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825Y1 - Digital magnifying device and imaging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igital magnifying device and imaging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4825Y1 KR200474825Y1 KR2020100006145U KR20100006145U KR200474825Y1 KR 200474825 Y1 KR200474825 Y1 KR 200474825Y1 KR 2020100006145 U KR2020100006145 U KR 2020100006145U KR 20100006145 U KR20100006145 U KR 20100006145U KR 200474825 Y1 KR200474825 Y1 KR 20047482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main body
- digital
- column
- magnifying glas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group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9 micro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24—Base structure
- G02B21/26—Stages; Adjusting means therefor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5/00—Eyepieces; Magnifying glasses
- G02B25/002—Magnifying gla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지털 확대경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확대경은 받침대; 이 받침대로부터 직립한 기둥; 이 기둥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된 작업대; 및 이 작업대의 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둥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된 촬영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영상 촬영 유닛은, 후단이 상기 기둥에 체결된 본체, 상기 작업대를 향하도록 상기 본체(112)의 선단 하부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렌즈가 내장된 줌, 영상을 획득 및 처리하도록 본체 내부에 배치된 영상처리부를 포함한다. 받침대로부터 직립한 기둥에 작업대와 촬영 유닛을 수동으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하고 촬영 유닛을 컴퓨터를 통해 또는 직접 모니터에 연결함으로써 작업자가 미세한 부품의 확대 영상을 확인하면서 작업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magnifying glass and an image system including the digital magnifying glass. The digital magnifier is a pedestal; A column erected from the pedestal; A worktable having height adjustable on the column; And a photographing unit which is height-adjustably mounted on the column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workbench. The image capturing unit includes a main body whose rear end is fastened to the pillar, a zoom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main body to face the worktable and having at least one lens therein,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By manually mounting the workbench and the photographing unit on the column upright from the pedestal, and manually connecting the photographing unit to the monitor through the computer or directly to the monitor, the operator can work while confirming the enlarged image of the minute component.
Description
본 고안은 디지털 확대경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받침대로부터 직립한 기둥에 작업대와 촬영 유닛을 수동으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하고 촬영 유닛을 컴퓨터를 통해 또는 직접 모니터에 연결함으로써 작업자가 미세한 부품의 확대 영상을 확인하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구성한 디지털 확대경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magnifying glass and an imaging system including the digital magnifying glas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magnifying glass and an imaging system including the digital magnifying glass. More specifically, A digital magnifier configured to allow an operator to work while confirming enlarged images of fine parts, and an image system including the digital magnifier.
디지털 확대경은 전자제품의 부품 등의 작은 부품이나 미세한 글씨를 새기는 등의 작업에 사용된다. 특히, 디지털 확대경을 컴퓨터를 통해 또는 직접 영상 표시 장치(모니터, TV)에 연결하면, 미세 부분의 영상을 영상 표시 장치에 확대하여 관찰할 수 있으므로 작업 편의과 정밀도가 향상된다.Digital magnifiers are used for small parts such as parts of electronic products, and for engraving fine texts. Particularly, when a digital magnifying glass is connected to a computer or directly to a video display device (monitor, TV), the image of a fine portion can be magnified and observed on a video display device,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and precision of work.
하지만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디지털 확대경은 복잡하고 작동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고가라는 문제가 있다. 또, 통상 대형의 작업대에 고정식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이동이 불편하다.However, most of the digital magnifiers currently used are complex, difficult to operate, and expensive. In addition, since it is fixedly used on a large work table, the movement is inconvenient.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받침대로부터 직립한 기둥에 작업대와 촬영 유닛을 수동으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하고 촬영 유닛을 컴퓨터를 통해 또는 직접 모니터에 연결함으로써 작업자가 미세한 부품의 확대 영상을 확인하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구성한 디지털 확대경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nually adjust the elevation of the workbench and the photographing unit on a column erected from a pedestal, and connect the photographing unit to the monitor directly or through a computer, And a video system including the digital magnifier.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확대경은 받침대; 이 받침대로부터 직립한 기둥; 이 기둥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된 작업대; 및 이 작업대의 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둥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된 촬영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영상 촬영 유닛은, 후단이 상기 기둥에 체결된 본체, 상기 작업대를 향하도록 상기 본체(112)의 선단 하부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렌즈가 내장된 줌, 영상을 획득 및 처리하도록 본체 내부에 배치된 영상처리부를 포함한다.A digital magnifying 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edestal; A column erected from the pedestal; A worktable having height adjustable on the column; And a photographing unit which is height-adjustably mounted on the column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workbench. The image capturing unit includes a main body whose rear end is fastened to the pillar, a zoom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main body to face the worktable and having at least one lens therein,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작업대와 촬영 유닛은 조절 나사에 의해 기둥에 체결될 수 있다.The workbench and the imaging unit can be fastened to the column by means of adjusting screws.
