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619Y1 - Wall mount bracket - Google Patents
Wall mount brack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8619Y1 KR200478619Y1 KR2020130008493U KR20130008493U KR200478619Y1 KR 200478619 Y1 KR200478619 Y1 KR 200478619Y1 KR 2020130008493 U KR2020130008493 U KR 2020130008493U KR 20130008493 U KR20130008493 U KR 20130008493U KR 200478619 Y1 KR200478619 Y1 KR 20047861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plate
- fastening
- assembling
- assembling bolt
- bol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2012/106—Connection bolts for connection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 장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 1 물체의 벽면에 부착된 상태로 제 2 물체와 결합하여 제 1 물체와 제 2 물체를 서로 접촉시켜 고정시키는 벽 장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벽 장착 브라켓은 제 1 물체의 표면에 그 일면이 밀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 또는 내부면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랜지로 구성된 플랜지부 및 제 2 물체를 상기 제 1 물체와 조립하기 위한 조립용 볼트가 삽입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 mounting brack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ll mounting bracket that is engaged with a second object while being attached to a wall surface of a first object to fix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in contact with each other.
A wall mount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late having one surface thereof closely contacted with a surface of a first object, a flange portion including at least one flange formed by bending a part of a side surface or an inn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a fastening portion into which an assembling bolt for assembling the object with the first object is inserted.
Description
본 고안은 벽 장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 1 물체의 벽면에 부착된 상태로 제 2 물체와 결합하여 제 1 물체와 제 2 물체를 서로 접촉시켜 고정시키는 벽 장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 mounting brack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ll mounting bracket that is engaged with a second object while being attached to a wall surface of a first object to fix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in contact with each other.
2개의 물체를 서로 조립하기 위하여 브라켓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물체의 모양, 크기 및 조립 형태에 따라 브라켓의 모양, 크기 및 재질 등이 결정될 수 있는데, 브라켓은 물체가 조립된 형태를 유지하고 있음에 작용하고 있는 힘에 의하여 그 형태가 변형되지 않는 재질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Brackets can be used to assemble the two objects together. On the other hand, the shape, size and material of the bracket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hape, size and assembly form of the object. The bracket is made of a material that does not deform its shape due to the force acting on the object. .
즉, 물체를 조립함에 있어서 2개의 물체를 서로 견고하게 밀착시키기 위하여 힘이 발생할 수 있는데, 브라켓은 이러한 힘에 의해서도 그 형태가 변형되지 않아야 하는 것이다.That is, in assembling an object, a force may be generated to firmly adhere two objects to each other, and the bracket must not be deformed in shape by this force.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브라켓의 두께를 두껍게 구현할 수 있으나, 그러한 경우 불필요한 자재의 낭비가 발생할 수 있으며, 2개의 물체를 조립함에 있어서 다수의 브라켓을 필요로 하는 경우 조립체의 하중이 증가할 수도 있게 된다.In order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bracke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bracket. However, in such a case, unnecessary material may be wasted, and when a plurality of brackets are required for assembling two objects, do.
또한, 브라켓은 단순히 그 강도뿐만 아니라 물체를 조립 및 해제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bracket has a shape capable of not only the strength but also the ease of assembling and releasing the object.
따라서, 적은 자재를 이용하면서도 물체간의 조립에 의해 발생되는 힘을 지탱하고, 용이한 조립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고안의 등장이 요구된다.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 design that can support the force generated by assembling between objects while using a small amount of material, and can perform easy assembling work.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34499호 (1999.05.15)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99-0034499 (May 15, 1999)
본 고안은 적은 자재를 이용하면서도 물체간의 조립에 의해 발생되는 힘을 지탱하고, 용이한 조립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ort a force generated by assembling between objects while using a small amount of material, and to perform an easy assembling work.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벽 장착 브라켓은 제 1 물체의 표면에 그 일면이 밀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 또는 내부면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랜지로 구성된 플랜지부 및 제 2 물체를 상기 제 1 물체와 조립하기 위한 조립용 볼트가 삽입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wall mount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late having one surface thereof closely attached to a surface of a first object, at least one or more And a fastening portion into which a fastening bolt for assembling the second object with the first object is inserted.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벽 장착 브라켓에 따르면 적은 자재를 이용하면서도 물체간의 조립에 의해 발생되는 힘을 지탱하고, 용이한 조립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wall mounting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support a force generated by assembling between objects while using a small amount of material, and can perform an easy assembling work.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벽 장착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벽 장착 브라켓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볼트 및 조립용 너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볼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너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벽 장착 브라켓에 조립용 볼트, 조립용 너트 및 고정용 너트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벽 장착 브라켓이 물체의 벽면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벽 장착 브라켓이 이용되어 2개의 물체가 조립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ll mount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wall mount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assembling bolt and an assembling n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assembling bo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 fixing n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the assembling bolt, the assembling nut, and the fixing nut coupled to the wall mounting brack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8 are views showing the wall mounting brack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ing coupled to a wall surface of an object.
