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339Y1 - Shoes For Easily Wearing On And Off - Google Patents
Shoes For Easily Wearing On And Of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0339Y1 KR200480339Y1 KR2020140009057U KR20140009057U KR200480339Y1 KR 200480339 Y1 KR200480339 Y1 KR 200480339Y1 KR 2020140009057 U KR2020140009057 U KR 2020140009057U KR 20140009057 U KR20140009057 U KR 20140009057U KR 200480339 Y1 KR200480339 Y1 KR 20048033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neaker
- velcro
- band
- sulphone
- sho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1/00—Footwear with arrangements to facilitate putting-on or removing, e.g. with strap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26—Tongues for shoe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착화가 용이한 운동화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운동화는, 발의 양 측면을 덮는 측면갑피, 발의 후방을 덮는 뒷갑피, 및 측면 갑피들 사이에 구비되는 설포를 포함하며, 상기 설포는 상기 설포 상측부가 상기 측면갑피의 상부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길이로서, 상측부가 신발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뒷갑피 상측에 신발 후방으로 벌어지는 형상의 착화유도 경사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asy-to-ignite sneaker is disclosed. The sn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dewall that is provided between a side upper portion covering both sides of the foot, a back upper portion covering the back of the foot, and a side upper portion, wherein the upper portion of the sulp is lower than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upper And an ignition inducing inclined surface having a shape extending toward the rear of the shoe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upper.
Description
본 고안은 착화가 용이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화 시마다 끈을 풀었다 조이거나 구두 주걱을 사용하지 않아도 선채로 쉽게 착화할 수 있는 신발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which is easy to ignit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e which can be easily ignited without using a shoe or a shoe shoe when the shoe is loosened.
종래 신발들의 경우 신발 착용시 벗겨짐을 방지하기 위해 입구가 좁고, 따라서 신발 착용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신발에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포가 길고, 이러한 설포는 신발 착용시 발에 걸리거나 말려 들어가기가 쉬워 허리를 굽혀 설포 상단을 손으로 잡아야만 쾌적하게 신발을 착화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Conventional shoes have a disadvantage in that the mouth is narrow to prevent peeling off when wearing shoes, and therefore shoes are not easily worn. In addition, the snow is long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shoe, and when the shoe is worn, it is easy to get caught or caught on the foot, so it is often necessary to bend the waist and hold the top of the sulpo .
신발은 착용시 잘 벗겨지지 않아야만 신발 착용자가 마음을 놓고 보행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이 신발에 잘 들어오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통상의 신발은 입구가 좁게 디자인된다. 다만 이러한 디자인으로 인해 신발의 착화/탈화가 불편하게 되며, 특히 몸이 불편한 환자에게는 허리를 숙여 신발을 신고 벗는 것이 매우 힘들 수도 있다.A shoe wearer should be able to walk with his / her mind in mind when the shoe is not easily peeled off when worn. Also, the foreign object should not enter the shoe well. From this point of view, an ordinary shoe is designed to have a narrow entrance. However, these designs make it difficult to ignite / de-shine the shoe, especially for patients with uncomfortable conditions.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운동화는 발의 양 측면을 덮는 측면갑피, 발의 후방을 덮는 뒷갑피, 및 측면 갑피들 사이에 구비되는 설포를 포함하며, 상기 설포는 상기 설포의 설포 상측부가 상기 측면갑피의 상부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길이로서, 상기 설포 상측부가 신발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상으로 구비되고,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sn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de upper covering the both side surfaces of the foot, a back upper covering the back of the foot, and a sulpo provided between the side uppers, Wherei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side upper part is located below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side upper part,
상기 뒷갑피 상측에는 상기 운동화의 후방으로 벌어지는 형상의 착화유도 경사면이 구비되며, 상기 뒷갑피 하측에는 뒷갑피 지지부가 구비된다.On the upper part of the rear upper part, there is provided an ignition inducing inclined surface of a shape extending rearward of the sneaker, and a rear upper part supporting part is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rear upper part.
