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174Y1 - Package box for teabag - Google Patents
Package box for teaba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8174Y1 KR200478174Y1 KR2020130006594U KR20130006594U KR200478174Y1 KR 200478174 Y1 KR200478174 Y1 KR 200478174Y1 KR 2020130006594 U KR2020130006594 U KR 2020130006594U KR 20130006594 U KR20130006594 U KR 20130006594U KR 200478174 Y1 KR200478174 Y1 KR 20047817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a bag
- tea
- opening
- plate
- support b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1001122767 Theaceae Species 0.000 claims 4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1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67
- 240000008042 Zea may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05824 Zea mays ssp. parviglumi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02017 Zea mays subsp may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05822 corn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09569 green tea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0—Break-in flaps, or members adapted to be torn-off, to provide pouring open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티백용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녹차, 옥수수수염차 등을 포함하는 티백이 수용되는 포장상자로부터 그 포장상자의 개폐 없이 티백이 간편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하여 차를 음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한 티백용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box for a tea bag,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ckaging box for a tea bag which includes a green tea, a corn barrel, and the like, To a packaging box for a tea bag to provide ease of use to the user.
Description
본 고안은 티백용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녹차, 옥수수수염차 등을 포함하는 티백이 수용되는 포장상자로부터 그 포장상자의 개폐 없이 티백이 간편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하여 차를 음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한 티백용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box for a tea bag,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ckaging box for a tea bag which includes a green tea, a corn barrel, and the like, To a packaging box for a tea bag to provide ease of use to the user.
일반적으로 티백은 녹차, 옥수수수염차 등을 포함하는 차를 싸서 넣은 종이 주머니를 가리키며, 포장상자에 수용되어 포장된다. Typically, tea bags point to paper bags wrapped in tea containing green tea, corn carts, etc., and are housed and packed in a packaging box.
그러나, 종래의 티백용 포장상자는 그 포장상자의 개폐에 따라 내부에 수용되는 티백을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ackaging bag for a tea bag has drawbacks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because it can draw out the tea bags accommodated therein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packaging box.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394935호에 따르면, 별도의 티백 인출구를 구비한 티백 포장상자가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394935, a tea bag packing box having a separate tea bag outlet is disclosed.
그러나, 이와 같은 티백 포장상자 또한 인출구를 개폐하는 인출구편이 구비되고, 그 인출구편의 개폐에 따라 내부에 수용되는 티백을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tea bag packing box also has a draw-out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raw-out opening, and the tea bag accommodated in the draw-out opening portion can be taken out according to the opening / closing of the draw-out opening portion.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녹차, 옥수수수염차 등을 포함하는 티백이 수용되는 포장상자로부터 그 포장상자의 개폐 없이 티백이 간편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하여 차를 음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한 티백용 포장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a bag which can be easily taken out from a packaging box containing a tea bag containing green tea and corn barrel tea without opening and closing the packaging box, And to provide a packaging box for a tea bag for providing ease of use to a user who wants to drink.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티백을 포장하기 위한 티백용 포장상자로서, 상,하,후면 및 양측면을 가지며, 전면이 개구되어 내측으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그 수용공간으로 상기 티백이 다수 적층되는 인케이싱과, 개구된 상기 인케이싱의 전면을 이루는 둘레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절첩에 따라 상기 인케이싱의 전면을 개폐하는 덮개를 구비하는 인케이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에는, 상기 티백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백용 포장상자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ckaging box for a tea bag for packing a tea bag, which has upper, lower, rear and both sides, a front surface is opened and a receiving space is formed inside, And an incising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stacked incising portions and a cover that is foldably connected to the periphery of the opened incising portion and opens and closes the entire surface of the ingaking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folding, And a take-out port for taking out the tea bag is formed.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인출구의 둘레를 이루는 하부면은, 상기 수용공간을 이루는 바닥면과 동일면 상에 위치되거나, 그 바닥면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surface forming the periphery of the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on the same surface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or located below the bottom surfac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인케이싱부는, 상기 인케이싱의 하면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바닥면을 이루는 받침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받침프레임은, 상기 바닥면을 이루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인케이싱을 연결하는 지지바; 및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와 함께 그 플레이트를 상기 인케이싱의 하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enceasing portion is formed by bending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enchainment and is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to form the bottom surface, plate; A support bar connecting the plate and the ingresse; And at least one auxiliary support bar formed by bending from the plate and supporting the plat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ingather along with the support bar.
