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597Y1 - Syringe for centrifugal separation - Google Patents
Syringe for centrifugal separ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7597Y1 KR200477597Y1 KR2020130008867U KR20130008867U KR200477597Y1 KR 200477597 Y1 KR200477597 Y1 KR 200477597Y1 KR 2020130008867 U KR2020130008867 U KR 2020130008867U KR 20130008867 U KR20130008867 U KR 20130008867U KR 200477597 Y1 KR200477597 Y1 KR 20047759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rrel
- plunger
- valve body
- syringe
- sealing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3/00—Means for introduction, transport, positioning, extraction, harvesting, peeling or sampling of biological material in or from the apparatus
- C12M33/10—Means for introduction, transport, positioning, extraction, harvesting, peeling or sampling of biological material in or from the apparatus by centrifugation ; Cyclo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7/00—Means for after-treatment of the produced biomass or of the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e.g. storage of biomass
- C12M47/02—Separating microorganisms from the culture medium; Concentration of biomas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08—Flask, bottle or test tube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3/00—Means for introduction, transport, positioning, extraction, harvesting, peeling or sampling of biological material in or from the apparatus
- C12M33/04—Means for introduction, transport, positioning, extraction, harvesting, peeling or sampling of biological material in or from the apparatus by injection or suction, e.g. using pipettes, syringes, nee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원심분리에 의해 처리대상으로부터 목적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원심분리용 주사기는, 노즐이 형성되는 배럴, 배럴의 타단으로 진입하는 플런저, 배럴 내부의 처리대상을 배럴의 타단으로 연통되는 외부와 차단하는 밀폐부재, 및 밀폐부재에 장착되어 플런저와 결합되면서 개방되는 내압감쇄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내압감쇄밸브를 통해서 배럴의 타단으로 비목적성분을 배출하여 배럴 내압을 감쇄시킬 수 있으며, 그 후에 원심분리 시에 노즐을 막아 두었던 노즐 마개를 열어 일시에 목적성분이 분출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A centrifugal syringe used for extracting an object component from a treatment object by centrifugal separation includes a barrel in which a nozzle is formed, a plunger that enters the other end of the barrel, and an object in the barrel which is communicated with the other end of the barrel And an internal pressure damping valve that is mounted on the sealing member and is opened while being coupled with the plung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arrel by discharging the non-object component to the other end of the barrel through the pressure-reducing valve, and then the nozzle plug which was closed at the time of centrifugal separation is opened to prevent the target component from being ejected at one time .
Description
본 고안은 처리대상으로부터 원심분리된 목적성분을 보다 안정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원심분리용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ntrifugal syringe capable of discharging a target component centrifugally separated from a treatment object more stably.
일반적으로 혈액은 크게 고형 성분인 혈구와 액체 성분인 혈장으로 구분될 수 있다. 혈구는 적혈구, 백혈구 및 혈소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혈장은 주로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에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혈액응고인자, 전해질 등이 포함된다.In general, the blood can be divided into blood, which is a solid component, and plasma, which is a liquid component. Hemocytes are composed of red blood cells, white blood cells and platelets. Plasma is mainly composed of water, which includes blood coagulation factors and electrolytes, which are essential for life maintenance.
상기와 같이 혈액에서 필요한 목적성분만을 걸러내어 사용할 수 있는데, 목적성분만을 걸러내는 방법 중 하나가 원심분리 공정이다. 혈액의 원심분리 공정은 일정 속도로 혈액을 회전시켜 혈액을 구성하는 각 성분의 무게 차를 이용하여 층간 분리를 수행하는 공정이며, 혈액을 원심분리할 경우 가장 무거운 적혈구가 하층(바깥쪽)을 이루고 그로부터 상부(안쪽)로 백혈구, 혈장, 혈청 층이 형성된다.As described above, only the desired intestinal deliveries can be filtered out from the blood. One of the methods for screening the purposeful deliveries is the centrifugal separation process. The centrifugation process of blood is a process in which blood is rotated at a constant rate to perform interlayer separation using the weight difference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blood. When blood is centrifuged, the heaviest red blood cells form the lower layer (outer side) From there, white blood cells, plasma, and serum layers are formed in the upper (inside).
