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80206Y1 - Tubular markers - Google Patents

Tubular mark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206Y1
KR200480206Y1 KR2020150006510U KR20150006510U KR200480206Y1 KR 200480206 Y1 KR200480206 Y1 KR 200480206Y1 KR 2020150006510 U KR2020150006510 U KR 2020150006510U KR 20150006510 U KR20150006510 U KR 20150006510U KR 200480206 Y1 KR200480206 Y1 KR 2004802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engaging
main body
pedestal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51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표
Original Assignee
이상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표 filed Critical 이상표
Priority to KR20201500065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20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2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206Y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81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the sign posts being fastened by removable means, e.g. screws or bo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시선 유도봉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은 앵커볼트의 체결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는 봉형 몸체로 이루어지는 유도봉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는 앵커볼트 체결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서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유도봉 몸체가 결합되며 외력의 발생 시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유도봉 몸체가 휘어지도록 하여 상기 유도봉 몸체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반구형태로 이루어지는 메인 바디부; 상기 메인 바디부의 상단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반구형태의 보조 바디부; 상기 유도봉 몸체의 하부가 안착되어 상기 유도봉 몸체의 하부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보조 바디부의 상부 테두리가 상기 유도봉 몸체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메인 바디부의 상단에 상기 유도봉 몸체의 하부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홀을 포함하며, 상기 유도봉 몸체는 상기 결합홀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상기 메인 바디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부 내경이 상부 내경 보다 단부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하며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하단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에 의해 외주면이 지지되며,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결합홀의 테두리에 고정되어 상기 유도봉 몸체가 상기 메인 바디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합턱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홀은 상기 결합턱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턱과 대응되도록 테두리에 연장 형성된 결합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바디부의 외주면에는 탄성 복원력 강화하기 위해 볼록 구조의 성형부가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턱은 상기 삽입부가 결합홀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상기 결합홀의 테두리에 상기 결합턱이 고정될 수 있다.The sight line is start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ual-guidance bar includes a pedestal fixed to the ground by fastening an anchor bolt, and an induction rod body made of a rod-like body coupled to the pedestal, and the pedestal is fixed to the ground by anchor bolt fastening Fixed fixing part; A main body having a hemispherical shape having an elastic force so as to prevent the breakage of the guide bar body by bending the guide bar body so as to be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Body part; A semi-spherical auxiliary body formed to be stepped on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guide bar body is seated to support a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bar body, wherein an upper edge of the auxiliary body portion protrudes downward from the guide bar body; And a coupling hole formed on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to b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guide rod body. The guide rod body is coupled to the main body by being rotated in a state where the coupling hole is inserted, A seating portion gradually decreasing along an end direction than the upper inner diameter and seated in the support portion; An insertion portion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seat portion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the insertion portion being inserted into the support portion; And an engaging step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to prevent the guide rod body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main body part, the engaging step being fixed to a rim of the engaging hole, A plurality of convex forming portions are formed in a rad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so as to reinforce the resilience of the main body portion, So that the coupling jaw can be fixed to the rim of the coupling hole.

Description

시선 유도봉{TUBULAR MARKERS}TUBULAR MARKERS

본 고안은 시선 유도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 등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중앙선이나 기타 식별이 요구되는 구조물을 용이하게 식별하며, 외력에 대한 복원력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사선 유도봉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시선 유도봉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sual guidance rod, which is installed on a road to easily identify a center line or other structures requiring identification by a driver, improves resilience and durability against external forces, And the like.

일반적으로 시선유도봉은 도로에 설치되는 안전 시설물의 하나로서, 주로 교통사고 발생의 위험이 높은 지역이나 운전자의 주의가 현저히 요구되는 장소에 설치되어 차선을 공간적으로 분리하거나 위험구간을 운전자에게 통보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Generally, the sight-guiding rod is one of the safety facilities installed on the road. It is installed in a place where the risk of traffic accidents is high or where the driver's attention is remarkably required, so as to spatially separate the lane or notify the danger zone to the driver .

이러한 시선유도봉은 앵커볼트를 통해 지면에 고정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수직하게 세워지고 외주면에 반사지가 부착되는 유도봉 몸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line-guiding rod includes a pedestal fixed to the ground via an anchor bolt, and an induction rod body vertically installed on the pedestal and attached with a reflection sheet on the outer surface.

한편, 국토교통부 예규에 따르면, 시선유도봉은 주홍색 몸체에 반사지 2~3개를 부착하며, 도로의 차량 운행속도에 따라 길이 450mm나 750mm로 설치하고 폭은80mm로 하며, 받침대의 폭은 200mm~250mm로 함을 표준 형태로 규정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regulations of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according to the regulations of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two or three reflection spots are attached to the vermilion body, and the length is 450mm or 750mm, the width is 80mm and the width of the pedestal is 200mm ~ 250mm As a standard form.

종래 시선 유도봉은 몸체와 받침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동일한 재질의 부분 교체가 가능한 분리 조립형으로 구성된다.Conventionally, the visual-guidance bar comprises a body and a pedestal integrated with each other, or a separate assembly type in which the same material can be partially replaced.

이러한 시선 유도봉은 차량 충격 시 시선 유도봉 몸체 자체가 휘어지거나 구부러져 충격을 흡수하게 되므로 충격에 의해 유도봉의 몸체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ase of a vehicle impact, such a line-guiding rod has a problem that the body of the guiding rod is easily broken by the impact because the line-guiding rod itself is bent or bent to absorb the impact.

또한, 상기 받침대는 유도봉 몸체에서 전달되는 충격이 감쇄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대로 전달되어 지면과 받침대를 고정하는 볼트가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pedestal has a problem that the impact transmitted from the guide rod body is transmitted without being attenuated, and the bolt fixing the ground and the pedestal is separated.

부연하여, 종래 시선유도봉의 받침대는 별다른 기능 없이 몸체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용도로만 만들어져 몸체 파손과 볼트 이탈에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base of the conventional sight-guiding rod is made only for fixing the body to the ground without any special function, so that it is not able to cope with breakage of the body and detachment of the bolt.