또한, 상기 인케이싱부가 가로방향으로 복수 배치되어 일 열 또는 한 쌍의 열을 이루며 저장되는 아웃케이싱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아웃케이싱부는, 전,후,하면 및 양측면을 가지며, 상면이 개구되어 내측으로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아웃케이싱; 및 개구된 상기 아웃케이싱의 상면을 개폐하는 개폐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아웃케이싱은, 전면 또는 전,후면에 각각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되는 복수의 상기 인케이싱부에 형성되는 각 인출구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casing portion may have front, back, bottom, and both sides, and the top surface may be open to the inner side An outer casing in which a storage space is formed; And an opening and closing lid for opening and closing an upper surface of the opened out casing, wherein the out casing is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on the front surface, a front surface and a rear surface, respectively, and the discharge port includes a plurality of inching portions And is connected to each of the outlets formed in the housing.
본 고안에 따르면, 녹차, 옥수수수염차 등을 포함하는 티백이 수용되는 포장상자로부터 그 포장상자의 개폐 없이 티백을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음으로써 차를 음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a bag can be easily taken out from the packaging box containing the tea bag including green tea and corn barrel tea, without opening / closing the packaging box,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the tea bag It is effective.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티백용 포장상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티백용 포장상자에서 덮개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티백용 포장상자에서 인케이싱부를 나타낸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티백용 포장상자에서 인케이싱부 내에 다수의 티백이 적층된 상태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티백용 포장상자에서 아웃케이싱부에 복수의 인케이싱부가 저장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티백용 포장상자에서 아웃케이싱부 내에 복수의 인케이싱부가 저장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티백용 포장상자에서 아웃케이싱부에 복수의 인케이싱부가 저장된 상태에서 티백이 인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ckaging box for a te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d is opened in a packaging box for a te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arti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gaking portion in the packaging box for a te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tat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tea bags are stacked in an ingraining section in a packaging box for a te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drawn out to the outside.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ingraining units are stored in an outcasing unit in a packaging box for a te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and 7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enqueasing portions are stored in an outcasing portion in a packaging box for a te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tea bag is taken out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enqueasing portions are stored in an out casing portion in a packaging bag for a te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티백용 포장상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서 덮개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서 인케이싱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서 인케이싱부 내에 다수의 티백이 적층된 상태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ckaging box for a te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ver open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ninging part in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lurality of tea bags are stacked in an enqueezing part and is drawn out to the outside.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본 고안에 따른 티백용 포장상자(1)는 내측으로 티백(100)이 수용되는 포장상자로서, 일측이 개구되어 내측으로 수용공간(12)이 형성되며, 그 수용공간(12)으로 상기 티백(100)이 다수 적층되는 인케이싱(11)과, 개구된 상기 인케이싱(11)의 일측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절첩에 따라 상기 인케이싱(11)의 일측을 개폐하는 덮개(13)를 구비하는 인케이싱부(10)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13)에는 상기 티백(100)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14)가 형성된다.1 to 4, a
