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606Y1 - Case for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Case for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4606Y1 KR200474606Y1 KR2020130008513U KR20130008513U KR200474606Y1 KR 200474606 Y1 KR200474606 Y1 KR 200474606Y1 KR 2020130008513 U KR2020130008513 U KR 2020130008513U KR 20130008513 U KR20130008513 U KR 20130008513U KR 200474606 Y1 KR200474606 Y1 KR 20047460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table terminal
- rear cover
- case
- facing
- co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49 leather substitu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storing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pagers or smart phon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8—Devices to prevent theft or loss of purses, luggage or hand carried bag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0—Transparent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전면커버와 후면커버의 내면이 서로 대면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전면커버와 후면커버 사이에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도록 수납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의 내면과 대면하는 후면커버의 내면에 휴대 단말기가 수납되도록 투명한 전도성 필름으로 이루어진 수납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부 중 후면커버의 외측을 향하는 외측단 및 상기 외측단과 직각을 이루는 수납부의 하단이 후면커버에 고정되며, 상기 외측단과 대향하는 내측단과 상기 내측단과 대면하는 후면커버에 논-슬립(non-slip) 영역이 마련되어 수납부에 휴대 단말기가 수납되었을 때 수납부의 내측단이 휴대 단말기의 측면 및 배면을 감싸 후면커버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가 개시된다. 이에 따라서, 휴대 단말기를 케이스에 넣어 보관할 때 수납부를 휴대 단말기의 크기에 꼭 맞게 밀착시킬 수 있어 휴대 단말기의 기종이 변경되더라도 케이스를 새로 구매할 필요없이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시인성이 우수하고휴대 단말기를 수납부에서 꺼내지 않고도 휴대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패널을 조작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connected to an inner surface of a front cover and a rear cover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which houses the portable terminal between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cover, And a lower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which is at right angles to the outer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faces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cover, A non-slip region is provided in an inner side end facing the outer end and a rear face facing the inner end so that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housed in the receiving portion, And a rear cover covering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Accordingly,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stored in the case, the housing portion can be closely fitted to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even if the typ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changed, it can be used without having to purchase a new case,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touch screen panel of the portable terminal without taking it out from the storage section, so that it is convenient to use.
Description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커버와 후면커버로 이루어진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 있어서 후면커버의 내면에 수납부가 마련되고, 수납부의 내측단에 논-슬립을 형성하여 휴대 단말기의 크기에 꼭 맞게 수납부를 밀착시킬 수 있어 휴대 단말기의 기종이 변경되더라도 케이스를 새로 구매할 필요없이 사용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front cover and a rear cover, a storage unit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cover, a non-slip is formed on the inner end of the storage uni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can be used without any need to purchase a new case even if the model of the portable terminal is changed because the housing can be closely fitted to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핸드폰의 보급이 일반화되고, 다양한 기능을 갖춘 고급 사양의 스마트폰이 보급됨에 따라, 핸드폰은 단순히 통신수단을 넘어 정보와 지식의 전달 매체가 되었다. 또한, 핸드폰의 디자인이 향상되고, 기능이 다양해 짐에 따라 핸드폰은 개성을 표출하는 액세서리의 기능도 가지게 되었다.With the popularization of mobile phones and the popularization of high-end smartphones with various functions, mobile phones have become a medium of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beyond communication means. In addition, as the design of the mobile phone has been improved and functions have been diversified, the mobile phone has also become an accessory to express personality.
반면, 핸드폰의 액정이 커지고, 기능이 향상되며, 기기 자체가 정교해 짐에 따라 외부충격에 의해서 액정이 깨지거나 기능에 장애가 발생하는 등 고장이 쉽게 발생할 수 있게 되었고, 이러한 고장이 나면 많은 수리비가 들게 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핸드폰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케이스 또는 범퍼 등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liquid crystal of the mobile phone becomes larger, the function improves, and the device itself becomes more elaborate, the liquid crystal is broken due to the external impact, and the trouble such as the function failure occurs easily. It is a reality to be picked up. Therefore, a protective case or a bumper is often used to protect the mobile phone.
