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519Y1 - Rice-Water Ruler - Google Patents
Rice-Water Rul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5519Y1 KR200475519Y1 KR2020130007244U KR20130007244U KR200475519Y1 KR 200475519 Y1 KR200475519 Y1 KR 200475519Y1 KR 2020130007244 U KR2020130007244 U KR 2020130007244U KR 20130007244 U KR20130007244 U KR 20130007244U KR 200475519 Y1 KR200475519 Y1 KR 20047551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ce
- handle
- plate
- amount
- indica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9/00—Calibrated capacity measures for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e.g. measuring cup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3/00—Devices having filling level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밥물 지시기에 관한 것이다. 이는 솥 안에 넣어져 있는 세척된 쌀의 양에 따라 채워져야 하는 밥물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밥물 지시기(10)에 있어서, 적어도 하부면이 평평한 얇은 플레이트(14)와; 상기 플레이트(14)에 그 하단이 부착되어 상부로 세워지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몸체가 구비되는 핸들(12); 및 상기 핸들(12)에 표시되어 밥물의 양을 나타내는 계량눈금(12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밥을 지을 때, 원하는 특성의 밥을 지을 수 있는 밥물의 양을 쉽고 정확하게 정할 수 있게 하면서 동시에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물속의 쌀의 표면을 쉽게 고르게 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초보자라 하더라도 간단하고 편리하며 위생적으로 밥을 지을 수 있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ce indicator. A rice indicator (10) for measuring the amount of rice to be fill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rice washed in a pot, comprising: a thin plate (14) having at least a flat bottom surface; A handle (12) having a lower end attached to the plate (14) and erect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provided with a body that the user can hold by hand; And a weighing scale 124, which is indicated on the handle 12 and indicates the amount of rice. Thus, for example, when the rice is cooked,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accurately determine the amount of rice to be cooked, and at the same time, the surface of the rice in the water can be easily evenly spread by a simple oper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markable effect such as convenient and hygienic cooking.
Description
본 고안은 밥을 하기 위하여 쌀에 대한 물의 비율을 쉽게 정하도록 하는 밥물 지시기를, 원하는 특성의 밥을 지을 수 있는 물의 양을 쉽고 정확하게 정할 수 있게 하면서 동시에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물속의 쌀의 표면을 쉽게 고르게 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초보자라 하더라도 간단하고 편리하며 위생적으로 밥을 지을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밥물 지시기에 관한 것이다.This design is designed to make it easy to determine the amount of water that can be cooked with the desired characteristics, while at the same time making it easy to evenly level the surface of the rice in the water So that even a beginner can easily, conveniently, and hygienically cook rice.
일반적으로, 쌀이나 보리 등과 같은 입자 형태의 곡물(이후 논의의 편리를 위해 통칭으로 '쌀'이라 하자)은 오랫동안 인간 식량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근래 건강과 영양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는 경향에 따라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쌀을 일상적으로 섭취하게 되었다.Generally, grains in the form of particles such as rice or barley (collectively referred to as "rice" for the sake of discussion) have long been an important part of human food. With increasing interest in health and nutrition, more and more people routinely consume rice.
쌀을 요리하는 과정은 통상 1) 쌀을 세척하고, 2) 물의 양을 계측, 또는 쌀에 대한 물의 비율을 결정하고, 3) 쌀의 표면을 평평하게 편 후, 4) 끓인다. 이들 단계 중에서, 쌀에 대한 물의 비율을 계측하는 단계는, 특히 일부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성가신 일이거나 또는 당황스러운 일이 될 수 있다.The process of cooking rice is usually 1) washing the rice, 2) measuring the amount of water, or determining the ratio of water to rice, 3) flattening the surface of the rice, and 4) boiling. Among these steps, the step of measuring the ratio of water to rice can be cumbersome or embarrassing, especially for some people.
종래에는 쌀에 대한 물의 비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3가지 방식이 사용되고 있었다. 즉 1) 계량컵 이용하는 방식; 2) 손가락이나 손 이용하는 방식; 또는 3) 솥 내부에 구비된 눈금 이용하는 방식이 그것들이다.Conventionally, three methods have been used to measure the ratio of water to rice. 1) using the measuring cup; 2) using finger or hand; Or 3) a method of using scales provided in the pot.
