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78320Y1 - 명함 홀더 - Google Patents

명함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320Y1
KR200478320Y1 KR2020140003304U KR20140003304U KR200478320Y1 KR 200478320 Y1 KR200478320 Y1 KR 200478320Y1 KR 2020140003304 U KR2020140003304 U KR 2020140003304U KR 20140003304 U KR20140003304 U KR 20140003304U KR 200478320 Y1 KR200478320 Y1 KR 2004783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xed
business card
support
fasten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3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일향
Original Assignee
(주)에이에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에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에이에스코리아
Priority to KR20201400033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3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3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32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2Paper-clips or lik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1Supporting means
    • B43K23/002Supporting means with a fixed b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41/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books or filing appliances
    • B42P2241/12Means for enabling the device to be positioned upr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41/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books or filing appliances
    • B42P2241/16Books or filing applian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주대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를 사용함으로써, 명함의 높이를 사용자원하는 높이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홀더부에 의해 명함을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명함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명함 홀더는, 받침대; 받침대 상에 체결 고정되는 지주대; 지주대에 끼움 고정되고, 지주대를 따라 이동되며, 탄성력을 갖는 이동부; 명함이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이동부의 일측에 체결 고정되는 홀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명함 홀더{BUSINESS CARD HOLDER}
본 고안은 명함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주대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를 사용함으로써, 명함의 높이를 사용자원하는 높이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홀더부에 의해 명함을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명함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회생활하다가 추후 중요하게 참조해야 하거나 다소 빈번하게 확인해야 할 명함이나 메모지는 잊지않고 재차 확인할 수 있도록 별도의 명함 홀더를 이용하고 있다. 상기한 명함 홀더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눈에 잘 띨만한 위치에 부착하고 명함 홀더에 명함 또는 메모지를 보관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명함 홀더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있으나, 대부분이 사용자로 하여금 금속제 벽면에 대해 쉽게 탈부착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자석 부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자석을 구비한 부착식 명함 홀더는 사무실의 철제 파티션이나 가정내의 냉장고 전면과 같은 금속제 벽면상에 자력을 이용하여 부착 사용하고 있으나, 비금속(목재, 합성수지)에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국내공개특허 제10-2012-0086407호의 "명함 홀더"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 국내공개특허 제10-2012-0086407호 "명함 홀더"는 하나의 명함 홀더에 명함 또는 필기구가 동시 보관되게 하여 사용시의 편리함을 증대시킴은 물론 상기한 명함 홀더에 장식성을 부여하여 고품질의 제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명함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하단에 형성된 부착부재를 통하여 금속재의 수직벽면 또는 수평 바닥면에 선택적으로 부착 고정되고 상단 전면은 낮고 후면은 높은 경사면을 갖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상단에 일정한 높이를 두고 수평으로 설치되고 안내홈을 갖는 클립형태의 클립부와; 상기 클립부와 베이스판 사이에 위치하고 경사면을 따라 경사면이 낮은 부분으로 이동하고 이동한 후에는 명함 또는 메모지가 홀딩되게 하는 구형볼과; 상기 클립부와 베이스판을 연결하고 필기구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중간에 필기구 삽입구가 마련되는 고정부가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명함 홀더의 종래 기술은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떨어지고, 복잡한 구조로 인한 제조원가가 상승하여 생산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클리부와 구형봉에 의해 명함의 일부분이 가려져 보이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명함을 수평상태로 홀더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고개를 숙여 확인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86407호 (2012년08월03일 공개)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11702호 (2010년12월02일 공개)
본 고안은 지주대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를 사용함으로써, 명함의 높이를 사용자원하는 높이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홀더부에 의해 명함을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명함 홀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홀더부를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지지판과 가압부 사이에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명함 홀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받침대 하단에 흡착판을 체결 고정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판에 형성된 고무판에 의해 필기구가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명함 홀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명함 홀더는, 받침대; 받침대 상에 체결 고정되는 지주대; 지주대에 끼움 고정되고, 지주대를 따라 이동되며, 탄성력을 갖는 이동부; 명함이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이동부의 일측에 체결 고정되는 홀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대는, 바닥에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하단에 체결 고정되는 흡착판;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대는, 책상 또는 유리바닥과 충격에 의해 파손되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에 체결 고정되는 실리콘재질의 보호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는,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지주대에 끼움 고정되도록 제1 삽입홀이 형성된 상판; 상판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하측 방향으로 일정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명함의 뒷면을 지지하는 지지판; 및 지지판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판과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지주대에 끼움 고정되게 제2 삽입홀이 형성된 하판;을 포함하되, 사선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판 및 하판을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수평상태가 되면 상판 및 하판에 형성된 제1 삽입홀 및 제2 삽입홀이 각각 지주대를 기준으로 수평상태가되어 지주대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홀더부는, 이동부 하단에 체결 고정되는 받침판; 및 받침판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측 일부가 외측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명함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부는, 받침판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이동부의 하부에 구비된 돌기와 체결 고정되는 장공; 및 장공을 통해 돌출된 돌기와 체결 고정되어 받침판을 고정지지 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되, 명함이 고정될 때에는 이동부의 일측과 밀착되게 이동되고, 이동부의 일측과 이격되게 이동하여 공간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공간부에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될 수 있다.