공개 특허 10-2014-0145292호Patent Document 10-2014-0145292

본 고안의 실시예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탄성력을 갖는 반구형태 받침대에 유도봉 몸체가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반구형태 받침대가 변형되어 외력을 흡수하여 유도봉 몸체를 휘어지도록 하여 유도봉 몸체이 파손이 방지되며, 받침대의 복원력에 의해 유도봉 몸체를 최초 상태인 직립 상태로 복원되며, 외력에 대한 유도봉 몸체의 내구성을 향상 시킬 있도록 한 시선 유도봉을 제공하고자 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duction rod body is coupled to a hemispherical pedestal having an elastic force that is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and the hemispherical pedestal is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to absorb the external force to bend the induction rod body, And the guide rod body is restored to the upright stat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pedestal and the durability of the guide rod body against the external force is improved.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은 앵커볼트의 체결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는 봉형 몸체로 이루어지는 유도봉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는 앵커볼트 체결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서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유도봉 몸체가 결합되며 외력의 발생 시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유도봉 몸체가 휘어지도록 하여 상기 유도봉 몸체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반구형태로 이루어지는 메인 바디부; 상기 메인 바디부의 상단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반구형태의 보조 바디부; 상기 유도봉 몸체의 하부가 안착되어 상기 유도봉 몸체의 하부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보조 바디부의 상부 테두리가 상기 유도봉 몸체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메인 바디부의 상단에 상기 유도봉 몸체의 하부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홀을 포함하며, 상기 유도봉 몸체는 상기 결합홀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상기 메인 바디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부 내경이 상부 내경 보다 단부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하며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하단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에 의해 외주면이 지지되며,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결합홀의 테두리에 고정되어 상기 유도봉 몸체가 상기 메인 바디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합턱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홀은 상기 결합턱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턱과 대응되도록 테두리에 연장 형성된 결합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바디부의 외주면에는 탄성 복원력 강화하기 위해 볼록 구조의 성형부가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턱은 상기 삽입부가 결합홀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상기 결합홀의 테두리에 상기 결합턱이 고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ual-guidance bar includes a pedestal fixed to the ground by fastening an anchor bolt, and an induction rod body made of a rod-like body coupled to the pedestal, and the pedestal is fixed to the ground by anchor bolt fastening Fixed fixing part; A main body having a hemispherical shape having an elastic force so as to prevent the breakage of the guide bar body by bending the guide bar body so as to be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Body part; A semi-spherical auxiliary body formed to be stepped on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guide bar body is seated to support a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bar body, wherein an upper edge of the auxiliary body portion protrudes downward from the guide bar body; And a coupling hole formed on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to b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guide rod body. The guide rod body is coupled to the main body by being rotated in a state where the coupling hole is inserted, A seating portion gradually decreasing along an end direction than the upper inner diameter and seated in the support portion; An insertion portion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seat portion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the insertion portion being inserted into the support portion; And an engaging step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to prevent the guide rod body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main body part, the engaging step being fixed to a rim of the engaging hole, A plurality of convex forming portions are formed in a rad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so as to reinforce the resilience of the main body portion, So that the coupling jaw can be fixed to the rim of the coupling hole.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는 상기 안착부의 외주면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안착홈이 더 구비될 수 있다.Further, in the visual guide ba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ating groove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support portion, in which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is seated and supported.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에 있어서, 상기 결합턱은 상기 결합 공간부에 삽입된 후 상기 결합홀에서 회전하여 상기 결합홀의 테두리에 고정되도록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isual guide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aging jaw may be inserted into the engaging space portion and then radially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so that the engaging jaw is rotated in the engaging hole and fixed to the rim of the engaging hole. Can be formed.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에 있어서, 상기 결합 공간부는 상기 결합턱과 대응되도록 상기 결합홀에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isual guide ba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space may be formed radially in the coupling hole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jaw.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의 테두리의 하부에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결합홀에 삽입된 후 결합홀에서 45°로 회전 되어 상기 결합홀에 테두리에 결합된 상기 결합턱이 유동되지 않도록 결합턱의 양측을 고정하는 고정탭이 상기 결합 공간부의 사이에서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Further, in the visual guide ba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at a lower part of the rim of the coupling hole, and then rotated at an angle of 45 degrees in the coupling hole, A fixing tab for fixing both sides of the coupling jaw may be radially protruded between the coupling spaces so that the coupling jaw does not flow.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에 있어서, 상기 결합턱은 상기 결합 공간부에 삽입된 후 상기 결합홀에서 회전되어 상기 결합홀의 테두리에 결합되도록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의 양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isual guide ba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aging jaw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space, and then is rotated in the engaging hole to be protruded toward both sides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gaging hole .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에 있어서, 상기 결합 공간부는 상기 결합턱과 대응되도록 상기 결합홀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isual guide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agement space portion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ngagement hole so as to correspond to the engagement jaw.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의 테두리의 하부에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결합홀에 삽입된 후 결합홀에서 90°로 회전 되어 상기 결합홀에 테두리에 결합된 상기 결합턱이 유동되지 않도록 결합턱의 양측을 고정하는 고정탭이 상기 결합 공간부의 사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Further, in the visual guide ba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at a lower portion of the engaging hole, and then the engaging hole is rotated at 90 [deg.] In the engaging hole, A fixing tab for fixing both sides of the engaging jaw may be formed between the engaging spaces so that the engaging jaw does not flow.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안착부의 결합 부위에는 상기 유도봉 몸체가 지지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과 안착부의 외주면을 결합하는 결합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line-guiding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 portion to prevent the guide rod bod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 portion is provided at a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eat portion .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극저원에서도 파손되지 않고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경도 45~55의 물성을 갖는 열가소성 탄성체인 엘라스토머(TPE: Thermoplastic Elastomer) 및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중 어느 하나를 반구형체로 사출 성형할 수 있다.In order to maintain elasticity without being damaged even at a very low temperature, the pedestal may be formed of a thermoplastic elastomer (TPE) having a hardness of 45 to 55 and a thermoplastic elastomer Urethane (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can be injection-molded into a hemispherical shape.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내부에 반구 형상의 케비티를 갖는 하부 금형에 상부 금형 코어를 통해 경도 45~55의 물성을 갖는 열가소성 탄성체인 엘라스토머(TPE: Thermoplastic Elastomer) 및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중 어느 하나를 상부에서 하부로 공급하여 하부 금형에서 반구형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line-of-sight induction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destal may be formed of a thermoplastic elastomer (TPE) having a hardness of 45 to 55 through an upper mold core to a lower mold having a semi-spherical cavity, : Thermoplastic Elastomer) and Polyurethane (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and injection molded into a hemispherical body from the lower mold.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에 있어서, 상기 유도봉 몸체는 부에 봉형 몸체 형상의 케비티를 갖는 하부 금형에 상부 금형 코어를 통해 경도 45~55의 물성을 갖는 열가소성 탄성체인 엘라스토머(TPE: Thermoplastic Elastomer) 및 경도 85의 물성을 갖는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중 어느 하나를 상부에서 하부로 공급하여 하부 금형에서 봉형 몸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Further, in the visual guide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rod body may be formed of a thermoplastic elastomer having a physical property of hardness of 45 to 55 through an upper mold core to a lower mold having a cavity of a rod- Any one of a thermoplastic elastomer (TPE) and a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having a hardness of 85 may be fed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and injection molded into the rod-shaped body from the lower mold.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탄성력을 갖는 반구형태 받침대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며 외력을 흡수하여 유도봉 몸체를 휘어지도록 하여 유도봉 몸체가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mispherical pedestal having an elastic force that is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is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and absorbs an external force to bend the induction rod body, thereby preventing the induction rod body from being damaged by an external force.

