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015Y1 - Humidifier which has a flowerpot function - Google Patents
Humidifier which has a flowerpot fun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7015Y1 KR200477015Y1 KR2020130009716U KR20130009716U KR200477015Y1 KR 200477015 Y1 KR200477015 Y1 KR 200477015Y1 KR 2020130009716 U KR2020130009716 U KR 2020130009716U KR 20130009716 U KR20130009716 U KR 20130009716U KR 200477015 Y1 KR200477015 Y1 KR 20047701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storage tank
- nonwoven fabric
- water storage
- humidifi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9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3204 osmo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3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3504 respiratory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297 Ray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70 easy-to-clea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5 mi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삼투압을 이용하여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상기 화분에 공급하는 심지 및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여 증발시키는 부직포를 구비하고, 공기 순환 팬으로 상기 부직포에 공기를 공급하는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midifier having a pollen function.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that has a function of supply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to the pollen using osmotic pressure and a nonwoven fabric for absorbing and evaporat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And a humidifier.
Description
본 고안은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삼투압을 이용하여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상기 화분에 공급하는 심지 및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여 증발시키는 부직포를 구비하고, 공기 순환 팬으로 상기 부직포에 공기를 공급하는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midifier having a pollen function.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that has a function of supply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to the pollen using osmotic pressure and a nonwoven fabric for absorbing and evaporat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And a humidifier.
일반적으로 건조한 장소에서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가습기를 많이 사용한다. 즉, 가습기의 목적은 실내의 공기를 적당한 습도(60% 정도)로 유지함으로써 호흡장애 및 질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로 인해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다.Generally, a humidifier is used to adjust the humidity in a dry place. That is, the purpose of the humidifier is to keep the indoor air at proper humidity (about 60%) to prevent respiratory disorder and diseas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pleasant indoor atmosphere.
실내에 적당한 증기요소가 없고 온도가 높아지면 건조해지기 쉽다. 이런 때There is no proper vapor element in the room, and it is easy to get dry if the temperature rises. When
가습기로 공기 속의 습도를 조절할수 있는데, 전기에 의하여 깨끗한 물을 입자화 하여 실내에 뿜어지게 하는 것이 가습기의 원리이다.The humidifier can control the humidity in the air. It is the principle of the humidifier that particles of clean water are blown into the room by electricity.
또한, 보통의 기계적 가습기는 물을 저장하는 밀폐형 저수조, 저수조의 물을 분무장치로 이송하는 급수 장치 및 물을 수증기 또는 안개 형태로 분무하는 분무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일반적인 기존의 가습기는 상기 장치들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전기 장치로 열을 발생 시키므로 밀폐형 저수조내의 수온의 증가로 세균번식 환경이 유도되고 분무 장치와 송풍장치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아 가습기의 청소에 매우 어려움이 있다. 또한, 가습기를 사용함으로 세균으로 인한 질병을 얻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매일 가습기의 분무 장치 및 송풍장치를 일광 소독하여 사용하여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다양한 가습기가 개발되었지만 여전히 세균에 대한 문제점은 남아있다. 의료전문가는 공기 중에 습기를 공급하려 할 때, 난로 위에다 주전자로 물을 끓이는 것 같이 증기를 통해 방 안에 습기를 공급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한 바 있다.Also, a normal mechanical humidifier includes a sealed water tank for storing water, a water supply device for transferring the water of the water storage tank to the spraying device, and a spraying device for spraying water in the form of water vapor or mist. Conventional conventional humidifiers are difficult to clean the humidifier because the devices are integrated and the heat is generated by the electric device,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in the sealed water tank is increased to induce a germ propagation environment and separation of the spray device and the blower device is not easy. .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 of a humidifier causes a disease caused by bacteria. To this end,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spraying device and the blowing device of the humidifier are sterilized daylight. Various humidifiers have been developed which solve the above problems, but there still remain problems with bacteria. Medical professionals have suggested that when trying to provide moisture in the air, they should consider providing moisture in the room through steam, such as boiling water over a stove.
그리고, 가습기를 사용할 때는 전기를 이용하여 하며, 사무실에 적게는 하나, 많게는 3~5까지 사용하고 있다. 특히, 개인에 따라서는 개인용으로 사용하기도 하며 이에 소비되는 전력량이 크다.