상기 인케이싱부(10)는 상기 인케이싱(11) 및 상기 덮개(13)가 일체로 연결된 동일면 상태의 종이판으로 이루어지며, 절곡과 함께 접착제 등에 의해 조립되어 육면체 형태 즉, 사각상자 형태를 이룬다. 이와 같은 조립에 의해 상기 인케이싱부(10)가 사각상자 형태를 이루는 방법은 이미 공지되어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따라서, 상기 인케이싱(11)은 일측 즉, 전면부가 개구되는 오면체 형태를 이루며, 상기 덮개(13)는 개구된 상기 인케이싱(11)의 전면부를 차단하여 육면체 형태의 상기 인케이싱부(10)를 이루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상기 인케이싱(11)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티백(100)은 상기 수용공간(12)에 그 인케이싱(11)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수평 상태로 다수 적층된다.The
상기 인케이싱(11)은 상기 수용공간(12)에 다수의 상기 티백(100)이 병렬로 적층되도록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일 열로 적층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상기 덮개(13)는 상,하단부 및 양측단부를 가지며, 그 상,하단부가 상기 인케이싱(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측단부가 개구된 상기 인케이싱(11)의 전면부 일측에 절첩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된다.The
상기 인출구(14)는 둘레가 상,하부면 및 양측면을 갖는 사각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양측면은 상기 덮개(13)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상기 인출구(14)는 상기 덮개(13)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12)을 이루는 바닥면(15)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적층되는 다수의 상기 티백(100)을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The
여기서, 상기 인출구(14)는 상기 덮개(13)에 그 인출구(14)를 이루는 둘레를 따라 절취선(미도시)이 형성된 상태로부터 그 덮개(13)의 일부를 절취함으로 인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the
이때, 상기 인출구(14)의 둘레를 이루는 하부면(14a)은 상기 바닥면(15)과 동일면 상에 위치되거나, 그 바닥면(15)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이는, 상기 인케이싱(11)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바닥면(15)에 이르는 높이(A)와 상기 덮개(13)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하부면(14a)에 이르는 높이(B)가 대략 동일하거나, 상기 하부면(14a)의 높이(B)가 상기 바닥면(15)의 높이(A)보다 낮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is is because the height A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이를 위해, 상기 인케이싱부(10)는 상기 수용공간(12)의 하부에 위치되며, 그 수용공간(12)의 바닥면(15)을 이루는 받침프레임(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상기 받침프레임(16)은 상기 인케이싱(11)의 하부 전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복수 절곡되어 상기 수용공간(12)으로 인입되는 형태를 이룬다. The
예를 들면, 상기 받침프레임(16)은 상기 바닥면(15)을 이루는 플레이트(17), 상기 플레이트(17)와 상기 인케이싱(11)의 하부 전단부를 연결하는 지지바(18)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17)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지지바(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상기 보조지지바(19)는 상기 플레이트(17)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18)와 함께 상기 플레이트(17)를 상기 인케이싱(11)의 하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프레임(16)은 상기 인케이싱(11)과 동일면 상태의 종이판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복수 절곡되어 상기 수용공간(12)으로 인입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함은 물론이다.The
이때, 상기 덮개(13)는 상기 인출구(14)의 둘레를 이루는 상부면에 상기 인출구(14)와 연통되는 손가락삽입공(14b)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상기 손가락삽입공(14b)은 상기 티백용 포장상자(1)로부터 상기 티백(100)을 인출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인출구(14)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2)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그 티백(100)을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한다.The
이로 인해, 상기 티백용 포장상자(1)는 상기 바닥면(15)에 다수의 상기 티백(100)을 안정적으로 적층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그 바닥면(15)과 상기 하부면(14a)이 동일면상에 위치되면서 상기 인출구(14)를 통해 그 다수의 티백(100)을 순차적으로 인출할 수 있다.