9 is a view illustrating the assembly of two objects using a wall mount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owner of the category of design, and the desig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that i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벽 장착 브라켓의 사시도로서, 벽 장착 브라켓(10)은 베이스 플레이트(100), 플랜지부(200) 및 체결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ll mount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물체의 표면에 그 일면이 밀착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2개의 물체를 서로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2개 중 하나의 물체의 표면에 그 일면이 밀착되는 것이다.The
따라서, 물체의 표면과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표면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물체의 표면 및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표면이 모두 평면이거나 대응되는 형상의 곡면일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일면이 밀착되는 물체를 제 1 물체라 한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of the object and the surface of the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기다란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장축 양단에서 내측으로 힘이 가해지면 그 힘의 크기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00)가 휘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벽 장착 브라켓(10)은 플랜지부(200)를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the
플랜지부(20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측면 또는 내부면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랜지(211, 212, 213, 230) 및 천공 보강부(220)로 구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표면에 플랜지(211, 212, 213, 230) 및 천공 보강부(220)가 접합된 상태로 형성됨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휨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The
플랜지(211, 212, 213, 230) 및 천공 보강부(22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측면 또는 내부면의 일부가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질을 갖는 별도의 부재가 접합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The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벽 장착 브라켓의 평면도로서, 베이스 플레이트(100)상에 플랜지(211, 212, 213, 230) 및 천공 보강부(220)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FIG. 2 is a plan view of a wall mount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플랜지(211, 212, 213, 230) 및 천공 보강부(22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측면 경계를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일부를 절단한 이후에 절단 경계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일부를 천공한 이후에 천공 경계를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The
플랜지부(200)는 복수의 플랜지(211, 212, 213, 230) 및 천공 보강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플랜지부(200)는 서로 평행하지 않은 적어도 둘 이상의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경계면을 따라 형성된 서로 직각인 플랜지(212, 213)가 구비될 수 있으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장축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갖는 사선 방향의 플랜지(211)가 구비될 수도 있다.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또한, 플랜지부(200)는 곡선 형태의 플랜지(230)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곡선은 단순한 원 또는 타원이 아닌 기하학적 형태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200)는 천공 형태의 천공 보강부(22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천공 형태도 다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기하학적 형태일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플랜지부(20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양면 중 제 1 물체에 밀착하지 않는 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 1 물체의 형상에 따라 제 1 물체에 밀착하는 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The
다시 도 1을 설명하면, 체결부(30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밀착된 물체를 또 다른 물체(이하, 제 2 물체라 한다)와 조립하기 위한 조립용 볼트(500)가 삽입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체결부(300)에는 조립용 볼트(500)가 관통하는 체결공(311, 321)이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1, the fastening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용 볼트 및 조립용 너트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n assembling bolt and an assembling n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조립용 볼트(500)는 체결부(300)의 체결공(311, 321)에 삽입되어 그 말단이 제 2 물체와 결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조립용 볼트(500)의 적어도 일단은 제 2 물체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그 타단은 조립용 볼트(500)를 회전시키기 위한 홈이 구비되거나 홈(610)이 구비된 조립용 너트(610)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조립용 볼트(500)의 전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The assembling
