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75460Y1 - Purifying apparatus and air respirator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urifying apparatus and air respirator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460Y1
KR200475460Y1 KR2020130006540U KR20130006540U KR200475460Y1 KR 200475460 Y1 KR200475460 Y1 KR 200475460Y1 KR 2020130006540 U KR2020130006540 U KR 2020130006540U KR 20130006540 U KR20130006540 U KR 20130006540U KR 200475460 Y1 KR200475460 Y1 KR 2004754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housing
main body
purifi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654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현
이광선
Original Assignee
서울특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특별시 filed Critical 서울특별시
Priority to KR20201300065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46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4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460Y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1/00Containers or portable cabins for affording breathing protection with devices for reconditioning the breathing air or for ventilating, in particular those that are suitable for invalids or small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0Respiratory apparatus with filter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호흡기용 정화 장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배기구 및 흡기구가 형성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필터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부에 상기 내부 공간에 대응하여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덮는 윈도우 부재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부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본체와, 상기 필터 본체의 오염을 판단하도록 상기 윈도우 부재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오염 판단 부재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urifier for an air purifier, comprising: a housing part having an inner space and having an exhaust port and an air inlet port; And a filter unit located in the inner space. An opening portion is formed in the hous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space, and a window member covering the opening portion is formed. The filter unit includes a filter body for purifying the air and a pollution judging member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window member to judge contamination of the filter body.

Description

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호흡기{PURIFYING APPARATUS AND AIR RESPIRATOR INCLUD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rifying apparatus and an air purifier including the purifying apparatus.

본 고안은 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호흡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호흡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rifier and an air purifier including the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rifie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and an air purifier including the same.

화재 등이 발생했을 때 구조 활동은 짧은 시간 내에 이루어져야 하는 생사를 다투는 활동이다. 화재 발생 시 화재 건물 내부에 있는 생존자가 탈출을 시도하여 다치거나, 구조를 기다리는 동안 유해 가스를 흡입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호흡기용 정화 장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배기구 및 흡기구가 형성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필터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부에 상기 내부 공간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투과성을 가지는 윈도우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필터부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본체와, 상기 필터 본체의 오염을 판단하도록 상기 윈도우 부재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오염 판단 부재를 포함한다. When a fire occurs, rescue activities should be carried out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When a fire occurs, the survivor inside the fire building attempts to escape and sucks the harmful gas while waiting for the structure or the structure. The purifier for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ner space and has an exhaust port and an air inlet A housing part; And a filter unit located in the inner space. And a window member formed in the hous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and having permeability. The filter unit includes a filter body for purifying the air and a pollution judging member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window member to judge contamination of the filter body.

질식사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It may cause problems such as suffocation.

화재 발생 시 인명 구조를 위하여 구조 활동을 수행하는 소방관과 같은 구조자는 소방용 방화복 착용과 함께 공기 호흡기를 기본적으로 착용한다. 공기 호흡기는 고압 공기가 저장되는 공기통과,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하는 마스크 등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공기통 내에 고압 공기를 저장하기 위한 공기 충전기에는 필터 시스템이 위치하고 있으나, 공기통과 마스크 사이에는 별도의 필터 등이 위치하지 않는다. Rescuers, such as firefighters, who carry out rescue operations for rescue in the event of a fire, wear a respirator in addition to wearing fire fighting clothing. The air respirator includes an air cylinder in which high-pressure air is stored, and a mask to be worn on the user's face. Generally, a filter system is located in an air charger for storing high-pressure air in an air cylinder, but no separate filter is located between the air cylinder and the mask.

그러나 공기 충전기의 기술적인 한계 등으로 인하여 공기통 내부에 과다한 수분, 유분, 황색 분말, 미세 분말 등이 공기통 내에 함께 고압으로 축적된다. 공기통 내의 과다한 수분은 공기통 내부를 부식시켜 오염 물질을 방출할 수 있다. 공기통 내의 유분, 철, 망간, 알루미늄, 규소, 황 등의 이물질이 사용자에게 전달되어 호흡기 질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호흡기의 사용이 오히려 공기 호흡기의 사용자인 소방관 등의 건강 및 생명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 However, excessive water, oil, yellow powder, and fine powder accumulate in the air tank together with high pressure due to the technical limit of the air charger. Excessive moisture in the air can corrode the inside of the air box to release pollutants. Foreign substances such as oil, iron, manganese, aluminum, silicon, and sulfur in the air can be delivered to the user, causing problems such as respiratory diseases. Accordingly, the use of the air respirator may pose a serious threat to the health and life of firefighters who are users of the air respirator.

본 고안은 사용자의 건강 및 생명을 보호하고 필터 교체의 시점을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호흡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purifier and an air respirator including the purifier, which can protect the health and life of the user and accurately ascertain the point of time of filter replacement.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호흡기용 정화 장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배기구 및 흡기구가 형성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필터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부에 상기 내부 공간에 대응하여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덮는 윈도우 부재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부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본체와, 상기 필터 본체의 오염을 판단하도록 상기 윈도우 부재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오염 판단 부재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urifier for an air purifier, comprising: a housing part having an inner space and having an exhaust port and an air inlet port; And a filter unit located in the inner space. An opening portion is formed in the hous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space, and a window member covering the opening portion is formed. The filter unit includes a filter body for purifying the air and a pollution judging member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window member to judge contamination of the filter body.

