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848Y1 - Safety tripod for a automobile - Google Patents
Safety tripod for a automobi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8848Y1 KR200478848Y1 KR2020140005490U KR20140005490U KR200478848Y1 KR 200478848 Y1 KR200478848 Y1 KR 200478848Y1 KR 2020140005490 U KR2020140005490 U KR 2020140005490U KR 20140005490 U KR20140005490 U KR 20140005490U KR 200478848 Y1 KR200478848 Y1 KR 20047884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frame
- tripod
- automobile
- le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5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automatically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in traffic or with pedestrians, e.g. after risk assessment using the vehicle sensor dat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60Q7/005—Devices without 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면에 반사판을 갖는 삼각대의 하부 양측에 사출 성형을 통해 일체로 하우징을 형성하고, 하우징에 다리부재와 받침부재를 만의 결합에 의해 조립이 용이하고, 설치시 자체 하중에 의하여 규정된 풍력에 견딜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 일면에 반사판이 설치되는 제1프레임, 제2프레임 및 제3프레임으로 이루어져 힌제 체결되어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며, 제1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삼각대; 상기 삼각대의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규정된 풍속에 의해 넘어지거나 절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다리부재; 및 상기 삼각대의 하우징에 체결되며, 상기 다리부재가 하우징에서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삼각대와 하우징이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므로 다리부재와 받침부재의 결합만으로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를 조립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안전 삼각대에 비해 생산량이 증대됨은 물론 인건비를 줄이며, 하우징에 형성한 안내편과 지지돌기에 의해 다리부재를 펼쳤을 때 규정된 풍속에도 넘어지거나 절첩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하므로 뒤따르는 자동차에 의해 추돌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housing is integrally formed on both sides of a lower portion of a tripod having a reflector on one side by injection molding and is easy to assemble by the coupling of a leg member and a support member to the housing, A first frame, a second frame, and a third frame, each of which is provided with a reflector on one side thereof, and is hinge-coupled to be foldable, an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A tripod comprising a plurality of housings integrally formed by a plurality of projections; A leg member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of the tripod and stably supporting the tripod so as to prevent it from falling or being folded by a prescribed wind speed; And a supporting member which is fastened to the housing of the tripod and which firmly fastens the leg member to the housing. Since the tripod and the housing are integrally formed by injection molding, only the coupling of the leg member and the supporting member It is possible to assemble safety tripod for automobile, so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roduction rate compared with existing safety tripod, reduce labor costs, and stabilize the tripod when the leg members are unfolded by the guide and support protrusions formed on the housing. So that a collision accident can be prevented by the following vehicle.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면에 반사판을 갖는 삼각대의 하부 양측에 사출 성형을 통해 일체로 하우징을 형성하고, 하우징에 다리부재와 받침부재를 만의 결합에 의해 조립이 용이하고, 설치시 자체 하중에 의하여 규정된 풍력에 견딜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tripod for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fety tripod for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fety tripod for an automobile, which comprises a housing integrally formed by injection molding on both sides of a lower portion of a tripod having a reflector on one surface thereof, To a safety tripod for an automobile which can easily withstand the wind force prescribed by its own load at the time of installation.
현재 자동차는 운행 중 자동차의 고장, 승객의 급한 용무 등 응급상황이 발생할 때 도로의 갓길에 잠시 정차하게 되고, 이때 다른 자동차에 갓길에 응급 자동차가 정차 중임을 알려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표시하기 위한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를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또한 법률로 자동차에 항상 비치하도록 함으로서 비상시에 정차 자동차의 후미에 안전 삼각대를 설치로 사고를 방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Currently, automobiles are stopped for a short time on the shoulder of a road when an emergency such as breakdown of a car or urgent work of passengers occurs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At this time, another car is informed that an emergency car is being stopped It is stipulated that a safety tripod for a car should be installed and that a safety tripod should be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in case of an emergency so that accidents can be prevented.
안전 삼각대는 후방에서 주행하는 자동차에 비상상황을 전달하는 동시에 고장 자동차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고장 자동차 후면에 안전 삼각대를 설치하였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는 초속 18m의 풍력에서 넘어지지 않아야 하며, 주, 야간에 100m 후방에서 식별이 가능해야 한다.Safety tripods provide a safety tripod to the rear of the vehicle to prevent accidents from happening while delivering an emergency situation to the vehicle running from the rear. Such a safety tripod for automobiles installed in such a way should not fall over wind speed of 18m per second and should be identifiable from 100m behind the main night.
