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76768Y1 - User apparatus with antenna connected with camera - Google Patents

User apparatus with antenna connected with camer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768Y1
KR200476768Y1 KR20140006926U KR20140006926U KR200476768Y1 KR 200476768 Y1 KR200476768 Y1 KR 200476768Y1 KR 20140006926 U KR20140006926 U KR 20140006926U KR 20140006926 U KR20140006926 U KR 20140006926U KR 200476768 Y1 KR200476768 Y1 KR 2004767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ntenna
camera
camera unit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4000692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효원
Original Assignee
박효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효원 filed Critical 박효원
Priority to KR201400069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76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7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768Y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메라와 결합되는 안테나를 구비한 사용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인출되는 안테나의 종단에 카메라를 구비하여, 안테나 기능과 더불어 카메라를 통한 셀프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와 결합되는 안테나를 구비한 사용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에 구성되는 안테나를 카메라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사용자 장치의 안테나를 인출시켜 카메라를 원거리에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셀프 촬영이 가능하도록 지원함과 동시에 셀프 촬영을 위한 별도의 보조 장치를 휴대할 필요가 없어 휴대성 및 편의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apparatus having an antenna coupled to a camera,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er apparatus having a camera at an end of an antenna drawn out from a user apparatus, To a us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ntenna configured in the user device can be configured to be connectable with the camera, and the antenna of the user device can be taken out to place the camera at a remote location, There is no need to carry a separate auxiliary device for the portable device, which improves portability and convenience.

Description

카메라와 결합되는 안테나를 구비한 사용자 장치{User apparatus with antenna connected with camera}[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apparatus having an antenna coupled to a camera,

본 고안은 카메라와 결합되는 안테나를 구비한 사용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인출되는 안테나의 종단에 카메라를 구비하여, 안테나 기능과 더불어 카메라를 통한 셀프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와 결합되는 안테나를 구비한 사용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apparatus having an antenna coupled to a camera,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er apparatus having a camera at an end of an antenna drawn out from a user apparatus, To a user device.

현재 제공되는 카메라는 셀프 타이머 기능을 제공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에 셔터가 자동으로 동작하여 촬영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는 타이머 설정을 통해 별도의 촬영자 없이 용이하게 셀프 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The camera currently provided provides a self-timer function so that the shutter is automatically operat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erform the self-photographing without setting a timer through the timer setting.

이러한 셀프 촬영시 카메라를 촬영 대상을 향해 지향하도록 고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사용자는 삼각대를 설치하고, 삼각대에 구비된 안착부에 카메라를 고정시켜 촬영대상을 지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In order to do this, a user needs to set up a tripod and fix the camera on a seating part provided on the tripod so as to direct the subject to be photographed.

그러나, 현재 제공되는 삼각대는 대부분 무게와 부피가 상당하여 휴대 편의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촬영시마다 삼각대를 설치하고 카메라를 삼각대의 안착부 상에 고정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currently available tripods are mostly heavy in weight and bulky, an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y are not very portable, and it is troublesome to install a tripod and fix the camera on the seat of the tripod.

최근 이러한 삼각대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종단에 카메라를 설치할 수 있는 봉 형태의 셀프 촬영 보조 장치가 등장하고 있다.In recent years, self-photographing assistant devices in the form of rods have been emerging which can solve the problems of such a tripod and install a camera at the end.

이러한 셀프 촬영 보조 장치는 봉 형태로 구성되어 삼각대와 같이 촬영시마다 매번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삼각대보다 크기가 작아 어느정도 휴대성을 개선하고 있다.This self-assisting assistant device has a rod shape, so it does not have to be installed every time when taking a picture like a tripod, and it is somewhat smaller than a tripod to improve portability to some extent.

그러나, 이러한 봉 형태의 셀프 촬영 보조 장치 역시 크기가 상당하여 별도로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셀프 촬영을 위한 장치로 용도가 국한되므로 범용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bar-shaped self-photographing assistant device is also inconvenient to carry separately because it is large in size, and has a problem in that the versatility is greatly deteriorated because it is limited to a self-photographing device.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6744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2-0067444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용자 장치에 구성되는 안테나를 카메라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 장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셀프 촬영이 가능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셀프 촬영을 위한 별도의 보조 장치를 휴대할 필요가 없어 휴대성 및 편의성을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n antenna included in a user device is configured to be connectable with a camera, and self-photographing is enabled using an antenna of a user device, thereby providing a separate auxiliary device for self- So that the portability and convenience are improved.