상기 필터 본체가 내부에 수용되는 필터 수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lter body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receiver accommodated therein.

상기 필터 수용체가, 측면을 구성하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단부를 덮는 캡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lter receptacle may include a side surface portion constituting a side surface and a cap portion covering an end portion of the side surface portion.

상기 캡부에 공기가 흐르는 홀이 위치할 수 있다. And a hole through which air flows may be positioned in the cap portion.

상기 측면부가 투과성일 수 있다. The side portion may be transmissive.

상기 배기구 및 상기 흡기구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여 위치하도록 상기 필터 수용체와 상기 본체 필터 사이에 위치하는 방진막을 포함할 수 있다. And a vibration damper positioned between the filter receiver and the main filter so as to be positioned adjacent to at least one of the exhaust port and the intake port.

상기 오염 판단 부재가 상기 필터 본체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될 수 있다. The contamination judging member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상기 오염 판단 부재가 상기 필터 본체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ontamination judging member may be a partition wall for partitioning the inner space of the filter body.

상기 오염 판단 부재가 백색의 원단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amination judging member may include a white fabric.

상기 필터 수용체에 상기 오염 판단 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And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contamination judging member may be formed on the filter receiver.

상기 오염 판단 부재가 상기 필터 수용체의 일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제1 결합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 수용체의 외면에 상기 제1 결합 부분에 결합되는 제2 결합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The contamination judging member may be located in a part of the filter receiver. A first engaging portion may be formed inside the housing portion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may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lter receptacle to be coupled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상기 하우징부는,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일측이 개구되는 하우징 본체부와, 상기 하우징 본체부의 상기 일측에 결합되는 하우징 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부재가 상기 하우징 본체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housing part may include a housing main body part having an inner space and opened at one side, and a housing cap part coupled to the one side of the housing main body part. And the window member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main body portion.

상기 하우징 캡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패킹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And a packing member inserted into the housing cap portion.

상기 탄성 부재가 오링(o-ring)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lastic member may include an o-ring.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호흡기는, 공기가 충전되는 공기통; 사용자에 상기 공기를 제공하는 마스크; 상기 공기통과 상기 마스크를 연결하는 호스; 및 상기 호스에 흐르는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 장치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respirator comprising: an air cylinder to which air is charged; A mask for providing the user with the air; A hose connecting the reservoir and the mask; And a purifier for purifying air flowing through the hose.

상기 정화 장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배기구 및 흡기구가 형성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에 상기 내부 공간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투과성을 가지는 윈도우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본체와, 상기 필터 본체의 오염을 판단하도록 상기 윈도우 부재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오염 판단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urifier includes: a housing part having an inner space and having an exhaust port and an air inlet port; And a filter unit located in the inner space. And a window member formed in the hous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and having permeability. The filter unit may include a filter body for purifying the air and a pollution judging member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window member to judge contamination of the filter body.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정화 장치가 공기통과 마스크 사이에 위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공기의 오염도를 최대한 저감하여 사용자의 건강 및 생명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오염 판단 부재 및 윈도우 부재에 의하여 필터 본체의 오염 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필터 본체의 교체 시점을 정확하게 알 수 있어, 사용자의 건강 및 생명의 안전을 도모하고 필터 본체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urifier is located between the air can and the mask, so that the pollution degree of the air supplied to the user can be reduced as much as possible, thereby protecting the user's health and life safely.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filter body can be easily determined by the contamination judging member and the window member. Accordingly, the replacement time point of the filter main body can be accurately known, the health and life of the user can be secured, and the waste of the filter main body can be reduced.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호흡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공기 호흡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도 1의 공기 호흡기에 포함되는 정화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화 장치의 필터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호흡기용 정화 장치의 오염 판단 부재 및 필터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6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호흡기용 정화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ir respi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air respirator of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rifier included in the air respirator of FIG. 1; FIG.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 unit of the purifier of FIG. 3;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llution judging member and a filter body of an air purifier for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rifier for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but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도면에서는 본 고안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고안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the width, and the like are enlarged or reduced in order to make the description more clear, and the thickness, width, etc.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Wherever certain parts of the specification are referred to as "comprising ", the description does not exclude other parts and may include other par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Also, when a portion of a layer, film, region, plate, or the like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portion, it also includes the case where another portion is located in the middle as well as the other portion. When a portion of a layer, film, region, plate, or the like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on" another portion, it means that no other portion is located in the middl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호흡기 및 이에 적용되는 정화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n air respi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urifier applied thereto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호흡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기 호흡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respi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air respirator of FIG.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호흡기(100)는, 자체 저장 호흡 장치(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로서, 사용자에게 공급할 공기가 저장되는 공기통(10)과,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하여 사용자에게 공기를 공급하는 마스크(20)와, 공기통(10)과 마스크(20)를 연결하여 공기가 흐르는 호스(30)와, 호스(30)에 흐르는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 장치(40)를 포함한다. 그리고 공기통(10)과 마스크(20)의 사이에는 압력계(50), 1차 및 2차 감압계(52, 54)와, 사용자의 등에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는 등 결속부(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n air-assisted respira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which includes a reservoir 10 for storing air to be supplied to a user, A hose 30 through which the air flows by connecting the air chamber 10 and the mask 20 to each other and a purifier 40 for purifying air flowing through the hose 30 . A pressure gauge 50, primary and secondary decompression gauges 52 and 54 and a binding portion 60 etc. which can be stably worn on the back of the user are included between the air cylinder 10 and the mask 20 can do.

