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77464Y1 - 비상 블록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비상 블록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464Y1
KR200477464Y1 KR2020130008320U KR20130008320U KR200477464Y1 KR 200477464 Y1 KR200477464 Y1 KR 200477464Y1 KR 2020130008320 U KR2020130008320 U KR 2020130008320U KR 20130008320 U KR20130008320 U KR 20130008320U KR 200477464 Y1 KR200477464 Y1 KR 2004774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emergency block
remote control
mounting plate
blo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3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491U (ko
Inventor
노효균
박휘순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83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464Y1/ko
Publication of KR201500014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4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4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46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63B2013/005Sea ch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상 블록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데크 상에 비상 블록 장착용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비상 블록 장착용 플레이트에 복수 개의 비상 블록이 함께 설치됨으로써, 해당 원격조작밸브와 연결된 노즐(nozzle)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으며, 설치 공간을 줄여 공간활용이 가능하고, 화기 피해(damage)를 감소시키고, 운전(operating)이 편리하다.

Description

비상 블록의 설치구조{INSTALL STRUCTURE OF EMERGENCY BLOCK IN VESSEL}
본 고안은 비상 블록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씨 체스트(sea chest)로부터 해수의 흡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격조작밸브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비상 블록을 데크 상에 설치함에 있어서, 하나의 비상 블록 장착용 플레이트(매니폴드)에 복수 개의 비상 블록을 함께 설치함으로써, 해당 원격조작밸브와 연결된 노즐(nozzle)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으며, 설치 공간 및 화기 피해(damage)가 감소하며, 운전(operating)이 편리한 비상 블록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씨 체스트를 통해서 해수를 유입하며, 유입된 해수는 선박 내에서 냉각을 비롯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선박은 균형을 유지함과 아울러 화물의 유무에 따라 일정한 흘수를 유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밸러스트 탱크가 마련된다. 이러한 밸러스트 탱크들은 화물이 적거나 없는 경우 이에 비례하는 해수를 유입하여 선박이 균형을 맞추도록 한다.
선박은 씨 체스트를 통한 해수의 흡입(suction)이나 다수의 밸러스트 탱크로부터 해수의 흡입을 위하여 해수의 흐름을 개폐시키게 되는데, 이를 위해 씨 체스트로부터 해수의 흡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격조작밸브(Remote Operated Valve; ROV)와, 여러 밸러스트 탱크로부터 흡입 가능하도록 하는 다른 원격조작밸브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선체의 데크 상부에는 상기 원격조작밸브들과 연결되는 비상 블록들이 원격조작밸브 수만큼 설치되며, 상기 원격조작밸브들은 밸브 원격 제어 시스템에서 제어된다.
도 1은 종래 비상 블록의 설치구조 전체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비상 블록의 설치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비상 블록의 설치구조에서는, 데크(1) 상에 원격조작밸브들(미도시)과 연결되는 다수의 비상 블록(10)이 원격조작밸브 수만큼 설치된다.
상기 비상 블록(10)은 시트(20) 위에 설치되고, 상기 비상 블록(10)의 상부를 보호 커버(30)가 커버링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보호 커버(30)의 상단에는 네임 플레이트(31)가 부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비상 블록의 설치구조에서는, 선박의 밸브 원격 제어 시스템(VRC-Valve remote control system)의 커미셔닝(Commissioning) 또는 원격 조작 밸브 비상 작동 시, 비상 블록(10)의 연결부(11)에 핸드 펌프(hand pump)(미도시)를 연결하여, 에어 퍼지(air purge)를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비상 블록의 설치구조에서는, 여러 개의 비상 블록이 각각 낱개로 원격조작밸브만큼 분산 배치되어 데크 상에 필요 공간을 확보해야 하며, 해당 원격조작밸브의 비상 블록을 일일이 찾아 핸드 펌프를 연결해야하므로, 공수(m/h)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없음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씨 