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401Y1 - External Battery of smart-phone - Google Patents
External Battery of smart-pho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9401Y1 KR200479401Y1 KR2020150007529U KR20150007529U KR200479401Y1 KR 200479401 Y1 KR200479401 Y1 KR 200479401Y1 KR 2020150007529 U KR2020150007529 U KR 2020150007529U KR 20150007529 U KR20150007529 U KR 20150007529U KR 200479401 Y1 KR200479401 Y1 KR 20047940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martphone
- charging terminal
- cradle
- charging
- batter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01M2/1022—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 H01M2/1066—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2—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vehicl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 Y02E60/1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스마트폰은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고,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제공됨에 따라 네비게이션앱,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및 차량내의 블루투스와 연동하여 음성통화를 제공하는 등 수많은 활용도를 자랑하고 있으나 스마트폰 자체의 배터리는 용량의 한계가 있으며, 충전기를 사용하여 충전하거나, 여분의 배터리를 휴대하여야 한다. 특히 최근 스마트폰 자체의 외장케이스를 메탈소재로 채택하면서 디자인 등의 이유로 배터리를 교체할 수 없는 일체형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어, 스마트폰 외장 보조 배터리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보조배터리의 전원부에서 연결된 충전케이블을 스마트폰 충전단자에 연결하는 과정이 필요하고, 연결후에는 충전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보조배터리와 스마트폰을 동시에 파지하여야 하는 등 사용자의 휴대성 측면에서 불편함을 초래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보조배터리의 휴대 및 사용 편의성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As smartphones are used by many people, various applications are being developed and provided, they have many applications such as navigation apps, music streaming services, and voice calls in conjunction with Bluetooth in the car. However, There is a capacity limit, you must charge using a charger, or carry a spare battery. Especially, smartphone's external case is made of metal, and all-in-one products that can not replace the battery are being released due to design reasons. It is necessary to connect the cable to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smartphone, and after the connection, the charging cable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auxiliary battery and the smartphone must be simultaneously held.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improve the portability and usability of the auxiliary battery.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차 운행시에 네비게이션앱이나, 블루투스를 통한 음악감상 및 음성통화, 무선인터넷, 각종 애플리케이션, 동영상 감상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의 사용에 있어서 중요한 배터리 용량 문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capacity problem that is important in the use of a smartphone that provides a variety of functions such as a navigation app, a music listening and voice call through Bluetooth, a wireless Internet, various applications, and a moving image viewing function in a vehicle.
최근 스마트폰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고, 여러 가지 수많은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제공됨에 따라 네비게이션앱,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및 차량내의 블루투스와 연동하여 음성통화를 제공하는 등 수많은 활용도를 자랑하고 있으나 스마트폰 자체의 배터리는 용량의 한계가 있으며, 충전기를 사용하여 충전하거나, 여분의 배터리를 휴대하여야 한다. 특히 최근 스마트폰 자체의 외장케이스를 메탈소재로 채택하면서 디자인 등의 이유로 배터리를 교체할 수 없는 일체형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어, 스마트폰 외장 보조 배터리 시장이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Recently, smartphones have been used by many people all over the world, regardless of sex, and many applications have been developed and provided. As a result, many applications such as navigation apps, music streaming service, , But the size of the battery of the smartphone itself is limited, it must be charged using a charger, or carry an extra battery. In particular, the smartphone exterior battery market has been on the rise since the integration of the smartphone's external case as a metal material and the introduction of all-in-one products that can not replace the battery due to design reasons.