현재 제공되고 있는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는 그 종류가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으며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자동차에 보관하고 다니다가 비상시 자동차의 후방에 설치하게 되는데, 액자와 같이 삼각대 후면에 받침부재가 구비된 삼각대가 제공되고 있다.There are various types of safety tripods that are currently available.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y are stored in the car and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car in case of an emergency. A tripod with a supporting member on the back of the tripod, such as a frame, is provided .
이와 같이 설치되는 삼각대는 그 재질이 철물과 합성수지의 혼합물 또는 합성수지로 만으로 이루어진다.The tripod that is installed in this way is made of only a mixture of steel and synthetic resin or synthetic resin.
특히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삼각대는 중량이 가벼워 바람에 쉽게 넘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합성수지 삼각대의 경우 받침부에 금속편을 부착 또는 매립시켜 중량이 나가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구성은 조립이 복잡하고 제품 생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Particularly, a tripod made of synthetic resin has a problem that it is easily lighter due to its light weight, so that the synthetic tripod is attached or embedded in a metal piece on the base of the synthetic tripod so that the weight of the tripod is increas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이 분야의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를 예시한 것으로, 삼각형의 밑변을 이루는 하부프레임과 빗변을 이루는 1쌍의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의 전면에 고정부착되어 조사되는 빛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형광패드 및 상기 하부프레임의 하측에 외측다리가 고정 결합되고 그 외측다리의 중앙 하측에 내측 다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을 지면에 고정시키는 지지대로 이루어진다.1 shows a conventional safety triangle for a vehicle, which comprises a lower frame constituting a base of a triangle, a pair of upper frames constituting a hypotenuse, And an outer leg is fixedly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lower frame and an inner leg is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center of the outer leg so that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frame are fixed to the ground .
이와 같이 이루어진 도 1의 삼각대는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이 지지대에 의해 지면에 고정 지지된 상태에서 자동차의 전조등에서 조사되는 빛에 의해 형광패드가 반사되어 후방에서 다가오는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정차되어 있음을 알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1, the fluorescent pad is reflected by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head lamp of the automobile in a state where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frame are fixedly supported by the support on the ground, and the tripod is stopped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approaching from the rear So that it can be informed.
그러나, 도 1의 자동차용 경고 삼각대는 하부프레임(10)과 상부프레임(20)이 삼각형태를 이룬 상태에서 자동차의 트렁크에 그대로 보관되기 때문에 트렁크 내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자동차에 가지고 다니는 것을 꺼리는 실정이다.However, since the warning triangle for the automobile shown in Fig. 1 is stored in the trunk of the automobile while the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도2a는 종래의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 표지판 및 받침본체와 홀더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b는 종래의 자동차 안전 삼각대에 있어서, 받침부재 본체 저면에 형성된 유지체 수납부에 받침다리가 수용된 상태의 단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특허 제0393299호의 절첩식 받침구성을 갖는 안전표지삼각대로서, 이의 종래기술에 기재된 도 3은 각 받침다리(24)가 받침대 본체 측으로 절첩되었을 때, 이들 받침다리가 받침대 본체(21)에서 절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받침대 본체(21)의 대략 중앙 저면에 유지체(40)가 설치되며, 상기 유지체(40)는 등록특허공보의 도 3에서와 같이 표지판(11)을 돌출부(12)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41)이 상측에 형성되고, 좌, 우측과 하측에 각각 받침다리(24)가 끼워져 절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수납부(42)가 형성된 구성임을 알 수 있다.FIG. 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afety triangle sign, a main body and a holder of a conventional automobile. FIG. 2B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tripod, It is a section in which the leg is accommodated. Figs. 2A and 2B are safety sign tripods having a folding backrest structure of Japanese Patent No. 0393299. Fig. 3 of the prior art discloses that when each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삼각대는 표지판과 받침부재 본체를 분리 구성하되 받침부재 본체의 대응절결부에 하단 표지판의 돌출부가 끼워져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가 대응절결부에 끼워져 조립되는 구성은 표지판과 돌출부가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장기간 자동차에 보관하고 다니다 보면 합성수지가 삭아서 신축성을 잃게 되므로 비상시 삼각대를 설치하기 위해 표지판의 돌출부를 받침대 본체의 대응 절결부에 억지 끼움으로 결합하게 됨으로 돌출부가 삭아서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해체시에도 억지끼움 된 돌출부를 대응 절결부에서 분리하는 과정에서 돌출부가 부러지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하였다. The tripod shown in FIGS. 2A and 2B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sign board and the support member main bod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ut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bottom sign is fitted to the corresponding notch of the support member main body.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protrusions are fitted to the corresponding notches, the signs and protrusions are made of synthetic resin, and when they are stored in a car for a long time, the synthetic resin is cut off and the stretchability is lost. Therefore, in order to install a tripod in case of emergenc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trusions are broken due to the interference with the fittings and the protrusions are broken when the protrusions are separated from the corresponding notch portions even at the time of disassembly.
