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78975Y1 - Nanta drum using lighting - Google Patents

Nanta drum using ligh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975Y1
KR200478975Y1 KR2020150003072U KR20150003072U KR200478975Y1 KR 200478975 Y1 KR200478975 Y1 KR 200478975Y1 KR 2020150003072 U KR2020150003072 U KR 2020150003072U KR 20150003072 U KR20150003072 U KR 20150003072U KR 200478975 Y1 KR200478975 Y1 KR 2004789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cylinder
illumination
north
vibration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07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영아
Original Assignee
최영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아 filed Critical 최영아
Priority to KR20201500030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97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9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975Y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10D13/01General design of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G10D13/02Drums; Tambourines with drum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37/022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조명을 이용한 난타용 북이 개시된다. 조명을 이용한 난타용 북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양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투명 원통과, 투명 원통의 상부에 배치되며 타격 대상이 되는 상부 북피와, 상부 북피의 하부에서 투명 원통에 설치되는 하부 북피와, 하부 북피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센서와, 진동 센서의 센싱 신호를 전달받아 색상 표시 신호를 송신하는 컨트롤러와, 투명 원통에 설치되며 컨트롤러의 제어 신호를 전송받아 하부 북피의 진동에 따라 발광하는 조명부를 포함한다.  A book for navigation using illumination is disclosed. The lightning bolt using the illumination includes a transparent cylinder in which an accommodating space is formed and openings are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n upper bulb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parent cylinder and an impact target, and a lower bulb A controller for receiving a sensing signal of the vibration sensor to transmit a color display signal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olor of the lower book and the lower book, As shown in FIG.

Description

조명을 이용한 난타용 북{NANTA DRUM USING LIGHTING}{NANTA DRUM USING LIGHTING}

본 고안은 연주 과정에서 조명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화려한 연주 연출이 가능한 조명을 이용한 난타용 북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ok for nanta that uses illumination capable of visualizing a brilliant performance using lighting during a performance process.

일반적으로 난타는 한국 전통 가락인 사물놀이 리듬을 소재로 주방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코믹하게 그린 뮤지컬 퍼포먼스이다. In general, Nanta is a musical performance that draws comic lyrics of things that happen in the kitchen using the traditional Korean rhythm of samulnori.

이 작품은 대사 없이 리듬과 비트, 상황만으로 구성된 대표적인 한국형 뮤지컬 퍼포먼스이다.This is a representative Korean musical performance composed of rhythm, beat, and situation without dialogue.

난타의 매력은 흔한 주방 용품인 칼ㅇ도마ㅇ냄비ㅇ프라이팬ㅇ접시 등의 모든 재료들을 이용하여 강렬한 전통리듬을 만들어 내는데 있다. 일상의 도구와 소품을 두드려 소리를 내는 파워풀한 연주는 색다른 볼거리이다.The charm of Nanta is to produce intense traditional rhythms by using all the ingredients of common kitchen utensils such as Kal-o-do-o-o-pan, o-pan, and saucer. Powerful performances that make sounds by tapping everyday tools and accessories are a bit different.

난타의 주요 도구인 난타용 북은 타악기로서 주로 청각적 효과를 강조할 수 있도록 구성되지만, 화려한 무대의 조명이 있는 상황 하의 난타 공연에서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난타용 북에 대한 요구가 있다.
The main tool of NANTA, NANTA, is a percussion instrument mainly designed to emphasize the auditory effect, but there is a demand for the NANTA for the visual effect in the NANTA performance under the situation with the colorful stage lighting.

공개특허공보 20-0469055Patent Publication No. 20-0469055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연주 과정에서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하는 조명을 이용한 난타용 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book for reading using illumination that maximizes a visual effect in a performance process.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양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투명 원통과, 투명 원통의 상부에 배치되며 타격 대상이 되는 상부 북피와, 상부 북피의 하부에서 투명 원통에 설치되는 하부 북피와, 하부 북피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센서와, 진동 센서의 센싱 신호를 전달받아 색상 표시 신호를 송신하는 컨트롤러와, 투명 원통에 설치되며 컨트롤러의 제어 신호를 전송받아 하부 북피의 진동에 따라 발광하는 조명부를 포함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arent cylinder having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and having opening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n upper bulb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parent cylinder and being an impact target, and a lower bulb A controller for receiving a sensing signal of the vibration sensor to transmit a color display signal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olor of the lower book and the lower book, As shown in FIG.

