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917Y1 - Vibration Cupping Device - Google Patents
Vibration Cupp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9917Y1 KR200479917Y1 KR2020150003796U KR20150003796U KR200479917Y1 KR 200479917 Y1 KR200479917 Y1 KR 200479917Y1 KR 2020150003796 U KR2020150003796 U KR 2020150003796U KR 20150003796 U KR20150003796 U KR 20150003796U KR 200479917 Y1 KR200479917 Y1 KR 20047991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p
- vibration
- upper side
- floating
- driving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8—Cupping glasses, i.e. for enhancing blood circu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동 부항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항컵의 상측에 진동발생부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부항은 물론 진동 마사지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혈관 확장, 근육 자극에 의한 기혈 순환 등의 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진동 부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탄성력을 갖는 연질의 재질에 의해 뒤집혀진 컵 형태로 형성된 부항컵; 상기 부항컵의 상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 진동부가 구비되어 부항컵에 부착되었을 때 진동부가 구동되어 부항컵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발생부;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ng sphygmomanometer,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attach and detach a vibration generating section on the upper side of a sphygmomanometer, thereby enabling vibration massage as well as a sphygmomanometer to further enhance the effect of vasodilation, To a vibration damping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shaped cup which is turned upside down by a flexible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a vibration generating unit that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loating cup and includes a vibrating part therein to transmit vibrations to the floating cup when the vibrating part is attached to the cup.
Description
본 고안은 진동 부항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항컵의 상측에 진동발생부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부항은 물론 진동 마사지가 가능하도록 한 진동 부항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on damp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bration damping device capable of enabling a vibration generating part to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n upper side of a dummy cup, as well as a vibration massage.
부항이란 뒤집힌 컵 형태의 용기에 음압을 걸어서 환부 등의 부항 위치로부터 어혈제거, 기혈 순환을 촉진시키기 위한 치료요법이다.Bullion is a therapy for promoting the hemorrhagic circulation by applying negative pressure to the inverted cup-shaped container to remove hemorrhage from the adverse position of the affected part.
부항 요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습식 부항과 건식 부항을 들 수 있다.There are two main types of adherence therapy, wet side and dry side.
습식 부항은 환부를 침으로 사혈한 후 그 자리에 부항 컵을 붙여 피를 약간 뽑아내는 방법으로서, 각종 통증, 관절통, 여드름, 종기 등의 치료에 활용된다.It is used to treat various pain, arthralgia, acne, boil, etc. It is a method of bleeding the affected part with saliva and attaching a floating cup to the spot.
건식 부항은 침을 놓지 않고 그대로 환부에 부항을 붙이는 방법으로서, 혈관을 확장하고 근육을 자극하여 기혈 순환을 돕는 효과가 있으며, 건식 부항은 피부에 탄력을 주고 지방의 대사를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이다.It is a method of sticking to the affected part as it is without releasing the saliva. It has the effect of expanding the blood vessels and stimulating the muscles to help the circulation of the blood, and the dry part is effective in promoting the metabolism of the fat by giving elasticity to the skin.
도1은 건식 부항을 위한 일반적인 부항컵(10)의 형태를 보인 것이다.Figure 1 shows the form of a
부항컵(10)은 연질의 러버재질 또는 실리콘 등의 탄성을 가진 재질로서 뒤집혀진 컵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The floating
따라서, 부항컵(10)의 외측을 손으로 잡고 압축한 다음, 환부에 하단부를 밀착시킨 후 손을 떼게 되면, 부항컵(10)이 원상태를 유지하려는 복원력에 의해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고, 이러한 음압에 의해 환부를 내측으로 끌어당겨서 흡착됨으로써 부항이 행해지게 된다.Therefore, if the outer side of the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부항컵(10)은 단순히 음압에 의해 부항만을 행하여 혈관 확장, 근육 자극에 의한 기혈 순환 등의 효과를 갖지만, 이러한 효과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진동에 의한 마사지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는 구조이다.However, such a
즉, 단순히 부항만을 행할 뿐이지 부항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구조는 아닌 것이다.
[선행기술문헌]
- 공개특허 10-2010-0124118
명칭 : 부항컵을 이용한 저주파 치료기
공개일자 : 2010년 11월 26일In other words, it is not a structure for promoting the effect of a subsection, but merely a subsection.
[Prior Art Literature]
- Patent No. 10-2010-0124118
Name: Low-frequency therapy device using a cup cup
Published on November 26, 2010
본 고안에서는 부항컵에 진동기능을 부가하여 환부를 진동에 의해 마사지함으로써 혈관 확장, 기혈 순환을 촉진시키기 위한 진동 부항 장치를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vibration damping device for promoting vasodilation and blood circulation by adding a vibration function to a floating cup to massage the affected part by vibration.
