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78859Y1 - wet type dust cleanner - Google Patents

wet type dust clean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859Y1
KR200478859Y1 KR2020110001580U KR20110001580U KR200478859Y1 KR 200478859 Y1 KR200478859 Y1 KR 200478859Y1 KR 2020110001580 U KR2020110001580 U KR 2020110001580U KR 20110001580 U KR20110001580 U KR 20110001580U KR 200478859 Y1 KR200478859 Y1 KR 2004788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t
head
cloth
bag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580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06164U (en
Inventor
신미숙
Original Assignee
신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미숙 filed Critical 신미숙
Priority to KR20201100015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859Y1/en
Publication of KR201200061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164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8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859Y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8Plate frames of adjustable or fold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6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cloth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입식으로 청소를 할 수 있도록 손잡이를 이루는 자루부분, 자루부분의 하부에 결합되며 조작손잡이 조작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접히도록 이루어지는 헤드를 가지는 물걸레 장착부, 헤드를 수용하도록 봉지 형태로 이루어지며 입구부는 헤드가 수용되는 부분의 폭보다 폭이 좁아져 상기 헤드가 펼쳐진 상태에서의 길이보다 좁게 이루어지는 물걸레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물걸레 청소기 및 그에 적합한 물걸레가 개시된다.
본원 고안에 따르면 자루를 이용하여 편하게 물걸레 청소를 하면서도 물걸레 청소를 깨끗하게 하도록 자루와 쉽게 분리가능한 구성을 가지고, 아울러, 물걸레에서 쉽게 물이 마르지 않고, 물걸레 부분의 내외면을 고루 이용하여 바닥청소를 함으로써 자주 걸레를 세척할 필요가 없으므로 청소가 용이하고 세척에 사용되는 물의 양도 줄일 수 있다.
A wet-laid mounting part having a bag part forming a handle so as to be cleaned by standing-up, a head part connected to a lower part of the bag part and at least partially fol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n operation knob operation, A wet-cloth cleaner comprising a wet-cloth portion having a width narrower than a width of a portion where the head is accommodated and narrower than a length of the head when the head is unfolded, and a wet cloth suitable for the wet-cloth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lean the wet-cloth while cleaning the wet-cloth by using the bag. In addition, the water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bag, and the water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wet-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frequently clean the mop, cleaning is easy and the amount of water used for washing can be reduced.

Description

물걸레 청소기{wet type dust cleanner}Wet type dust cleaner}

본 고안은 물걸레 청소기 및 그에 적합한 물걸레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 파이프와 같이 용이하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펄프 물걸레 청소기와 같이 헤드폭을 조절하여 봉지 모양의 물걸레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물걸레 청소기와 그에 적합한 물걸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purifier cleaner and a wet-cloth suitable for the water-purifier cleane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purifier cleaner and a we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t cloth cleaner and a wet cloth suitable for the wet cloth cleaner.

일반 가정의 거실이나 사무실 등의 바닥면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청소되고 있다. 일반 가정에서는 천으로 이루어진 물걸레를 이용하여 엎드려서 청소를 하고 있고, 사무실에서는 천이나 끈뭉치로 된 물걸레가 자루에 결합된 자루걸레를 이용하여 청소를 하고 있다.The floor of living room or office of general household is cleaned by various methods. In ordinary households, the cloth is cleaned using a wet cloth, and in the office, a wet cloth made of cloth or a bundle of laces is cleaned using a bag mop coupled to the bag.

일반 가정에서 물걸레를 이용하여 엎드려서 청소를 하다 보면 무릎과 허리에 무리가 와서 장시간 청소를 할 수 없고, 건강에 무리가 올 수 있고, 사무실에서 청소하는 자루걸레는 천으로 이루어진 물걸레 부분이 자루에 붙어 있어서 걸레가 깨끗하게 세척되지 않고 따라서 깨끗하게 청소를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In general households, if you use a wet cloth to lean and clean, you can not clean your knees and waist for a long time, you can get rid of your health, and a mop that is cleaned in the office is a piece of cloth, So that the mop can not be cleanly cleaned and thus can not be cleaned properly.

이런 형태의 물걸레 청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루걸레와 같이 막대를 붙여서 청소가 가능하면서 한편으로 천으로 된 걸레 부분만을 막대에서 따로 떼어 세척할 수 있도록 걸레의 일면과 막대에 연결된 연결부에 벨크로(찍찍이) 결합을 하도록 한 분리형 자루걸레도 사용된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cleaning this type of wet-cloth, it can be cleaned by attaching a stick like a mop, while on the other hand, a connecting par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op and the rod, Lt; RTI ID = 0.0 > masonry < / RTI >

그러나, 이런 분리형 자루걸레도 결합을 위해 걸레 한쪽면을 벨크로로 형성하면서 한쪽 면만을 청소에 사용하게 되어 조금 사용하고 나면 더러워져 다시 걸레를 세척하여 사용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such a detachable sack mop also has a disadvantage that one side of the mop is used for cleaning, while one side of the mop is formed of velcro, and it is soiled that it is used after cleaning a little.

한편, 펄프 물걸레 청소기도 물걸레 청소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런 펄프 물걸레 청소기에서는 펄프 부분을 세척하기 용이하도록 펄프 물걸레에 압력을 가하거나 표면을 쓸어내는 기계적 구성을 함께 설치한다. 따라서, 천으로 만들어진 물걸레에 비해 펄프 물걸레 청소기는 세척하기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On the other hand, pulp wet-cloth cleaner is also used for cleaning wet-cloth. In such a pulp wiping cleaner, a mechanical structure is installed which pressurizes the pulp wet-cloth or sweeps the surface to make it easier to clean the pulp portion. Therefore, the pulp wet-cloth cleaner has an advantage that it is easier to clean than a wet-cloth made of cloth.