공기통(10)은 공기가 저장되는 내부 공간을 가진다. 이때, 공기통(10) 내에는 대기 중의 압축한 공기가 위치할 수 있고, 1차 및 2차 감압계(52, 54)를 통하여 인체에 적합한 상태의 압력으로 전환된 후에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공기통(10)에 압축한 공기를 저장하여 농연이 가득한 산소결핍 현장(예를 들어, 질식이 일어날 수 있는 산소 18% 이하의 현장)에서 사용자에게 정화된 공기를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The air cylinder (10) has an internal space in which air is stored. At this time, compressed air in the atmosphere can be located in the air cylinder 10 and is supplied to the user after being converted to a pressure suitable for the human body through the primary and secondary decompression meters 52, 54. The compressed air can be stored in the air box 10 to effectively supply the purified air to the user in an oxygen deficient site where the atmosphere is full (for example, a site of 18% or less oxygen in which the asphyxiation may occur).

공기통(10)은 고압 충전이 가능하고, 부식, 수소 침투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화재 현장 등에서 안정성이 우수한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공기통(10)은 알루미늄 합금 라이너에 필라멘트 와인딩 공정을 이용하여 복합 재료를 입히는 것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는, 공기통(10)이 탄소 섬유 및/또는 유리 섬유를 수지(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에 함침시켜 풀랩핑(full wrapping)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공기통(10)이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The air cylinder (10) can be filled with high pressure and can effectively prevent corrosion, hydrogen permeation, and the like, and can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having excellent stability in the field of fire. In one example, the air canister 10 can be manufactured by applying a composite material to an aluminum alloy liner using a filament winding process. Alternatively, the air cylinder 10 can be manufactured by full-wrapping carbon fibers and / or glass fiber impregnated with a resin (for example, an epoxy resi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ir cylinder 10 can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하는 마스크(20)는 공기통(10)으로부터 호스(30)를 통하여 제공된 공기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고 폐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하여 화재 현장 등에서 사용자 및 이의 얼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마스크(20)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구조 및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The mask 20 to be worn on the user's face serves to supply the user with the air provided through the hose 30 from the air box 10 and to discharge the waste to the outside. In addition, it plays a role of protecting the user and his / her face in a fire scene by being worn on the user's face. The mask 2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and various structures and methods may be applied.

공기통(10)과 마스크(20)를 연결하는 호스(30)는 공기통(10)으로부터 제공된 공기를 마스크(20)까지 전달하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호스(30)는, 공기통(10)과 정화 장치(40)를 연결하는 제1 호스(31)와, 정화 장치(40)와 마스크(20)를 연결하는 제2 호스(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1 호스(31)를 흐른 공기가 정화 장치(40)를 통과하여 제2 호스(32)를 흐른 후에 마스크(20)에 제공될 수 있다. The hose 30 connecting the air cylinder 10 and the mask 2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and may have various structures for transferring the air provided from the air cylinder 10 to the mask 20. The hose 30 in this embodiment includes a first hose 31 connecting the air cylinder 10 and the purifier 40, a second hose 32 connecting the purifier 40 and the mask 20, . ≪ / RTI > The air flowing through the first hose 31 can be supplied to the mask 20 after flowing through the second hose 32 through the purifier 40. [

공기통(10)의 공기 배출구에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50)와 배출된 공기의 압력을 1차로 감압하는 1차 감압계(52)가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원하는 압력으로 공기를 1차로 감압할 수 있다. 그리고 마스크(20)의 하단에는 1차로 감압된 공기의 압력을 대기압 또는 대기압보다 약간 높은 양압 상태로 2차 감압하는 2차 감압계(54)가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공기통(10) 내의 고압 공기를 사용자에게 무해한 압력의 공기로 전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압력계(50)와, 1차 및 2차 감압계(52, 54)의 위치 등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고, 압력계(50)와, 1차 및 2차 감압계(52, 54)로는 알려진 다양한 방식, 구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A pressure gauge 50 for measuring the pressure of the air and a primary pressure-reducing meter 52 for primarily reducing the pressure of the discharged air can be positioned at the air outlet of the air cylinder 10. As a result, the air can be firstly depressurized with a desired pressure. At the lower end of the mask 20, there may be a secondary decompression system 54 for secondarily decompressing the pressure of the air that has been first depressurized to atmospheric pressure or a positive pressure state that is slightly higher than atmospheric pressure. Thus, the high-pressure air in the air cylinder 10 can be converted into harmless air to the user and supplied to the user. The position and the like of the pressure gauge 50 and the primary and secondary pressure reducing gauges 52 and 54 can be variously changed and various kinds of pressure gauges 50 and various kinds of pressure gauges 52 and 54 Method, structure, and the like can be applied.

1차 감압계(52)와 2차 감압계(54) 사이에서 제1 호스(31)와 제2 호스(32) 사이에 위치하는 정화 장치(40)는 호스(30)에 흐르는 공기를 정화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1차 감압계(52)에 의하여 1차 감압된 상태의 공기를 다시 한번 정화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공기의 오염도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A purifier 40 located between the first hose 31 and the second hose 32 between the first decompression system 52 and the second decompression system 54 cleans the air flowing in the hose 30 .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ir in the first reduced pressure state by the first decompression system 52 is once again cleaned, and the pollution degree of the air supplied to the user can be effectively reduced.