한편, 혈장 중에서 PRP(Platelet Rich Plasma; 혈소판 농축 혈장)는 비교적 혈장의 하부에 위치하며, 혈액의 응고나 지혈작용에 관여하여 수술 시 용이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PRP는 싸이토카인, PDCF, TGF-BETA1, VEGP 등의 성장인자를 포함하고 있는 바, 이는 피부의 질환과 상처 치유에서 좋은 효과를 도출하고 있다고 논문 등의 자료에서 밝혀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PRP (Platelet Rich Plasma) in the plasma is relatively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plasma and is involved in the coagulation or hemostasis of blood and is easily used in surgery. In addition, PRP contains growth factors such as cytokine, PDCF, TGF-BETA1, and VEGP, which have been shown to be beneficial in skin diseases and wound healing.
그런데, 페트리 접시(petri-dish)와 같이 꺼내는 과정에서 목적성분이 외부에 많이 노출되어 오염의 소지가 큰 용기보다는 외부와의 접촉을 가능한 줄일 수 있는 주사기가 원심분리용 용기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원심분리에 의해 분리된 시료를 정확하게 배출할 수 있는 원심분리용 주사기가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2332호(2012년 8월 21일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However, a syringe which is capable of reducing the contact with the outside as much as a vessel having a large contamination due to a large amount of the target component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process of taking out as a petri dish is widely used as a centrifuge container, A centrifugal syringe capable of accurately discharging a sample separated by separation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092332 (published on Aug. 21, 2012).
다만, 원심분리용 주사기에서 혈액과 같은 처리대상을 원심분리하고, 노즐 쪽에 모인 목적성분을 추출해 내는 과정에서 목적성분이 노즐로 순간 분출하여 애써 추출한 목적성분을 소실할 수 있고, 강하게 분출되는 과정에서 목적성분과 비목적성분이 주사기 내부에서 섞여 버리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However, in the process of centrifuging the object such as blood in the centrifugal syringe and extracting the object component collected in the nozzle side, the object component can be instantaneously ejected to the nozzle to lose the object component extracted by the nozzle, It may happen that the target component and the non-target component are mixed in the syringe.
본 고안은 외부 노출에 따른 변질 및 감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원심분리용 주사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ringe for centrifugal separation which is capable of preventing deterioration and infection caused by external exposure in advance.
본 고안은 처리대상으로부터 원심분리된 목적성분을 보다 안정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원심분리용 주사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entrifugal syringe capable of more stably discharging a target component that has been centrifuged from a subject to be treated.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원심분리에 의해 처리대상으로부터 목적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원심분리용 주사기는, 내부에 처리대상이 원심 분리되어 형성되는 목적성분이 배치되는 일단에 노즐이 형성되는 배럴, 배럴의 타단으로 진입하는 플런저, 배럴 내부의 처리대상을 배럴의 타단으로 연통되는 외부와 차단하는 밀폐부재, 및 밀폐부재에 장착되어 밀폐부재와 함께 배럴 내부의 처리대상을 배럴의 타단으로 연통되는 외부와 차단하며, 플런저와 결합되면서 개방되는 내압감쇄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 centrifugal syringe used for extracting an object component from a treatment object by centrifugal separation is formed by centrifugally separating an object to be treated A barrel in which a nozzle is formed at one end where the target component is disposed, a plunger that enters the other end of the barrel, a sealing member that intercepts an object to be treated inside the barrel from the outside communicating with the other end of the barrel, And an internal pressure damping valve that is opened while being coupled with the plunger and blocks the object to be treated inside the barrel from the outside communicating with the other end of the barrel.
원심분리를 마친 상태에서 내압감쇄밸브를 통해서 배럴의 타단으로 비목적성분의 적어도 일부를 배출하여 배럴 내부의 내압을 감쇄시킬 수 있다. 그 후에 원심분리 시에 노즐을 막아 두었던 노즐 마개를 열 수 있다. 따라서, 목적성분을 노즐로 배출시키기 위해 노즐 마개를 개방하더라도 일시에 목적성분이 분출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는다. Upon completion of the centrifugal separation, at least a part of the non-target components may be discharged to the other end of the barrel through the pressure reducing valve to attenuate the internal pressure inside the barrel. After that, the nozzle closure which has kept the nozzle closed at the time of centrifugal separation can be opened. Therefore, even if the nozzle cap is opened to discharge the target component to the nozzle, the target component is not ejected at a time.
또한, 목적성분을 원심분리용 주사기에서 꺼내는 과정에서 목적성분이 노즐로 순간 분출하지 않아 애써 추출한 목적성분을 소실할 염려가 없고, 강하게 분출되는 과정에서 목적성분과 비목적성분이 배럴 내에서 다시 섞여 버리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taking out the objective component from the centrifugal syringe, there is no fear that the target component will not disappear instantly because the target component is not instantly sprayed into the nozzle. In the process of strongly ejecting the objective component and the non-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discarding.