또한, 본 고안은 카메라가 연결된 안테나를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테나 본연의 기능도 함께 선택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기존 셀프 촬영을 위한 별도의 보조 장치와 달리 범용성을 제공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allows the camera connected to the camera to be used for photographing using a camera, but also provides the function of the antenna selectively, thereby providing versatility unlike a separate auxiliary device for existing self-photographing .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와 결합되는 안테나를 구비한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 장치의 외부로 인출되거나 내부로 인입되며, 내부에 신호선이 구비된 안테나부와, 상기 안테나부의 일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신호선과 연결되는 카메라부와, 상기 안테나부의 신호 송수신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절환부 및 상기 안테나부의 내부에 구비된 신호선을 통해 상기 카메라부와 연결되며, 카메라 모드로 동작시 상기 절환부를 통해 상기 안테나부의 신호 송수신을 차단하고 상기 신호선을 통해 상기 카메라부의 셔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셔터구동 신호를 상기 카메라부로 제공하며, 안테나 모드로 동작시 상기 신호선을 통해 상기 카메라부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오프 신호를 상기 카메라부로 제공하며 상기 절환부를 통해 상기 안테나부의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user apparatus having an antenna coupled to a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tenna unit which is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user apparatus or inside and has a signal line therein, And an antenna unit connected to the camera unit via a signal line provided inside the antenna unit, wherein when the camera unit is operated in the camera mod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of the antenna unit is interrupted And provides an OFF signal for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camera unit through the signal line to the camera unit when the camera unit is operated in the antenna mode, and provides the camera unit with a shutter drive signal for operating the shutter of the camera unit through the signal lin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antenna unit It may include a locking control unit.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외부로 인출 또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내부로 인입되는 다단 로드 안테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enna unit may include a multi-stage rod antenna that is drawn out from the user apparatus or drawn into the user apparatus.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안테나부의 일단부는 상기 안테나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s one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antenna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about a center axis of the antenna unit.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안테나부의 일단부는 상기 카메라부와 체결되어 상기 카메라의 지향각을 조절하는 힌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antenna unit is provided with a hinge unit coupled to the camera unit to adjust a directivity angle of the camera.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상기 셔터구동 신호에 따라 셔터를 동작하여 생성된 이미지 정보를 상기 신호선을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receives image information generated by operating a shutter according to the shutter driving signal from the camera unit through the signal line.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와 결합되는 안테나를 구비한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 장치의 외부로 인출되거나 내부로 인입되는 안테나부와, 상기 안테나부의 일단부에 체결되는 카메라부와, 상기 안테나부의 외부신호 송수신을 위한 상기 안테나부와 안테나 송수신단과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절환부 및 카메라 모드로 동작시 상기 절환부를 통해 상기 안테나부의 외부신호 송수신을 차단하고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카메라부의 셔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셔터구동 신호를 상기 카메라부로 제공하며, 안테나 모드로 동작시 상기 절환부를 통해 상기 안테나부의 외부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user apparatus having an antenna coupled to a camer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tenna unit that is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user apparatus or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user apparatus, a camera unit that is fastened to one end of the antenna unit, An antenna switching unit for selectively interrupting connection between the antenna unit and the antenn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for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a switch unit for interrupt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external signals through the antenna unit and operating the shutter of the camera unit through the antenna unit, And a control unit for providing a shutter driving signal to the camera unit and transmitting / receiving an external signal of the antenna unit through the switching unit when operating in the antenna mode.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사용자 장치 내부로 상기 안테나부의 인입시 상기 사용자 장치에 구비된 단자부와 연결되어 충전전원을 상기 카메라부로 제공하는 커넥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unit may include a connector unit connected to a terminal unit provided in the user apparatus when the antenna unit is drawn into the user apparatus, and providing a charging power source to the camera unit.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부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상기 셔터구동 신호에 따라 셔터를 동작하여 생성된 이미지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무선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transmit and receive a wireless signal to and from the camera unit; And wirelessly receiving the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테나 모드로 동작시 상기 통신부 또는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상기 카메라부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오프신호를 상기 카메라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an off signal to the camera unit to turn off the power of the camera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r the antenna unit when the antenna unit operates in the antenna mode.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에 구성되는 안테나를 카메라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사용자 장치의 안테나를 인출시켜 카메라를 원거리에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셀프 촬영이 가능하도록 지원함과 동시에 셀프 촬영을 위한 별도의 보조 장치를 휴대할 필요가 없어 휴대성 및 편의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ntenna configured in the user device can be configured to be connectable with the camera, and the antenna of the user device can be taken out to place the camera at a remote location, There is no need to carry a separate auxiliary device for the portable device, which improves portability and convenience.

