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899Y1 - Band for protecting waist combined with cushion member - Google Patents
Band for protecting waist combined with cushion memb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9899Y1 KR200479899Y1 KR2020150007367U KR20150007367U KR200479899Y1 KR 200479899 Y1 KR200479899 Y1 KR 200479899Y1 KR 2020150007367 U KR2020150007367 U KR 2020150007367U KR 20150007367 U KR20150007367 U KR 20150007367U KR 200479899 Y1 KR200479899 Y1 KR 20047989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ist
- wing
- connecting band
- diaphragm
- us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1162 cor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6010003246 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03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041 ligame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31—Spine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5—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5—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 A41D13/0556—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with releasable fasten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쿠션부재를 구비한 허리보호대는, 다수의 관통공(112)을 구비하고, 내측면에 수벨크로테이프(114)가 다수개 부착되며, 내측면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는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그 폭이 작아지는 코일 형태를 갖는 탄성부재(116)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이 내측으로 굽혀져서 사용자의 허리에 접촉되는 격판부(110); 내측면 일측에 수벨크로테이프(122)가 구비되고, 내측면 타측에 탄성 재질을 갖는 연결밴드(124)가 구비되며, 외측면 길이 방향을 따라 암벨크로테이프(126)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밴드(124)를 가로질러 연결된 띠부재(128)를 통해 상기 격판부(110)에 연결되는 제 1날개부재(120); 내측면 일측에서 상기 연결밴드(124)와 대향되는 위치에 연결밴드(134)가 구비되고, 외측면에 암벨크로테이프(132)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밴드(134)를 가로질러 연결된 띠부재(136)를 통해 상기 격판부(110)에 연결되는 제 2날개부재(130); 및 직물 재질로서 외측면이 상기 격판부(110)의 수벨크로테이프(114)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측면은 사용자의 허리에 접촉하는 마감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waist protector having a cushion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2, a plurality of Velcro tapes 114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thereof, The elastic member 116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116. The elastic member 116 has a coil shape in which the width of the elastic member 116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lower portion toward the lower portion. ); A connecting band 124 having an elastic material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ner side, an arm velcro tape 126 is provided along the outer side length direction, A first wing member 120 connected to the diaphragm 110 through a strip member 128 which is connected across the first diaphragm 124; A connecting band 134 is provid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connecting band 124 at one side of the inner side and an arm velcro tape 132 is provided at an outer side of the connecting band 134. A band member A second wing member (130) connected to the partition plate (110) through the second wing member (136); And a closure member 140 detachably connected to the number of Velcro tapes 114 of the partition part 110 and having an inner side in contact with the user's waist.
Description
본 고안은 허리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쿠션부재를 구비한 허리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ist prot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ist protector having a cushion member.
일반적으로 허리보호대라 함은 신체의 허리부위 및 척추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것으로서, 주로, 허리 및 척추에 대한 질병을 갖고 있는 경우에 치료 및 보호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a waist protector is worn to protect the waist and spine of the body, and is used mainly for the purpose of treatment and protection when having a disease of the back and the spine.
산업 현장이나 사무실등에서 장시간에 걸쳐서 서 있는 자세 또는 앉은 자세를 필요로 하는 경우의 사람에게 있어서는 허리 및 척추부위에 과다한 하중이 가해져 통증이나 관절염 및 허리디스크 등의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고 있다.BACKGROUND ART In a case where a standing posture or a sitting posture is required in an industrial field or an office for a long time, excessive load is applied to the back and vertebrae, causing various diseases such as pain, arthritis and a waist disc.
즉, 물건을 들거나 옮기기 위해 앉거나 일어서는 경우에 이를 위한 동작시 허리부위에 대한 과다한 하중이 가해지게 되어 관절부위나 근육 및 인대 등이 손상되어 질병을 유발하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sitting or standing up to lift or move objects, an excessive load is applied to the waist portion during the operation to damage the joints, muscles and ligaments, and cause diseases.