And, when you use the humidifier, you use electricity. In the office, you use one less, the more you use 3 ~ 5. Particularly, some individuals are used for personal use, and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is larg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삼투압을 이용하여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화분에 공급하는 심지 및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여 증발시키는 부직포를 구비하고, 복수의 날개를 이용하여 상기 부직포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부직포에 흡수된 물을 증발시키는 공기 순환 팬을 포함하는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ck for supplying water stored in a water tank to pollen using osmotic pressure and a nonwoven fabric for absorbing and evaporat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And an air circulating fan for supplying air to the nonwoven fabric by using the air circulating fan to evaporate the water absorbed by the nonwoven fabric.
또한, 상기 심지의 하단은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에 잠기는 주머니를 형성시키고, 상기 주머니에 세라믹 볼을 수납하여 상기 저수조의 물을 항균 처리할 수 있는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umidifier having a pollen function capable of forming a pocket that is submerged in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and storing ceramic balls in the pocket to antibacterial water in the water storage tank, .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화분;Pots for planting;
상기 화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는 저수조가 형성되며, 측면에는 통풍구가 형성된 본체;A main body having a top opened to receive the pollen, a water storage tank formed at the bottom, and a vent at the side;
삼투압을 이용하여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상기 화분에 공급하는 심지;A wick for supply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to the flowerpot using osmotic pressure;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여 증발시키는 부직포;A nonwoven fabric for absorbing and evaporat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복수의 날개를 이용하여 상기 부직포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부직포에 흡수된 물을 증발시키기는 공기 순환 팬;An air circulation fan for supplying air to the nonwoven fabric by using a plurality of vanes to evaporate the water absorbed by the nonwoven fabric;
을 포함하는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umidifier having a pollen function.
본 고안에서 상기 심지의 하단은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에 잠기는 주머니가 형성되는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를 제공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of the wick provides a water purifying function for forming a pocket that is filled with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본 고안에서 상기 주머니에는 세라믹 볼이 수납되는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umidifier having a function of a humidifier having a flowerpot function for storing a ceramic ball in the pocket.
본 고안에서 상기 본체의 상단에는 상기 화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파인 수용홈;In the present invention,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recessed to receive the flowerpot;
상기 화분에서 흘러나온 물을 상기 저수조로 흘려 보내기 위한 관통구가 형성된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를 제공한다.
And a through hole for allowing the water flowing from the flowerpot to flow to the water storage tank is formed.
본 고안에서 상기 저수조의 하단부에는 상기 저수된 물의 양을 관측할 수 있는 관측창이 형성된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umidifier having a pollen function with an observation window for observing the amount of the water stored in the lower end of the water storage tank.
본 고안에서 상기 부직포의 상부는 포물선형으로 곡선을 이루는 타원모양의 건조부가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부직포를 받칠 수 있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를 제공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nonwoven fabric may have a parabolic curved elliptical drying portion, and a lower portion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capable of supporting the nonwoven fabric.
본 고안에서 상기 심지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화분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를 제공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ck is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and extends to the inside of the pot, and a humidifier having a pot function is provided.
본 고안에서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는 자연건조를 통해 실내에 습기를 자연스럽게 공급할 수 있고, 몸체의 분리 및 결합 가능하여 청소 및 소독이 용이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umidifier having a pollen function can naturally supply moisture to the room through natural drying, and it is easy to clean and disinfect because the body can be separated and combined.
또한, 본 고안에서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는 공기 순환 팬을 구비하여 대류식 건조가 가능하고,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어서 다수개를 사용하여도 경제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umidifier having a pollen function is provided with an air circulating fan, which allows convection drying and can save electricity costs, so that even a plurality of humidifiers can be used economically.
또한, 본 고안에서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는 심지의 하단 주머니에 세라믹 볼을 수납하여 저수조의 물을 항균처리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보다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umidifier having the pollen function can store the ceramic balls in the bottom pocket of the wick to treat the water in the water tank. This makes it possible for the user to use the device more cleanly.
또한, 본 고안에서 화분에 심어져 있는 식물을 식재 하여 실내 장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눈의 피로를 풀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plants planted in pots can be planted and used for indoor decorating, thereby relieving fatigue of the user's eye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의 탑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는 도 2의 A-A' 단면도.