처리대상이 혈액일 경우, 원심분리가 진행되는 동안, 혈액의 성분 중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무거운 적혈구는 노즐이 배치되는 배럴의 타단에 모이게 되고, 상대적으로 가벼운 혈장은 노즐이 배치되는 배럴의 일단에 모이게 된다. 따라서, 원심분리 후, 노즐 쪽에 모이는 목적성분은 혈소판(blood platelet)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object to be treated is blood, during centrifugation, the heaviest red blood cells among the components of the blood are collected at the other end of the barrel where the nozzles are disposed, and the relatively light plasma is collected at one end of the barrel where the nozzles are disposed . Thus, after centrifugation, the target component that collects on the nozzle side may contain blood platelets.
원심분리를 마친 후, 내압감쇄밸브를 일시적으로 열어 비목적성분인 적혈구를 전부 혹은 일부 빼낼 수 있고, 이 과정을 통해서 배럴 내부의 내압을 낮출 수 있다. 그 후에 노즐 마개를 개방하여 안정적으로 혈소판을 포함하는 혈장 즉, 목적성분을 배출시킬 수 있으며, 플런저를 노즐 쪽으로 밀어 내압이 낮아진 배럴 내부에서 목적성분을 능동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After the centrifugation is completed, the decompression valve is temporarily opened to withdraw all or part of the red blood cells, which are non-target components, and the inside pressure in the barrel can be lowered through this process. After that, the nozzle stopper is opened to discharge plasma containing the platelets stably, that is, the target component, and the plunger can be pushed toward the nozzle to actively discharge the target component inside the barrel having the reduced pressure.
또한, 내압감쇄밸브를 열어 비목적성분인 적혈구를 전부 빼내는 경우에는 상관없겠지만, 일부만 제거하여도 배럴 내압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목적성분이 노즐로 강하게 분출되지 않고, 목적성분과 비목적성분이 배럴 내에서 섞이는 현상도 방지되어 순도 높은 목적성분의 배출이 가능하다. In addition, it is not necessary to open the pressure reducing valve to completely remove the red blood cells, which are non-object components. However, since the barrel pressure can be lowered even if only a part of the red blood cells are removed, the target component is not ejected strongly by the nozz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ixing phenomenon and to discharge the object component of high purity.
또한, 밀폐부재의 중심에는 배럴 내부와 배럴의 타단으로 연통되는 외부를 연통시키는 체결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내압감쇄밸브는 체결 홀에 장착되는 밸브 관체 및 밸브 관체 내부에 배치되되, 플런저가 결합되면서 밸브 관체를 개방하는 탄성 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center of the sealing member, a coupling hole for communicating the inside of the barrel with the outside communicating with the other end of the barrel may be formed. The pressure reducing valve is disposed inside the valve tube body and the valve tube mounted to the coupling hole, And an elastic plug for opening the valve body.
플런저의 선단에는 밸브 관체 내측으로 진입하는 진입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진입 돌기가 탄성 플러그를 밸브 관체의 내벽과 이격되게 밀어내거나, 탄성 플러그를 관통하여 밸브 관체를 개방시킬 수 있다. An inlet protrusion for entering the inside of the valve body may be formed at the tip of the plunger. The inlet protrusion may push the elastic plug away from the inner wall of the valve body, or may open the valve body through the elastic plug.
한편, 진입 돌기는 중공형의 관체로 제공될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탄성 플러그를 관통하여 진입 돌기 내측으로 비목적성분을 일부 배출시킬 수도 있다, The inlet protrusion may be provided as a hollow tube. At this time, the non-object component may be partly discharged to the inside of the inlet protrusion through the elastic plug.
또한, 원심분리용 주사기의 플런저는 밸브 관체와 결합되어 플런저가 밸브 관체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결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lunger of the centrifugal syringe may also include a coupling means coupled to the valve body to maintain the plunger in engagement with the valve body.
결합수단은 플런저의 선단에 진입 돌기 외측으로 배치되는 결합 돌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결합 돌기는 플런저를 회전시키면서 밸브 관체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 돌기의 내면과 체결 홀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의 밸브 관체 외면에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The engaging means may include an engaging projection disposed at the tip of the plunger outside the engaging projection. The engaging projection may include an inner surface of the engaging projection and a portion of the valve,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engaging hole, so as to be screw- A screw thread can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ube.