하부 북피는 투명 원통의 중앙부와 하부의 사이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The lower north breeze can be installed in a portion between the central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parent cylinder.

투명 원통의 내부에 수용되며 하부 북피의 진동에 따라 투명 원통의 내부에서 튀어오르는 복수개의 볼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balls accommodated in the transparent cylinder and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transparent cylinder in accordance with the vibration of the lower bookpiece.

상부 북피는 투명 재질이고, 하부 북피는 상부 북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투명 원통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upper north breeze is a transparent material, and the lower north breeze can be installed inside the transparent cylinder at a position spaced from the upper north breeze.

조명부는 상부 북피와 하부 북피의 사이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The lighting unit may be installed in a portion between the upper north and lower north.

상부 북피와 하부 북피의 사이에는 상부 북피의 타격에 따라 하부 북피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튀어오르는 물이 충진될 수 있다.Between the upper north and lower north blooms, the water bouncing up by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lower north breeze can be filled with the blow of the upper north breeze.

투명 원통의 하부와 하부 북피의 사이에 설치되는 서브 조명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sub illumination provide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parent cylinder and the lower book pocket.

투명 원통의 외부에는 서브 조명과 상기 조명부를 덮는 불투명 커버가 부착될 수 있다.
And an outside of the transparent cylinder may be provided with a sub illumination and an opaque cover covering the illumination uni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난타용 북의 타격 과정에서 조명부로부터 볼 방향으로 서로 다른 색상이 순차적으로 발광되는 것이 가능하여, 연주 과정에서 볼이 튀어 오르는 것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다. 따라서, 연주자는 난타용 북의 연주 과정을 보다 화려하게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여,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더욱 화려한 연주가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quentially emit different colors in the ball direction from the illuminating unit during the batting process of the snatching drum, so that it is possible to visually confirm that the ball bounces during the playing process. Therefore, the player can more realistically perform the process of playing the book for the nanta, so that the performer can perform more brilliantly in the visual and auditory sense.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주 과정에서 타격 강도에 대응하여 조명이 적용된 분수 효과가 발생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조명을 이용한 난타용 북의 연주 과정에서 시각적으로 화려한 연출이 가능하여 연주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fountain effect to which illumination is applied corresponding to the striking strength in the performance proces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visually produce a brilliant performance in the course of playing the book for the use of the lighting, thereby improving the performance satisfaction.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을 이용한 난타용 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명을 이용한 난타용 북의 내부를 보여지도록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명을 이용한 난타용 북을 분해하여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투명 원통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보강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투명 원통의 하부에 설치되는 저면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을 이용한 난타용 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조명을 이용한 난타용 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조명을 이용한 난타용 북의 내부를 보여지도록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의 투명 원통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보강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투명 원통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nare drum using illumina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ior of the snare drum using the illumination of Fig. 1.
Fig. 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nare drum using the illumination of Fig. 1;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einforcement frame provided in an opening portion of a transparent cylinder.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ottom fram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a transparent cylinder.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nare drum using illumina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nare drum using the illumination of Fig. 6;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ior of the snare drum using the illumination of Fig. 6.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einforcing frame provided in an opening portion of the transparent cylinder of Fig. 6;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ower fram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a transparent cylinder.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에서 설명하는 난타용 북은 대사 없이 비트 상황만으로 구성된 대표적인 한국형 뮤지컬 퍼포먼스인 난타에 이용되는 타악기를 말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Nanta Book described below refers to a percussion instrument used in Nanta, which is a typical Korean musical performance composed of only bit situations without dialogue.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을 이용한 난타용 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명을 이용한 난타용 북의 내부를 보여지도록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조명을 이용한 난타용 북을 분해하여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nare drum using illumina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side of a snare drum using the light of FIG. 1, Fig. 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nare drum using the illumination of Fig. 1; Fig.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을 이용한 난타용 북(100)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양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투명 원통(10)과, 투명 원통(10)의 상부에 배치되며 타격 대상이 되는 상부 북피(20)와, 상부 북피(20)의 하부에서 투명 원통(10)에 설치되는 하부 북피(30)와, 하부 북피(30)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센서(40)와, 진동 센서(40)의 센싱 신호를 전달받아 색상 표시 신호를 송신하는 컨트롤러(50)와, 투명 원통(10)에 설치되며 컨트롤러(50)의 제어 신호를 전송받아 하부 북피(30)의 진동에 따라 발광하는 조명부(6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lighting book 100 using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parent cylinder 10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and an opening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 lower nappy 30 disposed on the transparent cylinder 10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nappy 20 and a lower nappy 30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nappy 30, A controller 50 which receives a sensing signal of the vibration sensor 40 and transmits a color display signal and a controller 50 which is provided in the transparent cylinder 10 and which receives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50 And an illumination unit 60 that emits light according to the vibration of the lower north skin 30 when it is received.

