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307Y1 - Replacement filters are used to purifier - Google Patents
Replacement filters are used to purifi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8307Y1 KR200478307Y1 KR2020130008685U KR20130008685U KR200478307Y1 KR 200478307 Y1 KR200478307 Y1 KR 200478307Y1 KR 2020130008685 U KR2020130008685 U KR 2020130008685U KR 20130008685 U KR20130008685 U KR 20130008685U KR 200478307 Y1 KR200478307 Y1 KR 20047830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rifying
- bar
- filter
- stopper
- purifying b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10926 pur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3566 sea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565 sea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15—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4—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with cartridges made of a piece of unitary material, e.g. filter pap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화장치에 사용되는 교체필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부가 관통된 긴 봉 형상을 갖는 것으로, 외주면에는 관통된 다수의 정화구멍이 형성되는 정화봉;과, 상기 정화봉의 외주면에 촘촘하게 감기는 것으로, 상기 정화봉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에 잔존하는 불순물을 걸러내는 실 재질의 필터부;와, 상기 정화봉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정화봉의 상부를 폐쇄하는 동시에 상기 필터부를 가압하는 가압마개;와, 상기 정화봉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정화봉의 하부 및 상기 정화용기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는 배출로를 폐쇄하는 동시에 상기 필터부를 가압하되, 내부에는 상기 정화봉의 내부와 상기 배출로를 연통되게 연결하는 연통구멍이 형성되는 연통마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필터부가 형성된 정화봉의 상부에 위치되어 정화봉의 상부를 가압 폐쇄하는 가압마개와, 정화봉의 하부에 위치되어 정화봉의 하부를 가압 폐쇄하는 연통마개를 통해 정화봉의 양끝단을 안정적이고 정밀하게 폐쇄하는 구조를 함으로, 종래에 정화봉의 양끝단을 폐쇄하는 구조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하여 정화의 우수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가압마개와 연통마개를 통해 정화봉의 양끝단을 탄력적으로 폐쇄하는 구조로 인해 수시로 교체되는 정화봉의 교체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종래에 사용되는 실링재의 사용이 요구되지 않아 실링재의 교체 필요성이 없어 장치의 사용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압마개 및 연통마개의 날개를 통해서 필터부를 가압 고정함으로,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필터부의 실이 풀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정화의 우수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placement filter for use in a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placement filter having an elongated rod shape having an inner perforation therein and having a plurality of purifying hole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filter unit that is wound to filter out impurities remaining in the fluid flowing into the purifying bar; a pressure cap positioned on the purifying bar to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purifying bar and press the filter unit; And an exhaust passag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urifying bar and protruding from a lower surface of the purifying container and being protruded from the bottom of the purifying container. The filter portion is pressurized, and the inside of the purifying bar is connected to the exhaust passage And a communication stopper in which a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A structure in which the both ends of the purifying rod are stably and precisely closed through a pressure cap positioned above the purifying bar formed with the filter section and for pressing and clo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purifying bar and a communication cap positioned below the purifying bar and for pressurizing and closing the bottom of the purifying bar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s that occur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both ends of the purifying rods are closed in the related art, and the excellent reliability of purifying can be ensured.
In addition, since the both ends of the purifying bar are elastically closed through the pressure cap and the communication stopper, it is easy to replace the purifying bar which is frequently replaced, and the use of the sealing member used in the past is not requir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ase of use of the device can be ensured.
In addition, by pressing and fixing the filter portion through the wings of the pressure cap and the communication stopp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seal of the filter portion is loosened due to long-term use, and thus the excellent reliability of the purification can be secured more effectively.
Description
본 고안은 정화장치에 사용되는 교체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부가 형성된 정화봉의 상부에 위치되어 정화봉의 상부를 가압 폐쇄하는 가압마개와, 정화봉의 하부에 위치되어 정화봉의 하부를 가압 폐쇄하는 연통마개를 통해 정화봉의 양끝단을 안정적이고 정밀하게 폐쇄하는 구조를 함으로, 종래에 정화봉의 양끝단을 폐쇄하는 구조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하여 정화의 우수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정화장치에 사용되는 교체필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placement filter used in a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placement filter used in a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placement filter used in a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placement filter for purifying the upper portion of a purifier, And the two ends of the purifying rods are stably and precisely closed through a communication stopper to prevent the problems caused by the structure that the both ends of the purifying rods are closed so that the purifying device capable of securing excellent reliability of purifying To a replacement filter.
