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78717Y1 - 찻물의 우림과 동시에 마심이 가능한 텀블러 - Google Patents

찻물의 우림과 동시에 마심이 가능한 텀블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717Y1
KR200478717Y1 KR2020150001138U KR20150001138U KR200478717Y1 KR 200478717 Y1 KR200478717 Y1 KR 200478717Y1 KR 2020150001138 U KR2020150001138 U KR 2020150001138U KR 20150001138 U KR20150001138 U KR 20150001138U KR 200478717 Y1 KR200478717 Y1 KR 2004787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tumbler
container
lid
inner l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1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규
Original Assignee
이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규 filed Critical 이상규
Priority to KR20201500011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7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7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71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n orifice, capillary or labyrinth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 B65D85/812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with features facilitating their manipulation or susp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를 우려서 마실 때 사용하는 휴대용 텀블러에 티백을 텀블러에서 침지시킨 상태로 고정하여 찻물의 우려냄을 용이토록 함과 동시에 차를 마실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뚜껑이 밀폐되게 결합되는 용기함체의 상단에 속뚜껑을 결합토록 하고 상기 속뚜껑에 용기함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마심이 가능토록 배출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침지되는 티백을 침지된 상태로 고정하는 걸림돌부를 형성토록 한 것이다.
그리고 걸림돌부는 뚜껑의 저면에 밀착토록 형성되면서 실이 끼워지는 절개부를 형성하여 라벨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찻물의 우림과 동시에 마심이 가능한 텀블러{Drinking tea tumbler possible and at the same time concerned clearance}
본 고안은 다양한 종류의 차를 우려서 마실 때 사용하는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티백을 라벨을 이용하여 텀블러에서 침지되는 위치조절은 물론 침지된 상태로 고정하여 찻물을 우려냄을 용이토록 하면서 동시에 티백이 침지된 상태에서도 차를 마실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의 종류는 녹차, 둥글레차, 메밀차 등의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차 종류는 현재 1회용의 티백형태로 포장되어 간편하고 신속하게 먹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티백은 차가 담겨진 티백부와, 상기 티백부의 일측에 일정길이로 형성되는 실과 상기 실의 끝단에는 광고를 위한 상표로고가 인쇄되면서 티백부를 건져낼 수 있도록 손잡이 역할을 하는 라벨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티백부를 컵이나 텀블러에 넣고 물을 넣은 후 라벨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하로 여러 번 흔들어 찻물을 우려낸 후 어느 정도 찻물이 우려지면 티백을 건져내어 차를 마시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찻물을 우려내기 위해서는 장시간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찻물이 제대로 우려내지지 않게 되는 문제와 티백이 침전상태가 되도록 고정하지 못해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한편 차문화가 발달되면서 사람들은 이동중에도 차를 마실 수 있도록 휴대용 텀블러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상기 텀블러는 냉온 및 보온 가능하도록 제작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를 밀폐토록 결합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텀블러에는 티백을 이용하여 차를 우려먹기가 어렵고 설령 티백을 이용해 찻물을 우려먹을 경우에는 뚜껑을 분리한 용기본체에 라벨을 외부로 노출한 상태에서 티백부는 용기함체의 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에 넣고 뚜껑을 닫은 상태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것은 라벨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사용시에 노출된 라벨이 걸리적 거리게 되면서 사용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고, 또한 부주의로 인해 실이 끊어지거나 라벨이 용기본체로 들어가 버리면 티백의 제거가 곤란한 문제는 물론 위생상으로도 매우 좋지 않은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최근에 용기함체의 뚜껑이 결합되는 사이에 티백부를 수납할 수 있는 티백수납부가 형성된 거름망부재를 장착한 차용기가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차용기는 티백이 수납된 수납부가 용기함체의 상단에 위치되어 물이 가득 찬 상황에서만 찻물이 우려지게 되는 단점이 있고 라벨도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용기함체와 결합되는 용기뚜껑의 일측에 절개부를 형성하고 상면에는 걸이틈새가 형성된 걸이돌부를 형성하여 티백부를 용기함체의 내부에 넣은 상태에서 실을 절개부와 걸이돌부에 형성된 걸이틈새에 실을 끼워 라벨이 걸이돌부에 걸려지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것은 차를 마시기 위해서는 뚜껑이 완전히 개폐되는 구조로 뚜껑과 더불어 티백을 꺼내야만 하는 구조로 되어 찻물을 제대로 우려낼 수 없는 것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42796호(2008.12.04)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10091호 (2011.10.26)