그리고 상기 복사뼈 받침부 상측에는 전방 및 후방 측의 높이가 중간 부분보다 높도록 측면 갑피가 연장되는 발목측면보강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운동화의 상기 양측면 갑피에는 상기 발목측면보강 돌출부에서 시작되어 신발 측면 갑피 하부까지 연결되는 S자 형태의 2개의 측면 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And an ankle lateral side reinforcing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radiating bone receiving part such that the height of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is higher than the middle part, wherein the both side upper parts of the sneaker are provided with the ankle side side reinforcing protrusions, And two S-shaped side support portion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본 고안의 운동화는 추가로 상기 측면 갑피에 벨크로 밸트, 상기 벨그로 벨트와 상기 측면 갑피를 연결하는 벨크로 벨트 회전 고리 및 복수의 벨크로 밴드 외측 접착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벨크로 벨트는 상기 벨크로 벨트 회전 고리를 사용하여 설포 방향 또는 설포 반대 방향의 상기 벨크로 밴드 외측 접착부에 부착될 수 있다.The sn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Velcro belt on the side upper, a Velcro belt rotating ring connecting the Velcro belt and the side upper, and a plurality of Velcro band outer adhering parts, To the outside of the velcro band in the direction of the sulpo or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ulpho.
본 고안의 운동화는, 위로 볼록하며 톱니 형으로 상기 설포 안으로 통화하는 톱니형 체결 밴드, 상기 설포 내측으로 상기 톱니형 체결 밴드가 지나가는 부분에 위치되며 상기 톱니형 체결 밴드를 걸어 고정하는 걸림장치, 상기 걸림장치 상측에 위치되며 압력을 가하면 상기 톱니형 체결 밴드를 상기 걸림장치 내부로 밀어 고정시키는 톱니형 체결 밴드 압박부, 및 상측에서 압력을 가하면 상기 톱니형 체결 밴드가 걸리는 걸림 장치를 이격시켜 상기 톱니형 체결 밴드가 풀려나가도록 하는 걸림장치 풀림 버튼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The sn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n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oothed fastening band which convexly conveys to the inside of the sulpo with a serration, a fastening device which is located at a portion where the toothed fastening band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sulphone and which fastens the toothed fastening band, A sawtooth fastening band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and fixing the serration type fastening band to the inside of the fastening device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and a fastening band pushing portion for fastening the fastening device for fastening the serration fastening band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from above, And a locking device releasing button for releasing the fastening band.
본 고안은 착화가 용이하면서도, 착화 시 착용감이 우수한 운동화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운동화는 설포 상측부 및 착화 유도 경사면이 모두 바깥방향으로 벌어져 착화가 매우 용이하다. 설포는 짧고 고정되어 착화가 용이하면서도 착화 시 밀려 들어가지 않는다. 또한 복사뼈 받침부 및 발목측면보강 돌출부를 통해, 설포 상측부 및 착화 유도 경사면이 벌어져있지만 신발이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하고, 동시에 복사뼈 부분을 받치고 감싸 착용감을 개선할 수 있다. 벨크로 밸트는 회전 고리를 통해 부탁되어, 손쉽게 양쪽 벨크로 밴드 외측 접착부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톱니형 체결 밴드를 사용하여 더욱 용이하게 신발을 조이거나 풀어 착용감을 높일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neaker which is easy to ignite and excellent in comfort when ignited. The sneak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asy to ignite because both the sulfo side portion and the ignition induction slope extend outwardly. The sulphate is short and fixed and easy to ignite, but does not get pushed when ignited. In addition, through the radiating bone receiving portion and the ankle side reinforcing protruding portion, the shoes upper side and the ignition inducing slant face are opened but the shoes can not be easily peeled off, and at the same time, The Velcro belt is requested through the swivel ring and can easily be attached to the outer Velcro band outer bond. It is also possible to tighten or loosen the shoes more easily by using a serrated fastening band to enhance the fi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운동화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화의 다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운동화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화의 또 다른 사시도를 나타낸다.