종래의 허리보호대는 신축성을 가지며 신체의 허리부위에 착용되어 허리부위를 가압하여 압박된 상태로 장착되어 허리부위에 무리하게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켜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구성되며 통상 밴드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Conventionally, the waist protector has elasticity, is worn on the waist of the body, and presses the waist portion to be mounted in a pressed state, thereby reducing the load applied to the waist portion to reduce the load, .
이러한 허리보호대는 형상이나 크기는 서로 다르지만 통상 허리부를 덮기 위한 본체부와, 이 본체부의 양측에서 각각 연장되어 복부를 덮는 밴딩(banding)부를 기본적으로 구비하며, 상기 밴딩부에는 인체의 복부를 감싼 상태에서 양측의 밴딩부의 소정구간이 서로 겹쳐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홀딩(holding)수단으로 벨크로 테이프가 이용된다. The waist protector is basically provided with a body portion for covering the waist portion and a banding portion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and covering the abdomen. The waist protector basically includes a bodysection A Velcro tape is used as a holding means for maintaining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bending portions on both sides in a state where they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한 본체부에는 허리부의 보강을 위해서 다양한 형상의 보강용 심재(心材)가 수용되기도 한다. In addition, various reinforcement cores (cores) may be accommodated in the body portion in order to reinforce the waist portion.
통상 인체의 허리부는 평평하지 않고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움직임에 따라서 척추의 상태가 변하게 되므로서 인체와 본체부 간에는 공간이 생기게 되는 바, 종래에는 허리부를 고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착용되는 허리보호대의 역할이 충분히 수행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general, the waist portion of the human body is formed not only in a flat shape but also in a curved shape. In addition, since the state of the spine changes according to the movement, space is formed between the human body and the body por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ole of the user can not be performed sufficientl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 상기 본체부에 공기주머니(air pocket)를 수납시킨 것이 선보이고 있으나, 별도의 공기주머니를 구비시켜야 하므로 원가 상승 요인과 함께 사용이 번거롭고, 허리보호대를 착용 후 활동하는 과정에서 공기주머니에서 공기가 점차 빠져나가게 되므로 주기적으로 공기주머니에 공기를 주입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n air pocket has been housed in the main body in recent years. However,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air bag, so that it is troublesome to use it together with a cost increase factor, The air gradually escapes from the air bag, so that it is troublesome to periodically inject air into the air bag.
이에 따라 특히 노약자의 경우 공기주머니를 구비한 허리보호대의 사용을 기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ly, there has been a problem of avoiding the use of a waist protector having an air bag,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elderly.
또한, 종래 허리보호대의 본체부에 수납되는 보강용 심재(心材)는 비교적 딱딱한 부재로 제작된 채로 섬유재의 본체부 내측에 위치되므로서, 상기한 본체부가 인체에 밀착될 경우에 착용자가 불쾌감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reinforcing core member (core material), which is conventionally stored in the body portion of the waist protector, is located inside the body portion of the fiber material while being made of a relatively rigid member, the wearer feels uncomfortable when the body portion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dy There was a problem.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공기주머니 사용이 없이 인체와 허리보호대 간에 공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쿠션부재를 구비한 허리보호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ist protector having a cushion member that can prevent a space between a human body and a waist protector from being used without using a separate air bag I have to.