따라서 본 고안은 라벨을 이용하여 티백의 침지되는 상태를 조절하면서 동시에 고정하여 찻물을 장시간 동안 우려짐이 가능토록 하고 이 상태에서도 찻물을 마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뚜껑이 결합되는 용기함체의 상단에 속뚜껑을 결합토록 하고 상기 속뚜껑은 용기함체에 수용된 찻물의 마심이 가능토록 일측면이 내입된 배출부를 형성하고 상면은 용기함체의 입구에 끼임결합되면서 라벨이 수용되도록 내측으로 내입된 요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입부의 중앙에 실이 끼워지면서 라벨이 걸려지는 절개부가 형성된 걸림돌부를 형성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부에는 실이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또 다른 고정홈을 형성토록 한 것이다.
또한 속뚜껑의 상면에는 공기가 순환되어 용기함체에 담겨진 찻물의 배출이 용이토록 하는 순환구멍을 형성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텀블러의 용기함체에 채워지는 물의 양에 따라서 티백의 침지되는 상태의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되면서도 티백의 침지된 상태가 되도록 고정하여 찻물의 우림이 용이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찻물이 우려지는 상태에서도 티백을 제거하지 않고 찻물을 마심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의 용이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텀블러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2는 도1에 따른 텀블러의 결합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속뚜껑의 구조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속뚜껑이 용기함체에 결합된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티백이 속뚜껑에 걸려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6은 본 고안이 티백이 걸려진 상태로 텀블러에 침지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7은 본 고안의 속뚜껑의 티백의 걸림구조를 위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텀블러는 물이 수납되는 수용공간(11)이 형성된 용기함체(10)와 상기 용기함체(10)의 상단 입구에는 1회용 티백(40)을 용기함체(10)의 내부에 침지되도록 고정하는 속뚜껑(30)이 결합되고, 그 상측으로 용기함체(10)를 밀폐토록 하는 뚜껑(20)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용기함체(10)는 보온은 물론 보냉 가능하도록 제작되어 따뜻한 차나 시원한 차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속뚜껑(30)은 용기함체(10)의 입구 상단에 안착되도록 테두리에 안착턱(30a)이 형성되고, 상면은 내측으로 내입되게 요입부(31)가 형성되어 상기 요입부(31)가 용기함체(10)의 입구 내측으로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속뚜껑(30)의 일측면은 내측으로 내입되게 형성되어 이러한 내입된 부분이 용기함체(10)의 입구 내벽과 이격되게 형성되면서 용기함체(10)의 수용된 찻물이 배출되는 배출부(32)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속뚜껑(30)의 요입부(31)에는 티백(40)을 침지된 상태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라벨(42)이 걸려지는 걸림돌부(33)가 형성되는 것이고, 이러한 걸림돌부(33)에 티백(40)과 라벨(42)을 연결하는 실(41)을 감거나 끼임토록 하여 티백(40)의 침지되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돌부(33)에 실(41)의 끼임을 위하여 걸림돌부(33)에는 절개부(34)를 형성하여 실(41)이 절개부(34)에 끼워지면서 실(41)에 연결된 라벨(42)이 걸림돌부(33)에 걸려져 티백(40)이 용기함체(10)의 수용공간(11)에 침지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돌부(33)는 뚜껑(20)의 저면에 밀착되게 형성되어 절개부(34)의 개구된 부분을 막음토록 함으로써 절개부(34)에 끼워진 실(41)이 걸림돌부(33)에서 풀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걸림돌부(33)에 형성된 절개부(34)에 끼워진 실(41)이 배출부(32)의 상단에 걸쳐지는 형태로 위치되면서 이로 인하여 실(41)이 좌,우로 유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출부(32)에 고정홈(36)을 형성하여 절개부(34)에 끼워진 실(41)이 유동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2중으로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속뚜껑(30)의 상면에는 속뚜껑(30)이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함체(10)의 수용공간(11)에 담겨진 찻물을 마실 경우에 찻물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공기순환구멍(35)을 형성토록 한 것이다.
이러한 공기순환구멍(35)으로 인해 밀폐되어 있는 용기함체(10)의 수용공간(11)에서 공기순환으로 인해서 찻물의 배출이 용이하게 됨은 물론이고, 뜨거운 물이 담겨질 경우 보온은 유지하되 어느 정도 식힘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10: 용기함체 11: 수용공간
20: 뚜껑 21: 개폐마개
30: 속뚜껑 31: 요입부
32: 배출부 33: 걸림돌부
34: 절개부 35: 공기순환구멍
36: 고정홈
40: 티백 41: 실
42: 라벨

