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79277Y1 - 사생활보호 현관문 장치 - Google Patents

사생활보호 현관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277Y1
KR200479277Y1 KR2020150003165U KR20150003165U KR200479277Y1 KR 200479277 Y1 KR200479277 Y1 KR 200479277Y1 KR 2020150003165 U KR2020150003165 U KR 2020150003165U KR 20150003165 U KR20150003165 U KR 20150003165U KR 200479277 Y1 KR200479277 Y1 KR 2004792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door
door
main body
door main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1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선영
Original Assignee
황선영
박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선영, 박수현 filed Critical 황선영
Priority to KR20201500031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2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2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27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2Serving doors; Passing-through doors ; Pet-do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2Mail or newspaper receptacles, e.g. letter-boxes; Openings in doors or the like for delivering mail or newspa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안기능이 강화되고 물품의 안전한 유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등 기능성이 향상된 사생활보호 현관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외부공간과 사적공간을 구분하는 통로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측이 상기 통로 상에 힌지 연결되며, 타측에는 잠금장치와 손잡이가 설치되는 현관문 본체; 소정의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상기 현관문 본체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현관문을 열지 않고서도 물품을 반입 또는 반출할 수 있도록 상기 현관문 본체의 중간 높이에 설치되는 물품반입부; 상기 현관문 본체의 일측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음향신호를 받아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생활보호 현관문 장치{Front Door Apparatus For Protecting Privacy}
본 고안은 사생활보호 현관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안기능이 강화되고 물품의 안전한 유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등 기능성이 향상된 사생활보호 현관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가정, 사무실, 호텔, 모텔, 펜션 등 매우 다양한 형태의 생활공간이 있다. 이들 생활공간은 거의 모두 현관문을 구비하고 있다. 현관문(front door)은 공용공간에서 사적공간으로 들어가는 입구에 설치되는 것인 만큼 사생활 보호 및 안전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 장치이다. 근래 이들 현관문은 번호를 입력하거나 카드형 열쇠를 접촉하는 방식으로 개방되는 잠금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현관문 장치에 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과 투자는 필수적이라 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특성을 개인이 매일 사용하는 만큼 사용의 편의성 또한 매우 중요하다 할 것이다.
한편 새로운 숙박시설로서 사용자가 스스로 결제하고 입실하여 사용할 수 있는 무인텔이라는 시설이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관리자 입장에서는 인건비 등 유지비가 적게 소요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여러 장점 때문에 현재 이미 보급되어 있는 모텔 등의 숙박업소가 무인텔과 같은 형식으로 개조를 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전혀 다른 시스템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공사의 규모가 커져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3-0026933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6-0013067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각종 숙박업소에의 현관에 설치되는 다기능 현관문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무인텔과 같은 숙박업소에 특히 적합하며 방법 기능이 향상되며, 현관문을 열지 않고도 물품의 반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심플한 구성과 디자인에 의하여 미감이 뛰어한 사생활보호 현관문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외부공간과 사적공간을 구분하는 통로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측이 상기 통로 상에 힌지 연결되며, 타측에는 잠금장치와 손잡이가 설치되는 현관문 본체;
소정의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상기 현관문 본체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현관문을 열지 않고서도 물품을 반입 또는 반출할 수 있도록 상기 현관문 본체의 중간 높이에 설치되는 물품반입부;
상기 현관문 본체의 일측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음향신호를 받아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생활보호 현관문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물품반입부는 물품반입공과 상기 물품반입공에 설치되는 개폐도어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도어는 여닫이문 또는 슬라이딩 도어의 형태로 되어 있는 외부도어와; 하단부가 힌지 연결되어 상단이 실내를 향해 90°각도로 젖혀지며 열리는 형식으로 되어 있는 내부도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계산을 처리하여 방의 비밀번호를 알려주거나 카드키(card key)를 공급함으로써 입실을 허용할 수 있게 하는 정산시스템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수회 이상 잘못된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등 침입시도가 있는 경우, 사용자, 경비실 또는 파출소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침입시도가 있음을 알리는 경고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각종 생활공간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현관문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현관문 장치는 다양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배달물품 등을 효과적으로 반입할 수 있는 구성이며 보안기능이 뛰어나다.