투명 원통(10)은 난타용 북의 몸체 부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난타용 북의 공명통으로 이용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투명 원통(10)은 내부에 수용된 물체를 육안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투명 원통(1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볼(11)이 수용될 수 있다. The transparent cylinder 10 forms the body portion of the snare drum and is used as a resonator tube for the snare drum. The transparent cylinder 10 may be formed of transparent polycarbonate material in the present embodiment so that the transparent cylinder 10 can be visually recognized. A plurality of balls 11 can be accommodated in the transparent cylinder 10.

도 4는 투명 원통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보강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원통(10)의 개구부(12)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 프레임(13)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einforcement frame provided in an opening portion of a transparent cylinder. As shown in Fig. 4, it is also possible that a reinforcing frame 13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is provided in the opening 12 of the transparent cylinder 10.

도 5는 투명 원통의 하부에 설치되는 저면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원통(10)의 하부에는 바퀴(92)를 설치하기 위한 저면 프레임(90)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ottom fram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a transparent cylinder. As shown in FIG. 5, a bottom frame 90 for mounting the wheels 92 may be provided under the transparent cylinder 10.

볼(11)은 색상을 달리하는 것으로서, 투명 원통(10)의 내부에 복수개로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볼(11)은 하부 북피(30)의 진동에 따라 투명 원통(10)의 내부에 튀어오르는 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원활한 튀어 오름 작용을 위해 경량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alls 11 are different in color and can be accommodated in a plurality of inside the transparent cylinder 10. The ball 11 protrudes inside the transparent cylinder 10 according to the vibration of the lower nappy 30, and may be formed of a lightweight material for smooth spring-up action.

볼(11)에는 빛이 반사시키는 물질이 도포된 영역과 빌을 흡수하는 물질이 도포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볼(11)의 표면에는 빛을 반사시키는 시트지를 접착시키거나 빛을 반사시키거나 흡수하는 페인트가 도포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볼(11)은 조명이 있는 경우에 시각적인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The ball 11 may include a region to which the light reflecting material is applied and a region to which the bill absorbing material is applied. It is also possible that a sheet for reflecting light or a paint for reflecting or absorbing light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ball 11. Thus, the ball 11 can further maximize the visual effect in the presence of illumination.

상부 북피(20)는 투명 원통(10)의 개구부(12)를 덮도록 고정되는 것으로서, 소가죽 외피 등의 불투명 피를 이용할 수 있다. 상부 북피(20)는 말, 개, 노루 가죽 등의 천연가죽을 가공하여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인조 가죽 또는 함성 섬유 등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북피(20)는 불투명 피를 이용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The upper bulb 20 is fixed so as to cover the opening 12 of the transparent cylinder 10, and opaque blood such as a cowhide shell can be used. The upper buckyard 20 can be manufactured by processing natural hides such as horses, dogs, and deer hides, and can be manufactured using artificial leather or shredded fibers as requir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north 20 will illustratively illustrate the use of opaque blood.

하부 북피(30)는 상부 북피(20)의 하부에서 투명 원통(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부 북피(20)와 동일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북피(30)는 상부 북피(20)의 타격에 대응하여 진동이 발생되도록 투명 원통(1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하부 북피(30)는 상부 북피(20)의 타격에 의해 발생된 소리를 울리게 하는 울림판의 기능을 하는 것과 동시에 투명 원통(10)의 내부에 수용된 볼(11)이 튀어오르게 하는 진동판의 기능도 함께 가능하다. The lower nappy 30 is installed in the transparent cylinder 10 i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nappy 20 and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upper nappy 20. The lower nappy 30 may be installed in the transparent cylinder 10 to generate vibrations corresponding to the impact of the upper nappy 20. That is, the lower nappy 30 functions as a sounding plate for sounding the sound generated by the impact of the upper nappy 20, and at the same time, functions as a diaphragm for bouncing the ball 11 accommodated in the transparent cylinder 10 Is also possible.

