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426Y1 - Auxiliary battery for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Auxiliary battery for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6426Y1 KR200476426Y1 KR2020140007373U KR20140007373U KR200476426Y1 KR 200476426 Y1 KR200476426 Y1 KR 200476426Y1 KR 2020140007373 U KR2020140007373 U KR 2020140007373U KR 20140007373 U KR20140007373 U KR 20140007373U KR 200476426 Y1 KR200476426 Y1 KR 20047642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battery cell
- charging
- portable terminal
- pow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종이 다른 휴대폰을 충전시 충전 단자를 슬라이드시켜 각각의 휴대폰에 직접 연결하여 간편하게 휴대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제1 면,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제2 면 사이에 구비된 제1 내지 제4 측벽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전지셀과 전지셀 보호회로가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제1 면과 인접하는 제1 측벽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외부 전자기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출력 단자; 제1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어 상기 전지 셀로부터 상기 제1 휴대 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1 핀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핀 단자부가 상기 몸체부의 제1 면 및 제1 측벽에 인접하는 제3 측벽에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돌출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 충전 단자; 및 제2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어 상기 전지 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제2 핀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핀 단자부가 상기 몸체부의 제1 면 및 제1 측벽에 인접하고 상기 제3 측벽과 대향하는 제4 측벽에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돌출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 충전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제1 면 상에는 상기 제1 충전단자와 제2 충전단자가 각각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유도하는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battery for a portable terminal, and a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is to provide a simple power supply to a portable phone by sliding the charging terminal when the portable phone is charged with different models and directly connecting the portable terminal to each portable phone.
To this end,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side, a second side, first to fourth side wall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ides, and a battery cell and a battery cell protection circuit A body portion; A power output terminal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of a first sidewall adjacent to the firs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o supply power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a first pin terminal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portable terminal and supplying power from the battery cell to the first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first pin terminal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third side terminal A first charge terminal slidable in an outward direction on the side wall so as to be protruded; And a second pin terminal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and supplying power from the battery cell, wherein the second pin terminal portion is adjacent to the first surface and the first sidewall of the body portion and is opposed to the third sidewall And a second charging terminal slidable in an outward direction on the fourth side wall so as to be protruded, wherein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are provided on the first side of the body, 1 guiding portion and a second guiding portion are formed.
Description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다양한 기종의 휴대폰에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battery for a portable terminal connected to various types of cellular phones to supply power.
휴대폰은 이제 현대인에게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품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폰은 보통 크게 본체와 이러한 본체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본체에 결합된 배터리로 구성되어 있다. 휴대폰 사용자는 보통 이러한 배터리를 1~2개 정도 구비하고, 보통 가정용 전원을 이용하는 배터리 충전장치에 충전을 하여 사용하고 있다. 사용자에 따라서는, 배터리를 장착한 휴대폰과는 별도로 충전된 예비 배터리를 가지고 다니다가, 휴대폰에 장착된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방전된 배터리를 예비 배터리로 교체하여 사용하게 된다.Cell phones are now a necessity for modern people. These phones usually consist largely of a body and a battery coupled to the body to supply the power needed to operate the body. Users of mobile phones usually have one or two such batteries, and are charging the battery charger using a household power source. Depending on the user, a spare battery charged separately from the cell phone loaded with the battery is carried. When the battery mounted in the cell phone is discharged, the discharged battery is replaced with a spare battery.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예비 배터리를 가지고 있지 않고, 충전장치 역시 사용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휴대폰에 장착된 배터리가 방전되어 휴대폰이 꺼지게 되는 일도 종종 발생하게 된다. 특히, 급하게 연락을 취해야 하는 경우, 이러한 일이 발생하게 되면 사용자는 곤란하게 된다. 최근, 거리에 많이 있는 편의점 등에서 이런 경우를 대비하여 휴대폰 배터리의 충전 서비스를 받을 수는 있으나, 이러한 서비스는 별도의 비용을 지불하여야 할 뿐 아니라, 충전에 필요한 어느 정도의 시간 동안은 휴대폰을 꺼 놓아야 하는 불편이 있다.In some cases, however, the battery installed in the mobile phone is discharged and the mobile phone is often turned off in a situation where the mobile phone does not have a spare battery and the charging device is also difficult to use. Particularly, in the case of urgent contact, when this happens, the user becomes difficult. In recent years, a convenience store that is on the streets can receive a charging service for a mobile phone battery in preparation for such a case. However, in addition to paying a separate fee for such a service, the mobile phone should be turned off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required for charging .
또한, 과거 휴대폰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배터리의 지속시간이 반나절을 넘길 수가 없어서 예비 배터리를 휴대폰과 함께 소지하고 다니는 것이 필수였으나, 최근 배터리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그 전기 용량도 늘어났기 때문에, 이러한 예비 배터리를 가지고 다니는 사용자가 줄어들게 되어, 휴대폰에 장착된 배터리가 방전되어 곤란한 상황이 생기는 일은 더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past, a user who uses a mobile phone has to carry a spare battery with the mobile phone because the duration of the battery can not exceed half a day. However, since the capacity of the spare battery has increased recently as the battery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The number of users carrying the battery is reduced, and the battery mounted on the mobile phone is discharged, which makes it more difficult to occur.
