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506Y1 - Interdental cleaning tool - Google Patents
Interdental cleaning too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6506Y1 KR200476506Y1 KR2020130007339U KR20130007339U KR200476506Y1 KR 200476506 Y1 KR200476506 Y1 KR 200476506Y1 KR 2020130007339 U KR2020130007339 U KR 2020130007339U KR 20130007339 U KR20130007339 U KR 20130007339U KR 200476506 Y1 KR200476506 Y1 KR 20047650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bbin
- shaft
- dental floss
- pressing member
-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3
- 241000628997 Flo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40034610 toothpaste Drugs 0.000 claims 2
- 239000000606 toothpaste Substances 0.000 claims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3—Containers, dispensers, or the like, e.g. with cutt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간 청소구에 관한 것으로서, 누름부재가 보빈에 별도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누름부재를 손가락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치실을 인출할 때 상기 누름부재가 상기 보빈과 함께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고 치실이 원활히 인출될 뿐만 아니라 상기 보빈으로부터 상기 누름부재를 분리시킨 후 상기 누름부재가 분리된 상기 보빈을 종래의 치실 권취장치에 장착하여 치실을 권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pressing member is separately rotatable on the bobbin, the pressing member is not rotated together with the bobbin when the tooth is pulled out while the pressing member is pressed by the finger. Therefore, The bobbin having the pressing member separated from the bobbin can be attached to the conventional dental flossing device and the dental floss can be wound thereon.
Description
본 고안은 누름부재가 보빈에 별도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누름부재를 손가락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치실을 인출할 때 상기 누름부재가 상기 보빈과 함께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고 치실이 원활히 인출될 뿐만 아니라 상기 보빈으로부터 상기 누름부재를 분리시킨 후 상기 누름부재가 분리된 상기 보빈을 종래의 치실 권취장치에 장착하여 치실을 권취할 수 있는 치간 청소구에 관한 것이다.Since the pressing member is separately rotatable on the bobbin, the pressing member is not rotated together with the bobbin when the dental floss is pulled out while the pressing member is pressed with the fingers, so that the dental floss is convenient to use and the dental floss is smoothly draw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dental cleaning tool capable of winding a dental floss by attaching the bobbin separated from the pressing member to a conventional dental flossing device after separating the pressing member from the bobbin.
일반적으로, 치간 청소구란 치실을 사용하여 치간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써, 대게 치실케이스와, 상기 치실케이스에 권취되는 치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In general, an interdental cleaning device is used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dhered to a tooth by using a floss, usually comprising a floss case and a floss wound around the floss case.
이와 같이 종래의 치간 청소구를 사용하여 치간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치실을 상기 치실케이스로부터 푼 다음 일정길이 확보한 후 한손에 치실을 잡고 다른 한손에 치실케이스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치실을 입안으로 넣어 치간청소를 하게 된다. In order to remove the foreign material adhered to the teeth by using the conventional interdental cleaning tool, the dental floss is loosened from the floss case, a certain length is secured, the dental floss is held in one hand, To clean the teeth.
한편, 상기 치실을 강하게 상기 치실 케이스 외측으로 잡아당기게 될 경우 상기 치실이 상기 치실케이스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지 않아 슬립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loss is strongly pulled out of the floss case, the floss is not firmly fixed to the floss case and slip phenomenon occurs.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외부로 일정길이 인출된 상태의 치실이 더 이상 외부로 인출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사용자가 상기 치실을 사용하는 과정 중에 상기 치실에 슬립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없는 치간 청소구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0992629호로 제안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t is possible to firmly fix the position of the dental floss to the outside so that the dental floss is not drawn out to the outside, There has been proposed a dental hygienic cleaning tool which is not likely to occur,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92629.
여기서,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0992629호(치간 청소구)는 누름스위치가 보빈에 일체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누름스위치를 손가락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치실을 인출할 때 상기 누름스위치가 상기 보빈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Since the push switch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bbin, when the tooth is pulled out while the push switch is pressed by the finger, the push button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bobbin.
그러나, 손가락이 상기 누름스위치로 가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누름스위치가 원활히 회전될 수 없어 치실이 원활히 인출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ush switch can not be smoothly rotated due to the pressing force applied by the finger to the push switch, and the floss can not be smoothly drawn out.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누름부재가 보빈에 별도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누름부재를 손가락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치실을 인출할 때 상기 누름부재가 상기 보빈과 함께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고 치실이 원활히 인출될 뿐만 아니라 상기 보빈으로부터 상기 누름부재를 분리시킨 후 상기 누름부재가 분리된 상기 보빈을 종래의 치실 권취장치에 장착하여 치실을 권취할 수 있는 치간 청소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obbin which is provided with a pressing member separately rotatable on a bobbin, The dental floss can be easily taken out and the dental floss can be smoothly taken out from the bobbin after the pushing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bobbin and then the bobbin from which the pushing member has been separated can be attached to a conventional dental- The purpose of which is to provi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바닥면에 고정축이 수직형성되는 하부몸통부와, 상기 하부몸통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부판 중간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판의 저면에 상부고정부가 형성되는 상부몸통부로 구성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고정축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외주연에 치실이 권취되며, 상부면에 상기 상부몸통부의 상부고정부에 고정되는 하부고정부가 형성되는 보빈과; 상기 몸통부의 하부몸통부로부터 상기 보빈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서 상하이동하는 상기 보빈의 회전을 단속하고, 상기 몸통부의 관통공을 통해 상부가 상기 몸통부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보빈에 별도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누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청소구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ower body including a lower body having a fixing shaft vertically formed on a floor, a through hol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A body portion formed of an upper body portion to be formed; A bobbin provided inside the body in a state where the fixing shaft of the body is accommodated therein, a bobbin having an outer circumference wound around the bobbin, and a lower fixing part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bbin to be fixed to an upper fixing part of the upper body; An elastic membe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obbin from a lower body of the body; The bobbin moves up and down in the body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the upper portion of the bobbi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bod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oth cleaning tool comprising:
여기서, 상기 상부몸통부의 상부고정부는 상기 상부몸통부의 상부판의 저면에서 상기 상부판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되고, 내주면에 끼움홈이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고정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빈의 하부고정부는 상기 보빈의 상부면에서 상기 보빈의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홈내에 삽입고정되고 외측면에 상기 고정홈의 끼움홈내에 끼움고정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upper fixing part of the upper body part is recess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part of the upper body part, and has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formed 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lower fixing part of the bobbin may include a projec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bbin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bobbin and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and having a fitting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bobbin to be fitted and fixed in the fitting groove of the fixing groove Do.