그러나 펄프 물걸레 청소기도 펄프의 제한된 부분으로만 바닥을 닦아 펄프 물걸레가 금방 더러워지고, 따라서, 자주 펄프 물걸레 부분을 세척해야 하므로 번거로운 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pulp wet-cloth cleaner is only a limited part of the pulp, the pulp wet-cloth is quickly dirty, and therefore, it is often troublesome to clean the pulp wet-cloth area.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물걸레 청소 형태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루를 이용하여 편하게 물걸레 청소를 할 수 있으면서도 물걸레 청소를 깨끗하게 하도록 자루와 쉽게 분리가능한 구성을 가지는 물걸레 청소기 및 물걸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conventional cleaning method of the wet-cloth, such as the above, and provides a wet-cloth cleaner and a wet-cloth which have a configuration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bag so as to clean the wet- .

아울러, 본 고안은 물걸레에서 쉽게 물이 마르지 않고, 넓은 면을 고루 이용하여 바닥청소를 함으로써 자주 걸레를 세척할 필요가 없는 물걸레 청소기 및 그에 적합한 물걸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t-cloth cleaner and a wet cloth suitable for the wet-cloth cleaner which do not need to be cleaned frequently by cleaning the floor using a wide surface without water being easily dried.

또한, 본 고안은, 전기 에너지 소모가 없이 깨끗한 청소를 할 수 있는 물걸레 청소기 및 그에 적합한 물걸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providing a wet-cloth cleaner capable of performing clean cleaning without consuming electric energy and a wet cloth suitable for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물걸레 청소기는 입식으로 청소를 할 수 있도록 손잡이를 이루는 자루부분, 자루부분의 하부에 결합되며 조작손잡이 조작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접히도록 이루어지는 헤드를 가지는 물걸레 장착부, 헤드를 수용하도록 봉지 형태로 이루어지며 입구부는 헤드가 수용되는 부분의 폭보다 폭이 좁아져 상기 헤드가 펼쳐진 상태에서의 길이보다 좁게 이루어지는 물걸레 부분으로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wet-cloth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g portion forming a handle so as to be able to be cleaned in a standing manner, a wet-laid filter having a head which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ag portion,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head, and the inlet portion is formed of a wet-cloth portion having a width narrower than a width of the portion where the head is received and narrower than a length of the head in the unfolded state.

본 고안에서 자루부분은 단순히 하나의 막대로 이루어질 수 있고, 자루를 이루도록 커넥터로 연결된 두 부분의 파이프에서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커넥터가 두 파이프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길이를 조절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g portion can be made of a single rod, and one of the two portions of the pipe connected to the connector to form a bag is inserted into the other, so that the connector can adjust and fix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two pipes It may be in the form of adjusting the length.

본 고안에서 물걸레 부분은 두 겹의 천의 주변부를 재봉 등의 방법으로 폐쇄하되 한쪽의 일부는 열린 상태로 두어 입구를 형성한 봉지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봉지 형태는 외면이 각각 바닥쪽과 위쪽을 바라보는 상면과 하면으로 나뉘어질 수 있고, 입구를 통하여 내면을 밖으로 내어 뒤집으면 내면이 바로 외면이 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모두 4개의 면을 청소에 사용할 수 있다. 막대 형태로 한 쪽으로 길게 형성된 헤드는 일부 접혀진 상태에서는 물걸레 부분의 입구를 쉽게 통과할 수 있지만 헤드가 길이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에서는 입구를 그대로 통과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일단 물걸레 부분이 헤드를 수용한 상태에서는 헤드는 길이 방향으로 펼쳐져 물걸레 부분이 쉽게 헤드 부분과 분리되지 않게 되므로 청소기 사용중에 물걸레 부분과 물걸레 장착부가 쉽게 분리되는 불편함은 없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art of the wet-cloth is closed by sewing or the like around the periphery of a double-ply cloth, and a part of one side is opened to form an opening formed by the opening. This type of bag can be divided into top and bottom surfaces facing the bottom and top, respectively, and if the inner surface is flipped out through the inlet, the inner surface can be the outer surface so that all four sides can be used for cleaning have. The head, which is long in one bar shape, can easily pass through the inlet of the wet-cloth part in the partially folded state, but it is difficult to pass through the entrance in the state where the head is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tate where the wet-cloth part is accommodated in the head, the head is unfol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wet-cloth part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head part, so that there is no inconvenience that the wet-cloth part and the wet-

본 고안의 헤드는 가장 간단하게 구성할 때에는 자루와 연결된 길이 방향 중간 지점에서 분리되어 둘로 나뉘어지고, 나뉘어진 두 부분은 이 분리된 중간 지점에서 자루와 회동가능한 힌지 수단 혹은 회전축에 의해 자루에 직접 혹은 자루에 연결된 지지대에 고정될 수 있다. 둘로 나누어진 헤드 부분 각각은 물걸레 부분의 입구를 통해 내부로 들어가 봉지형 물걸레 부분을 지지, 고정할 수 있다. 헤드에는 기존에 '펄프 청소기'의 펄프로 알려진 형태의 물걸레가 결합될 수 있다.The 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nstructed in its simplest form, is separated from the longitudinal midway point connected to the bag by two, and the two divided portions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bag by a hinged means or pivotable shaft And can be fixed to a support connected to the bag. Each of the two divided head portions can go inside through the inlet of the wet-cloth portion and support and seal the bag-shaped wet-cloth portion. The head can be combined with a conventional wet-cloth, known as pulp pulp.