또한, 본 고안은 카메라가 연결된 안테나를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테나 본연의 기능도 함께 선택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기존 셀프 촬영에 용도가 국한된 별도의 보조 장치와 달리 범용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allows the camera connected to the camera to be used for photographing using the camera but also provides the function of the antenna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the antenna, thereby providing versatility unlike a separate auxiliary device dedicated to the self- .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와 결합되는 안테나를 구비한 사용자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와 결합되는 안테나를 구비한 사용자 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동작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부와 안테나부의 결합 구조에 대한 예시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와 결합되는 안테나를 구비한 사용자 장치에 대한 구성도.
도 6은 사용자 장치 내부로 안테나부의 인입시 카메라부의 매립 구성 및 충전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user device having an antenna coupled to a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user device having an antenna coupled to a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the operation of the us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camera unit and an antenna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a user device having an antenna coupled to a camer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figuratio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amera unit to be buried and a configuration to be charged when the antenna unit is drawn into the user equipment.

이하, 본 고안에 대한 상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detail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와 결합되는 안테나를 구비한 사용자 장치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100)의 외부로 인출 및 사용자 장치(100)의 내부로 인입되는 안테나부(200)와, 상기 안테나부(200)의 일단부(210)에 체결되는 카메라부(300) 및 상기 안테나부(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신호선을 통해 상기 카메라부(300)와 상호 연결되는 사용자 장치(100)로 구성될 수 있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user apparatus having an antenna coupled to a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antenna unit 200, which is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user apparatus 100 and drawn into the user apparatus 100, A camera unit 300 coupled to one end 210 of the antenna unit 200 and a user device 300 connected to the camera unit 300 through a signal line provided in the antenna unit 200 100).

이때, 사용자 장치(100)는 안테나가 구비되는 태블릿 PC(Tablet PC),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device 100 may be a tablet PC, a smart phone, a portable terminal, a mobile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terminal, a personal computer, a navigation terminal, and the like.

상술한 구성에 따라, 상기 안테나부(200)의 일단부(210)에 체결된 카메라부(300)를 상기 사용자 장치(100)에서 인출되는 안테나부(200)의 길이 신장을 통해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원거리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100)를 조작하여 원거리에 위치한 카메라부(300)의 셔터를 동작시킴으로써 자신의 모습을 용이하게 셀프 촬영할 수 있다.The camera unit 300 fastened to the one end 210 of the antenna unit 200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device 100 through the extension of the antenna unit 200 drawn out from the user device 100. [ The user can easily take a self-portrait by operating the shutter of the camera unit 300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by operating the user device 100. [

이때, 사용자 장치(100)는 상기 신호선을 통해 카메라부(300)에 셔터 동작을 위한 셔터 구동 신호를 제공하여 카메라부(300)를 통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안테나부(200)의 신호 송수신을 차단하여 상기 셔터구동 신호와 안테나부(200)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간 간섭에 따른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device 100 may provide a shutter drive signal for shutter operation to the camera unit 300 through the signal line so as to photograph the camera unit 300.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noise from occurring due to interference between the shutter driving signal and the signal transmitted /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unit 200 by blocking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한편, 사용자 장치(100)는 안테나부(200)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안 상기 카메라부(300)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오프신호를 상기 신호선을 통해 카메라부(300)로 제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선을 통해 흐르는 신호와 안테나부(200)를 통해 흐르는 신호간 간섭에 따른 노이즈를 방지하여 안테나부(200)를 통한 안정적인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user device 100 provides an off signal for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camera unit 300 to the camera unit 300 through the signal line while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hrough the antenna unit 200, As a result, noise due to interference between a signal flowing through the signal line and a signal flowing through the antenna unit 200 is prevented, and stable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antenna unit 200.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안테나부(200)의 길이 신장을 통해 카메라부(300)를 원거리에 위치시킬 수 있어 셀프 촬영을 위한 별도의 보조 장치 없이 사용자 장치(100)에 구비된 안테나부(200)를 통해 용이하게 셀프로 촬영할 수 있으며, 안테나 기능이 필요한 때에는 카메라의 전원을 오프시켜 안테나부(200)를 통한 안정적인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unit 300 can be positioned remotely by extending the length of the antenna unit 200, so that the antenna unit 200 provided in the user device 100 without a separate auxiliary device for self- And when the antenna function is required, the power of the camera can be turned off and stabl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antenna unit 200. [

다시 말해, 본 고안은 사용자 장치(100)에 구비된 안테나에 카메라를 결합시켜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 기능을 제공함과 아울러 안테나 기능을 제공하여, 특정 기능에 한정되지 않고 범용성을 제공한다.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mera function for self-photographing by coupling a camera to an antenna provided in the user device 100, and provides an antenna function, thereby providing versatility without being limited to a specific function.