한편, 소형 배터리로써 원통형의 형태를 가지는 일반 배터리를 이용한 전원 공급 장치가 시판되고 있으나, 이러한 일반 배터리를 사용하는 소형 배터리는 일회용인 경우가 많으며 그 부피가 커서 가지고 다니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설령, 충전 가능한 일반 배터리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이러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충전장치가 필요하여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a power supply device using a general battery having a cylindrical shape as a small battery is commercially available, a small battery using such a general battery is often disposable and ha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carry it. Even if a general rechargeable battery is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a separate charging device is required to charge such a battery, which is cumbersome.
본 고안은 기종이 다른 휴대폰을 충전시 충전 단자를 슬라이드시켜 각각의 휴대폰에 직접 연결하여 간편하게 휴대폰에 전원을 공급하는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xiliary battery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easily supplies power to a mobile phone by sliding the charging terminal directly to each of the mobile phones when charging a different type of mobile phon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는 제1 면,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제2 면 사이에 구비된 제1 내지 제4 측벽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전지셀과 전지셀 보호회로가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제1 면과 인접하는 제1 측벽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외부 전자기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출력 단자; 제1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어 상기 전지 셀로부터 상기 제1 휴대 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1 핀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핀 단자부가 상기 몸체부의 제1 면 및 제1 측벽에 인접하는 제3 측벽에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돌출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 충전 단자; 및 제2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어 상기 전지 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제2 핀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핀 단자부가 상기 몸체부의 제1 면 및 제1 측벽에 인접하고 상기 제3 측벽과 대향하는 제4 측벽에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돌출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 충전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제1 면 상에는 상기 제1 충전단자와 제2 충전단자가 각각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유도하는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uxiliary battery for a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first surface, a second surface, first to fourth surface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 body portion including a side wall and a battery cell and a battery cell protection circuit provided therein; A power output terminal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of a first sidewall adjacent to the firs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o supply power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a first pin terminal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portable terminal and supplying power from the battery cell to the first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first pin terminal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third side terminal A first charge terminal slidable in an outward direction on the side wall so as to be protruded; And a second pin terminal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and supplying power from the battery cell, wherein the second pin terminal portion is adjacent to the first surface and the first sidewall of the body portion and is opposed to the third sidewall And a second charging terminal slidable in an outward direction on the fourth side wall so as to be protruded, wherein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are provided on the first side of the body, 1 guide portion and a second guide portion may be formed.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에는 상기 제1 충전단자와 제2 충전단자와 각각 연결되어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드되는 제1 슬라이드 키 및 제2 슬라이드 키가 안착되고, 상기 제1 슬라이드 키 및 제2 슬라이드 키는 각각 상기 제1 핀 단자부 및 제2 핀 단자부 상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슬라이드 키 및 제2 슬라이드 키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lide unit and the second slide unit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harging terminals and slid along the first guide unit and the second guide unit, The first slide key and the second slide key are formed to protrude on the first pin terminal portion and the second pin terminal portion, respectively, and the first slide key and the second slide key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몸체부의 제1 면과 인접하는 제1 측벽의 반대 방향인 제3 측벽에는 가정용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전지 셀을 충전하는 전원 입력 단자가 더 구비될 수 있다.And a power input terminal for receiving power from a household power source and charging the battery cell may be further provided on a third sidewall that is opposite to the first sidewall adjacent to the first side of the body.
상기 몸체부의 제2 면 상에는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3 가이드부 및 제4 가이드부가 형성된 가이드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슬라이드 키 및 제2 슬라이드 키의 하면에는 톱니 형상의 스토퍼가 다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제3 가이드부 및 제4 가이드부의 상면에는 상기 스토퍼에 결합되는 형상의 돌기부가 다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슬라이드 키 또는 제2 슬라이드 키가 슬라이드되는 경우, 상기 스토퍼와 돌기부가 맞물리면서 상기 제1 핀 단자부 또는 제2 핀 단자부의 돌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And a guide member having a third guide part and a fourth guide part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guide part and the second guide part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body part, A plurality of serrated stoppers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guide portion and the fourth guide portion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guide portion and the fourth guide portion to be engaged with the stopper, The projecting length of the first pin terminal portion or the second pin terminal portion can be adjusted while the stopper and the protruding portion are engaged with each other.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는 사용자의 손에 의하여 용이하게 파지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휴대폰을 충전시 충전 단자를 휴대폰의 종류에 따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켜 휴대폰에 직접 연결하여 휴대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휴대폰을 손쉽게 충전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battery for a portable terminal is formed to have a size that can be easily gripped by the user's hand. When charging the portable phone, the charging terminal is slid upward or downwar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portable phone, By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phone, the mobile phone can be easily charged anytime and anywhere,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for the us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의 제1 면에서 전원 출력 단자와 제1 충전 단자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의 제1 면에서 제1 충전 단자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의 몸체부 내부의 가이드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의 제2 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uxiliary battery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 output terminal and the first charging terminal on the first surface of the auxiliary battery for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3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charging terminal on the first surface of the auxiliary battery for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e member in the body of the auxiliary battery for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FIG.
