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78687Y1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687Y1
KR200478687Y1 KR2020140008669U KR20140008669U KR200478687Y1 KR 200478687 Y1 KR200478687 Y1 KR 200478687Y1 KR 2020140008669 U KR2020140008669 U KR 2020140008669U KR 20140008669 U KR20140008669 U KR 20140008669U KR 200478687 Y1 KR200478687 Y1 KR 2004786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ead
suction
bracket
fixing brack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6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텍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텍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텍콤
Priority to KR20201400086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6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6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68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배기공과 흡입관공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본체와, 흡입관공에 연통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흡입관과, 흡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입공이 상기 흡입관에 연통하도록 상기 흡입관의 종단에 연결된 흡입헤드와, 상기 본체에 결합된 본체고정브라켓트와 상기 흡입헤드에 결합된 헤드고정브라켓트를 가지고 상기 본체고정브라켓트와 상기 헤드고정브라켓트의 결합동작을 통해 상기 흡입헤드가 상기 본체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헤드를 상기 본체에 대하여 지지하는 헤드지지부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팬과 상기 팬을 회전구동하는 모터를 가지고 상기 팬의 회전동작시 발생하는 상기 본체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상기 흡입공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배기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작동하는 흡입작동부를 갖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고정브라켓트는 본체브라켓트바디부와 상기 본체브라켓트바디부로부터 연장형성된 지지면부와 상기 지지면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상하방향삽입판을 가지고, 상기 상하방향삽입판이 지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브라켓트바디부를 통해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헤드고정브라켓트는 헤드브라켓트바디부와 상기 헤드브라켓트바디부의 상기 본체고정브라켓트에 대향하는 영역에 상호 나란하게 형성되고 각각 디귿자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한 쌍의 상하방향삽입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상하방향삽입개구부의 개구가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헤드브라켓트바디부를 통해 상기 흡입헤드에 결합되며; 상기 헤드지지부는 상기 상하방향삽입개구부가 상기 본체고정브라켓트를 향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상하방향삽입판이 하방향으로부터 상기 상하방향삽입개구부를 통과하고 상기 상하방향삽입개구부가 상기 지지면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헤드고정브라켓트를 상기 본체고정브라켓트에 결합시키는 동작을 통해 상기 흡입헤드가 상기 본체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헤드를 상기 본체에 대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청소작업 중 본체를 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흡입헤드를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청소기 내외부의 기압차를 이용하여 바닥면에 있는 이물질(수분 포함)을 제거하는 데 사용하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실내 바닥 등을 청소할 때 청소기 내외부의 기압차를 이용하여 바닥면에 있는 이물질(수분 포함)을 공기와 함께 장치 내부로 흡입시킨 다음, 이물질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한 후 다시 장치 외부(실내)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방법으로 작동하는 청소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11은 종래 진공청소기의 결합사시도이다.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공(111a)과 흡입관공(111b)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본체(111)와, 흡입관공(111b)에 연통하도록 본체(111)에 설치된 흡입관(113)과, 흡입관(113)의 종단에 연결된 흡입헤드(120)와, 흡입헤드(120)를 본체(111)에 대하여 지지하는 헤드지지부(160)와, 본체(111)에 설치된 흡입작동부(114)를 갖고 있다.
본체(111)는 측면에 바퀴(112)가 부착되어 있다.
흡입관(113)은 흡입관공(111b)에 결합되는 쪽은 유연성있는 재질을 사용하고 후술하는 흡입공(120a)에 결합되는 쪽은 하드재질을 사용하여 직선관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흡입헤드(120)는 연결관(124)을 갖고 있으며, 연결관(124)이 연결되는 영역에 흡입공(120a)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흡입헤드(120)는 연결관(124)이 흡입관(113)에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흡입헤드(120)는 흡입공(120a)이 흡입관(113)에 연통하게 된다.
헤드지지부(160)는 본체(111)에 형성된 본체고정브라켓트(161)와, 흡입헤드(120)에 형성된 헤드고정브라켓트(162)를 갖고 있다.