스마트폰은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고,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제공됨에 따라 네비게이션앱,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및 차량내의 블루투스와 연동하여 음성통화를 제공하는 등 수많은 활용도를 자랑하고 있으나 스마트폰 자체의 배터리는 용량의 한계가 있으며, 충전기를 사용하여 충전하거나, 여분의 배터리를 휴대하여야 한다. 특히 최근 스마트폰 자체의 외장케이스를 메탈소재로 채택하면서 디자인 등의 이유로 배터리를 교체할 수 없는 일체형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어, 스마트폰 외장 보조 배터리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보조배터리의 전원부에서 연결된 충전케이블을 스마트폰 충전단자에 연결하는 과정이 필요하고, 연결후에는 충전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보조배터리와 스마트폰을 동시에 파지하여야 하는 등 사용자의 휴대성 측면에서 불편함을 초래한다.As smartphones are used by many people, various applications are being developed and provided, they have many applications such as navigation apps, music streaming services, and voice calls in conjunction with Bluetooth in the vehicle. However, There is a capacity limit, you must charge using a charger, or carry a spare battery. Especially, smartphone's external case is made of metal, and all-in-one products that can not replace the battery are being released due to design reasons. It is necessary to connect the cable to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smartphone, and after the connection, the charging cable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auxiliary battery and the smartphone must be simultaneously held.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어떤 제품은 특정 기종의 스마트폰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의 외장 케이스형 보조배터리를 출시하고 있는데, 외장 케이스 자체에 일단은 스마트폰의 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단은 케이스 내부에 마련된 보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되는 제품을 선보였으나, 이러한 케이스는 특정 기종에만 한정되기 때문에 수많은 기종들을 지원할 수 없으며, 스마트폰 충전단자가 하단에 있다고 했을 때 길이방향으로 상하 분리형으로 제조되는 실정이므로, 외장케이스형 보조 배터리를 이용시 장착의 불편함이 존재한다.In order to solve this inconvenience, some products have an external case-type auxiliary battery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ppearance of a specific type of smart phone. In the external case itself, one e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smart phone, However, since the case is limited to a specific type, it can not support a large number of models. When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smartphone is located at the bottom,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auxiliary battery to the auxiliary battery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mounting the external case type auxiliary battery.
상술한 문제점들의 해결을 위해 본 고안은 「스마트폰 보조배터리로서,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거치대 본체(100);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내부에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500)를 포함하여 마련되고,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횡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재(200); 상기 연결부재(200)의 외측단에 형성 또는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200)와 함께 거동하되 상기 연결부재(200)의 길이가 거치되는 스마트폰(101)의 폭에 맞게 조절된 경우 상기 스마트폰(101)의 좌측 및 우측 베젤에 밀착되어 지지하여주도록 종방향으로 'ㄱ' 혹은 'ㄷ'의 형태로 내주면이 형성된 가이드부재(201);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부재(200)의 길이가 거치되는 스마트폰(101)의 폭에 맞게 조절된 경우 상기 가이드부재(201)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부재 이동잠금수단(202);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 또는 결합된 탄성부재로서 상기 스마트폰(101)이 슬라이드되어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재(200)의 길이가 거치되는 스마트폰(101)의 폭에 맞게 조절되어 연결부재 이동잠금수단(202)에 의해 고정된 경우 상기 스마트폰(101)이 상기 가이드부재(201)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드 되면서 상기 거치대 본체(100)에 거치되도록 상기 스마트폰(101)의 배면에 압박을 가하여 주는 스마트폰 배면 지지부재(300);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하단에 전방으로 형성 또는 결합된 받침부재로서 상기 스마트폰(101)이 거치될 때 상기 스마트폰(101) 하단의 충전단자가 안착되는 충전단자(401)를 구비하되, 상기 충전단자(401)의 일단은 배선(402)을 통해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내부에 마련된 충전 가능한 배터리(5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충전장치부(400); 및 상기 충전장치부(400)는 배선(402)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부를 가지고, 상기 충전단자(401)의 전후방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충전단자(401)의 위치확보 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충전장치부 일측에 충전장치부 이동잠금수단(404);을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폰(101)이 거치대에 슬라이딩 및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스마트폰(101)의 충전단자와 상기 충전장치부(400)의 충전단자(401)가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조배터리」를 제공한다.A
이때, 상기 충전장치부(400)는 충전단자(401)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교체할 수 있도록 거치대 본체(100)로부터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하되, 충전장치부(400)와 배선(402)를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일측에는 외부전원으로부터 내부에 마련된 충전 가능한 배터리(500)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충전단자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a charging terminal, which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201)의 최상단은 슬라이드 삽입되는 스마트폰(101)이 더욱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전후좌우 방향으로 더 넓은 개구부를 갖는 형태로 굴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top end of the
기존 시장에 판매되고 있는 보조배터리의 경우 전원부에서 연결된 충전케이블을 스마트폰 충전단자에 연결하는 과정이 필요하고, 연결후에는 충전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보조배터리와 스마트폰을 동시에 파지하여야 하는 등 사용자의 휴대성 측면에서 불편함을 초래하지만 본 고안은 보조배터리에 마련된 거치수단에 스마트폰이 슬라이딩되어 안착되면서 충전단자에 스마트폰의 충전단자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과정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므로 한 손으로도 스마트폰을 거치하면서 충전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으며 스마트폰의 케이스를 부착한 상태에서도 편리하게 충전이 가능하도록 한다.In the case of the secondary battery sold in the existing market, it is necessary to connect the charging cable connected from the power source unit to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smartphone. After the connection, the charging cabl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smartphone is electrically coupled to the charging terminal while the smartphone slides on the mounting means provided in the auxiliary battery. It also has the effect of charging the user while the smartphone is mounted by hand, so that it can be conveniently charged even when the case of the smartphone is attached.
