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374Y1 - Bracket for fixing exterior pannel and buiding exterior wall - Google Patents
Bracket for fixing exterior pannel and buiding exterior wal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8374Y1 KR200478374Y1 KR2020140003439U KR20140003439U KR200478374Y1 KR 200478374 Y1 KR200478374 Y1 KR 200478374Y1 KR 2020140003439 U KR2020140003439 U KR 2020140003439U KR 20140003439 U KR20140003439 U KR 20140003439U KR 200478374 Y1 KR200478374 Y1 KR 20047837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ket
- exterior material
- wall
- exterior
- fixing brack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602 gyps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40 gyps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21—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22—Anchors, support angles or consoles
- E04F13/23—Anchors, support angles or consoles adjustabl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21—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26—Edge engaging fastening means, e.g. clamps, clips or border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장재 고정 브라켓 및 건축 외장 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설치 시 벽체면에 나란한 정면부; 정면부의 양측단에서 수직으로 연장 돌출되되, 벽체에 형성된 단열재를 관통하며 말단이 벽체에 지지되도록 톱니구조를 형성하는 측면부; 정면부에 형성되고, 벽체에 고정될 앵커가 삽입되는 앵커홀; 및 정면부에서 앵커홀의 하부에 형성되고, 외장재 지지브라켓이 정면부에 지지 고정되도록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지지 고정홀;을 포함하는 외장재 고정 브라켓이 제안된다. 또한, 외장재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는 건축 외장 벽체가 제안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rior material fixing bracket and a building exterior wa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loor panel comprising: a front portion parallel to a wall surface during installation; A side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both side ends of the front portion and passing through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formed on the wall and forming a sawtooth structure so that the ends are supported by the wall; An anchor hole formed in the front portion and into which an anchor to be fixed to the wall is inserted; And a support fixing hol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anchor hole in the front portion and in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inserted so that the brace is supported and fix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brace. Also, an architectural exterior wall including an exterior material fixing bracket is proposed.
Description
본 고안은 고정 브라켓 및 외장 벽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외장재 고정 브라켓 및 외장재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는 건축 외장 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ed bracket and an exterior wall.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exterior wall including an exterior material fixing bracket and an exterior material fixing bracket.
일반적으로 브라켓은 벽체나 지지체에 돌출되게 설치하여 다른 구조체를 받치는데 사용된다. 예컨대, 건물의 외벽에 외장재를 설치하는 경우 건물 벽체에 외장재를 고정하기 위해서 브라켓이 사용된다.In general, brackets are used to support other structures by being installed on a wall or a support. For example, when an exterior material is installed on an exterior wall of a building, a bracket is used to fix the exterior material to the building wall.
종래에, 석재 등의 외장재를 건물 외벽에 설치하는 경우 사용되는 고정 브라켓은 예컨대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166400호에 도시된 것 처럼 'ㄱ'자형 브라켓을 벽체에 설치하고 'ㄱ'자형 브라켓에 외장재를 지지하는 브라켓을 연결하여 고정시키고 있다.Conventionally, a fixing bracket used when an exterior material such as a stone or the like is installed on the exterior wall of a building is constructed by mounting a bracket on a wall as shown in Japanes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66400, And a bracket for supporting the exterior material is connected and fixed.
이때, 건물 벽체의 단열을 위해 외단열방식으로 단열재를 벽체에 부착하거나 형성시킨 후 외장재를 설치하는 경우, 고정 브라켓을 단열재보다 먼저 설치하면 단열재 시공이 복잡해지거나 단열재에 의해 고정 브라켓이 묻히고, 단열재를 먼저 시공하면 단열재 상에 브라켓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앵커로 벽체까지 삽입하여 고정하더라도 브라켓이 벽체에 직접 밀착되지 않아 석재와 같은 무거운 외장재를 지지하는데 문제가 생기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adhered to or formed on the wall by the external heat insulation method for the building wall, when the exterior bracket is installed before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the construction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becomes complicated or the fixing bracket is buried by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Since the bracket must be installed on the insulation material, the bracket can not be directly adhered to the wall even if the bracket is fixed by inserting the wall into the wall.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supporting the heavy exterior material such as the stone.