또는, 상기 보빈의 하부고정부는 상기 보빈의 상부면에서 상기 보빈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되고, 내주면에 끼움홈이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고정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몸통부의 상부고정부는 상기 상부몸통부의 상부판의 저면에서 상기 상부판의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홈내에 삽입고정되고, 외측면에 상기 고정홈의 끼움홈내에 끼움고정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ernatively, the lower fixing portion of the bobbin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bbi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bbin, and may have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of the upper body part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to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fixing groove and having a fitting protrusion formed on an outer side thereof to be fitted and fixed in the fitting groove of the fixing groove desirable.
그리고, 상기 누름부재는 상기 보빈의 상부에 구비되는 누름스위치와; 상기 누름스위치의 하부에 상기 누름스위치의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빈의 축공에 삽입되는 삽입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essing member includes a push switch provided on the bobbin; And an insertion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push switch at a lower portion of the push switch and inserted into the bore of the bobbin.
또는, 상기 누름부재는 상기 보빈의 상부에 구비되는 누름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ernatively, the pressing member may be a push switch provided on the bobbin.
여기서, 상기 누름스위치 상부가 잘린 원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part of the push switch is formed as a truncated cone shape.
그리고, 상기 누름스위치의 하부에 환형턱이 구비되고, 상기 환형턱의 외경크기는 상기 상부몸통부의 관통공의 내경크기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an annular step is provided under the push switch,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annular jaw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of the upper body.
나아가, 상기 치실이 외주연에 권취되는 상기 보빈의 보빈축의 상측과 상기 보빈축의 하측은 각각 상기 치실의 상부방향으로 상기 치실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치실의 외부방향으로 노출되고, 상기 치실의 상부 일측과 상기 치실의 상부 타측에는 상기 치실의 내측에서 상기 치실의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는 상부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치실의 하부 일측과 상기 치실의 하부 타측에는 상기 치실의 내측에서 상기 치실의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는 하부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the upper side of the bobbin bobbin and the lower side of the bobbin, which are woun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dental floss, are extended to the upper side of the dental floss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dental floss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ental floss And an upper inclined surface inclining downward from an inner side of the dental floss toward an outer side of the dental floss is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dental floss and an upper side of the dental floss on the lower side of the dental floss, It is preferable that a lower inclined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floss.
아울러, 상기 보빈은 상기 치실이 외주연에 권취되고, 내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키홈이 형성되는 보빈축과; 상기 보빈축의 내부에 수용되고, 외주연에 상기 보빈축의 키홈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키홈에 삽입되는 돌출키가 형성되는 상부축과; 상기 상부축의 상부에 형성되고, 중간에 상기 상부축의 내부와 연통되는 축공이 형성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축의 내부 하측에 수용되고, 내부에 상기 하부몸통부의 고정축이 수용되는 하부축과; 상기 하부축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obbin is woun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dental floss and has a key groov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exten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 upper shaft accommodated in the bobbin shaft and having a protruding key protruding in a key groove direction of the bobbin shaft at an outer circumference to form a protruding key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An upper plate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shaft and having a shaft hole communicating with an inside of the upper shaft; A lower shaft accommodated in an inner lower side of the upper shaft and accommodating therein a fixed shaft of the lower body; And a lower plate formed below the lower shaft.
또는, 상기 보빈은 상기 치실이 외주연에 권취되고, 내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키홈이 형성되는 보빈축과; 상기 보빈축의 내부에 수용되고, 외주연에 상기 보빈축의 키홈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키홈에 삽입되는 돌출키가 형성되는 상부축과; 상기 상부축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판과; 상기 보빈축의 하부가 상부면 중간에 안착되는 하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판의 중간과 상기 하부판의 중간에 각각 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판의 축공은 상기 상부축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하부몸통부의 고정축은 상기 하부판의 축공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축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ernatively, the bobbin may have a bobbin shaft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dental floss and having a keyway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 upper shaft accommodated in the bobbin shaft and having a protruding key protruding in a key groove direction of the bobbin shaft at an outer circumference to form a protruding key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An upper plate formed on the upper shaft; And a lower plate o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bobbin shaft is seated in the middle of the upper surface, wherein a shaft hole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upper plate and in the middle of the lower plate, the shaft hole of the upper plate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upper shaft And the fixed shaft of the lower body part is received in the upper shaft through the shaft hole of the lower plate.
또는, 상기 보빈은 상기 치실이 외주연에 권취되고, 내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키홈이 형성되는 보빈축과; 상기 보빈축의 내부에 수용되고, 외주연에 상기 보빈축의 키홈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키홈에 삽입되는 돌출키가 형성되는 상부축과; 상기 상부축의 상부에 형성되고, 중간에 상기 상부축의 내부와 연통되는 축공이 형성되는 상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ernatively, the bobbin may have a bobbin shaft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dental floss and having a keyway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 upper shaft accommodated in the bobbin shaft and having a protruding key protruding in a key groove direction of the bobbin shaft at an outer circumference to form a protruding key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And an upper plate formed on the upper shaft and having a shaf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upper shaft at an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여기서, 상기 보빈축의 하측에 상기 보빈축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환형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an annular step protruding outward from the bobbin shaft is formed below the bobbin shaft.
또는, 상기 보빈은 상기 치실이 외주연에 권취되며, 내부에 상기 하부몸통부의 고정축이 수용되는 보빈축과; 상기 보빈축의 상부에 형성되고, 중간에 상기 보빈축의 내부와 연통되는 축공이 형성되는 상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ernatively, the bobbin may be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dental floss, and may include a bobbin shaft in which a fixing shaft of the lower body is received; And an upper plate formed on the bobbin shaft and having a shaf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bobbin shaft at an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더불어,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부판의 저면에서 상기 하부몸통부의 바닥면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하부판의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탄성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s may be formed of elastic piece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so as to exten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보빈축의 하측에서 상기 하부몸통부의 바닥면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보빈축의 하측에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탄성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member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elastic pieces extend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bobbin shaft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body 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low the bobbin shaft.