일반적으로 정화장치는 유체에 잔존하는 불순물 및 이물질을 걸러내어 정화하는 장치로, 크게 유체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정화용기와, 그 정화용기에 내장되어 상기 정화용기로 유입되는 유체에 잔존하는 불순물을 걸러내는 교체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purifier is a device for purifying impurities and foreign substances remaining in a fluid and purifying the purifier. The purifier includes a purifier that largely inflows and discharges a fluid, and filters impurities remaining in a fluid flowing into the purifier, And includes a replacement filter.
여기서, 상기 교체필터는 통상 1 내지 2개월 정도 사용한 후에 교체하여 사용하는 일회용품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내부가 관통되되, 외주면에는 관통된 다수의 정화구멍(1a)이 형성되는 정화봉(1)과, 상기 정화봉(1)의 외주면에 촘촘하게 감기는 것으로, 상기 정화봉(1)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에 잔존하는 불순물을 걸러내는 실 재질의 필터부(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Here, the replacement filter is a disposable product which is usually used for about 1 to 2 months and then used for replacement. As shown in FIG. 1, the replacement filter includes a plurality of purifying holes 1a, (1) and a filter part (2) made of an actual material that tightly winds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rifying bar (1) and filters out impurities remaining in the fluid flowing into the purifying bar (1) .
이때, 상기 정화봉(1)의 양끝단은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정화용기(3)의 덮개(3a)에 형성되는 가압홈(3b)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정화용기(3)의 저면에 형성되는 배출로(3c)에 삽입되게 하여 상기 정화용기(3)에 고정되어 사용되도록 한다.At this time, both ends of the purifying
여기서, 상기 정화용기(3)의 가압홈(3b)과 배출로(3c)에 삽입되는 상기 정화봉(1) 양끝단의 기밀을 유지하여 상기 필터부(2)를 거치지 않은 유체가 상기 정화봉(1)의 양끝단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압홈(3b)과 배출로(3c)의 내주면에는 실링재(4)가 위치되기 마련이다.Herein, the airtightness of both ends of the purifying
하지만, 장기간 연속적으로 교체되는 교체필터의 특성상 상기 정화용기(3)의 가압홈(3b)과 배출로(3c)에 형성되는 실링재(4)가 쉽게 마모되고, 이는 실링재(4)의 기능을 상실됨을 의미함으로 상기 필터부(2)를 거치지 않고 상기 정화봉(1)의 양끝단으로 정화를 거치지 않은 유체가 유입 배출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하여 유체의 정화 신뢰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placement filter which is continuously exchang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또한, 상기 정화봉(1)에 실을 감아서 형성되는 필터부(2)는 실을 견고히 결속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없어 장기간 사용시 쉽게 풀어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유체의 정화 신뢰성이 더욱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더욱이, 상기 실링재(4)가 마모되는 경우에는 새로운 실링재(4)로 교체하는 작업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모되어 비용과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sealing
또한, 상기 정화봉(1)을 실링재(4)가 형성되는 상기 가압홈(3b)과 배출로(3c)에 강제로 억지끼움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구조로 인해, 상기 교체필터를 빼거나 새로 삽입하기가 어려워 빈번하게 교체하여 사용하는 상기 교체필터의 특성상 교체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purging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필터부가 형성된 정화봉의 상부에 위치되어 정화봉의 상부를 가압 폐쇄하는 가압마개와, 정화봉의 하부에 위치되어 정화봉의 하부를 가압 폐쇄하는 연통마개를 통해 정화봉의 양끝단을 안정적이고 정밀하게 폐쇄하는 구조를 함으로, 종래에 정화봉의 양끝단을 폐쇄하는 구조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하여 정화의 우수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정화장치에 사용되는 교체필터를 제공함에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ltering apparatus, which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a purifying bar formed with a filter unit and which pressurizes and closes an upper portion of the purifying bar, A purifying device that can stably and precisely close the both ends of the purifying bar through a communication stopper to be pressurized and closed can prevent problems caused by a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of the purifying bar are closed, Which is used for the filter.
더욱이, 가압마개와 연통마개를 통해 정화봉의 양끝단을 탄력적으로 폐쇄하는 구조로 인해 수시로 교체되는 정화봉의 교체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종래에 사용되는 실링재의 사용이 요구되지 않아 실링재의 교체 필요성이 없어 장치의 사용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정화장치에 사용되는 교체필터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oth ends of the purifying bar are elastically closed through the pressure cap and the communication stopper, it is easy to replace the purifying bar which is frequently replaced, and the use of the sealing member used in the past is not required, And a replacement filter used in a purifier capable of ensuring ease of use of the apparatus.