본체고정브라켓트(161)는 상향개구의 요형(凹形)으로 형성되어 있다.
헤드고정브라켓트(162)는 꺽쇠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헤드고정브라켓트(162)의 형성위치는 헤드고정브라켓트(162)를 상방향으로부터 본체고정브라켓트(161)에 삽입되도록 결합할 때 흡입헤드(120)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선택된다.
흡입작동부(114)는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팬과 팬을 회전구동하는 모터 등을 가지고 팬을 회전시킬 때 발생하는 본체(111)의 내부와 외부에 압력차에 의해 흡입공(120a)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배기공(111a)을 통해 본체(111)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작동한다.
흡입공(120a)을 통해 흡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은 배기공(111a)을 통해 본체(111)의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소정의 필터링수단에 의해 제거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진공청소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결관(124)에 흡입관(113)을 설치한다.
다음에 흡입작동부(114)를 구동시켜 청소작업을 실시한다.
청소작업이 완료되면 헤드고정브라켓트(162)를 본체고정브라켓트(161)에 결합한다.
헤드고정브라켓트(162)가 본체고정브라켓트(161)에 결합되면 흡입헤드(120)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다.
흡입헤드(120)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흡입헤드(12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진공청소기에 따르면, 헤드고정브라켓트(162)가 본체고정브라켓트(161)에 결합되면 흡입헤드(120)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청소작업 중 본체(111)를 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흡입헤드(120)를 함께 이동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10-2009-0040016호(공개일자: 2009년 4월 23일, 발명의 명칭 :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거치장치)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진공청소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청소작업 중 본체를 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흡입헤드를 함께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배기공과 흡입관공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본체와, 흡입관공에 연통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흡입관과, 흡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입공이 상기 흡입관에 연통하도록 상기 흡입관의 종단에 연결된 흡입헤드와, 상기 본체에 결합된 본체고정브라켓트와 상기 흡입헤드에 결합된 헤드고정브라켓트를 가지고 상기 본체고정브라켓트와 상기 헤드고정브라켓트의 결합동작을 통해 상기 흡입헤드가 상기 본체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헤드를 상기 본체에 대하여 지지하는 헤드지지부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팬과 상기 팬을 회전구동하는 모터를 가지고 상기 팬의 회전동작시 발생하는 상기 본체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상기 흡입공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배기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작동하는 흡입작동부를 갖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고정브라켓트는 본체브라켓트바디부와 상기 본체브라켓트바디부로부터 연장형성된 지지면부와 상기 지지면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상하방향삽입판을 가지고, 상기 상하방향삽입판이 지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브라켓트바디부를 통해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헤드고정브라켓트는 헤드브라켓트바디부와 상기 헤드브라켓트바디부의 상기 본체고정브라켓트에 대향하는 영역에 상호 나란하게 형성되고 각각 디귿자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한 쌍의 상하방향삽입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상하방향삽입개구부의 개구가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헤드브라켓트바디부를 통해 상기 흡입헤드에 결합되며; 상기 헤드지지부는 상기 상하방향삽입개구부가 상기 본체고정브라켓트를 향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상하방향삽입판이 하방향으로부터 상기 상하방향삽입개구부를 통과하고 상기 상하방향삽입개구부가 상기 지지면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헤드고정브라켓트를 상기 본체고정브라켓트에 결합시키는 동작을 통해 상기 흡입헤드가 상기 본체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헤드를 상기 본체에 대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청소작업 완료 후 본체를 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흡입헤드를 함께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상하방향삽입판에는 각각 상기 지지면부에 대한 동일한 수직이격거리와 상기 상하방향삽입개구부의 중심축선 사이와 동일한 수평이격거리를 갖는 지지홈이 하나씩 상단으로부터 절취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하방향삽입개구부를 용이하게 지지홈에 진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상하방향삽입판 중 일방은 상기 지지홈의 좌측영역과 우측영역 중 어느 한 쪽이 절취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상하방향삽입판 중 타방은 상기 지지홈의 좌측영역과 우측영역 중 상기 일방의 상하방향삽입판과 같은 