물걸레 부분과 헤드를 보다 쉽게 결합시키기 위해 헤드에는 간편하게 접거나 펼치기 위한 접이 구조가 이용될 수도 있다.A folding structure for easily folding or unfolding the head may be used to more easily couple the wetbelt portion and the hea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물걸레 청소기의 물걸레는, 직사각형 천이 겹쳐진 상태로 직사각형의 주변부를 이루는 3 변에서 서로 결착되고, 이들 3변을 제외한 한 변의 일부는 겹쳐진 천이 서로 결착되지 않도록 개방되어 입구를 형성하여, 봉지 형태로 이루어진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wet-cloth of a wet-cloth cleaner is bound to each other at three sides constituting a peripheral portion of a rectangular shape in a state where rectangular cloths are overlapped and a part of one side except for these three sides is opened so that overlapping cloths do not bind together to form an inlet , And an encapsulated form.

본원 고안에 따르면 자루를 이용하여 편하게 물걸레 청소를 하면서도 물걸레 청소를 깨끗하게 하도록 자루와 쉽게 분리가능한 구성을 가지고, 아울러, 물걸레에서 쉽게 물이 마르지 않고, 물걸레 부분의 내외면을 고루 이용하여 바닥청소를 함으로써 자주 걸레를 세척할 필요가 없으므로 청소가 용이하고 편리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lean the wet-cloth while cleaning the wet-cloth by using the bag. In addition, the water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bag, and the water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wet-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clean the mop frequently, cleaning becomes easy and convenient.

또한, 본원 고안에 의하면 전기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세척 빈도가 줄어들어 세척에 사용되는 물의 양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to use electricity, and the frequency of washing is reduced, so that the amount of water used for washing can be reduced.

도1은 본 고안 물걸레 청소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이루는 자루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이루는 물걸레 장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이루는 물걸레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이루는 물걸레 장착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inventive wet-cloth cleaner.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g portion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t-cloth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t-cloth part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 wet cloth mounting part constitu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1은 본 고안 물걸레 청소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inventive wet-cloth cleaner.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물걸레 청소기는 자루부분(10), 물걸레 장착부(20), 물걸레 부분(3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figure, in this embodiment, the wet-cloth cleaner includes a bag portion 10, a wet-cloth mounting portion 20, and a wet-cloth portion 30.

자루부분(10)은 사용자가 청소기를 선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막대 부분이며, 바닥을 직접 닦는 물걸레에 힘을 주고, 물걸레를 움직일 수 있는 손잡이의 역할을 한다. 자루부분(10)은 단순한 대걸레와 같은 막대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사용자의 용도와 신장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The bag portion (10) is a rod portion that allows the user to use the cleaner as a lid, and acts as a handle to move the wet cloth, giving power to the wet cloth to directly wipe the floor. Although the bag portion 10 can be made of a rod like a simple mop,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 bag portion 10 has a configuration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according to the use and the length of the user.

물걸레 장착부(20)는 커넥터를 통해 자루부분의 하부에 결합되며 직접 물걸레 부분과 결합되는 헤드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부분이다. 물걸레 부분(30)은 두 겹의 천의 주변부를 재봉 등의 방법으로 폐쇄하되 한쪽의 일부는 열린 상태로 두어 이 열린 부분이 입구가 되는 봉지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봉지 형태는 두 천 사이의 내부가 비어있기 때문에 입구를 벌리고 물걸레 장착부(20)의 헤드가 이 내부로 들어가 물걸레 장착부(20)와 물걸레 부분(30)이 결합하게 된다.The wet-cloth mounting portion 20 is a portion which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g portion through the connector and has a head directly coupled with the wet-cloth portion. The waterblanket portion 30 is formed by closing the periphery of the two-ply cloth by sewing or the like, while leaving a part of the waterblock portion open so that the open portion becomes the entrance. Since the inside of the bag is hollow, the head of the wet-cloth mounting portion 20 is opened to open the mouth, and the wet-cloth mounting portion 20 and the wet-cloth portion 3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이들이 결합된 상태로 청소를 할 때 물걸레 부분(30)이 물걸레 장착부(20)에서 용이하게 이탈하면 청소가 어렵게 되므로 이런 물리적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물걸레 입구의 폭이 헤드의 길이보다 작도록 하되, 이런 경우, 역으로 입구를 통해 물걸레 부분에 헤드를 넣어 결합시킬 때 넣는 조작이 어렵지 않도록 헤드가 접혀 전체 길이가 입구의 폭보다 줄어들도록 하였다.When the wet-cloth portion 30 is easily detached from the wet-cloth mounting portion 20 when the wet-cloth portion 30 is cleaned while being coupled, it is difficult to clean the wet-cloth portion 30. In order to prevent such a physical disconnection, The head is folded so that the total length is reduced to less than the width of the inlet so that it is not difficult to insert the head into the wet-cloth portion through the inlet.

도2는 자루부분(1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g portion 10; Fig.

자루부분(10)은 사용자가 사용시에 잡게 되는 상부의 손잡이(11), 이 손잡이(11)와 연결되는 상부 파이프(12), 하부 파이프(13), 상부 파이프(12)와 하부 파이프(13)를 연결하는 연결부(1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The bag portion 10 includes an upper handle 11 to be held by the user in use, an upper pipe 12 connected to the handle 11, a lower pipe 13, an upper pipe 12 and a lower pipe 13, And a connecting portion 14 for connecting the connecting portions.

상부 파이프(12)의 내경이 하부 파이프(13)의 외경에 비해 크게 이루어져 하부 파이프(13)는 상부 파이프(12) 내로 삽입되어 일부 구간 중첩될 수 있다. 단, 하부 파이프(13)의 외부 표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홈(133)이 여러개 형성되어 있고, 상부 파이프(12) 입구에는 일단이 걸림턱을 형성하는 레버(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어서 레버에서 걸림턱이 형성된 일단의 반대편 단부를 누르지 않는 한 걸림턱이 홈에(133) 걸려 하부 파이프(13)가 상부 파이프(12) 내로 삽입될 수 없다. The inner diameter of the upper pipe 12 is mad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pipe 13 so that the lower pipe 13 can be inserted into the upper pipe 12 to b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 plurality of grooves 133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ipe 13 and a lever (not shown) is provided at the inlet of the upper pipe 12 to form a hook, The lower pipe 13 can not be inserted into the upper pipe 12 because the latching jaw is caught in the groove 133 unless the opposite end of the one end formed with the jaw is pressed.