본 실시예에 따른 정화 장치(40)를 도 3 및 도4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공기 호흡기에 포함되는 정화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화 장치의 필터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The purifier 4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urifier included in the air respirator of FIG. 1,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lter unit of the purifier of FIG.

이러한 정화 장치(40)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제1 및 제2 호스(도 1의 참조부호 31, 32 참조, 이하 동일)에 연결되는 하우징부(42)와, 하우징부(42)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필터부(44)를 포함한다. The purifier 40 includes a housing portion 42 having an internal space and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hoses 31 and 32, And a filter unit 44 located in the housing.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부(42)는,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일측이 개구되는 하우징 본체부(422)와, 개구된 하우징 본체부(422)의 일측에 결합되어 하우징 본체부(422)에 고정되는 하우징 캡부(4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하우징 본체부(422)와 하우징 캡부(424)가 결합된 상태일 때는 필터부(44)를 하우징부(42)의 내부 공간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하고, 하우징 캡부(424)를 하우징 본체부(422)로부터 분리하여 필터부(44)를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3, the housing part 42 includes a housing main body part 422 having an inner space and one side opened, a housing main body part 422 fixed to the housing main part 422 by being coupled to one side of the opened housing main part 422, The housing cap portion 424 may be formed of a metal. Thus, when the housing main body portion 422 and the housing cap portion 424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filter portion 44 can be stably position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portion 42, and the housing cap portion 424 So that the filter unit 44 can be easily replaced by separating it from the housing main body 422. [

이때, 하우징 본체부(422) 및 하우징 캡부(424) 중 하나에 제1 호스(31)에 연결되는 흡기구(422a)가 위치할 수 있고, 다른 하나에 제2 호스(32)에 연결되는 배기구(424a)가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1 호스(31)로부터 제공된 공기가 하우징부(42)의 내부를 통과하여 제2 호스(32)로 흘러나갈 수 있도록 제1 및 제2 호스(31, 32)와 하우징부(42)를 체결할 수 있다. 도 1을 함께 참조하면, 제1 및 제2 호스(31, 32)에는 하우징부(42)의 흡기구(422a) 및 배기구(424a)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부재(31a, 3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및 제2 호스(31, 32)와 하우징부(42)를 안정적으로 체결할 수 있다.At this time, one of the housing main body portion 422 and the housing cap portion 424 may have an intake port 422a connected to the first hose 31 and an exhaust port 422a connected to the second hose 32 424a may be located. The first and second hoses 31 and 32 and the housing part 4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air supplied from the first hose 31 can pass through the interior of the housing part 42 and flow to the second hose 32. [ . 1, the first and second hoses 31 and 32 may further include connection members 31a and 32b for connection with the intake port 422a and the exhaust port 424a of the housing portion 42 have. Thus, the first and second hoses 31 and 32 and the housing part 42 can be stably fastened.

도면에서는 하우징 본체부(422)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422b)와, 이에 결합되는 하우징 캡부(424) 외면의 나사(424b)를 이용하여, 하우징 본체부(422)와 하우징 캡부(424)를 결합 또는 분리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즉, 하우징 캡부(424)를 하우징 본체부(422)의 개구된 일측 내부에 위치한 다음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이들을 결합하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이들을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 및 방식에 의하여 하우징 본체부(422)와 하우징 캡부(424)를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다. The housing main body portion 422 and the housing cap portion 424 are coupled using a screw 422b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main body portion 422 and a screw 424b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cap portion 424 coupled thereto. Or separation. In other words, the housing cap portion 424 can be rotated by rotating the housing cap portion 424 in one direction located inside the opened one side of the housing main portion 422, and by rotating them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y can be separa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housing main body portion 422 and the housing cap portion 424 can be joined and separated by various structures and methods.

상술한 하우징 본체부(422) 및 하우징 캡부(424)는 화재 현장 등에서 불에 잘 견딜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 본체부(422) 및 하우징 캡부(424)는 금속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 본체부(422) 및 하우징 캡부(424)가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The housing main body portion 422 and the housing cap portion 424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withstand fire in a fire scene or the like. For example, the housing main body portion 422 and the housing cap portion 424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housing main body portion 422 and the housing cap portion 424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이때, 하우징 캡부(424)의 내부에는 공기가 새지 않도록 하며 필터부(44)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패킹 부재(424c)가 위치할 수 있다. 패킹 부재(424c)는 다양한 물질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본 실시예에서 패킹 부재(424c)는 고무와 같은 탄성 부재로 구성되는 오링(o-ring)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공기 누출을 방지하여 공기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At this time, a packing member 424c for stably fixing the filter unit 44 can be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cap unit 424 so as not to leak air. The packing member 424c can have a variety of materials and configurations. As an example, in this embodiment, the packing member 424c may be composed of an o-ring composed of an elastic member such as rubber. Thereby preventing air leakage and effectively providing air to the user.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 본체부(422)에는 내부 공간을 볼 수 있도록 내부 공간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투광성을 가지는 윈도우 부재(422c)가 위치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하우징 본체부(422)의 일부를 제거하여 개구부(422d)를 형성하고, 개구부(422d) 상에 윈도우 부재(422c)를 위치시키는 것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422c)는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일 예로, 투명한 유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본체부(422)와 윈도우 부재(422c)는 다양한 구조, 방식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 본체부(422)와 윈도우 부재(422c)는 이종 사출 방법에 의하여 동시에 형성하여 제조 방법을 단순화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window member 422c having the light transmitting property may be positioned in the housing main body 422 in correspondence with the inner space so that the inner space can be seen. More specifically, it can be formed by removing a part of the housing main body portion 422 to form an opening portion 422d and positioning the window member 422c on the opening portion 422d. The window member 422c can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for example, transparent glass or the like. The housing main body portion 422 and the window member 422c may be coupled in various structures, schemes,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housing main body portion 422 and the window member 422c can be formed simultaneously by a heterogeneous injection method, thereby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method.