특히, 근래에 사용되는 핸드폰은 터치 기능을 갖춘 스마트폰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스마트폰은 종래의 플립형과 폴더형과 달리 전면 개방부 없이 터치 스크린 패널이 본체의 정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된다.Particularly, in recent years, a smartphone having a touch function is mainly used as a mobile phone used in recent years. Unlike a conventional flip type and a folding type mobile phone, a touch screen panel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main body without a front opening, Lt; / RTI >
예를 들어, 전화를 받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터치 스크린 패널과 접촉시킨 상태에서 횡방향으로 선을 긋듯 이동시켜 전화를 받거나 또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다수의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기 위해 해당 아이콘을 터치하여 실행시키게 된다.For example, in order to receive a telephone call, the user touches the corresponding icon to activate a plurality of programs installed on the smart phone by moving the finger in a horizontal direction while touching the user's finger with the touch screen panel do.
따라서, 고가의 스마트폰이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스마트폰의 터치 스크린 패널이 불필요하게 터치되어 작동되지 않도록 스마트폰의 정면과 배면을 덮는 케이스가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스마트폰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의 선행기술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4767호의 지갑형 스마트폰 케이스가 있다. 이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ccordingly, a case for covering a front face and a back face of a smart phone is spreading so as to prevent an expensive smart phone from being damaged by an impact, and to prevent a touch screen panel of a smart phone from being touched by unnecessary touch. As a prior art of a case for protecting such a smartphone, there is a wallet-type smartphone case of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64767.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은 선행기술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선행기술의 스마트폰 케이스는 케이스 본체(1)가 좌면(L)과 우면(R)으로 양분되어 절첩되고, 우면(R)에 스마트폰을 삽입하여 보관하는 스마트폰 집(2)이 형성되고, 스마트폰 집(2)이 우면(R)과 절첩되어 좌면(L)과 우면(R), 그리고 스마트폰 집(2)이 각각 접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좌면(L)이 우면(R)과 스마트폰 집(2) 사이로 삽입되면서 전화 사용시 케이스를 포개어 쥘 수 있도록 구성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smartphone case of the prior art is a smartphone case in which a case body 1 is folded into two parts by a seating surface L and a right side R and a smartphone is inserted into a right side R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선행기술은 스마트폰 집(2)이 일정한 크기로 재단되어 우면(R)에 고정되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부피(외형 크기)가 스마트폰 집(2)보다 큰 경우 스마트폰을 스마트폰 집(2)에 넣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ince the
이와는 반대로 스마트폰의 부피가 스마트폰 집(2)보다 작은 경우 스마트폰이 스마트폰 집(2)에서 쉽게 빠져 버리기 때문에 선행기술의 스마트폰 케이스를 사용자가 휴대하는 중에 스마트폰이 빠져 고가의 스마트폰을 분실할 염려가 있다.
In contrast, when the volume of a smartphone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smartphone (2), the smartphone easily slips out of the smartphone (2). Therefore, while the smartphone of the prior art is carried by the user, There is a risk of losing.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폰의 기종에 상관없이 스마트폰의 크기에 꼭 맞는 수납부를 형성하여 서로 다른 기종의 스마트폰을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can accommodate smart phones of different models by forming a housing part that fits the size of the smart phone,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smart phone It has its purpose.
또한, 수납부 전체가 투명하게 형성되어 스마트폰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며 스마트폰을 수납부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화면을 조작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easy to use, because the entire storage portion is formed in a transparent manner to improve the visibility of the smartphone and the screen can be operated while the smartphone is mounted on the storage por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전면커버와 후면커버의 내면이 서로 대면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전면커버와 후면커버 사이에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도록 수납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의 내면과 대면하는 후면커버의 내면에 휴대 단말기가 수납되도록 투명한 전도성 필름으로 이루어진 수납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부 중 후면커버의 외측을 향하는 외측단 및 상기 외측단과 직각을 이루는 수납부의 하단이 후면커버에 고정되며, 상기 외측단과 대향하는 내측단과 상기 내측단과 대면하는 후면커버에 논-슬립(non-slip) 영역이 마련되어 수납부에 휴대 단말기가 수납되었을 때 수납부의 내측단이 휴대 단말기의 측면 및 배면을 감싸 후면커버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connected to an inner surface of a front cover and a rear cover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accommodates the portable terminal between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cover, A receiving portion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to receive the portable terminal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cover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and an outer end facing the outer side of the rear cover of the receiving portion, Slip region is provided on the rear cover facing the inner end and the inner end opposite to the outer end so that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housed in the receiving portion, the inner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non- And a cover for covering the side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To be achieved.