본 고안에 의한 진동 부항 장치는The vibration dam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탄성력을 갖는 연질의 재질에 의해 뒤집혀진 컵 형태로 형성된 부항컵;A cup-shaped cup formed in an inverted cup shape by a soft material having elasticity;
상기 부항컵의 상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 진동부가 구비되어 부항컵에 부착되었을 때 진동부가 구동되어 부항컵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발생부;로 구성된다.And a vibration generating unit that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loating cup and includes a vibrating part therein to transmit vibrations to the floating cup when the vibrating part is attached to the cup.
이와같은 본 고안은 부항시에 환부를 진동으로 마사지할 수 있어서 혈관 확장, 근육 자극에 의한 기혈 순환 등의 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merit that the affected part can be massaged by vibrating during the tinnitus, thereby further enhancing the effects of vasodilation and myocardial circulation by muscle stimulation.
도1은 종래의 부항컵의 형태를 보인 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진동 부항 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도2의 결합 단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vibration dam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assembled sectional view of Figure 2;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2는 본 고안의 구조를 보인 도로서, 부항컵(100)은 뒤집어 놓은 컵 형상을 가지면서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연질의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부항컵(100)은 눌렀다 놓으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를 복원된다.FIG.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부항컵(100)의 상측에는 한 쌍의 가이드 돌기(110,120)가 상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가이드 돌기(110,120)는 금속재질로서 부항컵(100)의 사출 성형시에 동시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A pair of
또한 부항컵(100)의 상측에는 중심부위에는 스위치 구동부(130)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스위치 구동부(130)는 자석으로 구성되며, 이도 마찬가지로 부항컵(100)의 사출성형시에 삽입되어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In addition, a
진동발생부(200)는 상기 부항컵(100)의 상측에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서, 내부에는 진동부가 구비되어 부항컵(100)의 상측에 부착되었을 때 진동을 발생시키게 되고, 그 진동은 부항컵(100)으로 전달되어 환부를 부항과 함께 마사지하게 되는 것이다.The vibration generating
이러한 진동발생부(200)는 케이스(210)의 하부면에 한 쌍의 가이드 홈(220,230)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가이드 홈(220,230)은 부항컵(100)의 가이드 돌기(110,12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The vibration generating
또한 케이스(210)의 하부면에는 부항컵(100)에 형성된 스위치 구동부(130) 즉, 자석에 부착될 수 있도록 철판으로 된 부착부(240)가 그에 대응된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A
따라서, 부항컵(100)의 가이드 돌기(110,120)에 진동발생부(200)의 가이드 홈(220,230)을 맞춰 끼우게 되면, 부항컵(100)의 상측에 진동발생부(200)가 결합되는데, 이러한 결합상태를 스위치 구동부(130)에 부착부(240)가 부착되어 유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guide grooves 220 and 230 of the
도3은 부항컵(100)과 진동발생부(200)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로서, 케이스(210)의 내부에는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모터(270) 및 편심부(280)로 구성된 진동부가 구비되는데, 모터(270)는 기판(250)의 상부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그 모터의 축(271)에는 무게추 형태의 편심부(280)가 한쪽방향으로 치우치게 설치되어 있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따라서 모터(270)의 회전시에 편심부(280)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vibration is generated by the
상기 모터(270)의 좌우측에는 모터(270)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290,291)가 소켓에 장착되어 있다.
한편, 부착부(240)가 위치하는 케이스(210)의 내부에는 스위치 구동부(130)의 자성에 의해 동작하는 스위치(26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스위치(260)는 기판(250)의 하부면에 실장되어 고정될 수 있다.A
스위치(260)는 평상시에는 오프상태를 유지하여 배터리(290,291)로부터의 전원이 모터(270)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며, 자석으로 이루어진 스위치 구동부(130)가 근접하면 온되어 배터리(290,291)의 전원을 모터(270)에 공급하게 된다.The
기판(250)의 상부에 모터(270)와 배터리(290,291)가 나란히 실장되며, 케이스(210)의 폭방향 크기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기판(250)을 중심으로 상부에는 배터리(290,291)를 설치하고, 하부에는 모터(270)를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Since the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부항컵(100)을 환부에 댄 다음 눌렀다 놓으면, 부항컵(100)이 찌그러지면서 부항컵(100) 내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며, 부항컵(100)을 누르던 힘이 제거되면, 부항컵(100)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부항컵(100) 내부에 진공압이 발생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ushing
그리고 이 진공압에 의해 부항컵(100)이 환부에 흡착된다.The
이후, 진동발생부(200)를 부항컵(100)의 상부에 위치시켜 가이드 홈(220,230)에 가이드 돌기(110,120)를 삽입시키면, 원터치로 자석으로 된 스위치 구동부(130)와 금속으로 된 부착부(240)에 의해 부항컵(100)과 진동발생부(200)가 결합상태가 유지되면서, 동시에 스위치(260)에 스위치 구동부(130)가 근접하여 자성에 의해 스위치(260)가 온되어 배터리(290,291)의 전원이 모터(270)로 공급된다.Thereafter, when the vibration generating
그러므로, 모터(270)와 편심부(280)의 회전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진동은 부항컵(100)으로 전달되어 환부를 마사지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vibration is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시술이 완료되어 부항컵(100)을 떼어낼 때는 먼저 진동발생부(200)를 부항컵(100)으로부터 약간의 힘을 가하여 분리하면, 스위치(260)에는 자성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오프되어 모터(270)에 전원공급이 중단된다.When the vibration generating
이후 부항컵(100)의 외측면을 살짝 눌렀다 놓으면 부항컵(100)의 내부로 외부공기에 유입되어 환부로부터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Thereafter, when the outer surface of the
