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868Y1 - Hot Water Supply Apparatus having Check Valve with Improved Molding Property - Google Patents
Hot Water Supply Apparatus having Check Valve with Improved Molding Propert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4868Y1 KR200474868Y1 KR2020140003869U KR20140003869U KR200474868Y1 KR 200474868 Y1 KR200474868 Y1 KR 200474868Y1 KR 2020140003869 U KR2020140003869 U KR 2020140003869U KR 20140003869 U KR20140003869 U KR 20140003869U KR 200474868 Y1 KR200474868 Y1 KR 20047486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water
- check valve
- disk
- hot wa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8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title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8236 heating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59 shock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8—Packaged or self-contained boilers, i.e. water heaters with control devices and pump in a single uni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6—Arrangements for water drainag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or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의 상부에 배출유도캡을 구비하지 않도록 하여 본체의 성형성이 향상되도록 하고, 본체 내부로 유입된 기포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는 본체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압력저감부재를 통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토출되므로, 간단한 구조를 이용하여 본체 내부 압력이 필요 이상으로 높아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압력저감부재는 본체에 형성되지 않고, 별도의 유체유도부와 커버부로 구성되므로, 본체의 성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t water supply device having a check valve with improved formabil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t water supply device having a check valve for improving the formability of a main body by preventing a discharge induction cap from being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a hot water supply device provided with a check valve having an improved formability for easily discharging the hot water to the outside. Since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of the hot water supply device having the check valve improved in mold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ressure reducing member, the pressure inside the main body becomes higher than necessary by using a simple structure . Further, since the pressure reducing member is not formed in the main body but is formed of a separate fluid guiding portion and cover portion, the moldability of the main body is improved.
Description
본 고안은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의 상부에 배출유도캡을 구비하지 않도록 하여 본체의 성형성이 향상되도록 하고, 본체 내부로 유입된 기포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t water supply device having a check valve with improved formabil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t water supply device having a check valve for improving the formability of a main body by preventing a discharge induction cap from being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a hot water supply device provided with a check valve having an improved formability for easily discharging the hot water to the outside.
일반적으로 온수매트는 온수를 이용하여 난방 또는 보온유지를 하기 위한 것으로, 매트의 내부에 온수가 유동되는 온수관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고, 온수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온수관에 공급 및 순환시킴으로써 매트를 국부적으로 난방하거나 보온유지를 하게 된다. 온수매트는 전기매트에 구비되는 전열선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전자파를 발생시키지 않고, 화재나 감전사고 등의 전기 안전사고가 현저하게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Generally, a hot water mat is used for heating or maintaining the hot water by using hot water. Hot water pipes, in which hot water flows in the mat,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Hot water supplied from the hot water supply device is supplied to the hot water pipe, So that the mat is locally heated or kept at a constant temperature. Since the hot water mat does not use the heating wire provided on the electric mat, there is an advantage that electric safety accidents such as fire and electric shock accident are remarkably reduced without generating electromagnetic waves.
이러한 온수매트는 온수공급장치, 온수관 및 온수매트를 기본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온수매트에 사용되는 종래 온수공급장치는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모터펌프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모터펌프의 구동시 모터 자체의 소음 및 진동이 외부로 발산되어, 불쾌한 소음을 유발하게 되므로 조용하고 편안한 수면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모터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히터 내에 공급된 물이 물탱크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차단한 상태에서, 가열하여 발생하는 팽창압력에 의해 온수매트에 설치된 온수관으로 온수를 공급하여 순환시키도록 하는 온수공급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Such a hot water mat has a basic configuration of a hot water supply device, a hot water pipe and a hot water mat. The conventional hot water supply device used in the hot water mat uses a motor pump to circulate hot water. However, when the motor pump is driven, the noise and vibration of the motor itself are diverted to the outside, causing unpleasant noise, which hinders quiet and comfortable sleeping. Accordingly, in recent years, in a state in which water supplied in the heater is prevented from flowing back to the water tank without using a motor pump, hot water is supplied to the hot water pipe provided in the hot water mat by the expansion pressure generated by heating, A hot water supply device is developed.