5 is a view showing a second surface of the auxiliary battery for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but is to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ovide a complete indication of the category of design, and the desig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b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한편, 본 고안에서의 제1 및 제2 휴대 단말기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총칭하는 것으로서,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PDA, 웹 패드 등의 단말기와 같이 충전 배터리를 구비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통신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로 적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Meanwhile, the first and second portable terminals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smart phone. The first and second portable terminals may be equipped with a rechargeable battery, such as a PDA or a web pa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의 제1 면에서 전원 출력 단자와 제1 충전 단자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의 제1 면에서 제1 충전 단자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의 몸체부 내부의 가이드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의 제2 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uxiliary battery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a power output terminal and a first charging terminal on a first surface of the auxiliary battery for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charging terminal on the first surface of the auxiliary battery for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guide member inside the body of the auxiliary battery for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5 is a view showing a second surface of the auxiliary battery for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10)는 외부의 전원공급장치(미도시)로부터 충전된 전기를 휴대 단말기로 공급하는 장치로서, 몸체부(110), 전원 출력 단자(120), 제1 충전 단자(130), 제2 충전 단자(133), 전원 입력 단자(140) 및 발광 소자(150)를 포함한다.1 to 5, an auxiliary battery 10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charged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unit (not shown) to a portable terminal, and includes a
상기 몸체부(110)는 본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10)의 외부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서, 제1 면(111), 제2 면(112), 상기 제1 면(111)과 제2 면(112) 사이에 구비된 제1 내지 제4 측벽(113, 114, 115, 116)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몸체부(110)는 사용자가 휴대용으로 지니고 다니며, 충전 기능과 전기 공급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소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에는 안착홈(미도시)에 결합되는 전지셀 이외에, 후술하는 전지셀 보호회로(미도시)와 다른 구성요소들간의 배선들이 구비될 수 있다. The
상기 전지셀은 전기의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배터리로서, 몸체부(110) 내부에 형성된 안착홈에 결합된다.The battery cell is a battery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electricity, and is coupled to a seating groove formed in the
상기 전지셀은 통상의 휴대폰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보조 배터리로서, 전원 입력 단자(14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지고, 전원 출력 단자(120), 제1 충전 단자(130) 및 제2 충전 단자(133)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기기 또는 휴대용 단말에 전기를 방전시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의 전지셀은 휴대폰용 배터리 이외에 휴대의 간편성을 위해 작은 크기의 전지셀이 사용될 수 있고, 이의 충전을 위해 장치 내에 전지셀 보호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지셀로서, 리튬, 폴리머 계통의 2차 전지일 수 있고, 전지셀의 크기는 일반적인 휴대폰의 보조배터리 정도의 크기이며 그 두께도 수 mm 정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지셀에 충전되는 전기의 양은, 휴대폰의 대기 시간을 기준으로 적어도 2시간 이상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시간 내지 7시간 전후의 대기시간이 가능한 양의 전기가 충전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전지셀 보호회로는 전지셀의 전극부와 접촉하는 접촉부와 전극부에서 나오는 전류의 전압을 변환하는 DC/DC컨버터와 회로모듈이 포함된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지셀 보호회로는 전원 입력 단자(140)로부터 입력되는 전기를 전지셀에 공급하며, 전지셀에 충전된 전기를 제1 충전 단자(130) 및 제2 충전 단자(133)로부터 휴대폰 등에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전지셀 보호회로는 전지셀의 과충전 및 완전 방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각각의 기능을 구현하는 전자 소자들이 통상의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되어 있다. 다만, 상기 전지셀에 충전이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전기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이미 공지된 사실일 뿐 아니라, 본 고안의 관심의 대상이 아니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battery cell is an auxiliary battery used in a conventional mobile phone. The battery cell is charged by receiving electricity from the
또한, 상기 몸체부(110)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실리콘, 고무 등으로 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The material of the
상기 몸체부(110)의 제1 면(111) 상에는 제1 충전 단자(130) 및 제2 충전 단자(133)가 각각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유도하는 제1 가이드부(132a) 및 제2 가이드부(135a)가 형성된다.A
또한, 상기 몸체부(110)의 제2 측벽(114) 상에는 다른 고리(161)가 끼워지는 고리홀(160)이 형성된다. 상기 고리(161)는 기존의 열쇠 고리, 또는 가방이나 바지에 연결할 수 있는 고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A
또한,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이고, 제2 면(112) 상에는 제1 가이드부(132a) 및 제2 가이드부(135a)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3 가이드부(171) 및 제4 가이드부(172)가 형성된 가이드 부재(170)가 구비된다. 상기 제3 가이드부(171) 및 제4 가이드부(174)의 상면에는 톱니 형상의 돌기부(172a)가 다수 개로 구비된다.A