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sn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the sn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side view of the running sho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the sn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에서 설명된 실시예들과 함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으로부터 불필요한 분산을 피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참조 부호/번호는 도면들 전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을 지칭하도록 사용된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attached drawing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ior art may be omitted in order to avoid unnecessary dispersion from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figure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운동화의 사시도를 나타낸다.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sn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운동화는 신발의 전면 및 측면을 덮는 외피와 양 측면 외피 사이에 발등을 덮도록 위치하는 설포(3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운동화는 뒷갑피 및 설포(30)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neak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본 고안의 운동화의 설포(30)는 특히 설포의 전체 길이가 기존의 운동화들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하면, 설포(30)는 설포 양측의 측면 외피보다 짧아, 설포 상측부(20)가 측면 외피의 최상단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며, 특히 설포 상측부(20)는 신발 위측/외측으로 벌어진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설포(30)의 형상으로 인해 신발 착화 시 허리를 굽혀 설포를 잡고 발을 넣지 않아도 쉽게 착화가 가능하며 착화로 인한 설포의 말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설포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설포는 짧고 고정되어 착화가 용이하면서도 착화 시 밀려 들어가지 않는다. 즉, 설포는 기존의 운동화들과 달리 양 측면 외피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고, 고정으로 인한 착화감/착용감 악화를 개선하기 위해 탄성이 있는 소재로서 구비될 수 있다.The sulphon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verall length of the sulphone is shorter than that of conventional sneakers. In other words, the
운동화 입구의 전/후방이 넓어져서 착용 도중 발목을 잡아주는 기능이 약해지는 것을 보완하기 위해, 복사뼈가 위치하는 측면 갑피의 윗부분은 복사뼈를 따라서 밖으로 벌어지면서도 그 아래 안쪽으로는 돌출된 쿠션받침이 구비되어 복사뼈를 밑에서 받쳐주는 복사뼈 받침부(70)를 둔다. 그리고 복사뼈 받침부(70)에서 이어져서 복사뼈를 감싸듯 위쪽으로 올라가면서 앞뒤로 발목을 지탱해주는 발목측면보강 돌출부(10)를 두어 신발 착용시 발목을 잡아주도록 한다. 발목측면보강 돌출부(10)는 착용감을 위해 전방 및 후방의 높이가 중간부분보다 높아 복사뼈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발목측면보강 돌출부(10)의 앞부분 및 뒤부분에서 복사뼈 앞측 및 후측을 감싸도록고 형성하고, 중간부분의 높이가 낮은 부분에서는 복사뼈 받침부(70)가 복사뼈를 받치도록 형성된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weakening of the ankle holding function during widening, the upper part of the upper side of the lateral side where the radiating bone is located is extended out along the radiating bone while the protruding cushion base And a radiating
본 고안의 운동화는 전통적인 방식의 운동화 끝 대신 벨크로 벨트(20)를 포함하며, 신발 양 측면에 벨크로 밴드 외측 접착부(60)를 포함한다. 도면에는 벨크로 밴드 회전 고리(50) 측면의 벨크로 밴드 외측 접착부(60)를 도시하였으나, 반대 측면에도 벨크로 밴드 외측 접착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벨크로 벨트(40)는 벨크로 밴드 회전 고리(50)를 통해 신발에 부탁된다. 벨크로 밴드 회전 고리(50)를 통해, 사용자는 신발을 착화하는 경우에는 벨크로 밴드(40)가 설포(30)를 지나 벨크로 밴드 회전 고리(50) 반대측의 벨크로 밴드 외측 접착부(미도시)에 부착시켜 신발을 고정할 수 있다. 신발을 착화하지 않는 경우 등에는 벨크로 밴드(40)를 벨크로 밴드 회전 고리(50)를 통해 설포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벨크로 밴드 외측 접착부(60)에 부착시켜 고정해둘 수 있다.
The sho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화의 다른 사시도를 나타낸다.2 show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the sn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운동화는 신발 양 측면에 벨크로 밴드 외측 접착부(6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1에서와 같이 신발 착용시에는 벨크로 밴드(40)를 설포를 지나 반대편 벨크로 밴드 외측 접착부(미도시)에 부탁하여 착용시 신발을 발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신발 미착용시 등 신발을 발모양에 맞게 조이지 않는 경우에는, 도 2에서와 같이 벨크로 밴드(40)를 벨크로 밴드 회전 고리(50)를 사용하여 반대 방향으로 회전, 설포 반대 방향의 벨크로 밴드 외측 접착부(60)에 부착하여 둠으로써, 미착용시에도 벨크로 밴드(40)를 고정해둘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n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Velcro-band outer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운동화의 측면도를 나타낸다.3 shows a side view of the running sho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신발을 편하게 착화할 수 있도록 입구가 넓어지는 신발의 형상을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FIG. 3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of a shoe having a wider opening so that the shoe can easily be ignited.