하우징부(42)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필터부(44)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본체(442)와, 필터 본체(442)의 오염 정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필터 본체(442)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오염 판단 부재(44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부(44)는 정화 효과를 향상할 수 있도록 방진막(446)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술한 필터 본체(442), 오염 판단 부재(444), 방진막(446) 등을 수용하는 필터 수용체(4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filter unit 44 position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unit 42 includes a filter body 442 for purifying the air and a filter unit 442 for determin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filter body 442 And a pollution judging member 444 located corresponding to the filter body 442. [ The filter unit 44 may further include a vibration damping film 446 to improve the cleaning effect and may include a filter body 442 for receiving the filter body 442, the contamination judging member 444, the vibration damping film 446, (448).

필터 수용체(448)는 공기의 정화를 위한 다양한 구성(즉, 필터 본체(442), 오염 판단 부재(444), 방진막(446) 등)을 수용하여 필터부(44)를 일체화한다. 이에 의하여 필터부(44)를 하우징부(42)의 내부 공간에 탈착하는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The filter receiver 448 receives various configurations for cleaning the air (i.e., the filter body 442, the contamination determining member 444, the vibration damping film 446, and the like) to integrate the filter unit 44. Thus, the process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filter unit 44 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unit 42 can be simplified.

필터 수용체(448)의 형상은 하우징부(42)의 내부 공간에 들어갈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부(42)의 내부 공간이 원기둥 형상을 가지고 필터 수용체(448)가 이에 대응하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부(42) 및 필터 수용체(448)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The shape of the filter receiver 448 may have a variety of shapes that can fit into the interior space of the housing portion 42. 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part 42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he filter receiver 448 has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hereto.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hape of the housing part 42 and the filter receiver 448 can be variously modified.

좀더 구체적으로 필터 수용체(448)는, 측면을 구성하는 측면부(448a)와, 측면부(448a)의 단부에 결합되는 캡부(448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캡부(448b)를 측면부(448a)으로부터 분리하여 필터 본체(442), 방진막(446) 등을 교체한 다음 캡부(448b)를 측면부(448a)에 결합할 수 있다. 즉, 단순한 공정에 의하여 필터 본체(442), 방진막(446) 등을 교체할 수 있다. 이때, 캡부(448b)에는 공기가 흐르는 홀(449)이 위치하여 필터 수용체(448)의 내부로 공기가 잘 흘러 들어가고 잘 흘러 나오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캡부(448b)는 격자 형상을 가져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면서도 공기가 잘 흘러 들어가고 잘 나가도록 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filter receiver 448 may include a side surface portion 448a constituting a side surface and a cap portion 448b coupled to an end portion of the side surface portion 448a. The cap portion 448b can be separated from the side surface portion 448a and the cap portion 448b can be coupled to the side surface portion 448a after replacing the filter main body 442, the dustproof film 446 and the like. That is, the filter main body 442, the vibration damping film 446, and the like can be replaced by a simple process. At this time, the hole 449 through which the air flows is positioned in the cap portion 448b, so that the air can flow well into the filter receiver 448 and flow out well. For example, the cap portion 448b may have a lattice shape so that the air can flow well while maintaining a stable structure.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 수용체(448)의 내부에 오염 판단 부재(444)가 위치하고, 하우징 본체부(422)에 위치한 윈도우 부재(422c) 및 측면부(448a)를 통하여 필터 수용체(448) 내부의 오염 판단 부재(444)를 보게 된다. 따라서 측면부(448a)를 투광성 물질로 구성하여 필터 수용체(448) 내부의 오염 판단 부재(444)를 윈도우 부재(422c)를 통하여 쉽게 볼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측면부(448a)은 투명한 수지(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캡부(448b)는 측면부(448a)의 단부에 결합되므로 투광성 물질 또는 불투광성 물질 등 다양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캡부(448b)로는 다양한 수지로 고정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ontamination judging member 444 is located inside the filter receptacle 448 and the contamination judgment inside the filter receptacle 448 through the window member 422c and the side surface portion 448a located in the housing main body portion 422 Member 444 is seen. Therefore, the side surface portion 448a is made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so that the contamination judging member 444 inside the filter receiver 448 can be easily seen through the window member 422c. In one example, the side surface portion 448a may have a transparent resin (for example, polycarbonate resin) shape. Since the cap portion 448b is coupled to the end portion of the side surface portion 448a, various materials such as a translucent material or an opaque material can be used. The cap portion 448b can be fixed with various resins.