The
도 5는 본 고안에서 아웃케이싱부에 복수의 인케이싱부가 저장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서 아웃케이싱부 내에 복수의 인케이싱부가 저장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서 아웃케이싱부에 복수의 인케이싱부가 저장된 상태에서 티백이 인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enqueasing portions are stored in the outcasing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FIGS. 6 and 7 are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enqueasing portions are stored in the outcasing portion, And FIG. 8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ea bag is drawn out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enqueasing portions are stored in the outcasing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티백용 포장상자(1)는 내측으로 상기 인케이싱부(10)를 복수 수용하는 아웃케이싱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5 to 8, the
상기 아웃케이싱부(20)는 상부가 개구되어 내측으로 저장공간(22)이 형성되는 아웃케이싱(21), 개구된 상기 아웃케이싱(21)의 상부를 개폐하는 개폐덮개(23)를 포함한다.The
상기 아웃케이싱부(20)는 상기 아웃케이싱(21) 및 상기 개폐덮개(23)가 일체로 연결된 동일면 상태의 종이판으로 이루어지며, 절곡과 함께 접착제 등에 의해 조립되어 육면체 형태 즉, 사각상자 형태를 이룬다. 이와 같은 조립에 의해 상기 아웃케이싱부(20)가 사각상자 형태를 이루는 방법은 전술한 상기 인케이싱부(10)와 같이 이미 공지되어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outcasing
따라서, 상기 아웃케이싱(21)은 전,후,좌,우측면 및 하면을 갖는 오면체 형태를 이루며, 상기 개폐덮개(23)는 개구된 상기 아웃케이싱(21)의 상부를 차단하여 육면체 형태의 상기 아웃케이싱부(20)를 이루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open /
상기 개폐덮개(23)는 상기 아웃케이싱(21)의 전,후면 상단부에 각각 절첩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되는 제1,2덮개유닛(24,25)과, 상기 아웃케이싱(21)의 양측면 상단부에 각각 절첩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제3덮개유닛(26)을 포함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상기 개폐덮개(23)는 상기 한 쌍의 제3덮개유닛(26) 및 상기 제1,2덮개유닛(24,25)의 절첩에 따라 개구된 상기 아웃케이싱(21)의 상단부를 개폐한다.The opening and closing
상기 제2덮개유닛(25)에는 상기 아웃케이싱부(20)를 운반하기 위한 손잡이(27)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덮개유닛(24)에는 상기 손잡이(27)가 통과되는 중공(28)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개폐덮개(23)의 형태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상기 아웃케이싱(21)은 전면 또는 전,후면에 각각 상기 저장공간(22)과 연통되는 토출구(29)가 형성된다.The outcasing 21 has a
상기 토출구(29)는 상기 아웃케이싱(21)의 상,하 방향과 교차되는 양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토출구(29)는 상기 아웃케이싱(21)의 전면 또는 전,후면에 그 토출구(29)를 이루는 둘레를 따라 절취선이 형성된 상태로부터 그 아웃케이싱(20)의 일부를 절취함으로 인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상기 인케이싱부(10)는 상기 인출구(14)가 상기 토출구(29)를 향하도록 위치된 상태로 상기 저장공간(22)에 수용되어 그 토출구(29)와 연통되는 형태를 취한다.The
상기 아웃케이싱부(20)는 상기 저장공간(22)으로 상기 인케이싱부(10)가 가로방향으로 복수 수용될 수 있도록 그 저장공간(22)을 이루는 가로길이(C)가 상기 인케이싱부(10)의 가로길이(D)보다 복수배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즉, 상기 인케이싱부(10)는 상기 아웃케이싱(20)의 내측으로 복수개 예를 들면, 2개 내지 4개가 가로방향으로 수용될 수 있다. That is, a plurality of, for example, two to four of the
이때에는, 상기 토출구(29)는 상기 아웃케이싱(20)의 전면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charge port (29) is formed only on the front surface of the out casing (20).