또한, 탄성력을 갖는 반구형태의 받침대의 복원력을 통하여 유도봉 몸체가 외력에 의해 파손되지 않고 외력에 의해 휘어진 후 다시 최초 상태인 직립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Also, the restoring force of the hemispherical pedestal having elasticity can be restored to the initial state after the induction rod body is bent by the external force without being broken by the external force.

또한, 상기 받침대와 유도봉 몸체는 분리형 구조로 이루어져 유도봉 몸체의 파손 시 유도봉 몸체를 받침대에서 용이하게 교체하여 유도봉 몸체의 유지 및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edestal and the guide rod bod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guide rod body is broken, the guide rod body can be easily replaced from the pedestal, thereby reducing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cost of the guide rod body.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받침대가 지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받침대의 저면도와 배면도이다.
도 6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결합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결합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받침대의 저면도와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받침대가 사출 성형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유도봉 몸체가 사출 성형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받침대가 지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받침대의 저면도와 배면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결합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결합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받침대의 저면도와 배면도이다.
도 1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isual guide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d view of an eye guide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the pedestal of the visual-guide bar is coupled to the gr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isual guide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ottom view and a rear view of the pedestal of the visual guide ba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upling jaw of the visual-guidance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bottom view and rear view of a pedest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joining jaw of the visual-guide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tate view showing a pedestal of the visual-guide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ing injection-molded.
FIG. 9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injection molding of an induction rod body of a visual guide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sual guide ba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1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a visual guide ba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pedestal of the visual-guide ba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ground.
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isual guide ba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4 is a bottom view and rear view of the pedestal of the visual guide ba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upling jaw of the visual-guide ba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bottom view and a rear view of a pedest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joining jaw of the visual-guide ba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visual-guide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entire specification.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 thickness is enlarged to clearly show various parts and regions.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he names of components are categorized into the first, second, and so on in order to distinguish them from each other in the same relationship,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ord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unit," "means," "portion," "absence," and the like are used herein to refer to a unit of a generic configuration .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받침대가 지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받침대의 저면도와 배면도이고, 도 6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결합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결합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받침대의 저면도와 배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isual guide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a visual guide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visual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isual guide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ottom view of a pedestal of a visual guide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upling jaw of the line-of-sight introducing r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upling jaw of the line- The bottom and back views of the pedestal shown.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100)은 교통사고 발생의 위험이 높은 지역이나 운전자의 주의가 현저히 요구되는 장소에 설치되어 차선을 공간적으로 분리하거나 위험구간을 운전자에게 통보하도록 도로에 설치되는 안전 시설물에 적용될 수 있다.1 to 7, the visual guidance bar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place where the risk of a traffic accident is high or where a driver's attention is remarkably required, and the lane is spatially separated It can be applied to safety facilities installed on the road to notify the driver of the danger zone.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대(200), 유도봉 몸체(300), 반사지(4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visual-guidance bar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destal 200, an induction rod body 300, and a reflection paper 400.

상기 받침대(200)는 앵커볼트(222)의 체결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며, 유도봉 몸체(300)가 결합되는 것이다.The pedestal 200 is fixed to the ground by fastening the anchor bolts 222, and the induction rod body 300 is coupled.

이를 위해, 상기 받침대(200)는 고정부(210), 바디부(230), 보조 바디부(230) 지지부(240) 및 결합홀(250)을 포함한다.The pedestal 200 includes a fixing part 210, a body part 230, a supporting part 240, and a coupling hole 250.

상기 고정부(210)는 앵커볼트(222)에 의해 지면에 체결되도록 원형으로 이루어진다.The fixing part 21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so as to be fastened to the ground by the anchor bolts 222.

그리고 상기 고정부(210)의 테두리에는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체결공(223)이 형성되어, 체결공(223)에 앵커볼트(222)가 체결되어 지면에 고정된다.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223 are radially formed at the edge of the fixing portion 210 so that the anchor bolts 222 are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s 223 and fixed to the ground.

상기 메인 바디부(220)는 고정부(210)에서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탄성력을 갖는 반구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main body 220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extending upward from the fixing part 210 and having an elastic force.

상기 보조 바디부(230)는 메인 바디부(220)의 상단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반구형태로 이루어진다.The auxiliary body part 230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which is stepped o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part 220.

그리고 상기 메인 바디부(220)의 외주면에는 탄성 복원력을 강화하기 위해 볼록 구조의 성형부(221)가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convex forming portions 221 are radial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220 to reinforce resilient restoring force.

상기 메인 바디부(220)와 보조 바디부(230)는 외력의 발생 시 받침대(200)가 파손되지 않고 외력을 흡수 하며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반구 형태로 이루어 질 수 있다.The main body part 220 and the auxiliary body part 230 may be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having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pedestal 200 may be absorbed and deformed without damaging the pedestal 200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즉, 상기 메인 바디부(220)와 보조 바디부(230)가 반구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외력에 의해 메인 바디부(220)와 보조 바디부(230)의 외주면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main body 220 and the auxiliary body 230 are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main body 220 and the auxiliary body 230 from being damaged by an external force .