이에 따라, 사용자는 조립용 볼트(500)를 체결부(300)에 삽입시킨 이후에 홈을 이용하여 조립용 볼트(500)를 회전시킴으로써 조립용 볼트(500)가 제 2 물체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 2 물체에는 조립용 볼트(500)의 나사산이 결합되는 나사홈(미도시)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물체의 나사홈에 조립용 볼트(500)의 나사산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조립용 볼트(500)의 해당 말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의 형태(510)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insert the assembling
다시 도 1을 설명하면, 체결부(30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측면 또는 내부면이 절곡되어 서로 마주보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체결 플레이트(310, 320)를 포함하는데, 적어도 2개 이상의 체결 플레이트(310, 320) 각각은 조립용 볼트(500)가 관통하는 체결공(311, 321)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은 2개의 체결 플레이트(310, 320)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이상의 체결 플레이트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Referring again to FIG. 1, the
또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체결 플레이트 중 서로 인접한 체결 플레이트의 사이에 삽입되어 조립용 볼트(500)가 관통하는 고정용 너트(700)가 구비될 수 있는데, 도 5는 이를 나타내고 있다.In addition, a fixing
고정용 너트(700)는 서로 인접한 체결 플레이트(310, 320)간의 거리에 대응하여 그 길이가 결정되는데, 서로 인접한 체결 플레이트(310, 320)의 표면간 거리가 고정용 너트(700)의 길이일 수 있다.The length of the fixing
이에 따라 서로 인접한 체결 플레이트(310, 320)의 사이에 삽입된 고정용 너트(700)로 인하여 서로 인접한 체결 플레이트(310, 320) 중 하나에 힘이 작용하더라도 고정용 너트(700)를 경유하여 나머지 하나의 체결 플레이트로 힘이 전달됨으로써 발생된 힘이 분산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Even if a force acts on one of the
이와 같이, 체결부(300)는 제 1 물체와 제 2 물체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용 볼트(500)가 삽입되어 조립용 볼트(500)의 말단이 제 2 물체에 결합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고정용 너트(700)의 내부면에는 나사홈(710)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조립용 볼트(500)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어 조립용 볼트(50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며 조립용 볼트(50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벽 장착 브라켓에 조립용 볼트, 조립용 너트 및 고정용 너트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the assembling bolt, the assembling nut, and the fixing nut coupled to the wall mounting brack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조립용 볼트(500)는 2개의 체결 플레이트(310, 320)에 구비된 체결공(311, 321)과 고정용 너트(700)를 동시에 관통하여 그 일측 말단은 제 2 물체를 향하고 나머지 말단에는 조립용 너트(610)가 결합된다. 조립용 볼트(500)와 조립용 너트(610)는 나사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용 너트(700)의 내부면에는 나사홈(710)이 구비되어 있고, 해당 나사홈(710)과 조립용 볼트(500)의 나사산이 나사 결합될 수 있는데, 일단 고정용 너트(700)와 조립용 볼트(500)가 나사 결합되면 장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As described above, the
따라서, 고정용 너트(700)와 조립용 볼트(500)가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조립용 볼트(500)의 말단이 제 2 물체와 결합하게 되면 조립용 볼트(500)를 경유하여 제 2 물체를 벽 장착 브라켓(10)의 방향으로 끌어 당기는 힘이 지속적으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제 1 물체와 제 2 물체간의 조립이 구현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end of the assembling
한편, 조립용 볼트(5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조립용 너트(610)가 조립용 볼트(500)에 결합됨에 따라 조립용 볼트(500)와 조립용 너트(610)간에 단차가 형성되는데, 해당 단차가 체결 플레이트(320)에 접촉하게 되는 경우 조립용 볼트(500)가 제 2 물체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A step is formed between the assembling
이와 같이, 조립용 볼트(500)가 제 2 물체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 상태로 조립용 볼트(500)를 제 2 물체와 나사 결합하게 되면, 조립용 볼트(500)를 회전시킴에 따라 제 2 물체가 벽 장착 브라켓(10)쪽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제 1 물체와 제 2 물체간의 밀착된 조립이 수행될 수도 있다.When the assembling
조립용 볼트(500)와 조립용 너트(610)간의 단차를 이용한 제 1 물체와 제 2 물체의 조립을 위하여 단차에서부터 조립용 볼트(500)의 말단까지의 적절한 길이가 결정될 수 있으며, 이 때 고정용 너트(700)의 내부면에는 나사홈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도 무방하다.An appropriate length from the step to the end of the assembling
다시 도 1을 설명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제 1 물체와의 결합을 위한 마운트 홀(400)을 포함하는데, 마운트 홀(400)은 제 1 물체의 표면에 형성된 고정 부재(810)의 헤드(811)가 삽입되는 헤드 삽입공(410) 및 헤드(811)가 삽입된 상태로 고정 부재(81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헤드 삽입공(410)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장공(420)을 포함한다.Referring again to FIG. 1, the
도 7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벽 장착 브라켓이 물체의 벽면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7 to 8 are views showing the wall mounting brack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ing coupled to a wall surface of an object.