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허리보호대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격판부가 인체의 허리부에 밀착되더라도 사용자가 불편을 느끼지 않는 쿠션부재를 구비한 허리보호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ist protector having a cushion member that does not cause any inconvenience to the user even if the diaphragm portion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aist of the human body during the use of the waist protector.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날개조임수단과 조임끈수단을 통해 허리보호대를 허리부에 밀착시켜서 허리부를 보다 강하게 압박하는 것이 가능한 쿠션부재를 구비한 허리보호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ist protector having a cushion member capable of urging the waist portion more strongly by tightening the waist protector against the waist portion by means of the wing tightening means and the tightening band means as necessary.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수의 관통공(112)을 구비하고, 내측면에 수벨크로테이프(114)가 다수개 부착되며, 내측면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는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그 폭이 작아지는 코일 형태를 갖는 탄성부재(116)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이 내측으로 굽혀져서 사용자의 허리에 접촉되는 격판부(110); 내측면 일측에 수벨크로테이프(122)가 구비되고, 내측면 타측에 탄성 재질을 갖는 연결밴드(124)가 구비되며, 외측면 길이 방향을 따라 암벨크로테이프(126)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밴드(124)를 가로질러 연결된 띠부재(128)를 통해 상기 격판부(110)에 연결되는 제 1날개부재(120); 내측면 일측에서 상기 연결밴드(124)와 대향되는 위치에 연결밴드(134)가 구비되고, 외측면에 암벨크로테이프(132)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밴드(134)를 가로질러 연결된 띠부재(136)를 통해 상기 격판부(110)에 연결되는 제 2날개부재(130); 및 직물 재질로서 외측면이 상기 격판부(110)의 수벨크로테이프(114)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측면은 사용자의 허리에 접촉하는 마감부재(140)를 포함하는 쿠션부재를 구비한 허리보호대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rough-
한편,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수의 관통공(112)을 구비하고, 내측면에 수벨크로테이프(114)가 다수개 부착되며, 내측면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는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그 폭이 작아지는 코일 형태를 갖는 탄성부재(116)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이 내측으로 굽혀져서 사용자의 허리에 접촉되는 격판부(110); 내측면 일측에 수벨크로테이프(122)가 구비되고, 내측면 타측에 탄성 재질을 갖는 연결밴드(124)가 구비되며, 외측면 길이 방향을 따라 암벨크로테이프(126)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밴드(124)를 가로질러 연결된 띠부재(128)를 통해 상기 격판부(110)에 연결되는 제 1날개부재(120); 내측면 일측에서 상기 연결밴드(124)와 대향되는 위치에 연결밴드(134)가 구비되고, 외측면에 암벨크로테이프(132)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밴드(134)를 가로질러 연결된 띠부재(136)를 통해 상기 격판부(110)에 연결되는 제 2날개부재(130); 직물 재질로서 외측면이 상기 격판부(110)의 수벨크로테이프(114)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측면은 사용자의 허리에 접촉하는 마감부재(140); 지지판(152)과, 이 지지판의 상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체로 구비되는 결합돌기(152a)와, 상기 결합돌기에 미끄럼결합되는 받침판(154)과, 이 받침판의 중앙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돌출부(154b)와, 상기 받침판(154)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일체로 구비된 가이더(154c)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날개부재(120)의 암벨크로테이프(126)와 상기 제 2날개부재(130)의 암벨크로테이프(132)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임끈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상기 제 1, 제 2날개부재(120)(1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날개조임수단(150)을 포함하는 쿠션부재를 구비한 허리보호대가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rough-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쿠션부재를 구비한 허리보호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waist protector having the cushion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별도의 공기주머니 사용이 없이 격판부(110)와 마감부재(140) 사이에 구비된 다수의 탄성부재(116)를 통해 인체의 허리부와 허리보호대(100) 간에 공간이 생기기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First, there is no space between the waist portion of the human body and the
둘째, 탄성부재(116)가 쿠션 기능을 발현하므로 허리보호대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격판부(110)가 인체의 허리부에 밀착되더라도 사용자가 불편을 느끼지 않게 된다.Second, since the
셋째, 필요에 따라 날개조임수단과 조임끈수단을 통해 허리보호대를 허리부에 밀착시켜서 허리부를 보다 강하게 압박하는 것이 가능하다.