또한, 반구 형태로 이루어진 메인 바디부(220)와 보조 바디부(230)는 외력의 발생 시 빠르게 변형되어 외력을 흡수하므로 받침대(2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portion 220 and the auxiliary body portion 230, which are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are rapidly deformed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so that the external force can be absorbed, thereby preventing breakage of the pedestal 200.

상기 지지부(240)는 유도봉 몸체(300)의 하부가 안착되어 유도봉 몸체(300)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보조 바디부(230)의 상부 테두리에서 유도봉 몸체(300)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The support portion 240 is protrud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guide bar body 300 from the upper edge of the auxiliary body portion 230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bar body 300 is seated to suppor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rod body 300 .

그리고 상기 지지부(240)의 내부에는 유도봉 몸체(300)의 하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241)에 더 구비된다.In addition, the supporting part 240 is further provided with a seating groove 241 i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guide rod body 300 can be seated.

그리고 상기 결합홀(240)은 메인 바디부(220)의 상단에 유도봉 몸체(300)의 하부가 결합되도록 형성된다.The coupling hole 240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220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induction rod body 300 is coupled.

그리고 상기 결합홀(250)의 테두리에는 결합 공간부(251)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A coupling space 251 may be formed at an edge of the coupling hole 250.

여기서, 상기 받침대(200)는 극저온에서도 파손되지 않고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경도 45~55의 물성을 갖는 열가소성 탄성체인 엘라스토머(TPE: Thermoplastic Elastomer)나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을 반구형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Here, the pedestal 200 is made of a thermoplastic elastomer (TPE) or a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which is a thermoplastic elastomer having a hardness of 45 to 55 in a hemispherical shape so as to maintain elasticity without being broken even at a cryogenic temperature Can be molded.

여기서, 상기 지지부(240)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메인 바디부(220)와 보조 바디부(230)를 통해 휘어지는 유도봉 몸체(300)의 하부를 지지하며, 유도봉 몸체(300)가 받침대(2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조 바디부(230)의 상부 테두리에서 유도봉 몸체(300)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The support portion 240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rod body 300 which is bent through the main body portion 220 and the auxiliary body portion 230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and the guide rod body 300 is supported by the pedestal 200 to protrude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guide bar body 300 from the upper edge of the auxiliary body portion 230. [

그리고 상기 유도봉 몸체(300)는 봉형 상으로 이루어져 받침대(300)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 외주면에 반사지(400)가 부착될 수 있는 요입홈부(310)가 형성된다.The induction rod body 300 is formed in a bar shape and is coupled to the pedestal 300. The induction groove body 310 is formed on an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duction rod body 300 so that the reflection sheet 400 can be attached.

상기 유도봉 몸체(30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봉 몸체(300) 상부에 헤드(320)가 결합되며, 하부는 결합홀(250)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결합홀(251)의 테두리에 고정되는 것이다.4 to 7, the induction rod body 300 is coupled to a head 320 on an upper portion of the induction rod body 300, and the lower portion is rotated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 the coupling hole 250, And is fixed to the rim of the hole 251.

이를 위해 상기 유도봉 몸체(300)는 안착부(330), 삽입부(340), 결합턱(341)을 포함한다.For this purpose, the guide rod body 300 includes a seating part 330, an insertion part 340, and a coupling step 341.

상기 안착부(330)는 결합홀(250)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메인 바디부(220)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부 내경이 상부 내경 보다 단부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하며 지지부(240)의 내부에 안착된다.The seating part 330 is rotated in a state where the coupling hole 250 is inserted and is coupled to the main body part 220. The lower inn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along the end direction than the upper inner diameter, Lt; / RTI >

상기 삽입부(340)는 안착부(330)의 하단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지지부(240)에 의해 외주면이 지지되며, 지지부(240)의 내부에 삽입된다.The inserting portion 340 extends from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part 330 and is supported by the supporting part 240 and inserted into the supporting part 240.

상기 결합턱(341)은 결합홀(250)의 테두리에 고정되어 유도봉 몸체(300)가 메인 바디부(2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삽입부의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다.The coupling jaw 341 is fixed to the rim of the coupling hole 250 an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to prevent the induction rod body 30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main body portion 220.

즉, 상기 유도봉 몸체(300)의 안착부(330)는 지지부(240)의 내부에 안착되고,삽입부(340)는 지지부(240)에 삽입되어 결합홀(250)을 관통 하여 받침대(200)에 결합된다.That is, the seating portion 330 of the guide rod body 300 is seated in the support portion 240, and the insertion portion 340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portion 240 and passes through the coupling hole 250, ).

이때, 상기 유도봉 몸체(300)는 받침대(200)에서 회전시켜 결합홀(250)에 결합된 삽입부(340)가 결합홀(250)의 테두리에 결합턱(251)을 통해 결합되어 유도봉 몸체(300)와 받침대(200)가 외력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guide rod body 300 is rotated by the pedestal 200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 340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50 is coupled to the rim of the coupling hole 250 through the coupling jaw 25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ody 300 and the pedestal 200 from being separated by an external force.

여기서, 상기 지지부(240)의 내부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착홈(241)이 더 구비된다.Here, the support portion 240 is further provided with a seating groove 241 as described above.

상기 안착홈(241)은 안착부(330)의 외주면이 안착되어 안착부(330)의 외주면을 지지 할 수 있다.The seating groove 241 can se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330 and suppor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330.

즉, 상기 안착홈(241)은 안착부(330)가 지지부(240)에 밀착 고정되어 외력에 의해 메인 바디부(220)와 보조 바디부(230)의 변형 시 휘어지는 유도봉 몸체(300)의 안착부(33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the seating groove 241 is formed by the seating part 330 being fixed to the supporting part 240 and fixed to the main body part 220 and the auxiliary body part 230 by external force, The seat portion 330 can be firmly supported.