상술한 바와 같이 착용이 용이하도록 설포(30)의 전체 길이가 신발 양측 갑피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며, 설포의 상측부(20)는 외측/상향으로 말려 올라가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entire length of the
그리고 착화 시 발이 들어가는 부위로, 신발 뒤측 뒷갑피(90) 위쪽에는 밖으로 경사를 이루는 전방유도 경사면(80)을 구비한다. 그리고 뒷갑피 안에는 발로 누르면 뒤로 물러나거나 기울어지기는 하나 신발이 앞으로 접히는 것을 막아주는 뒷갑피 지지부(100)를 둔다. 따라서 신발 착화 시 발은 전방유도 경사면(80)을 따라서 앞으로 미끄러져 들어가고 뒷갑피(90)가 꺾이지 않으므로 구둣주걱 없이 서서도 편리하게 착화가 가능하다. 뒷갑피 지지부(100)는 뒷갑피(90)보다 단단하거나 경도가 높은 재질로 뒷갑피(90) 내부 또는 외부에 덧대지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And a front guiding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화의 또 다른 사시도를 나타낸다.Fig. 4 show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the sn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1~도 3에서 도시한 발목측면보강 돌출부(10), 설포(30), 설포 상측부(20), 착화 유도 경사면(80)에 추가적인 구성들 및 대체되는 구성들을 도시한다.Fig. 4 shows additional and alternative configurations to the ankle side-
먼저 운동화의 측면부에는 측면 지지부(110)를 구비할 수 있다. 측면 지지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S자형 보강제로 구비되어, 신발의 모양을 유지하고 특시 신발 착용시 갑피가 내려갔다 다시 원상태로 회복되도록 도와줄 수 있다. S자형 측면 지지부(110)의 상부는 발목측면보강 돌출부(10)까지 연결되어 발목측면보강 돌출부(10)가 발목을 잘 지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S자형 측면 지지부(110)는 상부가 발목측면보강 돌출부(10)의 전후면을 각각 지지하도록 한쪽 측면에 2개씩 총 4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각각의 S자형 보강제 또는 4개의 보강제들 전체를 모두 측면 지지부(110)라고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운동화의 상기 양측면 갑피에는 상기 발목측면보강 돌출부에서 시작되어 신발 측면 갑피 하부까지 연결될 수 있으며, 신발 특면 갑피 하부라 함은 신발 밑창위의 신발 갑피가 끝나는 부분 또는 그 근방을 의미한다. S자형 지지부 또한 측면 갑피보다 단단하거나 경도가 높은 재질로, 측면 갑피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외부에 덧대지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First, the
그리고, 도 1 및 도 2의 벨크로 벨트 대신 도 4의 톱니형 체결 밴드(130)가 구비될 수도 있다. 톱니형 체결 밴드(130)는 위로 볼록하게 탄성 강도가 있고 설포 안으로 넓게 통과시켜 설포(30)를 고정하면서 측면 갑피간의 간격을 좁혀 신발을 조이는 기능을 갖는다. 설포(30) 안으로 밴드가 지나가는 윗부분(130)을 누르면 톱니형 체결 밴드(130)가 측면 갑피에 있는 톱니 걸림장치로 밀려들어가 고정이 되면서 신발을 조일 수 있다. 걸림장치 풀림 버튼(140)을 누르면 고정이 풀리면서 신발 조임이 풀린다. 다시 말하면, 운동화는 위로 볼록하며 톱니 형으로 설포 안으로 통화하는 톱니형 체결 밴드(130), 설포 내측으로 톱니형 체결 밴드가 지나가는 부분에 위치되며 톱니 형 체결 밴드를 걸어 고정하는 걸림장치(미도시), 걸림장치 상측에 위치되며 압력을 가하면 상기 톱니형 체결 밴드를 걸림장치 내부로 밀어 고정시키는 톱니형 체결 밴드 압박부(130), 및 상측에서 압력을 가하면 걸림 장치를 이격시켜 톱니형 체결 밴드가 풀려나가도록 하는 걸림장치 풀림 버튼(140)을 포함한다.Instead of the velcro belt of FIGS. 1 and 2, a
상술한 벨크로 밴드(40)나 톱니형 체결 밴드(130)는 모두 편한 정도의 조임에 고정을 해두면 이후는 손을 대지 않고 늘 정해진 정도로 조여지도록 운동화를 착용할 수도 있다.