또한, 도 2b와 같이 받침부재 본체 저면에 상하 양측에 받침다리 수납부가 형성된 유지체를 형성하므로 유지체의 상하 수납부 이격 거리만큼 받침다리의 꺾여진 단분에서 유지체의 수납부까지 수평을 유지하는 것이 아닌 유지체의 수납부까지 기울어진 상태를 이루므로 합성수지제의 홀더 유지면의 상하 간격이 벌어져 사용 중 홀더가 받침부재 본체로부터 이탈되거나 또는 받침부재 본체에 받침부재 다리를 견고하게 결속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 as shown in FIG. 2B, since the support body having the support leg retention part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body, the support body is kept horizontal from the bent end of the support leg to the retention part of the retention body And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holding surfaces of the holder made of synthetic resin is widened so that the holder can not be detached from the supporting member main body during use or can not firmly bind the supporting member leg to the supporting member main body .
또한, 도2a 및 도2b의 삼각대는 중량을 고려하여 하단부의 표지판 후면에 길이 방향으로 금속부재를 설치하여 규정된 풍속에 넘어지지 않고 설치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단 표지판의 후면에 부착 또는 매립되도록 금속부재를 설치함으로 조립이 복잡하고 일일이 수작업으로 조립해야함으로 인건비와 제품을 구성하는 부품의 종류가 증가되어 제품의 생산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tripod shown in Figs. 2A and 2B is provided with a metal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back surface of the sign at the lower end in consideration of weight, and is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installed without falling over the prescribed wind speed. Since the metal member is installed to be attached or embedded on the backside of the lower signboard, the assembly is complicated and manual assembly is required, which increases the labor cost and the kinds of parts constituting the product, which increases the production cost of the product have.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사출성형을 통해 삼각대와 하우징을 일체로 형성하고,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된 하우징에 다리부재와 받침부재 만 결합하므로 조립의 용이하며 생산성을 증대함과 동시에 설치시 자체 하중에 의하여 규정된 풍력에 견딜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of providing a tripod and a housing integrally formed by injection molding, combining a leg member and a supporting member in a housing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And to provide a safety tripod for an automobile which can withstand the wind force specified by its own load at the same time.
또 다른 목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에 형성한 안내편과 지지돌기에 의해 다리부재를 펼쳤을 때 규정된 풍속에도 넘어지거나 절첩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하므로 뒤따르는 자동차에 의해 추돌사고를 예방할 수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를 제공한다. 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afety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 guide member and a support protrusion formed on the housing, Provide a tripo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는 일면에 반사판이 설치되는 제1프레임, 제2프레임 및 제3프레임으로 이루어져 힌제 체결되어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며, 제1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삼각대; 삼각대의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규정된 풍속에 의해 넘어지거나 절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다리부재; 및 삼각대의 하우징에 형성한 결합돌기 및 체결돌기와 결합한 상태에서 일측단이 하우징의 걸림돌기에 체결되고, 탄발고정구에 결합홀이 결합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afety tripod for an automobile comprising a first frame, a second frame and a third frame on one side of which a reflector is installed, A tripod comprising a plurality of housings integrally formed by injection molding; A leg member rotatably installed on a housing of the tripod and stably supporting the tripod so as to prevent it from falling or being folded by a prescribed wind speed; And a support member which is engag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and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a housing of a tripod and has one side end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housing and the coupling hole is coupled to the elastic hook fixing member.
본 고안의 상기 하우징은 제1 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전체 형상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부에 받침부재가 결합되는 걸림돌기;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형성되어 다리부재 및 받침부재가 결합되는 결합돌기;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형성되어 받침부재가 결합되는 체결돌기;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양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다리부재가 펼쳐졌을 시에 과도하게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안내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and has a locking protrusion formed in a '?' Shape as a whole and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housing.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housing and coupled to the leg member and the support member; A fastening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housing and coupled to the receiving member; And guide pieces formed at both inner ends of the housing to prevent the leg members from being excessively unfolded when they are unfolded.