도 2는 도 1의 구성에 따른 카메라와 결합되는 안테나를 구비한 사용자 장치의 상세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테나부(200)는 사용자 장치(100)의 하우징(160)으로부터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이때 상기 안테나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 로드안테나(210, 220, 230)로 구성될 수 있다.FIG.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user apparatus having an antenna coupled to a camera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FIG. 1. As shown in FIG. 2, the antenna unit 200 includes a housing 160 of a user apparatus 100, As shown in FIG. 1, the antenna unit 200 may include multi-stage rod antennas 210, 220 and 230.

이에 따라,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100)에 인입된 상태의 안테나부(200)를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인출시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카메라부(300)를 원거리에 위치시킬 수 있다.2 (a), when the antenna unit 200 is pulled out from the user apparatus 100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2 (b) The portion 300 can be positioned at a distance.

이때, 상기 사용자 장치(100)에 안테나부(200)가 인입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부(300)가 상기 사용자 장치(100)의 하우징(160) 내부로 매립되어 매립된 상태에서도 카메라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antenna unit 200 is inserted into the user device 100, the camera unit 300 is buried in the housing 160 of the user device 100, .

또한, 상기 안테나부(200)의 일단부(210)는 회동 가능한 힌지부(21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힌지부(212)에 카메라부(300)가 체결되어 상기 힌지부(212)가 상기 카메라부(300)를 회동시킬 수 있다.The camera unit 300 may be coupled to the hinge unit 212 so that the hinge unit 212 may be coupled to the hinge unit 212. [ The camera unit 300 can be rotated.

이를 통해 원하는 각도에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하기로 한다.Thus, the photographing can be performed at a desired angl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below.

또한, 상기 안테나부(200)의 내부에는 상기 카메라부(300)와 상기 사용자 장치(100)의 제어부(110)를 연결하는 신호선(10)이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 장치(100)에는 안테나부(200)가 사용자 장치(100) 내부로 인입되는 경우 상기 신호선(10)을 말아 권취하며, 상기 안테나부(200)가 사용자 장치(100) 외부로 인출되는 경우 상기 신호선(10)을 풀어 권출시키는 롤부(101)가 구성될 수 있다.A signal line 10 for connecting the camera unit 300 and the control unit 110 of the user device 100 is provided in the antenna unit 200. The user device 100 is provided with an antenna unit The signal line 10 is wound and wound when the antenna unit 200 is pulled into the user device 100 and the roll unit 20 is wound and unwound when the antenna unit 200 is drawn out of the user device 100, (101) can be constructed.

한편, 사용자 장치(100)는 카메라부(300)를 이용한 카메라 기능과 안테나부(200)를 이용한 안테나 기능이 중첩되어 동작하여 노이즈가 발생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 전원부(120), 절환부(130) 및 안테나 송수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device 100 includes a control unit 110, a control unit 110, a control unit 110, a control unit 110, and a control unit 120.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amera unit 300 and the antenna unit 200, A power supply unit 120, an exchange unit 130, and an antenn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40. [

우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카메라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안테나부(200)와 연결되어 안테나부(200)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안테나 송수신부(140)와 상기 안테나부(200)의 연결을 차단하도록 상기 절환부(130)를 제어하며, 상기 카메라부(300)로 상기 신호선(10)을 통해 셔터구동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카메라부(300)에서 상기 셔터구동 신호에 따른 셔터를 동작시켜 촬영대상에 대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3 (a), the controller 110 is connected to the antenna unit 200 to operate a signal transmitted /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unit 200 when operating in a camera mode And controls the switching unit 130 to cut off the connection between the antenna unit 200 and the antenna unit 200 and provides a shutter driving signal to the camera unit 300 through the signal line 10,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shutter in accordance with the shutter drive signal to photograph the object.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안테나 송수신부(140)에 포함된 송수신단과 상기 안테나부(200)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상기 안테나부(200)와 안테나 송수신부(140) 사이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안테나부(200)의 신호 송수신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 selectively disconnects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included in the antenn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40 and the antenna unit 200 to selectively connect the antenna unit 200 and the antenna transmission unit 140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of the antenna unit 200 can be selectively blocked.