또한, 가압마개 및 연통마개의 날개를 통해서 필터부를 가압 고정함으로,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필터부의 실이 풀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정화의 우수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정화장치에 사용되는 교체필터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 replacement filter used in a purifier that can secure the reliability of purification more effectively by preventing the phenomenon that the filter portion is loosened due to long-term use by pressing and fixing the filter portion through the wings of the pressure cap and the communication stopper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정화장치에 사용되는 교체필터는 내부가 관통된 긴 봉 형상을 갖는 것으로, 외주면에는 관통된 다수의 정화구멍이 형성되는 정화봉;과, 상기 정화봉의 외주면에 촘촘하게 감기는 것으로, 상기 정화봉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에 잔존하는 불순물을 걸러내는 실 재질의 필터부;와, 상기 정화봉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정화봉의 상부를 폐쇄하는 동시에 상기 필터부를 가압하는 가압마개;와, 상기 정화봉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정화봉의 하부 및 상기 정화용기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는 배출로를 폐쇄하는 동시에 상기 필터부를 가압하되, 내부에는 상기 정화봉의 내부와 상기 배출로를 연통되게 연결하는 연통구멍이 형성되는 연통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마개를 통해서 상기 정화봉의 상·하부를 안정적으로 폐쇄하여 상기 정화봉을 통해 안정적인 유체의 정화를 유도하여 정화의 신뢰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placement filter for use in a purifier, the purifier having an elongated rod having an inner perforation formed therein, the purifier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purifier for purifying impurities remaining in the fluid flowing into the purifying rods by tightly winding the purifying rod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rifying rods; A purifier for purifying a purge gas discharged from the purifier, a purge cap for purifying the purifier, a purge cap for purifying the purifier, And a communication stopper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purge bar to form a communication hole Reliably closed by inducing a reliable purification of the fluid through the purging rod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purification.
또한, 상기 가압마개는 외주면에는 제1가압스프링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정화봉의 상부를 안정적으로 폐쇄하는 동시에 상기 정화봉에 감기는 실 재질의 상기 필터부를 밀착 가압하여 상기 필터부가 풀어지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하는 가압날개가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정화봉의 상부로 유입되어 안정적인 고정을 유도하는 제1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제1고정홈이 형성되는 제1마개와, 하부는 상기 제1마개의 제1고정홈에 삽입 고정되고, 상부는 상기 정화용기의 덮개에 형성되는 가압홈에 삽입되어 상기 정화용기에 덮개가 덮이면 상기 덮개에 가압되어 상기 제1마개를 상기 정화봉에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제1가압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pressure cap is pressed by the first pressing spring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upper portion of the purifying bar is stably closed, and the filter portion of the seal material wound on the purifying bar is tightly pressed against the filter bar, A first fixing protrusion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bar to guide the fixing member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bar to stably fix the first fixing protrusion and a first fixing groov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And the upper part is inserted into a press groove formed in a lid of the purge container and is pressed against the lid when the lid is covered with the purge container so that the first stopper is elastically inserted into the purge bar And a first pressing spring for pressing the first pressing spring.
또한, 상기 연통마개는 외주면에는 상기 덮개의 가압력에 상기 정화봉이 하부로 눌러지면 상기 정화봉과 함께 하강하여 상기 정화용기의 배출로를 밀착 가압하여 용이하게 폐쇄하도록 폐쇄날개가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정화봉의 하부로 유입되어 안정적인 고정을 유도하는 제2고정돌기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2고정홈이 형성되는 제2마개와, 상부는 상기 제2마개의 제2고정홈에 삽입 고정되고, 하부는 상기 정화용기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는 배출로에 삽입되어 상기 제2마개를 상기 정화봉에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되,When the purifying rod is pushed downward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li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closing lid is extended outwardly to closely close the discharge passage of the purifying container so as to be easily closed by the purifying rod, A second stopper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urifying bar to form a second fixing protrusion for inducing stable fixing and having a second fixing groove formed therein and an upper portion inserted and fixed in the second fixing groove of the second stopper And a second pressing spring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assage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purifying container to elastically press the second stopper to the purifying bar,
상기 제2마개의 내부에는 상기 정화봉의 내부와 상기 배출로를 연통되게 연결하는 연통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the inside of the purifying bar and the discharge passage is formed in the second stopper.