본 고안의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양측단에 형성되어 다리부재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안내편과 유기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supporting protrusions formed at both inner ends of the housing to support the guide members so as to maintain the leg members in an unfolded state.
본 고안의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 프레임과 힌지 체결되어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프레임과 제3프레임이 절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frame hinged to the first frame and foldably installed, and a fixing protrusion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to hold the folded state of the third frame.
상기 하우징에는 제1 프레임과 힌지 체결되어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프레임과 제3프레임이 절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using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rotrusion hinged to the first frame and foldably installed, and a fixing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to hold the third frame in a folded state.
본 발명의 상기 받침부재는 하우징에 결합하며,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하는 몸체; 몸체의 양측에 형성되는 단턱; 단턱의 일측에 위치되어 몸체에 형성되며, 하우징과 결합하는 결합공 및 체결공; 제1프레임과 결합하며, 받침부재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홀; 몸체에 형성되어 다리부재를 용이하게 펼치거나 접히도록 하는 인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housing and has a body formed at both sides of the center by a predetermined angle. A step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An engaging hole and a fastening hole formed on the body at one side of the step and engaging with the housing; An engaging hole engaging with the first frame and allowing the receiving member to be stably fixed; And an extraction groove formed in the body for easily expanding or collapsing the leg member.
삭제delete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는 사출성형에 의해 삼각대와 하우징을 일체로 형성하고, 하우징에 다리부재와 받침부재의 결합만으로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를 조립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안전 삼각대에 비해 조립시간이 단축되며, 생산량이 증대됨은 물론 인건비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The safety tripod for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injection molding to form a tripod and a housing together, and a safety tripod for automobile can be assembled by merely combining a leg member and a support member in the housing, thereby shortening the assembly time compared to a conventional safety tripod This increases productivity and reduces labor costs.
또한, 상기 하우징에 형성한 안내편과 지지돌기에 의해 다리부재를 펼쳤을 때 규정된 풍속에도 넘어지거나 절첩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하므로 뒤따르는 자동차에 의해 추돌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when the leg members are spread by the guide pieces and the support protrusions formed on the housing, the leg portions are stably supported without being tilted or collapsed at the prescribed wind speed, so that a collision accident can be prevented by the following automobile.
또한, 하우징에 형성한 걸림돌기를 통해 받침부재의 양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동시에 제1프레임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한 탄발고정구에 의해 받침부재의 중앙 부분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stably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through the engagement protrusions formed on the housing, and at the same time preventing the cent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from being sagged by the elastic rest fastener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를 예시한 도면.
도 2a는 종래의 자동차 안전 삼각대 표지판 및 받침부재 본체와 홀더의 분해 사시도.
도 2b는 종래의 자동차 안전 삼각대에 있어서 받침부재 본체 전면에 형성된 유지체의 수압부에 받침다리가 수용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의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의 하우징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의 받침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를 펼친 상태를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1 is a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safety tripod for a motor vehicle.
FIG. 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automobile safety tripod sign and a support member body and a holder. FIG.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automobile safety tripod, in which a support leg is received in a pressure receiving portion of a holding member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main body.