상부 파이프(12)와 하부 파이프(13)를 연결하는 연결부(14)는 상부 파이프(12) 하단과 하부 파이프(13) 상단을 지지하는 한편, 버튼(141)이 형성되어 이 버튼(141)을 누르면 레버의 반대편 단부를 누르게 된다. 버튼(141)에 힘을 주지 않으면 레버는 탄성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면서 홈(133)에 걸리게 되어 하부 파이프(13)가 상부로 삽입되거나, 반대로 인출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The connecting portion 14 connecting the upper pipe 12 and the lower pipe 13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upper pipe 12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pipe 13 while a button 141 is formed, Press the opposite end of the lever. If the button 141 is not given a force, the lever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due to elasticity, and is caught by the groove 133, thereby limiting the lower pipe 13 from being inserted upwardly or vice versa.

하부 파이프(13)의 하단에는 또 다른 걸림턱 역할을 하는 돌기(131)가 형성되어 도3과 같은 물걸레 장착부(20)의 커넥터(21) 내부의 대응 걸림턱(미도시)과 맞물려 고정된다. 이 걸림턱과 돌기(131) 사이의 체결을 해제하여 하부 파이프(13)와 커넥터(21)를 분리시킬 때에는 커넥터 표면에 형성된 커넥터 버튼(211)을 눌러 커넥터(21) 내부의 상대편 걸림턱이 하부 파이프(13) 하단의 돌기(131)와 이격되도록 한다.A lower end of the lower pipe 13 is formed with a projection 131 serving as another latching jaw and is fixedly engaged with a corresponding latching jaw (not shown) inside the connector 21 of the wet cloth mounting portion 20 as shown in Fig. When the lower pipe 13 and the connector 21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releasing the fastening between the latching jaw and the protrusion 131, the connector button 211 formed on the connector surface is press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rojection 131 at the lower end of the pipe 13.

이러한 자루부분(10)의 구성은 기존에 생산되고 판매되는 가정용 진공청소기의 자루부분과 실질적 구성이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런 경우, 가정용 진공 청소기의 자루부분을 진공 청소기에서 따로 분리하여 본 고안의 물걸레 장착부(20)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는 자루부분(10)의 크기, 규격을 진공 청소기 규격에 맞추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The structure of the bag portion 10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bag portion of a household vacuum cleaner manufactured and sold in the past. In such a case, the bag portion of the household vacuum cleaner may be separated from the vacuum cleaner, It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wet cloth mounting portion 20.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size and size of the bag portion 10 to the vacuum cleaner standard.

도3은 물걸레 장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t-cloth mounting portion.

이러한 물걸레 장착부(20)는 상부에는 자루부분(10) 하부에 결합되는 커넥터(21)를 가지고 하부에는 두 갈래로 분기된 가지부(23)를 가지는 지지대(22), 지지대(22)에 그 상단부가 축(245)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손잡이(24), 조절손잡이(24)에 상단부가 결합되는 인계선(25), 인계선(25)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헤드부 절곡축(271), 분기된 각 가지부의 하단에 상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보조대(261), 보조대(261)의 하단에 헤드축(265)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헤드부 절곡축(271)에도 회동축(273)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2개의 부분을 가지는 헤드(26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The wet blanket mounting portion 20 has a support portion 22 having a branch 21 at its lower portion and a branch portion 23 branch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control knob 24 which is rotatably coupled by a shaft 245, a loop line 25 to which an upper end is coupled to the adjustment knob 24, a head bending axis 271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turn line 25, An auxiliary shaft 261 rotatably fixed to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branching branches and a head shaft 265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shaft 261 in such a manner as to be rotatable by the head shaft 265, And a head 263 having two parts that are rotatably fixed by a spring 273.

여기서, 가지부(23)는 지지대(22) 하부에서 서로 갈라진 2개가 존재하며, 각각의 가지부에는 보조대(261)가 하나씩 결합되므로 보조대도 2개가 되고, 또한, 각각의 보조대(261)에도 헤드(263)의 두 개의 부분중 하나가 결합된다.Here, the branch portions 23 are divided into two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22, and two auxiliary frames are provided to each of the branch portions because the support frames 261 are coupled to each branch portion. And one of the two parts of the first electrode 263 is coupled.

인계선(25)은 그 상단이 조절손잡이(24)에 축(243)에 의해 고정되고, 그 하단은 헤드부 절곡축(271)에 고정되는 데, 인계선(25)은 강한 인장력에 견딜 수 있는 금속 막대나 철사 혹은 끈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인계선(25)이 강체인 경우 상단은 조절손잡이(24)에 하단은 헤드부 절곡축(27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part of the take-over line 25 is fixed to the adjusting knob 24 by the shaft 243 and the lower end thereof is fixed to the head part bending shaft 271. The take- The upper end may be rotatably fixed to the adjusting knob 24 and the lower end of the knob 25 may be rotatably attached to the head bending shaft 271. In this case,

인계선(25) 상단이 조절손잡이(24)에 고정될 때 조절손잡이(24)에서 손의 힘이 작용하는 부분이 하단이고, 인계선(25)이 조절손잡이(24)의 상하방향 길이의 중간 부분에 결합되면 사용자는 적은 힘만 투입해도 제2형 지레의 작용으로 강한 힘으로 인계선(25)을 잡아당길 수 있고, 인계선(25)은 헤드부 절곡축(271)을 위로 당길 수 있다.When the upper end of the take-over line 25 is fixed to the adjustment handle 24, the part where the force of the hand acts on the adjustment handle 24 is the lower end and the take-off line 25 is in the middle of the length of the adjustment handle 24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user can pull the pull line 25 with a strong force due to the action of the second type lever and the pull line 25 can pull the head portion bending shaft 271 upward.