필터 수용체(448)의 내부에 위치하는 필터 본체(442)로는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필터 본체(442)는 다공성을 가져서 넓은 표면적에 의하여 우수한 흡수성 및 흡착성을 가지고 빠른 화학 반응이 일어나도록 하는 활성 탄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정한 크기의 활성 탄소 입자들을 필터 본체(442)로 사용하면 활성 탄소 입자들 사이로 공기가 원활하게 흐르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균일하게 미세한 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구멍에 분자들이 흡착되도록 하는 흡착력이 우수한 흡착제(예를 들어, 합성 제오라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활성 탄소와 흡착제를 사용하면 공기 내의 오염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터 본체(442)로 다양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ilter body 442 located inside the filter receiver 448 may be composed of various materials capable of purifying the air. In one example, the filter body 442 may comprise activated carbon that has porosity to allow for a rapid chemical reaction to occur with a high absorbency and adsorptivity by a large surface area. At this time, if a certain size of activated carbon particles are used as the filter body 442, air can flow smoothly between the activated carbon particles. And an adsorbent (for example, a synthetic zeolite) having uniformly fine pores and having excellent adsorption ability to adsorb molecules to the pores. Thus, using activated carbon and adsorbent can effectively remove pollutants in the ai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lter body 442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필터 수용체(448)(좀더 상세하게는, 배기구(424a) 및/또는 흡기구(422a)에 인접한 캡부(448b))와 필터 본체(442)의 사이에 방진막(446)이 위치할 수 있다. 방진막(446)은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표면 처리된 원단(예를 들어, 부직포, 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방진막(446)에 의하여 공기 내의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방진막(446)의 재질, 구조 등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The vibration damping film 446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lter main body 442 and the filter main body 442 (more specifically, the cap portion 448b adjacent to the vent 424a and / or the intake port 422a). The anti-vibration film 446 may be formed of a surface-treated fabric (for example, non-woven fabric, cotton, etc.) to remove dust. Dust in the air can be effectively removed by the anti-vibration film 446.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aterial and structure of the anti-vibration film 446 can be variously modified.

필터 수용체(448)(좀더 상세하게는, 윈도우 부재(422c)에 의하여 보여지는 측면부(448a)의 부분)과 필터 본체(442)의 사이에 오염 판단 부재(444)가 위치한다. 오염 판단 부재(444)로는 먼지 등이 붙어서 필터 수용체(448) 내부의 오염 정도를 판단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물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오염 판단 부재(444)가 백색을 가지는 원단(예를 들어, 부직포, 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백색을 가지는 원단을 사용하면,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오염 판단 부재(444)의 색 변화에 의하여 쉽게 오염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오염 판단 부재(444)에 먼지, 오염 물질 등이 부착되어 황색, 갈색, 회색, 검정색 등으로 변색되면 필터 본체(442)가 오염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오염 판단 부재(444)로 오염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시약 등이 위치하는 원단, 카트리지 등으로 구성하여, 오염 판단 부재(444)의 오염 정도를 좀더 객관적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tamination judging member 444 is positioned between the filter body 442 and the filter body 442 (more specifically, the portion of the side surface portion 448a seen by the window member 422c). The pollution judging member 444 may be composed of various substances which are attached to dust or the like to judge the degree of pollution inside the filter receiver 448. In one example, the contamination judging member 444 may be composed of a fabric having a white color (for example, nonwoven fabric, cotton, etc.). The use of a fabric having a white color allows the degree of contamination to be easily determined by the color change of the contamination judging member 444 while the cost is low. That is, when dust, pollutants, or the like are adhered to the contamination judging member 444 and discolored to yellow, brown, gray, black or the like, it can be judged that the filter body 442 is contamina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contamination determining member 444 can be made of a fabric, a cartridge, or the like in which a reagent or the like capable of measur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is located, so that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contamination determining member 444 can be more objectively determined.

본 실시예에서는 오염 판단 부재(444)가 필터 본체(442) 측면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위치할 수 있다. 필터 본체(442) 측면의 외면에 오염 판단 부재(444)를 감은 상태로 필터 수용체(448) 내부로 필터 본체(442) 및 오염 판단 부재(444)를 삽입하여 이러한 구조로 오염 판단 부재(444)를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간단한 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 본체(442)의 외면에 전체적으로 오염 판단 부재(444)가 위치하여 필터 본체(442)의 위치와 관계 없이 윈도우 부재(422c)를 통하여 오염 판단 부재(444)의 오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is embodiment, the contamination judging member 444 may be positioned so as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surface of the filter body 442. The filter body 442 and the pollution judging member 444 are inserted into the filter receptacle 448 while the pollution judging member 444 is wou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surface of the filter body 442, Can be installed. Thus, a simple structure can be obtained. The contamination judging member 444 is entirely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442 to determine whether the pollution judging member 444 is contaminated through the window member 422c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filter body 442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통(10)과 마스크(20) 사이(좀더 정확하게는, 1차 감압계(52)와 2차 감압계(54) 사이)에 정화 장치(40)가 위치한다. 따라서, 공기통(10)에 공기를 충전하는 공기 충전기(도시하지 않음)의 필터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건강 및 생명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다. 또한, 공기 충전기의 필터 시스템이 작동하는 경우에도 공기의 오염도를 좀더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건강 및 생명을 좀더 안전하게 지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urifier 40 is located between the air cylinder 10 and the mask 20 (more precisely, between the first pressure reducing system 52 and the second pressure reducing system 54). Therefore, even if the filter system of the air charger (not shown) that charges air in the air canister 10 does not operate properly, the user's health and life can be safely secured. In addition, even when the filter system of the air charger is operated, the air pollution degree can be further reduced, so that the user's health and life can be kept more secure.