또한, 상기 카메라부(300)는 촬영 대상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신호선(10)을 통해 상기 카메라부(300)와 상호 통신하고 상기 카메라부(300)로부터 상기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에 구성되는 출력부(미도시)를 통해 이미지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 may communicate with the camera unit 300 through the signal line 10 and may communicate with the camera unit 300 through the signal line 10. [ And output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information through an output unit (not shown) included in the user apparatus.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안테나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절환부(130)를 통해 상기 안테나부(200)와 상기 안테나 송수신부(140)를 상호 연결하여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안테나부(200)의 안정적인 신호 송수신을 위하여 상기 신호선(10)을 통해 상기 카메라부(300)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오프신호를 상기 카메라부(300)로 제공하여 상기 카메라부(300)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3 (b), when the control unit 110 operates in the antenna mode, the antenna unit 200 and the antenn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4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witching unit 130 An OFF signal for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camera unit 300 is provided to the camera unit 300 through the signal line 10 for stable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antenna unit 200 The power of the camera unit 300 can be turned off.

이를 통해, 상기 제어부(110)는 안테나부(200)를 통한 신호 송수신 과정에서 상기 신호선(10)을 통해 흐르는 신호와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110 can prevent interference with a signal flowing through the signal line 10 during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rough the antenna unit 200, so that stable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can be performed.

한편, 사용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드와 안테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동작할 수 있다.Meanwhile, the user device 100 may include a user interface unit (not shown) for receiving user input, and the controller 110 may control the camera mode and the antenna mode according to a user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One can select and operate.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셔터구동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원하는 타이밍에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10 may selectively provide the shutter driving signal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so that the photographing can be performed at a desired timing.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부(300)와 안테나부(200)의 결합 구조에 대한 예시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우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테나부(200)의 일단부(210)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안테나부(200)의 타단부(220)에 연결된 지지부(211) 및 상기 지지부(211)와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212)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212)는 상부에 수나사부(240)가 구비될 수 있다.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upling structure of the camera unit 300 and the antenna unit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a), the antenna unit 200 One end portion 210 of the antenna unit 200 includes a support portion 211 connected to the other end 220 of the antenna unit 200 shown in FIG. 1 and a hinge portion 212 hinged to the support portion 211, The hinge portion 212 may be provided with a male screw portion 240 at an upper portion thereof.

또한, 상기 카메라부(300)는 독립적인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나사부(24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암나사부(301)가 구비되어 상기 수나사부(240)와 암나사부(301)의 결합에 의해 상기 힌지부(212)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카메라부(300)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amera unit 300 may be an independent module and is provided with a female threaded portion 301 to which the male threaded portion 240 is inserted so that the male threaded portion 240 and the female threaded portion 301 And may be fastened to the hinge portion 212 by engagement. So that the camera unit 300 can be replaced.

이때, 상기 힌지부(212) 및 수나사부(240)는 내부에 상기 신호선(10)이 구비되며, 상기 수나사부(240)의 상부에 신호선(10)과 연결되는 제 1 접점부(11)가 노출되며, 상기 카메라부(300)의 암나사부(301)는 일면에 상기 제 1 접점부(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접점부(미도시)가 노출되어 상기 신호선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가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부를 통해 상기 카메라부(300)로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hinge part 212 and the male screw part 240 are provided with the signal line 10 and the first contact part 11 connected to the signal line 10 is formed on the male screw part 240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not show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11 is exposed on a surface of the female threaded portion 301 of the camera portion 300 so that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ignal line is exposed And may be provided to the camera unit 300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units.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테나부(200)의 일단부(210)는 상기 안테나부(2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카메라부(300)를 회전시켜 원하는 수평각도에 맞추어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한다.4 (b), the one end 210 of the antenna unit 200 may be rotated about the center axis of the antenna unit 200, and the camera unit 300 may be rotated Rotate to match the desired horizontal angle.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안테나부(200)는 다단 로드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일단부(210)는 상기 다단 로드안테나의 종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antenna unit 200 may be a multi-stage rod antenna, and the one end 210 may be configured as an end of the multi-stage rod antenna.

이에 따라, 다단 로드안테나의 종단이 인접한 타단에 의해 지지되어 일측이 상기 타단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전체 종단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end of the multi-stage rod antenna is supported by the other end adjacent thereto, and one end of the multi-end rod antenna is rotatable within the other end, whereby the entire end can be rotated.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안테나부(200)의 힌지부(212)는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힌지부(212)의 회동에 따라 상기 힌지부(212)에 체결된 카메라부(30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로 회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hinge unit 212 of the antenna unit 200 is pivotable so that the camera unit 300 fastened to the hinge unit 212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inge unit 212 And may be configured to pivot back and forth as shown.

