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78606Y1 - 자동 쌀 세척 밥통 - Google Patents

자동 쌀 세척 밥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606Y1
KR200478606Y1 KR2020150002894U KR20150002894U KR200478606Y1 KR 200478606 Y1 KR200478606 Y1 KR 200478606Y1 KR 2020150002894 U KR2020150002894 U KR 2020150002894U KR 20150002894 U KR20150002894 U KR 20150002894U KR 200478606 Y1 KR200478606 Y1 KR 2004786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ot
rice
washing
rotation
ro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8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준화
Original Assignee
송준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준화 filed Critical 송준화
Priority to KR20201500028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6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6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60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자동 쌀 세척 밥솥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자동 쌀 세척 밥솥은, 내솥과, 내솥을 밀폐하는 커버 플레이트가 마련된 밥솥 본체; 밥솥 본체에 마련되어 내솥에 보관되는 쌀을 세척하는 데 필요한 세척수와 기포를 내솥의 내부로 공급하는 세척 유체 급배수부; 밥솥 본체에 마련되어 내솥에 저장되는 쌀이 세척되도록 내솥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 및 커버 플레이트에 마련되며,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라인과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 공급라인이 마련되는 회동 로드를 쌀을 세척 시 내솥의 중앙 바닥부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쌀 세척 밥통{RICE WASHING COOKER}
본 고안은, 자동 쌀 세척 밥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솥에 안치되는 쌀을 자동으로 씻을 수 있는 자동 쌀 세척 밥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밥을 짓기 위해 쌀을 세척할 경우, 쌀을 담기 위한 용기에 쌀과 세척수를 넣고 용기에 손을 투입한 후 세척수와 쌀의 유동마찰에 의해 쌀을 세척하도록 하는 것과 동시에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는 용기를 옆으로 기울여 버리도록 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취사를 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직접 쌀통에서 쌀을 꺼내 용기에 담고, 물로 여러 번 세척을 한 후 일반 전기밥솥이나 압력밥솥으로 옮겨 담고, 밥의 종류에 따라 물을 맞춘 다음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하여 취사토록 하고 있다.
종래의 취사 방법은 사람이 일일이 쌀을 옮겨 담아야 하고 세척도 해야 하며, 단순히 취사만 전기밥솥 등에 의해 행하게 되므로 맞벌이 부부나 독신자 및 노약자, 어린이 등은 제시간에 밥을 해서 섭취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쌀통과 밥솥을 결합한 기술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 쌀통에서 정량으로 공급되는 쌀을 세미(洗米)수단에 의해 세척하고, 세척된 쌀과 밥을 하기 위한 물을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되는 밥솥에 공급되도록 하여 쌀의 공급에서부터 세척과 밥의 짓기까지 사람의 손이 가지 않도록 한 무인 자동 취사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전의 무인 자동 취사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쌀통에서 쌀을 하부로 공급하고 이를 다시 세척하여 하부 밥솥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종으로 길게 구성함으로써 외형 자체가 상하 길이방향으로 길어져 싱크대나 테이블에 올려놓고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하부 밥솥의 탈부착을 계속적으로 할 경우 결합 부위가 쉽게 부서져 장치 자체의 수명이 단축되는 등 제반 문제점을 다량으로 내포하고 있어서 실제로 제품화되지 못하고 있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0445600호(니카니시 야스오) 2004. 08. 13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간단한 구성으로 효율적으로 쌀을 세척할 수 있고, 밥을 지을 수 있는 자동 쌀 세척 밥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솥과, 상기 내솥을 밀폐하는 커버 플레이트가 마련된 밥솥 본체; 상기 밥솥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내솥에 보관되는 쌀을 세척하는 데 필요한 세척수와 기포를 상기 내솥의 내부로 공급하는 세척 유체 급배수부; 상기 밥솥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내솥에 저장되는 쌀이 세척되도록 상기 내솥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마련되며,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라인과 상기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 공급라인이 마련되는 회동 로드를 쌀을 세척 시 상기 내솥의 중앙 바닥부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 구동부를 포함하는 자동 쌀 세척 밥솥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세척 유체 급배수부는, 상기 회동 구동부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쌀을 세척 전에는 상기 내솥의 외부에 배치되며, 쌀을 세척 시 상기 내솥의 중앙 바닥부 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 로드; 상기 밥솥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회동 로드를 통해 상기 내솥으로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 저장부; 및 상기 회동 로드를 통해 상기 내솥의 내부로 쌀을 씻는 데 필요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 라인과, 쌀의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를 밭솥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라인이 구비된 세척수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내솥의 저면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플레이트; 상기 회전 플레이트와 연결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축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솥의 전면부에는 복수의 회전지지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상면부에는 상기 복수의 회전지지돌기가 삽입되는 복수의 지지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회동 구동부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부에 마련되며, 일단부에 상기 회동 로드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베이스 로드; 상기 회동 로드에 마련되는 피동 베벨기어; 및 상기 피동 베벨기어와 기어 맞물림 되는 구동 베벨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회전 구동부에 의해 내솥을 회전시킴과 함께 기포를 공급하여 쌀을 세척하므로 효율적으로 쌀을 세척할 수 있다.