When the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실용신안 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hose in which the componen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in a predetermined form. Each component or feature shall be considered optional unless otherwise expressly stated. Each component or feature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is not combined with other components or features. It is also possible to construct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some of the elements and / or features. The order of the operation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Some configurations or features of certain embodiments may be included in other embodiments, or may be replaced with corresponding configurations or features of other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the claims which do not have an explicit citation relation in the utility model claim can be combined to constitute the embodiment or can be included in the new claim by the correction after the application.
본 고안은 본 고안의 사상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is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발목측면보강 돌출부
20: 설포 상측부
30: 설포
40: 벨크로 밴드
50: 벨크로 밴드 회전 고리
60: 벨크로 밴드 외측 접착부
70: 복사뼈 받침부
80: 착화 유도 경사면
90: 뒷갑피
100: 뒷갑피 지지부
110: 측면 지지부
120: 톱니형 체결 밴드
130: 톱니형 체결 밴드 압박부
140: 걸림장치 풀림 버튼10: ankle side reinforcing projection
20:
30: Souso
40: Velcro band
50: Velcro band swivel ring
60: Velcro-band outer adhesive portion
70: Radial bone bearing part
80: Induction inducing slope
90: Rear upper
100: rear upper support
110:
120: serrated fastening band
130: serration type fastening band pressing portion
140: release button release button
Claims (7)
발의 양 측면을 덮는 측면갑피,
발의 후방을 덮는 뒷갑피, 및
측면 갑피들 사이에 구비되는 설포를 포함하며,
상기 설포는 상기 설포의 설포 상측부가 상기 측면갑피의 상부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길이로서, 상기 설포 상측부가 상기 운동화의 외측으로 경사를 갖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운동화의 외측은 상기 운동화에 발이 삽입되는 내측의 반대 방향을 가리키며,
상기 뒷갑피 상측에는 상기 운동화의 후방으로 벌어지는 형상의 착화유도 경사면이 구비되며, 상기 뒷갑피 하측에는 뒷갑피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 갑피에 벨크로 밸트, 상기 벨크로 벨트와 상기 측면 갑피를 연결하는 벨크로 벨트 회전 고리 및 복수의 벨크로 밴드 외측 접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벨크로 벨트는 상기 벨크로 벨트 회전 고리를 사용하여 설포 방향 또는 설포 반대 방향의 상기 벨크로 밴드 외측 접착부에 부착되는, 운동화.In running shoes,
Side upper covering the sides of the foot,
A back upper covering the rear of the foot, and
And a sulp provided between the side uppers,
The sulphone has a shape in which the upper side of the sulphone is located lower than the upper side of the side upper, the upper side of the sulp is inclined to the outside of the sneaker, and the outer side of the sulp is inserted into the sneaker Poin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inside,
And an upper portion of the rear upper is provided with an ignition inducing inclined surface extending rearward of the sneaker, and a rear upper portion supporting portion is provided below the rear upper portion,
A velcro belt, a Velcro belt rotating ring connecting the Velcro belt and the side upper, and a plurality of Velcro band outer adhering parts, wherein the Velcro belt is attached to the side upper using a Velcro belt rotating ring, Is attached to the outer portion of the velcro band.
상기 설포는 상기 측면 갑피들 사이에 고정되며,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비되는, 운동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lphone is fixed between the side uppers and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상기 측면 갑피 양측면의 상부에는, 복사뼈가 위치하는 상기 측면 갑피의 윗부분은 상기 운동화의 외측으로 경사를 갖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측면 갑피 내측으로는 상기 복사뼈 위치 하부에 돌출된 쿠션받침을 갖는 복사뼈 받침부가 구비되는, 운동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side upper part on which the radiating bone is positioned is inclined to the outer side of the sneaker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side upper part, Sneakers.
상기 복사뼈 받침부 상측에는 전방 및 후방 측의 높이가 중간 부분보다 높도록 측면 갑피가 연장되는 발목측면보강 돌출부가 구비되는, 운동화.The method of claim 3,
And an ankle side reinforcing protrusion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radiopost bone receiving part, the side upper being extended such that the height of the front and rear sides is higher than the middle part.