한편 일반적 시스템을 이용하는 종래의 호텔, 모텔 등의 숙박업소 측은 본 발명에 의한 현관문 장치만을 교환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무인텔과 같은 방식으로 자신의 업소를 리모델링하여 운영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무인텔로의 리모델링에 소요되는 제반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사생활보호 현관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사생활보호 현관문 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사생활보호 현관문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사생활보호 현관문 장치의 보안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생활보호 현관문 장치중 발판의 설치상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생활보호 현관문 장치의 발판의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현관문은 보통 외부공간과 사적공간을 구분하기 위해 그 통로 상에 설치되는 문이다. 현관문 본체(10)는 일측에 설치되는 브래킷(11)을 통해 통로 상에 힌지연결된다. 현관문 본체(10)의 타측에는 잠금장치와 손잡이(12)가 설치된다. 현관문 본체(10)의 구성은 일반 현관문과 유사하게 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겉은 금속판재로 되어 있으며 속에는 방음재 내지 단열재가 설치될 수 있다.
소정의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30)이 현관문 본체(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디스플레이 패널(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관문 본체(10)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설치공(14)에 끼워져 고정된다. 디스플레이 패널(30)은 실내측 방향에서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각프레임(16) 및 고정나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부설치공(14)의 가장자리에는 패널 안착턱(13)이 마련되며 디스플레이패널(30)은 이 패널 안착턱(13)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외부에서 디스플레이 패널(30)을 파손시키고 침투할 수 없도록 디스플레이 패널(30) 자체에 강성이 높은 재질을 포함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30)의 외측에 방탄 유리판 또는 기타 방범수단을 설치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0)은 양면(31,32)을 통해 각각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외면(31)에는 예를 들어 이 방이 몇호실에 해당하는지 여부, 현재 사용자가 입실중인지 아니면 외출중인지 여부, 현재 사용자의 퇴실예정일이 언제인지 여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들 문구는 수초씩 교번하면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규격은 도시된 것보다 작을 수 있으며 설치 위치 또한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디스플레이 패널(30)의 디스플레이방식은 엘이디, 엘씨디 등 다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0)의 내면(32)에는 자신이 사용하는 방의 호실, 사용기간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30)의 내면(32)에는 현관문 본체(10)에 설치되는 카메라(22)로 촬영한 현재 통로의 실시간 상황을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현관문 앞에 서 있는 사람을 내부에서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장면을 항상 디스플레이할 필요는 없을 것이며 내부인이 현관문으로 다가설 때 이를 감지하여 촬영이미지를 자동적으로 출력하면 될 것이다. 또한 초인종이 울리거나 내부인이 스위치를 조작하여 신호를 줄 때에 외부를 촬영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현관문을 열지 않고서도 물품을 반입 또는 반출할 수 있도록 현관문 본체(10)의 중간 높이에 물품반입부가 설치된다. 물품반입부는 현관문을 열지 않고도 배달 물건 또는 룸서비스 등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물품반입부 물품반입공(15)과 물품반입공(15)에 설치되는 개폐도어(40,41)를 포함한다. 물품반입공(15)의 규격은 가로가 400~450mm, 세로가 300~400mm이면 적당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개폐도어(40,41)는 외부도어(40)와 내부도어(41)로 구성된다. 외부도어(40)는 여닫이문 또는 슬라이딩 도어의 형태로 되어 손잡이홈(40a)에 손가락을 끼우고 화살표(K1)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열릴 수 있으며, 나아가 내부인의 잠금해제 신호에 의해 열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내부도어(41)는 하단부가 현관문 본체(10)에 힌지 연결되어 상단이 도 3에 화살표(K2)로 도시된 것처럼 실내를 향해 90°각도로 젖혀지며 열리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내부도어(41)는 개방시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내부도어(41)의 열림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레버(42)가 내부도어(41)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내부도어(41)는 실내에 있는 사용자가 상단부를 누르면 서서히 개방되는 구조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내부도어(41)는 방탄유리의 형태로 되어 있음으로써 외부에서의 침입을 막고,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바깥쪽을 볼 수 있게끔 할 수 있다. 