헤드부 절곡축(271)은 상면에 인계선(25)이 결합되어 있고, 여기서는 좌측단 및 우측단에 각각 두 부분으로 나뉘어진 헤드(263) 가운데 하나씩이 서로 다른 회동축(273)을 이용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지만, 헤드부 절곡축(271)은 하나의 회동축을 가지고 헤드(263)를 이루는 분리된 두 부분 모두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The head bending shaft 271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ending shaft 27. Herein, one of the heads 263 divided into two parts at the left end and the right end is formed by using different pivot shafts 273 The head bending axis 271 may be pivotally coupled to both of the separated two parts forming the head 263 with one pivot axis.

헤드(263)를 이루는 두 부분은 모두 아래면에 펄프형 물걸레와 결합을 위한 벨크로부를 형성할 수 있고, 헤드(263)에는 펄프형 물걸레(28)가 결합될 수 있다. 헤드(263)에 결합되는 펄프형 물걸레(28)는 본 고안에서는 직접 바닥을 닦는 걸레로 사용되지 않고, 헤드(263)와 함께 본 고안의 물걸레 부분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물걸레 부분을 지지하면서 걸레로 닦는 작업에 도움을 준다. 또한, 펄프형 물걸레(28) 부분은 여기에 씌워진 물걸레 부분에서 바닥을 닦을 때 바닥에 묻혀지는 물을 물걸레 부분에 공급하여 보충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The two portions constituting the head 263 may form a velcro portion for coupling with the pulp-type wet-cloth on the lower surface, and the pulp-type wet-cloth 28 may be coupled to the head 263. The pulp-type wet-cloth 28 coupled to the head 263 is not used as a mop for directly wiping the floor in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the pulp-type wet-cloth 28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wet- It helps to wipe with. The portion of the pulp-type wet-cloth 28 may serve to replenish the water-filled portion by supplying water to the wet-cloth portion when the floor is wiped from the wet-cloth portion.

도4를 참조하면, 봉지 형태의 물걸레 부분(30)은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2겹의 천(33, 35)의 주변부가 입구(31)를 제외하고 폐쇄되어 이루어지며, 부드럽고 변형이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입구(31) 부분을 통해 내부가 밖을 향하도록 뒤집어 내부와 외부가 서로 바뀌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4, the seal-type wet-cloth part 30 is formed by closing the periphery of the two-ply cloth 33, 35 made of a rectangular shape except for the inlet 31 and made of a soft and easily deformable material It is possible to turn the inside out through the opening 31 so that the inside and the outside can be exchanged with each other.

외면이 각각 바닥쪽과 위쪽을 바라보는 상면과 하면으로 나뉘어지고, 입구(31)를 통하여 내면을 뒤집어 외면이 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모두 4개의 면을 청소에 사용할 수 있다. 막대 형태로 한 쪽으로 길게 형성된 헤드 부분이 일부 접혀진 상태에서는 입구(31)를 쉽게 통과할 수 있지만 헤드가 길이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에서는 통과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일단 물걸레 부분(30)이 헤드를 수용한 상태에서는 헤드 부분은 펼쳐져 물걸레 부분(30)이 쉽게 헤드와 분리되지 않게 되므로 청소기 사용중에 쉽게 분리되는 불편함은 없게 된다.The outer surface is divided into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facing the bottom and the upper side, respectively, and the inner surface can be turned upside down through the inlet 31 so that all four surfaces can be used for cleaning. In the state in which the head portion formed in one long side in the form of a bar is partially folded, it is easy to pass through the inlet 31, but it is difficult to pass through the head in a state in which the head is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head portion is unfolded and the wet-cloth portion 30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head once the wet-cloth portion 30 has received the head, so that there is no inconvenience that the wet-cloth portion 30 is easily separated during use of the cleaner.

본 고안의 물걸레 부분은 여러 가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순면이나, 타월지에 많이 사용되는 폴레에스텔과 폴리우레탄의 혼합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기타 물에 젖은 상태에서 내구성이 크고 물을 잘 흡수하면서도 잘 탈수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water-wet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and a mixed material of polyesters and polyurethanes, which are widely used for cotton and towel, can be used. Other It can be made of durable material with high wettability and water-absorbing material.

한편,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지지대(22)와 커넥터(21), 가지부(23)가 별도 부분으로 이루어지지만 일체형으로 하나의 부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걸레 장착부와 자루부분도 여기서는 착탈가능하게 형성되지만 단순한 막대형 자루부분의 경우, 물걸레 장착부와 일체로 별도의 커넥터 없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Meanwhi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support base 22, the connector 21, and the branch portions 23 are formed as separate parts, but they can be integrally formed as one component. The wet-cloth mounting portion and the bag portion may be removably formed here, but in the case of a simple bar-shaped bag portion, the wet-cloth attaching portion and the bag por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out a separate connector.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이루는 물걸레 장착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Fig. 5 is a side view showing a wet cloth mounting portion constitu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 실시예에서는 물걸레 장착부가 이전 실시예에 비해 매우 단순하고 간명한 구조로 이루어진다.In this embodiment, the wet-laid mounting unit has a simpler and simpler structure than the previous embodiment.

즉 물걸레 부분에 수용되는 헤드가 길이 방향으로 중간점에서 분리되어 두 부분(1263a, 1263b)으로 이루어지며, 앞선 실시예의 펄프형 물걸레는 설치되지 않는다.That is, the head accommodated in the wet-laid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midpoi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mprises two portions 1263a and 1263b, and the pulp-type wet-cloth of the foregoing embodiment is not provided.