또한, 상기 연통마개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폐쇄날개는 하부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첨예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정화용기의 배출로를 효과적으로 폐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losing blade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stopper may be formed in a tapered shape that becomes more sharper as it extends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reby effectively closing the discharge path of the purifying container.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정화장치에 사용되는 교체필터에 의하면, 필터부가 형성된 정화봉의 상부에 위치되어 정화봉의 상부를 가압 폐쇄하는 가압마개와, 정화봉의 하부에 위치되어 정화봉의 하부를 가압 폐쇄하는 연통마개를 통해 정화봉의 양끝단을 안정적이고 정밀하게 폐쇄하는 구조를 함으로, 종래에 정화봉의 양끝단을 폐쇄하는 구조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하여 정화의 우수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eplacement filter used in the purify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lacement filter is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purifying bar formed with the filter portion and pressurizes and closes the upper portion of the purifying bar. The two ends of the purifying bar are stably and precisely closed through a communication stopper through which the purifying rods are closed. Thus, there is an advantageous effect that the problems occurring in the structure of closing the both ends of the purifying rods can be prevented.
더욱이, 가압마개와 연통마개를 통해 정화봉의 양끝단을 탄력적으로 폐쇄하는 구조로 인해 수시로 교체되는 정화봉의 교체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종래에 사용되는 실링재의 사용이 요구되지 않아 실링재의 교체 필요성이 없어 장치의 사용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oth ends of the purifying bar are elastically closed through the pressure cap and the communication stopper, it is easy to replace the purifying bar which is frequently replaced, and the use of the sealing member used in the past is not requir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ase of use of the device can be ensured.
또한, 가압마개 및 연통마개의 날개를 통해서 필터부를 가압 고정함으로,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필터부의 실이 풀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정화의 우수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ressing and fixing the filter portion through the wings of the pressure cap and the communication stopp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seal of the filter portion is loosened due to long-term use, and thus the excellent reliability of the purification can be secured more effectively.
도 1은 종래에 사용되던 정화장치에 사용되는 교체필터의 종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화장치에 사용되는 교체필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정화장치에 사용되는 교체필터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정화장치에 사용되는 교체필터의 A-A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정화장치에 사용되는 교체필터의 사용상태도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replacement filter used in a conventionally used purifier;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placement filter used in a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placement filter used in the purifier shown in Fig.
Fig. 4 is an AA sectional view of the replacement filter used in the purifier shown in Fig. 2
Fig. 5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replacement filter used in the purifier shown in Fig. 2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화장치에 사용되는 교체필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The replacement filter used in the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b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2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정화장치에 사용되는 교체필터를 도시한 것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화장치에 사용되는 교체필터의 사시도를,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정화장치에 사용되는 교체필터의 분리 사시도를,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정화장치에 사용되는 교체필터의 A-A 단면도를,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정화장치에 사용되는 교체필터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placement filter used in a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ide view of a replacement filter used in a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A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placement filter used in the purifying apparatus shown in Fig. 2, Fig. 5 is a sectional view of the replacement filter used in the purifying apparatus shown in Fig. And the state of use of the filter, respectively.