3 is an exploded view of a safety tripod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engagement of a safety tripod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folding state of a safety tripod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ousing of a safety tripod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upporting member of a safety tripod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tate in which the safety tripod for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ployed.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afety tripod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를 한정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is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예를 들어,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For example, the term "and / 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constru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an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e use of such specific terminology may be changed to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a safety tripod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의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s an exploded view of a safety tripod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engagement of a safety tripod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 Fig.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는 일면에 반사판이 형성되는 제1프레임(110), 제2프레임(120), 제3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지는 삼각대(100)와, 삼각대(100)의 하부 양측에는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하우징(200)과, 하우징(200)에 각각 고정되어 규정된 풍속에도 넘어지지 않고 버틸 수 있도록 지지하는 다리부재(300) 및 받침부재(400)를 포함한다.3 to 5, the safety tripod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삼각대(100)는 일면에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반사판(미부호)이 형성된 제1 프레임(110)과, 상기 제1프레임(110)의 일측에 힌지(140) 체결되어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면에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판이 형성되는 제2프레임(120)과, 상기 제2프레임(120)이 제1프레임(110)이 설치된 타측에 절첩 가능하게 힌지(140) 체결되어 일면에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이 형성되는 제3프레임(130)을 포함한다.The
상기 제2프레임(120)과 제3프레임(130)에는 제2프레임(120)과 제3프레임(130)이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구(150)를 형성한다. The
상기 반사판(미부호)은 상기 삼각대(100)의 제1, 제2, 제3프레임(110, 120, 130)의 일면에 설치될 시에 빛을 동시에 반사할 수 있도록 같은 방향으로 설치한다. When the reflector (not shown) is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econd, and
상기 하우징(200)은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삼각대(100)의 제1프레임(110) 하부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다리부재(300) 및 받침부재(400)와 결합한다.The
상기 하우징(200)은 전체 형상이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단부에는 다리부재(300)를 지지하는 받침부재(4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돌기(210)를 형성하고,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측에 다수의 결합돌기(220) 및 체결돌기(240)를 형성하여 상기 다리부재(300) 및 받침부재(400)와 결합한다.The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220)의 일측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받침부재(400)의 체결공(440)에 결합하는 체결돌기(240)를 형성하여 받침부재(400)를 하우징(200)에 결합한다. A
상기 'ㄱ'자 형상의 내측 양측단에는 안내편(250)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편(250)에 의해 다리부재(300)가 펼쳐졌을 시에 과도하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안정적으로 펼쳐져 삼각대(100)가 규정된 풍속에 의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A
또한, 상기 하우징(200)의 일 면은 중앙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받침부재(400)와 결합하였을 시에 다리부재(300)가 일정한 각도를 가지며 펼쳐지도록 하여 다리부재(300)에 의해 삼각대(100)가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One side of the
상기 하우징(200)의 안내편(250)에는 복수의 지지돌기(260)를 형성하여 상기 다리부재(300)가 펼쳐 졌을 때 펼쳐진 위치를 고정하도록 지지한다. A plurality of
상기 삼각대(100)의 제1프레임(110) 하부에 양측에 형성한 하우징(20)의 사이에는 탄발고정구(160)를 제1프레임(110)의 중앙 하단에 형성하여 상기 받침부재(400)와 결합하며, 상기 탄발고정구(160)에는 받침편(170)을 형성하여 받침부재(400)의 일면이 지지 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1프레임(110)과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한다. The
상기 제1프레임(110)과 받침부재(400) 사이에 형성한 공간에는 하우징(200)에 일측이 결합되어 회전하는 다리부재(300)를 결합한다.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상기 제2프레임(120)과 제3프레임(130)을 접혀졌을 시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우징(200)의 상부에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고정돌기(270)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돌기(270)는 제2프레임(120)과 제3프레임(130)이 접혀졌을 시에 하우징(200)과 맞닿아지는 위치의 일측에 위치한다. A fixing
상기 다리부재(300)는 삼각대(100)의 하부에 형성한 하우징(200)에 형성한 결합돌기(2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삼각대(100)가 규정된 풍속에 버틸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다리부재(300)가 펼쳐졌을 시에 지지돌기(260)에 의해 지지되므로 규정된 풍속이 발생하여도 넘어지지 않고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
상기 받침부재(400)는 삼각대(100)의 하부 양측에 형성한 하우징(200)에 결합하며, 중앙에서 양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기를 가지며 몸체(410)를 구성한다.The
상기 몸체(410)의 양측에는 단턱(420)을 형성하고, 상기 단턱(420)을 형성한 일측에는 하우징(200)에 형성한 결합돌기(220)에 결합할 수 있도록 복수의 결합공(430)을 형성한다.A plurality of engaging