이와는 달리, 상기 아웃케이싱(20)의 내측으로 상기 인케이싱부(10)가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열이 한 쌍을 이루며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저장되는 경우, 상기 토출구(29)는 상기 아웃케이싱(20)의 전,후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아웃케이싱(20)의 전,후면에서 각각 상기 티백(100)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이해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rows in which the inching
상기 토출구(29)의 둘레를 이루는 하측면(29a)은 상기 인출구(14)의 둘레를 이루는 하부면(14a)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되거나, 동일면 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측면(29a)이 상기 하부면(14a)과 동일면 상에 위치되면, 그 하측면(29a)은 상기 수용공간(12)의 바닥면(15)과 동일면 상에 위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상기 티백용 포장상자(1)는 상기 바닥면(15)이 상기 하측면(29a)과 동일면 상에 위치되거나, 그보다 높게 위치되면서 상기 하측면(29a)보다 하측에 위치될 때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티백(100)의 인출을 용이하게 도울 수 있는 것은 물론, 잔여 티백(100)을 눈으로 확인하여 인출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티백용 포장상자(1)는 상기 토출구(29)로부터 상기 인출구(14)가 자연스럽게 노출되는 한편, 상기 하측면(29a)이 상기 하부면(14a)보다 하측에 위치되거나, 동일면 상에 위치되면서 상기 티백(100)의 인출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The
이로 인해, 상기 티백용 포장상자(1)는 상기 아웃케이싱부(20)에 상기 인케이싱부(10)를 복수 저장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그 인케이싱부(10)로부터 상기 티백(100)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음으로써 차를 음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the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티백용 포장상자(1)는 상기 인케이싱부(10)로부터 상기 덮개(13)를 개방하여 상기 수용공간(12)에 상기 티백(100)을 다수 적층하며, 그 수용공간(12)에 상기 티백(100)이 다수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13)를 닫아 개구된 상기 인케이싱부(10)를 차단한다.1 to 8, the
상기 인케이싱부(10)에 상기 티백(100)이 다수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아웃케이싱부(20)로부터 상기 개폐덮개(23)를 개방하여 상기 인케이싱부(20)를 상기 인출구(14)와 상기 토출구(29)가 상호 연통되도록 복수 저장한 후, 그 개폐덮개(23)를 차단한다.The opening and closing
그리고, 차를 음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상기 인출구(14)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12)에 적층되는 다수의 상기 티백(100)을 하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인출한다. 여기서, 상기 인출구(14) 및 상기 토출구(29)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티백(100)의 인출 전에 절취를 통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 user who wishes to drink tea sequentially draws a plurality of the
상기 수용공간(12)에 적층되는 다수의 상기 티백(100)은 상기 인출구(14)를 통해 외부로 인출됨과 동시에 그 인출되는 상기 티백(100)의 높이만큼 하측으로 하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 plurality of the
이와 같은 과정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면서 상기 수용공간(12)에 적층되는 다수의 상기 티백(100)은 외부로 간편하게 인출될 수 있다.As the process is repeated in sequence, the plurality of the
이로 인해, 상기 티백용 포장상자(1)는 상기 아웃케이싱부(20) 및 상기 인케이싱부(10)의 개폐 없이 상기 티백(100)을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음으로써 차를 음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the tea-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티백용 포장상자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may be applied to a case of a package for a te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be skilled 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티백 포장상자 10 : 인케이싱부
11 : 인케이싱 12 : 수용공간
13 : 덮개 14 : 인출구
14a : 하부면 14b : 손가락삽입공
15 : 바닥면 16 : 받침프레임
17 : 플레이트 18 : 지지바
19 : 보조지지바
20 : 아웃케이싱부 21 : 아웃케이싱
22 : 저장공간 23 : 개폐덮개
24 : 제1덮개유닛 24a : 중공
25 : 제2덮개유닛
26 : 제3덮개유닛 27 : 손잡이
28 : 중공 29 : 토출구
29a : 하측면
100 : 티백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 Tea bag packing box 10: Inching part
11: Inking 12: Capacity space
13: lid 14: outlet
14a:
15: bottom surface 16: support frame
17: plate 18: support bar
19: auxiliary support bar
20: out casing part 21: out casing
22: storage space 23: opening / closing cover
24: first lid unit 24a: hollow
25: Second cover unit
26: third lid unit 27: handle
28: hollow 29: outlet
29a: Lower side
100: tea bags
Claims (4)
상,하,후면 및 양측면을 가지며, 전면이 개구되어 내측으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그 수용공간으로 상기 티백이 다수 적층되는 인케이싱과, 개구된 상기 인케이싱의 전면을 이루는 둘레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절첩에 따라 상기 인케이싱의 전면을 개폐하고, 상기 티백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가 형성되는 덮개를 구비하는 인케이싱부; 및
상기 인케이싱부가 가로방향으로 복수 배치되어 일 열 또는 한 쌍의 열을 이루며 저장되는 아웃케이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구의 둘레를 이루는 하부면은,
상기 수용공간을 이루는 바닥면과 동일면 상에 위치되거나, 그 바닥면보다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인케이싱부는,
상기 인케이싱의 하면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바닥면을 이루는 받침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받침프레임은,
상기 바닥면을 이루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인케이싱을 연결하는 지지바; 및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와 함께 그 플레이트를 상기 인케이싱의 하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지지바를 포함하며,
상기 아웃케이싱부는,