본 고안은 누름부재가 보빈에 별도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누름부재를 손가락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치실을 인출할 때 상기 누름부재가 상기 보빈과 함께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고 치실이 원활히 인출될 뿐만 아니라 상기 보빈으로부터 상기 누름부재를 분리시킨 후 상기 누름부재가 분리된 상기 보빈을 종래의 치실 권취장치에 장착하여 치실을 권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pressing member is separately rotatable on the bobbin, the pressing member is not rotated together with the bobbin when the dental floss is pulled out while the pressing member is pressed with the fingers, so that the dental floss is convenient to use and the dental floss is smoothly draw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bobbin from which the pressing member is detached after the pressing member is detached from the bobbin can be attached to a conventional dental flossing device and the dental floss can be woun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치간 청소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고정홈으로 이루어지는 하부고정부와,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상부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누름부재의 제 1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누름부재의 제 2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누름부재의 제 3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누름부재의 상측이 상부몸통부의 상부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몸통부의 외부로 치실이 인출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치간 청소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치간 청소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인 치간 청소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인 치간 청소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인 치간 청소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인 치간 청소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결합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dental cleaning too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ower fixing part made of a fixing groove and an upper fixing part made of a projec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example of the pressing member,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cond example of the pressing member,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hird example of the pressing member,
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side of the pressing member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body portion,
FIGS. 8 and 9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ss of pulling the floss out of the trunk por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enture cleaning too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10,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dental cleaning too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12,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dental cleaning too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14,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dental cleaning too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16,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dental cleaning tool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18,
2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dental cleaning tool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n assembled sectional view of Fig. 20; Fig.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치간 청소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enture cleaning too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치간 청소구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몸통부(10), 보빈(30), 탄성부재(50) 및 누름부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and 2, the interdental cleaning too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몸통부(10)는 바닥면에 고정축(130)이 수직형성되는 하부몸통부(11)와; 상기 하부몸통부(11)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부판(TP) 중간에 관통공(140)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판(TP)의 저면에 상부고정부(121)가 형성되는 상부몸통부(12);로 구성된다.The
상기 보빈(30)은 상기 몸통부(10)의 고정축(130)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몸통부(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외주연에 치실(301)이 권취되며, 상부면에 상기 상부몸통부(12)의 상부고정부(121)에 고정되는 하부고정부(330)가 형성된다.The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몸통부(10)의 하부몸통부(11)로부터 상기 보빈(30)을 탄성지지하게 된다.The
상기 누름부재(70)는 상기 탄성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몸통부(10)의 내부에서 상하이동하는 상기 보빈(30)의 회전을 단속하고, 상기 몸통부(10)의 관통공(140)을 통해 상부가 상기 몸통부(10)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보빈(30)에 별도로 정역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The
일예로, 상기 상부몸통부(12)의 상부고정부(121)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몸통부(12)의 상부판(TP)의 저면에서 상기 상부판(TP)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되는 고정홈(121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2, the
상기 고정홈(121a)의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홈(121a)의 내주면에서 상기 고정홈(121a)의 내측에서 상기 고정홈(121a)의 외측으로 일정깊이로 수평함몰되는 끼움홈(121b)이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그리고, 상기 보빈(30)의 하부고정부(330)는 상기 보빈(30)의 상부면에서 상기 보빈(30)의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홈(121a)내에 삽입고정되는 돌출부(330a)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상기 돌출부(330a)의 외측면에는 상기 고정홈(121a)의 끼움홈(121b)내에 끼움고정되는 끼움돌기(330b)가 상기 끼움홈(121b)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끼움돌기(330b)의 개수와 상기 끼움홈(121b)의 개수는 동일할 수 있다.The number of the
또는, 상기 끼움돌기(330b)의 개수가 상기 끼움홈(121b)의 개수보다 적도록 상기 돌출부(330a)의 외측면에 1개 이상의 상기 끼움돌기(330b)가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Alternatively, one or more of the
도 3은 고정홈(330d)으로 이루어지는 하부고정부(330)와, 돌출부(121d)로 이루어지는 상부고정부(121)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다른예로, 상기 보빈(30)의 하부고정부(33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빈(30)의 상부면에서 상기 보빈(3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되는 고정홈(330d)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3, the
상기 고정홈(330d)의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홈(330d)의 내측에서 상기 고정홈(330d)의 외측으로 일정깊이로 수평함몰되는 끼움홈(330c)이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그리고, 상기 상부몸통부(12)의 상부고정부(121)는 상기 상부몸통부(12)의 상부판(TP)의 저면에서 상기 상부판(TP)의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홈(330d)내에 삽입고정되는 돌출부(121d)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상기 돌출부(121d)의 외측면에는 상기 고정홈(330d)의 끼움홈(330c)내에 끼움고정되는 끼움돌기(121c)가 상기 끼움홈(330c) 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ding
상기 끼움돌기(121c)의 개수와 상기 끼움홈(330c)의 개수는 동일할 수 있다.The number of the
또는, 상기 끼움돌기(121c)의 개수가 상기 끼움홈(330c)의 개수보다 적도록 상기 돌출부(121d)의 외측면에 1개 이상의 상기 끼움돌기(121c)가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Alternatively, a plurality of the
도 4는 누름부재(70)의 제 1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example of the pressing
제 1예로, 상기 누름부재(7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누름스위치(710)와 삽입부(750)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pushing
상기 누름스위치(710)는 상기 보빈(30)의 상부 중간에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상기 보빈(30)의 상부 중간에 분리가능하게 수직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누름스위치(710)의 상부는 상기 상부몸통부(12)의 관통공(14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도 7 참조.)The upper portion of the
상기 누름스위치(710)의 하부에는 상기 보빈(30)의 축공(도 2의 370)에 삽입되는 삽입부(750)가 상기 누름스위치(710)의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An
상기 치실(301)의 인출에 따라 상기 보빈(30)이 정역회전할 때 상기 보빈(30)에 떨림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삽입부(750)의 외경은 상기 보빈(30)의 축공(370)의 내경보다 미소만큼 작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The outer diameter of the inserting
상기 삽입부(750)의 상하길이는 상기 보빈(30)의 상하폭과 동일 또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vertical length of the
상기 삽입부(750)의 내부에는 상기 하부몸통부(11)의 고정축(130)이 삽입될 수 있다.(도 8 및 도 9 참조.)