먼저, 계량컵을 사용하는 방식은 2가지 단점을 가진다. 첫째 단점은, 계량된 물의 총량이 정확하게 되려면, 계량된 물이 추가되기 전에, 쌀이 세척된 후 남은 세척용 물이 완전히 배수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쌀을 씻은 그릇 외부로 물만을 모두 배수하는 것은, 물과 함께 일부 쌀이 같이 배출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잘 되지 않는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사람들은 여과기를 사용하기도 한다. 더 많은 수의 그릇이나 요리 기구가 사용되는 것은 전체 과정이 더 불편하게 하는 것이다. 이 방식이 가지는 두 번째 단점은, 계량컵을 사용하게 되면, 얼마나 많은 컵 수의 쌀 또는 물이 이미 솥 안에 부어졌는지를 - 부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산만한 상황 중에 - 기억해야 한다는 점이다.First, the method of using a measuring cup has two disadvantages. The first disadvantage is that for the total amount of metered water to be accurate, the remaining washing water after the rice has been washed must be drained completely before the metered water is added. Drain all the water out of the rice bowl is not good because it tends to discharge some rice together with water. To solve this problem, some people use filters. The use of a greater number of bowls or cooking utensils makes the whole process more uncomfortable. The second disadvantage of this method is that when you use a measuring cup, you must remember how many cups of rice or water have already been poured into the pot - among the many distractions that can occur in the kitchen.
한편, 손가락이나 손을 이용하는 방식은 전통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것이며, 특히 계량컵을 사용하지 않거나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이 쌀에 대한 물의 비율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식이다. 이 손가락이나 손을 이용하는 방식에서는, 요리자는 솥 안에서 평탄한 쌀 표면에 손가락이나 손을 가져다 댄 후, 예를 들어 손가락 관절의 두 번째 선과 같이, 물을 손가락 관절의 특정 지점까지 물 표면이 도달하도록 채운다. 이런 방식은 사람마다 손 및 손가락의 두께나 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일정한 기준으로 삼기에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더 나아가, 사람마다 손의 크기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가족들 중 다른 구성원이 엄마가 가르쳐 준 방식을 단순하게 따라 하는 경우 실패할 경우가 많았다.On the other hand, finger or hand use is traditionally done, and is a common method used by people who do not use a measuring cup or who are unfamiliar with it to measure the ratio of water to rice. In this finger or hand method, the cooker brings a finger or hand to the flat rice surface in the pot and then fills the water to reach a specific point of the finger joint, such as the second line of the finger joint . This method has a serious problem because it has different thicknesses and lengths of hands and fingers, an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make a certain standard. Furthermore, since the size of each hand is different for each person, it often happens that other members of the family simply follow the way the mother taught them.
또한 밥솥 안에 손을 배치할 때 손목을 굽혀야 할 필요가 있다거나, 차가운 물속에 손을 넣어야 한다거나, 또는 매니큐어가 칠해진 손톱이나 짧게 자른 손톱을 가진 손을 사용한다거나 하는 면에서 불편하거나 비위생적일 수 있다는 문제들도 존재한다.It may also be uncomfortable or unsanitary in terms of bending your wrist when placing your hands in a rice cooker, putting your hands in cold water, or using nail polished or short-cut nails. Problems also exist.
마지막으로, 밥솥 내에 구비된 눈금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식은, 단순해 보이지만 그렇게 쉽지만은 않다는 단점이 있었다. 왜냐하면, 쌀 위에 채워지는 물은 투명하게 맑은 상태라기보다는 밀크와 같이 뿌연 상황이 되는 경향이 많이 때문에, 솥 내부 면에 형성되어 있는 눈금들이 항상 깨끗하게 가시적인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세척 과정에서 쌀을 지나치게 문지르는 것은 영양 성분들이 없어지게 하기 때문에 쌀을 과하게 세척하는 것은 회피되어야 한다. 더 나아가 이런 방식은, 모든 사람이 이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이런 눈금을 가진 전기 밥솥을 사용하는 사람만이 이용할 수 있다는 한계도 있다.Finally, the method of measuring by using the scale provided in the rice cooker is simple, but it is not so easy. This is because the scale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ot are not always clean and visible, because the water filled on the rice tends to be cloudy like milk, rather than being transparently clear. Excessive rinsing of rice in the course of the washing will avoid nutrients, so overcleaning rice should be avoided. Furthermore, this method is not available to all people, but only to those who use an electromagnetic cooker with such a scale.
그러므로 종래에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밥물 눈금 수치를 가진 밥물 지시기를 제공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예를 들어 국내 특허 등록번호 10-1038687 "밥물 지시기"의 공보에는, 쌀에 주축을 꽂으면, 쌀의 양에 따라 주축이 꼽힌 길이가 달라지고, 이에 따라 주축 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던 계측링들이 주축이 꼽힌 길이에 따라 결정된 수로 상승하고, 상승하여 겹쳐지는 계측링 수에 의해 밥물의 양이 지시되는 구성의 밥물 지시기가 개시되어 있다.Therefore, there has been an attempt in the past to provide a food indicator with an objective and universal rice grade reading. For example, in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10-1038687, the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1038687 discloses that when the main shaft is inserted into rice, the length of the main shaf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rice, A rice indicator is structured in which the number of rings is increased by a determined number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spindle, and the amount of rice is indicated by the number of measurement rings which are piled up.