줌은 촬영 유닛의 본체와 결합된 상단에 나사가 형성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본체에 대해 이동함으로써 영상소자와의 거리를 변화시켜 배율을 조절할 수 있다.A zoom is formed on an upper end coupled to the main body of the photographing unit and is moved relative to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thereby changing the distance from the image device to adjust the magnification.
디지털 확대경은 줌에 인접 배치된 조명 램프; 및 조명 램프의 점멸과 밝기를 조절하도록 본체의 상단에 배치된 조명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gital magnifier includes an illumination lamp disposed adjacent to the zoom; And a lighting switch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so as to adjust the flashing and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lamp.
디지털 확대경은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도록 본체 내부에 배치된 송신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gital magnifying glass may further include a transmitter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to transmit the image to the outside.
영상처리부는 본체 내부에 줌의 후방에 배치된 영상소자와 영상을 처리하도록 본체 내부에 배치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may include a video device disposed in the rear of the zoom unit and a processor disposed inside the main unit to process the video.
본 고안에 따른 영상 시스템은 전술한 디지털 확대경; 및 이 디지털 확대경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한다.The im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digital magnifying glass described above; And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transmitted from the digital magnifier on the screen.
한편, 표시장치는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장치를 포함하는 모니터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device may be a monitor including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an image.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한 디지털 확대경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시스템은 촬영 유닛을 컴퓨터를 통해 또는 직접 모니터에 연결하여 작업물을 확대 표시함으로써 작업자가 미세한 부품을 원활히 확인하면서 작업할 수 있다.The digital magnifier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mage system including the digital magnifier can connect the photographing unit to a monitor directly or through a computer to magnify and display the work so that the operator can smoothly check the fine parts.
디지털 확대경은 간단한 구성을 가지므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소형이어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Since the digital magnifier has a simple configuration, it can save costs and is small and can be easily moved.
또, 받침대로부터 직립한 기둥에 작업대와 촬영 유닛을 수동으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대와 촬영 유닛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Further, by mounting the workbench and the photographing unit on the column upright from the pedestal so as to be manually adjustable in height, the operator can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workbench and the photographing unit.
아울러, 촬영 유닛 하단의 줌과 상단의 조명 스위치를 손으로 조작하여 배율과 밝기를 조절할 수 있어서, 작업자가 작업대로부터 손을 멀리 뻗지 않고도 확대경의 배율과 조명 램프의 밝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gnification and the brightness can be adjusted by manually operating the zoom switch at the lower end of the photographing unit and the upper light switch,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adjust the magnification of the magnifying lamp and the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lamp without extending his / her hand away from the workbench.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확대경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확대경의 촬영 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확대경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igital magnifying glass and an image system including the digital magnifying 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photographing unit of the digital magnifier of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digital magnifying glass and an image system including the digital magnifying 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확대경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시스템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a digital magnifying glass and an image system including the digital magnifying 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확대경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디지털 확대경의 촬영 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igital magnifying 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image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FIG. 2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of a photographing unit of the digital magnifying glass of FIG.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시스템은 디지털 확대경(100)과 PC 및 모니터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im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igital
본 실시예에서, 디지털 확대경(100)은 받침대(102)로부터 직립한 기둥(104)과, 이 기둥(104)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된 작업대(106) 및 영상 촬영 유닛(120)을 포함한다.The digital
먼저, 작업대(106)는 전자제품의 부품 등의 작은 부품이나 미세한 글씨를 새길 평판 또는 박판을 올려놓기 위한 전방의 판 부재(108)와 이를 기둥(106)에 체결하기 위한 연결부(112) 및 조절 나사(114)로 구성된다. 한편, 판 부재(108)의 전방부에는 경사면(110)이 형성되어 작업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First, the work table 106 is provided with a
작업대(106)의 위쪽에는 촬영 유닛(120)이 장착된다. 촬영 유닛(120)은 막대 형태의 본체(122)의 후단이 조절 나사(126)에 의해 기둥(106)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체결된다.A photographing
이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체(122)의 후단에는 기둥(104)이 관통해 삽입될 수 있도록 후단에 수직 방향으로 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고, 또 수평 방향으로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조절 나사(126)가 체결되어 삽입 단부가 기둥(104)에 압박됨으로써 본체(122)는 기둥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조절 나사(126)를 풀어 촬영 유닛(120)을 기둥(104)을 따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조절 나사(126)를 조여 촬영 유닛(120)을 해당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절 가능한 고정 방식은 전술한 작업대(106)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2, a hole (not shown) is formed in the rear end of the