또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정 브라켓에 추가로 볼트 등을 고정하여 돌출시키거나 핀 형상이 브라켓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시켜 돌출된 볼트 또는 핀 등이 벽체에 닿게 하는 방식을 착안해 보더라도 외장재가 석재판과 같이 무거운 경우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생길 여지가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order to fix the bolt or the like protruding from the bracket by fixing the bolt or the like to the fixing bracket, the protruding bolt or the pi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wall,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ufficient supporting force.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건물 벽체에 단열재가 시공된 상태에서 설치되더라도 충분한 외장재의 지지력을 가질 수 있는 외장재 고정 브라켓 및 그를 포함하는 건축 외장 벽체를 제안하고자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re is proposed an exterior material fixing bracket capable of maintaining a sufficient external material holding capacity even if the insulation material is installed on the building wall body, and a building exterior wall including the exterior material fixing bracket.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하나의 모습에 따라, 설치 시 벽체면에 나란한 정면부; 정면부의 양측단에서 수직으로 연장 돌출되되, 벽체에 형성된 단열재를 관통하며 말단이 벽체에 지지되도록 톱니구조를 형성하는 측면부; 정면부에 형성되고, 벽체에 고정될 앵커가 삽입되는 앵커홀; 및 정면부에서 앵커홀의 하부에 형성되고, 외장재 지지브라켓이 정면부에 지지 고정되도록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지지 고정홀;을 포함하는 외장재 고정 브라켓이 제안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ront surface portion parallel to a wall surface during installation; A side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both side ends of the front portion and passing through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formed on the wall and forming a sawtooth structure so that the ends are supported by the wall; An anchor hole formed in the front portion and into which an anchor to be fixed to the wall is inserted; And a support fixing hol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anchor hole in the front portion and in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inserted so that the brace is supported and fix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brace.
이때, 하나의 예에서, 톱니구조는 말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말단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one example, the saw tooth structure becomes narrower toward the distal end and the distal end can be formed flat.
또한, 하나의 예에서, 지지 고정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되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삽입 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in one example, it may further include an insertion nut which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support fixing hole and 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fastened.
또 하나의 예에서, 측면부의 양측 돌출부위 사이에서 측면부와 수직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측면부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더 포함일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the support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late that is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portions and supports the side portions between both projecting portions of the side portions.
그리고,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또 하나의 모습에 따라, 구조물 벽체에 형성된 단열재; 앵커에 의해 벽체에 고정 지지되되 말단이 단열재를 관통하며 벽체에 지지되는 전술한 고안의 모습에 따른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외장재 고정 브라켓; 체결부재에 의해 외장재 고정 브라켓에 고정 지지되는 외장재 지지브라켓; 및 외장재 고정 브라켓의 전방에서 외장재 지지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외장재;를 포함하는 건축 외장 벽체가 제안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eat insulating material formed on a wall of a structure; An exterior material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exterior material fixing bracket is fixed to the wall by an anchor and has a distal end supported by the wall through the insulation; A brace supporting bracket fixedly supported on the brace by a fastening member; And an exterior material supported by the exterior material supporting bracket at the front of the exterior material fixing bracket.
이때, 하나의 예에서, 외장재 지지브라켓은: 외장재의 배면, 하면 또는 상면에 설치되며 외장재를 지지하는 제1 브라켓; 및 일측이 제1 브라켓에 연결되고 타측이 체결부재에 의해 외장재 고정 브라켓에 고정 지지되는 누운 'L' 형상의 제2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one example, the brace for brace comprises: a first bracket installed on a rear surface, a bottom surface, or an upper surface of the brace to support the brace; And a second 'L' shaped second bracket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first bracket and the other side fixed to the exterior material fixing bracket by the fastening member.
또한,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은 체결볼트에 의해 서로 체결되는 체결공을 각각 구비하고 체결공 중 하나는 외장재와 외장재 고정 브라켓 간의 거리가 조절 가능하도록 제1 장홀로 형성되고, 제2 브라켓의 타측에 외장재의 설치 높이가 조절되도록 체결부재가 삽입 체결되는 제2 장홀이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in another example,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fastening holes to be fastened to each other by fastening bolts, and one of the fastening holes is provided with a first And a second elongated hole in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inserted and fastened so that the mounting height of the case is adjus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bracket.
또한, 하나의 예에서, 외장재 지지브라켓은 일측이 외장재의 배면, 하면, 상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지지하고 타측이 체결부재에 의해 외장재 고정 브라켓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Also, in one example, the casing material supporting bracket may support at least one of the back surface, the bottom surface, and the top surface of the casing material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may be fixedly supported on the casing material fixing bracket by the coupling member.
또 하나의 예에서, 외장재는 석재판일 수 있다.
In yet another example, the facings material may be a stone facade.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건물 벽체에 단열재가 시공된 상태에서 설치되더라도 충분한 외장재의 지지력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installed on the building wall body, it is possible to have a sufficient holding force of the exterior material.
또한, 하나의 예에 따라, 삽입 너트가 외장재 고정 브라켓의 지지 고정홀에 삽입 고정되어 체결부재와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견고하게 외장재를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one example, the insert nut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support fixing hole of the case fixing bracket to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member, thereby firmly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case.