The fixing
도 5는 누름부재(70)의 제 2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cond example of the pressing
제 2예로, 상기 누름부재(7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누름스위치(710)만 이루어질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pushing
도 6은 누름부재(70)의 제 3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누름부재(70)의 상측이 상부몸통부(12)의 상부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hird example of the pressing
제 3예로, 상기 누름스위치(710)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가 수평으로 잘린 원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6 and 7, the
제 3예의 상기 누름스위치(710)가 상기 상부몸통부(12)의 관통공(140)으로 빠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3예의 상기 누름스위치(710)의 외경크기는 제 3예의 상기 누름스위치(710)의 하부에서 제 3예의 상기 누름스위치(710)의 상부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6 and 7, in order to prevent the
제 3예의 상기 누름스위치(710)의 상부의 외경크기는 상기 상부몸통부(12)의 관통공(140)의 내경크기보다 작고, 제 3예의 상기 누름스위치(710)의 하부의 외경크기는 상기 상부몸통부(12)의 관통공(14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portion of the
제 1, 2, 3예의 상기 누름스위치(710)가 상기 상부몸통부(12)의 관통공(140)으로부터 빠져 분리되는 것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방지하기 위해 상기 누름스위치(710)의 하부에 환형턱(740)이 일체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more easily prevent the push switches 710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through
상기 환형턱(740)의 외경크기는 상기 상부몸통부(12)의 관통공(140)의 내경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diameter of the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고정부(121)가 고정홈(121a)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고정부(330)가 돌출부(330a)로 이루어질 경우,2, when the upper fixing
상기 보빈(30)의 축공(370) 주변에는 상기 누름스위치(710)의 환형턱(740)이 수용되는 수용홈(390)이 상기 환형턱(740)의 외경크기와 대응되는 내경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A receiving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고정부(330)가 고정홈(330d)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고정부(121)가 돌출부(121d)로 이루어질 경우,3, when the
상기 돌출부(121d)의 내측에는 상기 상부몸통부(12)의 관통공(140)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누름스위치(710)의 환형턱(740)이 수용되는 상기 수용홈(390)이 상기 환형턱(740)의 외경크기와 대응되는 내경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The receiving
상기 보빈(30)은 제 1예로,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보빈축(310), 상부판(360) 및 하부판(3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보빈축(310)의 외주연에는 상기 치실(310)이 권취될 수 있다.The
상기 상부판(360)과 상기 하부판(350)은 각각 상기 보빈축(310)의 상부와 상기 보빈축(310)의 하부에 수평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상부판(360)의 중간과 상기 하부판(350)의 중간에는 상기 보빈축(310)의 내부와 연통되는 축공(370)이 형성될 수 있다.A
상기 탄성부재(50)로서, 내측에 상기 상부몸통부(12)의 고정축(130)이 수용되는 스프링 등을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50)는 제 1예로, 안착판(510)과 경사판(530)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상기 안착판(510)의 중심부에는 관통공(51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관통공(511)내에는 상기 고정축(130)이 수용될 수 있다.A through
상기 경사판(530)은 상기 안착판(510)의 외측면 가장자리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빈(30)의 하부판(350)을 탄성지지할 수 있다.The
상기 경사판(530)의 하측에서 상기 경사판(530)의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경사판(530)은 상기 안착판(510)의 상부 외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질 수 있다.
The
도 8 및 도 9는 몸통부(10)의 외부로 치실(301)이 인출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8 and 9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process of pulling the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누름부재(70)를 하부방향으로 가압할 시 상기 상부고정부(121)에서 상기 하부고정부(330)가 하강하면서 이탈되고, 이로 인해 상기 보빈(30)의 정역회전이 가능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8 and 9, 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ing
상기 누름부재(70)를 하부방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치실(301)을 사용자가 상기 몸통부(10)의 외부로 당길 시 상기 보빈(30)은 정역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치실(301)이 상기 몸통부(10)와 연통되도록 상기 몸통부(10)의 일측에 구비되는 팁부(90)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팁부(90)의 일측에 형성된 인출공(910)을 통해 상기 팁부(90)의 일측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The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누름부재(70)에 가한 외력을 제거할 시 상기 탄성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보빈(30)은 상승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고정부(330)가 상기 상부고정부(121)로 상승하여 상기 상부고정부(121)에 고정되고, 이로 인해 상기 보빈(30)의 정역회전이 불가능하게 된다.The
상기 보빈(30)의 정역회전이 불가능해짐에 따라 상기 치실(301)이 상기 몸통부(1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없게 된다.The
상기 치실(301)의 인입출과정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0992629호를 통해 널리 공지된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process of inserting / ejecting the
특히, 상기 누름부재(70)가 상기 보빈(30)에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상기 보빈(30)에 별도로 정역회전가능하게 상기 보빈(30)의 상부 중간에 분리가능하게 수직구비됨에 따라,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게 된다.Particularly, since the pressing
1) 상기 누름부재(70)를 손가락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치실(301)을 인출할 때 상기 누름부재(70)가 상기 보빈(30)과 함께 정역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고 상기 치실(301)이 원활히 인출될 수 있다.1) Since the pressing
2) 상기 보빈(30)으로부터 상기 누름부재(70)를 분리시킨 후 상기 누름부재(70)가 분리된 상기 보빈(30)을 종래의 치실 권취장치에 장착하여 상기 치실(301)을 권취할 수 있다.
2)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치간 청소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치간 청소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결합단면도이다.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enture cleaning mouth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n engaging sectional view of FIG. 10, and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dental cleaning mouth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n assembled sectional view of Fig.
본 발명의 제 2, 3실시예인 치간 청소구의 상기 보빈(30)은 제 2, 3예로, 도 10 내지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보빈축(310), 상부축(320), 상기 상부판(360), 하부축(340) 및 하부판(3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0 to 13, the
상기 보빈축(310)의 내주연 전측과 상기 보빈축(310)의 내주연 후측에는 상기 보빈축(3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되는 키홈(311)이 각각 상기 보빈축(310)의 내주연에서 상기 보빈축(310)의 외주연 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A
상기 상부축(320)은 상기 보빈축(3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The
상기 상부축(320)의 외주연 전측과 상기 상부축(320)의 외주연 후측에는 상기 보빈축(310)의 키홈(311)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키홈(311)에 삽입되는 돌출키(321)가 각각 상기 상부축(32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상부판(360)은 상기 상부축(320)의 상부에 수평형성될 수 있고, 상기 상부판(360)의 중간에는 상기 상부축(320)의 내부와 연통되는 상기 축공(370)이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하부축(340)은 상기 상부축(320)의 내부 하측에 수용될 수 있다.The
상기 하부축(340)의 내부에는 상기 하부몸통부(11)의 고정축(130)이 수용될 수 있다.The fixed
상기 하부판(350)은 상기 하부축(340)의 하부에 수평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부판(350)의 중간에는 상기 하부몸통부(11)의 고정축(130)이 수직관통할 수 있는 상기 축공(370)이 형성될 수 있다.