상기 운동화의 상기 양측면 갑피에는 상기 발목측면보강 돌출부에서 시작되어 신발 측면 갑피 하부까지 연결되는 S자 형태의 2개의 측면 지지부가 구비되는, 운동화.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wo side upper portions of the sneaker are provided with two S-shaped side support portion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hoe side upper portion starting from the ankle side side reinforcing projection portion.
위로 볼록하며 톱니 형으로 상기 설포 안으로 통하는 톱니형 체결 밴드, 상기 설포 내측으로 상기 톱니형 체결 밴드가 지나가는 부분에 위치되며 상기 톱니형 체결 밴드를 걸어 고정하는 걸림장치, 상기 걸림장치 상측에 위치되며 압력을 가하면 상기 톱니형 체결 밴드를 상기 걸림장치 내부로 밀어 고정시키는 톱니형 체결 밴드 압박부, 및 상측에서 압력을 가하면 상기 톱니형 체결 밴드가 걸리는 걸림 장치를 이격시켜 상기 톱니형 체결 밴드가 풀려나가도록 하는 걸림장치 풀림 버튼이 구비되는, 운동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oothed fastening band convexly and serially extending into the sulphone; a fastening device located at a portion where the toothed fastening band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sulphone and which fastens the toothed fastening band; A serration type fastening band for pushing and fixing the serration type fastening band to the inside of the fastening device and a fastening device for fastening the serration type fastening band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from the upper side to release the serration type fastening band A sneaker having a release button to release the engagement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9057U KR200480339Y1 (en) | 2014-12-08 | 2014-12-08 | Shoes For Easily Wearing On And Of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9057U KR200480339Y1 (en) | 2014-12-08 | 2014-12-08 | Shoes For Easily Wearing On And Of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0339Y1 true KR200480339Y1 (en) | 2016-05-23 |
Family
ID=56098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9057U Expired - Lifetime KR200480339Y1 (en) | 2014-12-08 | 2014-12-08 | Shoes For Easily Wearing On And Of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0339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232566A3 (en) * | 2023-05-08 | 2025-01-30 | 배효만 | Shoe to which tongue is fixed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5260Y1 (en) | 2004-04-23 | 2004-07-05 | 박차철 | comportable shoe |
-
2014
- 2014-12-08 KR KR2020140009057U patent/KR200480339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5260Y1 (en) | 2004-04-23 | 2004-07-05 | 박차철 | comportable sho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232566A3 (en) * | 2023-05-08 | 2025-01-30 | 배효만 | Shoe to which tongue is fixe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746043B2 (en) | Boot liner | |
JPH0614801A (en) | Foot fixture for trekking shoes | |
CN101278770A (en) | Shoes especially for sports or leisure | |
TWD108243S1 (en) | Footwear upper | |
JP2007181677A (en) | Inner boot and plantar arch supporting member for footwear | |
US10117477B2 (en) | Sports boot | |
US11147338B2 (en) | Ski boot and strap combination providing enhanced lateral performance | |
WO2017090195A1 (en) | Footwear | |
US20160338448A1 (en) | Footwear Securing Device | |
US20140202032A1 (en) | Shoe comfort strap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 |
KR200480339Y1 (en) | Shoes For Easily Wearing On And Off | |
US20150282553A1 (en) | Sandal With Adjustable Strap | |
US20230263246A1 (en) | Joint protection device | |
JP6444687B2 (en) | shoes | |
KR101649149B1 (en) | Easy to wear and take off baby shoes | |
JP3179553U (en) | Hallux valgus and flat feet | |
KR102155676B1 (en) | Shoes Size Regulating Pad | |
JP3166870U (en) | footwear | |
KR101840945B1 (en) | Height adjustable shoe heel, shoe equipped with the same, the using method thereof | |
JP2003339408A (en) | Shoe | |
CN109430989A (en) | It is knitted shoes | |
JP3224717U (en) | Adult heel stable belt shoes | |
KR20180055769A (en) | Height adjustable shoe heel, shoe equipped with the same, the using method thereof | |
KR102387803B1 (en) | Shoe fasteners | |
CN209563537U (en) | It is knitted sho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41208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5093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4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605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60504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6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