도 4b는 도 4a에서 B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 5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의 저수조에 물이 유입되어 만수 시 수위 표시부가 점등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블록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의 부직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의 세라믹 볼을 수납한 심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의 심지가 일자형으로 형성된 주머니를 나타낸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umidifier having a polle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umidifier having a polle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p cover of a humidifier having a polle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4B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B in Fig.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block diagram showing that the water level indicator is turned on when the water flows into the water tank of the humidifier having the pollen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nonwoven fabric of a humidifier having a polle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re accommodating a ceramic ball of a humidifier having a polle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cket of a humidifier having a polle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in a straight shape; FIG.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may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blurred.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의 탑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서 B의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5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의 저수조에 물이 유입되어만수 시 수위 표시부가 점등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블록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의 부직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의 세라믹 볼을 수납한 심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의 심지가 일자형으로 형성된 주머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umidifier having a polle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umidifier having a polle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p cover of a humidifier having a polle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4B is a partially enlarged sectional view of B in Fig. 4A. Fig.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block diagram showing that the water level indicator is turned on when the water flows into the water tank of the humidifier having the pollen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nonwoven fabric of a humidifier having a polle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re in which a ceramic ball of a humidifier having a polle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ouse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cket of a humidifier having a polle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in a straight line. FIG.
먼저,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화분(10); 상기 화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는 저수조(30) 가 형성되며, 측면에는 통풍구(22)가 형성된 본체(20); 삼투압을 이용하여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상기 화분에 공급하는 심지(50);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여 증발시키는 부직포(40); 복수의 날개를 이용하여 상기 부직포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부직포에 흡수된 물을 증발시키기는 공기 순환 팬(60); 을 포함한다.
First, referring to FIGS. 1 to 4B, a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화분(10)이 있고, 상기 화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는 저수조(30)가 형성되며, 측면에는 통풍구(22)가 형성된 본체(20)가 있다.A humidifier having a polle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화분(10)은 상기 본체(20)의 내부에 수용되는데, 이때 본체(20)는 상기 화분(10)을 수용할 수 있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단부에 경사절곡된 플랜지(21a)가 형성된 탑커버(21)를 구비하여 상기 화분(10)을 상기 탑커버(21)에 수용시키고, 상기 화분(10)이 수용된 탑커버(21)는 상기 본체(20)의 수용홈(23)에 수용되어 결합된다.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20)의 상부는 내주면에 오목하게 파인 수용홈(23)이 형성되어 상기 탑커버(21)의 상단부 외주면이 상기 수용홈(22)에 서로 일치하도록 수용되고, 상기 탑커버(21)의 상단부에 형성된 플랜지(21a)는 상기 본체(20)의 상단부에 걸쳐지며 결합되어 상기 화분(10)을 고정시키도록 한다.Preferably, the upper portion of the
또한, 도 3 내지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탑커버(21)는 상기 화분(10)에서 흘러나온 물을 저수조(30)로 흘려 보내기 위한 관통구(24)가 탑커버(21) 내주면 바닥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24)는 하부에 물이 흘러 나갈 수 있도록 배수관(25)을 포함하여 화분(10) 또는 플랜지(21a)에 물을 공급하였을 때, 상기 탑커버(21)의 바닥면에 모인 물이 상기 배수관(25)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상기 저수조(30)에 흘러 들어갈 수 있게 한다.