플런저를 회전시켜 결합시키기 때문에 플런저를 밀고 당기는 과정에서 플런저와 내압감쇄밸브 간의 결합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plunger is rotated and coupl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upling between the plunger and the pressure damping valve from loosening in the process of pushing and pulling the plunger.
또한, 밀폐부재는 배럴 내면에 밀착되는 탄성 재질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ling member is provided as an elastic material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arrel.
본 고안에 따른 원심분리용 주사기에 의하면, 원심분리를 마친 후에 비목적성분을 노즐 후방으로 제거하여 배럴 내압을 낮출 수 있다. 이에 목적성분을 원심분리용 주사기에서 꺼내는 과정에서 목적성분이 노즐로 순간 분출하지 않아 애써 추출한 목적성분을 소실할 염려가 없고, 강하게 분출되는 과정에서 목적성분과 비목적성분이 배럴 내에서 다시 섞여 버리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entrifugal separation syri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centrifugal separation is completed, the non-target component can be removed to the rear of the nozzle to lower the barrel pressure.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target component from the centrifugal syringe, the target component is not instantly sprayed to the nozzle, so there is no fear of destroying the target component extracted. When the target component and the non-target component are mixed again in the barrel Can be prevented.
또한, 원심분리를 마친 후에 비목적성분을 노즐 후방으로 제거하여 노즐로 목적성분만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어 순도 높은 목적성분 추출이 가능하다. In addition, after the centrifugation is completed, the non-target component can be removed to the back of the nozzle, and the objective delivery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nozzle, thereby enabling the extraction of the objective component with high purity.
또한, 주사기를 이용하여 혈액을 추출한 후 다른 저장용기나 튜브에 옮길 필요 없이 바로 주사기 내에서 원심분리 과정을 거치게 할 수 있으며, 주사기 내에서 목적성분을 바로 분리하여 처리대상으로부터 목적성분을 보다 위생적이면서 신속하고 간단하게 추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od can be centrifuged in a syringe without the necessity of transferring the blood to another storage container or tube after extracting the blood using the syringe. The target component is immediately separated from the syringe and the target component is more hygienically It can be quickly and simply extracted.
또한, 플런저와 내압감쇄밸브가 서로 나사 결합되게 하여 플런저를 밀고 당기는 과정에서 서로 간의 결합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nger and the pressure damping valve are screwed to each other, so that the loosening of the coupling between the plunger and the pressure damping valve can be prevented in the process of pushing and pulling the plunger.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주사기의 분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원심분리 전후의 원심분리용 주사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원심분리 후에 내압감쇄밸브를 열어 배럴 내압을 낮추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원심분리용 주사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밀폐부재 및 내압감쇄밸브 간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내압감쇄밸브 및 플런저 간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view of a centrifugal syring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sectional views of the centrifugal syringe before and after centrifugal separation, respectively.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entrifugal syringe for explaining a process of opening the pressure-reducing valve after centrifugal separation to lower the barrel press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process between the sealing member and the pressure damping valv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oupling the pressure-resistance damping valve and the plunger.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may be omitted so as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용 주사기의 분해도이며, 도 2 및 도 3은 각각 원심분리 전후의 원심분리용 주사기의 단면도이며, 도 4는 원심분리 후에 내압감쇄밸브를 열어 배럴 내압을 낮추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원심분리용 주사기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밀폐부재 및 내압감쇄밸브 간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내압감쇄밸브 및 플런저 간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FIG. 1 is an exploded view of a centrifugal syri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nd 3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centrifugal syringe before and after centrifugal separa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process between the sealing member and the pressure damping valve,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process between the pressure damping valve and the plunger, FIG. Fig.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원심분리용 주사기(100)는 배럴(110), 플런저(120), 밀폐부재(130), 내압감쇄밸브(140), 및 노즐 마개(150)를 포함한다. 1 to 6, a