또 하나의 예에 따라, 외장재 고정 브라켓의 측면부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구비하여 무거운 외장재가 설치되더라도 외장재 고정 브라켓의 측면부가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고 신뢰성을 놓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even if a heavy jacket is provided with a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a side portion of the jacket fixing bracket, the side portion of the jacket fixing bracket can sufficiently support the load, and reliability can be set.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들이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양한 구성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It is apparent that various effects not directly referred to in accordance wit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riv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various configuratio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고정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고정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는 건축 외장 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외장 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조립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of an exterior material fixing brack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n exterior material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of a building exterior wall including an exterior material fixing brack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assembl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uilding exterior wa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설명에 있어서, 동일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고,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부차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a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배치 관계에서 '직접'이라는 한정이 없는 이상, '직접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됨으로써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As used herein, unless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 in connection, combination, or placement with other ele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not only are there forms of being 'directly connected, They may also be present in the form of being connected, bonded or disposed.
본 명세서에 비록 단수적 표현이 기재되어 있을지라도, 고안의 개념에 반하거나 명백히 다르거나 모순되게 해석되지 않는 이상 복수의 구성 전체를 대표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는', '갖는', '구비하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등의 기재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그들의 조합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although a singular expression i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t can be used as a concept representing the entire plurality of constitutions unless it is contrary to, or obviously different from, or inconsistent with the concept of desig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hrases "including", "having", "having", "comprising", etc.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be additionally or interchangeable with one or more other elem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는 도면들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써, 모양, 크기, 두께 등은 기술적 특징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되게 표현된 것일 수 있다.
The drawings referred to in this specification are example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apes, sizes, thicknesses, and the like may be exaggerated for an effective explanation of technical features.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외장재 고정 브라켓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exterior material fixing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고정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고정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재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는 건축 외장 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n exterior material fixing brack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n exterior material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 building exterior wall including an exterior material fixing brack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및/또는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하나의 예를 살펴본다. 본 고안의 하나의 예에 따른 외장재 고정 브라켓(10)은 정면부(11), 측면부(12), 앵커홀(13) 및 지지 고정홀(14)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3 또는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외장재 고정 브라켓(10)은 삽입 너트(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외장재 고정 브라켓(10)은 지지판(16)을 더 포함일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 or 2. An exterior
먼저, 도 1, 2 및 3을 참조하면, 외장재 고정 브라켓(10)의 정면부(11)는 외장재 고정 브라켓(10)의 설치 시 벽체면(1)에 나란하게 설치된다. First, referring to FIGS. 1, 2 and 3, the