이러한 밥물 지시기는 객관적인 밥물 수치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인쇄된 요리책이나 쌀 포장지에 인쇄되어 포함될 수 있는 되는 쌀요리 레시피에서 참조할 수 있는 수치를 제공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그러나, 위 종래에 제안된 밥물 지시기는 주축을 쌀에 꽂아 솥 바닥까지 닿아야 하므로 사용에 불편할 뿐만 아니라, 주축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계측링을 구비하기 때문에 형태가 복잡하고 세척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제작비용이 증가하고 비위생적일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Such a rice indicator may provide an objective food value, for example, to provide a value that can be referenced in a rice cooked recipe that may be printed and included in a printed cookbook or rice wrapper. However, the rice indicator proposed in the prior art is not only inconvenient to use because it must be pushed into the rice pot, but also has a large number of measuring rings moving along the main shaft.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the cost was increased and it could be unsanitary.
더 나아가, 예를 들어 쌀로 밥을 지을 경우, 쌀에 대한 물의 비율을 측정하는 단계에 추가하여 쌀의 표면을 평평하게 만드는 과정이 중요한데, 이 과정도 성가실 수 있다. 솥에 씻을 쌀과 밥물을 채운 후, 끓이는 단계 이전에, 쌀의 표면을 평탄하게 만드는 것은 쌀을 균일하게 익히기 위하여 필요하다. 손가락이나 손을 이용하는 방식은 쌀의 표면이 평탄하게 되어 있는 상태를 전제로 한다. 쌀의 표면을 평평하게 하기 위하여, 요리자는 손이나 주걱과 같은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여야 한다. 주걱은 이런 기능을 위해 만들어진 도구가 아니므로 그다지 효과적이지도 않다. 어떤 사람들은 물을 채우기 전에 쌀의 표면을 평탄하게 하는 것을 선호하는데, 그러면 이후, 쌀 표면이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매우 주의 깊게 솥의 측부에서 물을 천천히 흘려보내야만 한다는 단점을 가진다.Furthermore, for example, when rice is cooked with rice, it is important to make the surface of the rice flat in addition to measuring the ratio of water to rice. This process may also be troublesome. After filling the pot with rice and rice to be washed, it is necessary to flatten the surface of the rice before boiling, in order to uniformly cook rice. The method of using a finger or a hand assumes that the surface of the rice is flat. To level the surface of the rice, the cooker must use a separate tool such as a hand or spatula. The spatula is not a tool made for this function, so it is not very effective. Some people prefer to flatten the surface of the rice before filling it with water, and then have the disadvantage of slowly flowing water from the side of the pot very carefully in order to keep the rice surface uniform.
그러므로, 쌀을 이용하여 밥을 지을 때, 요리 기구의 수를 최소로 할 수 있으면서; 기억해야 할 사항들이 줄어들 수 있고; 쌀에 대한 물의 비율(이하 '밥물'이라고도 한다)을 지시하는 눈금이 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밥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연성을 제공하며; 형태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이 저렴할 수 있고; 세척이 쉬워 위생적이면서; 또한 균일하게 익을 수 있도록 쌀의 표면을 평탄하게 만드는 쉽게 위생적인 방식을 제공하는 기술에 대한 요구는 여전히 존재한다.Therefore, when cooking rice using rice, the number of cooking utensils can be minimized; Things to remember can be reduced; Provides the flexibility to use the rice cooker regardless of whether there is a scale indicating the ratio of water to rice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rice"); The shape is simple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low; Hygienic, easy to clean; There is still a need for a technique that provides an easy hygienic way to make the surface of the rice flat so that it can be uniformly cooked.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원하는 특성의 밥을 지을 수 있는 물의 양을 쉽고 정확하게 정할 수 있게 하면서 동시에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물속의 쌀의 표면을 쉽게 고르게 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초보자라 하더라도 간단하고 편리하며 위생적으로 밥을 지을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밥물 지시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ice paddy rice paddy rice paddy rice paddy rice paddy rice paddy rice paddy rice paddy rice paddy rice paddy rice paddy rice paddy rice paddy rice paddy rice paddy ric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rice food indicator which is simple, convenient, and hygienic even if it is a beginner.