쪽 영역이 절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상하방향삽입판이 지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본체고정브라켓트를 본체에 결합하는 한편 상하방향삽입개구부를 헤드브라켓트바디부의 본체고정브라켓트에 대향하는 영역에 형성하고 상하방향삽입개구부가 본체고정브라켓트를 향하도록 헤드고정브라켓트를 흡입헤드에 결합시킴으로써, 청소작업 중 본체를 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흡입헤드를 함께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반복되는 청소작업에 의해 청소블레이드가 마모되더라도 흡입헤드가 본체와 함께 이동하는 동안 청소블레이드의 바닥면 접촉 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청소블레이드의 마모량만큼 흡입헤드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상하방향삽입개구부가 지지면부에 지지됨).
도1 및 도2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결합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측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요부단면도,
도5, 도6, 도7 및 도8은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헤드와 헤드지지부 영역의 상세도,
도9 및 도10은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11은 종래 진공청소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12는 종래 진공청소기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및 도2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측면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요부단면도이고, 도5, 도6, 도7 및 도8은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헤드와 헤드지지부 영역의 상세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공(11a)과 흡입관공(11b)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中空)의 본체(11)와, 흡입관공(11b)에 연통하도록 본체(11)에 설치된 흡입관(13)과, 흡입관(13)의 종단에 연결된 흡입헤드(20)와, 흡입헤드(20)를 본체(11)에 대하여 지지하는 헤드지지부(60)와, 본체(11)에 설치된 흡입작동부(14)를 갖고 있다.
본체(11)는 저면에 바퀴(12)가 부착되어 있다.
흡입관(13)은 전체 길이구간에 걸쳐 유연성 있는 재질을 사용하여 구현되어 있으나, 본 명세서에 설명된 종래의 진공청소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흡입헤드(20)는 일면이 개방된 긴 직육면체 형태의 헤드바디부(21)와, 헤드바디부(21)의 내부에 진입하도록 헤드바디부(21)에 결합된 한 쌍의 지지부재(22), 한 쌍의 청소블레이드부(30) 및 하나의 이탈방지부재(40)와, 이탈방지부재(40)의 양단에 하나씩 결합된 헤드롤러(23)와, 헤드바디부(21)에 결합된 연결관(24)을 갖고 있다.
헤드바디부(21)는 긴 직사각형 형태의 헤드바디바닥면부(21a)와, 헤드바디바닥면부(21a)의 전 둘레연부로부터 절곡형성된 헤드바디측면부(21b)를 갖고 있다.
헤드바디부(21)는 연결관(24)이 연결되는 영역에 흡입공(21c)이 형성되어 있다.
각 지지부재(22)는 긴 직사각형 형태의 지지부재바닥면부(22a)와, 지지부재바닥면부(22a)의 전 둘레연부로부터 절곡형성된 지지부재측면부(22b)와, 지지부재측면부(22b)로부터 지지부재바닥면부(22a)에 나란하도록 연장형성된 결합플랜지(22c)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각 지지부재(22)는 결합플랜지(22c)와 지지부재측면부(22b)가 헤드바디바닥면부(21a)에 지지되도록 헤드바디부(21)에 결합된다.
각 청소블레이드부(30)는 긴 직사각형 관 형태로 형성된 블레이드홀더(31)와, 블레이드홀더(31)에 설치된 청소블레이드(32)를 갖고 있다.
블레이드홀더(31)는 일면에 블레이드노출홈(31a)이 전체 길이구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청소블레이드(32)는 일부가 블레이드홀더(31)의 내부에 진입하고, 나머지는 블레이드노출홈(31a)을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한 쌍의 청소블레이드부(30)는 이탈방지부재(40)의 양측에서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헤드바디부(21)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탈방지부재(40)는 디귿자 홈형강형태로 형성된 이탈부재바디부(41)와, 이탈부재바디부(41)로부터 상호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이탈방지리브(42)와, 이탈부재바디부(41)의 양단에 결합된 축지지판(43)과, 각 축지지판(43)에 하나씩 결합된 롤러축(44)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이탈방지부재(40)는 이탈부재바디부(41)가 지지부재바닥면부(22a)에 접촉하고 이탈방지리브(42)가 블레이드홀더(31)에 접촉하도록 지지부재바닥면부(22a)에 결합된다.
헤드롤러(23)는 헤드바디측면부(21b)와 지지부재측면부(22b)사이에서 롤러축(44)에 하나씩 결합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흡입헤드(20)는 연결관(24)이 흡입관(13)에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흡입헤드(20)는 흡입공(21c)이 흡입관(13)에 연통하게 된다.
헤드지지부(60)는 본체(11)에 결합된 본체고정브라켓트(70)와, 흡입헤드(20)에 결합된 헤드고정브라켓트(80)를 갖고 있다.
본체고정브라켓트(70)는 본체브라켓트바디부(71)와, 본체브라켓트바디부(71)로부터 연장형성된 지지면부(72)와, 지지면부(72)로부터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상하방향삽입판(73)을 갖고 있다.
본체브라켓트바디부(71)는 인접하는 양 모서리 영역이 절취된 직사각형 형태의 본체고정판(71a)과, 본체고정판(71a)으로부터 하향계단을 이루도록 연장 형성된 계단부(71b)와, 본체고정판(71a)의 절취된 양 모서리 영역에서 본체고정판(71a)의 판면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지지벽부(71c)를 갖고 있다.
지지면부(72)는 본체고정판(71a)의 판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계단부(71b)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다.