즉, 하부 북피(30)는 상부 북피(20)의 타격 강도에 대응하여 진동폭이 변동되는 것으로서, 투명 원통(10)의 내부에 수용된 볼(11)이 상부 북피(20)의 타격 강도에 대응하여 튀어오르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the lower nappy 30 has a vibration width corresponding to the impact strength of the upper nappy 20, and the ball 11 accommodated in the transparent cylinder 10 corresponds to the impact strength of the upper nappy 20 You can let it bounce.

하부 북피(30)는 투명 원통(10)의 중앙부와 하부의 사이에서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북피(30)는 투명 원통(10)의 하부로부터 20cm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부 북피(30)는 투명 원통(10)의 하부로부터 20cm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투명 원통(10)의 높이의 변동에 따라 중앙부와 하부의 사이에서 적절하게 위치 변동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lower nappy 30 can be installed between the center and the lower part of the transparent cylinder 10. [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exemplarily described that the lower nappy 30 is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20 cm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parent cylinder 10. However, the lower nappy 3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being disposed at a position 20 cm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parent cylinder 10, but may be appropriately positioned between the central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variation of the transparent cylinder 10 It is also possible to vary.

이와 같이, 하부 북피(30)가 투명 원통(10)의 하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은, 상부 북피(20)의 타격 발생시 하부 북피(30)로 진동의 전달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The reason why the lower nappy 30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parent cylinder 10 is that the vibration is transmitted smoothly to the lower nappy 30 when the upper nappy 20 is hit will be.

한편, 하부 북피(30)의 하부에는 진동 센서(40)가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a vibration sensor 40 is installed below the lower nappy 30.

진동 센서(40)는 하부 북피(30)로 전달되는 진동의 크기를 센싱하는 것으로서, 진동 신호를 컨트롤러(50)로 전송한다.The vibration sensor 40 senses the magnitude of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lower north face 30, and transmits the vibra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50.

컨트롤러(50)는 진동 센서(40)에서 센싱된 신호를 수신하여, 후술하는 조명부(60)가 적어도 2개 이상의 색상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50)와 진동 센서(40)는 하부 북피(30)의 하부에서 일체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하부 북피(30)의 하부에 별도의 유닛으로 구성되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controller 50 can receive a signal sensed by the vibration sensor 40 and control the lighting unit 60 to emit light in at least two or more colors. The controller 50 and the vibration sensor 40 may be integrally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nappy 30 or may b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nappy 30 as separate units.

조명부(60)는 컨트롤러(50)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발광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서 복수개의 엘이디 조명으로 설치될 수 있다. 조명부(60)는 투명 원통(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투명 원통(10)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illumination unit 60 is provided to be selectively ligh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50, and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ED lights in this embodiment. The illumination unit 60 is provided inside the transparent cylinder 10 by way of example. However, the illumination unit 60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provided outside the transparent cylinder 10.

조명부(60)는 컨트롤러(50)의 제어에 따라 하부 북피(30)에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에 작동되어 조명을 볼(11) 방향으로 조사할 수 있다. 조명부(60)는 단색 또는 RGB 컬러를 선택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illumination unit 60 is activated when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lower north skin 3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50 to irradiate the illumination in the ball 11 direction. The illumination unit 60 may be a single color or an RGB color.

이러한 조명부(60)는 하부 북피(30)에 진동이 전달되는 과정, 즉 상부 북피(20)를 타격 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되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난타용 북의 타격 과정에서 조명부(60)로부터 볼(11) 방향으로 서로 다른 색상이 순차적으로 발광되는 것이 가능하여, 연주 과정에서 볼(11)이 튀어 오르는 것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다. 따라서, 연주자는 난타용 북의 연주 과정을 보다 화려하게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여,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더욱 화려한 연주가 가능하게 된다. The illumination unit 60 may be installed to emit light of different colors in a process of transmitting vibration to the lower nappy 30, that is, in hitting the upper nappy 2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equentially emit different colors in the direction of the ball 11 from the illuminating unit 60 in the batting process of the snatching drum, so that it is possible to visually easily confirm that the ball 11 pops up during the playing process Do. Therefore, the player can more realistically perform the process of playing the book for the nanta, so that the performer can perform more brilliantly in the visual and auditory sense.