그리고 상기 결합 공간부(25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턱(341)과 대응되도록 결합홀(250)의 테두리에 연장 형성 된다4 and 5, the coupling space 251 is formed to extend in the rim of the coupling hole 250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jaw 341

즉, 상기 결합턱(341)은 상기 결합 공간부(251)에 삽입된 후 결합홀(250)에서 회전하여 결합홀(250)의 테두리에 고정되도록 삽입부(340)의 단부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며, 결합 공간부(251)는 결합턱(341)과 대응되도록 결합홀(250)의 테두리에 다수개가 형성된다.That is, the coupling jaw 341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space 251 and then radial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340 so as to be rotated by the coupling hole 250 and fixed to the rim of the coupling hole 250 And a plurality of coupling space portions 251 are formed on the rim of the coupling hole 250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ribs 341.

여기서, 상기 결합턱(341)과 결합 공간부(251)는 전후 좌우 방향으로 4개소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coupling jaw 341 and the coupling space 251 may be provided at four positions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결합홀(250) 테두리의 하부에는 삽입부(340)가 결합홀(250)에 삽입된 후 결합홀(250)에서 45°로 회전 되어 결합홀(250)에 테두리에 결합된 결합턱(341)이 유동되지 않도록 결합턱(341)의 양측을 고정하는 고정탭(252)이 결합 공간부(251)의 사이에서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다.The inserting portion 340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250 at a lower portion of the engaging hole 250 and then is rotated at 45 ° in the engaging hole 250 to be engaged with the engaging hole 250 Fixing tabs 252 for fixing both sides of the engaging jaw 341 are radially protruded between the engaging spaces 251 so as not to flow.

즉, 상기 고정탭(252)은 결합홀(250)에서 결합턱(341)의 양측을 지지하여, 결합턱(341)의 유동을 방지하여, 유도봉 몸체(300)가 받침대(2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the fixing tab 252 supports both sides of the coupling jaw 341 in the coupling hole 250, prevents the coupling jaw 341 from flowing, and separates the induction rod body 300 from the pedestal 200 Can be prevented.

그리고 상기 고정탭(252)은 결합턱(341)의 양측을 고정하도록 결합턱(341)의 너비에 비례하여 결합홀(250)의 테두리에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xing tabs 252 are radially provided at the edges of the coupling holes 250 in proportion to the width of the coupling tabs 341 so as to fix both sides of the coupling tabs 341.

또한, 상기 결합 공간부(251)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턱(341)과 대응되도록 결합홀(250)의 테두리에 연장 형성 된다6 and 7, the coupling space 251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edge of the coupling hole 250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jaw 341

즉, 상기 결합턱(341)은 상기 결합 공간부(251)에 삽입된 후 결합홀(250)에서 회전하여 결합홀(250)의 테두리에 고정되도록 삽입부(340)의 단부 외주면의 양측에 돌출 형성 될 수 있으며, 결합 공간부(251)는 결합턱(341)과 대응되도록 결합홀(250)의 테두리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coupling jaw 341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space 251 and then is project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340 so that the coupling jaw 341 rotates in the coupling hole 250 and is fixed to the rim of the coupling hole 250 And the coupling space portion 251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im of the coupling hole 250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ridge 341. [

여기서, 상기 결합턱(341)과 결합 공간부(251)는 양측 방향으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coupling jaw 341 and the coupling space 251 may be provided in both directions.

그리고 상기 결합홀(250) 테두리의 하부에는 삽입부(340)가 결합홀(250)에 삽입된 후 결합홀(250)에서 90°로 회전 되어 결합홀(250)에 테두리에 결합된 결합턱(341)이 유동되지 않도록 결합턱(341)의 양측을 고정하는 고정탭(252)이 결합 공간부(251)의 사이에서 돌출 형성된다.The insertion part 34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250 at the lower part of the rim of the coupling hole 250 and then rotated at 90 ° in the coupling hole 250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50 A fixing tab 252 for fixing both sides of the engaging step 341 is protruded between the engaging spaces 251 so as not to flow.

즉, 상기 고정탭(252)은 결합홀(250)에서 결합턱(341)의 양측을 지지하여, 결합턱(341)의 유동을 방지하여, 유도봉 몸체(300)가 받침대(2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the fixing tab 252 supports both sides of the coupling jaw 341 in the coupling hole 250, prevents the coupling jaw 341 from flowing, and separates the induction rod body 300 from the pedestal 200 Can be prevented.

그리고 상기 고정탭(252)은 결합턱(341)의 양측을 고정하도록 결합턱(341)의 너비에 비례하여 결합홀(250)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xing tabs 252 are preferably provided at the edges of the coupling holes 250 in proportion to the width of the coupling tabs 341 so as to fix both sides of the coupling tabs 341.

한편, 상기 받침대(200)와 유도봉 몸체(300)는 사출 성형을 통해 제조된다.Meanwhile, the pedestal 200 and the guide rod body 300 are manufactured through injection molding.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받침대가 사출 성형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유도봉 몸체가 사출 성형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이다.FIG. 8 is a state view showing that the pedestal of the visual-guide ba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jection-molded, and FIG. 9 is a state diagram showing injection-molded body of the visual-guide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과 9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받침대(200)와 유도봉 몸체(300)의 사출 성형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8 and 9, the injection molding method of the pedestal 200 and the guide rod body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상기 받침대(200)는 상부 금형 코어(700)를 통해 원료를 상부에서 공급받아 하부 금형(600)에서 사출 성형한다.The pedestal 200 receives the raw material from the upper part through the upper mold core 700 and injection-molds the lower mold 600.

이때, 상기 원료는 극저온에서도 파손되지 않고 외력의 발생 시 변형되어 외력을 흡수 할 수 있도록 경도 45~55의 물성을 갖는 열가소성 탄성체인 엘라스토머(TPE: Thermoplastic Elastomer) 및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thermoplastic elastomer (TPE) and the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which have physical properties of hardness of 45 to 55, are used as the raw material so that the raw material is not broken even at a cryogenic temperature,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하부 금형(600)은 내부는 다단의 반구 형상의 케비티가 형성되어 받침대(200)가 하부 금형(600)에서 다단 형상의 반구 형태를 갖는 받침대(200)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mold 600 may have a multi-stage hemispherical cavity formed therein, and the pedestal 200 may be injection molded into the pedestal 200 having a multi-stage hemispherical shape from the lower mold 600.