지주대는, 상단에 체결 고정되고,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탄성력을 갖는 지지대; 및 지지대 상단에 체결 고정되고, 메모지를 그립할 수 있는 그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판은, 제1 삽입홀과 이격되게 위치하고, 필기구가 세로 방향으로 삽입 고정되도록 다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되며, 삽입공 외주면에는 필기구가 하측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방사형으로 절개된 고무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판은, 필기구가 가로방향으로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에 형성된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명함 홀더는 지주대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를 사용함으로써, 명함의 높이를 사용자원하는 높이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홀더부에 의해 명함을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명함 홀더는 홀더부를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지지판과 가압부 사이에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동영상 등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명함 홀더는 받침대 하단에 흡착판을 체결 고정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판에 형성된 고무판에 의해 필기구를 고정 지지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필기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시시예에 따른 명함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시시예에 따른 명함 홀더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시시예에 따른 명함 홀더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시시예에 따른 명함 홀더에서 받침대에 흡착판이 부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시시예에 따른 명함 홀더에서 받침대에 보호 캡이 부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시시예에 따른 명함 홀더의 이동부와 홀더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시시예에 따른 명함 홀더의 이동부에 필기구 및 휴대용 단말기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시시예에 따른 명함 홀더의 이동부가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시시예에 따른 명함 홀더의 그립부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명함 홀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시시예에 따른 명함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시시예에 따른 명함 홀더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시시예에 따른 명함 홀더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시시예에 따른 명함 홀더에서 받침대에 흡착판이 부착된 상태의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시시예에 따른 명함 홀더에서 받침대에 보호 캡이 부착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시시예에 따른 명함 홀더의 이동부와 홀더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시시예에 따른 명함 홀더의 이동부에 필기구 및 휴대용 단말기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시시예에 따른 명함 홀더의 이동부가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시시예에 따른 명함 홀더의 그립부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함 홀더(10)는 받침대(100), 지주대(200), 이동부(300) 및 홀더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대(100)는 명함 홀더(10)의 구성들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넓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받침대(100)는 흡착판(110) 및 보호 캡(120)을 포함할 수 있다.
흡착판(110)은 진공흡착 가능한 표면에 예를 들면, 유리, 거울 또는 대리석 표면 등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착판(110)의 구성 및 원리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의 기술인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보호 캡(120)은 받침대(100)의 하측을 감싸 보호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호 캡(120)은 표면이 매끄러운 책상 또는 유리판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미끄럼 방지가 가능한 연질의 실린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받침대(100)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금속과 마찰시 파손이 쉬운 유리판에 올려놓고 사용할 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유리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주대(200)는 원통 또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받침대(100)의 중앙에 삽입 고정되는데 이때, 지주대(200)의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받침대(100)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지주대(200)는 지지대(210) 및 그립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210)는 지주대(200) 타단에 체결 고정되고, 소성(塑性)력을 갖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지주대(200)는 구리, 알루미늄 또는 연강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자유자재로 굴곡될 수 있는 어떠한 재질이라도 가능하다. 지지대(210)는 메모지 또는 명함 등을 그립할 수 있도록 일단에 그립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그립부(220)에 고정 지지된 메모지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굴곡시켜 사용자가 편리하게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립부(220)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메모지를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집게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동부(300)는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도록 지주대(200)를 따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부(300)는 탄성력을 갖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300)는 상판(310), 지지판(320) 및 하판(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판(310)은 사각 형상의 얇은 판으로 형성되고, 지주대(200)의 외주면에 끼움 고정되도록 제1 삽입홀(311)이 형성되며, 지주대(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삽입홀(311)은 상판(310)과 평행이 되도록 사선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될 수 있다.