배럴(110)은 소정 직경을 갖는 중공의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럴(110)의 일단에는 처리대상(C)이 진입 및 배출되기 위한 노즐(112)이 형성되며, 배럴(110)의 타단은 플런저(120)가 진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다. 노즐(112)은 원심분리가 진행되는 동안 강제적으로 차단되는 바, 노즐(112)은 노즐 마개(150)와 같은 통상의 차단부재를 이용하여 차단될 수 있다. The
플런저(120)는 배럴(110)의 타단으로 진입되어 배럴(110)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플런저(120)의 이동에 따라서 함께 이동하는 밀폐부재(130)에 의해서 배럴(110) 내부에 의한 압력 변화에 따라 노즐(112)을 통해 처리대상이 배출될 수 있다. 도 2에서 처리대상(C)이 배럴(110) 내에 수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120)는 배럴 내부의 내압을 감쇄시키기 위해 중공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일 예로 플런저(120)는 배럴(11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주사기의 배럴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의 주사기(100)를 일반적인 주사기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중공형의 플런저(120) 대신 일반 주사기의 플런저, 즉 중공형이 아닌 플런저가 사용될 수도 있다.The
참고로, 배럴 내에 처리대상을 주입하는 과정에 의해서 본 고안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배럴 내에 처리대상을 담고, 밀폐부재를 넣을 수도 있으며, 밀폐부재가 배럴 내에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상기 플런저와는 다른, 후술하겠지만 내압감쇄밸브와 결합되되 내부의 탄성 플러그를 밀거나 훼손하지 않는, 별도의 플런저를 사용하여 노즐을 통해 처리대상을 배럴 내로 진입시킬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process of injecting the object to be treated into the barrel. For example, the object to be treated may be contained in the barrel and the sealing member may be inserted. In the state where the sealing member is contained in the barrel, The object to be treated may be introduced into the barrel through the nozzle using a separate plung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ut which is coupled to the pressure reducing valve but does not push or damage the elastic plug inside.
참고로, 본 고안에서 처리대상이라 함은 원심분리가 수행되는 물질을 의미하며, 처리대상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고안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처리대상으로서는 혈액은 물론, 혈액 대신 동물이나 사람의 신체 등으로부터 채취한 여타 다른 시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For referen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to be treated means a substance to be subjected to centrifugal separ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depending on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to be treated. As the treatment target, not only blood but also other samples collected from an animal, a human body, etc. may be used instead of blood.
원심분리 중 배럴(110)의 타단에 형성된 개구는 밀폐부재(130)에 의해서 차단될 수 있다. 밀폐부재(130)는 고무나 우레탄과 같은 연성 및 탄성을 갖는 재질로 외주면이 배럴(110) 내면에 꼭 밀착되게 형성되며, 배럴(110) 내부에 들어가 배럴(110) 내부의 처리대상(C)이 배럴(110)의 타단으로 연통되는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The opening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또한, 이후에 도 5 및 도 6에서 상세하게 결합 과정을 설명하겠지만, 밀폐부재(130)는 내압감쇄밸브(140)와 결속되며, 내압감쇄밸브(140)는 플런저(120)와 결합된다. 따라서, 밀폐부재(130)는 플런저(120)의 이동에 따라서 함께 이동할 수 있다. 5 and 6, the sealing
원심분리 방법은 이미 다양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어 상세한 설명은 배제한다. 간략하게만 언급하면, 원심분리용 주사기(100)는 통상의 원심분리기에서 사용되는 로터에 장착되어 회전될 수 있고, 일 예로, 원심분리용 주사기(100)가 장착될 수 있는 로터로서는 일반적으로 원심분리기에서 사용되는 스윙로터(swing out rotor) 또는 앵글로터(fixed angle rotor)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로터의 종류 및 특성이나 원심분리 방법에 의해 본 고안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Various methods have already been disclosed for the centrifugation method, so that detailed explanation is omitted. For simplicity, the