즉, 상기 받침대(200)는 다단의 반구 형태로 이루어져 외력의 발생 시 일측이 빠르게 변형되어 외력을 흡수 받침대(200)와 결합된 유도봉 몸체(300)를 휘어지게 하여 유도봉 몸체(300)가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pedestal 200 has a multi-stage hemispherical shape, and when one of the external forces is generated, one side is rapidly deformed so that the induction rod body 300 coupled with the absorption pedestal 200 is b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reakage by the external force in advance.

그리고 상기 유도봉 몸체(3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금형 코어(700)를 통해 원료를 상부에서 공급받아 하부 금형(600)에서 사출 성형한다.As shown in FIG. 9, the guide rod body 300 receives the raw material from the upper portion through the upper mold core 700 and injection-molds the lower mold 600 through the lower mold 600.

이때, 상기 원료는 외력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경도 45~55의 물성을 갖는 열가소성 탄성체인 엘라스토머(TPE: Thermoplastic Elastomer) 및 경도 85의 물성을 갖는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raw material may be made of any one of thermoplastic elastomer (TPE) and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having hardness of 45 to 55 so as not to be damaged by external force. have.

또한, 상기 하부 금형(600)은 내부는 봉형 몸체의 형상을 갖는 케비티가 형성되어 유도봉 몸체(300)가 하부 금형(600)에서 봉형 몸체를 갖는 유도봉 몸체(300)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In addition, a cavity having a shape of a bar-shaped body is formed in the lower mold 600, and the induction rod body 300 can be injection-molded into the induction rod body 300 having the bar-shaped body in the lower mold 600 have.

이때, 상기 유도봉 몸체(300)는 헤드(320)와 하나로 인서트 사출 성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uide rod body 300 may be insert injection-molded into one with the head 320.

그리고 상기 유도봉 몸체(300)는 봉형 몸체 형상으로 사출 성형된 상태로 받침대(300)에 결합되어 교통사고 발생의 위험이 높은 지역이나 운전자의 주의가 현저히 요구되는 장소에 설치되어 차선을 공간적으로 분리하거나 위험구간을 운전자에게 통보할 수 있게 된다.The induction rod body 300 is injection-molded in the shape of a bar-shaped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pedestal 300 to be installed at a place where the risk of traffic accident is high or where the driver's attention is highly demanded, Or to notify the driver of the danger zone.

도 10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받침대가 지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받침대의 저면도와 배면도이고, 도 1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결합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결합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받침대의 저면도와 배면도이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sual guide ba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n engaging sectional view of a visual guide ba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cross- 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isual guide ba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isual guide ba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upling jaw of the line-of-sight inducing r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of the line- Fig. 5 is a bottom view and rear view of a pedestal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jaw.

도 10 내지 도 16을 참조 하여,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1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S. 10 to 16, the visual-guide ba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여기서, 상기 받침대(200)와 유도봉 몸체(30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이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pedestal 200 and the guide rod body 300 are as described abov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인 시선 유도봉(100)의 지지부(230)와 안착부(330)의 결합 부위에는 유도봉 몸체(300)가 지지부(23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부(230)의 외주면과 안착부(330)의 외주면을 결합하는 결합부(5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guide bar body 300 is coupled to the support part 230 of the visual guide bar 100 and the seat part 330 to prevent the guide bar body 3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 part 230. [ And an engaging portion 500 for engag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330. [

즉, 상기 결합부(500)는 지지부(230)와 안착부(330)를 밀착 시켜 외력의 발생 시 유도봉 몸체(300)가 지지부(2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지지부(230)와 안착부(330)의 결합부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coupling part 500 prevents the guide bar body 30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upport part 230 when the external force is generated by closely contacting the support part 230 and the seating part 330,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of the joint part of the part 330. [

도 1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FIG. 17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visual-guide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17, an operation state of the line-guiding r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받침대(200)에 외력이 발생하게 되며, 외력에 의해 메인 바디부(220)와 보조 바디부(230)가 변형되며 메인 바디부(220)와 보조 바디부(230)의 변형에 따라 유도봉 몸체(300)가 유동하게 된다.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in the pedestal 200 and the main body 220 and the auxiliary body 230 are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and the main body 220 and the auxiliary body 230 are deformed, So that the body 300 flows.

여기서, 상기 받침대(200)는 탄성력을 갖는 다단의 반구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외력에 의해 일측이 변형되면서 외력을 흡수하게 된다.Here, since the pedestal 200 is formed in a multi-stage hemispherical shape having an elastic force, one side is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and absorbs an external force.

그리고 상기 유도봉 몸체(300)는 메인 바디부(220)와 보조 바디부(230)의 변형에 따라 휘어지게 된다.The induction rod body 300 is bent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f the main body 220 and the auxiliary body 230.

이때, 상기 받침대(200)는 외력을 자체적으로 흡수 하며 변형되므로 받침대(200)와 지면을 고정하는 앵커볼트(212)에 외력이 그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앵커볼트(212)가 지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된다.At this time, since the pedestal 200 absorbs external force and deforms, the external force is prevented from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the pedestal 200 and the anchor bolts 212 fixing the ground, so that the anchor bolts 212 are separated from the ground .

그리고 상기 유도봉 몸체(300)는 받침대(200)의 변형을 통해 외력에 의해 휘어진 후 외력이 제거 되면 받침대(200)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최초의 상태인 직립 상태로 복원된다.The guide rod body 300 is bent by an external force through the deformation of the pedestal 200 and is then restored to its initial stat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pedestal 200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유도봉(100)은 받침대(200)가 탄성력을 갖는 반구형태로 이루어져 외력의 발생 시 외력에 의해 변형되며 외력을 흡수하여 유도봉 몸체(300)가 외력에 의해 휘어져 유도봉 몸체 (300)가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ye guide rod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edestal 200 has a hemispherical shape having an elastic force, is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absorbs external forc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ent by an external force and the induction rod body 3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an external force.

또한, 상기 받침대(200)가 탄성력을 갖으며 외력에 의해 빠른 변형이 가능한 반구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외력에 의해 받침대(200)와 지면을 고정하는 앵커볼트(212)가 파손되어 지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edestal 200 has a resilient force and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capable of being deformed rapidly by an external force, the anchor bolt 212 for fixing the pedestal 200 and the ground is damaged by an external force, .