지지판(320)은 상판과 동일한 폭으로 상판(310)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하측 방향으로 일정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명함(20)의 뒷면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판(320)이 기울어진 각도는 사용자가 바라보기 편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하판(330)은 지지판(320)과 동일한 폭으로 지지판(320)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판(310)과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판(330)은 지주대(200)에 끼움 고정되게 제2 삽입홀(3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홀(331)은 하판(330)과 평행이 되도록 사선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이동부(300)는 사선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판(310) 및 하판(330)을 사용자의 엄지와 검지를 사용하여 상판(310) 및 하판(330)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수평상태가 되면 상판(310) 및 하판(330)에 형성된 제1 삽입홀(311) 및 제2 삽입홀(331)이 각각 지주대(200)를 기준으로 수평상태가 된다(도 8 참조). 이때, 상판(310) 및 하판(330)이 수평된 상태로 지주대(200)에 삽입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서 가압하고 있던 힘을 감압하면 탄성력에 의해 상판(310) 및 하판(330)이 지지판(320)의 일단 및 타단과 연결된 모서리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판(310) 및 하판(330)이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또한, 지지판(320)과 연결된 상판(310) 및 하판(330)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할려는 탄성력 때문에 제1 삽입홀(311) 및 제2 삽입홀(331)이 지주대(200)를 기준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됨으로써, 이동부(300)는 지주대(200)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홀더부(400)는 명함(20)이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이동부의 일측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 홀더부(400)는 명함을 가압하여 고정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홀더부(400)는 이동부(300) 하단에 체결 고정되는 받침판(410) 및 받침판(410)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측 일부가 외측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명함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판(410)은 이동부(300)의 하단 즉, 하판(330)에 체결 고정되는데 이때, 볼트 또는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하거나, 하판(330)과 받침판(410)가 각각 구멍을 형성하여 그 구멍에 압착핀을 설치한 상태에서 펀칭장치를 이용하여 압착핀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가압부(420)는 탄성력을 갖으며, 이동부(300)에 형성된 지지판(320)에 탄성력에 의해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명함(20)이 지지판(320)과 가압부(420) 사이에 삽입될 시 탄성력에 의해 명함(20)을 가압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함 홀더(10)는 필기구(40)가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상판(310)에 삽입공(313) 및 안착부(317)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공(313)은 제1 삽입홀(311)과 이격되게 위치하고, 필기구가 세로 방향으로 삽입 고정되도록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공(313)은 필기구(40)가 하측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방사형으로 절개된 고무판(315)을 포함할 수 있다.
고무판(315)은 필기구(40)를 삽입공(313)에 삽입시켜 고정할 시 필기구(40)의 하중에 의해 필기구(40)의 촉이 하판(330)과 마찰을 일으켜 촉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고무판(315)은 방사형으로 절개된 각각의 날개들이 필기구(40)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필기구(40)가 급속도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안착부(317)는 지주대(200)를 기준으로 삽입공(313)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고, 필기구(40)가 수평 방향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측 방향으로 함몰된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함 홀더(10)는 휴대용 단말기(30)가 거치될 수 있도록 홀더부(400)가 이동되게 받침판(410)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이동부(300)의 하부에 구비된 돌기(333)와 체결 고정되는 장공(411) 및 장공(411)을 통해 돌출된 돌기(333)와 체결 고정되어 받침판(410)을 고정지지 하는 체결수단(4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홀더부(400)가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돌기(333)가 홀더부(40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 역할을 한다.