상술한 바와 같은, 안테나부(200)에 포함된 일단부(210)의 회전동작과 힌지부(212)의 회동동작을 통해 카메라부(300)를 원하는 수평각 및 수직각으로 맞추어 상기 카메라부(300)의 지향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는 용이하게 카메라부(300)를 원하는 각도에 위치시켜 셀프 촬영을 실시할 수 있다.The camera unit 30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horizontal angle and a vertical angle through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one end 210 included in the antenna unit 200 and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hinge unit 212,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lace the camera unit 300 at a desired angle and perform self photographing.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와 결합되는 안테나를 구비한 사용자 장치에 대한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부(300)는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제어부(110)와 통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사용자 장치(100)에는 상기 카메라부(30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FIG. 5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apparatus having an antenna coupled to a camer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camera unit 300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ler 11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For this purpose, the user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50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amera unit 300.

이때, 통신부(150)는 WIFI, RF, Bluetooth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여 상기 카메라부(300)와 통신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unit 150 can communicate with the camera unit 300 by supporting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WIFI, RF, and Bluetooth.

한편, 상기 제어부(110)는 카메라 모드로 동작시 상기 셔터구동 신호에 대응되어 상기 전원부(120)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상기 안테나부(200)로 인가하여, 상기 안테나부(200)를 통해 상기 카메라부(300)로 상기 셔터구동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안테나부(200)의 일단부(210)에 전계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 selectively applies the power of the power source unit 120 to the antenna unit 200 in response to the shutter drive signal when the camera unit 100 operates in the camera mode, The shutter driving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antenna unit 300 and the second antenna unit 300, so that an electric field may be formed at one end 210 of the antenna unit 200.

또한, 상기 카메라부(300)는 상기 안테나부(200)의 일단부(210)에 포함된 힌지부(212)와 연결되어 상기 힌지부(212)의 전계 형성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셔터구동 신호를 수신하여 셔터를 동작시킬 수 있다.The camera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hinge unit 212 included in the one end 210 of the antenna unit 200 to detect whether the electric field of the hinge unit 212 is formed, So that the shutter can be operated.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절환부(130)를 통해 상기 안테나 수신부(140)와 안테나부(200)의 연결을 차단하여 상기 안테나부(200)를 통한 외부 신호의 송수신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안테나부(200)를 통해 안정적으로 셔터구동 신호가 상기 카메라부(300)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10 may cut off the connection between the antenna receiving unit 140 and the antenna unit 200 through the switching unit 130 to block transmission / reception of external signals through the antenna unit 200, Accordingly, a shutter drive signal can be stably supplied to the camera unit 300 through the antenna unit 200. [

이후, 카메라부(300)는 셔터 동작에 따른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150)의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통신부(150)로 상기 이미지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통신부(150)를 통해 상기 카메라부(300)의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부(미도시)를 통해 상기 이미지 정보에 따른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Then, the camera unit 300 may generate the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hutter operation and transmit the image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unit 15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f the communication unit 150, (Not shown) through the input unit 150, and output an image according to the image information through an output unit (not shown).

한편, 상기 제어부(110)는 안테나 모드로 동작시 상기 절환부(130)를 통해 상기 안테나 송수신부(140)와 안테나부(200)를 연결하여 안테나부(200)를 통한 외부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10 connects the antenna transceiver 140 to the antenna unit 200 through the switching unit 130 so that external signals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unit 200 can do.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안테나부(200) 또는 상기 통신부(150)를 통해 상기 카메라부(300)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오프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300)의 전원이 오프되어 안테나부(200)를 통한 외부신호 송수신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110 may transmit an off signal for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camera unit 300 through the antenna unit 200 or the communication unit 150, The power supply is turned off and external signals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unit 200 stably.