또한, 충전케이블이 노출되지 않아 깔끔하고, 미려하며, 단선의 위험성이 적고, 스마트폰의 외부케이스를 스마트폰 보조배터리가 감싸면서 거치하고 있어 휴대성이 확보된다.In addition, since the charge cable is not exposed, it is neat, beautiful, and the risk of disconnection is low, and the outer case of the smart phone is mounted while the smartphone auxiliary battery is wrapped, thereby ensuring portability.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기적 연결 관계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배면 지지부(300)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면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bin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lectrical connection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martphone
4 is a rear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고안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Before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details of construction and arrangements of the components set forth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r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and carried out in other embodiments and carried out in various ways.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 expressions and predicates used herein to refer to terms such as device or element orientation, etc. are used merely to simplify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to indicate or imply that the associated device or element It will be possible.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eature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상술한 문제점들의 해결을 위해 본 고안은 「스마트폰 보조배터리로서,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거치대 본체(100);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내부에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500)를 포함하여 마련되고,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횡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재(200); 상기 연결부재(200)의 외측단에 형성 또는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200)와 함께 거동하되 상기 연결부재(200)의 길이가 거치되는 스마트폰(101)의 폭에 맞게 조절된 경우 상기 스마트폰(101)의 좌측 및 우측 베젤에 밀착되어 지지하여주도록 종방향으로 'ㄱ' 혹은 'ㄷ'의 형태로 내주면이 형성된 가이드부재(201);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부재(200)의 길이가 거치되는 스마트폰(101)의 폭에 맞게 조절된 경우 상기 가이드부재(201)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부재 이동잠금수단(202);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 또는 결합된 탄성부재로서 상기 스마트폰(101)이 슬라이드되어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재(200)의 길이가 거치되는 스마트폰(101)의 폭에 맞게 조절되어 연결부재 이동잠금수단(202)에 의해 고정된 경우 상기 스마트폰(101)이 상기 가이드부재(201)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드 되면서 상기 거치대 본체(100)에 거치되도록 상기 스마트폰(101)의 배면에 압박을 가하여 주는 스마트폰 배면 지지부재(300);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하단에 전방으로 형성 또는 결합된 받침부재로서 상기 스마트폰(101)이 거치될 때 상기 스마트폰(101) 하단의 충전단자가 안착되는 충전단자(401)를 구비하되, 상기 충전단자(401)의 일단은 배선(402)을 통해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내부에 마련된 충전 가능한 배터리(5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충전장치부(400); 및 상기 충전장치부(400)는 배선(402)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부를 가지고, 상기 충전단자(401)의 전후방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충전단자(401)의 위치확보 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충전장치부 일측에 충전장치부 이동잠금수단(404);을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폰(101)이 거치대에 슬라이딩 및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스마트폰(101)의 충전단자와 상기 충전장치부(400)의 충전단자(401)가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조배터리」를 제공한다.A