한편, 본체(122)의 상단에는 커버(124)가 부착되어 있고, 커버(124)는 본체(122)에 나사 체결된다.On the other hand, a
본체(122)의 선단의 하부에는 줌(130)이 장착되고 그 둘레에는 조명 램프(136)가 장착된다. 줌(130)은 하단이 작업대(106)의 판 부재(108)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조명 램프(136)는 예컨대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할 수 있다. 커버(124)에는 조명 스위치(138)가 부착되어 상부로 돌출하고, 조명 스위치(138)를 이용해 조명 램프(136)의 점멸과 밝기 조정을 하게 된다.A
도 2에 상세히 도시한 것과 같이, 줌(130)은 상단에 나사(132)가 형성되어 본체(122)에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손으로 줌(130)을 회전시키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줌(130)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줌(130) 내부의 하나 또는 복수의 렌즈로 구성된 렌즈 군(134)과 본체(122) 내의 영상소자(14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게 됨으로써, 영상소자(140)가 얻게 되는 영상의 배율을 조정하게 된다.As shown in detail in FIG. 2, the
이와 같이 작업대(106)에 인접한 위치에서 배율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는 작업 중에 배율을 조정하기 위해 손을 멀리 뻗거나 할 필요가 없어 작업 효율성이 증대된다. 또한, 배율 조정을 위한 구성을 단순화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어 유리하다.By allowing the magnification to be adjust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전술한 영상소자(140)는 예컨대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또는 CCD(Charge-Coupled Device)로 구성될 수 있다. 영상소자(140)에서 획득한 영상은 프로세서(142)가 처리한다. 이 프로세서(142)는 영상소자(140)와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소자(140)와 프로세서(142)를 영상처리부라 부를 수 있다. 또한, 본체(122)의 내부에는 송신기(144)가 설치되어 영상을 신호 케이블(150)을 통해 PC 등의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The
PC는 이와 같이 전송된 영상을 PC에 연결된 모니터를 통해 재생하고, 이를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다.The PC reproduces the transmitted image through a monitor connected to the PC, and the operator can confirm the reproduced image.
따라서, 작업자는 작업대(106)에서 미세 가공 등의 작업을 실시하면서 확대영상을 모니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 더 정밀한 작업이 가능하다. 또, 촬영 유닛(120)의 줌(130)과 조명 스위치(138)를 이용해 배율과 밝기를 조절하므로, 배율과 밝기를 조절하기 위해 멀리 손을 뻗을 필요가 없어 작업이 편리하다.Therefore, the operator can check the enlarged image through the monitor while performing work such as micro-machining in the
한편, 촬영 유닛(120)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은 PC의 USB 포트 등으로부터 얻으며, 신호 케이블(150)을 통해 공급된 외부전원은 예컨대 조명 스위치(138)에 인접한 전원공급수단(도시 생략)을 통해 각 부분에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the power source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photographing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디지털 현미경(100)은 장치 전체가 소형이어서 필요한 경우 디지털 현미경(100)을 용이하게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 작업대(106)와 촬영 유닛(120)이 조절 나사(114, 126)에 의해 기둥의 원하는 위치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어 작업자가 여러 조건에 맞춰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높이 조절을 위한 구조가 간단하여 누구라도 용이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더욱이, 배율과 밝기를 수동으로 조절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성이 간단하여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다.The
한편, 본 실시예의 디지털 현미경(100)을 PC에 연결하여 사용한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실시예의 디지털 현미경(100)은 TV나 모니터 등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the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확대경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digital magnifying glass and an image system including the digital magnifying 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확대경(100)은 직접 모니터(200)에 연결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과 2의 디지털 확대경(100)과 동일한 구성이다.As shown in FIG. 3, the digital
본 실시예에서, 모니터(200)는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202)가 내장된다. 따라서, 확대경(100)에서 촬영한 영상을 모니터(200)의 저장장치(202)에 저장해 두고 필요한 경우 영상만을 표시할 수 있다. 또, 저장장치(202)는 저장한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물론,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저장된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모니터(200)에 추가로 내장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100: 디지털 확대경 102: 받침대
104: 기둥 106: 작업대
114: 조절 나사 120: 촬영 유닛
126: 조절 나사 130: 줌
134: 렌즈 군 136: 조명 램프
138: 조명 스위치 140: 영상소자
142: 프로세서 144: 송신기
150: 신호 케이블 200: 모니터
202: 저장장치100: digital magnifier 102: pedestal
104: Column 106: Workbench
114: adjusting screw 120: photographing unit
126: Adjustment screw 130: Zoom
134: Lens group 136: Lighting lamp
138: Lighting switch 140: Imaging element
142: Processor 144: Transmitter
150: Signal cable 200: Monitor
202: storage device
Claims (8)
상기 받침대로부터 직립한 기둥(104);
상기 기둥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된 작업대(106) 및
상기 작업대의 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둥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된 촬영 유닛(120)을 포함하며,
상기 촬영 유닛은, 후단이 상기 기둥에 체결된 본체(122), 상기 작업대를 향하도록 상기 본체(122)의 선단 하부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렌즈가 내장된 줌(130), 영상을 획득 및 처리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된 영상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처리부는 영상소자 및
상기 영상소자에서 획득한 영상을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줌은 상기 촬영 유닛의 본체와 결합된 상단에 나사가 형성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본체에 대해 이동함으로써 상기 영상소자와의 거리를 변화시켜 배율을 조절하는 것인, 디지털 확대경.A pedestal 102;
A column 104 erected from the pedestal;
A workbench 106 mounted on the column so as to be adjustable in height,
And a photographing unit (120) height-adjustably mounted on the column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workbench,
The photographing unit includes a main body 122 whose rear end is fastened to the pillar, a zoom 130 which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22 to face the workbench and has one or more lenses built therein,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disposed in the main body,
Wherein the image processing unit
And a processor for processing the image acquired by the imaging device,
Wherein the zoom unit is provided with a screw at an upper end coupled to the main body of the photographing unit and moves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to adjust the magnification by changing the distance from the main body.