또한 구성이 간단하여 고장의 염려가 적으므로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예 따른 자동 쌀 세척 밥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내솥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세척 유체 급배수부와 회동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세척 유체 급배수부의 작동도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예 따른 자동 쌀 세척 밥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내솥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세척 유체 급배수부와 회동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과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세척 유체 급배수부의 작동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쌀 세척 밥솥(1)은, 내솥(120)과 이 내솥(120)을 밀폐하는 커버 플레이트(130)가 마련된 밥솥 본체(100)와, 밥솥 본체(100)에 마련되어 내솥(120)에 보관되는 쌀을 세척하는 데 필요한 세척수와 기포를 내솥(120)의 내부로 공급하는 세척 유체 급배수부(200)와, 밥솥 본체(100)에 마련되어 내솥(120)에 저장되는 쌀이 세척되도록 내솥(120)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300)와, 커버 플레이트(130)에 마련되며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라인(230)과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 공급라인(221)이 마련되는 회동 로드(210)를 쌀을 세척 시 내솥(120)의 중앙 바닥부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 구동부(400)를 구비한다.
밥솥 본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내솥 안착부(110)가 마련되고, 내솥 안착부(110)에는 내솥(120)이 분리 가능하게 안착 된다.
본 실시 예에서 내솥(120)의 저면부에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회전지지돌기(121)가 마련되고, 이 복수의 회전지지돌기(121)는 회전 플레이트(310)에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홈(311)에 삽입 지지 된다. 따라서 회전 플레이트(31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 시 내솥(120)은 회전 플레이트(310)와 같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밥솥 본체(100)의 외벽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가 마련된다. 이 제어부(140)에는 전원 버튼과, 쌀을 씻는 회수를 설정하는 버튼, 보온 버튼, 취사 버튼 등 다양한 버튼이 마련될 수 있고, 전술한 버튼은 원 터치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스마트폰이나 리모컨 등 공지된 원거리 통신을 이용해서 작동될 수도 있다.
나아가 밥솥 본체(10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50)이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고, 내솥(120)의 상측부에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130)는 뚜껑(150)의 가압력에 의해 눌러져 내솥(120)과의 틈을 밀폐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 내솥(120)은 쌀을 세척하기 위해 일정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커버 플레이트(130)에 가해지는 가압력은 내솥(120)의 원활한 회전을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내솥 안착부(11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체(160)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가열체(160)는 자기 유도 방식에 의해 내솥(120)을 가열하는 유도 가열용 코일일 수 있다. 즉 유도 가열용 코일에 전류가 흐를 때 발생되는 자력선에 의해 내솥(120) 전체를 가열할 수 있다. 이 경우 장작불을 지피는 것처럼 강한 화력으로 가마솥 밥맛을 그대로 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세척 유체 급배수부(200)는, 쌀을 세척시에는 내솥(120)의 내부로 쌀의 세척에 필요한 세척수와 기포를 공급하고, 쌀의 세척이 끝난 뒤에는 쌀의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를 내솥(120)의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세척 유체 급배수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130)의 상면부에 배치되는 회동 로드(210)와, 밥솥 본체(100)의 내부에 마련되며 회동 로드(210)를 관통하는 기포 공급라인(221)에 의해 내솥(120)으로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 저장부(220)와, 회동 로드(210)를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내솥(120)으로 세척수를 공급하거나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를 밥솥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세척수 라인(230)을 포함한다.