Thirdly, if necessary, the waist protector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aist portion through the wing tightening means and the pull-strap means, so that the waist portion can be pressed more strongly.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부재를 구비한 허리보호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허리보호대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허리보호대에 있어서의 격판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허리보호대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허리보호대를 나타낸 내부 투시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허리보호대의 배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허리보호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허리보호대가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측 사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허리보호대가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측 사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허리보호대가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측 사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ist protector having a cushi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ist protector shown in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artition portion in the waist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waist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internal perspective top view showing a waist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rear view of the waist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rear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waist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ist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the user's waist,
9 is a rear side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ist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the user's waist,
10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ist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the user's wais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쿠션부재를 구비한 허리보호대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waist protector having a cushion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or words used herein are not to be construed in a limiting sense, and that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own desig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부재를 구비한 허리보호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허리보호대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허리보호대에 있어서의 격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ist protector having a cushi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ist protector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ist protector Fig.
또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허리보호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허리보호대를 나타낸 내부 투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허리보호대의 배면도이다.4 is a plan view showing a waist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inner perspective plan view showing a waist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rear view of a waist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허리보호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허리보호대가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측 사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허리보호대가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측 사진이다.8 is a front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ist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the user's waist. Fig. 9 is a front view of the waist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Is a back side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ist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the user's waist.