외부도어(40) 및 내부도어(41)의 개폐 구조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방식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음향신호를 받아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21)가 현관문 본체(10)의 일측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스피커(21)에 의하면, 출입하는 사용자를 위해 현재 시간이나 퇴실시간을 알려줄 수 있으며 청취하기에 좋은 느낌을 줄 수 있는 멜로디를 출력할 수도 있다. 스피커(21)는 외출 또는 퇴실하는 사용자에게 인사멘트(예를 들어, "즐거운 시간 보내십시오")를 출력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한편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멘트를 녹음하여 현관문이 열리거나 닫힐 때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게끔 할 수 있다. 재미있는 문구, 교훈적 문구, 격언, 명언 또는 노랫소리를 녹음하여 출입시에 이를 출력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마이크 및 녹음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가령 어린 자녀의 목소리를 녹음하여 아빠나 엄마가 출근하거나 퇴근할 때 "사랑해요" 라고 출력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가정생활의 즐거움과 행복을 배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디스플레이 패널(30)에 이와 같은 기능을 위한 녹음장치가 내장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30)과 병용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30)을 대체하여 일방향에서만 건너편을 볼 수 있는 유리거울을 설치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무인텔에 적용할 수 있도록 현관문 본체(10)에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계산을 처리하여 방의 비밀번호를 알려주거나 카드키(card key)를 공급함으로써 입실을 허용할 수 있게 하는 정산시스템을 설치할 수도 있다. 정산시스템은 디스플레이 패널(30)과 같은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30)이 정산시스템을 포함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정산시스템은 현재 무인텔에서 사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정산시스템에 의하면 종래의 호텔 또는 모텔은 큰 공사를 시행하지 않고서, 즉 본 고안의 현관문을 교체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무인텔(무인시스템으로 운영되는 영업용 숙박시설)로 리모델링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현관문의 잠금장치는 터치식 버튼키(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터치식 버튼키(20)는 현관문 본체(10)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동일한 평면상에 설치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현관문의 미관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현관문 자체를 열 수 있다. 그러나 비밀번호를 2개 구비하고 그 중 하나의 비밀번호는 물품반입구의 개폐도어(40,41)만을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에 있을 때 물건이 배달되는 경우 물품반입구만을 개방할 수 있는 비밀번호를 배달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배달물품을 물품반입구(15)를 통해 실내에 투입하도록 할 수 있다. 현관문 안쪽에는 물품반입구를 통해 반입된 물품이 바닥에 떨어지지 않고 안전하게 담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물품보관백(미도시됨)을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키가 작은 유아가 문을 열거나 외부를 보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발판(60)이 현관문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발판(60)은 유아가 딛고 올라설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단한 조작을 통해 현관문 본체(10)의 외면에서 돌출되면서 펼쳐지는 접이식 구조(또는 자바라식 구조)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발판(60)은 현관문의 내부 또는 외부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발판(60)은 측판(61) 및 이 측판(61)과 경첩(63)에 의해 힌지 연결되는 디딤판(62)을 포함할 수 있다. 측판(61)과 디딤판(62)은 접철링크(64)에 의해 제한된 각도, 즉 90°까지만 펼쳐질 수 있도록 힌지 연결된다(도 6 참조). 측판(61)과 디딤판(62)은 서로 완전히 접힐 수 있으며 접힌 상태에서는 현관문 본체의 외면 또는 내면에 마련되는 발판수입홈(17)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디딤판(62)은 발판수입홈(17) 내부의 하단에 힌지 연결된다. 