The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인 치간 청소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결합단면도이다.
FIG.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enture cleaning too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인 치간 청소구의 상기 보빈(30)은 제 4예로, 도 14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보빈축(310), 상기 상부축(320), 상기 상부판(360) 및 상기 하부판(3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4 and 15, the
상기 하부판(350)의 상부면 중간에는 상기 보빈축(310)의 하부가 안착될 수 있다.A lower portion of the
상기 하부몸통부(11)의 고정축(130)은 상기 하부판(350)의 축공(370)을 수직관통하여 상기 상부축(32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The fixing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인 치간 청소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결합단면도이다.
FIG.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dental cleaning too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is an assembled sectional view of FIG. 16. FIG.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인 치간 청소구의 상기 보빈(30)은 제 5예로, 도 16 및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보빈축(310), 상기 상부축(320) 및 상기 상부판(3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16 and 17, the
도 18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인 치간 청소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결합단면도이다.
FIG.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enture cleaning tool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9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인 치간 청소구의 상기 보빈(30)은 제 6예로, 도 18 및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보빈축(310), 상기 상부축(320) 및 상기 상부판(36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보빈축(310)의 하측 외주연에 상기 보빈축(31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환형턱(380)이 형성될 수 있다.18 and 19, the
상기 환형턱(380)을 통해 상기 보빈축(310)의 하측을 보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보빈축(310)의 외주연으로부터 상기 치실(301)이 인출되는 과정 중에 상기 치실(301)이 상기 보빈축(310)의 하측 외주연을 벗어나 상기 탄성부재(50)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lower side of the
도 20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인 치간 청소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결합단면도이다.
FIG. 2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dental cleaning tool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1 is an assembled sectional view of FIG.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인 치간 청소구의 상기 보빈(30)은 제 6예로, 도 20 및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보빈축(310)과 상기 상부판(36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부판(360)의 중간에는 상기 보빈축(310)의 내부와 연통되는 상기 축공(370)이 형성될 수 있다.20 and 21, the
한편, 상기 보빈(30)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몸통부(10)의 외부로 인출되는 상기 치실(301)이 상기 보빈(30)의 상부판(360)과 하부판(350) 방향으로 각각 이동하면서 상기 상부판(360)을 상기 상부판(360)의 상부방향으로 가압 및 상기 하부판(350)을 상기 하부판(350)의 하부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상부판(360)과 상기 하부판(350)을 휘어지게 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함과 더불어 상기 치실(301)이 상기 몸통부(10)의 외부로 인출되는 과정 중에 상기 치실(301)이 상기 보빈축(310)과 상기 상부판(360) 사이의 틈새 및 상기 보빈축(310)과 상기 하부판(350) 사이의 틈새 등으로 빠져 상기 치실(301)의 원활한 인출이 이뤄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The
도 4, 도 5, 도 6, 도 8, 도 9, 도 11, 도 13, 도 15, 도 17, 도 19 및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치실(301)이 외주연에 권취되는 상기 보빈(30)의 보빈축(310)의 상측과 상기 보빈축(310)의 하측은 각각 상기 치실(301)의 상부방향으로 상기 치실(301)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치실(301)의 외부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5, 6, 8, 9, 11, 13, 15, 17, 19 and 21, the
이로서, 상기 치실(301)이 상기 상부판(360) 및 상기 하부판(350)과 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is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the
그리고, 상기 치실(301)의 상부 일측과 상기 치실(301)의 상부 타측에는 상기 치실(301)의 내측에서 상기 치실(301)의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는 상부경사면(301a)이 형성될 수 있다.An upper
또한, 상기 치실(301)의 하부 일측과 상기 치실(301)의 하부 타측에는 상기 치실(301)의 내측에서 상기 치실(301)의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는 하부경사면(301b)이 형성될 수 있다.A lower
상기 탄성부재(50)는 제 2예로서, 도 12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판(350)의 저면 가장자리에서 상기 하부몸통부(11)의 바닥면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하부판(350)의 저면 가장자리에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탄성편(5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S. 12 and 14, the
상기 탄성부재(50)는 제 3예로서, 도 16, 18, 20에서 상기 보빈축(310)의 하측에서 상기 하부몸통부(11)의 바닥면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보빈축(310)의 하측에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상기 탄성편(5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16, 18, and 20, the
상기 탄성편(520)의 상측에서 상기 탄성편(520)의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탄성편(520)의 하측은 상기 탄성편(520)의 하측 외부방향으로 만곡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side of the
상기 탄성편(520)과 상기 보빈(30)은 동일하게 탄성력을 지닌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중사출성형 등에 의해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기 누름부재(70)가 상기 보빈(30)에 별도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누름부재(70)를 손가락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치실(301)을 인출할 때 상기 누름부재(70)가 상기 보빈(30)과 함께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고 상기 치실(301)이 원활히 인출될 뿐만 아니라 상기 보빈(30)으로부터 상기 누름부재(70)를 분리시킨 후 상기 누름부재(70)가 분리된 상기 보빈(30)을 종래의 치실 권취장치에 장착하여 치실을 권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essing
10; 몸통부, 30; 보빈,
50; 탄성부재, 70; 누름부재.10; Body portion, 30; Bobbin,
50; Elastic member, 70; Pressing member.
Claims (15)
상기 몸통부(10)의 고정축(130)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몸통부(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외주연에 치실(301)이 권취되며, 상부면에 상기 상부몸통부(12)의 고정홈(121a)에 끼움고정되는 돌출부(330a)가 형성되고, 중간에 형성된 축공(370) 주변에 수용홈(390)이 형성되는 보빈(30)과;
상기 몸통부(10)의 하부몸통부(11)로부터 상기 보빈(30)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50)와;
상기 탄성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몸통부(10)의 내부에서 상하이동하는 상기 보빈(30)의 회전을 단속하고, 상기 몸통부(10)의 관통공(140)을 통해 상부가 상기 몸통부(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보빈(30)의 상부에 구비되며, 하부에 외경크기가 상기 상부몸통부(12)의 관통공(140)의 내경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보빈(30)의 수용홈(390)에 수용되는 환형턱(740)이 구비되는 누름스위치(710)로 구성되는 누름부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누름부재(70)가 외력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가압된 경우 상기 누름부재(70)가 상기 보빈(30)과 함께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누름부재(70)는 상기 보빈(30)에 별도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청소구.