상기 전원 출력 단자(120)는 몸체부(110)의 제1 면(111)과 인접하는 제1 측벽(113)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원 출력 단자(120)는 전지셀로부터 공급된 전기를 일반적인 커넥터 단자 구조를 가지는 외부의 전자기기(미도시)로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 출력 단자(120)는 전원 공급 및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USB 단자(122)로 구비될 수 있다.The
이러한 전원 출력 단자(120)는 USB 단자(122) 및 제3 슬라이드키(121)를 포함한다.The
상기 USB 단자(122)는 외부의 전자기기에 연결되어 해당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USB 단자(122)는 전자기기의 입출력 커넥터(미도시)와 상보적인 구조, 예를 들면 암수 결합 구조를 가진다.The
상기 제3 슬라이드키(121)는 USB 단자(122)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USB 단자(122)를 제1 측벽(113)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3 슬라이드키(121)는 사용자에 의하여 제1 측벽(113)의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USB 단자(122)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전원 출력 단자(120)는 몸체부(110)의 제1 면(111)과 제1 면(111)에 인접하는 제1 측벽(113)에 형성된 제5 가이드부(122a) 내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3 슬라이드키(121)를 제5 가이드부(122a) 내에서 가이드되도록 제1 측벽(113)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전자기기에 USB 단자(122)를 접속시키게 된다.The
또한, 상기 제3 슬라이드키(121)는 그 하면에 톱니 형상의 스토퍼(미도시)가 다수 개로 구비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는 제6 가이드부(173)의 상면에 형성된 톱니 형상의 돌기부(173a)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제3 슬라이드키(121)가 슬라이드되는 경우에 스토퍼와 돌기부(173a)가 맞물리면서 슬라이드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외부 전자기기를 충전하고자 제3 슬라이드키(121)를 슬라이드시키는 경우, 스토퍼와 돌기부(173a)가 맞물리면서 USB 단자(122)의 돌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USB 단자(122)는 외부 전자기기에 대한 충전 동작을 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몸체부(110) 내부에 위치되어 있다.The
상기 제1 충전 단자(130)는 제1 휴대 단말기(미도시)에 연결되어 전지 셀로부터 제1 휴대 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1 핀 단자부(131)를 구비하고, 제1 핀 단자부(131)가 몸체부(110)의 제1 면(111) 및 제1 측벽(113)에 인접하는 제3 측벽(115)에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돌출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충전 단자(130)는 MP3, 핸드폰, 노트북 등과 같은 제1 휴대 단말기의 입출력 커넥터(I/O Connector)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입출력 커넥터와 상보적인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제1 충전 단자(130)는 제1 휴대 단말기의 입출력 커넥터와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져 전기 및 데이터 공급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단자들이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충전 단자(130)는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폰에 접속이 가능한 5핀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충전 단자(130)는 전지셀 보호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이 되어 있고, 전지셀 보호회로의 제어에 의하여 전지셀에 충전되어 있는 전기를 제1 휴대 단말기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충전 단자(130)는 제1 휴대 단말기에 전원 공급과 함께 데이터 공급이 가능하도록 USB 단자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이러한 제1 충전 단자(130)는 제1 핀 단자부(131) 및 제1 슬라이드키(132)를 포함한다.The
상기 제1 핀 단자부(131)는 제1 휴대 단말기(미도시)에 연결되어 제1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제1 핀 단자부(131)는 제1 휴대 단말기의 입출력 커넥터(미도시)와 상보적인 구조, 예를 들면 암수 결합 구조를 가진다.The
상기 제1 슬라이드키(132)는 제1 핀 단자부(131)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제1 핀 단자부(131)를 제1 측벽(113)에 인접하는 제3 측벽(115)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슬라이드키(132)는 사용자에 의하여 제3 측벽(115)의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제1 핀 단자부(131)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충전 단자(130)는 몸체부(110)의 제1 면(111)과 제1 면(111)에 인접하는 제3 측벽(115)에 형성된 제1 가이드부(132a) 내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제1 휴대 단말기를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슬라이드키(132)를 제1 가이드부(132a) 내에서 가이드되도록 제3 측벽(115)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제1 휴대 단말기에 제1 핀 단자부(131)를 접속시키게 된다.The
상기 제2 충전 단자(133)는 제2 휴대 단말기(미도시)에 연결되어 전지 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제2 핀 단자부(134)를 구비하고, 제2 핀 단자부(134)가 몸체부(110)의 제1 면(111) 및 제1 측벽(113)에 인접하고 제3 측벽(115)과 대향하는 제4 측벽(116)에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돌출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충전 단자(133)는 제2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어 제2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제2 충전 단자(133)는 휴대폰의 커넥터 단자(미도시)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커넥터 단자와 상보적인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제2 충전 단자(133)는 휴대폰의 커넥터 단자와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져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단자들이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충전 단자(133)는 IOS 플랫 폼 기반의 스마트 폰에 접속이 가능한 20핀, 24핀 또는 30핀 등의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충전 단자(133)는 전지셀 보호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이 되어 있고, 전지셀 보호회로의 제어에 의하여 전지셀에 충전되어 있는 전기를 제2 휴대 단말기에 공급할 수 있다.The
이러한 제2 충전 단자(133)는 제2 핀 단자부(134) 및 제2 슬라이드키(135)를 포함한다.The
상기 제2 핀 단자부(134)는 제2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어 제2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제2 핀 단자부(134)는 제2 휴대 단말기의 커넥터 단자와 상보적인 구조, 즉 암수 결합 구조를 가진다.The