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정화장치에 사용되는 교체필터(100)는 정화봉(10)과, 필터부(20)와, 가압마개(30)와, 연통마개(40)를 포함하고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화봉(10)은 내부가 관통된 긴 봉 형상을 갖는 것으로, 외주면에는 관통된 다수의 정화구멍(11)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purifying
즉, 상기 정화봉(10)의 외주면에 후설될 상기 필터부(20)가 형성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부(20)를 통과하여 정화된 유체가 상기 정화구멍(11)으로 유입되고, 그 정화된 유체는 상기 정화봉(10)의 내부를 유통하여 상기 정화봉(10)의 끝단과 연통되게 연결되는 정화용기(3)의 배출로(3c)를 통해서 배출된다.That is, when the
여기서, 상기 정화봉(10)이나 필터부(20)는 통상적으로 교체필터에 사용되는 구성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 the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부(20)는 상기 정화봉(10)의 외주면에 실로 촘촘하게 감겨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정화봉(10)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에 잔존하는 불순물을 걸러내는 필터 역활을 수행하게 된다.2 to 4, the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마개(30)는 상기 정화봉(10)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정화봉(10)의 상부를 폐쇄하는 동시에 상기 필터부(20)를 가압하는 것으로,2 to 4, the
외주면에는 제1가압스프링(32)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정화봉(10)의 상부를 안정적으로 폐쇄하는 동시에 상기 정화봉(10)에 감기는 실 재질의 상기 필터부(20)를 밀착 가압하여 상기 필터부(20)가 풀어지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하는 가압날개(31a)가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정화봉(10)의 상부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정화봉(10)의 안정적인 고정을 유도하는 제1고정돌기(31b)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제1고정홈(31c)이 형성되는 제1마개(31)와, 하부는 상기 제1마개(31)의 제1고정홈(31c)에 삽입 고정되고, 상부는 상기 정화용기(3)의 덮개(3a)에 형성되는 가압홈(3b)에 삽입되어 상기 정화용기(3)에 덮개(3a)가 덮이면 상기 덮개(3a)에 가압되어 상기 제1마개(31)를 상기 정화봉(10)에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제1가압스프링(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upper portion of the purifying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화용기(3)에 덮개(3a)가 닫히면 상기 덮개(3a)의 가압홈(3b)에 삽입되는 상기 제1가압스프링(32)이 눌러져 가압 수축되고, 이때 상기 제1가압스프링(32)의 복원력이 발생하여 상기 제1마개(31)를 상기 정화봉(10)으로 탄력적으로 밀착시킴으로, 상기 제1마개(31)의 가압날개(31a)를 통해서 상기 정화봉(10)의 상부를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필터부(20)를 밀착 가압하게 된다.5B, when the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통마개(40)는 상기 정화봉(1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정화봉(10)의 하부 및 상기 정화용기(3)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는 배출로(3c)를 폐쇄하는 동시에 상기 필터부(20)를 가압하되, 내부에는 상기 정화봉(10)의 내부와 상기 배출로(3c)를 연통되게 연결하는 연통구멍(43)이 형성되는 것으로,2 to 4, the
외주면에는 상기 덮개(3a)의 가압력에 상기 가압마개(30)를 통해 상기 정화봉(10)이 하부로 눌러지면 상기 정화봉(10)과 함께 하강하여 상기 정화용기(3)의 배출로(3c)를 밀착 가압하여 폐쇄하도록 폐쇄날개(41a)가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정화봉(10)의 하부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정화봉(10)의 안정적인 고정을 유도하는 제2고정돌기(41b)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2고정홈(41c)이 형성되는 제2마개(41)와, 상부는 상기 제2마개(41)의 제2고정홈(41c)에 삽입 고정되고, 하부는 상기 정화용기(3)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는 배출로(3c)에 삽입되어 상기 제2마개(41)를 상기 정화봉(10)에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스프링(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urifying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마개(41)의 내부에는 상기 정화봉(10)의 내부와 상기 배출로(3c)를 연통되게 연결하는 연통구멍(43)이 형성되어 상기 정화봉(10) 내부로 유통된 유체가 상기 정화용기(3)의 배출로(3c)를 통해서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4, a communicating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화용기(3)에 덮개(3a)가 닫히면 상기 덮개(3a)의 가압력으로 인해 상기 정화봉(10)이 하부로 눌러지면서 상기 제2마개(41)가 상기 정화봉(10)과 함께 하강하여 상기 정화용기(3)의 배출로(3c)를 외부로부터 패쇄하는데, 이때 상기 제2마개(41)에 형성되는 상기 제2가압스프링(42)이 가압 수축되면서 발생하는 복원력을 통해 상기 제2마개(41)가 탄력적으로 상기 정화봉(10)으로 밀착되므로, 상기 제2마개(41)의 폐쇄날개(41a)를 통해 상기 정화봉(10)의 하부가 외부와 밀폐됨과 동시에 상기 필터부(20)를 밀착 가압하게 된다.5B, when the