A lower body 11 having a fixing shaft 130 vertically formed on a bottom surface thereof and a through hole 140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11 and in the middle of the upper plate TP, (10) having an upper body part (12) in which a fixing groove (121a)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art (TP);
The body 301 is provided inside the body 10 in a state where the fixing shaft 130 of the body 10 is received therein and is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dy 301. The upper body 301 A bobbin 30 having a protrusion 330a to be fitted and fixed in the fixing groove 121a of the bobbin 12 and a receiving groove 390 formed around the bobbin 370 formed in the middle;
An elastic member 50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obbin 30 from the lower body 11 of the body 10;
The rotation of the bobbin 30 moving upward and downward in the body 10 is interrup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obbin 30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The outer diameter of the bobbin 30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40 of the upper body 12, And a push switch (710) having an annular step (740)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390) of the pressing member (710)
When the pressing member 70 is pressed downward by an external force, the pressing member 70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bobbin 30 so that the pressing member 70 is not rotated together with the bobbin 30 And an interdental cleaning tool (10).
상기 몸통부(10)의 고정축(130)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몸통부(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외주연에 치실(301)이 권취되며, 상부면에 상기 상부몸통부(12)의 고정홈(121a)에 끼움고정되는 돌출부(330a)가 형성되고, 중간에 형성된 축공(370) 주변에 수용홈(390)이 형성되는 보빈(30)과;
상기 몸통부(10)의 하부몸통부(11)로부터 상기 보빈(30)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50)와;
상기 탄성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몸통부(10)의 내부에서 상하이동하는 상기 보빈(30)의 회전을 단속하고, 상기 몸통부(10)의 관통공(140)을 통해 상부가 상기 몸통부(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보빈(30)의 수용홈(390)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보빈(3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부외경크기가 상기 상부몸통부(12)의 관통공(140)의 내경크기보다 작고, 하부외경크기가 상기 상부몸통부(12)의 관통공(140)의 내경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외경크기가 점차 작아지는 누름스위치(710)로 구성되는 누름부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누름부재(70)가 외력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가압된 경우 상기 누름부재(70)가 상기 보빈(30)과 함께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누름부재(70)는 상기 보빈(30)에 별도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청소구.
A lower body 11 having a fixing shaft 130 vertically formed on a bottom surface thereof and a through hole 140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11 and in the middle of the upper plate TP, (10) having an upper body part (12) in which a fixing groove (121a)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art (TP);
The body 301 is provided inside the body 10 in a state where the fixing shaft 130 of the body 10 is received therein and is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dy 301. The upper body 301 A bobbin 30 having a protrusion 330a to be fitted and fixed in the fixing groove 121a of the bobbin 12 and a receiving groove 390 formed around the bobbin 370 formed in the middle;
An elastic member 50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obbin 30 from the lower body 11 of the body 10;
The rotation of the bobbin 30 moving upward and downward in the body 10 is interrup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obbin 30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The bobbin 30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bbin 30 in a state of being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390 of the bobbin 30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 A push switch 710 which is smaller in inner diame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40 of the upper body part 12 and whose out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And a pressing member (70)
When the pressing member 70 is pressed downward by an external force, the pressing member 70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bobbin 30 so that the pressing member 70 is not rotated together with the bobbin 30 And an interdental cleaning tool (10).
상기 몸통부(10)의 고정축(130)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몸통부(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외주연에 치실(301)이 권취되며, 상부면에 상기 상부몸통부(12)의 돌출부(121d)가 끼움고정되는 고정홈(330d)이 형성되는 보빈(30)과;
상기 몸통부(10)의 하부몸통부(11)로부터 상기 보빈(30)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50)와;
상기 몸통부(10)의 하부몸통부(11)로부터 상기 보빈(30)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50)와;
상기 탄성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몸통부(10)의 내부에서 상하이동하는 상기 보빈(30)의 회전을 단속하고, 상기 몸통부(10)의 관통공(140)을 통해 상부가 상기 몸통부(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보빈(30)의 상부에 구비되며, 하부에 외경크기가 상기 상부몸통부(12)의 관통공(140)의 내경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통부(12)의 수용홈(390) 수용되는 환형턱(740)이 구비되는 누름스위치(710)로 구성되는 누름부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누름부재(70)가 외력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가압된 경우 상기 누름부재(70)가 상기 보빈(30)과 함께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누름부재(70)는 상기 보빈(30)에 별도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청소구.
A lower body 11 having a fixing shaft 130 vertically formed on a bottom surface thereof and a through hole 140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11 and in the middle of the upper plate TP, A body portion 10 having a protrusion 121d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protrusion 121 and an upper body portion 12 having a receiving groove 390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protrusion 121d;
The body 301 is provided inside the body 10 in a state where the fixing shaft 130 of the body 10 is received therein and is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dy 301. The upper body 301 A bobbin (30) having a fixing groove (330d) in which a projection (121d) of the base (12) is fitted and fixed;
An elastic member 50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obbin 30 from the lower body 11 of the body 10;
An elastic member 50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obbin 30 from the lower body 11 of the body 10;
The rotation of the bobbin 30 moving upward and downward in the body 10 is interrup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obbin 30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The bobbin 30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bbin 30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bbin 10 and has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40 of the upper bobbin 12, And a pushing member (710) having an annular step (740) for receiving the receiving groove (390) of the holding member (12)
When the pressing member 70 is pressed downward by an external force, the pressing member 70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bobbin 30 so that the pressing member 70 is not rotated together with the bobbin 30 And an interdental cleaning tool (10).