각 상하방향삽입판(73)에는 지지면부(72)에 대한 동일한 수직이격거리와 상하방향삽입개구부(82)의 중심축선(T) 사이와 동일한 수평이격거리를 갖는 지지홈(73a)이 하나씩 상단으로부터 절취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상하방향삽입판(73)은 지지홈(73a)의 좌측영역(도6 기준)이 절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체브라켓트바디부(71)는 본체고정판(71a)을 통해 본체(11)의 저면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본체브라켓트바디부(71)가 본체(1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삽입판(73)이 지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헤드고정브라켓트(80)는 헤드브라켓트바디부(81)와, 헤드브라켓트바디부(81)의 일표면에 상호 나란하게 형성된 한 쌍의 상하방향삽입개구부(82)를 갖고 있다.
헤드브라켓트바디부(81)는 디귿자 홈형강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헤드브라켓트바디부(81)는 중간면에 4개의 고정장공(81a)이 형성되어 있다.
각 상하방향삽입개구부(82)는 디귿자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양단에 고정리브(82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각 상하방향삽입개구부(82)는 헤드브라켓트바디부(81)의 본체고정브라켓트(71)에 대향하는 영역에서 고정리브(82a)가 고정장공(81a)에 진입하도록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헤드고정브라켓트(80)는 헤드브라켓트바디부(81)가 흡입헤드(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헤드바디바닥면부(21a)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헤드고정브라켓트(80)가 흡입헤드(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삽입개구부(82)의 개구가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헤드고정브라켓트(80)가 흡입헤드(20)에 결합되고 본체고정브라켓트(70)가 본체(1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삽입개구부(82)가 본체고정브라켓트(70)를 향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상하방향삽입판(73)이 하방향으로부터 상하방향삽입개구부(82)를 통과하고 상하방향삽입개구부(82)가 지지면부(72)에 지지되도록 헤드고정브라켓트(80)를 본체고정브라켓트(70)에 결합시키면 흡입헤드(20)는 본체(11)에 지지되고 흡입헤드(20)는 본체(11)와 함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흡입작동부(14)는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팬과 팬을 회전구동하는 모터 등을 가지고 팬을 회전시킬 때 발생하는 본체(11)의 내부와 외부에 압력차에 의해 흡입공(21c)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배기공(11a)을 통해 본체(11)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작동한다.
흡입공(21c)을 통해 흡입된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은 배기공(11a)을 통해 본체(11)의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소정의 필터링수단에 의해 제거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9 및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결관(24)에 흡입관(13)을 설치한다.
다음에 상하방향삽입개구부(82)가 지지면부(72)에 지지되도록 헤드고정브라켓트(80)를 본체고정브라켓트(70)에 결합시킨다. 상하방향삽입개구부(82)가 지지면부(72)에 지지되면 청소블레이드(32)는 바닥면에 접촉된다(도3 참조).
다음에 청소블레이드(32)는 바닥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흡입작동부(14)를 구동시켜 청소작업을 실시한다.
청소작업이 완료되면 상하방향삽입개구부(82)가 지지홈(73a)에 지지되도록 헤드고정브라켓트(80)와 본체고정브라켓트(70)의 결합상태를 변경한다(도9 참조).
상하방향삽입개구부(82)가 지지홈(73a)에 지지되면 청소블레이드(32)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다(도10 참조). 청소블레이드(32)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흡입헤드(2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하방향삽입판(73)이 지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본체고정브라켓트(70)를 본체(11)에 결합하는 한편, 상하방향삽입개구부(82)를 헤드브라켓트바디부(81)의 본체고정브라켓트(70)에 대향하는 영역에 형성하고 상하방향삽입개구부(82)가 본체고정브라켓트(70)를 향하도록 헤드고정브라켓트(80)를 흡입헤드(20)에 결합시킴으로써, 청소작업 중 본체(11)를 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흡입헤드(20)를 함께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반복되는 청소작업에 의해 청소블레이드(32)가 마모되더라도 흡입헤드(20)가 본체(11)와 함께 이동하는 동안 청소블레이드(32)의 바닥면 접촉 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청소블레이드의 마모량만큼 흡입헤드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상하방향삽입개구부가 지지면부에 지지됨).
그리고 한 쌍의 상하방향삽입판(73)의 상단을 절취하여 지지홈(73a)을 형성함으로써, 청소작업 완료 후 본체(11)를 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흡입헤드(20)를 함께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홈(73a)의 좌측영역과 우측영역 중 어느 한 쪽을 절취함으로써, 상하방향삽입개구부(82)를 용이하게 지지홈(73a)에 진입시킬 수 있게 된다.
11, 111 : 본체 13, 113 : 흡입관
14, 114 : 흡입작동부 20, 120 : 흡입헤드
21 : 헤드바디부 22 : 지지부재
23 : 헤드롤러 24, 124 : 연결관
30 : 청소블레이드부 31 : 블레이드홀더
32 : 청소블레이드 40 : 이탈방지부재
60, 160 : 헤드지지부 70, 161 : 본체고정브라켓트
71 : 본체브라켓트바디부 72 : 지지면부
73 : 상하방향삽입판 80, 162 : 헤드고정브라켓트
81 : 헤드브라켓트바디부 82 : 상하방향삽입개구부