상기 결합공(430)을 형성한 위치에서 일정 거리가 이격된 위치에 체결공(440)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공(440)은 하우징(200)에 형성한 체결돌기(240)에 결합한다. A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400)에는 다리부재(300)를 용이하게 펼칠 수 있도록 다수의 인출홈(460)을 형성한다. 상기 인출홈(460)은 그 위치를 서로 어슷하게 형성한다.The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의 하우징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ousing of a safety tripod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하우징(200)은 전체 형상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부에 걸림돌기(210)를 형성하여 받침부재(400)의 일측이 결합되도록 하고, 'ㄱ'자 형상의 내측에는 받침부재(400)의 결합공(430)에 체결되도록 결합돌기(220)를 형성하며, 상기 결합돌기(220)의 양측에는 받침돌기(230)를 형성하여 다리부재(300)의 일면을 지지한다.Referring to FIG. 6, the
상기 결합돌기(220)의 일측에는 상기 받침부재(400)의 체결공(440)에 결합하는 체결돌기(240)를 형성하여 받침부재(400)가 하우징(200)에 고정되도록 한다. A
상기 하우징(200)의 내측 양 측단에는 안내편(250)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편(250)은 다리부재(300)의 인출시 과도하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일정한 각도까지만 펼쳐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내편(250)이 형성된 위치에서 일정 거리가 이격 된 위치에 지지돌기(260)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돌기(260)는 상기 다리부재(300)가 일정 각도로 펼쳐 졌을 시에 이를 지지하여 다리부재(300)가 규정된 풍속에 의해 접히거나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한다.The support protrusions 26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positions where the
그리고 상기 하우징(200)에는 제2프레임(120)과 제3프레임(130)이 접힐 시에 하우징(200)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고정돌기(270)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돌기(270)는 제2프레임(120)과 제3프레임(130)이 접혔을 시에 인위적으로 인출시키지 않는 상태에서는 제2프레임(120)과 제3프레임(130)이 펼쳐지는 것을 방지한다. A fixing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의 받침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upporting member of a safety tripod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받침부재(400)는 일정 형상으로 몸체(410)를 구성한다. 상기 몸체(410)는 중앙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몸체 양측단에는 단턱(420)을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200)에 결합하였을 시에 견고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다리부재(300)가 제1프레임(110)과 받침부재(4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7, the receiving
상기 단턱(420)의 일측에는 결합공(430)을 형성하여 하우징(200)에 형성한 결합돌기(220)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결합공(430)을 형성한 위치에서 일정 거리가 이격 된 위치에 체결공(440)을 형성하여 체결돌기(240)와 결합한다. A
상기 받침부재(400)의 중앙부에는 결합홀(450)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홀(450)은 삼각대(100)의 제1프레임(110)에 형성한 탄발고정구(160)와 결합하며, 탄발고정구(160)의 받침편(170)에 지지 된다.A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400)에는 다수의 인출홈(46)을 형성하며, 상기 인출홈(460)은 하우징(200)에 결합한 다리부재(300)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인출홈(460)은 서로 어긋나게 형성하여 다리부재(300)를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A plurality of outflow grooves 46 are formed in the receiving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받침부재(400)는 상기 하우징(200)에 형성한 결합돌기(220) 및 체결돌기(240)와 결합한 상태에서 일측단이 하우징(200)의 걸림돌기(210)에 결합되고, 이때 받침부재(400)의 결합홀(450)에 탄발고정구(160)와 결합하여 받침편(170)에 지지 되므로 받침부재(400)는 하우징(200) 및 제1프레임(110)과 견고하게 결합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ing
또한 상기 하우징(200)에 결합한 다리부재(300)는 단턱(420)에 의해 유격(裕隔)이 최대한 줄어둠으로 펼쳤을 때 또는 접었을 때 흔들이 방지된다. In addition, the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를 펼친 상태를 사용상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8 is a state in which a safety tripod for an automobile is ope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afety tripod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프레임(110)에 힌지(140) 체결되어 있는 제2프레임(120)과 제3프레임(130)을 힌지(140)를 축으로 펼쳐 제2프레임(120)과 제3프레임(130)의 일측을 결합구(150)에 의해 서로 고정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8, in order to install a safety tripod for an automobile, the
상기 제2프레임(120)과 제3프레임(130)에 설치되는 결합구(150)는 통상의 안전 삼각대에서 사용하는 것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The
상기 제2프레임(120)과 제3프레임(130)을 체결한 상태에서 하우징(200)에 결합한 다수의 다리부재(300)는 인출홈을 통해 펼치고, 이때 펼쳐지는 다립부재(300)는 결합돌기(210)를 축으로 회전하면서 안내편(250)과 지지돌기(260)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The plurality of
상기 안내편(250)과 지지돌기(260)의 사이에 다리부재(300)가 위치하므로 규정된 풍속에도 넘어지거나 다리부재(300)가 접히는 현상을 방지하므로 안정적인 설치가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또한, 다리부재(300)가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은 하우징(200)이 제1프레임(11)에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제1프레임(110)과의 견고하게 형성됨은 물론 탄발고정구(160), 걸림돌기(210), 결합돌기(220) 및 체결돌기(240)에 받침부재(400)가 결합되므로 견고성이 증대되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후방에서 주행하는 자동차의 운전자들에게 시인성을 향상되도록 하기 위하여 보조반사부재(500)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In order to improve the visibility of the driver of the automobile traveling in the rear, the
상기 보조반사부재(500)는 상기 제1프레임(110), 제2프레임(120) 및 제3프레임(13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후면에 결합하며, 제1프레임(110), 제2프레임(120) 및 제3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지는 삼각대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고, 후방에서 조사되는 자동차의 빛 반사를 배가시켜 시인성을 향상한다.The