상기 몸통부(10)의 고정축(130)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몸통부(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외주연에 치실(301)이 권취되며, 상부면에 상기 상부몸통부(12)의 돌출부(121d)가 끼움고정되는 고정홈(330d)이 형성되는 보빈(30)과;
상기 몸통부(10)의 하부몸통부(11)로부터 상기 보빈(30)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50)와;
상기 탄성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몸통부(10)의 내부에서 상하이동하는 상기 보빈(30)의 회전을 단속하고, 상기 몸통부(10)의 관통공(140)을 통해 상부가 상기 몸통부(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상부몸통부(12)의 수용홈(390)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보빈(3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부외경크기가 상기 상부몸통부(12)의 관통공(140)의 내경크기보다 작고, 하부외경크기가 상기 상부몸통부(12)의 관통공(140)의 내경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외경크기가 점차 작아지는 누름스위치(710)로 구성되는 누름부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누름부재(70)가 외력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가압된 경우 상기 누름부재(70)가 상기 보빈(30)과 함께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누름부재(70)는 상기 보빈(30)에 별도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청소구.
A lower body 11 having a fixing shaft 130 vertically formed on a bottom surface thereof and a through hole 140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11 and in the middle of the upper plate TP, A body portion 10 having a protrusion 121d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protrusion 121 and an upper body portion 12 having a receiving groove 390 formed inside the protrusion 121d;
The body 301 is provided inside the body 10 in a state where the fixing shaft 130 of the body 10 is received therein and is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dy 301. The upper body 301 A bobbin (30) having a fixing groove (330d) in which a projection (121d) of the base (12) is fitted and fixed;
An elastic member 50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obbin 30 from the lower body 11 of the body 10;
The rotation of the bobbin 30 moving upward and downward in the body 10 is interrup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obbin 30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The upper body portion 12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bbin 30 in a state of being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390 of the upper body portion 12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10, A push switch 710 that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size of the through hole 140 and has a lower outer diameter siz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size of the through hole 140 of the upper body part 12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And a pressing member (70)
When the pressing member 70 is pressed downward by an external force, the pressing member 70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bobbin 30 so that the pressing member 70 is not rotated together with the bobbin 30 And an interdental cleaning tool (10).
상기 보빈(30)은 상기 치실(301)이 외주연에 권취되고, 내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키홈(311)이 형성되는 보빈축(310)과;
상기 보빈축(310)의 내부에 수용되고, 외주연에 상기 보빈축(310)의 키홈(311)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키홈(311)에 삽입되는 돌출키(321)가 형성되는 상부축(320)과;
상기 상부축(320)의 상부에 형성되고, 중간에 상기 상부축(320)의 내부와 연통되는 축공(370)이 형성되는 상부판(360)과;
상기 상부축(320)의 내부 하측에 수용되고, 내부에 상기 하부몸통부(11)의 고정축(130)이 수용되는 하부축(340)과;
상기 하부축(34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판(3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청소구.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bobbin (30) includes a bobbin shaft (310) woun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dental floss (301) and having a key groove (31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its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an upper shaft 320 which is received in the bobbin shaft 310 and has a protruding key 321 protruding toward the key groove 311 of the bobbin shaft 310 and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311, )and;
An upper plate 360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shaft 320 and having a shaft hole 370 formed therein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upper shaft 320;
A lower shaft 340 housed i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haft 320 and accommodating a fixing shaft 130 of the lower body 11 therein;
And a lower plate (350)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shaft (340).
상기 보빈(30)은 상기 치실(301)이 외주연에 권취되고, 내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키홈(311)이 형성되는 보빈축(310)과;
상기 보빈축(310)의 내부에 수용되고, 외주연에 상기 보빈축(310)의 키홈(311)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키홈(311)에 삽입되는 돌출키(321)가 형성되는 상부축(320)과;
상기 상부축(32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판(360)과;
상기 보빈축(310)의 하부가 상부면 중간에 안착되는 하부판(35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판(360)의 중간과 상기 하부판(350)의 중간에 각각 축공(370)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판(360)의 축공(370)은 상기 상부축(320)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하부몸통부(11)의 고정축(130)은 상기 하부판(350)의 축공(370)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축(320)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청소구.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bobbin (30) includes a bobbin shaft (310) woun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dental floss (301) and having a key groove (31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its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an upper shaft 320 which is received in the bobbin shaft 310 and has a protruding key 321 protruding toward the key groove 311 of the bobbin shaft 310 and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311, )and;
An upper plate 360 formed on the upper shaft 320;
And a lower plate 350 o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bobbin shaft 310 is seated in the middle of the upper surface,
A shaft hole 370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upper plate 360 and in the middle of the lower plate 350,
The shaft hole 370 of the upper plate 360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upper shaft 320,
Wherein the fixing shaft 130 of the lower body part 11 is received in the upper shaft 320 through the shaft hole 370 of the lower plate 350.
상기 보빈(30)은 상기 치실(301)이 외주연에 권취되고, 내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키홈(311)이 형성되는 보빈축(310)과;
상기 보빈축(310)의 내부에 수용되고, 외주연에 상기 보빈축(310)의 키홈(311)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키홈(311)에 삽입되는 돌출키(321)가 형성되는 상부축(320)과;
상기 상부축(320)의 상부에 형성되고, 중간에 상기 상부축(320)의 내부와 연통되는 축공(370)이 형성되는 상부판(3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청소구.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bobbin (30) includes a bobbin shaft (310) woun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dental floss (301) and having a key groove (31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its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an upper shaft 320 which is received in the bobbin shaft 310 and has a protruding key 321 protruding toward the key groove 311 of the bobbin shaft 310 and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311, )and;
And an upper plate 360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shaft 320 and having a shaft hole 370 formed therein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upper shaft 320. [ .
상기 보빈(30)은 상기 치실(301)이 외주연에 권취되며, 내부에 상기 하부몸통부(11)의 고정축(130)이 수용되는 보빈축(310)과;
상기 보빈축(310)의 상부에 형성되고, 중간에 상기 보빈축(310)의 내부와 연통되는 축공(370)이 형성되는 상부판(3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청소구.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bobbin (30) includes a bobbin shaft (310)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ooth (301) and receiving a fixing shaft (130) of the lower body part (11) therein;
And an upper plate 360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bbin shaft 310 and having an axial hole 370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bobbin shaft 310 at an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
상기 치실(301)이 외주연에 권취되는 상기 보빈(30)의 보빈축(310)의 상측과 상기 보빈축(310)의 하측은 각각 상기 치실(301)의 상부방향 및 상기 치실(301)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치실(301)의 외부방향으로 노출되고,
상기 치실(301)의 상부 일측과 상기 치실(301)의 상부 타측에는 상기 치실(301)의 내측에서 상기 치실(301)의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는 상부경사면(301a)이 형성되고,
상기 치실(301)의 하부 일측과 상기 치실(301)의 하부 타측에는 상기 치실(301)의 내측에서 상기 치실(301)의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는 하부경사면(301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청소구.