외장재 고정 브라켓(10)의 측면부(12)는 정면부(11)의 양측단에서 수직으로 연장 돌출된다. 예컨대, 측면부(12)는 정면부(11)의 양측단에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어 정면부(11)와 측면부(12)가 'ㄷ'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측면부(12)는 벽체(1)에 형성된 단열재(20)를 관통하며 말단(12a)이 벽체(1)에 지지되도록 톱니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예컨대, 측면부(12)의 돌출 폭 내지 깊이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벽체(1)에 부착 또는 도포되거나 형성된 단열재(20)를 관통할 수 있도록 한다. 측면부(12)의 돌출 폭 내지 깊이는 벽체(1)에 형성된 단열재(20)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만일, 외장재 고정 브라켓(10)가 단열재(20)의 두께보다 작은 경우에는 다음에 설명될 앵커홀(13)에 삽입되는 앵커에 의해 정면부(11)가 단열재(20)를 압착시키며 측면부(12)의 말단(12a)이 단열재(20)를 관통하여 벽체(1)에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톱니구조는 톱니와 동일한 형상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톱니와 유사한 형상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예컨대, 직사각형, 삼각형, 사다리꼴 등의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투스(tooth) 구조일 수 있다. 예컨대, 이때, 톱니구조의 홈은 정면부(11)의 양측단까지 깊게 형성되거나 또는 도 1 또는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부(11)의 양측단에 미치지 못할 수도 있다.The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톱니구조는 말단(12a)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말단(12a)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톱니구조가 말단(12a)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므로, 단열재(20)를 관통하기 용이하다. 또한, 톱니구조의 말단(12a)이 평평하게 형성되므로, 평평한 말단(12a)이 벽체면(1)에 밀착 지지될 수 있다.For example, in one example, the saw tooth structure becomes narrower toward the
또한, 외장재 고정 브라켓(10)의 앵커홀(13)은 정면부(11)에 형성된다. 도 3 또는/및 4를 참조하면, 앵커홀(13)에는 벽체(1)에 고정될 앵커(41)가 삽입된다. 즉, 앵커홀(13)에 삽입되는 앵커(41)가 단열재(20)을 관통하여 벽체(1)에 고정 지지됨으로써 외장재 고정 브라켓(10)을 벽체(1)에 고정 지지시킬 수 있다.Further, the
예컨대, 도 3 및/또는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앵커홀(13)은 수평방향 장홀 구조일 수 있다. 수평방향 장홀 구조의 앵커홀(13)에 의해 외장재 고정 브라켓(10)의 고정 위치를 수평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예컨대 외장재(50) 설치 시 정확한 위치에 외장재 고정 브라켓(10)을 고정시킬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3 and / or 4, in one example, the
또한, 외장재 고정 브라켓(10)의 지지 고정홀(14)은 정면부(11)에서 앵커홀(13)의 하부에 형성된다. 지지 고정홀(14)은 외장재 지지브라켓(30)이 정면부(11)에 지지 고정되도록 체결부재(42)가 삽입된다. 외장재 지지브라켓(30)은 외장재(50)를 지지하는 것으로, 외장재 지지브라켓(30)에 의해 외장재(50)가 외장재 고정 브라켓(10)과 이격되게 외장재 고정 브라켓(10)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외장재 지지브라켓(30)에 의해 외장재(50)와 단열재(20) 사이도 이격될 수 있다. 예컨대, 외장재(50)는 석재판일 수 있고, 또는 다른 재질의 외장재일 수 있다.The
예컨대, 도 3 및/또는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외장재 고정 브라켓(10)은 삽입 너트(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삽입 너트(15)는 지지 고정홀(14)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예컨대, 지지 고정홀(14)은 다각형 홀, 예컨대 육각홀로 형성될 수 있고, 삽입 너트(15)의 외각 형상은 지지 고정홀(14)과 일치할 수 있다. 삽입 너트(15)에 체결부재(42)가 삽입 체결된다. 예컨대, 체결부재(42)는 삽입 너트(15)에 삽입되는 볼트일 수 있고, 삽입 너트(15)는 예컨대 팝너트일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3 and / or 4, in one example, the facing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외장재 고정 브라켓(10)은 지지판(16)을 더 포함일 수 있다. 이때, 지지판(16)은 측면부(12)의 양측 돌출부위 사이에서 측면부(12)와 수직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측면부(12)를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수평한 지지판(16)의 측면이 측면부(12)에 부착되고 지지판(16)의 정면이 정면부(11)의 배면에 부착되어 측면부(12)를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지지판은 좌우 측면부(12) 각각을 별개로 지지하도록 예컨대 삼각형 형상의 2개 이상의 지지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지지판(16)을 좌우 측면부(12) 사이에 설치하고, 지지판(16)의 단열재(20)에 삽입되기 용이하게 좌우가 돌출되고 중간이 'V' 홈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outer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지지판은 측면부(12)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판은 측면부(12)의 홈영역 또는 상단이나 말단 영역을 절곡시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측면부(12)의 홈영역 또는 상단이나 말단 영역과 정면부(11)의 양측단과의 경계를 절단하여 절곡시킴으로써, 지지판이 측면부(12)로부터 수직되게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절곡되어 형성된 지지판(16)의 정면이 정면부(11)의 배면에 지지되도록 절곡하거나 또는 용접 등을 통해 정면부(11)의 배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the support plate may be formed by bending a part of the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지지판(16)이 구비됨으로써 지지판(16)에 의해 측면부(12)가 지지되므로, 무거운 외장재(50)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외장재(50)의 하중 또는 누적하중에 의해 측면부(12)가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절곡되지 않고 외장재(50)가 측면부에 의해 충분히 지지될 수 있다.
Since the
다음으로, 본 고안의 다른 하나의 모습에 따른 건축 외장 벽체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이때,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외장 벽체를 이해함에 있어서 전술한 본 고안의 하나의 모습에 따른 외장재 고정 브라켓의 실시예들 및 도 1이 참조될 수 있고, 이 경우 중복되는 설명들은 생략될 수 있다.
Next, an architectural exterior wall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erein, in understanding the building exterior wal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fer to the embodiments of the exterior material fixing bracke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
도 3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외장 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외장 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조립도이다.