체스트(sea chest)로부터 해수의 흡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격조작밸브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비상 블록을 데크 상에 설치함에 있어서, 하나의 비상 블록 장착용 플레이트(매니폴드)에 복수 개의 비상 블록을 함께 설치함으로써, 해당 원격조작밸브와 연결된 노즐(nozzle)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으며, 설치 공간 및 화기 피해(damage)가 감소하며, 운전(operating)이 편리한 비상 블록의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비상 블록의 설치구조는 비상시 복수 개의 원격조작밸브를 작동하기 위해서 데크 상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비상 블록의 설치구조로서, 상기 데크 상에 비상 블록 장착용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비상 블록 장착용 플레이트에 상기 복수 개의 비상 블록이 함께 설치된다.
상기 비상 블록은 매니폴드 구조로 설치되는바, 상기 비상 블록 장착용 플레이트는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비상 블록 장착용 플레이트는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2개의 수직 포스트; 상기 수직 포스트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보강 바; 및 상기 수직 포스트에 고정되며, 상기 비상 블록이 설치되는 보드;로 구성된다.
상기 비상 블록에는 원격조작밸브와 연결되는 연결 파이프가 설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비상 블록의 설치구조는 씨 체스트(sea chest)로부터 해수의 흡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격조작밸브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비상 블록을 데크 상에 설치함에 있어서, 하나의 비상 블록 장착용 플레이트(매니폴드)에 복수 개의 비상 블록을 함께 설치함으로써, 해당 원격조작밸브와 연결된 노즐(nozzle)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비상 블록의 설치구조는 설치 공간을 줄여 공간활용이 가능하고, 화기 피해(damage)를 감소시키고, 운전(operating)이 편리하다.
도 1은 종래 비상 블록의 설치구조를 보인
도 2는 종래 비상 블록의 설치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 블록의 설치구조를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 블록의 설치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 블록의 설치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비상 블록의 설치구조에서는, 비상시 복수 개의 원격조작밸브를 작동하기 위해서 선박의 데크(1) 상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비상 블록(10)이 설치되고, 상기 데크(1) 상에 비상 블록 장착용 플레이트(100)가 설치되며, 상기 비상 블록 장착용 플레이트(100)에 상기 복수 개의 비상 블록(10)이 함께 설치된다.
본 명세서에서 선박이란, 씨 체스트와 밸러스트 탱크를 보유하여 씨 체스트와 밸러스트 탱크 내부에 있는 물의 흐름을 제어할 필요가 있는 선박을 의미하므로, 일반적인 수송선, 운반선, 반 잠수식 선박(Semi-Submersible Vessel), 부유 생산 시스템(Floating Production System), 시추선(Drill Ship) 등 다양한 선종이 해당 될 수 있다.
상기 비상 블록(10)은 매니폴드 구조로 설치되는바, 상기 비상 블록 장착용 플레이트(100)는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비상 블록 장착용 플레이트(100)는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2개의 수직 포스트(110)를 구비한다. 상기 수직 포스트(110)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위치에 보강 바(120)가 설치된다.
상기 수직 포스트(110)에는 보드(130)가 고정 설치되며, 그 보드(130)에는 상기 비상 블록(10)이 설치된다. 상기 비상 블록(10)에는 원격조작밸브(미도시)와 연결되는 연결 파이프(12)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비상 블록의 설치구조에서는, 선박의 밸브 원격 제어 시스템(VRC-Valve remote control system)의 커미셔닝(Commissioning) 또는 원격조작밸브 비상 작동 시, 비상 블록(10)의 연결부(11)에 핸드 펌프(hand pump)(미도시)를 연결하여, 에어 퍼지(air purge)를 수행한다. 이때, 하나의 비상 블록 장착용 플레이트(매니폴드)(100)에 복수 개의 비상 블록(10)을 함께 설치함으로써, 해당 원격조작밸브와 연결된 노즐(nozzle)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다. 작업자는 해당 원격조작밸브와 연결된 노즐에 핸드 펌프를 연결하여 에어 퍼지(air purge)를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비상 블록의 설치구조는 씨 체스트(sea chest)로부터 해수의 흡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격조작밸브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비상 블록을 데크 상에 설치함에 있어서, 하나의 비상 블록 장착용 플레이트(매니폴드)에 복수 개의 비상 블록을 함께 설치함으로써, 해당 원격조작밸브와 연결된 노즐(nozzle)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비상 블록의 설치구조는 설치 공간을 줄여 공간활용이 가능하고, 화기 피해(damage)를 감소시키고, 운전(operating)이 편리하다.
1: 데크
10: 비상 블록
11: 연결부
12: 연결 파이프
100: 비상 블록 장착용 플레이트
110: 수직 포스트
120: 보강 바
130: 보드