투명 원통(10)에는 하부 북피(30)의 하부에 배터리(7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투명 원통(10)에는 배터리(70)가 설치된 위치의 표면에 불투명 커버(80)가 부착될 수 있다. 불투명 커버(80)는 시트지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불투명 커버(80)에 의해 배터리(7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불투명 커버(80)의 표면에는 로고나 단체명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여 광고 효과의 기능도 가능하다.The transparent cylinder 10 may be provided with a battery 70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drum 30. In this transparent cylinder 10, an opaque cover 80 may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battery 70 where the battery 70 is installed. The opaque cover 80 can be applied as a sheet. Therefore, the battery 7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opaque cover 80.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isplay a logo or a corporate name on the surface of the opaque cover 80, and the function of the advertisement effect is also possible.

한편, 투명 원통(10)의 하부에는 이동을 위한 바퀴부재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조명 온오프 스위치(91) 및 배터리 충전 단자(93)는 투명 원통(10)으로부터 이격된 외부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wheel member for moving can be provided below the transparent cylinder 10. In addition, the illumination on-off switch 91 and the battery charging terminal 93 may be separately provided outside the transparent cylinder 10.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을 이용한 난타용 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조명을 이용한 난타용 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의 조명을 이용한 난타용 북의 내부를 보여지도록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nare drum using illumina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nare drum using the illumination of FIG. 6,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ior of the snare drum using the illumination of Fig. 6. 1 to 5 denote the same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을 이용한 난타용 북(200)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양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투명 원통(110)과, 투명 원통(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타격 대상이 되는 상부 북피(120)와, 상부 북피(120)의 하부에서 투명 원통(110)에 설치되는 하부 북피(130)와, 하부 북피(130)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센서(150)와, 진동 센서(150)의 센싱 신호를 전달받아 색상 표시 신호를 송신하는 컨트롤러(160)와, 투명 원통(110)에 설치되며 컨트롤러(160)의 제어 신호를 전송받아 하부 북피(130)의 진동에 따라 발광하는 조명부(170)를 포함한다. 6 to 8, the lighting device 200 using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parent cylinder 110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and an opening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 lower bulb 130 disposed on the transparent cylinder 110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bulb 120 and a lower bulb 130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bulb 130. [ A controller 160 which receives a sensing signal of the vibration sensor 150 and transmits a color display signal and a controller 160 which is installed in the transparent cylinder 110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60 And an illumination unit 170 that emits light in response to the vibration of the lower north skin 130 when it is received.

도 9는 도 6의 투명 원통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보강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투명 원통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einforcing frame provided at an opening portion of the transparent cylinder of FIG. 6,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ower fram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ransparent cylinder.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원통(110)의 상부에는 보강 프레임(113)이 설치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원통(110)의 하부에는 바퀴와 끈을 연결하기 위한 하부 프레임(115)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9, a reinforcing frame 113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transparent cylinder 110. In the lower part of the transparent cylinder 110, as shown in FIG. 10, (115) may be provided.

한편, 상부 북피(120)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투명 원통(110)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The upper bulb 12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parent cylinder 110.

하부 북피(130)는 상부 북피(120)의 하부에서 투명 원통(1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상부 북피(120)로부터 10cm 이격된 하부에서 투명 원통(1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부 북피(120)와 하부 북피(130)의 사이에는 진동 센서(150)가 설치될 수 있다.The lower nacelle 130 is installed in the transparent cylinder 110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nacre 120 and may be installed in the transparent cylinder 110 at a lower portion spaced by 10 cm from the upper nacre 120 in the present embodiment. A vibration sensor 15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nappies 120 and 130.

한편, 상부 북피(120)와 하부 북피(130)의 사이에는 물(111)이 공급되어 충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북피(120)와 하부 북피(130)의 사이에 물(111)이 충진되는 것은, 상부 북피(120)의 타격에 따라 하부 북피(130)가 진동되는 과정에서 물(111)이 튀어 오르도록 하여 분수 효과가 발생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water 111 may be supplied and fil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nappies 120 and 130. The reason why the water 111 is fil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nappies 120 and 130 as described above is that when the lower nappy 130 vibrates according to the impact of the upper nappy 120, So that a fractional effect is generated.