FIG. 3 is a schematic view of a building exterior wa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assembly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uilding exterior wa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또는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하나의 예에 따른 건축 외장 벽체는 단열재(20), 외장재 고정 브라켓(10), 외장재 지지브라켓(30) 및 외장재(5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3 and / or 4, the building exterior wall according to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단열재(20)는 구조물 벽체(1)에 형성된다. 단열재(20)는 벽체(1)에 부착되거나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연질발포단열재 등을 스프레이 코팅방식으로 구조물 벽체(1)에 도포하여 형성하거나 기타 다른 방식으로 단열재(20)를 벽체(1)에 부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단열재(20)는 외장재 고정 브라켓(10)에 의해 용이하게 관통될 수 있는 발포수지단열재일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3, a
다음으로, 외장재 고정 브라켓(10)은 앵커(41)에 의해 구조물 벽체(1)에 고정 지지된다. 이때, 외장재 고정 브라켓(10)의 말단(12a)이 벽체(1)에 형성된 단열재(20)를 관통하며 벽체(1)에 지지된다. 이때,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외장재 고정 브라켓(10)은 정면부(11), 측면부(12), 앵커홀(13) 및 지지 고정홀(1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또는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외장재 고정 브라켓(10)은 삽입 너트(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exterior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외장재 고정 브라켓(10)은 정면부(11)가 구조물 벽체면(1)에 나란하도록 설치된다. 외장재 고정 브라켓(10)의 측면부(12)는 정면부(11)의 양측단에서 수직으로 연장 돌출되며, 이때, 측면부(12)는 구조물 벽체(1)에 형성된 단열재(20)를 관통하며 말단(12a)이 벽체(1)에 지지되도록 톱니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톱니구조는 톱니와 동일한 형상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톱니와 유사한 형상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톱니구조는 말단(12a)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말단(12a)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4, the facing
계속하여,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외장재 고정 브라켓(10)의 앵커홀(13)은 정면부(11)에 형성된다. 앵커홀(13)에는 벽체(1)에 고정될 앵커(41)가 삽입된다. 예컨대, 도 3을 참조하면, 쐐기형 앵커(41)를 이용하여 앵커홀(13) 및 단열재(20)를 관통하고 벽체(1)에 형성된 홀에 삽입 고정함으로써 외장재 고정 브라켓(10)을 벽체(1)에 고정 지지시킬 수 있다. 도 3 및/또는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앵커홀(13)은 수평방향 장홀 구조일 수 있다. 수평방향 장홀 구조의 앵커홀(13)에 의해 외장재 고정 브라켓(10)의 고정 위치를 수평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1 to 4, the anchor holes 13 of the exterior
또한,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외장재 고정 브라켓(10)의 지지 고정홀(14)은 정면부(11)에서 앵커홀(13)의 하부에 형성된다. 지지 고정홀(14)은 외장재 지지브라켓(30)이 정면부(11)에 지지 고정되도록 체결부재(42)가 삽입된다. 예컨대, 도 3 및/또는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외장재 고정 브라켓(10)은 삽입 너트(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삽입 너트(15)는 지지 고정홀(14)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삽입 너트(15)에 체결부재(42)가 삽입 체결된다. 예컨대, 삽입 너트(15)는 팝너트일 수 있고, 체결부재(42)는 삽입 너트(15)에 삽입되는 볼트일 수 있다.1 to 4, the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외장재 고정 브라켓(10)은 지지판(16)을 더 포함일 수 있다. 이때, 지지판(16)은 측면부(12)의 양측 돌출부위 사이에서 측면부(12)와 수직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측면부(12)를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수평한 지지판(16)의 측면이 측면부(12)에 부착되고 지지판(16)의 정면이 정면부(11)의 배면에 부착되어 측면부(12)를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지지판은 좌우 측면부(12) 각각을 별개로 지지하도록 예컨대 삼각형 형상의 2개 이상의 지지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지지판(16)을 좌우 측면부(12) 사이에 설치하고, 지지판(16)의 단열재(20)에 삽입되기 용이하게 좌우가 돌출되고 중간이 'V' 홈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지지판은 측면부(12)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판은 측면부(12)의 홈영역 또는 상단이나 말단 영역을 절곡시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측면부(12)의 홈영역 또는 상단이나 말단 영역과 정면부(11)의 양측단과의 경계를 절단하여 절곡시킴으로써, 지지판이 측면부(12)로부터 수직되게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outer
계속하여, 도 3 및/또는 4를 참조하면, 건축 외장 벽체의 외장재 지지브라켓(30)은 체결부재(42)에 의해 외장재 고정 브라켓(10)에 고정 지지된다. 이때, 외장재 지지브라켓(30)은 외장재(50)를 지지하는 것으로, 외장재 지지브라켓(30)에 의해 외장재(50)가 외장재 고정 브라켓(10)과 이격되게 외장재 고정 브라켓(10)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외장재 지지브라켓(30)에 의해 외장재(50)와 단열재(20) 사이도 이격될 수 있다.3 and / or 4, the