도 7의 확대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 1 물체(800)의 표면에는 고정 부재(810)가 구비될 수 있는데, 고정 부재(810)는 몸체(812) 및 헤드(8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7, the surface of the
제 1 물체(800)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있는 고정 부재(810)의 헤드(811)를 헤드 삽입공(410)에 삽입시키고 고정 부재(810)의 몸체가 장공(420)을 따라 슬라이드 되도록 벽 장착 브라켓(10)을 이동시킴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100)가 제 1 물체(800)의 표면에 밀착 고정된다.The
이를 위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두께만큼 고정 부재(810)의 몸체가 제 1 물체(800)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the body of the fixing
도 7은 고정 부재(810)의 헤드(811)가 헤드 삽입공(410)에 삽입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고정 부재(810)의 몸체가 장공(420)을 따라 이동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that the
한편, 도 7 및 도 8은 2개의 고정 부재(810)와 2개의 마운트 홀(400)이 결합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개수의 고정 부재(810) 및 마운트 홀(400)이 결합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7 and 8 illustrate that the two fixing
또한, 도 7 및 도 8은 고정 부재(810)와 마운트 홀(400)간의 직선 슬라이드 결합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곡선 슬라이드 결합이 수행되도록 고정 부재(810)와 마운트 홀(400)이 구비될 수도 있다.7 and 8 show a linear slide coupling between the fixing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벽 장착 브라켓이 이용되어 2개의 물체가 조립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자 형태인 제 1 물체(800)와 판형인 제 2 물체(900)를 조립하기 위하여 복수의 벽 장착 브라켓(10)이 이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illustrating how two objects are assembled using a wall mount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ssemble a
복수의 벽 장착 브라켓(10)은 제 1 물체(800)의 일측면을 둘러싸는 4개의 외부면에 배치되는데, 복수의 벽 장착 브라켓(10)에 구비된 조립용 볼트(500)의 말단이 제 2 물체(900)를 향하도록 평행하게 배치된다.The plurality of
그리하여, 조립용 볼트(500)를 회전시킴으로써 조립용 볼트(500)와 제 2 물체(900)간의 나사 결합이 수행되고, 이에 따라 제 1 물체(800)와 제 2 물체(900)간의 견고한 조립이 수행된다.Thus, by rotating the assembling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understoo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베이스 플레이트 200: 플랜지부
300: 체결부 400: 마운트 홀100: base plate 200: flange portion
300: fastening part 400: mount hole
Claims (11)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 또는 내부면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랜지 및 천공 보강부로 구성된 플랜지부; 및
제 2 물체를 상기 제 1 물체와 조립하기 위한 조립용 볼트가 삽입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 또는 내부면이 절곡되어 서로 마주보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체결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체결 플레이트 각각은 상기 조립용 볼트가 관통하는 체결공을 포함하며,
상기 조립용 볼트는 상기 제 1 물체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밀착되는 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는 벽 장착 브라켓.A base plate having one surface of the first object closely contacted with the surface of the first object;
A flange portion formed by at least one flange and a perforation reinforcing portion formed by bending a part of a side surface or an inn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And a fastening portion into which an assembling bolt for assembling the second object with the first object is inserted,
Wherein the fastening portion includes at least two fastening plates that are bent on the side or inner surface of the base plate,
Wherein each of the at least two fastening plates includes a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the fastening bolt passes,
Wherein the assembling bolt passes through the fastening hole in parallel with the face on which the first object and the base plate come into close contact.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체결 플레이트 중 서로 인접한 체결 플레이트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조립용 볼트가 관통하는 고정용 너트를 더 포함하는 벽 장착 브라켓.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xing nut inserted between the adjacent fastening plates of the at least two fastening plates to allow the fastening bolts to pass therethrough.
상기 고정용 너트는 상기 서로 인접한 체결 플레이트간의 거리에 대응하여 그 길이가 결정되는 벽 장착 브라켓.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length of the fixing nut is determined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fastening plates.
상기 플랜지 및 천공 보강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 또는 내부면의 일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벽 장착 브라켓.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ange and the puncture enhancing portion are formed by bending a part of a side surface or an inner surface of the base plat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surface of the base plate.