또한,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허리보호대가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측 사진으로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쿠션부재를 구비한 허리보호대(100)는 크게 격판부(110), 제 1날개부재(120), 제 2날개부재(130), 마감부재(140), 그리고 날개조임수단(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0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ist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the user's waist. Referring to Figs. 1 to 10, th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격판부(110)는 후술하는 마감부재(140)를 매개로 하여 사용자의 허리에 접촉되는 것으로서,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이 내측으로 굽혀져서 사용자의 허리에 자연스럽게 밀착된다.1 to 3, the
또한, 격판부(110)에는 무게 경감을 위해 여러 다양한 형태를 갖는 관통공(112)이 다수개 형성되고, 내측면에 수벨크로테이프(114)가 다수개 부착되며, 내측면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탄성부재(116)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A plurality of through
즉, 격판부(110)의 내측면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는 다수(본 고안에서는 좌우 각각 5개)의 탄성부재연결공(112a)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탄성부재연결공에 탄성부재(116)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In other words, a large number of elastic
이때, 탄성부재(116)는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그 폭이 작아지는 코일 형태를 가지며, 탄성부재(116)의 하단에는 120° 간격을 갖는 쐐기 형태의 걸림돌기(미도시)가 3개 일체로 구비되어 있어서, 탄성부재(116)를 탄성부재연결공(112a)에 밀어 넣으면 상기 걸림돌기가 탄성부재연결공(112a)을 통과한 후, 탄성에 의해 벌어지면서 탄성부재연결공(112a)에서 이탈이 방지되며, 탄성부재(116)가 파손등으로 인해 이를 교환하고자 할 경우, 격판부(110)의 배면측에서 끝이 뾰족한 도구나 공구(가령, 니퍼)를 이용하여 상기 걸림돌기를 오무림에 따라 탄성부재(116)가 탄성부재연결공(112a)에서 분리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도 1 내지 도 3, 도 6을 참조하면, 제 1날개부재(120)는 내측면 일측에 수벨크로테이프(122)가 구비되고, 내측면 타측에 탄성 재질을 갖는 연결밴드(124)가 재봉등을 통해 구비되며, 외측면 길이 방향을 따라 암벨크로테이프(126)가 구비된다.1 to 3 and 6, the
또한, 표면과 이면에 암수 벨크로테이프(미도시)가 각각 구비된 띠부재(128)의 일단부가 상기 띠부재(128)를 가로질러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격판부(110)의 일측 관통공(112)과 상기 연결밴드(124)를 경유하여 격판부(110)의 타측 관통공(112)을 통해 인출된 후 상기 암수 벨크로테이프를 통해 연결된다.One end of the
제 2날개부재(130)는 내측면 일측에서 상기 연결밴드(124)와 대향되는 위치에 연결밴드(134)가 재봉등을 통해 구비되고, 외측면에 대략 'T'자 형태를 갖는 암벨크로테이프(132)가 구비된다.The
또한, 표면과 이면에 암수 벨크로테이프(미도시)가 각각 구비된 띠부재(136)의 일단부가 상기 띠부재(136)를 가로질러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격판부(110)의 일측 관통공(112)과 상기 연결밴드(134)를 경유하여 격판부(110)의 타측 관통공(112)을 통해 인출된 후 상기 암수 벨크로테이프를 통해 연결된다.One end of the
이에 따라 격판부(110)는 띠부재(128)(136)를 매개로 하여 제 1날개부재(120)와 제 2날개부재(130)에 연결된다.Th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마감부재(140)는 직물 재질로서 외측면이 격판부(110)의 수벨크로테이프(114)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측면은 사용자의 허리에 직접 접촉한다.1 and 2, the closing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날개조임수단(150)은 제 1날개부재(120)와 제 2날개부재(130)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양 날개부재(120)(130) 사이의 간격을 조절(좁히거나 넓힘)하기 위해 구비된다.6 and 7, the wing tightening means 150 is mounted on the
이러한 날개조임수단(150)은 제 1날개부재(120)와 제 2날개부재(130)의 배면 일측에 합성수지 재질의 지지판(152)이 각각 고정 부착되고, 이 지지판의 상면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돌기(152a)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결합돌기에 받침판(154)이 미끄럼결합된다.The wing tightening means 150 is configured such that a
즉, 받침판(154)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돌기(152a)와 대응되는 위치에 대략 열쇠구멍 형태의 결합홈(154a)이 형성되어 있어서 지지판(152)의 결합돌기(152a)를 받침판(154)의 결합홈(154a)을 통해 돌출시킨 상태에서 받침판(154)을 밀면 결합돌기(152a)가 결합홈(154a)의 사각 형태의 홈에 삽입되면서 받침판(154)이 지지판(152)에 안착,지지된다.The engaging
또한, 받침판(154)의 중앙부에는 후술하는 조임끈수단의 끈부재(164)가 관통하기 위한 'ㄷ'자형 단면 형태의 돌출부(154b)가 일체로 형성되고, 받침판(154)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후술하는 끈부재(164)가 차례로 통과하기 위한 중공의 링 형태를 갖는 가이더(154c)가 일체로서 돌출 형성되어 있다.A projecting