원심분리용 주사기(100)의 노즐(112)이 회전 중심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원심분리용 주사기(100)를 회전시키면,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처리대상을 구성하는 각 성분의 밀도 차에 의해 각 성분 간의 층간 분리가 이루어지는 바, 이때 처리대상(C)의 성분 중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무거운 목적성분(A)은 원심분리용 주사기(10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배럴(110)의 내부에서 가장 바깥쪽인 노즐(112) 측에 배치되며, 비목적성분(B)은 목적성분(A)과 층간 분리된다. Whe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원심분리를 마친 후에는 원심분리 과정에서 밀폐부재(130)는 노즐(112) 쪽으로 전진할 수 있고, 배럴(110) 내압은 상당히 높아진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노즐 마개(150)를 바로 개방하게 되면, 노즐(112)을 통해서 일시에 노즐(112) 쪽에 쏠려 있던 목적성분이 분출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centrifugation is completed, the sealing
하지만,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원심분리를 마친 상태에서 플런저(120)를 배럴(110)의 타단의 개구로 삽입하고, 플런저(120)를 내압감쇄밸브(140)에 결속시킴으로써, 내압감쇄밸브(140)를 개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내압감쇄밸브(140)가 열려 배럴(110)의 타단으로 비목적성분(B)의 적어도 일부가 배출될 수 있으며, 이에 배럴(110) 내부의 내압이 감쇄된다. 4, when the centrifugal separation is completed,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배럴(110) 내압을 낮춘 후에 원심분리 시 노즐(112)을 막아 두었던 노즐 마개(150)를 열면, 목적성분(A)을 노즐(112)로 배출시키기 위해 노즐 마개(150)를 개방하더라도 일시에 목적성분(A)이 분출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는다. The
또한, 목적성분(A)을 원심분리용 주사기(100)에서 꺼내는 과정에서 목적성분(A)이 노즐로 순간 분출하지 않아 애써 추출한 목적성분(A)을 소실할 염려가 없고, 강하게 분출되는 과정에서 목적성분(A)과 비목적성분(B)이 배럴(110) 내에서 다시 섞여 버리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taking out the target component (A) from the centrifugal separator (100), the target component (A) is not instantly sprayed to the nozzle, and there is no fear of destroying the extracted target component (A)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arget component (A) and the non-target component (B) from being mixed again in the barrel (110).
이하, 밀폐부재(130) 및 내압감쇄밸브(140)의 결합 과정을 도 5를 통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ocess of combining the sealing
먼저, 도 5를 보면, 배럴(110) 내면에 밀착되어 배럴(110) 내부의 처리대상(C)이 배럴(110) 타단의 개구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부재(130)가 도시된다. 5 shows a sealing
밀폐부재(130)의 중심에는 배럴(110) 내부와 배럴(110)의 타단으로 연통되는 외부를 연통시키는 체결 홀(132)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압감쇄밸브(140)는 밸브 관체(142) 및 밸브 관체(142) 내부에 배치되어 그 내면에 밀착되는 탄성 플러그(146)를 포함한다. 내압감쇄밸브(140)의 밸브 관체(142)는 상기 체결 홀(132)에 꼭 끼워지게 장착될 수 있다. The
플런저(120)는 밸브 관체(142)와 결합될 수 있고, 이에 플런저(120)의 이동에 의해서 밀폐부재(130)가 배럴(110)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The
이하, 내압감쇄밸브(140) 및 플런저(120)의 결합 과정을 도 6를 통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ocess of combining the pressure-reducing
먼저, 플런저(120)는 내압감쇄밸브(140)의 밸브 관체(142)와 결합되면서 밸브 관체(142)를 개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플런저(120)는 진입 돌기(122)를 갖는데 이 진입 돌기(122)가 탄성 플러그(146)를 관통하여 비목적성분(B)을 배럴(110) 내에서 빼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진입 돌기가 중공체가 아니더라도 밸브 관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면 밸브 관체와 진입 돌기 사이로 비목적성분이 소량 제거될 수 있고, 본 실시예와 같이 진입 돌기(122)가 중공의 관체로 제공되어 진입 돌기(122) 내부로 직접 비목적성분(B)이 배출될 수 있다. 다른 경우를 예를 들면, 플런저 선단의 진입 돌기가 밸브 관체 내측으로 진입하여 탄성 플러그를 압착시켜 밸브 관체가 삽입되는 밸브 관체 입구 부분에서 탄성 플러그를 안쪽으로 밀어낼 수 있다. 그러면, 밸브 관체 입구 부분에 틈이 형성된다. 그리고, 밸브 관체 내면에 돌기나 홈을 형성하여 밸브 관체 내면과 탄성 플러그 사이에 미세한 통로를 제공해둘 수 있다. 따라서, 탄성 플러그가 안쪽으로 밀려나 밸브 관체 입구 부분에 틈을 형성하면, 자연스럽게 밸브 내측의 비목적성분이 일부 빠지게 된다. 이 양이 매우 미세하더라도 밸브 내압을 낮추는 데는 충분하다. First, the
또한, 밸브 관체(142)와 결합되어 플런저(120)가 밸브 관체(142)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유지하는 결합수단은 본 실시예에서 플런저(120)의 선단에 마련된 결합 돌기(12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ngaging means coupled to the
도 6을 보면, 플런저(120)의 선단에는 앞서 언급한 대로 밸브 관체(142) 내의 탄성 플러그(146)를 밀어 낼 수 있는 진입 돌기(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진입 돌기(122) 주변을 감싸도록 결합 돌기(124)가 제공되어 있다. 6, an
결합 돌기(124)는 플런저(120)를 회전시키면서 밸브 관체(142)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 돌기(124)의 내면과 밸브 관체(142)의 외면에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The