디딤판(62)은 힌지축(65)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발판수입홈(17)에서부터 펼쳐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사용자가 측판(61)의 전면에 표시된 누름표시부(66)를 누르면, 발판(60)은 근래 냉장고의 전면에 음료 등을 간단히 보관하거나 꺼낼 수 있도록 마련된 보조문에 널리 사용되는 방식으로 천천히 펼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측판(61)의 단부는 바닥(F)에 닿게 되며 기둥과 같은 역할을 한다. 도 7에는 발판(60)이 펼쳐지는 상태가 일점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현관문은 외부와 연계된 보안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연산을 수행하는 제어부(50)가 구비된다. 이 제어부(50)는 디스플레이 패널(30)과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현관문 근처의 실내 벽에 벽걸이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버튼키(20)를 통해 올바른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제어부(50)는 기계식 자물쇠(23)를 작동시켜 현관문을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어서오십시오" 라는 문구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하거나 스피커(21)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만약 버튼키(20)에 수회 이상 잘못된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제어부(50)는 이를 침입의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소정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타중이거나 미리 등록된 사용자(51)의 전화번호로 "침입시도!"라는 경고적 문자메시지를 자동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경비실(52) 및 인근 파출소(53)로 동일한 신호를 전송하여 경비 또는 경찰관에게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현관문이 비정상적인 방법에 의해 개방되는 경우 제어부(50)는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51), 경비실(52) 또는 파출소(53)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비밀번호가 수차례 잘못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는 카메라(22)로 하여금 비밀번호를 누르는 자를 촬영하여 그 촬상데이터를 저장하고, 비밀번호를 누르는 자에게 스피커(21)를 통해 경고함으로써 더 이상의 행동을 자제하도록 하여 위법행위가 미연에 방지되도록 조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현관문이 숙박업소용도라 하였지만, 아파트, 단독주택 등 일반 가정이나 오피스텔, 사무실 등에도 충분히 사용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므로 권리범위는 거기까지 미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현관문 본체 12 : 손잡이
14 : 상부설치공 15 : 물품반입공
20 : 버튼키 21 : 스피커
23 : (기계식) 자물쇠 30 : 디스플레이 패널
40,41 : 개폐도어 50 : 제어부
51 : 사용자 52 : 경비실
53 : 파출소 60 : 발판

Claims (4)

  1. 외부공간과 사적공간을 구분하는 통로 상에 설치되어 일측이 상기 통로 상에 힌지 연결되고 타측에는 잠금장치(12)와 손잡이가 설치되는 현관문 본체(10)와; 소정의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상기 현관문 본체(10)에 고정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30)과; 상기 현관문을 열지 않고서도 물품을 반입 또는 반출할 수 있도록 상기 현관문 본체(10)의 중간 높이에 설치되는 물품반입공(15)과 상기 물품반입공(15)을 개폐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개폐도어(40,41)를 포함하는 물품반입부 및; 상기 현관문 본체(10)의 일측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음향신호를 받아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21); 를 포함하는 현관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품반입부의 물품반입공(15)은 현관문 본체(10)의 내외부를 관통하여 가로 400~450㎜, 세로 300~400㎜의 크기로 형성되고, 개폐도어(40,41)를 형성하는 외부도어(40)는 여닫이문 또는 슬라이딩 도어의 형태로 설치되며, 내부도어(41)는 하단부가 힌지 연결되어 상단이 실내를 향해 90°의 각도로 젖혀지며 열리는 형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현관문 본체(10)의 내면 하부에 발판 수입홈(17)이 형성되며, 상기 발판 수입홈(17)의 하단에는 경첩(63) 및 접철링크(64)로 연결된 발판(60)의 측판(61)과 디딤판(62)이 힌지로 연결되어 상기 발판 수입홈(17)에 삽입되었던 측판(61)과 디딤판(62)이 외부로 돌출되어 90°의 각도로 펼쳐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생활보호 현관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50003165U 2015-05-18 2015-05-18 사생활보호 현관문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4792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165U KR200479277Y1 (ko) 2015-05-18 2015-05-18 사생활보호 현관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165U KR200479277Y1 (ko) 2015-05-18 2015-05-18 사생활보호 현관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277Y1 true KR200479277Y1 (ko) 2016-01-13