Claims (3)

  1. 배기공과 흡입관공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본체와, 흡입관공에 연통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흡입관과, 흡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입공이 상기 흡입관에 연통하도록 상기 흡입관의 종단에 연결된 흡입헤드와, 상기 본체에 결합된 본체고정브라켓트와 상기 흡입헤드에 결합된 헤드고정브라켓트를 가지고 상기 본체고정브라켓트와 상기 헤드고정브라켓트의 결합동작을 통해 상기 흡입헤드가 상기 본체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헤드를 상기 본체에 대하여 지지하는 헤드지지부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팬과 상기 팬을 회전구동하는 모터를 가지고 상기 팬의 회전동작시 발생하는 상기 본체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상기 흡입공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배기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작동하는 흡입작동부를 갖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고정브라켓트는 본체브라켓트바디부와 상기 본체브라켓트바디부로부터 연장형성된 지지면부와 상기 지지면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상하방향삽입판을 가지고, 상기 상하방향삽입판이 지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브라켓트바디부를 통해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헤드고정브라켓트는 헤드브라켓트바디부와 상기 헤드브라켓트바디부의 상기 본체고정브라켓트에 대향하는 영역에 상호 나란하게 형성되고 각각 디귿자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한 쌍의 상하방향삽입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상하방향삽입개구부의 개구가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헤드브라켓트바디부를 통해 상기 흡입헤드에 결합되며;
    상기 헤드지지부는 상기 상하방향삽입개구부가 상기 본체고정브라켓트를 향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상하방향삽입판이 하방향으로부터 상기 상하방향삽입개구부를 통과하고 상기 상하방향삽입개구부가 상기 지지면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헤드고정브라켓트를 상기 본체고정브라켓트에 결합시키는 동작을 통해 상기 흡입헤드가 상기 본체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헤드를 상기 본체에 대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상하방향삽입판에는 각각 상기 지지면부에 대한 동일한 수직이격거리와 상기 상하방향삽입개구부의 중심축선 사이와 동일한 수평이격거리를 갖는 지지홈이 하나씩 상단으로부터 절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상하방향삽입판 중 일방은 상기 지지홈의 좌측영역과 우측영역 중 어느 한 쪽이 절취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상하방향삽입판 중 타방은 상기 지지홈의 좌측영역과 우측영역 중 상기 일방의 상하방향삽입판과 같은 쪽 영역이 절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2020140008669U 2014-11-26 2014-11-26 진공청소기 Expired - Lifetime KR2004786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669U KR200478687Y1 (ko) 2014-11-26 2014-11-26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669U KR200478687Y1 (ko) 2014-11-26 2014-11-26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687Y1 true KR200478687Y1 (ko) 2015-11-05