물론, 밸브 관체(142)와 플런저(120)를 결합을 유지할 수 있는 결합수단은 간단한 후크(hook) 구조도 사용 가능하겠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이나 분리가 용이한 나사산을 이용한 나사 결합으로 제공된다. Of course, a coupling means capable of maintaining the engagement between the
더욱이, 나사산 결합을 통한 밸브 관체(142) 및 플런저(120)간의 결합은 플런저(120)를 회전시켜 결합시키기 때문에 플런저(120)를 밀고 당기는 과정에서 플런저(120)와 내압감쇄밸브(140) 간의 결합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engagement betwee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00:원심분리용 110:배럴
112:노즐 120:플런저
122:진입 돌기 124:결합 돌기
130:밀폐부재 132:체결 홀
140:내압감쇄밸브 142:밸브 관체
146:탄성 플러그 150:노즐 마개100: for centrifuge 110: barrel
112: nozzle 120: plunger
122: entry projection 124: engaging projection
130: sealing member 132: fastening hole
140: Intrinsic pressure damping valve 142:
146: Elastic plug 150: Nozzle plug
Claims (8)
목적성분이 배치되는 일단에 노즐이 형성되는 배럴;
상기 배럴의 타단으로 진입하는 플런저;
상기 배럴 내부의 처리대상을 상기 배럴의 타단으로 연통되는 외부와 차단하는 밀폐부재; 및
상기 밀폐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밀폐부재와 함께 상기 배럴 내부의 처리대상을 상기 배럴의 타단으로 연통되는 외부와 차단하며, 상기 플런저와 결합되면서 개방되는 내압감쇄밸브;
를 포함하며, 상기 내압감쇄밸브를 통해서 상기 배럴의 타단으로 비목적성분의 적어도 일부를 배출하여 상기 배럴 내부의 내압을 감쇄시키며, 상기 밀폐부재의 중심에는 상기 배럴 내부와 상기 배럴의 타단으로 연통되는 외부를 연통시키는 체결 홀이 형성되며, 상기 내압감쇄밸브는 상기 체결 홀에 장착되는 밸브 관체 및 상기 밸브 관체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플런저가 결합되면서 상기 밸브 관체를 개방하는 탄성 플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용 주사기. A centrifugal syringe used for extracting an object component from an object to be treated by centrifugal separation,
A barrel in which a nozzle is formed at one end where a target component is disposed;
A plunger that enters the other end of the barrel;
A sealing member for blocking an object to be treated inside the barrel from the outside communicating with the other end of the barrel; And
An internal pressure damping valve mounted on the sealing member and intercepting the object to be treated inside the barrel with the sealing member from the outside communicating with the other end of the barrel,
And at least a part of the non-object component is discharged to the other end of the barrel through the pressure damping valve to attenuate the inner pressure of the barrel, and the sealing member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arrel with the other end of the barrel Wherein the pressure reducing valve includes a valve body attached to the fastening hole and an elastic plug disposed inside the valve body and opening the valve body while the plunger is coupled to the valve body. Wherein the syringe is a centrifuge.
상기 플런저의 선단에는 상기 밸브 관체 내측으로 진입하는 진입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용 주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inlet protrusion is formed at the tip of the plunger so as to enter the inside of the valve body.
상기 진입 돌기는 중공의 관체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용 주사기.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nlet protrusion is provided as a hollow tube.
상기 플런저는 상기 밸브 관체와 결합되어 상기 밸브 관체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용 주사기.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lunger includes coupling means coupled to the valve body to maintain a state coupled to the valve body.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플런저의 선단에 상기 진입 돌기 외측으로 배치되는 결합 돌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플런저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결합 돌기가 상기 체결 홀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의 상기 밸브 관체와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용 주사기.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upling means may include a coupling protrusion disposed at the tip of the plunger and disposed outside the entry protrusion,
And the coupling projection is screwed to the valve body at a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astening hole by rotation of the plunger.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배럴 내면에 밀착되는 탄성 재질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용 주사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aling member is provided as an elastic material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arrel.