상기 조임끈수단은 타원 형태의 단면을 갖는 제 1지지편(160)과, 제 2지지편(162)이 전술한 제 1날개부재(120)의 암벨크로테이프(126)와, 제 2날개부재(130)의 암벨크로테이프(132)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1지지편(160)과 제 2지지편(162)이 끈부재(164)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지되, 끈부재(164)의 일단부는 제 1지지편(160)에 연결되고, 끈부재(164)의 타단부는 가령, 신발끈을 매는 것처럼 제 1날개부재(120)의 돌출부(154b), 제 2날개부재(130)의 가이더(154c), 제 1날개부재(120)의 가이더(154c), 제 2날개부재(130)의 돌출부(154b)를 차례로 경유하여 제 2지지편(162)에 연결된다.The pull string means includes a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 1지지편(160)과, 제 2지지편(162)을 받침판(154)과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의 양 암벨크로테이프(126)(132)에 부착시키면 양 날개부재(120)(130)의 간격이 좁아지고, 반대로 제 1지지편(160)과, 제 2지지편(162)을 받침판(154)과 상대적으로 먼 위치의 양 암벨크로테이프(126)(132)에 부착시키면 양 날개부재(120)(130)의 간격이 넓어지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양 날개부재(120)(1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When the first supporting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띠부재(128)(136)와 연결밴드(124)(134)를 통해 격판부(110)와 제 1날개부재(120) 및 제 2날개부재(130)를 각각 연결하고, 격판부(110)의 수벨크로테이프(114)에 마감부재(140)를 부착시킨다.First, the
이후,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 2날개부재(130)의 암벨크로테이프(132)가 외측을 향하는 상태에서 제 1날개부재(120)를 사용자의 복부측으로 이동시킨 후에 제 1날개부재(120)를 제 2날개부재(130) 측으로 이동시켜서 제 1날개부재(120)의 수벨트로테이프(122)를 제 2날개부재(130)의 암벨크로테이프(132)의 적정한 위치에 부착시킨다.8 to 10, the user moves the
이와 같이 하여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허리보호대(100)가 사용자의 허리부에 가압하여 압박된 상태로 장착되어 허리부에 무리하게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켜 안전성을 확보하게 된다.Thus, as shown in FIGS. 11 to 13, the
이때, 격판부(110)와 마감부재(140) 사이에는 다수의 탄성부재(116)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굴곡진 형상을 갖는 허리부 또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서 척추의 상태가 변하는 것에 의해 인체와 허리보호대(100) 간에 공간이 생기더라도 탄성부재(110)를 통해 허리부와 허리보호대(100) 사이에 공간이 생기기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At this time, since a plurality of
이에 따라 상시 허리부를 가압하여 압박시키는 것에 의해 허리부에 무리하게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킴에 따라 허리부를 고정하기 위한 허리보호대의 역할이 충분히 구현되도록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Accordingly, by constantly pushing and pressing the waist portion, the load applied to the waist portion can be reduced, which can help to sufficiently realize the role of the waist protector for fixing the waist portion.
또한, 탄성부재(116)가 쿠션 기능을 발현하므로 허리보호대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격판부(110)가 인체의 허리부에 밀착되더라도 사용자가 불편을 느끼지 않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한편, 필요에 따라 허리보호대를 허리부에 보다 밀착시켜서 조이고자 할 경우, 조임끈수단의 제 1지지편(160)과, 제 2지지편(162)을 양손으로 잡고 당기면 당초 느슨한 상태에 있던 끈부재(164)가 팽팽하게 당겨지면서 제 1날개부재(120)와 제 2날개부재(130)의 간격이 좁아지고, 날개조임수단(150)의 양 받침판(154)이 서로 밀착하는 상태가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 1지지편(160)을 제 1날개부재(120)의 암벨크로테이프(126)에 부착하고, 제 2지지편(162)을 제 1날개부재(120) 암벨크로테이프(126)나 제 2날개부재(130)의 암벨크로테이프(126)(132)에 선택적으로 부착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sired to tighten the waist protector more tightly to the waist portion, if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임끈수단을 통해 제 1날개부재(120)와 제 2날개부재(130)가 허리부를 보다 강하게 압박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such a state, it is possible for the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쿠션부재를 구비한 허리보호대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0 : 허리보호대 110 : 격판부
112 : 관통공 116 : 탄성부재
120 : 제 1날개부재 124,134 : 연결밴드
128,136 : 띠부재 130 : 제 2날개부재
140 : 마감부재 150 : 날개조임수단
152 : 지지판 154 : 받침판
160 : 제 1지지편 162 : 제 2지지편100: waist protector 110: diaphragm
112: through hole 116: elastic member
120: first wing member 124,134: connecting band
128, 136: belt member 130: second wing member
140: closing member 150: wing tightening means
152: support plate 154:
160: first supporting piece 162: second supporting piece
Claims (2)
내측면 일측에 수벨크로테이프(122)가 구비되고, 내측면 타측에 탄성 재질을 갖는 연결밴드(124)가 구비되며, 외측면 길이 방향을 따라 암벨크로테이프(126)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밴드(124)를 가로질러 연결된 띠부재(128)를 통해 상기 격판부(110)에 연결되는 제 1날개부재(120);
내측면 일측에서 상기 연결밴드(124)와 대향되는 위치에 연결밴드(134)가 구비되고, 외측면에 암벨크로테이프(132)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밴드(134)를 가로질러 연결된 띠부재(136)를 통해 상기 격판부(110)에 연결되는 제 2날개부재(130); 및
직물 재질로서 외측면이 상기 격판부(110)의 수벨크로테이프(114)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측면은 사용자의 허리에 접촉하는 마감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쿠션부재를 구비한 허리보호대.