3 to 4B, the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체(20)는 전방부(20a) 와 후방부(20b)로 나뉘어져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청소 및 소독을 용이 하게 하며, 부직포(40) 및 심지(50)의 기능이 미비할 때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20)의 하부에 형성된 저수조(30)는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저수조(30)의 하단부에는 저수된 물의 양을 관측할 수 있는 관측창(31)이 투명하게 형성되어 물의 양이 부족할 시 줄어들지 않도록 물을 채울 수 있게 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또한, 부직포(40)를 구비하여 상기 저수조(30)의 바닥에 형성된 고정부(32)에 끼워 고정시키고, 고정된 상기 부직포(40)는 저수조(30)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여 증발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이때,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탑커버(21)의 하단면에 공기 순환 팬(60)이 장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탑커버(21)의 하단부 외주면에 복수개의 사출부(21b)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사출부(21b)는 바닥면에 상기 탑커버(21)의 바닥면 보다 길게 돌출된 고정막대(21c)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막대(21c)는 상기 공기 순환 팬(60)의 상부에 돌출된 사분점에 중앙이 오목하게 파인 홈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고정홈(61)에 수용되어 상기 탑커버(21)와 상기 공기 순환 팬(60)이 결합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 순환 팬(60)은 복수개의 날개로 형성되어 상기 부직포(40)에 공기를 공급하면, 상기 부직포(40)에 흡수된 물을 증발 시킨다. 흡수된 물이 증발될 때 습기가 발생되는데, 습기는 상기 본체(20)의 측면에 형성된 통풍구(2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외부로 배출된 습기는 습도 및 온도를 제어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해줄 수 있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A, the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는 심지(50)를 구비하여 상기 저수조(30)에 저장된 물을 삼투압을 이용하여 화분(10)에 공급한다.The humidifier having a polle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도 4a 및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저수조(30)에 구비된 상기 심지(50)를 상기 탑커버(21)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24)에 삽입시키고, 상기 관통구(24)에 삽입된 상기 심지(50)를 상기 화분(10)의 밑부분에 형성된 구멍(11)을 통하여 화분의 내측까지 삽입하여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화분에 공급함으로써, 식물을 식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저수조(30)의 물이 부족할 때, 상기 탑커버(21)의 내주면에 물을 부으면 상기 탑커버(21)의 바닥에 형성된 관통구(24)를 통하여 물이 배수관(25)을 따라 상기 저수조(30)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관통구(24)에 삽입된 심지(50)에 물이 스며들어 상기 저수조(30)에 물이 흐르도록 하여 상기 심지(50)가 배수관 역할을 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4A and 4B, the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에 있어서, 도 5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의 저수조(30)에 물이 유입되어 만수 시 수위 표시부(90)가 점등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블록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저수조(30)의 내주면 일측부는 상기 저수조(30) 상단에서 소정간격만큼 떨어진 부분에 물이 흘러 들어갈 수 있는 수위 조절 홈(33)이 형성되고, 상기 수위 조절 홈(33)의 상단 일측부에 센서(33)를 포함하고, 상기 수위 조절 홈(33)의 하단은 물이 유입되었을 때 물에 뜰 수 있는 스치로폼(80)을 더 포함한다.FIG. 5 is a schematic view of a humidifier having a polle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5, water is introduced into a
상기 스치로폼(80) 상단은 마그넷(81)이 부착되된다. 상기 수위 조절 홈(33)에 물이 지속적으로 유입시 상기 스치로폼(80)이 물에 뜰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위 조절 홈(33)의 상단 일측에 구비된 센서(82)와 상기 스치로폼(80) 상단에 부착된 상기 마그넷(81)이 접촉하면,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본체(20)의 전방부(20a)에 구비된 수위 표시부(90)에서 엘이디(LED)가 점등되도록 하여 만수표시를 할 수 있다.
A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에 있어서, 도 1 및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의 부직포(4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부직포(40)의 상부는 포물선형으로 곡선을 이루는 타원모양의 건조부(41)가 방사형으로 다수 형성되고, 상기 부직포(40)의 하부는 상기 부직포(40)를 받칠 수 있는 'ㄴ'자 형상의 받침부(42)가 상기 다수의 건조부(41)에 대응하여 방사형으로 다수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건조부(41)는 도 1에서 총 개수의 절반인 24개가 도시되어 있으며, 결과적으로 48개의 건조부(41)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단위 공간당 접촉 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 것으로서, 이를 통한 효과적인 물의 흡수와 증발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다수의 건조부와 상기 다수의 받침부 사이의 연결부위는 일체로 결합되고, 그에 따라 상기 다수의 받침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이 상기 연결부위를 따라 상기 다수의 건조부의 각각의 면에서 증발됨으로써 효과적인 흡수와 함께 증발이 가능하게 된다.1 and 6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 the number of the drying
This is because it is optimized so as to maximize the contact area per unit space, thereby enabling effective absorption and evaporation of water.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drying units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units is integrally coupled so that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flowing through the plurality of receiving units is su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drying units It is possible to evaporate with effective absorption.