전,후,하면 및 양측면을 가지며, 상면이 개구되어 내측으로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전면 또는 전,후면에 각각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되는 복수의 상기 인케이싱부에 형성되는 각 인출구와 연통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아웃케이싱; 및
개구된 상기 아웃케이싱의 상면을 개폐하며, 손잡이가 구비되는 개폐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백용 포장상자.A packaging box for a tea bag for packaging a tea bag,
An incising device having an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a rear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a front surface of which is formed with a receiving space formed inside and a plurality of the tea bags are stacked in the receiving space, An incising portion having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of the ingaking according to the folding and having a draw-out opening for withdrawing the tea bag; And
And an outcasing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the enqueasing portions are arranged in a transverse direction and are formed as a single row or a pair of rows,
The lower surface forming the periphery of the outlet,
Is positioned on the same surface as the bottom surface constituting the accommodation space, or located below the bottom surface thereof,
The enqueering unit,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frame formed by bending the lower surface of the enchancing member and forming a bottom surface at a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The support frame,
A plate forming the bottom surface;
A support bar connecting the plate and the ingresse; And
And at least one auxiliary support bar formed to be bent from the plate and supporting the plat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ingather along with the support bar,
The out-
And a discharge port communicating with each of the outlets formed in a plurality of the inching sections, each having a front, a rear, a bottom, and both sides and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nd a storage space formed inwardly, An outer casing having an outer casing; And
And an opening / closing cover which opens / closes an upper surface of the opened out casing and has a hand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6594U KR200478174Y1 (en) | 2013-08-08 | 2013-08-08 | Package box for teaba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6594U KR200478174Y1 (en) | 2013-08-08 | 2013-08-08 | Package box for teaba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0700U KR20150000700U (en) | 2015-02-23 |
KR200478174Y1 true KR200478174Y1 (en) | 2015-09-03 |
Family
ID=53046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6594U Expired - Lifetime KR200478174Y1 (en) | 2013-08-08 | 2013-08-08 | Package box for teaba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8174Y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8039238A1 (en) * | 1997-03-07 | 1998-09-11 | Triangle Container Corporation | Dispenser for articles |
-
2013
- 2013-08-08 KR KR2020130006594U patent/KR200478174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8039238A1 (en) * | 1997-03-07 | 1998-09-11 | Triangle Container Corporation | Dispenser for articl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0700U (en) | 2015-02-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23501B1 (en) | Tiered hinge-lid pack of smoking articles | |
KR200492642Y1 (en) | Package box and goods dispenser | |
US4709851A (en) | Package for loaf of bread | |
US10266302B1 (en) | Tiered pizza box | |
KR20170129365A (en) | Fruit packing boxes | |
KR100835836B1 (en) | Laminating Gift Box | |
US4801045A (en) | Produce dispenser | |
KR200478174Y1 (en) | Package box for teabag | |
KR200470084Y1 (en) | Packing box with display function | |
KR200453822Y1 (en) | Packaging | |
KR200492088Y1 (en) | Confectionery packing box | |
JP3217096U (en) | Polyethylene bag packaging bag | |
KR200470935Y1 (en) | Handle packing box | |
TWI402203B (en) | A device for fine-tuning the spacer | |
JP3201728U (en) | Packaging box with cooling agent storage | |
JPS5933806Y2 (en) | Container with multiple trays | |
CN213621156U (en) | Box body packaging box | |
CN214650026U (en) | Packing box | |
CN215437345U (en) | Packing box | |
JP2004296401A (en) | Battery packaging | |
CN209480189U (en) | A kind of portable box | |
KR200311549Y1 (en) | package for case of gum | |
JP3144982U (en) | Toilet paper tools | |
JP3223599U (en) | container | |
CN205525462U (en) | Suitcase compartment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0808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41128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5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508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50828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4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