또한 본 고안은 밥을 짓는 요리 과정에 있어서, 요리 기구의 수를 최소로 할 수 있으면서; 요리자가 기억해야 할 사항들이 줄어들 수 있고; 쌀에 대한 물의 비율을 지시하는 눈금이 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밥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연성을 제공하며; 형태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이 저렴할 수 있고; 세척이 쉬워 위생적이면서; 또한 균일하게 익을 수 있도록 쌀의 표면을 평탄하게 만드는 과정이 쉬우면서도 위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밥물 지시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number of cooking utensils in the cooking process of cooking rice; The number of things a cook can remember; Providing the flexibility to use the rice cooker whether or not there is a scale indicating the ratio of water to rice; The shape is simple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low; Hygienic, easy to clea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rice indicator which can be easily and hygienically processed so as to make the surface of the rice flat so as to be uniformly ripened.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제공되는 밥물 지시기에 의하여 제공된다.The above object is provided by a rice indicator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밥물 지시기는, 솥 안에 넣어져 있는 세척된 쌀의 양에 따라 채워져야 하는 밥물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밥물 지시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부면이 평평한 얇은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그 하단이 부착되어 상부로 세워지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몸체가 구비되는 핸들; 및 상기 핸들에 표시되어 밥물의 양을 나타내는 계량눈금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ice indicato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rice to be filled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rice washed in a pot, comprising: a thin plate having at least a flat bottom surface; A handle having a lower end attached to the plate and erect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provided with a body that the user can hold by hand; And a weighing scale indicating the amount of rice to be displayed on the handl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계량눈금은 기호, 숫자, 또는 문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tric scale may comprise symbols, numbers, or characters.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계량눈금은 상기 핸들의 표면에 인쇄되거나 또는 요철 구조로 엠보싱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weighing scale may be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handle or embossed with a concave-convex structure.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계량눈금은 요리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가이드 라벨(guide label)을 포함할 수 있다.In yet another embodiment, the metering scale may include a guide label indicating cooking related information.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원형, 타원형, 사각형, 하트형, 꽃모양, 또는 변칙적인 모양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late may be in the form of a circle, an ellipse, a square, a heart, a flower, or an irregular shape.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하부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을 구비할 수 있다.In yet another embodiment, the plate may include at least one aperture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외측에 복수의 유연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late may have a plurality of flexible protrusions formed on the outside thereof.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거나 또는 복수의 레그들이 상기 플레이트에 부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handle may be constructed as a single body or a plurality of legs may be attached to the plate.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들에는 요리법을 안내하는 내용이 인쇄되어 있는 안내카드가 부착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handle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card printed with instructions to guide recipes.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들에는 상기 플레이트의 수평 상태를 나타내는 수준기가 설치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handle may be provided with a level indicator indicating the horizontal state of the plate.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들에는 장식물이 부착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handle may be affixed to the ornament.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형태는 기하학적 형상, 동물 형상, 식물 형상을 포함하여 그 두께와 높이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hape of the handle may be variously formed, including a geometric shape, an animal shape, a plant shape, and the like.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하단부와 상기 플레이트가 결합하는 부분은 힌지핀을 개재하여 접힐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In yet another embodiment, the lower end of the handle and the portion of the plate engageable may be configured to be foldable through a hinge pin.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상단부에는 쌀을 물 속에서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가 설치될 수 있다.In yet another embodiment, an agitator for stirring rice in water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handl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예를 들어 밥을 지을 때, 원하는 특성의 밥을 지을 수 있는 밥물의 양을 쉽고 정확하게 정할 수 있게 하면서 동시에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물속의 쌀의 표면을 쉽게 고르게 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초보자라 하더라도 간단하고 편리하며 위생적으로 밥을 지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밥을 짓는 요리 과정에 있어서, 요리 기구의 수를 최소로 할 수 있으면서; 요리자가 기억해야 할 사항들이 줄어들 수 있고; 쌀에 대한 물의 비율을 지시하는 눈금이 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밥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연성을 제공하며; 형태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이 저렴할 수 있고; 세척이 쉬워 위생적이면서; 또한 균일하게 익을 수 있도록 쌀의 표면을 평탄하게 만드는 과정이 쉬우면서도 위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현저한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when cooking rice,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accurately determine the amount of rice that can cook rice of a desired characteristic, and at the same time, the surface of rice in water can be easily evenly spread So that even beginners can cook rice easily, conveniently and hygienically.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number of cooking utensils in the cooking process of cooking rice; The number of things a cook can remember; Providing the flexibility to use the rice cooker whether or not there is a scale indicating the ratio of water to rice; The shape is simple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low; Hygienic, easy to clean; In addition, it provides a remarkable effect such that the process of flattening the surface of rice so as to be uniformly ripened can be performed easily and hygienically.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공 플레이트, 핸들, 그리고 밥물 계량 눈금을 포함하는 밥물 지시기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공 플레이트, 핸들, 그리고 엠보싱된 형태의 밥물 계량 눈금을 포함하는 밥물 지시기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공 플레이트, 핸들, 및 안내 문구가 표시된 밥물 계량 눈금을 포함하는 밥물 지시기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공 플레이트, 안내카드가 구비된 핸들, 및 밥물 계량 눈금을 포함하는 밥물 지시기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하트 형태의 통공 플레이트, 핸들, 및 밥물 계량 눈금을 포함하는 밥물 지시기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공 플레이트, 복수의 레그가 부착된 핸들, 및 레그 상에 표시된 밥물 계량 눈금을 포함하는 밥물 지시기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공 플레이트, 복수의 레그가 부착된 핸들, 소형 수준기, 및 밥물 계량 눈금을 포함하는 밥물 지시기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공 플레이트, 아치 형태의 레그로 구성된 핸들, 및 밥물 계량 눈금을 포함하는 밥물 지시기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공 플레이트, 장식물이 구비된 핸들, 및 밥물 계량 눈금을 포함하는 밥물 지시기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공 플레이트, 접을 수 있는 핸들, 및 밥물 계량 눈금을 포함하는 밥물 지시기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공 플레이트, 재미있는 형상으로 된 핸들, 및 밥물 계량 눈금을 포함하는 밥물 지시기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쌀 세척가능한 교반기로서 기능할 수 있는 유연한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플레이트, 핸들, 및 밥물 계량 눈금을 포함하는 밥물 지시기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공 플레이트, 쌀 세척용 교반기를 구비하는 핸들, 및 밥물 계량 눈금을 포함하는 밥물 지시기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플레이트, 얇은 직사각형 판 형태의 핸들, 및 밥물 계량 눈금을 포함하는 밥물 지시기들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들.