그리고 오염 판단 부재(444) 및 윈도우 부재(422c)에 의하여 필터 본체(442)의 오염 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필터 본체(442)의 교체 시점을 정확하게 알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의 건강 및 생명의 안전을 도모하고 필터 본체(442)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Since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filter main body 442 can be easily grasped by the pollution judging member 444 and the window member 422c, the point of time of replacement of the filter main body 442 can be accurately known. Thus, the health and life of the user can be secured and waste of the filter body 442 can be reduced.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정화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부분과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부분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FIG. 5 and 6, the same or similar parts as those described above are not described in detail, and the different parts ar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호흡기용 정화 장치의 오염 판단 부재 및 필터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명확하고 간략한 도시를 위하여 도 5에서는 오염 판단 부재 및 필터 본체만을 도시하였으며, 다른 구성 등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 실시예에서와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다.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llution judging member and a filter body of an air purifier for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or the sake of clarity and simplicity, only the contamination judging member and the filter body are shown in Fig. 5, and the other components are the same as or very similar to those in the embodiment referring to Figs.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오염 판단 부재(444)가 필터 본체(442)의 내부에서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으로 구성되고, 격벽에 의하여 구획된 공간에 필터 본체(442)가 위치한다. 오염 판단 부재(444)는 다양한 백색의 원단(부직포, 면 등)을 적층하여 형성된 구조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염 판단 부재(444)가 격벽으로 구성되더라도 적어도 오염 판단 부재(444)의 단부가 측면부(448a) 쪽에 위치하므로 윈도우 부재(422c) 및 측면부(448a)에 의하여 오염 판단 부재(444)의 오염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필터 본체(442)를 통과하는 높은 압력의 공기에 의하여 필터 본체(442)가 서로 부딪혀서 깨지면서 미분화되어 사용자에게 도달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5, in this embodiment, the contamination judging member 444 is constituted by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a space inside the filter body 442, and a filter body 442 is disposed in a spac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do. The contamination judging member 444 may be composed of a structure formed by laminating various white fabrics (nonwoven fabric, cotton, etc.). Even if the contamination judging member 444 is constituted by the partition wall as described above, at least the end portion of the contamination judging member 444 is located on the side portion 448a side, so that the contamination of the contamination judging member 444 by the window member 422c and the side surface portion 448a Can be confirmed. Thus, problems such as collision of the filter main body 442 due to high-pressur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main body 442, breakage of the filter main body 442 and collapse of the filter main body 442 and reaching the user can be prevented.

도 6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호흡기용 정화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purifying apparatus for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 수용체(448)의 내면에 오염 판단 부재(444)가 끼워지는 고정부(448c)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448c) 내에 오염 판단 부재(444)를 끼우는 것에 의하여 오염 판단 부재(444)를 필터 수용체(448)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오염 판단 부재(444)를 필터 수용체(448)의 일부에 대응하도록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오염 판단 부재(444)의 면적을 줄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in this embodiment, a fixing portion 448c on which the contamination judging member 444 is fitted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receiver 448. Fig. The contamination judging member 444 can be stably positioned inside the filter receiver 448 by sandwiching the contamination judging member 444 in the fixing portion 448c. At this time, in this embodiment, the contamination judging member 444 can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a part of the filter receiver 448.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rea of the contamination judging member 444 and reduce the cost.

그리고 필터 수용체(448)의 외면과 하우징부(42)의 내면에는 서로 결합되는 결합 부분(448d, 42d)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필터 수용체(448)의 결합 부분(448b)이 하우징부(42)의 결합 부분(42d)에 결합된 상태로 필터 수용체(448)를 하우징부(42)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필터 수용체(448)의 고정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고 필터 수용체(448)의 일부에만 위치하는 오염 판단 부재(444)를 윈도우 부재(422c)에 대응하는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서는 결합 부분(448d, 42d)으로 홈과 돌기를 이용한 예를 도시하였으나, 다양한 구조, 방식의 결합 부분(448d, 42d)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receiver 448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42 may be formed with engaging portions 448d and 42d that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filter receptacle 448 can be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portion 42 with the engaging portion 448b of the filter receptacle 448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42d of the housing portion 42. [ Thereby, the fixing stability of the filter receiver 448 can be improved and the contamination judging member 444 located only in a part of the filter receiver 448 can be stably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indow member 422c. In this case, although grooves and projections are used as the engaging portions 448d and 42d in the drawing,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engaging portions 448d and 42d of various structures and schemes can be used.