9. The method of claim 8,
The upper side of the bobbin shaft 310 of the bobbin 30 and the lower side of the bobbin shaft 310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dental floss 301 ar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dental floss 301 and the upper side of the dental floss 301, Extends in a downward direction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loss 301,
An upper slope 301a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dental floss 301 and the upper side of the dental floss 301 and slopes downward from the inside of the dental floss 301 toward the outside of the dental floss 301,
A lower slope 301b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dental floss 301 and the lower side of the dental floss 301 so as to be inclined upwards from the inside of the dental floss 301 toward the outside of the dental floss 301 Toothpaste cleaning.
상기 누름스위치(710)의 하부에 상기 누름스위치(710)의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빈(30)의 중간에 형성된 축공(370)에 삽입되는 삽입부(7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청소구.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an insertion portion 75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push switch 710 and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370 formed in the middle of the bobbin 30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ush switch 710 Toothpaste cleaning.
상기 보빈축(310)의 하측에 상기 보빈축(31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환형턱(38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청소구.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n annular protrusion (380) protruding outward from the bobbin shaft (310) is formed below the bobbin shaft (310).
상기 보빈(30)은 외주연에 상기 치실(301)이 권취되는 보빈축(310)과;
상기 보빈축(310)의 상부와 상기 보빈축(310)의 하부에 각각 수평형성되는 상부판(360) 및 하부판(350);으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하부판(350)의 저면에서 상기 하부몸통부(11)의 바닥면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하부판(350)의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탄성편(5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청소구.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bobbin (30) has a bobbin shaft (310) on which the dental floss (301) is wound at the outer periphery;
An upper plate 360 and a lower plate 350 horizontally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bbin shaft 31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obbin shaft 310,
The elastic member 50 includes a plurality of elastic pieces 520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350 toward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11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350, And an interdental cleaning member.
상기 보빈(30)은 상기 치실(301)이 외주연에 권취되며, 내부에 상기 하부몸통부(11)의 고정축(130)이 수용되는 보빈축(310)과;
상기 보빈축(310)의 상부에 형성되고, 중간에 상기 보빈축(310)의 내부와 연통되는 축공(370)이 형성되는 상부판(36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보빈축(310)의 하측에서 상기 하부몸통부(11)의 바닥면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보빈축(310)의 하측에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탄성편(5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청소구.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bobbin (30) includes a bobbin shaft (310)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ooth (301) and receiving a fixing shaft (130) of the lower body part (11) therein;
And an upper plate 360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bbin shaft 310 and having a shaft hole 370 formed therein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bobbin shaft 310,
The elastic members 50 extend from the lower side of the bobbin shaft 310 in the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body part 11 and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lower side of the bobbin shaft 310, 520). ≪ / RTI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7339U KR200476506Y1 (en) | 2013-09-02 | 2013-09-02 | Interdental cleaning too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7339U KR200476506Y1 (en) | 2013-09-02 | 2013-09-02 | Interdental cleaning too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6506Y1 true KR200476506Y1 (en) | 2015-03-05 |
Family
ID=53048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7339U Expired - Lifetime KR200476506Y1 (en) | 2013-09-02 | 2013-09-02 | Interdental cleaning too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6506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812902B1 (en) * | 2025-02-24 | 2025-05-27 | (주) 이스트덴트 | Container for storing and withdrawing dental procedure code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67649B1 (en) * | 1994-08-19 | 1999-01-15 | 한정식 | Dental floss holder |
US6253774B1 (en) * | 1999-12-27 | 2001-07-03 | Robert F. Mason | Compact dental flossing tool |
KR100420228B1 (en) * | 1998-09-07 | 2004-02-26 | 체판드 데잠히디 | Dental floss holder |
KR100992629B1 (en) * | 2010-05-26 | 2010-11-05 | 이상숙 | Interdental cleaning tool |
-
2013
- 2013-09-02 KR KR2020130007339U patent/KR200476506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67649B1 (en) * | 1994-08-19 | 1999-01-15 | 한정식 | Dental floss holder |
KR100420228B1 (en) * | 1998-09-07 | 2004-02-26 | 체판드 데잠히디 | Dental floss holder |
US6253774B1 (en) * | 1999-12-27 | 2001-07-03 | Robert F. Mason | Compact dental flossing tool |
KR100992629B1 (en) * | 2010-05-26 | 2010-11-05 | 이상숙 | Interdental cleaning tool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812902B1 (en) * | 2025-02-24 | 2025-05-27 | (주) 이스트덴트 | Container for storing and withdrawing dental procedure cod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113186B (en) | Personal care appliance with replacement head | |
US8813763B2 (en) | Interdental cleaner | |
US8695611B2 (en) | Dual tip oral care implement | |
US20130074869A1 (en) | Interdental cleaner | |
KR200476506Y1 (en) | Interdental cleaning tool | |
KR101528829B1 (en) | Hanger for toothbrush and cup | |
CN108113189B (en) | Personal care appliance with replacement head | |
US20230413990A1 (en) | Stand for an Oral Care Implement, Oral Care Impl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Related Method | |
TW201703685A (en) | Novel device | |
JP2011177397A (en) | Toothbrush | |
KR200470899Y1 (en) | Improved Lipstick Middle Tube-assembling Structure | |
US9848967B2 (en) | Flossing toy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 |
CN111050600B (en) | Product(s) | |
US20110154603A1 (en) | Integral structure of cotton yarn strips and a circular frame body of a mop | |
KR20150106554A (en) | Oral cleaner | |
KR200479831Y1 (en) | Toothbrush | |
CN210144081U (en) | Alternative structure for anti-dump oral cleaning appliance | |
KR19990017624U (en) | silicon toothbrush | |
KR101861186B1 (en) | Interdental brush | |
KR101553698B1 (en) | Prefabricated floss case | |
KR200453662Y1 (en) | Toothbrush with filling toothpaste | |
JP6576882B2 (en) | Interdental brush and interdental brush set | |
JP3228877U (en) | Cleaning brush | |
KR101224379B1 (en) | Toothbrush with interdental cleaner | |
CN215305404U (en) | Toilet brush set capable of automatically popping brush hea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0902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40729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412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5022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50227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