도 1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플레이트, 얇은 직사각형 판 형태의 핸들, 및 밥물 계량 눈금을 포함하는 밥물 지시기의 형상과 이 밥물 지시기를 사용하여 밥물을 측정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hape of a rice indicator including a through hole plate, a handle, and a rice weighing sca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hape of a rice indicator including a through-hole plate, a handle, and an embossed-type rice weighing sca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hape of a rice indicator including a rice bowl metering graduation marked with a through-hole plate, a handle, and a guiding tex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hape of a rice indicator including a through-hole plate, a handle with a guide card, and a weighing sca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hape of a rice indicator including a heart-shaped through-hole plate, a handle, and a rice weighing sca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hape of a rice indicator, including a through hole plate, a handle with a plurality of legs attached thereto, and a rice weighing scale displayed on the le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hape of a rice indicator, including a through hole plate, a handle with a plurality of legs, a miniature leveler, and a rice weighing sca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hape of a rice indicator including a through-hole plate, a handle consisting of an arch-shaped leg, and a rice weighing sca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hape of a rice indicator including a through hole plate, a handle provided with ornaments, and a weighing sca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hape of a rice indicator including a through-hole plate, a collapsible handle, and a rice weighing sca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hape of a rice indicator, including a through hole plate, a handle in an interesting shape, and a rice weighing sca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hape of a rice indicator including a plate, handle, and rice weighing scale with a flexible plurality of protrusions that can serve as a rice washable stirr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hape of a rice bowl indicator including a through-hole plate, a handle with a rice washing stirrer, and a weighing sca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hape of rice indicia, including various types of plates, handles in the form of thin rectangular plates, and a rice weighing scale, in accordance with still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a rice indicator including a plate, a handle in the form of a thin rectangular plate, and a rice weighing scale, and a state of measuring rice using the rice indic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밥물 지시기(10)는, 예컨대 쌀 또는 보리와 같은 낱알 형태의 곡물 즉 통칭 "쌀"을 이용하여 예컨대 밥을 지을 때, 솥 안에 넣어져 있는 세척된 쌀의 양에 따라 채워져야 하는 밥물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이다.The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밥물 지시기(10)는 플레이트(14), 핸들(12), 및 계량눈금(12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플레이트(14)는 적어도 하부면이 평평한 얇은 판 형태의 몸체(142)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핸들(12)은 플레이트(14)에 그 하단이 부착되어 상부로 세워지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몸체(122)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계량눈금(124)은 핸들(12) 즉 몸체(122)의 표면에 시각적으로 표시되어 밥물의 양을 나타내는 눈금이다.The weighing
본 고안에 따라, 솥에 세척한 쌀을 넣은 후 또는 솥 안에 쌀을 넣고 물을 넣어 세척하고 일단 적당량의 물을 채운 다음, 사용자는 핸들(12)을 손으로 잡고 플레이트(14)를 쌀 위에 대고, 쌀 표면이 평평하게 되도록 고를 수 있다. 이후 평평해진 쌀 표면에 플레이트(14)를 대고 핸들(12)이 수직하게 서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계량눈금(124) 중 자신이나 가족이 선호하는 밥의 되기나 질기의 정도에 따라 눈금 하나를 선택한 후 그 표시된 부분까지 밥물을 조금 더 채우거나 덜어내면서 물의 양을 맞출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washed rice is put in the pot or the rice is put in the pot, the rice is put in the water and washed, and once the proper amount of water is filled, the user holds the
본 고안에 따라, 계량눈금(124)은 사용자에게 적절한 밥물의 양을 지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호, 숫자, 또는 문자를 포함하여, 인쇄되거나 엠보싱된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계량눈금(124)은 수평으로 표시된 라인과 라인 위에 쓰여진 숫자가 핸들(12)의 몸체(122) 표면에 인쇄되어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계량눈금(124)은 몸체(122) 표면에 엠보싱된 라인과 그 라인상에 표시된 숫자로 구성되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ing
한편, 도 3에 도시된 예에 도시된 예에서, 계량눈금(124)은 라인과 문자로 구성되는데, 특히 문자는 요리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가이드 라벨(guide label)일 수 있다. 예시된 예에서, 단모종, 장모종, 흑모종 등의 쌀의 종류마다 서로 다른 밥물의 양을 나타내는 계량눈금(124)이 예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xample show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3, the weighing