여기서는 헤드부 절곡축(1271)을 당겨주는 인계선, 인계선에 작용을 가하는 손잡이 등의 조절 구성은 존재하지 않지만 헤드의 두 부분(1263a, 1263b)와 헤드부 절곡축(1271)을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회동축(1273a, 1273b)과 이 회동축(1273a, 1273b)을 주위에서 지지하는 헤드부 절곡축(1271)의 슬리브에 각각 돌기와 홈을 적용하여 이들 돌기와 홈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강한 힘을 주지 않으면 회동이 일어나지 않아 헤드부 두 부분(1263a, 1263b)은 서로 각도를 이루는 구부러진 상태로 고정되거나, 180도로 서로 같은 일직선상에 펼쳐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Here, there is no regulation structure such as a pull line for pulling the head part bending axis 1271, a handle for pulling the pull line, and the like, but the two parts 1263a and 1263b of the head and the head part bending axis 1271 can be rotated The protrusions and grooves are applied to the sleeves of the pivot shafts 1273a and 1273b and the sleeves of the head portion bending shafts 1271 that support the pivot shafts 1273a and 1273b around the pivot shafts 1273b and 1273b, The head portions 1263a and 1263b can be fixed in a bent state at an angle to each other or can be fixed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laid flat on one another at 180 degrees.

헤드부 절곡축(1271)은 다시 지지대(122)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지지대(1271)는 그 상단에 커넥터(121)이 형성되어 자루부분(10)과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The head part bending axis 1271 is rotatably fixed to the support 122 again. The support base 1271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ag portion 10 by forming a connector 121 at the upper end thereof.

이런 실시예에서도 사용자는 힘을 주어 헤드의 두 부분(1263a, 1263b)을 회동축(1273a, 1273b) 주위로 회전시켜 두 부분이 이루는 각을 좁히면 헤드 전체의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In this embodiment as well, the user applies a force to rotate the two portions 1263a and 1263b of the head around the rotation shafts 1273a and 1273b to narrow the angle formed by the two portions, thereby reducing the length of the entire head.

길이가 줄어든 상태에서 헤드 전체를 물걸레 부분의 입구를 통해 넣고, 다시 힘을 주어 헤드의 두 부분(1263a, 1263b)을 회동축(1273a, 1273b) 주위로 회전시켜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With the length reduced, the entire head is inserted through the inlet of the wet-cloth part, and the two parts of the head 1263a and 1263b are rotated around the rotating shafts 1273a and 1273b by applying the force again to complete the fully unfolded state.

이런 실시예에서도 물걸레 장착부와 결합된 상태로 외측 상하면을 모두 사용할 수 있고, 물걸레 부분을 물걸레 장착부에서 분리하여 내외부를 뒤바꾸어 다시 결합하면 원래의 내측 상하면도 모두 청소에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별도의 물걸레 부분 세척 없이 내외부 상하의 4면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In this embodiment, bo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can be used while being coupled with the wet-cloth mounting portion. When the wet-cloth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wet-cloth mounting portion and the inner and outer portions are re-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inside and outside can be used without washing.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서 물걸레 부분과 물걸레 장착부의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지는 작용을 살펴본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combining and separating the wet cloth portion and the wet cloth attaching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위에서 볼 때 직사각형을 이루는 물걸레 부분(30)을 준비한다. 물걸레 부분은 직사각형의 천(33, 35)이 두 겹으로 겹쳐진 상태이며, 입구(31)를 벌려 물걸레 장착부의 헤드(263)가 삽입되기 쉽도록 한다.First, a wet cloth part 30 forming a rectangular shape is prepared. The water-wet part is a state in which the rectangular cloths 33 and 35 are overlapped in two layers, and the inlet 31 is opened to make the head 263 of the wet-cloth mounting part easy to insert.

다음으로, 물걸레 장착부(20)의 헤드(263)를 절곡시켜 전체 길이가 줄어들게 한다. 이를 위해 물걸레 장착부(20)의 조절손잡이(24)를 자루부분으로 당긴다. 조절손잡이(24) 부분의 일단(상단)은 물걸레 장착부(20)의 지지대(23)에 회동가능하게 축(245)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사용자가 잡는 조절손잡이의 하단(고리부분:241)이 자루부분(10)을 향해 이동한다. 조절손잡이의 중간 부분에는 다른 축(243)에 의해 인계선(25)의 상단이 고정되어 있다. 이때, 인계선(25)은 인장강도가 우수한 금속 막대, 철사, 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금속 막대와 같은 강체라면 그 상단부가 조절손잡이의 중간 부분에 고정될 때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조절손잡이(24)의 하단이 축(245)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자루부분으로 이동하게 되면 인계선(25)의 상단부도 자루부분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Next, the head 263 of the wet-cloth mounting portion 20 is bent to reduce the overall length. To this end, the adjustment handle 24 of the wet-cloth mounting portion 20 is pulled into the bag portion. One end (upper end) of the adjusting knob 24 is fixed by a shaft 245 so as to be rotatable to the supporting table 23 of the wet-cloth mounting portion 20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adjusting knob : 241) moves toward the bag portion (10). At the middle portion of the adjusting knob, the upper end of the take-over line 25 is fixed by another shaft 243. [ At this time, the take-off line 25 may be made of a metal rod, wire, string or the like having excellent tensile strength, and if it is a rigid body such as a metal rod, its upper end is rotatably fixed when it is fix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adjustment handle. Accordingly, when the lower end of the adjustment knob 24 is rotated around the shaft 245 to move to the bag portion, the upper end of the take-over line 25 also moves toward the bag portion.