Claims (5)

  1. 비상시 복수 개의 원격조작밸브를 작동하기 위해서 데크 상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비상 블록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데크 상에 비상 블록 장착용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비상 블록 장착용 플레이트에 상기 복수 개의 비상 블록이 함께 설치되며,
    상기 비상 블록 장착용 플레이트는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2개의 수직 포스트; 상기 수직 포스트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보강 바; 및 상기 수직 포스트에 고정되며 상기 비상 블록이 설치되는 보드;로 구성되며,
    상기 비상 블록에는 원격조작밸브와 연결되는 연결 파이프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파이프가 상기 2개의 수직 포스트 사이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블록의 설치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상 블록은 매니폴드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블록의 설치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상 블록 장착용 플레이트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블록의 설치구조.
  4. 삭제
  5. 삭제
KR2020130008320U 2013-10-10 2013-10-10 비상 블록의 설치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2004774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320U KR200477464Y1 (ko) 2013-10-10 2013-10-10 비상 블록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320U KR200477464Y1 (ko) 2013-10-10 2013-10-10 비상 블록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491U KR20150001491U (ko) 2015-04-20
KR200477464Y1 true KR200477464Y1 (ko) 2015-06-10

Family

ID=53035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320U Expired - Fee Related KR200477464Y1 (ko) 2013-10-10 2013-10-10 비상 블록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464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6344A (ko) * 2007-04-27 2008-10-30 가부시끼가이샤 신 쿠루시마 도꾸 액체 화물선의 화물 펌프 장치
KR100912475B1 (ko) * 2006-10-12 2009-08-17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밸브장치
KR101041969B1 (ko) * 2009-03-04 2011-06-16 대경기업(주) 배관 플레이트
KR20110104148A (ko) * 2010-03-16 2011-09-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밸브 개폐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475B1 (ko) * 2006-10-12 2009-08-17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밸브장치
KR20080096344A (ko) * 2007-04-27 2008-10-30 가부시끼가이샤 신 쿠루시마 도꾸 액체 화물선의 화물 펌프 장치
KR101041969B1 (ko) * 2009-03-04 2011-06-16 대경기업(주) 배관 플레이트
KR20110104148A (ko) * 2010-03-16 2011-09-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밸브 개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491U (ko) 201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77675A1 (en) Floatable dry docks
KR102436713B1 (ko) 물 흡입 시스템 및 그러한 시스템이 장착된 부유식 선박
CN104210631A (zh) 一种载人潜水器
CN203714151U (zh) 一种混凝土运输泵送船
KR200477464Y1 (ko) 비상 블록의 설치구조
CN203958595U (zh) 一种船舶甲板通风装置
CN205131567U (zh) 一种船舶压载系统的管路布置结构
US9260333B2 (en) Deicing system for aerator
JP6168531B2 (ja) 摩擦抵抗低減船の空気供給システム
KR20130142513A (ko) 빌지 처리 장치
JP2010203319A (ja) 水力発電装置の設置構造
KR101316561B1 (ko)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해수공급장치
CN207712241U (zh) 加装压载水滤器散货船的船舱
KR101411496B1 (ko) 선박
KR102525946B1 (ko) 선저의 에어 챔버를 이용한 방재장치
KR101239345B1 (ko) 선박
KR200487932Y1 (ko) 선박의 발라스트 시스템
JP5645568B2 (ja) 船舶の摩擦抵抗低減装置及び船舶摩擦抵抗低減装置の海洋生物付着防止方法
WO2016096286A1 (en) Overflow arrangement for a ballast system of a floating unit
JP5858375B2 (ja) 摩擦抵抗低減船の空気供給システム
KR20150025790A (ko) 소방용수펌프 문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시설
KR101559412B1 (ko)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 배치구조를 갖는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
KR20120002339U (ko) 선박용 벤트 덕트 시스템
KR101122773B1 (ko) 핸드 펌프용 오일 코밍이 구비된 선박
KR20130075126A (ko) 문풀을 이용한 해수 취수 시스템 및 이를 가지는 드릴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101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41031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6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5060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90315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