쌀의 종류(쌀 종류, 보리 종류, 찹쌀 종류, 현미, 잡곡 혼합 등등)에 따라 다양하게 밥물이 정해져야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의 눈금 상에 문자로 된 가이드 라벨만으로 표시하는 것은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핸들(12)의 몸체(122) 상단부에 고리(126)를 형성하고, 이 고리(126)에 요리법을 안내하는 내용이 인쇄되어 있는 안내카드(128)가 예컨대 끈과 같은 수단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상세한 요리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Since rice should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rice (rice type, barley type, glutinous rice type, brown rice, grain mixture and the like), it is limited to display only with a guide label of characters on a relatively narrow area scale . 4, a
본 고안에 따라 플레이트(14)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144)을 구비할 수 있다. 플레이트(14)는 쌀 표면 상에 물이 어느 정도 채워진 이후에 쌀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플레이트(14)를 꺼낼 때는 밥물이 모두 채워진 후가 된다. 이들 통공(144)은 물 속에서 플레이트(14)를 상승시킬 때, 물의 저항을 줄여줄 수 있다. 그러므로 이렇게 통공(144)들이 구비된 통공 플레이트(14)는 쌀 표면의 평평한 상태를 흐트러지지 않게 하면서 물속에서 물 밖으로 빼내기 용이하도록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5에 예시된 바를 참조하면, 하트 형태의 플레이트(14)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라, 플레이트(14)는 그 하부면이 평평한 얇은 부재라면 충분하므로, 평면도로 볼 때, 원형, 타원형, 사각형, 하트형, 꽃모양, 또는 변칙적인 모양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는 원형의 플레이트(14)가 도시되고, 도 5에는 하트 형태의 플레이트(14)가 도시되며, 도 12에는 복수의 꽃잎이 사방으로 펼쳐진 꽃모양의 플레이트(14)가 도시되고, 도 14의 (a) 내지 (h)에는 다양한 꽃모양의 플레이트(14)가 예시되어 있다. 이들 예시된 플레이트(14)의 형상은 단지 예시로서 제시된 것이며, 본 고안이 이들 형태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고 더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는 것을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이해할 것이다.Referring to FIG. 5, a heart-shaped
본 고안에 따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4)는 외측에 복수의 유연한 돌출부((14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들 돌출부(146)는 오목한 리세스(145)를 개재하여 배치됨으로써 전체적으로 꽃모양의 플레이트(14)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돌출부(146)는, 예컨대 플레이트(14)와 핸들(12)이 플라스틱 재질로 일체로 성형되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유연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46)는 예컨대 쌀을 세척할 때, 사용자가 핸들(12)을 잡고 물속에서 쌀을 교반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이 실시예에 따른 밥물 지시기(10)는 세척 과정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12, a plurality of
핸들(12)은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판 형태 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형태와 같은 하나의 몸체(122)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몸체(122)와 플레이트(14)가 만나는 부분에 계량눈금(124)이 형성될 수 있다.The
다른 방식으로, 핸들(12)은 도 6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두 개의 레그(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레그(123)는 반드시 2개일 필요는, 3개 또는 그 이상으로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두 개 이상의 레그(12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붙잡을 수 있는 비교적 작은 몸체(122)의 하단과 플레이트(14)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계량눈금(124)은 복수의 레그(123)들이 플레이트(14)에 결합된 부분마다 표시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도 8에는 두 개의 레그(123)가 아치 형태로 형성되어, 두 개의 레그(123)가 연결되는 부분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몸체(122)로 이루어지는 핸들(12)의 예가 도시된다.8 shows an example of the
본 고안에 따라,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핸들(12)에는 플레이트(14)의 수평 상태를 나타내는 수준기(125)가 설치될 수 있다. 수준기(125)는 밀폐된 유리관 내에 알코올을 채우고 작은 공기방울을 넣어, 공기방울이 알코올 내에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유리관이 수평을 유지하는 것을 쉽게 표시할 수 있게 하는 널리 알려진 도구이다. 작은 수준기(125)가 핸들(12)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 수준기(125)의 수평 상태는 플레이트(14)의 수평 상태를 나타내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밥물이 투명하지 않고 씻겨진 쌀로부터 떨어진 작은 입자들 때문에 혼탁해져서 뿌연 경우에도 플레이트(14)가 쌀의 표면을 수평하게 만드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는 장점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7, the
한편, 본 고안에 따라,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핸들(12)에는 장식물(127)이 부착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핸들(12) 상단에 작은 공기밥 형상이 부착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런 장식물(127)은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에 따라 기하학적 형성, 동물 형상, 식물 형상, 만화나 영화 캐릭터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어,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를 만족시킬 수 있는 제품의 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9, a