Family

ID=55174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165U Expired - Fee Related KR200479277Y1 (ko) 2015-05-18 2015-05-18 사생활보호 현관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27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8451B1 (ko) 2016-03-25 2017-10-19 김기홍 배달물 자동 인식형 안심도어
CN108062026A (zh) * 2017-12-11 2018-05-22 苏州灵致科技有限公司 智能终端及室内电器控制系统及门禁控制系统和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379U (ja) * 1993-06-30 1995-02-14 株式会社イナックス 回転部を備えたドア
KR20010094329A (ko) * 2000-04-06 2001-10-31 최병준 무인객실 서비스 시스템
KR200337278Y1 (ko) 2003-08-21 2004-01-07 장경준 방범 안전 현관문
KR20060013067A (ko) 2004-08-05 2006-02-09 옵티멈 케어 인터내셔널 테크 인코포레이티드 칩 리드프레임 모듈
JP2012140797A (ja) * 2010-12-29 2012-07-26 Kikuchi Inc ドア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379U (ja) * 1993-06-30 1995-02-14 株式会社イナックス 回転部を備えたドア
KR20010094329A (ko) * 2000-04-06 2001-10-31 최병준 무인객실 서비스 시스템
KR200337278Y1 (ko) 2003-08-21 2004-01-07 장경준 방범 안전 현관문
KR20060013067A (ko) 2004-08-05 2006-02-09 옵티멈 케어 인터내셔널 테크 인코포레이티드 칩 리드프레임 모듈
JP2012140797A (ja) * 2010-12-29 2012-07-26 Kikuchi Inc ドア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8451B1 (ko) 2016-03-25 2017-10-19 김기홍 배달물 자동 인식형 안심도어
CN108062026A (zh) * 2017-12-11 2018-05-22 苏州灵致科技有限公司 智能终端及室内电器控制系统及门禁控制系统和方法
CN108062026B (zh) * 2017-12-11 2023-08-08 苏州灵致科技有限公司 智能终端及室内电器控制系统及门禁控制系统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5109B2 (en) Building lockdown system
US20150320209A1 (en) Secure access mirror
US20150179025A1 (en) Modular privacy booth for cooperative use with teller station, ATM, or the like
US10238210B1 (en) Pass-through convenience cabinet for hotel or similar public accommodation
JP2022060291A (ja) 防音室及び防音室の使用方法
CA297602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try control
US8171864B2 (en) Security,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preventing unauthorized entry into a bank or other building
KR200479277Y1 (ko) 사생활보호 현관문 장치
US20200170432A1 (en) Detachable Compartment for In-home Delivery
JP6769632B2 (ja) トイレ用自動ドアシステム、音声案内装置、音声案内方法
KR101340148B1 (ko) 디지털 도어락
HUP0302123A2 (hu) Információs pont függżlegesen eltolható képernyżvel
JP3874757B2 (ja) 屋外避難装置および防犯システム
CN102535890A (zh) 一种自助柜员机防护舱
JP2008063043A (ja) エレベータ装置
US10706697B1 (en) Guard dog station
WO2007097628A1 (en) Security device
JP2012140797A (ja) ドア装置
US10565857B1 (en) Alarm system
JP2011012420A (ja) 建物監視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RU2524224C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й пункт спасения
JP4250499B2 (ja) 避難用ボックス
JP5378082B2 (ja) ドア装置
GB2524847A (en) A door entry device
TWI240038B (en) Alarm device for opening of roller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5051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7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18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5063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20151224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10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6010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91016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