예컨대, 도 3 및/또는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외장재 지지브라켓(30)은 제1 브라켓(31) 및 제2 브라켓(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브라켓(31)은 외장재(50)의 배면, 하면 또는 상면에 설치되며 외장재(50)를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브라켓(31)은 도 2 및/또는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외장재들(50)의 하면과 상면 사이에서 상측 외장재(50)의 하면 그리고 하측 외장재(50)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브라켓(31)은 외장재(50)의 하면과 상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돌기 또는 삽입기둥(31a)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돌기가 제1 브라켓(31)의 전방측에서 돌출되어 외장재(50)의 하면과 상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거나 또는 제1 브라켓(31)의 전방측에 홀이 형성되고 홀을 관통하며 외장재(50)의 하면과 상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삽입기둥(31a)이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브라켓(31)은 상하 반전된 'L'자 형상으로 외장재(50)의 배면에 설치되거나 또는 다른 형상으로 외장재(50)의 배면 및 상면, 또는 배면 및 하면을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브라켓(31)은 외장재의 하면만 또는 상면만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다음, 제2 브라켓(32)은 일측이 제1 브라켓(31)에 연결되고 타측이 체결부재(42)에 의해 외장재 고정 브라켓(10)에 고정 지지된다. 예컨대, 제2 브라켓(32)은 누운 'L' 형상일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ures 3 and / or 4, in one example, the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제1 브라켓(31)과 제2 브라켓(32)은 체결볼트(43)에 의해 서로 체결되는 체결공을 각각 구비한다. 이때, 제1 브라켓(31)과 제2 브라켓(32)의 체결공들 중 하나는 외장재(50)와 외장재 고정 브라켓(10) 간의 거리가 조절 가능하도록 제1 장홀(31b)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서, 제1 브라켓(31) 상에 제1 장홀(31b)이 형성된 것이 도시되고 있으나, 도시된 바와 달리 제2 브라켓(32)의 일단에 제1 장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에서, 제1 브라켓(31)의 전방의 홀을 관통하는 삽입기둥(31a)이 구비되어 상측 외장재(50)의 하면에 형성된 홈(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고, 또한, 제1 브라켓(31)의 타단에 제1 장홀(31b)이 형성되어 체결볼트(43)에 의해 제2 브라켓(32)의 체결공과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브라켓(32)의 타측에 외장재(50)의 설치 높이가 조절되도록 체결부재(42)가 삽입 체결되는 제2 장홀(32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장홀(32b)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4, in one example, the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제2 브라켓(32)과 외장재 고정 브라켓(10)를 밀착 체결시키기 위해 심패드(45)가 추가될 수 있다. 제2 브라켓(32)과 외장재 고정 브라켓(10) 사이에 심패드(45)를 삽입하고 체결부재(42)에 의해 제2 브라켓(32)과 외장재 고정 브라켓(10)을 고정 체결시켜 밀착시킬 수 있다.
4, in one example, a
계속하여, 다른 예에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외장재 지지브라켓은 도 2 및 3과 달리 하나의 브라켓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외장재 지지브라켓의 일측은 외장재(50)의 배면, 하면, 상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외장재 지지브라켓의 타측은 체결부재(42)에 의해 외장재 고정 브라켓(10)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되지 않았으나, 외장재 지지브라켓의 타측과 외장재 고정 브라켓(10) 사이에 도 3의 심패드(45)가 추가 삽입되며 체결부재(42)에 의한 체결시 외장재 지지브라켓과 외장재 고정 브라켓(10)을 밀착 체결할 수 있다.
Subsequently, in another example, although not shown, the bracket may be formed of one bracket unlike the brackets of FIGS.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casing material supporting bracket can support at least one of the back side, bottom side, and top side of the
다음으로, 도 3 및/또는 4를 참조하면, 외장재(50)는 외장재 고정 브라켓(10)의 전방에서 외장재 지지브라켓(30)에 의해 지지된다. 외장재(50)는 외장재 지지브라켓(30)에 의해 외장재 고정 브라켓(10)과 이격되게 설치되며, 이때, 단열재(20)와도 이격될 수 있다.3 and / or 4, the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외장재(50)는 석재판일 수 있고, 또는 다른 재질의 외장재일 수 있다.
For example, in one example, the
이상에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또한, 전술한 구성들의 다양한 조합에 따른 실시예들이 앞선 구체적인 설명들로부터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고안의 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들을 포함하고 있다.
The foregoing embodiments and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various combinations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can also be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ccordingly,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design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lternatives, and equivalents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 벽체 또는 벽체면 10: 외장재 고정 브라켓
11: 정면부 12: 측면부
12a: 측면부 말단 13: 앵커홀
14: 지지 고정홀 15: 삽입 너트
16: 지지판 20: 단열재
30: 외장재 지지브라켓 31: 제1 브라켓
31b: 제1 장홀 32: 제2 브라켓
32b: 제2 장홀 41: 앵커
42: 체결부재 43: 체결볼트
45: 심패드 50: 외장재1: wall or wall surface 10: exterior wall fixing bracket
11: front portion 12: side portion
12a: side end portion 13: anchor hole
14: support fixing hole 15: insertion nut
16: Support plate 20: Insulation
30: exterior material supporting bracket 31: first bracket
31b: 1st hole 32: 2nd bracket
32b: Chapter 2 Hole 41: Anchor
42: fastening member 43: fastening bolt
45: Sim pad 50: Outer material
Claims (9)
상기 정면부의 양측단에서 수직으로 연장 돌출되되, 벽체에 형성된 단열재를 관통하며 말단이 상기 벽체에 지지되도록 톱니구조를 형성하는 측면부;
상기 정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벽체에 고정될 앵커가 삽입되는 앵커홀; 및
상기 정면부에서 상기 앵커홀의 하부에 형성되고, 외장재 지지브라켓이 상기 정면부에 지지 고정되도록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지지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고정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되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삽입 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 고정 브라켓.