더 나아가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핸들(12)의 전체적인 형태를 기하학적 형상, 동물 형상, 식물 형상, 또는 영화나 만화 캐릭터 형상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핸들(12)의 두께와 높이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역시 소비자의 기호에 맞춘 다양한 제품이 가능하다.11, the overall shape of the
한편, 도 10에는 핸들(12)의 하단부와 상기 플레이트(14)가 결합하는 부분은 힌지핀(13)을 개재하여 접힐 수 있게 구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예는, 밥물 지시기(10)를 보관할 때, 핸들(12)을 접을 수 있게 함으로써, 보관 공간이 절약되도록 하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10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그리고, 본 고안에 따라, 밥물 지시기(10)는 쌀을 세척하는 과정에서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는, 위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14) 상에 교반기 역할을 하는 복수의 돌출부(146)가 구비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다른 방식으로, 도 13에는 핸들(12)의 상단부에 쌀을 물속에서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15)가 설치된 예가 도시된다. 예컨대 쌀을 세척할 때, 사용자가 핸들(12)을 거꾸로 잡고 교반기(15)를 시용하여 물속에서 쌀을 교반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13 shows an example in which a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기능을 가진 밥물 지시기(10)가 제공될 수 있는데, 도 14에는 그중 일부가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밥물 지시기(10)는 단순한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예컨대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하여 사출성형의 방법으로 쉽게 제조가능하므로, 제조단가가 저렴하게 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15는 실제 제작된 밥물 지시기의 단순한 예와 이를 이용하여 밥물을 계측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FIG. 15 is a view showing a simple example of the actually manufactured rice indicator and an example of measuring the rice using the same.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여러 가지 특징을 참조하고 조합하여 다양하고 변형된 구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가 설명된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함을 지적해둔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by referring to the various features set forth herein. Accordingly, it should be pointed out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appended claims.
10 : 밥물 지시기
12 : 핸들
122 : 몸체
123 : 레그
124 : 계량눈금
125 : 수준기
126 : 고리
127 : 장식물
128 : 안내카드
14 : 플레이트
142 : 몸체
144 : 통공
145 : 리세스
146 : 돌출부
13 : 힌지핀
15 : 교반기10: Food indicator
12: Handle
122: Body
123: Legs
124: Weighing scale
125: Level
126: Ring
127: Ornaments
128: Information card
14: Plate
142: Body
144: Through hole
145: recess
146: protrusion
13: Hinge pin
15: stirrer
Claims (12)
상하부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144)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부면이 평평한 얇은 플레이트(14);
사용자가 손으로 잡은 부분으로서, 하단이 상기 플레이트(14)에 결합되어 상부로 세워지며, 밥물의 양을 나타내는 계량눈금(124)이 표시되는 핸들(12);
상기 핸들(12)의 하단을 상기 플레이트(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핀(13)
을 포함하는 밥물 지시기A rice indicator (10) for measuring the amount of rice to be fill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rice washed in a pot,
A thin plate (14) having at least one through-hole (144)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t least a lower surface being flat;
A handle (12) with the hand held by the user, the lower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plate (14) and which is raised upwards, and a weighing scale (124) indicating the amount of rice is displayed;
A hinge pin 13 for rotatably coupling the lower end of the handle 12 to the plate 14,
/ RTI >
상기 핸들(12)에는 수준기(12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물 지시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12) is provided with a leveling device (125)
상하부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144)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부면이 평평한 얇은 플레이트(14);
사용자가 손으로 잡은 부분으로서, 하단이 상기 플레이트(14)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부로 세워지며, 밥물의 양을 나타내는 계량눈금(124)이 표시되는 핸들(12);
상기 핸들(12)에 설치된 수준기(125)
를 포함하는 밥물 지시기A rice indicator (10) for measuring the amount of rice to be fill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rice washed in a pot,
A thin plate (14) having at least one through-hole (144)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t least a lower surface being flat;
A handle 12 on which a lower end is integrally joined to the plate 14 by a user's hand and is raised upward and in which a weighing scale 124 indicating the amount of rice is displayed;
The leveling device 125 installed on the handle 12,
/ RTI >
상기 핸들(12)은, 몸체(122)와, 상기 몸체(122)와 상기 플레이트(14)를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레그(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물 지시기.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handle indicator (12) includes a body (122) and a plurality of legs (123) connecting the body (122) and the plate (14).