도 6은 사용자 장치(100)의 하우징(160) 내부로 상기 안테나부(200)의 인입시 상기 카메라부(300)의 매립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부(300)는 상기 안테나부(200)가 상기 사용자 장치(100) 내부로 인입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부(300)가 상기 사용자 장치(100)의 하우징(160) 내부에 매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6 is a view showing the embedding structure of the camera unit 300 when the antenna unit 20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60 of the user device 100. As shown in FIG 6A, The camera unit 300 may be embedded in the housing 160 of the user device 100 when the antenna unit 200 is inserted into the user device 100. [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부(300)는 일측에 충전을 위한 충전 커넥터부(310)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부(300)의 매립시 상기 사용자 장치(100)의 하우징(160) 내부 일측에 구성된 충전 단자부(170)와 상기 충전 커넥터부(310)가 상호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장치(100)의 전원부(120)를 통한 전원이 상기 충전 단자부(170)를 통해 상기 충전 커넥터부(310)로 제공됨으로써, 상기 카메라부(300)가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6 (b), the camera unit 300 may include a charging connector unit 310 for charging the camera unit 300. When the camera unit 300 is embedded, the user device 100 The charging terminal unit 170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60 of the user device 100 and the charging connector unit 3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power from the power source unit 120 of the user device 100 is supplied through the charging terminal unit 170 And is provided to the charging connector unit 310 so that the camera unit 300 can be charged.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치(100)에 카메라부(300)가 매립시 안정적으로 충전이 이루어져, 독립적인 모듈로 구성되어 무선으로 동작하는 카메라부(300)를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camera unit 300 is embedded in the user device 100, the camera unit 300 can be stably charged, and the camera unit 300 configured as an independent module can be stably operated.

전술한 내용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hich are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신호선 100: 사용자 장치
110: 제어부 120: 전원부
130: 절환부 140: 안테나 송수신부
150: 통신부 160: 하우징
170: 충전 단자부 200: 안테나부
210: 일단부 211: 지지부
212: 힌지부 300: 카메라부
310: 충전 커넥터부
10: signal line 100: user equipment
110: control unit 120:
130: switching section 140: antenna transmitting / receiving section
150: communication unit 160: housing
170: Charging terminal part 200: Antenna part
210: one end portion 211: support portion
212: hinge part 300: camera part
310:

Claims (9)

사용자 장치의 외부로 인출되거나 내부로 인입되며, 내부에 신호선이 구비된 안테나부;
상기 안테나부의 일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신호선과 연결되는 카메라부;
상기 안테나부의 신호 송수신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절환부; 및
상기 안테나부의 내부에 구비된 신호선을 통해 상기 카메라부와 연결되며, 카메라 모드로 동작시 상기 절환부를 통해 상기 안테나부의 신호 송수신을 차단하고 상기 신호선을 통해 상기 카메라부의 셔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셔터구동 신호를 상기 카메라부로 제공하며, 안테나 모드로 동작시 상기 신호선을 통해 상기 카메라부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오프 신호를 상기 카메라부로 제공하며 상기 절환부를 통해 상기 안테나부의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부의 일단부는 상기 안테나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카메라부와 체결되어 상기 카메라부의 지향각을 조절하는 힌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사용자 장치 내부로 상기 안테나부의 인입시 상기 사용자 장치에 구비된 단자부와 연결되어 충전전원을 상기 카메라부로 제공하는 커넥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와 결합되는 안테나를 구비한 사용자 장치.
An antenna unit which is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user equipment or is drawn into the inside and has a signal line therein;
A camera unit coupled to one end of the antenna unit and connected to the signal line;
An switching unit selectively blocking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of the antenna unit; And
And a shutter driving signal for operating the shutter of the camera unit through the signal line is interrupted by the switching unit when the camera unit is operated in the camera mode through the signal line provided in the antenna unit, And a controller for providing an off signal for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camera unit through the signal line to the camera unit when the antenna unit is operated in the antenna mode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hrough the antenna unit through the switch unit,
One end of the antenna unit is rotatable about a center axis of the antenna unit. The hinge unit is coupled to the camera unit to adjust a directivity angle of the camera unit.
Wherein the camera unit comprises a connector unit connected to a terminal unit provided in the user device when the antenna unit is inserted into the user device and providing a charging power source to the camera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외부로 인출 또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내부로 인입되는 다단 로드 안테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와 결합되는 안테나를 구비한 사용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ntenna unit comprises a multi-stage rod antenna which is drawn out from the user apparatus or drawn into the user apparatus.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상기 셔터구동 신호에 따라 셔터를 동작하여 생성된 이미지 정보를 상기 신호선을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와 결합되는 안테나를 구비한 사용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receives image information generated by operating a shutter according to the shutter driving signal from the camera unit through the signal line.
사용자 장치의 외부로 인출되거나 내부로 인입되는 안테나부;
상기 안테나부의 일단부에 체결되는 카메라부;
상기 안테나부의 외부신호 송수신을 위한 상기 안테나부와 안테나 송수신단과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절환부; 및
카메라 모드로 동작시 상기 절환부를 통해 상기 안테나부의 외부신호 송수신을 차단하고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카메라부의 셔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셔터구동 신호를 상기 카메라부로 제공하며, 안테나 모드로 동작시 상기 절환부를 통해 상기 안테나부의 외부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부의 일단부는 상기 안테나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카메라부와 체결되어 상기 카메라부의 지향각을 조절하는 힌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사용자 장치 내부로 상기 안테나부의 인입시 상기 사용자 장치에 구비된 단자부와 연결되어 충전전원을 상기 카메라부로 제공하는 커넥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와 결합되는 안테나를 구비한 사용자 장치.
An antenna unit which is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user equipment or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user equipment;
A camera unit coupled to one end of the antenna unit;
A switching unit selectively block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antenna unit and the antenn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n external signal of the antenna unit; And
And a shutter driving signal for operating the shutter of the camera unit through the antenna unit is provided to the camera unit through the switch unit when the camera unit is operated in the camera mode,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 negative external signal,
One end of the antenna unit is rotatable about a center axis of the antenna unit. The hinge unit is coupled to the camera unit to adjust a directivity angle of the camera unit.
Wherein the camera unit comprises a connector unit connected to a terminal unit provided in the user device when the antenna unit is inserted into the user device and providing a charging power source to the camera unit.
삭제delet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부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상기 셔터구동 신호에 따라 셔터를 동작하여 생성된 이미지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무선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와 결합되는 안테나를 구비한 사용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nd 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less signal to and from the camera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image information generated by operating the shutter in response to the shutter driving signal from the camera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irelessly.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테나 모드로 동작시 상기 통신부 또는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상기 카메라부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오프신호를 상기 카메라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와 결합되는 안테나를 구비한 사용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an off signal for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camera unit to the camera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r the antenna unit when the camera unit operates in the antenna mode.
KR20140006926U 2014-09-23 2014-09-23 User apparatus with antenna connected with camera Expired - Fee Related KR20047676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6926U KR200476768Y1 (en) 2014-09-23 2014-09-23 User apparatus with antenna connected with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6926U KR200476768Y1 (en) 2014-09-23 2014-09-23 User apparatus with antenna connected with camer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768Y1 true KR200476768Y1 (en) 2015-04-07