한편, 상기 연통마개(4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폐쇄날개(41a)는 하부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첨예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정화봉(10)과 함께 하강하면서 상기 정화용기(3)의 배출로(3c)를 효과적으로 폐쇄함이 바람직하다.The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정화장치에 사용되는 교체필터(100)는 필터부(20)가 형성된 상기 정화봉(10)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정화봉(10)의 상부를 가압 폐쇄하는 상기 가압마개(30)와, 상기 정화봉(1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정화봉(10)의 하부를 가압 폐쇄하는 상기 연통마개(40)를 통해 상기 정화봉(10)의 양끝단을 안정적이고 정밀하게 폐쇄하는 구조를 함으로, 종래에 정화봉(1)의 양끝단을 폐쇄하는 구조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하여 정화의 우수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더욱이, 상기 가압마개(30)와 연통마개(40)를 통해 상기 정화봉(10)의 양끝단을 탄력적으로 폐쇄하는 구조로 인해 수시로 교체되는 상기 정화봉(10)의 교체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종래에 사용되는 실링재(4)의 사용이 요구되지 않아 실링재(4)의 교체 필요성이 없어 장치의 사용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Moreover, since the both ends of the
또한, 상기 가압마개(30) 및 연통마개(40)의 날개(31a,41a)를 통해서 상기 필터부(20)를 가압 고정함으로,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상기 필터부(20)의 실이 풀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정화의 우수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ressing and fixing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정화장치에 사용되는 교체필터(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The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용기(3)의 덮개(3a)를 열고 본 발명의 정화장치에 사용되는 교체필터(100)를 정화용기(3)에 내부에 위치시킨다. 이때, 정화봉(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연통마개(40)의 제2가압스프링(42)의 끝단이 정화용기(3)의 저면에 형성되는 배출로(3c)에 유입되어 상기 정화봉(10)이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한다.First, as shown in FIG. 5A, the
그런 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화용기(3)의 덮개(3a)를 닫아 정화용기(3) 내부를 폐쇄하되, 상기 정화용기(3)의 덮개(3a)에 형성되는 가압홈(3b)에 가압마개(30)의 제1가압스프링(32)의 끝단이 내입되게 하여 상기 덮개(3a)의 가압력에 상기 가압마개(30) 및 연통마개(40)의 스프링(32,42)이 가압 수축되게 하고, 그 수축된 상기 스프링(32,42)의 복원력으로 인해 상기 마개(31,41)의 날개(31a,41a)가 상기 정화봉(10)에 밀착 가압되어 상기 정화봉(10)의 양끝단을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필터부(20)에 밀착되어 상기 필터부(20)를 구성하는 실의 풀어짐을 안정적으로 방지한다.5B, the
이때, 상기 연통마개(40)의 제2마개(41)는 상기 덮개(3a)에 의해 눌러져 하강하는 상기 정화봉(10)과 함께 하강되어 상기 정화용기(3)의 배출로(3c)에 밀착되어 상기 배출로(3c)를 외부로부터 폐쇄한다.At this time, the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복하여 정화용기 내부에 본 발명의 정화장치에 사용되는 교체필터(100)의 설치가 완료되어 상기 정화용기(3)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면, 그 유입된 유체는 상기 필터부(20)를 통과하면서 내부에 잔존하는 불순물이 걸러져 정화되고, 그 정화된 유체는 상기 정화봉(10)으로 유통되어 상기 배출로(3c)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As shown in FIG. 5C, when the
상기와 같이 정화작업이 장시간 반복되어 필터부(20)에 많은 불순물이 적층되어 본 발명의 정화장치에 사용되는 교체필터(100)의 교체가 요구되면,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화용기(3)의 덮개(3a)를 열어 상기 덮개(3a)로 인한 상기 가압 및 연통마개(30,40)의 스프링(32,42) 가압을 해제한 후에 간편히 본 발명의 정화장치에 사용되는 교체필터(100)를 회수한 후, 상기에 상술한 바와 같이 다시 본 발명의 정화장치에 사용되는 교체필터(100)를 다시 설치하면 된다.When the purifying operation is repeated for a long time as described above and a lot of impurities are stacked on the
여기서, 필터의 교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필터부(20)가 형성된 상기 정화봉(10)만 간편히 교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cas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replacement of the filter can be performed by simply replacing the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You will understand the point. It is needless to say that vari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within the scope of the detailed description, but will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their technical ideas.
1. 정화봉 1a. 정화구멍
2. 필터부 3. 정화용기
3a. 덮개 3b. 가압홈
3c. 배출로 4. 실링재
10. 정화봉 11. 정화구멍
20. 필터부 30. 가압마개
31. 제1마개 31a. 가압날개
31b. 제1고정돌기 31c. 제1고정홈
32. 제1가압스프링 40. 연통마개
41. 제2마개 41a. 폐쇄날개
41b. 제2고정돌기 41c. 제2고정홈
42. 제2가압스프링 43. 연통구멍
100. 정화장치에 사용되는 교체필터1. Purifying rods 1a. Purification hole
2.
3a.
3c.
10.
20.
31.
31b. The
32.
41.