하부 북피(130)의 하부에서 투명 원통(110)의 내부에는 물(111)의 공급을 위해 물탱크(14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물탱크(140)는 상부 북피(20)와 하부 북피(30)의 사이에 물이 이동되는 공급관(141)으로 연결되어 물(111)을 공급할 수 있다. 공급관(141)에는 물(111)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조절 밸브(142)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참조 번호 152는 워터 펌프이고, 151은 워터 펌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말한다. A water tank 140 may be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drum 130 to supply water 111 to the inside of the transparent cylinder 110. The water tank 140 is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141 through which the water is mov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uckets 20 and 30 to supply the water 111. The supply pipe 141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valve 142 for controlling the supply amount of the water 111. Reference numeral 152 denotes a water pump, and 151 denotes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water pump.

투명 원통(110)의 외부에는 물탱크(140)와 워터 펌프(150) 및 배터리(151)가 설치된 위치에 불투명 커버(190)가 부착될 수 있다. 불투명 커버(190)는 시트지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투명 원통(110)의 외부로 물탱크(140)와 워터 펌프(150) 및 배터리(151)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보다 미려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The opaque cover 190 may be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transparent cylinder 110 at a position where the water tank 140, the water pump 150, and the battery 151 are installed. The opaque cover 190 may be applied as a sheet. Therefore, the water tank 140, the water pump 150, and the battery 151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ransparent cylinder 110, so that a more beautiful appearance can be realized.

한편, 진동 센서(150)는 상부 북피(120)의 타격에 따라 하부 북피(130)로 전달되는 진동의 크기를 센싱하는 것으로서, 하부 북피(13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센서(150)는 진동 신호를 컨트롤러(160)로 전송한다.The vibration sensor 150 senses the magnitude of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lower north pipe 130 according to the impact of the upper north pipe 120 and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north pipe 130. The vibration sensor 150 transmits a vibra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160.

컨트롤러(160)는 진동 센서(150)에서 센싱된 신호를 수신하여, 조명부(170)가 적어도 2개 이상의 색상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60)와 진동 센서(150)는 하부 북피(130)의 하부에서 일체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하부 북피(130)의 하부에 별도의 유닛으로 구성되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controller 160 receives the signal sensed by the vibration sensor 150 and controls the illumination unit 170 to emit light in at least two colors. The controller 160 and the vibration sensor 150 may be integrally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drum 130 or may b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drum 130 as separate units.

조명부(170)는 상부 북피(120)와 하부 북피(13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컨트롤러(160)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발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서 조명부(170)는 복수개의 엘이디 조명으로 설치될 수 있다. The illumination unit 170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nappies 120 and 130 and may be installed to selectively emit ligh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60. The illumination unit 17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nstalled with a plurality of LED lights.

따라서, 물(111)은 상부 북피(120)의 타격에 의해 상부 북피(120)와 하부 북피(130)의 사이에서 조명부(170)의 조명에 의해 여러 가지의 색상으로 표현되면서 분수 효과를 내면서 튀어오르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난타용 북의 연주 과정에서 시각적으로 화려한 연주가 가능하여 연주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The water 111 is expressed in various colors by the illumination of the illumination unit 170 between the upper and lower nappies 120 and 130 by the impact of the upper napkin 120, It is possible to climb.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erform visually brilliant performances in the process of playing the book for Nanta, thereby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the performance.

한편, 조명부(170)의 상부 북피(120)와 하부 북피(130)의 사이에서 투명 원통(10)의 내벽면에 서브 조명부(180)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hat the sub illumination unit 180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ransparent cylinder 10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ulbs 120 and 130 of the illumination unit 170.