도 1은 종래 온수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체크밸브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hot water supply apparatus, and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check valv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온수공급장치(31)는 온수매트(30)의 배관에 가열된 온수를 공급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그 내부에 물탱크(32)와 히터유닛(33)이 설치되며, 물탱크(32)에는 체크밸브(1)가 구비된다. 그리고 온수매트(30)의 배관으로 유입된 온수는 유입관(35)을 통해 물탱크(32)로 공급되어 순환된다.1 and 2, a conventional hot
체크밸브(1)는 유입부(2a)와 유출부(2b)를 구비하는 본체(2)와, 상기 본체(2) 내부의 유입부(2a)를 간헐적으로 차단하는 차단판(3)과, 본체(2) 내부의 기포를 배출시키는 기포배출부(4)를 포함한다.The
차단판(3)은 히터유닛(33)과 연결된 공급관(34) 방향으로 물 또는 순환된 온수를 공급하고, 온수가 역류하지 않도록 한다. 즉, 히터유닛(33)으로 공급된 물이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면, 가열된 물, 즉 온수의 팽창압력에 의해서, 차단판(3)이 본체(2) 내부의 유입부(2a)를 차단시켜서 온수가 역류하지 않도록 하고, 온수매트(30)의 배관으로 온수가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온수매트(30)를 순환하면서 온도가 떨어진 물은 유입관(35)을 통하여 물탱크(32)로 공급된다. 그리고 히터유닛(33)에서 온수매트(30)로 온수가 공급되면, 히터유닛(33)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는 반면, 물탱크(32) 내의 압력이 높아져서 체크밸브(1)의 차단판(3)이 개방되며, 이때, 물탱크(32)의 물이 유입부(2a)를 통해 본체(2) 내부로 유입된다.The blocking
기포배출부(4)는 본체(2) 내에 수집된 기포를 배출시키는 것으로, 상기 기포가 배출되도록 본체(2)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부(2c)를 개폐시키는 개폐부(4c)와, 개폐부(4c)의 일측을 본체(2)의 상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4a)와, 개페부(4b)의 하측에 장착되는 부력부(4b)를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 개폐부(4c)의 경우, 물의 응집력 등으로 인하여 관통부(2c)에 밀착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 경우, 개폐부(4c)가 관통부(2c)를 폐쇄시키게 되어, 본체(2) 내에 수집된 기포는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본체(2) 내부에 쌓이게 되어 본체(2)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체크밸브(1)의 차단판(3)이 유입부(2a)를 개방시켜서 물탱크(32)의 물이 유입부(2a)를 통하여 본체(2) 내부로 유입되어야 할 때, 본체(2) 내부의 높은 압력으로 인하여 유입부(2a)가 개방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bubble discharging portion 4 discharges bubbles collected in the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등록실용신안 제20-0469269호와 같이,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를 고안한 바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applicant has devised a hot water supply device capable of easily discharging bubbles, as disclosed in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469269.
도 3은 종래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hot water supply device in which conventional bubbles are easily discharged.
도 3을 참조하면, 종래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50)는 유입구(62)와 토출구(64)를 구비하는 물탱크(60), 물탱크(60)의 토출구(64) 내측에 구비되는 체크밸브(70) 및 물탱크(60)의 토출구(64) 외측에 구비되는 히터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체크밸브(70)는 유입부(72a)와 유출부(72b)를 구비하는 본체(72), 본체(72)의 내측에 장착되는 디스크(75), 본체(72)의 상부에 형성된 기포배출공(72c)을 개폐하여 본체(72) 내부에 구비되는 기포를 배출시키는 기포배출부(80) 및 기포배출부(80)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본체(72)의 상부에 구비되는 배출공(72d)을 개폐하는 탄성 재질의 커버캡(90)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체(72)의 상부에는 배출공(72d)의 내주연을 따라 배출유도캡(74)이 돌출 형성되고, 배출유도캡(74)에는 배출유도공(74a)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캡(90)이 상기 배출유도캡(74)에 씌워지며, 기포 등에 의하여 본체(72) 내부 압력이 강해지면, 상기 압력에 의하여 커버캡(90)이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어, 배출유도공(74a)이 개방되고, 본체(72) 내부의 기포는 개방된 배출유도공(74a)과 커버캡(90)의 커버홀(90a)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3, the conventional hot
그런데 배출유도캡(74)은 본체(72)의 상부에서 그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배출유도캡(74) 자체에 배출유도공(74a)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는바, 그 형상이 복잡하여, 본체(72)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본체(72)의 상부에 배출유도캡(74)을 성형하기가 매우 난해한 문제점이 있다.
The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의 상부에 배출유도캡을 구비하지 않도록 하여 본체의 성형성이 향상되도록 하고, 본체 내부로 유입된 유체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cuum cleaner in which a discharge induction cap is not provided on an upper part of a main body, so that moldability of the main body is improved, And to provide a hot water supply device provided with a check valve having an improved formabilit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물이 수용되도록 공간을 구비하며, 일측에 물이 공급되도록 공급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물이 토출되도록 토출구가 형성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물을 가열시키는 히터부; 및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 구비되되, 일측에 상기 토출구와 연결되는 유출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물탱크의 물이 유입되도록 유입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타측 내면에 구비되되 그 하측은 상기 유입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그 상측은 상기 본체의 내면에 밀착 또는 이격되면서 상기 유입부를 간헐적으로 개방시키는 디스크와, 상기 본체 내부에 필요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본체 내부의 물 또는 기포를 상기 본체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상기 디스크에 관통 위치되는 압력저감부재를 구비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tank in which a water tank is formed, a water tank is formed in a space to receive water, a supply port is formed to supply water to one side, and a discharge port is formed to discharge water to the other side. A heater unit provided outside the water tank and heat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A main body provided in the water tank and formed with an outlet portion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at one side and an inlet portion formed at the other side to allow water to flow in the water tank; A disk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nflow portion and having an upper side there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or spac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intermittently open the inflow portion; And a check valve having a pressure reducing member that is positioned to pass through the disc to discharge it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e hot water supply apparatus includes the check valve having improved formability.
또한, 상기 압력저감부재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그 일단부는 상기 본체의 유입부와, 상기 디스크를 일체로 관통하여 상기 본체 내부 방향에 위치되고, 그 타단부는 상기 본체 외부 방향에 위치되는 유체유도부; 및 상기 유체유도부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배출공을 폐쇄하도록 상기 유체유도부의 타단부를 커버하며 탄성을 가지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내부의 물 또는 기포에 의한 압력이 상기 유체유도부를 따라 상기 커버부에 가해지면, 상기 커버부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배출공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sure reducing member is formed to be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one end portion thereof positioned in an inward direction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inlet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disk integrally, and the other end portion is positioned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main body A fluid guiding portion; And a cover portion having elasticity to cover the other end of the fluid guiding portion so as to close the discharge hole formed at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fluid guiding portion, wherein pressure of water or bubbles in the main body is applied to the cover Wherein the cover portion is open to the outside, and the discharge hole is opened when the cover portion is applied to the cover portion.