41b. The
42. Second pressing
100. Replacement filters used in purification devices
Claims (4)
내부가 관통된 긴 봉 형상을 갖는 것으로, 외주면에는 관통된 다수의 정화구멍(11)이 형성되는 정화봉(10);
상기 정화봉(10)의 외주면에 촘촘하게 감기는 것으로, 상기 정화봉(10)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에 잔존하는 불순물을 걸러내는 실 재질의 필터부(20);
상기 정화봉(10)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정화봉(10)의 상부를 폐쇄하는 동시에 상기 필터부(20)를 가압하는 가압마개(30);
상기 정화봉(1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정화봉(10)의 하부 및 상기 정화용기(3)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는 배출로(3c)를 폐쇄하는 동시에 상기 필터부(20)를 가압하되, 내부에는 상기 정화봉(10)의 내부와 상기 배출로(3c)를 연통되게 연결하는 연통구멍(43)이 형성되는 연통마개(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마개(30,40)를 통해서 상기 정화봉(10)의 상·하부를 안정적으로 폐쇄하여 상기 정화봉(10)을 통해 안정적인 유체의 정화를 유도하는 정화의 신뢰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장치에 사용되는 교체필터.
A replacement filter for use in a purifier, which is installed inside a purifier (3) to filter out impurities and foreign substances remaining in a fluid flowing into the purifier (3)
A purifying bar (10) having a long rod shape penetrating the inside thereof and having a plurality of purifying holes (11) penetra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filter unit 20 of a yarn material which is tightly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rifying bar 10 to filter out impurities remaining in the fluid flowing into the purifying bar 10;
A pressure cap 30 positioned above the purging rods 10 to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purging rods 10 and to press the filter portion 20;
The filter unit 20 is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urifying bar 10 and closes the discharge passage 3c formed under the purifying bar 10 and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urifying container 3, And a communication stopper 40 in which a communication hole 43 for communicating the inside of the purifying bar 10 with the discharge passage 3c is formed there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urifying rods 10 are stably closed through the plugs 30 and 40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purifying operation for inducing the purifying of the stable fluid through the purifying rods 10 Replacement filters used in purifiers.
상기 가압마개(30)는,
외주면에는 제1가압스프링(32)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정화봉(10)의 상부를 안정적으로 폐쇄하는 동시에 상기 정화봉(10)에 감기는 실 재질의 상기 필터부(20)를 밀착 가압하여 상기 필터부(20)가 풀어지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하는 가압날개(31a)가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정화봉(10)의 상부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정화봉(10)의 안정적인 고정을 유도하는 제1고정돌기(31b)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제1고정홈(31c)이 형성되는 제1마개(31)와,
하부는 상기 제1마개(31)의 제1고정홈(31c)에 삽입 고정되고, 상부는 상기 정화용기(3)의 덮개(3a)에 형성되는 가압홈(3b)에 삽입되어 상기 정화용기(3)에 덮개(3a)가 덮이면 상기 덮개(3a)에 가압되어 상기 제1마개(31)를 상기 정화봉(10)에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제1가압스프링(3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장치에 사용되는 교체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ure cap (30)
The upper portion of the purifying bar 10 is stably closed when the first pressing spring 32 is pressed agains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rifying bar 10 and the filter portion 20 of an actual material wound on the purifying bar 10 is tightly pressed, A pressing blade 31a for preventing the filter unit 20 from being loosened is extended to the outside and the lower portion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purifying bar 10 to induce stable fixing of the purifying bar 10 A first stopper 31 having a first fixing protrusion 31b formed thereon and a first fixing groove 31c formed thereon,
The lower part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first fixing groove 31c of the first stopper 31 and the upper part is inserted into the pressing groove 3b formed in the lid 3a of the purifying container 3, And a first pressing spring 32 which is pressed against the cover 3a to elastically press the first stopper 31 against the purifying bar 10 when the cover 3a is covered with the cover 3a, Replacement filters used in purifying devices featured.