즉, 상기 보조반사부재(500)를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 및 제3프레임(30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므로 자동차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에 의한 반사가 많이 이루어져 운전자에게 잘 띄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후방에서 주행하는 자동차와 추돌을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삼각대 110: 제1프레임
120: 제2프레임 130: 제3프레임
140: 힌지 150: 결합구
160: 탄발고정구 170: 받침편
200: 하우징 210: 걸림돌기
220: 결합돌기 230: 받침돌기
240: 체결돌기 250: 안내편
260: 지지돌기 270: 고정돌기
280: 보강편 300: 다리부재
400: 받침부재 410: 몸체
420: 단턱 430: 결합공
440: 체결공 450: 결합홀
460: 인출홈 500: 보조반사부재100: tripod 110: first frame
120: second frame 130: third frame
140: Hinge 150: Coupling port
160: Elastic fixing member 170:
200: housing 210:
220: engaging projection 230: receiving projection
240: fastening protrusion 250: guide
260: Support protrusion 270: Fixing protrusion
280: reinforcement piece 300: leg member
400: support member 410: body
420: step 430: engaging ball
440: fastening hole 450: fastening hole
460: drawing groove 500: auxiliary reflecting member
Claims (7)
일면에 반사판이 설치되고 힌지 체결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1프레임(110), 제2프레임(120) 및 제3프레임(130)으로 형성되며, 제1프레임(110)의 하부 양측에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하우징(200)으로 이루어지는 삼각대(100);
삼각대(100)의 하우징(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규정된 풍속에 의해 넘어지거나 절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다리부재(300); 및
삼각대(100)의 하우징(200)에 형성한 결합돌기(220) 및 체결돌기(240)와 결합한 상태에서 일측단이 하우징(200)의 걸림돌기(210)에 체결되고, 탄발고정구(160)에 결합홀(450)이 결합하는 받침부재(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
In a safety tripod for an automobile,
A first frame 110, a second frame 120, and a third frame 130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frame 110 and foldable by hinge fastening, A tripod 100 made up of a plurality of housings 200 formed integrally with one another;
A leg member 300 rotatably installed on the housing 200 of the tripod 100 and stably supporting the tripod 100 to prevent it from falling or being folded by a prescribed wind speed; And
One end of the fastening protrusion 220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protrusion 220 of the housing 200 of the tripod 100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240 of the tripod 100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protrusion 210 of the housing 200, A receiving member 400 to which the coupling hole 450 is coupled;
And a safety tripod for an automobile.
상기 제1프레임(110)의 하부에 형성되며, 받침부재(400)와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결합하는 받침편(170)을 갖는 탄발고정구(1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ootrest 160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110 and having a support piece 170 to be stably installed with the support member 400;
And a safety tripod for an automobile.
상기 하우징(200)은,
제1 프레임(110)의 하부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전체 형상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부에 받침부재(400)가 결합되는 걸림돌기(210);
상기 하우징(200)의 내측에 형성되어 다리부재(300) 및 받침부재(40)가 결합되는 결합돌기(220);
상기 하우징(200)의 내측에 형성되어 받침부재(400)가 결합되는 체결돌기(240);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 양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다리부재(300)가 펼쳐졌을 시에 과도하게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안내편(250);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 양측단에 형성되어 다리부재(30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안내편(250)과 유기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돌기(26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200)
A locking protrusion 210 integr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110, the locking protrusion 210 having an overall shape of 'A' shape and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ing member 400;
A coupling protrusion 220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housing 200 and coupled to the leg member 300 and the receiving member 40;
A fastening protrusion 240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housing 200 to receive the support member 400;
Guide pieces 250 formed on both inner sides of the housing 200 to prevent the leg members 300 from being excessively unfolded when the leg members 300 are unfolded;
Support protrusions 260 formed at both ends of the inner side of the housing 200 to support the guide pieces 250 and the legs 300 in an unfolded state;
And a safety tripod for an automobile.
상기 다리부재는(300),
안내편(250)에 의해 일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되고,
지지돌기(260)에 의해 접히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leg members (300),
The guide piece 250 is prevented from spreading toward one side,
Is prevented from being folded by the support protrusion (260).