이때, 상기 충전장치부(400)는 충전단자(401)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교체할 수 있도록 거치대 본체(100)로부터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하되, 충전장치부(400)와 배선(402)를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일측에는 외부전원으로부터 내부에 마련된 충전 가능한 배터리(500)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충전단자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a charging terminal, which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201)의 최상단은 슬라이드 삽입되는 스마트폰(101)이 더욱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전후좌우 방향으로 더 넓은 개구부를 갖는 형태로 굴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top end of the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을 보면,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보조배터리는, 기종별로 크기가 다른 스마트폰(101)이 슬라이드 되면서 거치되도록 하기 위해 스마트폰 보조배터리로서,Referring to FIG. 1, the smartphone auxili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martphone auxiliary battery for allowing a
거치대 본체(100);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내부에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500)를 포함하여 마련되고,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횡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재(200); 상기 연결부재(200)의 외측단에 형성 또는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200)와 함께 거동하되 상기 연결부재(200)의 길이가 거치되는 스마트폰(101)의 폭에 맞게 조절된 경우 상기 스마트폰(101)의 좌측 및 우측 베젤에 밀착되어 지지하여주도록 종방향으로 'ㄱ' 혹은 'ㄷ'의 형태로 내주면이 형성된 가이드부재(201); 상기 연결부재(200)의 길이가 거치되는 스마트폰(101)의 폭에 맞게 조절된 경우 상기 가이드부재(201)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부재 이동잠금수단(202);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된 탄성부재로서 상기 스마트폰(101)이 슬라이드되어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재(200)의 길이가 거치되는 스마트폰(101)의 폭에 맞게 조절되어 연결부재 이동잠금수단(202)에 의해 고정된 경우 상기 스마트폰(101)이 상기 가이드부재(201)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드 되면서 상기 거치대 본체(100)에 거치되도록 상기 스마트폰(101)의 배면에 압박을 가하여 주는 스마트폰 배면 지지부재(300);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하단에 전방으로 형성 또는 결합된 받침부재로서 상기 스마트폰(101)이 거치될 때 상기 스마트폰(101) 하단의 충전단자가 안착되는 충전단자(401)를 구비하되, 상기 충전단자(401)의 일단은 배선(402)을 통해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내부에 마련된 충전 가능한 배터리(5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장치부(400); 및 상기 충전장치부(400)는 배선(402)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부를 가지고, 상기 충전단자(401)의 전후방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충전단자(401)의 위치확보 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충전장치부 일측에 충전장치부 이동잠금수단(404);을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폰(101)이 거치대에 슬라이딩 및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스마트폰(101)의 충전단자와 상기 충전장치부(400)의 충전단자(401)가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이때,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횡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재(200); 상기 연결부재(200)의 외측단에 형성 또는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200)와 함께 거동하되 상기 연결부재(200)의 길이가 거치되는 스마트폰(101)의 폭에 맞게 조절된 경우 상기 스마트폰(101)의 좌측 및 우측 베젤에 밀착되어 지지하여주도록 종방향으로 'ㄱ' 혹은 'ㄷ'의 형태로 내주면이 형성된 가이드부재(201); 상기 연결부재(200)의 길이가 거치되는 스마트폰(101)의 폭에 맞게 조절된 경우 상기 가이드부재(201)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부재 이동잠금수단(202);의 본 명세서에 도시된 실시 예는 설명을 위한 것일 뿐, 공개특허 10-2012-0053993, 공개특허 10-2013-0123103, 등록특허 10-1326687, 등록특허 10-1426915 등에 개시된 고안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201)의 내주면은 스마트폰의 슬라이딩 삽입시 물리버튼의 눌림을 방지하도록 슬라이드 방향으로 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통상 스마트폰의 두께는 6 ~ 9mm 정도이고 케이스의 장착시 두께는 그 이상이 된다. 케이스의 두께까지 고려하여 가이드부재(201)의 깊이 즉 가이드부재(201)의 내주면부터 거치대 본체(100)까지의 거리는 통상 스마트폰의 두께 6 ~ 9mm에 케이스의 두께를 더한 것 이상으로 여유 있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ypically, the thickness of a smartphone is about 6 to 9 mm, and the thickness of the case is more than that of the case. Considering the thickness of the case, the depth of the
또한 스마트폰(101)의 거치시 스마트폰 배면 지지부재(300)가 있어, 스마트폰(101)이 슬라이드되어 삽입될 때, 상기 가이드부재(201)에 스마트폰의 좌측 및 우측 베젤이 밀착되도록 상기 스마트폰 배면 지지부재(300)가 압박을 받아 전후 방향(310)으로 압축이 되면서 상하 방향(320)으로 팽창되면서 스마트폰의 배면을 향해 전방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스마트폰(101)의 배면을 견고하게 지지한다(도 3 참조). 또한, 스마트폰 배면 지지부재(300)는 판스프링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거치대 본체(100)의 내부방향으로 압축되면서 스마트폰 배면 지지대(300)이 슬라이드 이동이 되도록 상기 스마트폰 배면 지지대(300)의 배면에 스프링을 이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도시하지 않음).When the