A plurality of through-holes 112, a plurality of Velcro tapes 114 on the inner side, elastic material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round the center of the inner side, A diaphragm portion 110 detachably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116 having a coil shape and having both left and right sides bent inward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rtion and contacting the waist of the user;
A connecting band 124 having an elastic material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ner side, an arm velcro tape 126 is provided along the outer side length direction, A first wing member 120 connected to the diaphragm 110 through a strip member 128 which is connected across the first diaphragm 124;
A connecting band 134 is provid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connecting band 124 at one side of the inner side and an arm velcro tape 132 is provided at an outer side of the connecting band 134. A band member A second wing member (130) connected to the partition plate (110) through the second wing member (136); And
And a cushion member having an outer surface as a fabric material detachably connected to the number of Velcro tapes 114 of the partition part 110 and having an inner surface contacting the waist of the user, Waist protector.
내측면 일측에 수벨크로테이프(122)가 구비되고, 내측면 타측에 탄성 재질을 갖는 연결밴드(124)가 구비되며, 외측면 길이 방향을 따라 암벨크로테이프(126)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밴드(124)를 가로질러 연결된 띠부재(128)를 통해 상기 격판부(110)에 연결되는 제 1날개부재(120);
내측면 일측에서 상기 연결밴드(124)와 대향되는 위치에 연결밴드(134)가 구비되고, 외측면에 암벨크로테이프(132)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밴드(134)를 가로질러 연결된 띠부재(136)를 통해 상기 격판부(110)에 연결되는 제 2날개부재(130);
직물 재질로서 외측면이 상기 격판부(110)의 수벨크로테이프(114)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측면은 사용자의 허리에 접촉하는 마감부재(140);
지지판(152)과, 이 지지판의 상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체로 구비되는 결합돌기(152a)와, 상기 결합돌기에 미끄럼결합되는 받침판(154)과, 이 받침판의 중앙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돌출부(154b)와, 상기 받침판(154)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일체로 구비된 가이더(154c)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날개부재(120)의 암벨크로테이프(126)와 상기 제 2날개부재(130)의 암벨크로테이프(132)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임끈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상기 제 1, 제 2날개부재(120)(1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날개조임수단(1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쿠션부재를 구비한 허리보호대.