상기 제2 슬라이드키(135)는 제2 핀 단자부(134)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제2 핀 단자부(134)를 제1 측벽(113)에 인접하는 제4 측벽(116)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슬라이드키(135)는 사용자에 의하여 제4 측벽(116)의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제2 핀 단자부(134)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충전 단자(133)는 몸체부(110)의 제1 면(111)과 제1 면(111)에 인접하는 제4 측벽(116)에 형성된 제2 가이드부(135a) 내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제2 휴대 단말기를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 슬라이드키(135)를 제2 가이드부(135a) 내에서 가이드되도록 제4 측벽(116)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제2 휴대 단말기에 제2 핀 단자부(131)를 접속시키게 된다.The
한편, 상기 제2 슬라이드키(135)는 제1 슬라이드키(13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슬라이드키(132)와 제2 슬라이드키(135)는 그 사이에 형성된 돌기부(136)를 통하여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1 휴대 단말기를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슬라이드키(132)를 제3 측벽(115)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제1 휴대 단말기에 제1 핀 단자부(131)를 접속시키고, 이와 반대로 제2 휴대 단말기를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 슬라이드키(135)를 제4 측벽(116)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제2 휴대 단말기에 제2 핀 단자부(134)를 접속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또한, 상기 제1 슬라이드키(132)와 제2 슬라이드키(135)는 그 하면에 톱니 형상의 스토퍼(171a)가 다수 개로 구비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171a)는 제3 가이드부(171) 및 제4 가이드부(174)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부(172a)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제1 슬라이드키(132) 또는 제2 슬라이드키(135)가 슬라이드되는 경우에 스토퍼(171a)와 돌기부(172a)가 맞물리면서 슬라이드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제1 휴대 단말기 또는 제2 휴대 단말기를 충전하고자 제1 슬라이드키(132) 또는 제2 슬라이드키(135)를 슬라이드시키는 경우, 스토퍼(171a)와 돌기부(172a)가 맞물리면서 제1 핀 단자부(131) 또는 제2 핀 단자부(134)의 돌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핀 단자부(131) 또는 제2 핀 단자부(134)는 제1 휴대 단말기 또는 제2 휴대 단말기에 대한 충전 동작을 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몸체부(110) 내부에 위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본 고안에서는 제1 충전 단자(130) 및 제2 충전 단자(133)가 몸체부(110)의 제1 면(111)과 인접하는 제3 측벽(115)과 제4 측벽(116)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몸체부(110)의 다른 면 또는 측벽에 형성될 수도 있다.The
상기 전원 입력 단자(140)는 몸체부(110)의 제1 측벽(113)과 대향하는 제2 측벽(114) 상에 형성되어 가정용 전원에 의하여 충전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원 입력 단자(140)는 몸체부(110) 내부의 전지셀 보호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 공급 라인(20)의 전원 케이블(21) 단부의 전원 커넥터(22)를 통하여 입력되는 입력전압을 전지셀 보호회로에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여 제1 충전 단자(130) 및 제2 충전 단자(133)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로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몸체부(110)의 일측면에는 설정 전압을 조절하는 전압 조절부가 누름식 버튼 다이얼버튼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전압 조절부를 통해 접속핀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전압을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여 제1 충전 단자(130) 및 제2 충전 단자(133)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로 출력함으로써, 제1 충전 단자(130) 및 제2 충전 단자(1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휴대 단말기의 입력 전압 세기에 따라 접속핀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전압의 세기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The
상기 발광 소자(150)는 몸체부(110)의 제2 면(112) 상에 전지셀 보호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전원 입력 단자(140)로부터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발광되는 장치이다. 상기 발광 소자(150)는 전지셀 보호회로와 전원 입력 단자(140)와의 연결 상태와 전지셀의 충전 상태를 알려주기 위하여 전지셀 보호회로의 제어에 의하여 발광 색깔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발광 소자(150)는 전지셀이 충전 중일 경우와, 완충 되었을 경우의 발광 색깔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50)의 전원은 수납된 전지셀로부터 공급된다.The
상기 발광 소자(150)는 저 전력으로도 밝은 빛을 발하는 것이 가능한 LED 소자일 수 있으나, 본 고안은 발광 소자(150)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발광 소자(150)는 빛을 발하는 발광 소자(150)의 일부가 몸체부(110)의 제2 면(112)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된다.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10)는 사용자의 손에 의하여 용이하게 파지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휴대폰을 충전시 충전 단자를 휴대폰의 종류에 따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켜 휴대폰에 직접 연결하여 휴대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휴대폰을 손쉽게 충전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auxiliary battery 10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ze that can be easily gripped by a user's hand. When charging the mobile phone, the charging terminal is moved upward or downward The user can easily charge the mobile phone anytime and anywhere,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한편, 상기 몸체부(110)는 충격 강도가 우수한 이축연신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코팅된다. 이러한 이축연신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80~95중량% 및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5~20중량%를 반응기 내에서 단계적으로 중합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에틸렌 함량이 2중량% 이하이고,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에틸렌 함량이 30~65중량%이며, 용제추출물의 고유점도가 1~4dl/g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가 일련의 반응기 내에서 단계적으로 중합되고 혼련되어 제조된다.The ethylene-propylene block copolymer is prepared by polymerizing propylene homopolymer or ethylene-propylene random copolymer and ethylene-propylene rubber stepwise in a series of reactors and kneading.