도 4를 보면, 스마트폰(101)의 슬라이드 삽입이 진행되는 동안 가이드부재(201)가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상술한 가이드부재(201)가 좌우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배면에 상기 가이드부재(201)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이동잠금시키기 위한 연결부재 이동잠금수단(20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연결부재 이동잠금수단(202)은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의 관계도와 같이 상기 충전장치부(400)는 배선(402)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부를 가지고, 상기 충전단자(401), 배선(402)를 통해 거치대 본체(100)내부에 마련된 충전가능한 배터리(5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충전단자(401)의 전후방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충전단자(401)의 위치확보 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저면에 충전장치부 이동잠금수단(40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도 4참조).4, during the slide insertion of the
상기 가이드부재(201)의 내주면 및 상기 스마트폰 배면 지지부재(300)의 외주면 등 상기 스마트폰(101)이 접촉되는 부분은 융이나 기타 천 재질로 덧 씌워 마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마트폰 본체만 슬라이드 거치시 스마트폰의 외부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면서 스마트폰 범퍼 케이스등이 장착된 상태에서도 쉽게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inner surface of the
한편, 충전장치부(400)의 충전단자(401)은 기종별로 다양한 규격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대표적 예로는 마이크로 5핀 USB, C타입 USB, 라이트닝 8핀 등의 규격이 많이 쓰이고 있다, 이러한 충전단자(401)은 스마트폰(101)의 충전단자와의 수많은 결합, 분리 과정을 통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단선이나 접촉 불량 등의 고장이 발생할 수 있고, 스마트폰의 기종 변경시 규격이 변경되는 경우, 보조배터리를 사용하기 위하여 별도의 젠더 등이 필요할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Meanwhile,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로서, 충전장치부(400)와 충전단자(401)을 일체형으로 마련하고, 교체할 수 있도록 거치대 본체(100)으로 부터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하되, 충전장치부(400)과 배선(402)를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고장으로 인한 교체 필요의 경우,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충전장치부(400)과 배선(402)의 분리, 결합은 자주 일어나는 일이 아니고, 한정된 조건 상황에서 일어나는 일이므로 내구성이 보장될 수 있으며, 충전장치부(400)에 마련되는 충전단자(401)을 규격별로 다르게 마련하면, 스마트폰의 기종 변경시 해당 규격을 충족하는 충전단자(401)를 구비하는 충전장치부(400)의 교체만으로 별도의 젠더 없이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 입장에서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고, 제조사 입장에서는 각 충전단자 규격을 충족하는 제품을 최소 구성의 저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5, the charging
한편, 거치대 본체(100)의 배면 등 일측에 추가적으로 충전단자를 마련하고, 상기 충전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착탈가능한 충전단자를 마련하고, 거치대 본체(100)와 착탈수단을 마련하여, 착탈가능하고, 전기적으로 병렬로 연결가능한 배터리부재를 마련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며, 보조배터리 용량 추가에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charging terminal is additionally provided at one side such as the back surface of the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and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거치대 본체
101 : 스마트폰
201 : 가이드부재
200 : 연결부재
202 : 연결부재 이동잠금수단
300 : 스마트폰 배면 지지부재
310 : 스마트폰 슬라이딩 거치시 배면 지지부재의 압축 방향
320 : 스마트폰 슬라이딩 거치시 배면 지지부재의 팽창 방향
400 : 충전장치부
401 : 충전단자
402 : 배선
404 : 충전장치부 이동잠금수단
500 : 거치대 본체 (100)내부에 마련된 충전가능한 배터리
501 : 외부전원100:
101: Smartphone
201: guide member
200: connecting member
202: connecting member movement locking means
300: Smartphone back support member
310: Compression direction of the back support member when sliding the smartphone
320: Inflation direction of the back support member when sliding the smartphone
400: Charging unit
401: Charging terminal
402: Wiring
404: Moving locking means
500: a rechargeable battery provided inside the
501: External power source
Claims (4)
거치대 본체(100);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내부에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500)를 포함하여 마련되고,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횡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재(200);