세척 유체 급배수부(200)의 회동 로드(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로드(410)와 축으로 연결되며, 회동 모터(430)의 회전에 의한 구동 베벨기어(431)와 피동 베벨기어(420)의 기어 맞물림으로 베이스 로드(410)에 지지 된 채 내솥(120)의 중앙 바닥부 방향으로 회동 된다.
그 결과 세척수와 기포는 내솥(120)의 내부 바닥부에 근접되게 분사되고, 쌀의 세척 시 내솥(120)의 회전력에 의해 기포는 내솥(120)의 중앙부로부터 가장자리로 균일하게 퍼져 쌀의 세척을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세척 유체 급배수부(200)의 기포 저장부(2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포 공급라인(221)에 의해 내솥(120)으로 기포를 공급할 수 있고, 본 실시 예는 기포의 효율적인 공급을 위해 기포 저장부(220)에 저장된 기포를 내솥(120)의 중앙부로 펌핑 하는 펌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펌프는 전기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기포 저장부(220)와 인접한 밥솥 본체(10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세척 유체 급배수부(200)의 세척수 라인(2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밥솥 본체(100)의 내부에 있는 세척수를 회동 로드(210) 방향으로 공급시키는 급수 라인(231)과, 밥솥 본체(100)의 내측 바닥부에 근접되게 배치되는 회동 로드(210)에 일단부가 돌출 마련되어 쌀의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를 밥솥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 라인(232)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급수 라인(231)은 주방 싱크대의 급수 라인(231)에 연결될 수 있고, 밥솥 본체(100)의 내부에 마련되는 수위 센서(미도시)와 급수 라인(231)에 마련되는 전자 밸브(미도시)에 의해 밥솥 본체(100)의 내부에 채워지는 물은 일정 수위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배수 라인(232)은, 미 도시되었지만 밥솥 본체(100)의 외부에 마련되는 배수 펌프(미도시)의 흡입력에 의해 밥솥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배수 라인(232)은 싱크대의 배출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기포 공급라인(221)과 급수 라인(231)과 배수 라인(232)은 회전 플레이트(310)의 회전 시 꼬임을 방지하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영역이 코일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회전 구동부(300)는, 내솥(120)을 회전시켜 원심력으로 내솥(120)에 저장된 쌀을 기포와 함께 세척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회전 구동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솥 안착부(110)와 내솥(120)의 사이에 마련되어 내솥(120)의 저면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플레이트(310)와, 회전 플레이트(310)와 연결축(320)으로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되며 회전 플레이트(3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330)와, 회전 플레이트(310)와 지지 플레이트(330)를 연결하는 연결축(320)에 연결 부재(340)에 의해 연결되어 연결축(320)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350)를 포함한다.
회전 구동부(300)의 회전 플레이트(310) 상면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솥(120)의 복수의 회전지지돌기(121)가 삽입되는 복수의 지지홈(311)이 마련된다. 본 실시 예는 회전 플레이트(310)의 회전 시 내솥(120)의 회전지지돌기(121)가 회전 플레이트(310)의 지지홈(311)에 삽입된 상태로 있으므로 내솥(120)은 회전 플레이트(310)와 같이 회전될 수 있다.
회전 구동부(300)의 구동 모터(350)는, 밥솥 본체(100)의 내측 바닥부에 베어링(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고,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전기 모터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구동 모터(350)와 연결축(320)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340)는 타이밍 벨트 형태일 수 있고, 연결 부재(340)와 접촉되는 구동 모터(350)의 축과 연결 부재(340)에는 연결 부재(340)의 돌기와 맞물리는 톱니 형태의 복수의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지지 플레이트(330)의 저면부에는 지지축이 마련될 수 있고, 이 지지축의 외주면은 베어링(B)과 접촉되므로 지지 플레이트(330)의 회전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회동 구동부(400)는, 내솥(120)에 안치된 쌀을 세척하기 전에는 회동 로드(210)가 도 1에 도시된 위치에 있도록 하고, 쌀을 세척하는 경우 회동 로드(210)를 회동시켜 회동 로드(210)가 도 7에 도시된 위치에 있도록 하여 세척수와 기포의 공급, 세척수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회동 구동부(40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130)의 상면부에 마련되며 회동 로드(210)와 축으로 연결되어 회동 로드(2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 로드(410)와, 베이스 로드(410)와 반대 방향의 회동 로드(210)에 마련되는 피동 베벨기어(420)와, 피동 베벨기어(420)가 마련된 영역의 커버 플레이트(130)에 마련되며 피동 베벨기어(420)와 기어 맞물림 되는 구동 베벨기어(431)를 갖는 회동 모터(430)를 포함한다.