상기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는 중합 반응장치에서 프로필렌이 단독으로 주입되어 중합할 수 있으나, 본 고안에 따른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는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본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opylene homopolymer can be polymerized by injecting propylene alone in the polymerization reactor. However, the propylene homo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its production method and can be produced by a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It is preferable to be produced.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에 대하여 80~95중량%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80~90중량%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함량이 80중량% 미만이면 결정화도가 저하되어 내열성이 낮아지고, 고무상의 증가로 인하여 투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나타내며, 95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내충격성이 저하될 수 있다.The ethylene-propylene random copolymer may include 80 to 95% by weight, preferably 80 to 90% by weight, based on the ethylene-propylene block copolymer. When the content of the ethylene-propylene random copolymer is less than 80% by weight, the crystallinity is lowered, the heat resistance is lowered, and the transparency is lowered due to the increase of the rubber phase. If the content exceeds 95% by weight, have.
또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는 에틸렌의 함량이 2중량% 이하일 수 있고, 2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결정화에 참여하는 연속적인 프로필렌 사슬에 에틸렌 결점의 빈도수가 증가하여 용융온도 및 결정화도가 저하되므로 내열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나타낸다.The ethylene-propylene random copolymer may have a content of ethylene of 2% by weight or less, and when the content of the ethylene-propylene random copolymer exceeds 2% by weight, the frequency of ethylene defects increases in the continuous propylene chain participating in crystallization, And the heat resistance is low.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중합한 후, 이어지는 중합 반응장치에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존재 하에서 중합될 수 있으나,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중합방법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thylene-propylene rubber may be polymerized in the presence of a propylene homopolymer or an ethylene-propylene random copolymer in a subsequent polymerization reactor after polymerization of a propylene homopolymer or an ethylene-propylene random copolymer, but polymerization of an ethylene- The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method is manufactured by a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에 대하여 5~20중량%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10~20중량%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함량이 5중량% 미만일 경우 충격강도의 발현이 되지 않으며, 20중량%를 초과한 경우에는 강성 및 내열성이 급격히 저하되고 투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나타낸다.The ethylene-propylene rubber may contain 5 to 20% by weight, preferably 10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ethylene-propylene block copolymer. When the content of the ethylene-propylene block copolymer is less than 5% by weight, the impact strength is not exhibited. When the content exceeds 20% by weight, the rigidity and heat resistance are rapidly lowered and the transparency is lowered.
또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에서 용제추출물의 고유점도는 1~4dl/g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유점도가 1dl/g 미만이면 충격강도의 상승을 기대할 수 없으며, 4dl/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무성분의 뭉침현상으로 인하여 이축연신 시 파단이 발생하기 쉬우며, 가공성 및 충격강도가 저하되고, 분산된 고무상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투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나타낸다.In addition, the intrinsic viscosity of the solvent extract in the ethylene-propylene rubber may be 1 to 4 dl / g. If the intrinsic viscosity is less than 1 dl / g, an increase in impact strength can not be expected. If the intrinsic viscosity is more than 4 dl / g, rupture of the rubber component tends to occur during biaxial stretching, And the transparency decreases as the size of the dispersed rubber phase increases.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에서 에틸렌 함량은 30~65중량%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에틸렌 함량이 30중량%미만이면 고무의 탄성이 감소하여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65중량%를 초과하면 고무성분과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와의 상용성이 낮아져 고무상의 크기가 커지므로 투명성을 저하시켜 가공성 및 충격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나타낸다.The ethylene content of the ethylene-propylene rubber may be 30 to 65% by weight. If the ethylene content is less than 30% by weight, the elasticity of the rubber decreases and the impact resistance lowers. When the ethylene content exceeds 65% by weight, the compatibility of the rubber component with the propylene homopolymer or ethylene-propylene random copolymer decreases, The transparency is lowered and the workability and the impact strength are lowered.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용융지수는 1~10g/10분(ASTM D 1238)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용융지수가 1g/10분 미만이면 이축연신 필름제조에 있어서, 캐스트 시트의 제막 시, 압출부하가 상승하고 유동성이 낮아져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나타내며, 10g/10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이에서 토출되는 용융지수의 점도가 낮아져 캐스트 시트의 성형 시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지 못하게 되므로, 이축연신 후에 필름의 두께에 대한 균일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The polypropylene resin may have a melt index of 1 to 10 g / 10 min (ASTM D 1238). If the melt index is less than 1 g / 10 mi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xtrusion load increases at the time of forming the cast sheet in the production of a biaxially stretched film and the fluidity is lowered to lower the productivity. When the melt index exceeds 10 g / 10 min The viscosity of the melt index discharged from the die is lowered and the thickness of the cast sheet is not uniformly formed during the molding of the cast sheet. Therefore, the uniformity of the film thickness after the biaxial stretching is lowered.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one example for implementing the auxiliary battery for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re is a technical spirit of this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 20: 전원 공급 라인