상기 연결부재(200)의 외측단에 형성 또는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200)와 함께 거동하되 상기 연결부재(200)의 길이가 거치되는 스마트폰(101)의 폭에 맞게 조절된 경우 상기 스마트폰(101)의 좌측 및 우측 베젤에 밀착되어 지지하여주도록 종방향으로 'ㄱ' 혹은 'ㄷ'의 형태로 내주면이 형성된 가이드부재(201);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부재(200)의 길이가 거치되는 스마트폰(101)의 폭에 맞게 조절된 경우 상기 가이드부재(201)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부재 이동잠금수단(202);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 또는 결합된 탄성부재로서 상기 스마트폰(101)이 슬라이드되어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재(200)의 길이가 거치되는 스마트폰(101)의 폭에 맞게 조절되어 연결부재 이동잠금수단(202)에 의해 고정된 경우 상기 스마트폰(101)이 상기 가이드부재(201)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드 되면서 상기 거치대 본체(100)에 거치되도록 상기 스마트폰(101)의 배면에 압박을 가하여 주는 스마트폰 배면 지지부재(300);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하단에 전방으로 형성 또는 결합된 받침부재로서 상기 스마트폰(101)이 거치될 때 상기 스마트폰(101) 하단의 충전단자가 안착되는 충전단자(401)를 구비하되, 상기 충전단자(401)의 일단은 배선(402)을 통해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내부에 마련된 충전 가능한 배터리(5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충전장치부(400); 및
상기 충전장치부(400)는 상기 충전단자(401)의 전후방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충전단자(401)의 위치확보 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충전장치부 일측에 충전장치부 이동잠금수단(404);을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폰(101)이 거치대에 슬라이딩 및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스마트폰(101)의 충전단자와 상기 충전장치부(400)의 충전단자(401)가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조배터리.As a smartphone auxiliary battery,
A cradle body 100;
Inside the cradle main body 100, a rechargeable battery 500 is provided,
A connecting member 200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radle unit 100 in a lengthwise adjustable manner;
When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member 20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smartphone 101 which is formed or connected to the outer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200 and moves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member 200, A guide member 201 hav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e form of 'a' or 'c'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closely contacted to the left and right bezels of the support member 101;
A connecting member moving locking means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guide member 201 when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member 200 is adjusted to the width of the smartphone 101 to which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member 200 is fixed, 202);
The smartphone 101 is slidably inserted as an elastic member formed on or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radle unit main body 100 and is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width of the smartphone 101 in which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member 200 is fixed, When the smartphone 101 is fixed by the member movement locking means 202, the smartphone 101 is slid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member 201, A smartphone back surface supporting member 300 for applying pressure to the back surface;
And a charging terminal 401 on which a charging terminal at the lower end of the smartphone 101 is seated when the smartphone 101 is mounted as a receiving member formed or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radle main body 100, One end of the charging terminal 401 is connected to a charging device 400 electrically connected to a rechargeable battery 500 provided in the cradle main body 100 through a wiring 402. And
The charging device 400 is configured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charging terminal 401. The charging device 400 includes a charging device moving lock device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smartphone 101 and the charging terminal 401 of the charging device 400 are electrically coupled to each other while the smartphone 101 is slid and mounted on the cradle, A smartphone secondary battery that features.