또한, 상기 유체유도부는 그 타단부로 갈수록 상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를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t water supply device having a check valve with improved formability, wherein the fluid guiding part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other end.
또한, 상기 디스크는 부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를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t water supply device having a check valve with improved formability, wherein the disk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buoyancy.
또한, 상기 본체의 상기 유입부와 대향되지 않는 상기 디스크의 일면에는 부력을 갖는 부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hot water supply apparatus provided with a check valve having improved form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a buoyancy portion having buoyancy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disk which is not opposed to the inflow portion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본체의 타측은 그 하부로 갈수록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디스크는 상기 본체의 상기 경사면을 따라 경사지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를 제공한다.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forms an inclined surface to be inclined outwardly toward the lower side, and the disc is positioned to be inclin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main body. Device.
또한, 상기 디스크의 하측에는 회동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타측 내면에는 상기 회동결합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결합안내부가 구비되어, 상기 회동결합부가 상기 결합안내부에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디스크가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 pivotal coupl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disk, and a coupling guide portion is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so as to face the pivotal coupling portion. The pivotal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coupling guide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t water supply device including a check valve having an improved formability.
또한, 상기 본체의 상기 유입부와 대향되는 상기 디스크의 타면에는 상기 디스크가 상기 본체의 타측에 가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충격완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를 제공한다.
The shock absorber is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disk opposite to the inflow portion of the main body so as to absorb an impact of the disk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Lt; / RTI >
본 고안에 따른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는 본체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압력저감부재를 통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토출되므로, 간단한 구조를 이용하여 본체 내부 압력이 필요 이상으로 높아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of the hot water supply device having the check valve improved in mold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ressure reducing member, the pressure inside the main body becomes higher than necessary by using a simple structure .
또한, 압력저감부재는 본체에 형성되지 않고, 별도의 유체유도부와 커버부로 구성되므로, 본체의 성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pressure reducing member is not formed in the main body but is formed of a separate fluid guiding portion and cover portion, the moldability of the main body is improved.
또한, 압력저감부재의 유체유도부는 그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상부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므로, 유체유도부의 일단부로 안내된 기포는 그 자체의 상승압력에 의하여 유체유도부의 타단부 방향으로 용이하게 안내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fluid guiding portion of the pressure reducing member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upwar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fluid guiding member, the bubbles guided to the one end of the fluid guiding portion are easily guided toward the other end of the fluid guiding portion There is an effect of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또한, 체크밸브의 디스크가 본체의 경사면을 따라 경사지도록 위치되므로, 본체 내부에 물이 없는 상태에서 디스크가 본체의 유입부를 개방하도록 이동되고, 이에 따라 물탱크의 물은 본체 내부로 신속하게 유입되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disc of the check valve is positioned to be inclin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disc is moved so as to open the inflow portion of the main body with no water in the main body, so that water in the water tank rapidly flows into the main body It is effective.
또한, 체크밸브의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기포는 디스크의 상부와 본체 사이의 공간을 파고들면서 본체의 유입부를 개방시켜서 본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bubbles flowing into the main body of the check valve have the effect of being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by opening the inflow portion of the main body while digging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of the disc.
또한, 체크밸브의 디스크에는 충격완충재질의 충격완충부를 구비하므로, 디스크가 본체의 유입부를 폐쇄시키기 위하여 본체를 타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Also, since the disc of the check valve is provided with the impact buffering portion of the shock absorbing material, there is an effect that the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striking the main body to close the inlet portion of the disc is remarkably reduced.
또한, 본체의 유입부가 차단된 상태에서, 본체 내부로 유입된 기포는 폭발방지부재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되므로, 간단한 구조를 이용하여 본체 내부 압력이 필요 이상으로 높아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Further, since the bubble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plosion-proof member in a state where the inflow portion of the main body is blocked, the pressure inside the main body can be prevented from becoming higher than necessary by using a simple structure, The reliability of the apparatus can be improved.
도 1은 팽창압력을 이용한 종래 온수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체크밸브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의 체크밸브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의 본체 내부에 물이 없는 상태에서 물탱크의 물이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의 본체 내부에 물이 차서 본체의 유입부가 폐쇄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의 본체 내부에 물이 있는 상태에서 물탱크의 물이 본체 내부로 공급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의 체크밸브가 개폐되면서 유체가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의 체크밸브에 구비되는 압력저감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의 체크밸브에 의하여 본체의 유입부가 개폐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hot water supply device using an expansion pressure.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check valve.