상기 부직포(40)는 상기 저수조(30)의 하부에 복수개로 배열시키고, 상기 받침부(42)는 상기 저수조(40)의 바닥면에 형성된 고정부(32)에 움직이지 않도록 결합시킨다. 또한, 고정된 상기 부직포(40)는 상기 받침부(42)에서 상기 저수조(30)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여 상기 건조부(41)로 물을 전달하면 상기 건조부(41)는 물을 건조하게 된다.The plurality of
또한, 상기 부직포(40)는 일반적인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스코스 레이온이라는 소재를 사용하여 물의 흡수성을 향상시켜 많은 수분을 상기 부직포(40)의 건조부(41)로 전달 시킨다.
The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에 있어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심지(50)의 하단은 상기 저수조(30)의 저장된 물에 잠기는 주머니(51)가 형성되어 상기 주머니(51)에 세라믹 볼(70)을 수납할 수 있다. 수납된 상기 세라믹 볼(70)은 상기 주머니(51)의 크기에 대응하여 일정크기로 형성된 것을 다수개로 수납하여 상기 저수조(30)에 저장된 물을 항균 처리시킬 수 있다.7, a lower end of the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심지(52)의 하단은 저수조(30)의 저장된 물에 잠기는 주머니(53)가 일자형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25)의 끝단에 삽입되어 상기 저수조(30)까지 연장된 배수관역할을 할 수 있다.
8, the lower end of the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항 내에서 당 분야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or improv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It is intended that the appended claims be interpreted as including all such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insofar as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 화분 20 : 본체
21 : 탑커버 21a : 플랜지
22 : 통풍구 23 : 수용홈
24 : 관통구 25 : 배수관
30 : 저수조 31 : 관측창
32 : 고정부 33 : 수위 조절 홈
40 : 부직포 41: 건조부
42 : 받침부 50 : 심지
51 : 주머니 60 : 공기 순환 팬
70 : 세라믹 볼 80 : 스치로폼
81 : 마그넷 90 : 수위 표시부10: Flowerpot 20: Body
21:
22: ventilation hole 23: receiving groove
24: through hole 25: drain pipe
30: Water tank 31: Observation window
32: fixing portion 33: water level adjusting groove
40: nonwoven fabric 41: drying section
42: Support portion 50: Wick
51: pocket 60: air circulation fan
70: Ceramic ball 80: Styrofoam
81: Magnet 90: Water level indicator
Claims (7)
상기 화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는 저수조가 형성되며, 측면에는 통풍구가 형성된 본체;
삼투압을 이용하여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상기 화분에 공급하는 심지;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여 증발시키는 부직포;
복수의 날개를 이용하여 상기 부직포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부직포에 흡수된 물을 증발시키기는 공기 순환 팬;
을 포함하고,
상기 심지의 하단은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에 잠기는 주머니가 형성되며,
상기 주머니에는 세라믹 볼이 수납되고,
상기 부직포의 상부는 포물선형으로 곡선을 이루는 타원모양의 건조부가 방사형으로 다수 형성되고, 상기 부직포의 하부는 상기 건조부를 받칠 수 있는 'ㄴ'자 형상의 받침부가 상기 다수의 건조부에 대응하여 방사형으로 다수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건조부와 상기 다수의 받침부 사이의 연결부위는 일체로 결합되고, 그에 따라 상기 다수의 받침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이 상기 연결부위를 따라 상기 다수의 건조부의 각각의 면에서 증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
Pots for planting;
A main body having a top opened to receive the pollen, a water storage tank formed at the bottom, and a vent at the side;
A wick for supply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to the flowerpot using osmotic pressure;
A nonwoven fabric for absorbing and evaporat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An air circulation fan for supplying air to the nonwoven fabric by using a plurality of vanes to evaporate the water absorbed by the nonwoven fabric;
/ RTI >
A lower portion of the wick is formed with a pocket filled with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The ceramic ball is stored in the pocket,
The upper portion of the nonwoven fabric is formed into a plurality of elliptical curved drying portions in a parabolic shape, and a lower portion of the nonwoven fabric has a 'B' shaped supporting portion capable of supporting the drying portion, Respectively,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drying portions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portions is integrally coupled so that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flowing through the plurality of receiving portions is su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drying portions And the evaporator is evaporated in the evaporator.
상기 본체의 상단에는 상기 화분을 수용할 수 있도로 오목하게 파인 수용홈;
상기 화분에서 흘러나온 물을 상기 저수조로 흘려 보내기 위한 관통구가 형성된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receiving groove recessed to receive the flowerpot;
And a through hole for allowing the water flowing out from the flowerpot to flow to the water storage tank is formed.