Family

ID=53032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6926U Expired - Fee Related KR200476768Y1 (en) 2014-09-23 2014-09-23 User apparatus with antenna connected with camer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768Y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6037A (en) * 2001-10-03 2003-04-18 Fuji Photo Film Co Ltd Portable terminal with digital camera
KR100488868B1 (en) * 2002-08-30 2005-05-10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Antenna with built-in camera
JP2014103684A (en) * 2000-09-19 2014-06-05 Masanobu Kujirada Portable radio terminal with imaging se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3684A (en) * 2000-09-19 2014-06-05 Masanobu Kujirada Portable radio terminal with imaging section
JP2003116037A (en) * 2001-10-03 2003-04-18 Fuji Photo Film Co Ltd Portable terminal with digital camera
KR100488868B1 (en) * 2002-08-30 2005-05-10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Antenna with built-in camer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81610A1 (en) Handheld device, photograph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CN208128327U (en) Mobile terminal
US201402530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ly charging mobile devices
CN207968575U (en) Mobile terminal
US2010006718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120069206A1 (en) Camera image correction system and image correction method employing the same
CN208128325U (en) Mobile terminal
CN104333626B (en) Mobile terminal device
KR200476796Y1 (en) Portable terminal equipment case with camera for self-photographing
JP650373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10006016A (en) Image forming apparatus, its controlling method, image supplying device and its controlling method
US9402220B2 (en) Electronic apparatus
KR200476768Y1 (en) User apparatus with antenna connected with camera
WO2017139169A1 (en) Automatic follow focus system
KR20160035421A (en) User apparatus with antenna connected with camera
CA2882423C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charging a tablet device
KR101614617B1 (en) A mount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KR20160137325A (en) Mobile terminal case comprising selfie stick
KR101650413B1 (en) Closed circuit television camera system interlocked with smartphone
KR101884753B1 (en) Application for managing charging circuit and system using the same
JP681938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lient terminal and program
JP2019046154A (en) User interface device
CN110445904A (en) Mobile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JP2011120113A (en) Imaging system
JP2005276357A (en) Handheld video / audio shooting / recording device that can be used in combination or sepa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4092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6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3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412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1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32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5032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90105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