여기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통화용 스피커와 근접하게 위치한 제스처 센서 또는 조도 센서가 가려지지 않게 휴대 단말기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torage unit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the gesture sensor or the luminance sensor located close to the communication speaker of the portable terminal is not covered.
또한, 상기 수납부의 내측단 및 수납부의 내측단과 마주하는 후면커버의 내면에 패스너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fastener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torage portion and the inner side of the rear cover facing the inner side of the storage portion.
또한, 상기 수납부의 내측단에 연장 스트립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 스트립은 후면 커버에 형성된 관통 슬롯을 통해 후면 커버의 후방으로 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n extending strip is formed at an inner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extending strip is drawn out to the rear of the rear cover through a through slot formed in the rear cover.
그리고, 상기 연장 스트립 및 연장 스트립과 마주하는 후면커버의 배면에 패스너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hat a fastener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rear cover facing the extension strip and the extension strip.
또한, 상기 패스너는 극성을 달리하여 서로 잡아당기는 자석 또는 암수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벨크로 테이프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fastener is any one of a magnet or a pair of male and female Velcro tapes pulling each other at different polarities.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를 케이스에 넣어 보관할 때 수납부를 휴대 단말기의 크기에 꼭 맞게 밀착시킬 수 있어 휴대 단말기의 기종이 변경되더라도 케이스를 새로 구매할 필요없이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stored in a case, the housing can be closely fitted to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even if the typ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changed, the case can be used without having to purchase a new one, which is economical .
또한, 수납부 전체가 투명한 전도성 필름으로 이루어져 휴대 단말기의 화면에 가려짐이 없어 시인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를 수납부에서 꺼내지 않고도 휴대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패널을 조작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In addition, since the entire storage compartment is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it is not covered by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which is excellent in visibility and is easy to use because the touch screen panel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operated without removing the portable terminal from the storage unit.
도 1은 선행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중 수납부의 내측단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end of the storage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ployed.
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nfolded.
5 is a plan view show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design in the best possible way It must be construed as a meaning and a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는 직물, 인조가죽,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전면커버(110) 및 후면커버(120)가 서로를 향해 접혀지도록 연결되며 후면커버(120)에 휴대 단말기(10)를 수납하는 수납부(130)로 구성된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ortable terminal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이때, 전면커버의 내면(111)에는 카드와 같은 소지품을 수납할 수 있는 포켓(112)이 형성되거나 또는 전면커버에 투시창(미도시)이 형성되어 휴대 단말기(10)가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에서도 전면커버(110)의 투시창을 통해 휴대 단말기(10)의 화면(14)이 보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후면커버(120)의 후방으로 후면커버(12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확장커버(미도시)가 형성되고, 확장커버의 내측에 지폐, 명함 등과 같은 소지품을 수납할 수 있는 포켓이 형성될 수도 있다.In some cases, an extended cover (not shown)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한편, 후면커버의 내면(121)에 형성되는 수납부(130)는 휴대 단말기(10)가 수납부(130)에 수납되었을 때 휴대 단말기(10)를 수납부(130)에서 꺼내지 않고도 휴대 단말기(10)의 화면(14)이 보이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납부(130)는 전도성 필름으로 이루어져 휴대 단말기(10)를 수납부(130)에 수납시킨 상태에서 수납부(130)를 통해 보이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14)을 사용자가 터치하여 조작할 수 있게 된다.The