상기 충전장치부(400)는 충전단자(401)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교체할 수 있도록 거치대 본체(100)로부터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하되, 충전장치부(400)와 배선(402)를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조배터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harger unit 40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harging terminal 401. The charger unit 40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cradle body 100 so that the charger unit 400 can be separated from the charging unit 400, And the battery is connected to the battery.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일측에는 외부전원으로부터 내부에 마련된 충전 가능한 배터리(500)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충전단자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조배터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harging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able to a rechargeable battery (500) provided inside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radle main body (100).
상기 가이드부재(201)의 최상단은 슬라이드 삽입되는 스마트폰(101)이 더욱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전후좌우 방향으로 더 넓은 개구부를 갖는 형태로 굴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조배터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guide member (201) is bent in a shape having a wider opening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that the smartphone (101) into which the slide is inserted can be inserted more easil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620222843.0U CN205430349U (en) | 2015-11-19 | 2016-03-22 | Smart mobile phone auxiliary batter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1197 | 2015-02-24 | ||
KR20150001197 | 2015-02-24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9401Y1 true KR200479401Y1 (en) | 2016-01-25 |
Family
ID=55310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7529U Expired - Fee Related KR200479401Y1 (en) | 2015-02-24 | 2015-11-19 | External Battery of smart-pho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9401Y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8780B1 (en) * | 2017-12-26 | 2018-04-13 | 김정래 | The smartphone case built in a rechargeable auxiliary battery |
KR102235107B1 (en) * | 2020-12-03 | 2021-04-01 | 최성현 | A repositionable smartphone charger |
WO2025014258A1 (en) * | 2023-07-10 | 2025-01-16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Electronic device |
-
2015
- 2015-11-19 KR KR2020150007529U patent/KR200479401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8780B1 (en) * | 2017-12-26 | 2018-04-13 | 김정래 | The smartphone case built in a rechargeable auxiliary battery |
KR102235107B1 (en) * | 2020-12-03 | 2021-04-01 | 최성현 | A repositionable smartphone charger |
WO2025014258A1 (en) * | 2023-07-10 | 2025-01-16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Electronic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61116B1 (en) | Card-receptible semiautomatic slide case for mobile phone | |
US9356267B1 (en) | Protective battery case to partially enclose a mobile electronic device | |
KR200477762Y1 (en) | Cradle of smart phone | |
CN204231644U (en) | Can to wireless headset storage and the wearable electronic of charging | |
KR101112601B1 (en) | Car Smartphone Cradle | |
CN103475834B (en) | A kind of smart mobile phone and external micro-projector thereof | |
CN202636015U (en) | Split type mobile phone back clamp | |
KR200479401Y1 (en) | External Battery of smart-phone | |
KR101892546B1 (en) | Mobile phone cover | |
KR20160001328A (en) | Device for holding a portable phon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 |
KR20110027951A (en) | Bar-type Cell Phone Cases | |
KR200481425Y1 (en) | Cradle of smart-phone | |
KR20120006616U (en) | Placer for mobile units on straps | |
KR20160109190A (en) | Rechargable dock of mobile terminal | |
KR20180001448U (en) | Mobile device wireless charger for vehicles | |
KR200477035Y1 (en) | Car-cradle of smart device | |
CN210112247U (en) | TWS earphone charging box | |
KR101673875B1 (en) | Car cupholder with smart device support | |
KR101346572B1 (en) | Case for portable device | |
CN103025095B (en) | A kind of electronic equipment casing | |
CN210351561U (en) | Rechargeable bluetooth headset device | |
KR200476543Y1 (en) | a hold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 |
FI122442B (en) | Device operating with radio technology in cellular network and handsfree for connection thereto | |
KR20140005798U (en) | holder for portable terminal | |
KR20170069827A (en) | Auxiliary battery charger of a mobile phone provided with a stand that can be size adjust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51119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19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1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601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60118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9102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