상기 플랜지부는 서로 평행하지 않은 적어도 둘 이상의 플랜지를 포함하는 벽 장착 브라켓.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ange portion includes at least two flanges that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상기 플랜지부는 곡선 형태의 플랜지를 포함하는 벽 장착 브라켓.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ange portion comprises a curved flange.
상기 조립용 볼트의 적어도 일단은 상기 제 2 물체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립용 볼트의 타단은 상기 조립용 볼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홈이 구비되거나 상기 홈이 구비된 너트가 결합되는 벽 장착 브라켓.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end of the assembling bolt is formed with a thread for engagement with the second object,
And the other end of the assembling bolt is provided with a groove for rotating the assembling bolt, or a nut having the groove is engaged.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물체와의 결합을 위한 마운트 홀을 포함하는데,
상기 마운트 홀은 상기 제 1 물체의 표면에 형성된 고정 부재의 헤드가 삽입되는 헤드 삽입공; 및
상기 헤드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고정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헤드 삽입공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장공을 포함하는 벽 장착 브라켓.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plate includes a mount hole for coupling with the first object,
Wherein the mount hole comprises: a head insertion hole into which a head of a fixing member formed on a surface of the first object is inserted; And
And a slot formed to extend to one side of the head insertion hole to guide movement of the fixing member in a state where the head is inserted.
상기 고정 부재의 헤드의 직경은 상기 장공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고정 부재의 몸체의 직경보다 큰 벽 장착 브라켓.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iameter of the head of the fixing member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dy of the fixing member moving along the slo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8493U KR200478619Y1 (en) | 2013-10-16 | 2013-10-16 | Wall mount brack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8493U KR200478619Y1 (en) | 2013-10-16 | 2013-10-16 | Wall mount bracke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1562U KR20150001562U (en) | 2015-04-24 |
KR200478619Y1 true KR200478619Y1 (en) | 2015-10-28 |
Family
ID=53036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8493U Expired - Fee Related KR200478619Y1 (en) | 2013-10-16 | 2013-10-16 | Wall mount bracke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8619Y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47513A (en) | 2002-02-27 | 2003-09-05 | Denso Corp | Mounting structure to member to be mounted of heavy object |
JP2007063018A (en) | 2005-08-03 | 2007-03-15 | Tadao Kodera | Vehicle lifter |
-
2013
- 2013-10-16 KR KR2020130008493U patent/KR200478619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47513A (en) | 2002-02-27 | 2003-09-05 | Denso Corp | Mounting structure to member to be mounted of heavy object |
JP2007063018A (en) | 2005-08-03 | 2007-03-15 | Tadao Kodera | Vehicle lif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1562U (en) | 2015-04-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769610B1 (en) | A coupling device, associated parts and a method of use thereof | |
US9828151B2 (en) | Securing mechanism | |
KR20160045585A (en) | Fastening element and assembly with such a fastening element and a receiving element | |
EP3373108B1 (en) | Bracket for fixing electronic device and mechanism for fixing electronic device | |
EP3078263A1 (en) | Fixing structure for fishing line guide, and fishing rod | |
KR200454183Y1 (en) | Heat Sink with Radial Fins | |
US20080244876A1 (en) | Hose clamp | |
JP2015116060A (en) | Wiring fixing member with band part and wire harness with fixing member | |
KR200478619Y1 (en) | Wall mount bracket | |
JP2008193794A (en) | Fixture on wall hole | |
JP6647718B2 (en) | Sheet retainer | |
KR20200008865A (en) | A device for connecting two profiles in orthogonal direction | |
JP6851850B2 (en) | Sheet-shaped member fixture | |
CN209904020U (en) | Combination mandrel for fiber tube braiding | |
JP4748821B2 (en) | Connecting device for corner part of frame structure | |
EP2662571B1 (en) | Fan frame | |
JP6841192B2 (en) | Wire harness fixing structure | |
JP5798080B2 (en) | Wiring fixture mounting body and installation method of wiring fixture mounting body | |
JP5513298B2 (en) | Arrangement body fixing tool | |
JP4590242B2 (en) | Method for fastening parts in holes provided in a metal plate | |
JP5714639B2 (en) | Ring screw reinforcement bracket | |
JP6925845B2 (en) | Extra length absorption structure of harness | |
JP2013104537A (en) | Fixture tool | |
JP6193658B2 (en) | Clamping tool | |
JP6395450B2 (en) | Opening frame forming frame memb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1016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50223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8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510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51023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220802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