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74889Y1 - 캣워크를 통하여 편리하고 안전한 유지 관리 작업이 가능한 고천장 건물의 실내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캣워크를 통하여 편리하고 안전한 유지 관리 작업이 가능한 고천장 건물의 실내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889Y1
KR200474889Y1 KR2020130000568U KR20130000568U KR200474889Y1 KR 200474889 Y1 KR200474889 Y1 KR 200474889Y1 KR 2020130000568 U KR2020130000568 U KR 2020130000568U KR 20130000568 U KR20130000568 U KR 20130000568U KR 200474889 Y1 KR200474889 Y1 KR 2004748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ocket
ceiling
catwalk
conveni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5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4519U (ko
Inventor
이창녕
Original Assignee
씨제이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05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889Y1/ko
Publication of KR201400045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5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8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88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6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theatres, stages or film studi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높은 천장고를 갖는 건물 내에 설치되어 실내를 조명하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천장의 내부에 매입되어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 장착되는 소켓; 및 상기 소켓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고, 램프가 내설되어 실내를 조명하는 조명등;을 포함하는 편리하고 안전한 램프 교체 및 유지 관리가 가능한 고천장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높은 천장고를 갖는 건물의 천장 내에 하우징을 매입하고, 하우징 내부에 조명등이 연결된 소켓을 장착시켜, 천장 내부에서 램프 교체와, 보수, 청소 등의 유지 관리를 쉽게 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고,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며, 작업에 소요되는 인력,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캣워크를 통하여 편리하고 안전한 유지 관리 작업이 가능한 고천장 건물의 실내 조명장치{ILLUMINATION INSTALLATION EQUIPPED IN HIGH CEILING WITH CONVENIENT AND SAFE LAMP REPLACEMENT AND MANAGEMENT}
본 고안은 높은 천장고를 갖는 건물 내에 설치되어 실내를 조명하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은 천장고를 갖는 상영관, 공연장, 강당, 백화점 및 쇼핑몰 등의 천장 내에 설치되어 편리하고 안전한 램프 교체 및 유지 관리가 가능한 고천장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높은 천장고를 갖는 상영관, 공연장, 강당, 백화점 및 쇼핑몰 등의 실내에는 공연 완성도나 고객의 몰입도를 높이거나 상품 디스플레이 효과를 위하여 천장에 스포트라이트(SPOTLIGHT) 등의 조명등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조명등은 사용 중에 램프 교체나 보수, 청소 등의 유지 관리 작업을 필요로 하는데, 높은 천장고를 갖는 건물의 실내에서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기란 어려운 일이다.
예컨대, 극장 상영관의 경우 상영관 내 바닥이 계단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작업자가 조명등의 램프를 교체하거나, 조명등의 보수, 청소 등의 유지 관리를 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 위에 "A" 형태를 갖는 고단의 사다리를 설치한 후 사다리 위로 올라가 높은 위치에서 작업해야 하므로, 작업이 어렵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추락사고 등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에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도 있다.
본 고안은 상술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높은 천장고를 갖는 건물의 천장 내에 하우징을 매입하고, 하우징 내부에 조명등이 연결된 소켓을 장착시켜, 천장 내부에서 램프 교체와, 보수, 청소 등의 유지 관리를 쉽게 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고,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며, 작업에 소요되는 인력,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는 편리하고 안전한 램프 교체 및 유지 관리가 가능한 고천장 조명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천장 내부에 매입되어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 장착되는 소켓; 및 상기 소켓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고, 램프가 내설되어 실내를 조명하는 조명등;을 포함하는 고천장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은, 상·하면이 개방 형성된 하우징 몸체; 상기 하우징 몸체의 상단이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걸림턱; 및 상기 하우징 몸체의 외주면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을 천장 내에 고정하는 고정바;를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은 상측에 끼움돌기 또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게다가, 상기 하우징은 외주면에 종방향으로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 양측 내면을 따라 복수 개의 단속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바의 일단이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고정바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더불어, 상기 소켓은, 상면이 개방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 장착되는 소켓 몸체; 상기 소켓 몸체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걸림되는 상부 플랜지; 및 상기 소켓 몸체의 하단에 연결 형성된 연결판;을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상부 플랜지의 하측에 끼움홈 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소켓은 상단에 소켓 분리용 고리가 연결 설치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조명등은 브라켓에 의하여 상기 소켓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과 핀 결합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나아가, 상기 조명등의 전단 내측에 고무바킹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결합 설치되고, 외측으로 확장 형성된 지지링이 구비된 하부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조명등은 스포트라이트인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높은 천장고를 갖는 건물의 천장 내에 하우징을 매입하고, 하우징 내부에 조명등이 연결된 소켓을 장착시켜, 천장 내부에서 램프 교체와, 보수, 청소 등의 유지 관리를 쉽게 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고,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며, 작업에 소요되는 인력,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높은 천장고를 갖는 실내 조명장치의 램프 교체 도면.