인계선(25)은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는 탄성 변형이 용이하면서 길이의 탄성에 의한 변화가 거의 없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인계선(25)의 상단이 조절손잡이(24) 회전에 의해 위로 이동하면 인계선이 전체적으로 위로 이동하게 되며, 인계선의 하단에 연결된 헤드부 절곡축(271)도 위로 당겨진다. The take-off line 25 is made of a material which is easily deformed elastically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rdly changes by the elasticity of the length. Accordingly, when the upper end of the take-over line 25 is moved upward by the rotation of the adjustment knob 24, the take-over line is moved upward as a whole and the head portion bending shaft 271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take-

헤드부 절곡축(271)은 회동축(273)을 통해 헤드의 두 부분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헤드를 이루는 두 부분 각각도 회동축(273)으로 연결된 부분부터 위쪽으로 당겨지는 힘을 받고, 헤드(263)의 각 부분과 회동가능한 헤드축(265)로 연결된 보조대(261)도 헤드부 절곡축을 향하여 모아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Since the head portion bending axis 271 is coupled with the two portions of the head through the pivot shaft 273, each of the two portions constituting the head is also subjected to a force pulled upward from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pivot shaft 273, Is also rotated in the direction of collecting toward the bending axis of the head part.

그 결과, 헤드를 이루는 두 부분은 헤드부 절곡축을 중심으로 꺾이는(절곡되는) 형태를 이루게 되고, 헤드부 전체 길이는 줄어들게 된다.As a result, the two portions constituting the head are bent (bent) about the bending axis of the head portion, and the entire length of the head portion is reduced.

줄어든 상태에서 물걸레 부분의 입구로 헤드가 들어가면 조절손잡이를 놓으면 헤드부 절곡축(271)내에 있는 스프링(미도시)의 복원력에 의해 혹은 해드에 결합된 펄프형 물걸레(28)의 탄성에 의한 본원력에 의해 헤드의 두 부분은 길이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가 되며, 헤드의 양쪽에 있는 두 부분의 외측 단부는 입구를 형성하는 물걸레 부분의 주변부에 걸려 쉽게 빠져나오지 못하게 된다.When the head enters the mouth of the wet-cloth part in the reduced state, when the adjustment knob is released,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not shown) in the head bending shaft 271 or the original force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pulp- The two portions of the head are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uter ends of the two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head are caught by the periphery of the wet-cloth portion forming the inlet, so that they can not easily escape.

물걸레 부분을 세척하거나, 내부와 외부를 뒤바꾸어 사용하기 위해 물걸레 장착부에서 분리시킬 때에는 다시 조절손잡이를 자루부분쪽으로 당겨 절곡시킨 상태로 물걸레 부분의 입구를 통해 밖으로 꺼내게 된다.When the waterbottles are cleaned, or when the waterbottles are detached from the waterbottles to replace the inside and the outside, the adjustment knob is pulled back toward the bag portion and taken out through the mouth of the wetbelt portion.

도5와 같은 물걸레 장착부를 가진 실시예에서는 조절손잡이 대신 헤드를 이루는 두 부분을 직접 회동축 주위로 회전시켜 길이 방향 기준으로 절곡시키고 물걸레 입구를 통해 삽입시키고 다시 반대로 헤드를 이루는 두 부분을 회전시켜 펼침으로써 물걸레 부분과 물걸레 장착부를 결합시켜 청소를 하게 된다.In the embodiment having the wet-cloth mounting portion as shown in FIG. 5, instead of the adjustment handle, the two portions constituting the head are directly rotated around the rotation axis to b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sert through the inlet of the wet- So that the wet-cloth part and the wet-cloth mounting part are combined and cleaned.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몇 가지 실시 예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Subordination is natural.

10: 자루부분 11: 손잡이
12: 상부 파이프 13: 하부 파이프
14: 연결부 141: 버튼
20: 물걸레 장착부 21: 커넥터
22: 지지대 23: 가지부
24: 조절손잡이 25: 인계선
28: 펄프형 물걸레 30: 물걸레 부분
31: 입구 33, 35: 천
131: 돌기 133: 홈
211: 커넥터 버튼 235, 243, 245: 축
261: 보조대 263: 헤드
265: 헤드축 271: 헤드부 절곡축
273: 회동축
10: bag portion 11: handle
12: upper pipe 13: lower pipe
14: connection 141: button
20: Mouthpiece mounting part 21: Connector
22: support member 23:
24: Adjusting handle 25:
28: pulp type wet wool 30: wet wool part
31: entrance 33, 35: cloth
131: projection 133: groove
211: connector button 235, 243, 245:
261: auxiliary unit 263: head
265: head shaft 271: head part bending shaft
273:

Claims (6)