상기 연통마개(40)는,
외주면에는 상기 덮개(3a)의 가압력을 통해 상기 정화봉(10)이 하부로 눌러지면 상기 정화봉(10)과 함께 하강하여 상기 정화용기(3)의 배출로(3c)를 밀착 가압하여 폐쇄하도록 폐쇄날개(41a)가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정화봉(10)의 하부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정화봉(10)의 안정적인 고정을 유도하는 제2고정돌기(41b)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2고정홈(41c)이 형성되는 제2마개(41)와,
상부는 상기 제2마개(41)의 제2고정홈(41c)에 삽입 고정되고, 하부는 상기 정화용기(3)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는 배출로(3c)에 삽입되어 상기 제2마개(41)를 상기 정화봉(10)에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스프링(42);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2마개(41)의 내부에는 상기 정화봉(10)의 내부와 상기 배출로(3c)를 연통되게 연결하는 연통구멍(4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장치에 사용되는 교체필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mmunication stopper (40)
When the purifying bar 10 is pushed downward through the pressing force of the lid 3a, the purifying bar 10 is lowered together with the purifying bar 10 so that the discharge passage 3c of the purifying container 3 is tightly pressed and closed A second fixing protrusion 41b for introducing the cleaning wing 41a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purifying bar 10 and inducing stable fixing of the purifying bar 1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A second stopper 41 having a second fixing groove 41c formed therein,
The upper part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second fixing groove 41c of the second stopper 41 and the lower part is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ath 3c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purifying container 3, And a second pressing spring (42)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cleaning rod (10) to the cleaning rod (10)
Wherein a communication hole (43) for communicating the inside of the purifying bar (10) with the discharge passage (3c) is formed in the second plug (41).
상기 연통마개(4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폐쇄날개(41a)는 하부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첨예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정화용기(3)의 배출로(3c)를 효과적으로 폐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장치에 사용되는 교체필터.The method of claim 3,
The closing blades 41a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stopper 40 are formed in a tapered shape which is sharpened as it extends in the downward direction to effectively close the discharge path 3c of the purifying container 3. [ Replacement filters used in purifier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8685U KR200478307Y1 (en) | 2013-10-22 | 2013-10-22 | Replacement filters are used to purifi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8685U KR200478307Y1 (en) | 2013-10-22 | 2013-10-22 | Replacement filters are used to purifi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1655U KR20150001655U (en) | 2015-04-30 |
KR200478307Y1 true KR200478307Y1 (en) | 2015-09-17 |
Family
ID=53038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8685U Expired - Lifetime KR200478307Y1 (en) | 2013-10-22 | 2013-10-22 | Replacement filters are used to purifi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8307Y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508228A (en) | 1996-04-06 | 2000-07-04 | ハイダック フィルターテヒニク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 filter |
KR100662025B1 (en) | 2005-12-05 | 2006-12-28 | 주식회사 동우 | Oil filter assembly structure for easy replacement of filtration elements |
JP2009545427A (en) | 2006-08-03 | 2009-12-24 | ハイダック フィルターテヒニク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 Filter device |
-
2013
- 2013-10-22 KR KR2020130008685U patent/KR200478307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508228A (en) | 1996-04-06 | 2000-07-04 | ハイダック フィルターテヒニク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 filter |
KR100662025B1 (en) | 2005-12-05 | 2006-12-28 | 주식회사 동우 | Oil filter assembly structure for easy replacement of filtration elements |
JP2009545427A (en) | 2006-08-03 | 2009-12-24 | ハイダック フィルターテヒニク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 Filter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1655U (en) | 2015-04-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669772B2 (en) | Filter device | |
CN106948983B (en) | Integrated filter element | |
CN107530612B (en) | Air pressure filters and filter elements | |
US9327219B2 (en) | Spiral irrigation filter cleaning apparatus | |
KR102004581B1 (en) |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 |
JP2014193469A (en) | Filter | |
KR200478307Y1 (en) | Replacement filters are used to purifier | |
JP6073914B2 (en) | Filter device | |
GB2504501A (en) | Jug water filter cartridge | |
JP2013252512A (en) | Filter element | |
ITPD20110186A1 (en) | FILTERING DEVICE WITH PERCULATION | |
US9492770B2 (en) | Filters | |
IT201600116480A1 (en) | DRINKER FOR PETS | |
US1630287A (en) | Filter | |
JP2009172478A (en) | Drain separator | |
JP4861401B2 (en) | Filter device | |
KR200444043Y1 (en) | Eye drop case | |
US20150136682A1 (en) | Filter device for fluids | |
KR101763737B1 (en) | Chemical filter structure having filtercap type cover device | |
JP2004255310A (en) | Filter | |
ES2784232T3 (en) | Cartridge for filtering liquids | |
DK2488273T3 (en) | PIPE FILTER | |
US20140326655A1 (en) | Hydraulic fluid filter-deaerator | |
JP3150057U (en) | Filtration device | |
CN208340234U (en) | Oil filter with filtering safe valv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1022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41112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7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509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50911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40422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