3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hot water supply device in which conventional bubbles are easily discharged.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ot water supply device having a check valve with improved formab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 check valve of a hot water supply apparatus having a check valve with improved formab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water in a water tank is introduced into a main body of a hot water supply apparatus having a check valve with improved formab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there is no water inside the main body to be.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water flows into the body of a hot water supply apparatus having a check valve with improved formab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inflow portion of the body is closed.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water in a water tank is supplied into a main body of a hot water supply apparatus having a check valve having improved formab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10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moving a fluid while a check valve of a hot water supply device having a check valve with improved formab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and closed.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essure reducing member provided in a check valve of a hot water supply apparatus having a check valve with improved formab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n inlet of a main body is opened or closed by a check valve of a hot water supply device having a check valve with improved formab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hot water supply apparatus having a check valve with improved formab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ot water supply device having a check valve with improved formab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는 후술하는 매트부(330: 도 10 도시)로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물탱크(100), 히터부(300: 도 10 도시) 및 체크밸브(200)를 포함하며, 히터부(300)와 체크밸브(200)는 매트부(330) 또는 물탱크(100)의 크기 등에 의하여 하나 또는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hot water supply apparatus having a check valve with improved formab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supplying hot water to a mat unit 330 (shown in FIG. 10) The
물탱크(10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도록 빈 공간이 구비되며 그 상부는 개방되어 개방부(130)가 구비되고, 물탱크(100) 일측의 상부와 하부에 공급구(110)와 토출구(120)가 형성된다. 그리고 개방부(130)를 통하여 외부의 물이 물탱크(100)로 주입되고, 후술하는 온수파이프(320: 도 10 도시)를 순환하는 물이 상기 공급구(110)를 통하여 물탱크(100) 내부로 공급되고, 물탱크(100) 내부의 물이 상기 토출구(120)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된다. 그리고 물탱크(100) 내부에는 물탱크(100)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하여 수위감지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위감지센서는 종래의 가습기 등에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플로트식 수위감지센서나 전자식 수위감지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히터부(300)는 금속판, 코일 등으로 형성된 전기히터가 내장되어 있으며, 물탱크(100)의 외측에 구비되되, 그 일측은 물탱크(100)의 토출구(120)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물탱크(100)에서 히터부(300)로 토출되는 물은 히터부(300) 내부에서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된다. 그리고 히터부(300)의 타측에는 바이메탈(미도시) 등이 설치되어 히터부(300)로 공급된 물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경우, 히터부(300)의 타측이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히터부(300)로 공급된 물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면, 가열된 물은 개방된 히터부(300)의 타측과 연결된 온수파이프(320)로 이동된다. The
체크밸브(200)는 히터부(300)에서 가열된 물이 온수파이프(320)로 이동될 때,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여 한쪽 방향 즉, 온수파이프(320) 방향으로 유체가 흐르도록 하는 것으로,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The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의 체크밸브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5 and 6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 check valve of a hot water supply apparatus having a check valve with improved formab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체크밸브(200)는 본체(210), 디스크(220), 부력부(230), 충격완충부(240) 및 압력저감부재(250)를 포함한다.5 and 6, the
본체(210)는 물탱크(100)의 토출부(120) 내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일측과 타측에 유출부(214)와 유입부(212)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출부(214)는 본체(210)의 토출부(120)와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물탱크(100)의 물이 본체(210)의 유입부(212)를 통하여 본체(210) 내부로 유입된 후, 본체(210)의 유출부(214)와 물탱크(100)의 토출부(120)를 통하여 물탱크(100) 외부 즉, 히터부(300)로 유출된다. 그리고 본체(210)의 타측은 그 하부로 갈수록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면(210a)을 형성한다. 그리고 본체(210)의 타측 하부에는 후술하는 디스크(220)의 회동결합부(222)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회동결합부(222)와 힌지 결합되도록 결합안내부(216)가 돌출 형성된다.The
디스크(220)는 판형으로 형성되되 그 일면은 후술하는 부력부(230)가 장착되고, 그 타면은 본체(210)의 유입부(212)를 간헐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본체(210) 내부 타측 즉, 경사면(210a)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며, 본체(210) 내부의 경사면(210a)과 밀착이 용이하도록 고무 재질 등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디스크(220)는 유입부(212)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그 하측은 본체(210)의 결합안내부(216)에 회동 결합되도록 회동결합부(222)가 돌출 형성되고, 그 상측은 유입부(212)의 상측에 위치되어, 디스크(220)의 상측이 본체(210)의 경사면(210a)에서 그 반대 측인 유출부(214)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디스크(220)는 본체(210)의 경사면(210a)에 구비되는바, 본체(210)의 경사면(210a)을 따라 일정 각도 경사지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디스크(220)의 상측은 경사면(210a)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게 된다.The
부력부(230)는 본체(210) 내부로 유입된 물에 잘 뜨도록 부피에 비하여 무게가 적게 나가는 스펀지 등으로 구성되며, 디스크(220)의 일면에 장착된다. 또한, 본 고안은 디스크(220) 자체가 부력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부력부(230)는 생략될 수 있다.The
충격완충부(240)는 디스크(220)가 경사면(210a)에 가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소음이 발생되자 않도록 한다. 즉, 디스크(2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210)의 유입부(212)를 간헐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키게 되는데, 디스크(220)가 본체(210)의 유입부(212)를 폐쇄할 때, 본체(210)의 경사면(210a)과 마주보는 디스크(220)의 타면이 본체(210)의 경사면(210a)을 타격하게 되어, 타격음이 발생된다. 상기 타격음은 사용자를 불편하게 하는 소음이므로, 상기 경사면(210a)과 대향되는 디스크(220)의 타면에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기 용이한 합성수지, 실리콘, 고무 등의 완충부재로 형성되는 충격완충부(240)를 구비하여, 디스크(220)의 타면이 본체(210)의 경사면(210a)을 타격할 때 발생되는 소음이 현저하게 줄어들도록 한다. 상기 충격완충부(240)는 경우에 따라 생략되기도 한다.The
압력저감부재(250)는 본체(210) 내부로 유입되는 물, 기포 등에 의하여 본체(210)의 내부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상승되는 경우, 이를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유체유도부(252) 및 커버부(254)를 포함한다.The
유체유도부(252)는 본체(210) 내부로 유입되는 물, 기포 등의 유체를 상기 본체(210) 외부로 토출시키는 것으로, 유체유도부(252) 및 커버부(254)를 포함한다. 유체유도부(252)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그 일단부는 본체(210)의 유입부(212)와, 충격완충부(240)와, 디스크(220)와, 부력부(230)를 일체로 관통하여 상기 본체(210) 내부 방향에 위치되고, 그 타단부는 상기 본체(210)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유체유도부(252)는 그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유체가 안내되도록 안내유로(252b)가 형성되고, 유체유도부(252)의 일단부 즉, 안내유로(252b)의 일단부는 개방되어 유체유입구(25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유체유도부(252)의 타단부의 측면에는 배출공(252c)이 형성되어, 본체(210) 내부의 유체가 유체유도부(252)의 유체유입구(252a)와 안내유로(252b)를 통과한 후, 배출공(252c)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유체유도부(252)는 그 타단부로 갈수록 상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유체유도부(252)의 안내유로(252b)로 안내된 유체가 유체유도부(252)의 타단부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된다.The
커버부(254)는 밀착성 및 탄력성이 뛰어난 고무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유체유도부(252)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배출공(252c)을 커버하도록 형성되어, 그 내주연이 유체유도부(252)의 배출공(252c)을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커버부(254)의 상부는 개방되도록 커버홀(254a)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210) 내부의 유체에 의한 압력이 상기 유체유도부(252)를 따라 상기 커버홀(254a)에 가해지면, 상기 커버부(254)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커버홀(254a)이 개방된다.