21: 전원 케이블 22: 전원 커넥터
110: 몸체부 111: 제1 면
112: 제2 면 113~116: 제1 측벽 내지 제4 측벽
120: 전원 출력 단자 121: 제3 슬라이드 키
122: USB 단자 122a: 제5 가이드부
130: 제1 충전 단자 131: 제1 핀 단자부
132: 제1 슬라이드 키 132a: 제1 가이드부
133: 제2 충전 단자 134: 제2 핀 단자부
135: 제2 슬라이드 키 135a: 제2 가이드부
136: 결합 돌기부 140: 전원 입력 단자
150: 발광 소자 160: 고리홀
161: 고리 170: 가이드 부재
171: 제3 가이드부 171a, 173a: 스토퍼
172: 제4 가이드부 172a, , 173a: 돌기부
173: 제6 가이드부10: auxiliary battery for portable terminal 20: power supply line
21: Power cable 22: Power connector
110: body portion 111: first surface
112:
120: Power output terminal 121: Third slide key
122:
130: first charging terminal 131: first pin terminal part
132: first slide key 132a: first guide part
133: second charging terminal 134: second pin terminal portion
135: second slide key 135a: second guide part
136: coupling protrusion 140: power input terminal
150: light emitting element 160:
161: ring 170: guide member
171:
172:
173: sixth guide portion
Claims (4)
상기 몸체부(110)의 제1 면(111)과 인접하는 상기 제1 측벽(113)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외부 전자기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출력 단자(120);
제1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어 상기 전지 셀로부터 상기 제1 휴대 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1 핀 단자부(131)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핀 단자부(131)가 상기 몸체부(110)의 제1 면(111) 및 상기 제1 측벽(113)에 인접하는 제3 측벽(115)에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돌출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 충전 단자(130);
제2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어 상기 전지 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제2 핀 단자부(134)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핀 단자부(134)가 상기 몸체부(110)의 제1 면(111) 및 상기 제1 측벽(113)에 인접하고 상기 제3 측벽(115)과 대향하는 제4 측벽(116)에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돌출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 충전 단자(133);
상기 몸체부(110)의 제1 면(111)과 인접하는 상기 제1 측벽(113)의 반대 방향인 상기 제3 측벽(115)에는 가정용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전지 셀을 충전하는 전원 입력 단자(140); 및
상기 몸체부(110)의 제2 면(112) 상에 상기 전지셀 보호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원 입력 단자(140)로부터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발광되는 발광 소자(150); 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110)의 제1 면(111) 상에는 상기 제1 충전단자(130)와 상기 제2 충전단자(133)가 각각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유도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132a, 135a)가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132a, 135a)에는 상기 제1 충전단자(130)와 상기 제2 충전단자(133)와 각각 연결되어 제1 및 제2 가이드부(132a, 135a)를 따라 슬라이드되는 제1 및 제2 슬라이드 키(132, 135)가 안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 키(132, 135)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핀 단자부(131, 134) 상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 키(132, 135)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10)의 제2 면(112) 상에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132a, 135a)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3 및 제4 가이드부(171, 172)가 형성된 가이드 부재(170)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 키(132, 135)의 하면에는 톱니 형상으로 다수개의 스토퍼(171a)가 구비되고, 상기 제3 및 제4 가이드부(171, 172)의 상면에는 상기 스토퍼(171a)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돌기부(172a)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 키(132, 135)가 슬라이드되는 경우, 상기 스토퍼(171a)와 상기 돌기부(172a)가 맞물리면서 상기 제1 및 제2 핀 단자부(131, 134)의 돌출 길이가 조절되고,
상기 몸체부(110)의 제2 측벽(114) 상에는 고리(161)가 끼워진 고리홀(16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원 출력 단자(120)는 몸체부(110)의 제1 측벽(113)에 형성된 제5 가이드부(122a) 내에 안착되고, 외부의 전자기기에 연결되어 해당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USB 단자(122)와, 상기 USB 단자(122)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USB 단자(122)를 상기 제1 측벽(113)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제3 슬라이드 키(121)를 포함하되, 상기 제3 슬라이드 키(121)는 그 하면에 톱니 형상으로 다수개의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는 제6 가이드부(173)의 상면에 형성된 톱니 형상의 돌기부(173a)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3 슬라이드 키(121)가 슬라이드되는 경우에 상기 스토퍼와 상기 돌기부(173a)가 맞물리면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A first side 111, a second side 112 and first to fourth side walls 113, 114, 115, 116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ides 111, A body 110 having a battery cell and a battery cell protection circuit therein;
A power output terminal 120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of the first sidewall 113 adjacent to the first surface 111 of the body 110 to supply power to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a first pin terminal part (131) connected to the first portable terminal and supplying power from the battery cell to the first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first pin terminal part (131) A first charging terminal 130 slidable outwardly and protruding from a surface 111 and a third sidewall 115 adjacent to the first sidewall 113;
And a second pin terminal part 134 connected to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and supplying power from the battery cell. The second pin terminal part 134 is connected to the first surface 111 of the body part 110, A second charging terminal 133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fourth sidewall 116 adjacent to the first sidewall 113 and facing the third sidewall 115;
The third side wall 115, which is opposite to the first side wall 113 adjacent to the first side 111 of the body 110,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input A terminal 140; And
A light emitting device 150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112 of the body 11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protection circuit to emit light when power is input from the power input terminal 140; , ≪ / RTI &