A front section parallel to the wall surface during installation;
A side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both side ends of the front portion and passing through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formed on the wall and forming a saw tooth structure so that the distal end is supported by the wall;
An anchor hole formed in the front portion and into which an anchor to be fixed to the wall is inserted; And
And a support fixing hol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anchor hole in the front portion and into which a fastening member is inserted so that the brace is supported and fixed to the front portion,
Further comprising: an insertion nut which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support fixing hole, and in which the coupling member is fastened.
상기 톱니구조는 상기 말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상기 말단이 평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 고정 브라켓.
In claim 1,
Wherein the serration structure has a narrower width toward the distal end and a flattened distal end.
상기 측면부의 양측 돌출부위 사이에서 상기 측면부와 수직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측면부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 고정 브라켓.
In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plate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portions between both side projecting portions of the side portion and supporting the side portions.
앵커에 의해 상기 벽체에 고정 지지되되 말단이 상기 단열재를 관통하며 상기 벽체에 지지되는 청구항 1, 2, 4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외장재 고정 브라켓;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외장재 고정 브라켓에 고정 지지되는 외장재 지지브라켓; 및
상기 외장재 고정 브라켓의 전방에서 상기 외장재 지지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외장재;를 포함하는 건축 외장 벽체.
A heat insulating material formed on the wall of the structure;
An exterior material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4, wherein the exterior material fixing bracket is fixed to the wall by an anchor and has a distal end supported by the wall through the insulation.
A brace supporting bracket fixed to the bracket by a fastening member; And
And an exterior material supported by the exterior material supporting bracket at a front side of the exterior material fixing bracket.
상기 외장재 지지브라켓은:
상기 외장재의 배면, 하면 또는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외장재를 지지하는 제1 브라켓; 및
일측이 상기 제1 브라켓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외장재 고정 브라켓에 고정 지지되는 누운 'L' 형상의 제2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장 벽체.
In claim 5,
The exterior material support bracket comprises:
A first bracket installed on a rear surface, a bottom surface, or an upper surface of the exterior material and supporting the exterior material; And
L "shaped second bracket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first bracket and the other side fixed to the exterior material fixing bracket by the fastening member.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은 체결볼트에 의해 서로 체결되는 체결공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체결공 중 하나는 상기 외장재와 상기 외장재 고정 브라켓 간의 거리가 조절 가능하도록 제1 장홀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브라켓의 타측에 상기 외장재의 설치 높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 체결되는 제2 장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장 벽체.
In claim 6,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fastening holes to be fastened together by fastening bolts. One of the fastening holes is formed as a first long hole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casing and the bracket can be adjusted,
And a second elongated hole is formed i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bracket, in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inserted and fastened so that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exterior material is adjusted.
상기 외장재 지지브라켓은 일측이 상기 외장재의 배면, 하면, 상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지지하고 타측이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외장재 고정 브라켓에 고정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장 벽체.
In claim 5,
Wherein one side of the exterior material support bracket supports at least one of a rear surface, a bottom surfac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exterior material, and the other side is fixedly supported by the exterior material fixing bracket by the coupling member.