Th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hot water supply apparatus having a check valve with improved formab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의 본체 내부에 물이 없는 상태에서 물탱크의 물이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water in a water tank is introduced into a main body of a hot water supply apparatus having a check valve with improved formab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there is no water inside the main body to be.
도 7을 참조하면, 온수매트를 이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물탱크(100)의 개방부(130)를 통하여 물탱크(100)로 물을 공급하면, 물탱크(100)로 공급된 물은 본체(210)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본체(210) 내부에 구비된 디스크(220)는 경사져 있으므로, 디스크(220)의 자중 및 부력부(230)의 자중에 의하여 디스크(220)에 중력이 가해지며, 이에 따라 디스크(220)의 상측이 본체(210)의 경사면(210a)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하방 압력이 가해진다. 그 결과, 디스크(220)의 상측은 본체(210)의 경사면(210a)에서 이격되면서 하부로 이동되어 본체(210)의 유입부(212)가 개방되고, 물탱크(100)의 물은 본체(210)의 개방된 유입부(212)를 통하여 본체(210) 내부로 신속하게 유입된다. 그리고 본체(210) 내부로 유입되는 물은 본체(210)의 유출부(214)를 지나 히터부(300)로 흘러들어간다. 7, when a user supplies water to the
이처럼 디스크(220)가 본체(210)의 경사면(210a)을 따라 경사지도록 위치되므로 본체(210) 내부에 물이 없는 상태에서 디스크(220)가 본체(210)의 유입부(212)를 개방하도록 이동되고, 이에 따라 물탱크(100)의 물은 본체(210) 내부로 신속하게 유입되는 효과가 있다.
The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의 본체 내부에 물이 차서 본체의 유입부가 폐쇄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water flows into the body of a hot water supply apparatus having a check valve with improved formab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inflow portion of the body is closed.
도 8을 참조하면, 물탱크(100)의 물이 본체(210)의 개방된 유입부(212)를 통하여 본체(210) 내부로 유입되면, 디스크(220)에 장착된 부력부(230)가 자체 부력에 의하여 뜨게 된다. 이때, 상기 부력은 디스크(220)에 가해지는 중력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본체(210) 내부로 물이 차오르게 되면, 부력부(230)의 부력에 의하여 디스크(220)가 본체(210)의 경사면(210a) 방향으로 이동되어, 본체(210)의 유입부(212)가 폐쇄된다.8, when the water in the
한편, 본체(210) 내부로 유입되는 물은 본체(210)의 유출부(214)를 지나 히터부(300)로 흘러들어간다. 이때, 히터부(300)로 유입된 물은 가열되면서 증기가 발생되면서 히터부(300)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처럼 히터부(300)의 내부압력이 증가하면, 그 압력에 의하여 히터부(300) 내부의 물이 히터부(300)의 타측에 구비된 온수파이프(320) 방향으로 밀려들어가게 된다. 이때, 히터부(300)의 일측은 체크밸브(200)에 의하여 차단되어, 히터부(300)의 물이 물탱크(100) 방향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water flowing into the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의 본체 내부에 물이 있는 상태에서 물탱크의 물이 본체 내부로 공급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water in a water tank is supplied into a main body of a hot water supply apparatus having a check valve having improved formab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9를 참조하면, 본체(210)에서 히터부(300)로 공급된 물은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고, 가열된 물은 온수매트로 공급되어 순환되고, 본체(210)의 물은 히터부(300)로 다시 공급된다. 그리고 본체(210) 내부에는 히터부(300)로 공급된 물의 부피 만큼의 공간이 생기게 되고, 본체(210) 내부의 물의 수위는 그만큼 낮아지게 된다. 그러면 부력부(230)에 의한 부력은 그만큼 상쇄되어, 디스크(220)의 상측은 본체(210)의 수직면(210b)에서 이격되면서 하부로 이동되어, 본체(210)의 유입부(212)가 개방된다. 그리고 물탱크(100)의 물은 본체(210)의 개방된 유입부(212)를 통하여 본체(210) 내부로 재차 유입된다.