또한, 반구형태로 이루어지는 받침대(200)를 통해 받침대(200)의 자체적으로 강한 복원력을 발휘하여 받침대(200) 결합되는 유도봉 몸체(300)가 외력에 의해 파손되지 않고 외력에 의해 휘어진 후 다시 최초의 상태인 직립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uide rod body 300, which is coupled to the pedestal 200 by exerting a strong restoring force of the pedestal 200 itself through the pedestal 200 formed in a hemispheric shape, is bent by an external force without being broken by an external force,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받침대(200)와 유도봉 몸체(300)는 분리형 구조로 이루어져 유도봉 몸체(300)의 파손 시 유도봉 몸체(300)를 받참대(200)에서 용이하게 교체하여 유도봉 몸체(300)의 유지 및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The pedestal 200 and the induction rod body 3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when the induction rod body 300 is broken, the induction rod body 300 can be easily replaced from the receptacle 200, ) Can be saved.

이상으로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ncludes all changes to the scope permitted.

100: 시선 유도봉 200: 받침대
210: 고정부 220: 메인 바디부
221: 성형부 222: 앵커볼트
223:체결공 230: 보조 바디부
240: 지지부 241: 안착홈
250: 결합홀 251: 결합 공간부
252: 고정탭 300: 유도봉 몸체
310: 요입홈부 320: 헤드
330: 안착부 340: 삽입부
341: 결합턱 400: 반사지
500: 결합부 600: 하부 금형
700: 상부 금형 코어
100: eye guide rod 200: pedestal
210: fixing part 220: main body part
221: forming part 222: anchor bolt
223: fastening hole 230: auxiliary body part
240: Support part 241:
250: coupling hole 251: coupling space part
252: fixing tab 300: guide rod body
310: recessed groove 320: head
330: seat part 340:
341: coupling jaw 400:
500: engaging portion 600: lower mold
700: Upper mold core

Claims (12)

앵커볼트의 체결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는 봉형 몸체로 이루어지는 유도봉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는
앵커볼트 체결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서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유도봉 몸체가 결합되며 외력의 발생 시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유도봉 몸체가 휘어지도록 하여 상기 유도봉 몸체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반구형태로 이루어지는 메인 바디부;
상기 메인 바디부의 상단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반구형태의 보조 바디부;
상기 유도봉 몸체의 하부가 안착되어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메인 바디부와 보조 바디부를 통해 휘어지는 유도봉 몸체의 하부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보조 바디부의 상부 테두리가 상기 유도봉 몸체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메인 바디부의 상단에 상기 유도봉 몸체의 하부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홀;
을 포함하며,
상기 유도봉 몸체는
봉형 상으로 이루어져 받침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에는 헤드가 결합되고, 상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반사지가 부착될 수 있는 요임홈부와, 상기 결합홀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상기 메인 바디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부 내경이 상부 내경 보다 단부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하며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하단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에 의해 외주면이 지지되며,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결합홀의 테두리에 고정되어 상기 유도봉 몸체가 상기 메인 바디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합턱;
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홀은 상기 결합턱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턱과 대응되도록 테두리에 연장 형성된 결합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바디부의 외주면에는 탄성 복원력 강화하기 위해 볼록 구조의 성형부가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턱은
상기 삽입부가 결합홀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상기 결합홀의 테두리에 상기 결합턱이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는 상기 안착부의 외주면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안착홈이 더 구비되며,
상기 결합턱은
상기 결합 공간부에 삽입된 후 상기 결합홀에서 회전하여 상기 결합홀의 테두리에 고정되도록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 공간부는
상기 결합턱과 대응되도록 상기 결합홀에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의 테두리의 하부에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결합홀에 삽입된 후 결합홀에서 45°로 회전 되어 상기 결합홀에 테두리에 결합된 상기 결합턱이 유동되지 않도록 결합턱의 양측을 고정하는 고정탭이 상기 결합 공간부의 사이에서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탭은 결합턱의 양측을 고정하도록 결합턱의 너비에 비례하여 결합홀의 테두리에 방사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결합턱은
상기 결합 공간부에 삽입된 후 상기 결합홀에서 회전되어 상기 결합홀의 테두리에 결합되도록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의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 공간부는
상기 결합턱과 대응되도록 상기 결합홀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의 테두리의 하부에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결합홀에 삽입된 후 결합홀에서 90°로 회전 되어 상기 결합홀에 테두리에 결합된 상기 결합턱이 유동되지 않도록 결합턱의 양측을 고정하는 고정탭이 상기 결합 공간부의 사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탭은 결합턱의 양측을 고정하도록 결합턱의 너비에 비례하여 결합홀의 테두리에 방사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와 안착부의 결합 부위에는
상기 유도봉 몸체가 지지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과 안착부의 외주면을 결합하는 결합부가 더 구비되는 시선유도봉.
An induction rod body including a pedestal fixed to the ground by fastening an anchor bolt and a bar body coupled to the pedestal,
The pedestal
A fixing part fixed to the ground by anchor bolt fastening;
A main body having a hemispherical shape having an elastic force so as to prevent the breakage of the guide bar body by bending the guide bar body so as to be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Body part;
A semi-spherical auxiliary body formed to be stepped on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lower body of the guide bar body is seated and supported by the main body part deformed by the external force and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bar body bent through the auxiliary body part, the upper edge of the auxiliary body part protrudes downward ; And
A coupling hol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so as to engage a lower portion of the guide rod body;
/ RTI >
The guide rod body
A main bod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main body portion being rotatably coupled with the coupling hole, A seating portion in which the lower inn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along the end direction than the upper inner diameter and is seated in the support portion;
An insertion portion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seat portion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the insertion portion being inserted into the support portion; And
An engaging jaw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to be fixed to a rim of the engaging hole to prevent the guide rod body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main body portion;
/ RTI >
The coupling hole is formed with a coupling space portion extending in a rim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jaw so that the coupling jaw can be inserted. A plurality of convex forming portions are radial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to reinforce resilient restoring force ,
The coupling jaw
The insertion portion is rotated in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hole is inserted, the coupling jaw is fixed to the edge of the coupling hole,
The support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seating groove in whic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is seated and supported,
The coupling jaw
A plurality of radial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coupling hole and fixed to the rim of the coupling hole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coupling space,
The coupling space
A plurality of radial holes are formed in the coupling holes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jaws,
Below the rim of the engaging hole
The insertion tab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and rotated at 45 ° in the coupling hole, so that the fixing tab for fixing both sides of the coupling jaw to prevent the coupling jaw, which is coupled to the rim, Respectively,
The fixing tabs are radially provided at the edges of the engaging holes in proportion to the width of the engaging jaws so as to fix both sides of the engaging jaws,
The coupling jaw
The insertion hole is protruded from both sid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to be engaged with the rim of the insertion hole,
The coupling space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holes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holes,
Below the rim of the engaging hole
And a fixing tab for fixing both sides of the engaging jaw so as to prevent the engaging jaw coupled to the rim from being rotated by being rotated at 90 ° in the engaging hole after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Formed,
The fixing tabs are radially provided at the edges of the engaging holes in proportion to the width of the engaging jaws to fix both sides of the engaging jaws,
At the joining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eat portion
Further comprising an engaging portion for engag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 portion to prevent the guide rod bod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극저원에서도 파손되지 않고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경도 45~55의 물성을 갖는 열가소성 탄성체인 엘라스토머(TPE: Thermoplastic Elastomer) 및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중 어느 하나를 반구형체로 사출 성형하는 시선 유도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edestal
(TPE) and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which are thermoplastic elastomers having a hardness of 45 to 55, are injection-molded into a hemispherical shape so as to maintain elasticity without being broken even in a very low temperature environment. B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내부에 반구 형상의 케비티를 갖는 하부 금형에 상부 금형 코어를 통해 경도 45~55의 물성을 갖는 열가소성 탄성체인 엘라스토머(TPE: Thermoplastic Elastomer) 및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중 어느 하나를 상부에서 하부로 공급하여 하부 금형에서 반구형체로 사출 성형되는 시선 유도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edestal
A thermoplastic elastomer (TPE) and a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having physical properties of hardness of 45 to 55 through an upper mold core are bonded to a lower mold having a hemispherical cavity inside thereof, To the lower portion and injection molded into a semi-spherical body from the lower mol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봉 몸체는
내부에 봉형 몸체 형상의 케비티를 갖는 하부 금형에 상부 금형 코어를 통해 경도 45~55의 물성을 갖는 열가소성 탄성체인 엘라스토머(TPE: Thermoplastic Elastomer) 및 경도 85의 물성을 갖는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중 어느 하나를 상부에서 하부로 공급하여 하부 금형에서 봉형 몸체로 사출 성형되는 시선 유도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rod body
A thermoplastic elastomer (TPE) having a hardness of 45 to 55 and a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having a hardness of 85 through an upper mold core to a lower mold having a cavity having a rod- Urethane)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and injection-molded into the bar body from the lower mold.
KR2020150006510U 2015-10-02 2015-10-02 Tubular markers Active KR20048020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510U KR200480206Y1 (en) 2015-10-02 2015-10-02 Tubular mark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510U KR200480206Y1 (en) 2015-10-02 2015-10-02 Tubular mark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206Y1 true KR200480206Y1 (en) 2016-04-25