도 2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천장 조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2c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천장 조명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b의 일부 확대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천장 조명장치의 하우징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천장 조명장치의 소켓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천장 조명장치의 조명등의 사시도.
도 7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천장 조명장치가 설치된 도면.
도 7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극장 내에 설치된 고천장 조명장치의 수리 작업을 나타낸 도면.
본 고안자는 높은 천장고를 갖는 건물의 실내에 설치되는 조명등의 램프 교체나 보수, 청소 등의 유지 관리 작업이 어렵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추락사고 등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작업에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도 있음을 인지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와 노력을 거듭한 결과, 높은 천장고를 갖는 건물의 천장 내에 하우징을 매입하고, 하우징 내부에 조명등이 연결된 소켓을 장착시켜, 천장 내부에서 램프 교체와, 보수, 청소 등의 유지 관리를 쉽게 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고,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며, 작업에 소요되는 인력,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는 편리하고 안전한 램프 교체 및 유지 관리가 가능한 고천장 조명장치에 관한 본 고안을 완성시켰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고천장 조명장치(1)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은 천장고를 갖는 상영관, 공연장, 강당, 백화점 및 쇼핑몰 등의 건물 내에 설치되어 실내를 조명하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크게 하우징(10), 소켓(20) 및 조명등(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하부커버(40)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하우징 몸체(11)가 천장(H) 내부에 매입되어 고정 설치되고, 상·하면은 개방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몸체(11)의 상단은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걸림턱(12)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12)은 상측에 끼움돌기(12a) 또는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돌기(12a) 또는 끼움홈은 후술될 소켓(20)의 상부 플랜지(22) 하측에 형성된 끼움홈(22a) 또는 끼움돌기와 끼움 연결되어 상기 소켓(20)이 상기 하우징(10)에 유동없이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걸림턱(12)이나 상부 플랜지(22)에 형성된 끼움돌기 또는 끼움홈은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4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4개의 끼움돌기 또는 끼움홈이 실내의 전·후·좌·우 방향에 맞도록 고천장 조명장치(1)를 설치하게 되면, 방향표시 역할을 하여 나중에 천장(H) 내부에서 조명등의 설치 방향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하우징 몸체(11)의 외주면에는 양 방향으로 고정바(14)가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10)을 천장(H) 내에 고정한다.
이와 함께, 상기 고정바(14)는 천장(H) 내부에 설치된 HS-BAR와 같은 철근 구조물에 볼트 결합되는 것으로, 도 4a와 같이 상기 하우징 몸체(11)에 볼트 등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도 있으나, 도 4b와 같이 상기 하우징 몸체(11)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바(14)는 일단에 단속홈(14b)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체결홀(14a)이 형성될 수 있는 바, 상기 가이드홀(11a)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단속돌기(11b)에 상기 단속홈(14b)이 단속되어 상기 고정바(14)의 높이가 조절되고, 상기 체결홀(14a)에 볼트가 체결되어 철근 구조물에 결합된다.
예컨대, 도 3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몸체(11)는 외주면에 종방향으로 가이드홀(11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11a) 양측 내면을 따라 복수 개의 단속돌기(11b)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홀(11a)에 결합된 상기 고정바(14)의 일단이 상기 가이드홀(11a)을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단속돌기(11b)에 단속되면서 상기 고정바(14)의 높이가 조절되므로, 설치 구조 및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 고천장 조명장치(1)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켓(20)은 상면이 개방되고 하면은 폐쇄 형성된 원통형의 소켓 몸체(21)가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 삽입 장착된다.
또한, 상기 소켓 몸체(21)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상부 플랜지(22)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플랜지(22)는 상기 하우징(11) 상단의 걸림턱(12)에 걸림 연결되며, 이때 상기 상부 플랜지(22)의 하측에 끼움홈(22a) 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12)의 상측에 형성된 끼움돌기(12a) 또는 끼움홈과 끼움 연결되어 상기 소켓(20)이 상기 하우징(10)에 유동없이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기 소켓 몸체(21)의 하단에는 연결판(23)이 연결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23)에는 조명등(30)이 연결 설치된다.
