2018-08-28 2018-12-21 常州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可自动加热的电动牙刷装置
KR102761187B1 (ko) 2023-09-26 2025-02-03 ㈜케이비엠 세면도구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1919B2 (en) Sponge cleaning utensil with inner core for solid soap
WO2009108542A1 (en) Modular cabinet storage system for toilets
KR200494398Y1 (ko) 수용공간과 다기능을 통합한 다기능 신체관리봉
KR200480983Y1 (ko) 세면도구 복합 거치대
US20080052816A1 (en) Shower shelf and storage
KR200476411Y1 (ko) 칫솔걸이
KR101410838B1 (ko) 고형세제 그라인더
US7517841B2 (en) Cleansing receptacle
KR101572370B1 (ko) 일인가구용 욕실장치
KR200467805Y1 (ko) 욕실용품 거치대가 구비된 수도꼭지
EP2765248A1 (en) Rim block holder
US20170303748A1 (en) Personal Back Scrubber
CN210124699U (zh) 一种洗漱套装
JP3083864U (ja) 洗剤容器付洗浄具
CN203493538U (zh) 一种组合式牙缸
CN216797481U (zh) 一种壁挂一体式带挤牙膏器、刷牙和洗脸多用途置物架
CN213075470U (zh) 一种有序置物的洗脸盆
KR101342233B1 (ko) 용기 보관형 수세미 어셈블리
WO2022174935A1 (en) Toothbrush holder with dispensers for toothpaste and soap
KR102106832B1 (ko) 수세미 거치대
KR200348699Y1 (ko) 세면대
JP5900829B2 (ja) 浴室用差込式物入れ具
CN205625740U (zh) 一种多功能卫浴杯架
KR20230126837A (ko) 세면도구 거치대
JP3185849U (ja) 浴室用差込式物入れ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5031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6060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1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2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6072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240505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