9, the water supplied from the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의 체크밸브가 개폐되면서 유체가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moving a fluid while a check valve of a hot water supply device having a check valve with improved formab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and closed.
도 10을 참조하면, 물탱크(100)와 히터부(300)는 하우징(미도시) 내부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외측에 매트부(330)가 구비되며, 매트부(330) 내부에 온수파이프(320)가 내장된다. 그리고 물탱크(100)의 토출구(120)와 히터부(300)는 제 1 연결관(31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고, 온수파이프(320)와 물탱크(100)의 공급구(110)는 제 2 연결관(34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그리고 물탱크(100)의 개방부(130)를 통하여 물탱크(100)에 물이 공급되고, 물탱크(100)로 공급된 물은 본체(210)의 유입부(212)와 유출부(214)를 지나 히터부(300)로 흘러들어간다. 이때, 본체(210) 내부로 물이 차오를수록 부력부(230)가 뜨게 되면서 디스크(220)가 본체(210)의 경사면(210a)에 접촉되어, 본체(210)의 유입부(212)가 폐쇄된다. 그 후, 히터부(300)로 공급된 물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면, 히터부(300)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가열된 물이 히터부(300)의 타측과 연결된 온수파이프(320)로 이동된다. 그리고 히터부(300) 내에서 가열된 물이 온수파이프(320)로 배출되면, 배출된 만큼의 공간이 생기게 되어, 디스크(220)가 본체(210)의 경사면(210a)에서 이격되고, 물탱크(100)의 물은 본체(210)의 유입부(212)를 지나 본체(210) 내부로 유입된 후, 본체(210)의 유출부(214)와 물탱크(100)의 토출구(120)를 지나 히터부(300)로 유입되어, 순환과정이 반복된다.Referring to FIG. 10, the
한편, 히터부(300)로 공급된 물이 가열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포는 체크밸브(200)의 본체(210) 내부로 유입되어 본체(210) 내부 압력이 높아지게 된다. 이때, 본체(210)의 내부 상부로 유입된 기포는 그 압력에 의하여 디스크(220)의 상부와 본체(210) 사이의 공간을 파고들게 된다. 그러면 디스크(220)의 상부가 본체(210)에서 이격되어, 본체(210)의 유입부(212)가 개방되며, 상기 기포는 개방된 본체(210)의 유입부(2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본체(210)의 내부 압력은 정상으로 되돌아가게 되는 효과가 있다.
Meanwhile, the bubble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heating the water supplied to the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의 체크밸브에 구비되는 압력저감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essure reducing member provided in a check valve of a hot water supply apparatus having a check valve with improved formab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히터부(300) 내에서 가열된 물이 온수파이프(320)로 배출되면, 본체(210) 내부의 물이 본체(210)의 유출부(214)를 통하여 히터부(300)로 재차 유입되고, 본체(210) 내부의 수위는 그만큼 낮아지게 된다. 이때, 본체(210) 내부 압력은 물탱크(100)의 압력보다 낮아지게 되므로, 디스크(220)의 상측은 본체(210)의 경사면(210a)에서 이격되면서 하부로 이동되어 본체(210)의 유입부(212)가 개방되고, 물탱크(100)의 물은 본체(210)의 개방된 유입부(212)를 통하여 본체(210) 내부로 신속하게 유입된다. 11, when the heated water in the
한편, 히터부(300)로 공급된 물이 가열되는 과정에서 본체(210)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는 본체(210)의 내부 압력을 높이는 원인이 된다. 그러면 본체(210) 내부의 수위가 낮아진다 하더라도, 디스크(220)는 본체(210)의 경사면(210a)에 밀착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물탱크(100)의 물은 본체(210) 내부로 유입될 수 없다. 이 경우를 대비하여, 디스크(220)에는 압력저감부재(250)를 더 구비한다. Meanwhile,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즉, 본체(210) 내부의 수위가 유체유도부(252)의 일단부보다 낮아진 상태에서 본체(210)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유체유도부(252)의 안내유로(252b)를 따라 배출공(252c) 방향으로 이동되어 커버부(254)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그러면 커버부(254)가 순간적으로 늘어나면서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때, 커버부(254)가 배출캡(252)의 배출공(252c)에서 이격되어, 배출공(252c)이 개방되며, 이에 따라 상기 유체는 개방된 배출공(252c) 및 커버부(254)의 커버홀(254a)을 통하여 용이하게 외부로 토출된다. 이처럼 디스크(220)가 본체(210)의 유입부(212)를 차단하고 있다 하더라도, 본체(210)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압력저감부재(250)를 통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토출되므로, 간단한 구조를 이용하여 본체(210) 내부 압력이 필요 이상으로 높아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압력저감부재(250)의 유체유도부(252)는 그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상부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므로, 유체유도부(252)의 일단부로 안내된 유체는 그 자체의 상승압력에 의하여 유체유도부(252)의 타단부 방향으로 용이하게 안내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압력저감부재(250)는 본체(210)에 형성되지 않고, 별도의 유체유도부(252)와 커버부(254)로 구성되므로, 본체(210)의 성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의 체크밸브에 의하여 본체의 유입부가 개폐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n inlet of a main body is opened or closed by a check valve of a hot water supply device having a check valve with improved formab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의 (a)를 참조하면, 체크밸브(200)의 본체(210)는 그 일측에 유출부(214)가 형성되고 그 타측에 유입부(212)가 형성된다. 이때, 본체(210)의 타측은 경사면(210a: 도 4 도시) 대신, 수직면(210b)이 구비된다. 즉, 본체(210)의 타측은다양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210)의 수직면(210b)에 디스크(220)가 구비되는데, 디스크(220)에는 부력부(230)가 구비되므로, 디스크(220)와 부력부(230)의 자체 무게에 의하여 디스크(220)의 상측은 본체(210)의 수직면(210b)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게 된다. 그 결과, 디스크(220)의 상측은 본체(210)의 수직면(210b)에서 이격되면서 하부로 이동되어 본체(210)의 유입부(212)가 개방되고, 물탱크(100)의 물은 본체(210)의 개방된 유입부(212)를 통하여 본체(210) 내부로 신속하게 유입된다.12 (a), the
이어서, 도 12의 (b)를 참조하면, 물탱크(100)의 물이 본체(210)의 개방된 유입부(212)를 통하여 본체(210) 내부로 유입되면, 디스크(220)에 장착된 부력부(230)가 자체 부력에 의하여 뜨게 된다. 이때, 상기 부력은 디스크(220)에 가해지는 중력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본체(210) 내부로 물이 차오르게 되면, 부력부(230)의 부력에 의하여 디스크(220)가 본체(210)의 경사면(210a) 방향으로 이동되어, 본체(210)의 유입부(212)가 폐쇄된다.12 (b), when the water in the
이어서, 도 12의 (c)를 참조하면, 본체(210) 내부의 물은 히터부(300)로 공급되고, 본체(210) 내부에는 히터부(300)로 배출된 물의 부피 만큼의 공간이 생기게 되고, 본체(210) 내부의 물의 수위는 그만큼 낮아지게 된다. 그러면 부력부(230)에 의한 부력은 그만큼 상쇄되고, 디스크(220)의 상측은 본체(210)의 수직면(210b)에서 이격되면서 하부로 이동되어, 본체(210)의 유입부(212)가 개방된다. 그러면 물탱크(100)의 물은 본체(210)의 개방된 유입부(212)를 통하여 본체(210) 내부로 재차 유입된다.
12 (c), the water in the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고안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f it belongs to the category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 the technical idea should also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is invention.