상기 하우징(200)에는,
제1프레임(110)과 힌지(140) 체결되어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프레임(120)과 제3프레임(130)이 절첩 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우징(200)의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돌기(27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housing 200,
The second frame 120 and the third frame 130 which are foldably installed on the first frame 110 and the hinge 140 ar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200 270);
Further comprising a safety tripod for an automobile.
상기 받침부재(400)는,
하우징(200)에 결합하며,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하는 몸체(410);
몸체(410)의 양측에 형성되는 단턱(420);
단턱(420)의 일측에 위치되어 몸체(410)에 형성되며, 하우징(200)과 결합하는 결합공(430) 및 체결공(440);
제1프레임(110)과 결합하며, 제1프레임(110)의 하부에 형성한 탄발고정구(160)와 결합하여 받침부재(40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홀(450);
몸체에 형성되어 다리부재(300)를 용이하게 펼치거나 접히도록 하는 인출홈(46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member (400)
A body 410 coupled to the housing 200 and formed to be inclined at both sides of the center at a predetermined angle;
A step 42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410;
A coupling hole 430 and a coupling hole 440 which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step 420 and formed on the body 410 and engage with the housing 200;
A coupling hole 450 coupled with the first frame 110 and engaged with the elastic shoe 160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110 to stably fix the support member 400;
A draw-out groove 460 formed in the body to easily fold or unfold the leg member 300;
And a safety tripod for an automobi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5490U KR200478848Y1 (en) | 2014-07-22 | 2014-07-22 | Safety tripod for a automobi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5490U KR200478848Y1 (en) | 2014-07-22 | 2014-07-22 | Safety tripod for a automobi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8848Y1 true KR200478848Y1 (en) | 2015-11-20 |
Family
ID=54868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5490U Expired - Lifetime KR200478848Y1 (en) | 2014-07-22 | 2014-07-22 | Safety tripod for a automobi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8848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0389B1 (en) * | 2018-01-12 | 2018-07-05 | 김홍진 | Automotive folding tripod with radar reflector |
KR20190106266A (en) | 2018-03-08 | 2019-09-18 | 장혜영 | Automotivefolding tripod with radar reflecto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7960Y1 (en) | 2011-06-23 | 2013-07-16 | 허진 | The type holder which folds of Safety tripod for a automobile |
-
2014
- 2014-07-22 KR KR2020140005490U patent/KR200478848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7960Y1 (en) | 2011-06-23 | 2013-07-16 | 허진 | The type holder which folds of Safety tripod for a automobil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0389B1 (en) * | 2018-01-12 | 2018-07-05 | 김홍진 | Automotive folding tripod with radar reflector |
KR20190106266A (en) | 2018-03-08 | 2019-09-18 | 장혜영 | Automotivefolding tripod with radar reflect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4915569U (en) | Bumper assembly | |
US10086755B2 (en) | Mat including LED safety tripod for automobile | |
KR101660939B1 (en) | Umbrella type safety tripod combined with Emergency Light | |
KR101544646B1 (en) | Automatic Spread Tripod | |
KR200478848Y1 (en) | Safety tripod for a automobile | |
KR100917341B1 (en) | Car safety tripod | |
US5895024A (en) | Collapsible holder for warning devices | |
KR101337588B1 (en) | A warning triangle | |
KR20130003722A (en) | Umbrella style safety triangle | |
KR101935909B1 (en) | Safety tripod for vehicle | |
KR200449760Y1 (en) | Foldable warning triangle for automobile | |
KR101434907B1 (en) | Car mat having function of warning triangle | |
KR20140005945U (en) | The type holder which folds of Safety tripod for a automobile | |
KR20170085669A (en) | Notification device risk for a vehicle having various mounting structures and display functions | |
KR20020039762A (en) | A Folding Triangle Band for Automobile | |
JP2011180879A (en) | Metal fitting for bracket of signal light | |
KR200467960Y1 (en) | The type holder which folds of Safety tripod for a automobile | |
KR200465736Y1 (en) | Assembling structure of foldable standing bar for automobile warning board | |
KR200489337Y1 (en) | Height adjust type safety tripod structure for car | |
KR102048306B1 (en) | Safety sign board for car | |
JP2006523574A (en) | Light shielding film assembly for automobiles | |
KR20110007258U (en) | Safety triangle for use with a vehicle | |
KR20090002949U (en) | Height adjustable tripod | |
KR102433539B1 (en) | Variable type traffic guiding device with Lantern Function | |
CN215622435U (en) | Exterior trimming part convenient to disassemble and assemb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40722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50528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2D Patent event date: 20150831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9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5111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51117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5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