상술한 바에 따른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고안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ly one embodiment. Further,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illustrated in the embodiments may be combined or modified in other embodi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Accordingly, the contents of such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공기 호흡기
10: 공기통
20: 마스크
30: 호스
40: 정화 장치
100: air respirator
10: Reservoir
20: Mask
30: Hose
40: purifier

Claims (9)

내부 공간을 가지며, 배기구 및 흡기구가 형성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필터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는,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일측이 개구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본체부와, 상기 하우징 본체부의 상기 일측에 결합되는 하우징 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의 본체부의 일부영역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상기 필터부를 노출시키는 투광성을 가지는 윈도우 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본체와,
상기 필터 본체의 오염을 판단하도록 상기 윈도우 부재에 대응하여 위치에 구비되어 오염물질에 의해 색상이 변색되는 오염 판단 부재를 포함하는 공기 호흡기용 정화 장치.
A housing part having an inner space and having an exhaust port and an intake port; And
A filter unit located in the inner space;
Lt; / RTI >
The housing part,
A housing main body portion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one side opened while having an internal space; and a housing cap portion coupled to the one side of the housing main body portion,
An opening portion is formed in a part of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a window member having a light transmitting property for exposing the filter portion is formed in the opening portion,
The filter unit includes:
A filter body for purifying the air,
And a pollution judging member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indow member to judge contamination of the filter body and discolored by contaminan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본체가 내부에 수용되는 필터 수용체를 더 포함하는 공기 호흡기용 정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lter receiver in which the filter body is accommoda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수용체가, 측면을 구성하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단부를 덮는 캡부를 포함하는 공기 호흡기용 정화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lter receptacle includes a side surface portion constituting a side surface and a cap portion covering an end portion of the side surface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가 투과성을 가지는 공기 호흡기용 정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ide portion has permeabilit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 및 상기 흡기구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여 위치하도록 상기 필터 수용체와 상기 본체 필터 사이에 위치하는 방진막을 포함하는 공기 호흡기용 정화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dustproof film positioned between the filter receiver and the main filter so as to be positioned adjacent to at least one of the exhaust port and the suction 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판단 부재가 상기 필터 본체의 외면을 둘러싸며 형성되는 공기 호흡기용 정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lution judging member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판단 부재가 상기 필터 본체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으로 구성되는 공기 호흡기용 정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lution judging member comprises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an inner space of the filter bod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캡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패킹 부재를 포함하는 공기 호흡기용 정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acking member inserted into the housing cap portion.
KR2020130006540U 2013-08-06 2013-08-06 Purifying apparatus and air respirator including the same Expired - Lifetime KR20047546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540U KR200475460Y1 (en) 2013-08-06 2013-08-06 Purifying apparatus and air respirator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540U KR200475460Y1 (en) 2013-08-06 2013-08-06 Purifying apparatus and air respirator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460Y1 true KR200475460Y1 (en) 2014-12-05

Family

ID=53578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6540U Expired - Lifetime KR200475460Y1 (en) 2013-08-06 2013-08-06 Purifying apparatus and air respirator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460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181A (en) * 2019-03-06 2020-09-16 미노언 주식회사 Filter equipment for air respirators
KR20210126290A (en) * 2020-04-10 2021-10-2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Mas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7139U (en) * 1995-12-07 1997-07-24 박동규 Industrial airline mask
KR200371816Y1 (en) * 2004-10-13 2005-01-10 킴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A coupler for repiratory
KR200375674Y1 (en) * 2004-11-23 2005-03-08 주식회사오토스광학 Supplied Air Respirators
KR20120033615A (en) * 2010-09-30 2012-04-09 왕종문 Multi functional mas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7139U (en) * 1995-12-07 1997-07-24 박동규 Industrial airline mask
KR200371816Y1 (en) * 2004-10-13 2005-01-10 킴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A coupler for repiratory
KR200375674Y1 (en) * 2004-11-23 2005-03-08 주식회사오토스광학 Supplied Air Respirators
KR20120033615A (en) * 2010-09-30 2012-04-09 왕종문 Multi functional mask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181A (en) * 2019-03-06 2020-09-16 미노언 주식회사 Filter equipment for air respirators
KR102357561B1 (en) * 2019-03-06 2022-02-04 미노언 주식회사 Filter equipment for air respirators
KR20210126290A (en) * 2020-04-10 2021-10-2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Mask
KR102409271B1 (en) * 2020-04-10 2022-06-1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Mas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4186A (en) Air survival unit
US6761169B2 (en) Bi/multi-directional filter cartridge and filter platform for mounting the cartridge thereon
CN1046637C (en) Respirator and filter cartridge
JP5362547B2 (en)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
US3142549A (en) Respirator and a disposable pre-filter
KR101968591B1 (en) High performance air purification mask
KR102027606B1 (en) End of service life indicating systems for layered filter cartridges
US2671528A (en) Air purifier
KR200475460Y1 (en) Purifying apparatus and air respirator including the same
KR101873011B1 (en) Water Filter Mask
KR20180002283A (en) A Wearable air-cleaner and humidifier
KR101011615B1 (en) Clothing with breathing apparatus
JP3171920U (en) Dust removal filter
CN108430590B (en) Dehumidifier for dust mask
RU2463093C1 (en) Apparatus for respiratory protection of person
KR102140471B1 (en) Canister for gas mask capable of identifying residual life and measurement kit for indentifying residual life of canister
US20230241426A1 (en) Filter element for breathing apparatus, filter device, breathing apparatus, and use of filter element
CN220877552U (en) Smoke-proof mask
CN217312641U (en) Laboratory pure water case air breathing filter
KR102064056B1 (en) Double air tightness canister
CN220632791U (en) Rescue is supplementary air feeder for respirator
KR20180020786A (en) Portable gas mask
CN215084400U (en) A safety positive pressure air respirator
CN213554983U (en) Can dismantle filter equipment's gauze mask
US11712589B2 (en) Conformal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080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4073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4112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4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