100: 물탱크 110: 공급구
120: 토출구 130: 개방부
200: 체크밸브 210: 본체
210a: 경사면 210b: 수직면
212: 유입부 214: 유출부
216: 결합안내부 220: 디스크
222: 회동결합부 230: 부력부
240: 충격완충부 250: 압력저감부재
252: 유체유도부 252a: 유체유입구
252b: 안내유로 252c: 배출공
254: 커버부 254a: 커버홀
300: 히터부 310: 제 1 연결관
320: 온수파이프 330: 매트부
340: 제 2 연결관100: water tank 110: supply port
120: Discharge port 130:
200: check valve 210:
210a: an
212: inlet portion 214: outlet portion
216: coupling guide 220: disk
222: rotation coupling portion 230: buoyancy portion
240: shock buffering part 250: pressure reducing member
252:
252b: guide
254: cover
300: heater part 310: first connection pipe
320: hot water pipe 330: mat portion
340: second connector
Claims (8)
상기 물탱크의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물을 가열시키는 히터부; 및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 구비되되, 일측에 상기 토출구와 연결되는 유출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물탱크의 물이 유입되도록 유입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타측 내면에 구비되되 그 하측은 상기 유입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그 상측은 상기 본체의 내면에 밀착 또는 이격되면서 상기 유입부를 간헐적으로 개방시키는 디스크와, 상기 본체 내부에 필요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본체 내부의 물 또는 기포를 상기 본체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상기 디스크에 관통 위치되는 압력저감부재를 구비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타측은 그 하부로 갈수록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디스크는 상기 본체의 상기 경사면을 따라 경사지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
A water tank in which a space is formed to receive water, a supply port is formed to supply water to one side thereof, and a discharge port is formed to discharge water to the other side;
A heater unit provided outside the water tank and heat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And
A main body having an inlet portion formed in the water tank and having an outlet portion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at one side thereof and an inlet portion for allowing water of the water tank to flow into the other side thereof; A disk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nlet portion and having an upper side there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or spac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to intermittently open the inlet portion; And a check valve having a pressure reducing member positioned to pass through the disc to discharge it to the outside,
Wherei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forms an inclined surface so as to be inclined outwardly toward the lower side and the disc is positioned to be inclin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main body.
상기 물탱크의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물을 가열시키는 히터부; 및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 구비되되, 일측에 상기 토출구와 연결되는 유출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물탱크의 물이 유입되도록 유입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타측 내면에 구비되되 그 하측은 상기 유입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그 상측은 상기 본체의 내면에 밀착 또는 이격되면서 상기 유입부를 간헐적으로 개방시키는 디스크와, 상기 본체 내부에 필요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본체 내부의 물 또는 기포를 상기 본체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상기 디스크에 관통 위치되는 압력저감부재를 구비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저감부재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그 일단부는 상기 본체의 유입부와, 상기 디스크를 일체로 관통하여 상기 본체 내부 방향에 위치되고, 그 타단부는 상기 본체 외부 방향에 위치되는 유체유도부; 및
상기 유체유도부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배출공을 폐쇄하도록 상기 유체유도부의 타단부를 커버하며 탄성을 가지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내부의 물 또는 기포에 의한 압력이 상기 유체유도부를 따라 상기 커버부에 가해지면, 상기 커버부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배출공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
A water tank in which a space is formed to receive water, a supply port is formed to supply water to one side thereof, and a discharge port is formed to discharge water to the other side;
A heater unit provided outside the water tank and heat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And
A main body having an inlet portion formed in the water tank and having an outlet portion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at one side thereof and an inlet portion for allowing water of the water tank to flow into the other side thereof; A disk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nlet portion and having an upper side there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or spac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to intermittently open the inlet portion; And a check valve having a pressure reducing member positioned to pass through the disc to discharge it to the outside,
The pressure reducing member includes:
A fluid guiding part having a length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n inlet part of the main body and a disk guiding part which is integrally passed through the disk and is positioned i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is located in the outside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And a cover portion covering the other end of the fluid guiding portion and having elasticity to close the discharge hol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luid guiding portion,
Wherein when the pressure due to water or air bubbles in the body is applied to the cover portion along the fluid guiding portion, the cover portion is opened to the outside to open the discharge hole. Device.