The first and second guide parts 132a and 132b guide the first charging terminal 13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133 to slide in opposite directions on the first surface 111 of the body part 110, The first and second guide portions 132a and 135a are connected to the first charging terminal 13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133 and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guide portions 132a and 132a. The first and second slide keys 132 and 135 are mounted on the first and second pin terminal portions 131 and 134, And the first and second slide keys 132 and 135 are integrally formed,
A guide member 170 having third and fourth guide portions 171 and 172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guide portions 132a and 135a on the second surface 112 of the body 110, And a plurality of stoppers 171a are formed in a saw-tooth shape on the low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lide keys 132 and 135.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third and fourth guide portions 171 and 172, A plurality of protrusions 172a coupled to the stopper 171a are provided so that the stopper 171a and the protrusion 172a are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 first and second slide keys 132 and 135 are slid, 1 and the second pin terminal portions 131, 134 are adjusted,
A loop hole 160 in which a loop 161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second side wall 114 of the body 110,
The power output terminal 120 is mounted in a fifth guide part 122a formed on the first side wall 113 of the body part 110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a third slide key 121 protruding from the USB terminal 122 to allow the USB terminal 122 to move in an outer direction of the first side wall 113, , The third slide key 12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oppers in a sawtooth shape on its lower surface and the stopper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a serrated protrusion 173a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xth guide portion 173 And the stopper and the protrusion 173a are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 third slide key 121 is slid,
And the auxiliary battery for the portable termin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7373U KR200476426Y1 (en) | 2014-10-10 | 2014-10-10 | Auxiliary battery for portab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7373U KR200476426Y1 (en) | 2014-10-10 | 2014-10-10 | Auxiliary battery for portable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6426Y1 true KR200476426Y1 (en) | 2015-03-02 |
Family
ID=53048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7373U Expired - Lifetime KR200476426Y1 (en) | 2014-10-10 | 2014-10-10 | Auxiliary battery for portab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6426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8200B1 (en) | 2015-06-15 | 2016-09-22 | (주) 지에스씨 솔루션 | Portab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
KR101688541B1 (en) | 2015-06-15 | 2016-12-21 | (주) 지에스씨 솔루션 | Portable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2217Y1 (en) * | 2006-05-03 | 2006-07-24 | 우성전자 (주) | Spare secondary battery unit for mobile devices |
KR20080003040U (en) * | 2007-01-30 | 2008-08-04 | 한대승 | Multifunction lithium ion charger |
JP3166075U (en) * | 2010-12-06 | 2011-02-17 | 株式会社アークス | Charger for portable devices |
JP2011182566A (en) * | 2010-03-02 | 2011-09-15 | Yasuyuki Uchida | Charging power supply device |
-
2014
- 2014-10-10 KR KR2020140007373U patent/KR200476426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2217Y1 (en) * | 2006-05-03 | 2006-07-24 | 우성전자 (주) | Spare secondary battery unit for mobile devices |
KR20080003040U (en) * | 2007-01-30 | 2008-08-04 | 한대승 | Multifunction lithium ion charger |
JP2011182566A (en) * | 2010-03-02 | 2011-09-15 | Yasuyuki Uchida | Charging power supply device |
JP3166075U (en) * | 2010-12-06 | 2011-02-17 | 株式会社アークス | Charger for portable devices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8200B1 (en) | 2015-06-15 | 2016-09-22 | (주) 지에스씨 솔루션 | Portab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
KR101688541B1 (en) | 2015-06-15 | 2016-12-21 | (주) 지에스씨 솔루션 | Portable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60463B2 (en) | Apparatus comprising power strip and battery | |
US8860371B2 (en) | Series battery charger with the function of separate detection | |
JP3183420U (en) | Portable wireless charger | |
US7839119B2 (en) |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battery and portable phone battery | |
US20130169228A1 (en) | Mcu integration battery charger/discharger | |
US8643325B2 (en) | Integrated battery charger | |
CN201341028Y (en) | Mobile power supply | |
WO2018195676A1 (en) | Multifunctional charging box | |
US20110012552A1 (en) | Electrical power source | |
JP2007215320A (en) | Multifunction traveling charger | |
US20160043585A1 (en) | Rapid Charging Mobile Electronic Device Battery Case | |
KR100475455B1 (en) | External battery pack | |
CN201409013Y (en) | Power supply adaptor | |
US20080241668A1 (en) | Portable power supply device | |
CN101483351B (en) | Universal charger | |
KR200476426Y1 (en) | Auxiliary battery for portable terminal | |
KR101625407B1 (en) | A portable auxiliary battery-charger capable of fast recharge | |
CN201038802Y (en) | Multifunctional charger | |
KR101613058B1 (en) | Battery pack pouch apparatus with charger and discharger for moible phone | |
KR200477351Y1 (en) | Auxiliary battery for portable terminal | |
CN214754601U (en) | Energy storage data line | |
CN205304307U (en) | Portable multi -functional portable power source | |
CN103346596A (en) | Power supply of vehicle-mounted electric appliance and adaptor thereof | |
CN203398813U (en) | Power supply for vehicle-used electric appliance and adapter of power supply | |
CN208767841U (en) | Car emergency start power supp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41010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10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41128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2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5022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50224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