즉, 명함(20)이 고정될 때에는 홀더부(400)의 가압부(420)가 이동부(300)의 지지판(320)과 밀착되도록 지주대(200)가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휴대용 단말기(30)를 거치시키기 위해 홀더부(400)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지지판(320)과 가압부(4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로고 이격시킨다. 그 공간에는 휴대용 단말기(30)가 거치된다. 이때, 홀더부(400)를 고정시키기 위해 장공(411)을 통해 돌출된 돌기(333)에 체결수단(430)을 이용하요 체결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체결수단(430)은 일반적인 너트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명함 홀더 20; 명함
30; 휴대용 단말기 40; 필기구
100; 받침대 110; 흡착판
120; 보호 캡 200; 지주대
210; 지지대 220; 그립부
300; 이동부 310; 상판
311; 제1 삽입홀 313; 삽입공
315; 고무판 317; 안착부
320; 지지판 330; 하판
331; 제2 삽입홀 333; 돌기
400; 홀더부 410; 받침판
411; 장공 420; 가압부
430; 체결수단

Claims (9)

  1. 받침대;
    받침대 상에 체결 고정되는 지주대;
    지주대에 끼움 고정되고, 지주대를 따라 이동되며, 탄성력을 갖는 이동부; 및
    명함이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이동부의 일측에 체결 고정되는 홀더부;를 포함하고,
    이동부는,
    사선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지주대에 끼움 고정되도록 제1 삽입홀이 형성된 상판;
    상판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하측 방향으로 일정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명함의 뒷면을 지지하는 지지판; 및
    지지판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판과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지주대에 끼움 고정되게 제2 삽입홀이 형성된 하판;을 포함하되,
    사선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판 및 하판을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수평상태가 되면 상판 및 하판에 형성된 제1 삽입홀 및 제2 삽입홀이 각각 지주대를 기준으로 수평상태가 되어 지주대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홀더.
  2. 제 1항에 있어서,
    받침대는,
    바닥에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하단에 체결 고정되는 흡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홀더.
  3. 제 1항에 있어서,
    받침대는,
    책상 또는 유리바닥과 충격에 의해 파손되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에 체결 고정되는 실리콘재질의 보호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홀더.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홀더부는,
    이동부 하단에 체결 고정되는 받침판; 및
    받침판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측 일부가 외측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명함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홀더.
  6. 제 5항에 있어서,
    홀더부는,
    받침판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이동부의 하부에 구비된 돌기와 체결 고정되는 장공; 및
    장공을 통해 돌출된 돌기와 체결 고정되어 받침판을 고정지지 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되,
    명함이 고정될 때에는 이동부의 일측과 밀착되고, 이동부의 일측과 이격되게 이동하여 공간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공간부에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홀더.
  7. 제 1항에 있어서,
    지주대는,
    상단에 체결 고정되고,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탄성력을 갖는 지지대; 및
    지지대 상단에 체결 고정되고, 메모지를 그립할 수 있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홀더.
  8. 제 1항에 있어서,
    상판은,
    제1 삽입홀과 이격되게 위치하고, 필기구가 세로 방향으로 삽입 고정되도록 다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되며, 삽입공 외주면에는 필기구가 하측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방사형으로 절개된 고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홀더.
  9. 제 1항에 있어서,
    상판은,
    필기구가 가로방향으로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에 형성된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홀더.
KR2020140003304U 2014-04-24 2014-04-24 명함 홀더 Expired - Lifetime KR2004783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304U KR200478320Y1 (ko) 2014-04-24 2014-04-24 명함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304U KR200478320Y1 (ko) 2014-04-24 2014-04-24 명함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320Y1 true KR200478320Y1 (ko) 2015-09-21

Family

ID=54342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304U Expired - Lifetime KR200478320Y1 (ko) 2014-04-24 2014-04-24 명함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320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346Y1 (ko) * 2003-05-19 2003-08-14 노명진 카피 홀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346Y1 (ko) * 2003-05-19 2003-08-14 노명진 카피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9537B2 (en) Supporting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US9562644B2 (en) Hands-free holding device
JP2019091985A (ja) 携帯端末保持具
US20120186499A1 (en) Object holding table
KR20150059372A (ko) 보조 독서판이 구비된 독서대
KR20150053325A (ko) 스마트폰 거치대
US20160262551A1 (en) Bed Base Capable of Fixing Mattress
US7669820B2 (en) Suppor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478320Y1 (ko) 명함 홀더
KR20120124742A (ko) 흡착구
KR200474301Y1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거치대
KR101539201B1 (ko) 고정장치가 구비된 이젤
JP2015027336A (ja) テーブル装置
KR20160004443U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60542Y1 (ko) 다용도 거치대
KR200494299Y1 (ko) 노트북 컴퓨터 거치대
KR101200050B1 (ko) 휴대폰 거치대
CN210077230U (zh) 镜子的支撑固定结构和镜子
KR101272750B1 (ko) 휴대폰 받침대
US8711551B2 (en) Electronic device with multi-orientation
CN217583834U (zh) 一种伸缩支架
CN212678637U (zh) 护眼正姿架
TWI395900B (zh) 支座
KR102708830B1 (ko) 스마트 마그네틱 거치대
CN212066039U (zh) 一种可加装于书架隔板或桌面底部的抽拉式阅读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4042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5072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91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5091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0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4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