상기 플런저는 상기 배럴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주사기의 배럴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용 주사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nger is provided in a barrel shape of a syringe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barrel.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8867U KR200477597Y1 (en) | 2013-10-29 | 2013-10-29 | Syringe for centrifugal separation |
PCT/KR2014/010182 WO2015065011A1 (en) | 2013-10-29 | 2014-10-28 | Centrifugation syrin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8867U KR200477597Y1 (en) | 2013-10-29 | 2013-10-29 | Syringe for centrifugal separa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1737U KR20150001737U (en) | 2015-05-08 |
KR200477597Y1 true KR200477597Y1 (en) | 2015-07-02 |
Family
ID=53004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8867U Expired - Fee Related KR200477597Y1 (en) | 2013-10-29 | 2013-10-29 | Syringe for centrifugal separation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7597Y1 (en) |
WO (1) | WO2015065011A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32798A (en) * | 2017-09-20 | 2019-03-28 | 메디칸(주) | Centrifugal dehydrato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5496B1 (en) | 2017-09-05 | 2019-09-25 | 이준석 | Piston for centrifugation and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13043A (en) * | 2002-09-25 | 2004-04-15 | Fuji Photo Film Co Ltd | Nucleic acid-separating and purifying device |
KR20120092332A (en) * | 2011-02-11 | 2012-08-21 | 조희민 | Injector type centrifuge bottle |
KR20120140092A (en) * | 2011-06-20 | 2012-12-28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Syringe and method for centrifuging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132207B2 (en) * | 2007-06-28 | 2013-01-30 | 凸版印刷株式会社 | Mixing kit |
KR20120131925A (en) * | 2011-05-27 | 2012-12-05 | 이희영 | A centrige installing the front of injector and centrifuging method |
-
2013
- 2013-10-29 KR KR2020130008867U patent/KR200477597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
- 2014-10-28 WO PCT/KR2014/010182 patent/WO2015065011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13043A (en) * | 2002-09-25 | 2004-04-15 | Fuji Photo Film Co Ltd | Nucleic acid-separating and purifying device |
KR20120092332A (en) * | 2011-02-11 | 2012-08-21 | 조희민 | Injector type centrifuge bottle |
KR20120140092A (en) * | 2011-06-20 | 2012-12-28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Syringe and method for centrifuging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32798A (en) * | 2017-09-20 | 2019-03-28 | 메디칸(주) | Centrifugal dehydrator |
KR102513350B1 (en) | 2017-09-20 | 2023-03-24 | 메디칸(주) | Centrifugal dehydr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5065011A1 (en) | 2015-05-07 |
KR20150001737U (en) | 2015-05-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109566B2 (en) | Cell concentration devices and methods including a syringe and a syringe holder | |
EP2413989B1 (en) | All-in-one means of separating blood components | |
US8444620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ication of a fluid | |
US9388377B2 (en) | Regenerative cell extraction unit and regenerative cell extraction system | |
JP2008104789A (en) | Method and device for separation of platelet rich plasma | |
KR200477597Y1 (en) | Syringe for centrifugal separation | |
WO2014104640A1 (en) | Buffy coat extraction kit | |
KR101829261B1 (en) | a kit for separation stem cell | |
KR101504819B1 (en) | Tube for centrifugation | |
KR101283886B1 (en) | Syringe and method for centrifuging | |
KR101445322B1 (en) | Method of centrifugal separation | |
KR101928515B1 (en) | Method of centrifugal separation | |
KR101557190B1 (en) | Kit for centrifugal separation and method for extractioning target material using thereof | |
KR101617881B1 (en) | Method of centrifugal separation and syringe for centrifugal separation | |
KR101150529B1 (en) | Syringe for separating of fat and separating method using the syringe | |
KR20150008548A (en) | Extract kit of buffy coat | |
KR20120083702A (en) | Syringe for detecting gravity and separating method of fat | |
KR20140058032A (en) | Extract kit of buffy coat | |
KR20140111401A (en) | Kit for centrifugal separation, centrifugal separa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platelet rich plasma generated by the same | |
KR101655379B1 (en) | Syringe for centrifugal separation | |
KR101990633B1 (en) | Extraction device of Platelet Rich Plasma | |
KR20140085315A (en) | Extract kit of buffy coat | |
KR101043227B1 (en) | Centrifugation Method and Centrifuge Syringe | |
KR101730512B1 (en) | Method of centrifugal separation | |
KR101433821B1 (en) | Platelet concentrate set of automatically inserting anticoagula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1029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41027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40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5062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50625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240405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