회동 구동부(400)의 베이스 로드(410)는, 커버 플레이트(130)의 상면부에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 될 수 있고, 회동 로드(210)가 커버 플레이트(130)의 로드홀(131)을 관통하여 하강할 때 회동 로드(210)를 축에 의한 마찰력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회동 구동부(400)의 구동 모터(350)는, 외부의 전기를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고, 구동 모터(350)에 마련되는 구동 베벨기어(431)는 피동 베벨기어(420)를 회전시킴과 아울러 구동 모터(350)의 전원 오프(off) 시 회동 로드(210)와 베이스 로드(410)가 도 3에 도시된 위치에 나란히 있도록 회동 로드(210)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역할도 한다.
이상에서 본 실시예의 작동을 전술한 도면을 참고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 예가 작동되기 전 즉 쌀을 씻기 전에는 회동 로드(210)는, 도 1에 도시되 위치 즉 내솥(120)의 내부로 내려오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쌀의 세척이 필요한 경우 급수 라인(231)을 통해 내솥(120)에 안치된 쌀로 세척수가 공급된다. 이러한 세척수는 도 2의 위치에 있는 회동 로드(210)를 도 5와 도 6의 위치를 거쳐 도 7의 위치에 위치시킨 이후에 공급될 수 있다.
일정한 양의 세척수가 공급되면 기포 저장부(220)에서 기포 공급라인(221)을 통해 내솥(120)의 중앙 바닥부로 기포를 공급하고, 회전 구동부(300)에서 내솥(120)을 회전시켜 발생 되는 원심력과 기포로 쌀을 세척한다.
쌀의 세척이 완료되면 배수 라인(232)을 통해 내솥(120)에 있는 세척수를 밥솥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 예는 회전 구동부에 의해 내솥을 회전시킴과 함께 기포를 공급하여 쌀을 세척하므로 효율적으로 쌀을 세척할 수 있다.
또한 구성이 간단하여 고장의 염려가 적으므로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자동 쌀 세척 밥통
100 : 밥통 본체 110 : 내솥 안착부
120 : 내솥 121 : 회전지지돌기
130 : 커버 플레이트 131 : 로드홀
140 : 제어부 150 : 뚜껑
160 : 가열체 200 : 세척 유체 급배수부
210 : 회동 로드 220 : 기포 저장부
221 : 기포 공급라인 230 : 세척수 라인
231 : 급수 라인 232 : 배수 라인
300 : 회전 구동부 310 : 회전 플레이트
311 : 지지홈 320 : 연결축
330 : 지지플레이트 340 : 연결 부재
350 : 구동 모터 400 : 회동 구동부
410 : 베이스 로드 420 : 피동 베벨기어
430 : 회동 모터 431 : 구동 베벨기어
B : 베어링

Claims (5)

  1. 내솥과, 상기 내솥을 밀폐하는 커버 플레이트가 마련된 밥솥 본체;
    상기 밥솥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내솥에 보관되는 쌀을 세척하는 데 필요한 세척수와 기포를 상기 내솥의 내부로 공급하는 세척 유체 급배수부;
    상기 밥솥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내솥에 저장되는 쌀이 세척되도록 상기 내솥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마련되며,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라인과 상기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 공급라인이 마련되는 회동 로드를 쌀을 세척 시 상기 내솥의 중앙 바닥부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 유체 급배수부는,
    상기 회동 구동부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쌀을 세척 전에는 상기 내솥의 외부에 배치되며, 쌀을 세척 시 상기 내솥의 중앙 바닥부 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 로드;
    상기 밥솥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회동 로드를 통해 상기 내솥으로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 저장부; 및
    상기 회동 로드를 통해 상기 내솥의 내부로 쌀을 씻는 데 필요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 라인과, 쌀의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를 밭솥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라인이 구비된 세척수 라인을 포함하는 자동 쌀 세척 밥솥.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내솥의 저면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플레이트;
    상기 회전 플레이트와 연결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축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자동 쌀 세척 밥솥.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내솥의 전면부에는 복수의 회전지지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상면부에는 상기 복수의 회전지지돌기가 삽입되는 복수의 지지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쌀 세척 밥솥.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 구동부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부에 마련되며, 일단부에 상기 회동 로드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베이스 로드;
    상기 회동 로드에 마련되는 피동 베벨기어; 및
    상기 피동 베벨기어와 기어 맞물림 되는 구동 베벨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동 모터를 포함하는 자동 쌀 세척 밥솥.