서브 조명부(180)는 투명 원통(110)의 내벽면에 수직되게 일렬로 설치되는 것으로, 조명부(170)의 조명 보다 약한 조도로 발광될 수 있다. 물론, 서브 조명부(180)는 투명 원통(110)의 내벽면에 복수개의 위치에서 수직된 일렬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서브 조명부(180)의 외부의 투명 원통(10)에는 한지 등의 반투명 재질의 시트지(192)가 부착될 수 있다. The sub illumination unit 180 is arranged in a line perpendicular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ransparent cylinder 110 and can emit light with a lower illuminance than the illumination of the illumination unit 170. [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sub illuminating unit 180 is arranged in a vertical line in a plurality of positions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ransparent cylinder 110. The transparent cylinder 10 on the outside of the sub illuminating unit 180 may be provided with a sheet paper 192 of translucent material such as Korean paper.

따라서, 난타용 북의 연주 과정에서 보다 화려한 조명의 연출이 가능하고, 조명부(170)의 조명 보다 낮은 조도로 발광되어 하부 북피(30)의 상부에서 연출되는 분수 효과에 시선이 집중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duce more colorful illumination during the playing process of the snare drum, and to focus attention on the fountain effect that is emitted at a lower illuminance than the illumination of the illumination unit 170 and direct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drum 30 Do.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의 조명을 이용한 난타용 북은, 연주 과정에서 타격 강도에 대응하여 조명이 적용된 분수 효과가 발생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조명을 이용한 난타용 북의 연주 과정에서 시각적으로 화려한 연출이 가능하여 연주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fountain effect to which illumination is appli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triking intensity in the performance process in the snare drum using the illumin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visually produce a brilliant performance in the course of playing the book for the use of the lighting, thereby improving the performance satisfaction.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Of course.

10, 110...투명 원통 11...볼
12...개구부 20, 120...상부 북피
30, 130...하부 북피 40, 150...진동 센서
50, 160...컨트롤러 60, 170...조명부
70...배터리 80...불투명 커버
91...조명 온오프 스위치 93...배터리 충전 단자
111..물 140..물탱크
151..워터 펌프 152..배터리
180..서브 조명부
10, 110 ... transparent cylinder 11 ... ball
12 ... opening 20, 120 ... upper noppe
30, 130 ... lower bucky 40, 150 ... vibration sensor
50, 160 ... controller 60, 170 ... illumination unit
70 ... Battery 80 ... Opaque cover
91 ... Lighting On / Off switch 93 ... Battery charging terminal
111 .. water 140 .. water tank
151 .. Water Pump 152 .. Battery
180. Sub-

Claims (4)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양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투명 원통;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명 원통의 상부에 배치되어 타격 대상이 되는 상부 북피;
상기 투명 원통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상부 북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상부 북피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 북피;
상기 하부 북피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센서;
상기 진동 센서의 센싱 신호를 전달받아 색상 표시 신호를 송신하는 컨트롤러;
상기 상부 북피와 상기 하부 북피의 사이의 상기 투명 원통에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하부 북피의 진동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발광하는 조명부;
상기 상부 북피와 상기 하부 북피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투명 원통의 내벽면에 수직되게 일렬로 설치되어 상기 조명부의 조명보다 약한 조도로 발광하는 서브 조명부;
상기 서브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를 덮도록 상기 투명 원통의 외부에 부착된 불투명 커버;
상기 투명 원통의 상부에 설치된 보강 프레임;
상기 투명 원통의 하부에 설치되어 바퀴와 끈이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북피의 하부에서 상기 투명 원통의 내부에 설치된 물탱크;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상기 상부 북피와 상기 하부 북피 사이로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북피와 상기 하부 북피 사이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 밸브; 및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상기 공급관으로 공급하는 워터펌프; 를 포함하되,
상기 물탱크로부터 상기 공급관을 통해 상기 상부 북피와 상기 하부 북피의 사이로 공급된 물은 상기 상부 북피의 타격에 따라 상기 하부 북피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튀어올라 분수 효과를 연출하는 동시에 상기 조명부와 상기 서브 조명부에서 발광된 다양한 색상이 튀어오르는 물에 비추어 시각적으로 화려한 연출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을 이용한 난타용 북.
A transparent cylinder in which a housing space is formed and openings are formed on both sides;
An upper bucket which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is arranged on the transparent cylinder to be hit;
A lower bucket arranged inside the transparent cylinder an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bucket;
A vibration sensor for sensing the vibration of the lower bookpiece;
A controller for receiving the sensing signal of the vibration sensor and transmitting a color display signal;
A lighting unit installed in the transparent cylinder between the upper and lower north bins to emit light in various colors according to the vibration of the lower bove by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A sub illumination unit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north and lower north bays and is arranged in a line perpendicular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ransparent cylinder and emits light with a lower illuminance than the illumination of the illumination unit;
An opaque cover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transparent cylinder to cover the sub illumination part and the illumination part;
A reinforcing frame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transparent cylinder;
A lower fram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ransparent cylinder and connected to a wheel and a string;
A water tank installed in the transparent cylinder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book;
A supply pipe for supply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to the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uckets;
A regulating valve installed in the supply pipe to regulate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ucks; And
A water pump for supply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to the supply pipe; , ≪ / RTI &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through the supply pipe to the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north bubbles bounces up due to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lower north breeze according to the blow of the upper north breeze, Providing a visually gorgeous production in the light of the splashing water of various colors emitted from the lighting part,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illumin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50003072U 2015-05-13 2015-05-13 Nanta drum using lighting Active KR20047897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072U KR200478975Y1 (en) 2015-05-13 2015-05-13 Nanta drum using ligh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072U KR200478975Y1 (en) 2015-05-13 2015-05-13 Nanta drum using ligh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975Y1 true KR200478975Y1 (en) 2015-12-04