이러한 진동발생부(200)를 방수구조로 하면, 수중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게 된다.If the
또한, 스위치(260)는 자성에 반응하여 온/오프되는 스위치 또는 사용자가 직접 온/오프 할 수 있는 스위치 등 다양한 형태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100 - 부항컵 110,120 - 가이드 돌기
130 - 스위치 구동부 200 - 진동발생부
210 - 케이스 220,230 - 가이드 홈
240 - 부착부 250 - 기판
260 - 스위치 270 - 모터
271 - 축 280 - 편심부
290,291 - 배터리 100 -
130 - switch driving unit 200 - vibration generating unit
210 - Case 220,230 - Guide groove
240 - Attachment 250 - Substrate
260 - Switch 270 - Motor
271 - Axis 280 - Eccentric portion
290,291 - Battery
Claims (4)
상기 부항컵의 상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 진동부가 구비되어 부항컵에 부착되었을 때 진동부가 구동되어 부항컵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발생부;로 구성되며,
상기 부항컵의 상측에는 스위치 구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진동발생부는
케이스;
배터리;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어 편심에 의한 진동을 발생하기 위한 진동부;
상기 스위치 구동부에 의해 동작하여 배터리의 전원을 진동부에 공급하는 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부항 장치.A cup-shaped cup formed in an inverted cup shape by a soft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a vibration generating part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loating cup so as to be able to be detached and attached to the cup,
A switch driving unit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loating cup,
The vibration generator
case;
battery;
A vibration unit provided inside the case for generating vibration due to eccentricity;
And a switch which is operated by the switch driving unit to supply power of the battery to the vibrating uni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3796U KR200479917Y1 (en) | 2015-06-10 | 2015-06-10 | Vibration Cupp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3796U KR200479917Y1 (en) | 2015-06-10 | 2015-06-10 | Vibration Cuppin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9917Y1 true KR200479917Y1 (en) | 2016-03-21 |
Family
ID=55645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3796U Expired - Fee Related KR200479917Y1 (en) | 2015-06-10 | 2015-06-10 | Vibration Cupp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9917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172898A (en) * | 2018-09-07 | 2019-01-11 | 伟嘉华(福建)电子有限公司 | A kind of cupping kneading devi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5631Y1 (en) | 2005-11-28 | 2006-05-04 | 구남서 | Vibration device cupping machine |
KR100839321B1 (en) * | 2007-03-29 | 2008-06-17 | 김종열 | Cupping adsorber |
-
2015
- 2015-06-10 KR KR2020150003796U patent/KR200479917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5631Y1 (en) | 2005-11-28 | 2006-05-04 | 구남서 | Vibration device cupping machine |
KR100839321B1 (en) * | 2007-03-29 | 2008-06-17 | 김종열 | Cupping adsorbe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172898A (en) * | 2018-09-07 | 2019-01-11 | 伟嘉华(福建)电子有限公司 | A kind of cupping knead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D199763S (en) | Massage appliance | |
KR101578034B1 (en) | Massage device | |
BR112014017355B1 (en) | Portable electrically powered skin care device | |
US6979300B1 (en) | Massage system | |
ES2983062T3 (en) | Massage device with vibrator | |
RU2013138682A (en) | MASSAGE SHOES | |
WO2010009602A1 (en) | Hand-held massaging device and its handle | |
US20080027361A1 (en) | Vibrating ring for sexual stimulation | |
KR20160078162A (en) | massage machine including the servo motor | |
KR200479917Y1 (en) | Vibration Cupping Device | |
JP2005288079A (en) | Erogeneous zone developing and training tool | |
WO2022078401A1 (en) | Massage head with heating function, and muscle massage instrument applying same | |
KR20100004371A (en) | Adhesion type abdomen massage unit | |
CN203988951U (en) | a massage device | |
KR20120002952U (en) | Portable massager | |
KR101585064B1 (en) | Massage device | |
KR20150091573A (en) | Brazza with detachable low frequency physiotherapy and vibration massager | |
JPH06142148A (en) | Air massager | |
KR200214474Y1 (en) | Finger-pressure instrument | |
CN202113499U (en) | Infrared pedicure planta massage bucket | |
JP3091745U (en) | Slippers with vibrating massage function | |
CN215607500U (en) | Ball type massager | |
CN216496455U (en) | Orthopedic ankle joint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 |
CN104921923A (en) | Limb rehabilitation aid garment for patients with cerebral palsy | |
JP2004229724A (en) | Health applian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50610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30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0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50921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51126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31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603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60315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201226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