Family

ID=55916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510U Active KR200480206Y1 (en) 2015-10-02 2015-10-02 Tubular mark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206Y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3705B1 (en) * 2017-01-20 2017-12-29 심애리 Lane separator for installing construction easy
KR20190074031A (en) 2017-12-19 2019-06-27 박용임 Integrated guide post with elastic structure base
KR102365712B1 (en) 2020-11-02 2022-02-18 박용임 Guide post with easy falling and upright return functioin
KR102508639B1 (en) * 2022-06-28 2023-03-10 주식회사 정스틸 Bollard for vehicle entry protection with improved resilience
KR102680448B1 (en) * 2023-07-05 2024-07-02 이동욱 Eye guide rod for collision notific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388Y1 (en) * 2000-02-14 2000-07-15 선우각 settle of a road sign stand
JP2007291828A (en) * 2006-03-31 2007-11-08 Sekisui Jushi Co Ltd Tiltable marker pole and road incidental equipment
KR100906220B1 (en) * 2008-09-30 2009-07-07 강복심 Lane-regulated resilient rods for landlord replace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388Y1 (en) * 2000-02-14 2000-07-15 선우각 settle of a road sign stand
JP2007291828A (en) * 2006-03-31 2007-11-08 Sekisui Jushi Co Ltd Tiltable marker pole and road incidental equipment
KR100906220B1 (en) * 2008-09-30 2009-07-07 강복심 Lane-regulated resilient rods for landlord replacemen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3705B1 (en) * 2017-01-20 2017-12-29 심애리 Lane separator for installing construction easy
KR20190074031A (en) 2017-12-19 2019-06-27 박용임 Integrated guide post with elastic structure base
KR102365712B1 (en) 2020-11-02 2022-02-18 박용임 Guide post with easy falling and upright return functioin
KR102508639B1 (en) * 2022-06-28 2023-03-10 주식회사 정스틸 Bollard for vehicle entry protection with improved resilience
KR102680448B1 (en) * 2023-07-05 2024-07-02 이동욱 Eye guide rod for collision notifi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0206Y1 (en) Tubular markers
US9988777B2 (en) Road guide post
US9604516B2 (en)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US20150240903A1 (en) Dust cover assembly
US20240051483A1 (en) Car radiator grille
US11067117B2 (en) Ball-socket grommet
KR102175866B1 (en) Stabilizer link and stabilizer with stabilizer link attached
WO2016146877A1 (en) Shock absorber assembly of a suspension of a vehicle and suspension system
US9528231B2 (en) Traffic control marker including a reinforced retaining member
JP2017031679A (en) Flexible type sign pole
KR101812163B1 (en) A road stud
CN106457601A (en) Chopping aid
KR101898690B1 (en) Elastic bollard attachable to easy maintain
US7163288B1 (en) Structure for fixing side shield of glasses
KR101884192B1 (en) Elastic bollard
KR101149719B1 (en) Lane guide bar
KR20130062780A (en) Traffic lane restriction pole
JP5714121B2 (en) caster
JP6199772B2 (en) Signpost
JP4829206B2 (en) Road marking object
EP3188917A1 (en) Joint locator
KR200405973Y1 (en) Safety guide rod
KR200394516Y1 (en) A road line safety pillar
KR101660468B1 (en) Tubular Markers
JP4180037B2 (en) Road sign pillar with crossing prevention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51002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20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02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5120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1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6042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2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