Family

ID=55028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072U Active KR200478975Y1 (en) 2015-05-13 2015-05-13 Nanta drum using ligh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975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964A (en) 2017-02-22 2018-08-30 김환기 Percussion Instrument For Nnata Educational Instruments
KR20180096965A (en) 2017-02-22 2018-08-30 김환기 Percussion Instrument For Nnata Educational Instruments
KR20200043210A (en) * 2018-10-17 2020-04-27 이성춘 Sound-reactive Dancing Janggu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2459A (en) * 1999-11-15 2001-05-25 Yamaha Corp Drum, sound reducing device and head for electronic percussion instrument
KR200474877Y1 (en) * 2013-11-11 2014-10-23 최영아 Nanta drum using transparent cylinder container
KR200474878Y1 (en) * 2013-11-11 2014-10-23 최영아 Nanta drum using transparent cylinder contai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2459A (en) * 1999-11-15 2001-05-25 Yamaha Corp Drum, sound reducing device and head for electronic percussion instrument
KR200474877Y1 (en) * 2013-11-11 2014-10-23 최영아 Nanta drum using transparent cylinder container
KR200474878Y1 (en) * 2013-11-11 2014-10-23 최영아 Nanta drum using transparent cylinder contain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964A (en) 2017-02-22 2018-08-30 김환기 Percussion Instrument For Nnata Educational Instruments
KR20180096965A (en) 2017-02-22 2018-08-30 김환기 Percussion Instrument For Nnata Educational Instruments
KR20200043210A (en) * 2018-10-17 2020-04-27 이성춘 Sound-reactive Dancing Janggu
KR102136702B1 (en) * 2018-10-17 2020-07-22 이성춘 Sound-reactive Dancing Janggu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2362B1 (en) Lighted whistle
US6482071B1 (en) Lighted coil spring amusement device
KR200478975Y1 (en) Nanta drum using lighting
WO2008045569A3 (en) Color-changing light devices with active ingredient and sound emission for mood enhancement
US9669323B2 (en) Children's toy
US20200058275A1 (en) Drumstick
US20100177516A1 (en) Illuminated Cymbal
US5547190A (en) Lighted nunchakus
US20090014960A1 (en) Lighted roping dummy
JPH0639096U (en) Combination toys
US6924424B2 (en) Illuminated musical instrument
KR200474877Y1 (en) Nanta drum using transparent cylinder container
JP3121098U (en) Accessories toy
KR20090007775U (en) Stage lighting device
US7896515B2 (en) Decorative object connectable to a connected object
CN205038954U (en) Electronic Luminous Drum
KR20130007301U (en) Light Emitting Tambourine
JP3123274U (en) Rhythm toys
JP3177948U (en) Lighting device
CN209118751U (en) A kind of steel tongue drum with automatic Playing function
KR20180096965A (en) Percussion Instrument For Nnata Educational Instruments
KR102136702B1 (en) Sound-reactive Dancing Janggu
KR101120518B1 (en) Badminton racket
CN110960869A (en) Toy sword
TWI228430B (en) Illuminated marac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5051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19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13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50622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1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5120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U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1080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