A plurality of through-holes 112, a plurality of Velcro tapes 114 on the inner side, elastic material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round the center of the inner side, A diaphragm portion 110 detachably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116 having a coil shape and having both left and right sides bent inward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rtion and contacting the waist of the user;
A connecting band 124 having an elastic material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ner side, an arm velcro tape 126 is provided along the outer side length direction, A first wing member 120 connected to the diaphragm 110 through a strip member 128 which is connected across the first diaphragm 124;
A connecting band 134 is provid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connecting band 124 at one side of the inner side and an arm velcro tape 132 is provided at an outer side of the connecting band 134. A band member A second wing member (130) connected to the partition plate (110) through the second wing member (136);
A cloth member (140) detachably connected to the number of Velcro tapes (114) of the partition part (110) and having an inner side in contact with the waist of the user;
A supporting plate 152, an engaging projection 152a integrally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plate, a supporting plate 154 slidably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a protrusion 154b integrally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ing plate, And a guider 154c integrally formed along one side edge of the receiving plate 154. The first wing member 120 and the second wing members 130 And a wing tightening means 150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wing members 120 and 130 according to the body shape of the user through a drawstring mean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arm velcro tape 132 Wherein the cushion member comprises a cushion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7367U KR200479899Y1 (en) | 2015-11-13 | 2015-11-13 | Band for protecting waist combined with cushion memb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7367U KR200479899Y1 (en) | 2015-11-13 | 2015-11-13 | Band for protecting waist combined with cushion memb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9899Y1 true KR200479899Y1 (en) | 2016-03-18 |
Family
ID=55645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7367U Active KR200479899Y1 (en) | 2015-11-13 | 2015-11-13 | Band for protecting waist combined with cushion memb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9899Y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213924A (en) * | 2020-03-24 | 2020-06-02 | 淄博佐佑健身器材有限公司 | Active Curved Waist Support |
KR102464239B1 (en) * | 2021-12-14 | 2022-11-04 | 함창호 | belly band |
KR102706839B1 (en) * | 2024-04-17 | 2024-09-19 | 정우식 | Multifunctional waist protecto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2859Y1 (en) | 2004-06-28 | 2004-09-22 | 대 식 박 | Attaching and isolating type waist protecting belt |
KR101541481B1 (en) | 2014-03-18 | 2015-08-04 | 셀뷰바이오메디칼(주) | An abdominal band for protecting waist |
KR101563149B1 (en) | 2015-05-11 | 2015-10-27 | (주)메이드원 | Medical Belly band |
-
2015
- 2015-11-13 KR KR2020150007367U patent/KR200479899Y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2859Y1 (en) | 2004-06-28 | 2004-09-22 | 대 식 박 | Attaching and isolating type waist protecting belt |
KR101541481B1 (en) | 2014-03-18 | 2015-08-04 | 셀뷰바이오메디칼(주) | An abdominal band for protecting waist |
KR101563149B1 (en) | 2015-05-11 | 2015-10-27 | (주)메이드원 | Medical Belly band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213924A (en) * | 2020-03-24 | 2020-06-02 | 淄博佐佑健身器材有限公司 | Active Curved Waist Support |
KR102464239B1 (en) * | 2021-12-14 | 2022-11-04 | 함창호 | belly band |
KR102706839B1 (en) * | 2024-04-17 | 2024-09-19 | 정우식 | Multifunctional waist protect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105803B (en) | Buckle for adjusting length of strap and respirator including the same | |
US8142380B2 (en) | Folding cervical vertebra protective band | |
CN204293323U (en) | Adjustable waist and back correction pressure-reducing protective tool | |
US8147438B2 (en) | Adjustable wrist brace | |
CA2607558C (en) | Corset | |
KR200473627Y1 (en) | Assisting armrest for shoulder joint | |
US8795214B1 (en) | Orthotic brace and method of using | |
KR20180104836A (en) | Baby carrier using a magnetic type buckle and its wearing method | |
KR200479899Y1 (en) | Band for protecting waist combined with cushion member | |
KR200464651Y1 (en) | Element for correcting hip on pants | |
US20080263833A1 (en) | Strap structure | |
KR101811252B1 (en) | Waist protecting band | |
JP7365057B2 (en) | posture correction supporter | |
KR200438717Y1 (en) | Backguard Support Plate | |
KR200476355Y1 (en) | Member dispersing load of bag adhered to shoulder string of bag | |
JP6296811B2 (en) | Waist supporter | |
KR101391585B1 (en) | A band pants of improved externality | |
JP5088176B2 (en) | Spine corset | |
KR200484976Y1 (en) | The neck prop | |
KR20200000083U (en) | A shoulder guards | |
GB2610179A (en) | Trouser retaining strap | |
TW201309239A (en) | Multi-functional baby carrying vehicle | |
CN202566382U (en) | Foot and knee protector | |
KR20170050668A (en) | Belt with waist band | |
KR102290694B1 (en) | Posture correct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51113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11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13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30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603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60315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