Claims (5)

1회용 티백을 물이 수용되는 용기함체에 침지시켜 뚜껑으로 밀폐되게 결합하여 찻물을 우려내어 마심 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휴대용 텀블러에 있어서,
물이 수납되는 수용공간(11)이 형성된 보온과 보냉이 가능한 용기함체(10)와,
상기 용기함체(10)의 상단 입구에는 속뚜껑(30)이 결합되되, 상기 속뚜껑(30)은 상면이 내측으로 내입된 수용부(31)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31)에 1회용 티백(40)과 라벨(42)을 연결하는 실(41)이 끼워져 걸려지는 절개부(34)가 형성된 걸림돌부(33)가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속뚜껑(30)이 용기함체(10)의 입구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용된 찻물을 마심을 위해 입구 내벽과 이격되도록 내측방향으로 내입되는 배출부(32)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32)에는 걸림돌부(33)에 걸려지는 실(41)이 유동되지 않게 2중으로 고정하는 고정홈(36)이 형성되고,
상기 속뚜껑(30)이 결합된 용기함체(10)의 상단에 밀폐를 위해 결합되는 뚜껑(20)으로 이루어지는 찻물의 우림과 동시에 마심이 가능한 텀블러.
삭제
삭제
삭제
삭제
KR2020150001138U 2015-02-17 2015-02-17 찻물의 우림과 동시에 마심이 가능한 텀블러 Expired - Fee Related KR2004787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138U KR200478717Y1 (ko) 2015-02-17 2015-02-17 찻물의 우림과 동시에 마심이 가능한 텀블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138U KR200478717Y1 (ko) 2015-02-17 2015-02-17 찻물의 우림과 동시에 마심이 가능한 텀블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717Y1 true KR200478717Y1 (ko) 2015-11-10

Family

ID=54704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138U Expired - Fee Related KR200478717Y1 (ko) 2015-02-17 2015-02-17 찻물의 우림과 동시에 마심이 가능한 텀블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71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043B1 (ko) * 2020-02-03 2020-10-22 이우종 귀사문석이 포함된 휴대용 텀블러
US11982488B2 (en) 2020-06-17 2024-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662Y1 (ko) * 2004-04-29 2004-08-12 김화식 캡 조립체를 갖춘 머그컵
KR200425192Y1 (ko) * 2006-05-27 2006-09-05 김재식 용기 아가리 걸림 장치
JP2008093368A (ja) * 2006-10-05 2008-04-24 Takeyoshi Yokosuka ティーバック格納用小室を備えた使い捨てコップの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662Y1 (ko) * 2004-04-29 2004-08-12 김화식 캡 조립체를 갖춘 머그컵
KR200425192Y1 (ko) * 2006-05-27 2006-09-05 김재식 용기 아가리 걸림 장치
JP2008093368A (ja) * 2006-10-05 2008-04-24 Takeyoshi Yokosuka ティーバック格納用小室を備えた使い捨てコップの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043B1 (ko) * 2020-02-03 2020-10-22 이우종 귀사문석이 포함된 휴대용 텀블러
US11982488B2 (en) 2020-06-17 2024-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4126B2 (en) Beverage container having built-in infuser and passive cooling element
JP5068607B2 (ja) 飲料用容器
KR200475129Y1 (ko) 찻잎을 보관할 수 있는 휴대용 차 물병
KR20100008131A (ko) 캡수용부가 구비된 음료수 용기
KR200478717Y1 (ko) 찻물의 우림과 동시에 마심이 가능한 텀블러
ES2613135T3 (es) Contenedor Isotérmico
KR20090005514U (ko) 휴대용 차 용기
KR200455438Y1 (ko)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KR101873833B1 (ko) 분리 가능한 물병
KR200470499Y1 (ko)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
KR101679025B1 (ko) 자석 부착형 용기
KR101540622B1 (ko) 찻잎 우려냄과 냉각 기능을 갖춘 휴대용 음료용기
KR200448621Y1 (ko) 인퓨저를 구비한 차 포장 용기
KR20210051660A (ko) 티백 거치용 텀블러
KR20180083507A (ko) 티백을 고정시키는 텀블러
US6138829A (en) Beverage containment device
KR20090010496A (ko)
KR200442796Y1 (ko) 차용기
KR200440675Y1 (ko) 보온 또는 보냉 음료 포장용 용기
KR200467461Y1 (ko) 거름망 마개 및 상기 거름망 마개를 구비한 진액 용기
KR20120117070A (ko) 배출구가 있는 발전된 용기
KR20120117069A (ko) 배출구가 있는 발전된 용기
KR101378355B1 (ko) 뉴 캡
JP2015077313A (ja) 飲料用容器
KR20070000782U (ko)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5021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1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17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13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17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506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0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10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5110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90814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