삭제delete 입식으로 청소를 할 수 있도록 손잡이를 이루는 자루부분,
상기 자루부분의 하부에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접히도록 이루어지는 헤드를 가지는 물걸레 장착부,
상기 헤드를 수용하도록 봉지 형태로 이루어지며 입구는 상기 헤드가 수용되는 부분의 폭보다 폭이 좁아져 상기 헤드가 펼쳐진 상태에서의 길이보다 좁게 이루어지는 물걸레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루부분(10)은 연결부(14)로 연결된 두 부분의 파이프(12, 13) 가운데 외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홈을 하나의 파이프가 다른 하나의 파이프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14) 내측에는 상기 홈에 걸리는 걸림턱이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14)에 형성된 버튼을 조작하여 상기 걸림턱과 상기 홈의 맞물림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두 부분의 파이프(12, 13)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자루부분 전체의 길이가 조절되고,
상기 물걸레 장착부(20)는, 상부가 상기 자루부분(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커넥터(21)를 가지고 하부는 두 갈래로 분기된 가지를 가지는 가지부(23)를 가지는 지지대(22), 상기 지지대(22)에 상단부가 축(245)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손잡이(24), 상기 조절손잡이(24)에 상단부가 결합되는 인계선(25), 상기 인계선(25)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헤드부 절곡축(271), 상기 가지부(23)의 분기된 각 가지부의 하단에 상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보조대(261), 상기 보조대(261)의 하단에 헤드축(265)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헤드부 절곡축(271)에도 회동축(273)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2개의 부분을 가지는 헤드(263), 상기 헤드에 결합되는 펄프형 물걸레(28)를 구비하여 상기 조절손잡이(24)를 상기 자루부분(10)을 향해 당기면 상기 헤드(263)를 이루는 상기 2개의 부분이 180도보다 작은 각도를 이루면서 상기 헤드(263)가 접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물걸레 부분(30)은 직사각형 천(33, 35)이 겹쳐진 상태로 상기 직사각형의 주변부를 이루는 3 변에서 서로 결착되고, 상기 3변을 제외한 한 변의 일부는 상기 천이 서로 결착되지 않도록 개방되어 입구(31)를 형성하여 봉지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물걸레 부분(30)의 내측면과 외측면이 바뀌도록 뒤집어 쓰는 것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The part of the bag that makes the handle so that it can be cleaned by standing,
A wet-laid mounting portion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ag portion and having a head at least partially fol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head is formed in a bag shape to receive the head and the mouth is made of a wet cloth part whose width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part in which the head is accommodated,
The bag portion 10 may have a plurality of gro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wo pipes 12 and 13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4 and one pipe may be inserted into the other pipe, (14) is provided with a latching jaw which is engaged with the groove so that the engagement of the latching jaw and the groove is controlled by operating a button formed on the connecting portion (14) so that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pipes The length of the entire bag portion is adjusted,
The wet-cloth mounting portion 20 includes a support 22 having an upper portion having a connector 21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ag portion 10 and a lower portion having a branch portion 23 having branches branched into two branches, A control knob 24 whose upper end por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table 22 by a shaft 245 and a control knob 24 to which the upper end is coupled to the control knob 24, An auxiliary unit 261 whose upper end is rotatably fixed to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branching branches of the branch unit 23 and a head shaft 265 at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unit 261, A head 263 fixed to the head part bending shaft 271 so as to be rotatable and fixed to the head part bending shaft 271 so as to be rotatable by the pivot shaft 273 and a pulp type wet cloth 28 coupled to the head, When the adjustment knob 24 is pulled toward the bag portion 10, Portion is 180 degrees yirumyeonseo a small angle is made so that the head 263 is folded,
The wet-cloth portion 30 is joined to each other at three sides constituting the periphery of the rectangle in the state where the rectangular cloths 33 and 35 are overlapped, and a part of one side excluding the three sides is opened so that the cloths are not bonded together, 31) is formed in a sealed form so that the inner surface and outer surface of the wet-cloth part (30) can be revers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가정용 진공 청소기의 자루부분과 교체 가능하도록 자루부분의 하단 직경과 같은 규격의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nector is formed to have an inner diameter of the same size as the lower end diameter of the bag portion so as to be replaceable with the bag portion of the household vacuum cleaner.
삭제delete
KR2020110001580U 2011-02-25 2011-02-25 wet type dust cleanner Expired - Lifetime KR20047885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580U KR200478859Y1 (en) 2011-02-25 2011-02-25 wet type dust clean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580U KR200478859Y1 (en) 2011-02-25 2011-02-25 wet type dust clean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164U KR20120006164U (en) 2012-09-05
KR200478859Y1 true KR200478859Y1 (en) 2015-11-24

Family

ID=53683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580U Expired - Lifetime KR200478859Y1 (en) 2011-02-25 2011-02-25 wet type dust clean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859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790B1 (en) * 2013-10-23 2014-12-10 김선홍 Fixed cleaner brush rol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1744A1 (en) * 2000-11-24 2002-05-30 Carl Freudenberg Kg Floor mop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1744A1 (en) * 2000-11-24 2002-05-30 Carl Freudenberg Kg Floor mo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164U (en)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8191B2 (en) Mop structure
US20060000241A1 (en) Fabric steam pocket and attachment for use with steam cleaner
CN105407777B (en) Cleaning equipment, cloth for cleaning and keeper
KR200478859Y1 (en) wet type dust cleanner
JP5865700B2 (en) Suction port and vacuum cleaner
KR100893462B1 (en) Multi-sided split type vacuum cleaner
JP3917580B2 (en) Cotton cloth sweeper
JP5804935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CN206239343U (en) A kind of electric dust absorption mop
JP3759920B2 (en) Cotton cloth sweeper
JP2672786B2 (en) Wet mop vacuum cleaner for easy cleaning
US9700193B2 (en) Tubular head band mounted wet mop
KR200310237Y1 (en) A portable wiper set
JP2014064605A (en) Laterally openable/closeable type wiper body holder, wiper body and cleaning tool
JP3071400B2 (en) Swabs worn on brooms
JP2013132477A (en) Suction port body and vacuum cleaner
KR20120031570A (en) Folder type broom
KR100714967B1 (en) Multifunctional mop
CN201088560Y (en) Mop structure
KR200399272Y1 (en) A multi function dustcloth of hands
US20120023696A1 (en) Flip mop
CN217525013U (en) Sweeping and mopping integrated functional head structure and sweeping and mopping integrated cleaning tool
EP1419726A1 (en) Cleaning attachment for converting a cleaning implement to a mop
KR200209699Y1 (en) Floorcloth with combination and separation of dustcloth
CN209107243U (en) A kind of pleated mophead and the mop equipped with the moph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10225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4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5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50518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50810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U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X09011S01I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U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21

Patent event code: UX07013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10

Patent event code: UX07012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50810

Patent event code: UX07011S01I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1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5111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1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