상기 핸들(12)의 상단에는 쌀을 물 속에서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15)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물 지시기.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 stirrer (15) for stirring the rice in water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handle (12).
상기 플레이트(14)는 가장자리에서 측방으로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146)와 상기 다수의 돌출부(146)의 사이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리세스(1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물 지시기.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plate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laterally at an edge thereof and a plurality of recesses 145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s.
상기 핸들(12)에는 요리법을 안내하는 내용이 인쇄되어 있는 안내카드(128)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물 지시기.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handle (12) is provided with a guide card (128) printed with contents to guide recipes.
상기 계량눈금(124)은 요리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가이드 라벨(guide labe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물 지시기.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Characterized in that said weighing scale (124) comprises a guide label indicating cooking related informa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7244U KR200475519Y1 (en) | 2013-08-28 | 2013-08-28 | Rice-Water Rul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7244U KR200475519Y1 (en) | 2013-08-28 | 2013-08-28 | Rice-Water Ruler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82652 Division | 2012-07-27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6215U Division KR20140004932U (en) | 2014-08-20 | 2014-08-20 | Rice-Water Rul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0791U KR20140000791U (en) | 2014-02-05 |
KR200475519Y1 true KR200475519Y1 (en) | 2014-12-05 |
Family
ID=52441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7244U Expired - Fee Related KR200475519Y1 (en) | 2013-08-28 | 2013-08-28 | Rice-Water Rul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5519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120824A1 (en) * | 2021-12-22 | 2023-06-29 | 김홍룡 | Rice water adjusting instrumen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4309Y1 (en) * | 1992-08-31 | 1995-05-24 | 서덕모 | Rice cooker |
KR19980024859U (en) * | 1998-04-20 | 1998-07-25 | 장근진 | Rice measuring instrument |
KR200394851Y1 (en) * | 2005-06-17 | 2005-09-07 |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 Rice Cooking Condition Mesuring Apparatus |
KR200438087Y1 (en) * | 2006-10-13 | 2008-01-21 | 조이순 | Household rice cleaning tools |
-
2013
- 2013-08-28 KR KR2020130007244U patent/KR200475519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4309Y1 (en) * | 1992-08-31 | 1995-05-24 | 서덕모 | Rice cooker |
KR19980024859U (en) * | 1998-04-20 | 1998-07-25 | 장근진 | Rice measuring instrument |
KR200394851Y1 (en) * | 2005-06-17 | 2005-09-07 |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 Rice Cooking Condition Mesuring Apparatus |
KR200438087Y1 (en) * | 2006-10-13 | 2008-01-21 | 조이순 | Household rice cleaning tool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120824A1 (en) * | 2021-12-22 | 2023-06-29 | 김홍룡 | Rice water adjusting instrum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0791U (en) | 2014-0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20031805A1 (en) | Daily Meal Planning System | |
US20100291515A1 (en) | Regulating Food and Beverage Intake | |
MX2007008861A (en) | Display apparatus for and method of displaying baby care articles. | |
MX2007008858A (en) | Feeding implements for children of different stages of development. | |
US20030169801A1 (en) | Cooking pot with measurement lines and a timer and method therefor | |
US20140102956A1 (en) | Colander | |
US20070245825A1 (en) | Graduated container for dietary portions | |
KR20140004932U (en) | Rice-Water Ruler | |
KR200475519Y1 (en) | Rice-Water Ruler | |
US8844354B2 (en) | Universal measuring container and method | |
US20060029698A1 (en) | Food template | |
US20070068250A1 (en) | Measuring cups | |
US20070062045A1 (en) | Portioning spoons | |
US20140011165A1 (en) | Little Chef Cooking Tools | |
CN210741592U (en) | Staple food quantitative weighing cup | |
US20160058224A1 (en) | Bar Cup | |
JP3231351U (en) | Bowl with weighing scale | |
JP2850206B2 (en) | Cooking instruction container | |
JP3020932U (en) | Cooking instruction container | |
JP3087626U (en) | Chopsticks with ruler | |
CN110864757A (en) | A staple food quantitative weighing cup | |
JP2006042977A (en) | Salad maker | |
CN2471266Y (en) | Device for cooking seasoning | |
JP3089642U (en) | Food in containers | |
KR200418354Y1 (en) | Electric Rice Cook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5 | Converted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9-cnv-UA0105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21-cnv-UA0105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UG1501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U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U106 |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UA0106 | Division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UA0106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UA0106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18120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1202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