상기 유체유도부는 그 타단부로 갈수록 상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luid guide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check valve.
상기 디스크는 부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isk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buoyancy.
상기 본체의 상기 유입부와 대향되지 않는 상기 디스크의 일면에는 부력을 갖는 부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buoyancy portion having buoyancy on one side of the disk which is not opposed to the inflow portion of the main body.
상기 디스크의 하측에는 회동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타측 내면에는 상기 회동결합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결합안내부가 구비되어, 상기 회동결합부가 상기 결합안내부에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디스크가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disk is provided with a pivotal coupling part on the lower side of the disk, and a coupling guide part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disk at a position facing the pivotal coupling part. The pivotal coupling part is rotated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guide part, Wherein the check valve is provided with a check valve having improved formability.
상기 본체의 상기 유입부와 대향되는 상기 디스크의 타면에는 상기 디스크가 상기 본체의 타측에 가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충격완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이 향상된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온수공급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hock absorb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disk opposite to the inflow portion of the main body so as to absorb an impact of the disk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3869U KR200474868Y1 (en) | 2014-05-20 | 2014-05-20 | Hot Water Supply Apparatus having Check Valve with Improved Molding Propert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3869U KR200474868Y1 (en) | 2014-05-20 | 2014-05-20 | Hot Water Supply Apparatus having Check Valve with Improved Molding Propert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4868Y1 true KR200474868Y1 (en) | 2014-10-22 |
Family
ID=52000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3869U Expired - Lifetime KR200474868Y1 (en) | 2014-05-20 | 2014-05-20 | Hot Water Supply Apparatus having Check Valve with Improved Molding Propert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4868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84066B1 (en) * | 2015-09-15 | 2017-10-19 |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 Waterproof apparatus for distributing board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06057A (en) * | 2012-03-19 | 2013-09-27 | 주식회사 에스제이텍 | The check valve for hot-water heating apparatus |
KR20130138581A (en) * | 2012-06-11 | 2013-12-19 | (주)한미홈케어 | Boiler for a hot-water heating mat |
-
2014
- 2014-05-20 KR KR2020140003869U patent/KR200474868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06057A (en) * | 2012-03-19 | 2013-09-27 | 주식회사 에스제이텍 | The check valve for hot-water heating apparatus |
KR20130138581A (en) * | 2012-06-11 | 2013-12-19 | (주)한미홈케어 | Boiler for a hot-water heating ma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84066B1 (en) * | 2015-09-15 | 2017-10-19 |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 Waterproof apparatus for distributing boar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18947B1 (en) | Boiler for hot-water heating mat | |
JP6035466B2 (en) | Piping equipment | |
JP6527292B2 (en) | Instant heating device | |
JP5663650B2 (en) | Vacuum breaker, automatic toilet system and electronic electronic toilet | |
CN110906029B (en) | Reversing valve for water heater, water mixing device and water heater | |
KR100918522B1 (en) | Hot water boiler for hot water mat | |
RU2014139007A (en) | HUMIDIFIER DEVICE PREVENTING LEAKAGE OF WATER | |
JP6031647B2 (en) | Tube joint | |
KR200474868Y1 (en) | Hot Water Supply Apparatus having Check Valve with Improved Molding Property | |
KR200468721Y1 (en) | Hot Water Supply Apparatus for Hot Water Mat | |
KR200474239Y1 (en) | Hot Water Supply Apparatus with Compact Joint Structure | |
KR200474285Y1 (en) | Hot Water Supply Apparatus easy to Control stream of Water and Bubble | |
CN110906556B (en) | Water mixing device for water heater, water heater and water mixing method of water heater | |
KR200472263Y1 (en) | Hot Water Supply Apparatus easy to Exhausting Bubble | |
KR102523554B1 (en) | Water supply measuring instrument for preventing abreakage by freezing | |
KR20150118283A (en) | The circulation device of warm water boiler | |
KR101708425B1 (en) | Back flow preventing cap for slim mat and boiler having the same | |
KR101129337B1 (en) | A movable boiler | |
KR20130015778A (en) | Check valve and the check valve used non-motorized heating | |
KR20170106766A (en) | Slim mat and boiler apparatus having the same | |
CN210383630U (en) | Splash-proof heating water dispenser | |
CN204718096U (en) | There is the hot water supply apparatus of compact fastening structure | |
KR20130106057A (en) | The check valve for hot-water heating apparatus | |
CN210890326U (en) | Built-in liquid level controller and its liquid level control system | |
KR101569433B1 (en) | A pump assembly for hot water mat having function of preventing flowing backwar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40520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0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40623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4100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4101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41014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4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