더불어, 상기 소켓(20)은 상단에 소켓 분리용 고리(24)가 연결 설치됨으로써, 램프 교체 등의 작업시 천장(H) 내부에서 상기 조명등(30)이 연결된 소켓(20)을 쉽게 들어 올려 편하게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등(30)은 상기 소켓(20)의 하단 연결판(23)에 연결 설치되고, 내부에 램프(31)가 설치되어 실내를 조명하는 기능을 하고, 이때 상기 조명등(30)은 무대의 한 부분이나 특정 인물을 비추어 주는 스포트라이트(SPOTLIGHT)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등(30)은 브라켓(32)에 의하여 상기 소켓(20) 하단의 연결판(23)에 연결 설치되고, 더불어 상기 브라켓(32)과 핀(33) 결합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나아가, 램프(31)가 설치된 상기 조명등(30)의 전단 내측에는 고무바킹(34)이 내삽되어, 완충 및 실링(sealing)작용으로 인하여 실내 음향 및 진동에 의한 램프의 스크류 등의 풀림을 방지하고, 습기나 결로에 의한 누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하측에는 하부커버(40)가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0)의 하측을 커버하는 동시에, 천공된 천장(H)의 면을 덮어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하부커버(40)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소켓(20)에 연결된 조명등(30)이 상기 하우징(10) 내외로 인출·입 가능하고, 외측으로는 지지링(41)이 확장 형성되어 천장(H)의 면에 볼트 등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한편,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천장 조명장치(1)는 높은 천장고를 갖는 건물의 천장 내에 하우징(10)을 매입하고, 고정바(14)를 천장(H) 내부에 설치된 HS-BAR와 같은 철근 구조물에 볼트 결합시켜 고정하며,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조명등(30)이 연결된 소켓(20)을 장착시켜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10)의 하측에 지지링(41)이 구비된 하부커버(40)를 천장(H)의 면에 고정 설치하되, 상기 하부커버(4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조명등(30)이 상기 하우징(10)의 내외로 인출·입이 가능하다.
그리고, 사용 중에 램프 교체나 보수, 청소 등의 유지 관리 작업을 필요로 하는 경우, 도 7b에 예시된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작업자가 극장 영사실의 천장 점검구를 통하여 천장 내로 진입하여, 캣워크(CAT WALK, C)를 통해 목표지점까지 쉽게 이동할 수 있고, 목표지점에 도달한 후 천장(H) 내부에서 상기 조명등(30)이 연결된 소켓(20)을 들어 올려 램프 교체와, 보수, 청소 등의 유지 관리를 편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결국, 본 고안에 따른 편리하고 안전한 램프 교체 및 유지 관리가 가능한 고천장 조명장치(1)는 높은 천장고를 갖는 건물의 천장 내에 하우징을 매입하고, 하우징 내부에 조명등이 연결된 소켓을 장착시켜, 천장 내부에서 램프 교체와, 보수, 청소 등의 유지 관리를 쉽게 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고,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며, 작업에 소요되는 인력,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고안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특히,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영관, 공연장, 강당, 백화점 및 쇼핑몰 등의 건물을 예로 들었지만, 천장고가 높은 다른 건물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고천장 조명장치. 10. 하우징
11. 하우징 몸체 11a. 가이드홀
11b. 단속돌기 12. 걸림턱
12a. 끼움돌기 14a. 체결홀
14b. 단속홈 20. 소켓
21. 소켓 몸체 22. 상부 플랜지
22a. 끼움홈 23. 연결판
24. 고리 30. 조명등
31. 램프 32. 브라켓
33. 핀 34. 고무바킹
40. 하부커버 41. 지지링
B. 볼트 C. 캣워크(CAT WALK)
H. 천장

Claims (11)

  1. 작업 통로인 캣워크에 해당하는 다수의 구조물이 천장 내부에 구비되어 있어 높은 천장고를 갖는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어 실내를 조명하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천장 내부에 매입 설치되고, 외주면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고정바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바가 상기 구조물에 결합되어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 장착되고, 상단에 소켓 분리용 고리가 연결 설치된 소켓; 및
    상기 소켓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고, 램프가 내설되어 실내를 조명하는 조명등;을 포함하는 캣워크를 통하여 편리하고 안전한 유지 관리 작업이 가능한 고천장 건물의 실내 조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하면이 개방 형성된 하우징 몸체 및 상기 하우징 몸체의 상단이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캣워크를 통하여 편리하고 안전한 유지 관리 작업이 가능한 고천장 건물의 실내 조명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측에 끼움돌기 또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캣워크를 통하여 편리하고 안전한 유지 관리 작업이 가능한 고천장 건물의 실내 조명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외주면에 종방향으로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 양측 내면을 따라 복수 개의 단속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바의 일단이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고정바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캣워크를 통하여 편리하고 안전한 유지 관리 작업이 가능한 고천장 건물의 실내 조명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상면이 개방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 장착되는 소켓 몸체;
    상기 소켓 몸체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걸림되는 상부 플랜지; 및
    상기 소켓 몸체의 하단에 연결 형성된 연결판;을 포함하는 캣워크를 통하여 편리하고 안전한 유지 관리 작업이 가능한 고천장 건물의 실내 조명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랜지의 하측에 끼움홈 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캣워크를 통하여 편리하고 안전한 유지 관리 작업이 가능한 고천장 건물의 실내 조명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는 일단에 단속홈이 형성되어 상기 단속홈이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단속돌기에 단속되어 상기 고정바의 높이가 조절되고,
    타단에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홀에 볼트가 체결되어 상기 고정바가 상기 구조물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캣워크를 통하여 편리하고 안전한 유지 관리 작업이 가능한 고천장 건물의 실내 조명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은 브라켓에 의하여 상기 소켓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과 핀 결합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캣워크를 통하여 편리하고 안전한 유지 관리 작업이 가능한 고천장 건물의 실내 조명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의 전단 내측에 고무바킹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캣워크를 통하여 편리하고 안전한 유지 관리 작업이 가능한 고천장 건물의 실내 조명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결합 설치되고, 외측으로 확장 형성된 지지링이 구비된 하부커버를 더 포함하는 캣워크를 통하여 편리하고 안전한 유지 관리 작업이 가능한 고천장 건물의 실내 조명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은 스포트라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캣워크를 통하여 편리하고 안전한 유지 관리 작업이 가능한 고천장 건물의 실내 조명장치.