상기 저수조의 하단부에는 상기 저수된 물의 양을 관측할 수 있는 관측창이 형성된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lower end of the water storage tank is provided with a pollen function in which an observation window for observing the amount of stored water is formed.
상기 심지는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어 상기 화분의 밑부분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상기 화분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wick is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and extends to the inside of the flowerpot through a hol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flowerpo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9716U KR200477015Y1 (en) | 2013-11-26 | 2013-11-26 | Humidifier which has a flowerpot fun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9716U KR200477015Y1 (en) | 2013-11-26 | 2013-11-26 | Humidifier which has a flowerpot fun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7015Y1 true KR200477015Y1 (en) | 2015-05-04 |
Family
ID=53434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9716U Expired - Fee Related KR200477015Y1 (en) | 2013-11-26 | 2013-11-26 | Humidifier which has a flowerpot fun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7015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92977B1 (en) | 2018-06-20 | 2018-08-30 | 권우진 | Flowerpot using water vapor |
KR20190074710A (en) | 2017-12-20 | 2019-06-28 | 힐링팟 주식회사 | Air-quality change device with filter selectio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71527B1 (en) * | 2000-09-08 | 2003-02-07 | 손기철 | Method and apparatus for indoor environmental control using plant pot |
KR100559084B1 (en) * | 2003-11-14 | 2006-03-10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Plant-Soil Indoor Air Filters |
KR200461692Y1 (en) * | 2010-10-22 | 2012-07-30 | 강상구 | A jardiniere having humidify function |
KR101329784B1 (en) * | 2013-02-02 | 2013-11-15 | 이보름 | The flowerpot mounting type humidifier |
-
2013
- 2013-11-26 KR KR2020130009716U patent/KR200477015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71527B1 (en) * | 2000-09-08 | 2003-02-07 | 손기철 | Method and apparatus for indoor environmental control using plant pot |
KR100559084B1 (en) * | 2003-11-14 | 2006-03-10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Plant-Soil Indoor Air Filters |
KR200461692Y1 (en) * | 2010-10-22 | 2012-07-30 | 강상구 | A jardiniere having humidify function |
KR101329784B1 (en) * | 2013-02-02 | 2013-11-15 | 이보름 | The flowerpot mounting type humidifie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74710A (en) | 2017-12-20 | 2019-06-28 | 힐링팟 주식회사 | Air-quality change device with filter selection |
KR101892977B1 (en) | 2018-06-20 | 2018-08-30 | 권우진 | Flowerpot using water vap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28275B2 (en) | Humidifier for use with heated air source | |
KR101338030B1 (en) | Plant cultivation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dehumidification and air purification | |
KR200477015Y1 (en) | Humidifier which has a flowerpot function | |
KR20050046881A (en) | A room cleaning system using plant and soil | |
JP2012149812A (en) | Drop-type vaporizer | |
CN201377852Y (en) | Electric warmer | |
KR101144909B1 (en) | Humidification induced equipment of humidifier | |
KR101429337B1 (en) | Fountain type flower pot for cleaning air | |
KR101346249B1 (en) | Natural Evaporation Type Humidifier | |
JP2003322368A (en) | Humidifier | |
US8833740B2 (en) | Natural evaporation type humidifier and air control device having the same | |
KR101522630B1 (en) | Evaporation type humidifier | |
KR101329784B1 (en) | The flowerpot mounting type humidifier | |
KR20160077261A (en) | Ventilation apparatus of stand type and heat transfer structure and phytoncides supplying of natural evaporation type | |
KR20110128414A (en) | Potted plants with humidification | |
KR20170116997A (en) | Humidifier naturally vaporizing with heat structure of wall-hanging type | |
KR20130096764A (en) | Natural evaporation humidifier | |
KR200381151Y1 (en) | Well-being shoes case | |
KR20090021981A (en) | Air purifier | |
KR101894368B1 (en) | Pot capable of generating perfume | |
KR102707118B1 (en) | Electrostatic spray type cultivator for plant | |
KR102397947B1 (en) | Natural vaporizing towel humidifier | |
KR100732911B1 (en) | Flowerport ornamental device | |
JP2006170573A (en) | Humidifier | |
KR200231312Y1 (en) | Screen Humidifier_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1126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40828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1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5042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50422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210202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