Family

ID=54704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669U Expired - Lifetime KR200478687Y1 (ko) 2014-11-26 2014-11-26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687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7585B2 (ja) 2003-05-26 2007-05-23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真空清掃機
KR100877369B1 (ko) 2007-11-22 2009-01-07 조정옥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JP2009504306A (ja) 2005-08-18 2009-02-05 株式会社大宇エレクトロニクス キャニスタ型に転換可能なアップライト型掃除機の本体装着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7585B2 (ja) 2003-05-26 2007-05-23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真空清掃機
JP2009504306A (ja) 2005-08-18 2009-02-05 株式会社大宇エレクトロニクス キャニスタ型に転換可能なアップライト型掃除機の本体装着構造
KR100877369B1 (ko) 2007-11-22 2009-01-07 조정옥 스퀴즈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8033B2 (ja) ロボット掃除機
CN110430796B (zh) 机器人清洁器和用于机器人清洁器的维护装置
KR100809738B1 (ko) 진공청소기
KR200478687Y1 (ko) 진공청소기
JP5213570B2 (ja) 電気掃除機
JP6357645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KR101986565B1 (ko) 물필터청소기
KR101632921B1 (ko) 물필터청소기
KR101331719B1 (ko) 청소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청소기
KR20070021471A (ko) 진공 청소기의 필터 장착구조
JP2008106393A (ja) 繊維機械における集塵綿処理装置
JP2017006185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具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4421453B2 (ja) アップライト式の電気掃除機
JP3656816B2 (ja) 吸込口体及び電気掃除機
JP2001149281A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2007289570A (ja) 掃除機の吸込具
KR101143723B1 (ko) 물청소 겸용 진공 청소기
JP5623158B2 (ja) 電気掃除機
JP2017144037A (ja) 自律型電気掃除機
US20190239705A1 (en) Suction tool and electric vacuum cleaner
KR102105895B1 (ko) 석션박스 클린 지그장치
JP2011032076A (ja) 乗客コンベアのステップ清掃器
KR101291467B1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KR20060057752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KR101208552B1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4112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04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6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50206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50427

U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code: UJ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28

Patent event code: UJ02011S01I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27

Appeal identifier: 2015101002978

Request date: 20150528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50922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528

Effective date: 2015092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U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date: 20150922

Patent event code: UJ13011S01D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5101002978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50922

Request date: 20150528

U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50528

Decision date: 20150922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U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code: US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100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S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922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Decision date: 20150922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5052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0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5103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5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