KR2020150002894U 2015-05-06 2015-05-06 자동 쌀 세척 밥통 Expired - Fee Related KR2004786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894U KR200478606Y1 (ko) 2015-05-06 2015-05-06 자동 쌀 세척 밥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894U KR200478606Y1 (ko) 2015-05-06 2015-05-06 자동 쌀 세척 밥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606Y1 true KR200478606Y1 (ko) 2015-10-26

Family

ID=54431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894U Expired - Fee Related KR200478606Y1 (ko) 2015-05-06 2015-05-06 자동 쌀 세척 밥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606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96721A (zh) * 2016-06-18 2016-10-12 中山市联润五金机械有限公司 一种可远程操作的智能电饭煲
CN108201380A (zh) * 2016-12-16 2018-06-26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清洗装置、烹饪设备和清洗方法
CN111166191A (zh) * 2020-02-10 2020-05-19 株洲田螺姑娘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米饭制备的洗米排水系统
CN112493891A (zh) * 2020-12-21 2021-03-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米装置及烹饪器具
KR20230174898A (ko) * 2022-06-22 2023-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장치
KR20230174896A (ko) * 2022-06-22 2023-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728B1 (ko) * 2003-10-22 2005-09-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자동 취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6158803A (ja) 2004-12-10 2006-06-22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炊飯器
JP4396455B2 (ja) 2004-08-31 2010-01-13 井関農機株式会社 洗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728B1 (ko) * 2003-10-22 2005-09-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자동 취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396455B2 (ja) 2004-08-31 2010-01-13 井関農機株式会社 洗米装置
JP2006158803A (ja) 2004-12-10 2006-06-22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炊飯器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96721A (zh) * 2016-06-18 2016-10-12 中山市联润五金机械有限公司 一种可远程操作的智能电饭煲
CN108201380A (zh) * 2016-12-16 2018-06-26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清洗装置、烹饪设备和清洗方法
CN111166191A (zh) * 2020-02-10 2020-05-19 株洲田螺姑娘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米饭制备的洗米排水系统
CN112493891A (zh) * 2020-12-21 2021-03-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米装置及烹饪器具
KR20230174898A (ko) * 2022-06-22 2023-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장치
KR20230174896A (ko) * 2022-06-22 2023-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장치
KR102773924B1 (ko) * 2022-06-22 2025-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장치
KR102773923B1 (ko) 2022-06-22 2025-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8606Y1 (ko) 자동 쌀 세척 밥통
US20190142216A1 (en) Cooking apparatus
CN108308978A (zh) 一种智能茶具
CN109339158B (zh) 智能灶台柜的盆体
KR100777116B1 (ko) 무인 자동 취사장치
KR200402213Y1 (ko) 무인 자동 취사장치
CN103260479B (zh) 加热烹调器和电饭锅
JP7018549B2 (ja) シェービング装置及び洗浄装置を備えたシェービングシステム
KR100994458B1 (ko) 자동 취사장치
JPWO2008149450A1 (ja) 全自動式炊飯器
CN108523654A (zh) 一种智能茶具套件
CN102172314B (zh) 电饭煲的锅清洗单元
CN109008316B (zh) 一种多功能智能灶台柜的盆体
WO2014024126A1 (en) Milk frothing device
CN218355662U (zh) 烹饪器具
CN108552895A (zh) 一种多功能智能茶具
KR200389585Y1 (ko) 무인 자동 취사장치
CN201097970Y (zh) 电动翻炒锅
CN209644677U (zh) 一种便携式的滴漏式咖啡机
KR101264390B1 (ko) 자동 취사장치
CN106256298A (zh) 一种淘米装置及其电热锅
CN208339363U (zh) 炊具
CN217524574U (zh) 烹饪器具
CN210144616U (zh) 一种锅体自动清洁装置
CN100471430C (zh) 全自动油炸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5050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12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06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5063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0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02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5102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90731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