KR2020130000568U 2013-01-23 2013-01-23 캣워크를 통하여 편리하고 안전한 유지 관리 작업이 가능한 고천장 건물의 실내 조명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4748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568U KR200474889Y1 (ko) 2013-01-23 2013-01-23 캣워크를 통하여 편리하고 안전한 유지 관리 작업이 가능한 고천장 건물의 실내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568U KR200474889Y1 (ko) 2013-01-23 2013-01-23 캣워크를 통하여 편리하고 안전한 유지 관리 작업이 가능한 고천장 건물의 실내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519U KR20140004519U (ko) 2014-07-31
KR200474889Y1 true KR200474889Y1 (ko) 2014-10-22

Family

ID=52000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568U Expired - Fee Related KR200474889Y1 (ko) 2013-01-23 2013-01-23 캣워크를 통하여 편리하고 안전한 유지 관리 작업이 가능한 고천장 건물의 실내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8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647Y1 (ko) 2016-12-20 2018-07-17 강낙원 접지기능이 구비된 레일용 스팟조명 연결어댑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49471B1 (ko) * 2022-12-16 2024-12-31 정민수 천장등용 소켓 및 플러그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790A (ko) * 1999-08-23 2001-03-15 김용규 매입형 조명등기구
KR20080102095A (ko) * 2007-05-18 2008-11-24 김후경 매입 조명등갓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790A (ko) * 1999-08-23 2001-03-15 김용규 매입형 조명등기구
KR20080102095A (ko) * 2007-05-18 2008-11-24 김후경 매입 조명등갓 지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647Y1 (ko) 2016-12-20 2018-07-17 강낙원 접지기능이 구비된 레일용 스팟조명 연결어댑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519U (ko) 201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9323B1 (ko) 조명기구용 고정장치
KR101781594B1 (ko) 간편 설치구조를 갖는 천정용 조명등
KR101426506B1 (ko) 벽체형 전기 통신 케이블 덕트
US20080084698A1 (en) Retrofit Canopy Luminaire and Installation Method
KR101527755B1 (ko) 천정패널용 조명등기구
KR101069726B1 (ko) 천정 매립형 (엘이디 조명)등기구 바디 프레임
KR200474889Y1 (ko) 캣워크를 통하여 편리하고 안전한 유지 관리 작업이 가능한 고천장 건물의 실내 조명장치
KR101703982B1 (ko) 조립식 천장구조물
KR20170003197U (ko) 천정 루바 설치구조
CN107166269A (zh) 可替换式快速安装吸顶灯
KR102244278B1 (ko) 조립식 블록형 실내 인테리어 마감재
KR200407104Y1 (ko) 등기구가 일체로 구비된 레이스웨이
KR102459516B1 (ko) 스피커 박스
KR102404221B1 (ko) 천장부착 조명등장치
KR101644269B1 (ko) 조명등 장착장치
KR102307195B1 (ko) 조립식 블록형 실내 인테리어 마감재
KR101604195B1 (ko) 조명기구 설치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레일콘센트
KR200478960Y1 (ko) 레이스 웨이
KR200236410Y1 (ko) 탄성결합식 조명등 현수간
KR20180003249U (ko) 평면등용 프레임 설치장치
KR200491195Y1 (ko) 조명등용 장착구 어셈블리
KR20160123698A (ko) 천장 매립등 체결장치
KR20210000086U (ko) 천장 장착용 조명기구
KR100854311B1 (ko) 매립형 조명등의 커버하우징
KR102782491B1 (ko) 힌지 체결식 탈착 구조를 가진 엘이디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012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3121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1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20141006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4101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210725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