상기 줌에 인접 배치된 조명 램프(136); 및
상기 조명 램프의 점멸과 밝기를 조절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단에 배치된 조명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인, 디지털 확대경.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illumination lamp 136 disposed adjacent to the zoom; And
Further comprising a lighting switch disposed at the top of the main body to adjust the flashing and brightness of the lighting lamp.
상기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된 송신기(144)를 더 포함하는 것인, 디지털 확대경.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ransmitter (144) disposed within the body to transmit the image to the outside.
상기 디지털 확대경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확대경은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것인, 영상 시스템.A digital magnifying glass 100; And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transmitted from the digital magnifier on a screen;
/ RTI >
Wherein the digital magnifying glass is on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4 to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6145U KR200474825Y1 (en) | 2010-06-11 | 2010-06-11 | Digital magnifying device and imaging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6145U KR200474825Y1 (en) | 2010-06-11 | 2010-06-11 | Digital magnifying device and imaging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1668U KR20110011668U (en) | 2011-12-19 |
KR200474825Y1 true KR200474825Y1 (en) | 2014-10-15 |
Family
ID=45568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06145U Expired - Lifetime KR200474825Y1 (en) | 2010-06-11 | 2010-06-11 | Digital magnifying device and imaging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4825Y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81683B1 (en) * | 1996-04-08 | 1999-05-01 | 이대원 | Real Image System and Real Image Machine |
KR200245756Y1 (en) * | 2001-03-13 | 2001-10-08 | (주)아이다캠 | Real project with Digital Dual camera |
-
2010
- 2010-06-11 KR KR2020100006145U patent/KR200474825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81683B1 (en) * | 1996-04-08 | 1999-05-01 | 이대원 | Real Image System and Real Image Machine |
KR200245756Y1 (en) * | 2001-03-13 | 2001-10-08 | (주)아이다캠 | Real project with Digital Dual camera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1668U (en) | 2011-12-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964839B2 (en) | Electronic magnifier | |
US7929013B2 (en) | Desktop electronic magnifier | |
US9265186B2 (en) | Camera system for aligning components of a PCB | |
CN200993722Y (en) | Infrared thermal imager | |
CN103454761A (en) | Microscope device capable of observing object to be tested at multiple angles | |
CN105452927A (en) | Focus adjustment method and device therefor | |
CN102890340A (en) | Three-dimensional video microscope system | |
US20150185462A1 (en) | Microscope And Magnifying Observation Method Using The Same | |
JP2002094835A (en) | Prompter device | |
US20040189847A1 (en) | Video magnification inspection system | |
CN2862069Y (en) | Digital imaging microscope with display screen | |
KR200474825Y1 (en) | Digital magnifying device and imaging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 |
KR100744604B1 (en) | Camera module focusing device and focusing method | |
KR20140004846U (en) | Hybrid Smart Magnifier AND Pedestal | |
CN216431443U (en) | Amplifying lamp | |
JP2017090788A (en) | Alignment mechanism and microscope device | |
US7016108B2 (en) | Microscope | |
KR200294068Y1 (en) | Digital Microscope | |
CN208654434U (en) | A kind of visual auxiliary electron videomicroscopy | |
JP6247933B2 (en) | Magnifying observation device | |
JP3558310B2 (en) | Imaging device | |
KR20160097965A (en) | Remote controlled microscope system | |
KR200321785Y1 (en) | Stereoscopic imaging microscope | |
KR101932536B1 (en) | Visual presenter | |
CN220673835U (en) | Projector with scanning fun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0611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61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11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40408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70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410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41008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