상기 외장재는 석재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장 벽체.In claim 5,
Wherein the exterior material is a stone plat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3439U KR200478374Y1 (en) | 2014-04-29 | 2014-04-29 | Bracket for fixing exterior pannel and buiding exterior wal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3439U KR200478374Y1 (en) | 2014-04-29 | 2014-04-29 | Bracket for fixing exterior pannel and buiding exterior wal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8374Y1 true KR200478374Y1 (en) | 2015-09-24 |
Family
ID=54342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3439U Expired - Fee Related KR200478374Y1 (en) | 2014-04-29 | 2014-04-29 | Bracket for fixing exterior pannel and buiding exterior wal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8374Y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2851B1 (en) * | 2016-07-21 | 2017-03-07 | 주식회사 간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building panel fasteners |
KR101808456B1 (en) * | 2016-11-01 | 2017-12-12 | 윤공순 | Method for Constructing Exterior Material on Building and Exterior Material thereof |
KR20200035542A (en) * | 2018-09-27 | 2020-04-06 |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Earthquake-proof assembly for terracotta ceramic panel mounting with omega groove support mullion and joint clip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KR102493121B1 (en) * | 2022-03-16 | 2023-01-30 | 김웅회 | Masonry angle system for improved insulation performance and construction of exterior wall finishing materials |
KR102533105B1 (en) * | 2023-01-12 | 2023-05-16 | 주식회사 스타빌엔지니어링 | Masonry angle system for improved insulation performance of window space using insulation material and constructing exterior wall finishing materials and construction of exterior wall finishing materials |
KR20240109675A (en) * | 2023-01-05 | 2024-07-12 | 유태균 | Brick wall lintel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6420Y1 (en) * | 2000-11-20 | 2001-06-15 | 주식회사정원금속 | Fixed bracket of stone |
KR100987700B1 (en) | 2010-03-17 | 2010-10-13 | 광스틸 주식회사 | A fixing bracket for heat insulator and clading of building |
KR101147446B1 (en) * | 2012-01-30 | 2012-05-22 | 주식회사 일산금속 | Angle assembly for insulator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2014
- 2014-04-29 KR KR2020140003439U patent/KR200478374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6420Y1 (en) * | 2000-11-20 | 2001-06-15 | 주식회사정원금속 | Fixed bracket of stone |
KR100987700B1 (en) | 2010-03-17 | 2010-10-13 | 광스틸 주식회사 | A fixing bracket for heat insulator and clading of building |
KR101147446B1 (en) * | 2012-01-30 | 2012-05-22 | 주식회사 일산금속 | Angle assembly for insulator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2851B1 (en) * | 2016-07-21 | 2017-03-07 | 주식회사 간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building panel fasteners |
KR101808456B1 (en) * | 2016-11-01 | 2017-12-12 | 윤공순 | Method for Constructing Exterior Material on Building and Exterior Material thereof |
KR20200035542A (en) * | 2018-09-27 | 2020-04-06 |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Earthquake-proof assembly for terracotta ceramic panel mounting with omega groove support mullion and joint clip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KR102212515B1 (en) * | 2018-09-27 | 2021-02-04 | 세라코(주) | Earthquake-proof assembly for terracotta ceramic panel mounting with omega groove support mullion and joint clip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KR102493121B1 (en) * | 2022-03-16 | 2023-01-30 | 김웅회 | Masonry angle system for improved insulation performance and construction of exterior wall finishing materials |
WO2023177115A1 (en) * | 2022-03-16 | 2023-09-21 | 주식회사 스타빌엔지니어링 | Masonry angle system for improving insulation performance and constructing exterior wall finishing materials |
KR20240109675A (en) * | 2023-01-05 | 2024-07-12 | 유태균 | Brick wall lintel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KR102801923B1 (en) * | 2023-01-05 | 2025-05-09 | (주) 대도건철 | Brick wall lintel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KR102533105B1 (en) * | 2023-01-12 | 2023-05-16 | 주식회사 스타빌엔지니어링 | Masonry angle system for improved insulation performance of window space using insulation material and constructing exterior wall finishing materials and construction of exterior wall finishing material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78374Y1 (en) | Bracket for fixing exterior pannel and buiding exterior wall | |
CA2768916C (en) | Building wall system | |
CA2886659C (en) | Building wall panel | |
KR101161112B1 (en) | Panel assembly structures | |
KR20180100960A (en) | Slide fixing clip for earthquake-proof and construction method of exterior using the same | |
KR20160026508A (en) | Marble panel fixing device for wall exterior | |
JP6301587B2 (en) | Insulation panel construction structure | |
KR20160003064U (en) | Bracket for fixing rectangular pipe | |
JP7688359B2 (en) | Heat insulation material fixing brackets and heat insulation structure of steel frame building | |
JP5749663B2 (en) | Column structure | |
KR20140003950U (en) | Bracket for fixing rectangular pipe | |
KR20140123307A (en) | Assembly of outside panels on the wall | |
JP2014125848A (en) | Cross rail attachment structure | |
KR20090012732A (en) | Assembly for fixing exterior panels of buildings | |
KR101208104B1 (en) | Device for fixing panels on the wall | |
KR101257315B1 (en) | Structure for mounting of ceiling panel | |
JP6788241B2 (en) | Buried member for opening, construction method of opening structure using it, and opening structure | |
KR20190002031U (en) | Construction exterior panel supporting apparatus using channel shaped braket | |
JP5133801B2 (en) | Wall panels | |
CN221031138U (en) | Groove buckle type fixing structure | |
KR101560643B1 (en) | Passive insulation connector using exterior insulation of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of passive exterior insulation using the same | |
JP6181398B2 (en) | Insulation panel construction structure | |
JP6198271B2 (en) | Thermal insulation panel and its mounting structure | |
KR200430962Y1 (en) | Wedge Pins for Formwork Fastening | |
JP5745825B2 (en) | Outer wall fixing bracket and outer wall fixing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40429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50429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8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509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50918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24062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