특히, 본 고안의 수납부(130)는 휴대 단말기(10)의 크기에 상관없이 휴대 단말기(10)의 외형 크기에 꼭 맞는 수납부(130)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모든 휴대 단말기에 대한 범용성을 갖게 되어 휴대 단말기(10)의 크기에 맞는 케이스를 따로 구매할 필요가 없게 된다.In particular, the
부연하자면, 후면커버의 내면(121)에 형성되는 수납부(1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투명한 전도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하게 수납부(130)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필름, PEN 필름, PC, PMMA 등의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수납부(130)에 휴대 단말기(10)가 수납된 상태에서 수납부(130)의 표면을 사용자가 터치하는 것에 의해 휴대 단말기(10)의 작동을 조작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수납부(130)에서 휴대 단말기(10)를 꺼내지 않고도 휴대 단말기(10)를 조작할 수 있다.The
또한, 휴대 단말기(10)의 외형 크기에 부합하게 수납부(13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수납부(130)는 후면커버(120)의 외측을 향하는 외측단(131) 및 상기 외측단(131)과 직각을 이루는 수납부의 하단(132)이 후면커버(120)에 고정되고, 외측단(131) 및 하단(132)과 대향하는 수납부의 내측단(133) 및 상단(134)은 후면커버(120)에 고정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를 갖게 되어 이를 통해 휴대 단말기(10)가 수납부(130)에 삽입된다.In order to adjust the size of the
즉, 수납부(130)의 외측단(131) 및 외측단(131)과 직각을 이루는 수납부의 하단(132)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의 내면(121)과 바느질되어 고정된다. 또한, 수납부(130)의 외측단(131)과 대향하는 내측단(133)과 상기 내측단(133)과 직각을 이루는 수납부의 상단(134)은 후면커버의 내면(121)과 고정되지 않아 수납부의 상단(134)과 내측단(133)을 통해 휴대 단말기가 출입할 수 있게 된다.2 and 3, the
특히, 수납부의 내측단(133)은 휴대 단말기(10)가 수납부(130)에 수납되었을 때 수납부의 내측단(133)이 휴대 단말기(10)의 측면 및 배면을 감싸 후면커버(120)에 밀착될 수 있게 휴대 단말기(10)의 너비보다 길게 연장된다.The
이와 같이 휴대 단말기(10)의 너비보다 길게 연장된 수납부의 내측단(133)은 전면커버(110)를 향하는 휴대 단말기(10)의 측면을 감싼 후 휴대 단말기(10)의 배면과 후면커버의 내면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The
그리고, 수납부의 내측단(133) 및 상기 내측단(133)과 접촉하는 후면커버의 내면(121)에는 수납부의 내측단(133)이 후면커버의 내면(121)과 접촉하였을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논-슬립(non-slip) 영역(도 2의 점선)이 마련된다.The
여기서, 논-슬립(non-slip) 영역은 수납부의 내측단(133)과 후면커버의 내면(121) 간의 마찰계수가 높아 수납부의 내측단(133)과 후면커버의 내면(121)이 접촉하였을 때 미끄러지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논-슬립 영역은 수납부(130) 전체에 걸쳐 형성되거나 또는 수납부의 내측단(133)에 한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non-slip region has a high coefficient of friction between the
또한, 수납부의 내측단(133)과 후면커버의 내면(121)에 마련되는 논-슬립 영역은 수납부의 내측단(133)과 후면커버의 내면(121)이 제조될 때 그 표면에 울퉁불퉁한 미세한 돌기가 다수 형성되도록 형성되어 마찰계수를 높이는 구조를 갖거나 또는 후면커버의 내면(121)과 수납부의 내측단(133) 표면에 미세한 알갱이가 코팅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non-slip region provided on the
또한, 상기 수납부의 내측단(133)과 후면커버의 내면(121)에 마련되는 논-슬립 영역은 반복적으로 접착시킬 수 있는 접착 테이프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non-slip region provided on the
이와 같이, 수납부의 내측단(133) 및 상기 수납부의 내측단(133)과 대면하는 후면커버(120)에 논-슬립 영역이 형성되면 휴대 단말기(10)를 수납부(130)에 수납시킬 때 휴대 단말기(10)의 하면과 외측면(후면커버의 바깥쪽을 향하는 면)을 수납부의 하단(132)과 외측단(131)에 밀착시키게 된다.When the non-slip region is formed in the
그리고, 수납부의 내측단(133)을 전면커버(110)를 향하는 휴대 단말기의 측면을 감싸도록 밀착시킨 후 휴대 단말기(10)의 배면에 밀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휴대 단말기(10)의 정면(화면이 마련된 면)과 양측면(후면커버의 바깥쪽을 향하는 면 및 전면커버를 향하는 면)이 수납부(130)에 둘러 쌓인 상태에서 수납부의 내측단(133)이 휴대 단말기(10)의 배면에 위치하게 된다.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의 배면을 후면커버의 내면(121)에 밀착시키게 되면 휴대 단말기(10)의 배면에 위치한 수납부의 내측단(133)이 후면커버의 내면(121)과 접촉하여 논-슬립 영역에서 발휘되는 마찰력에 의해 휴대 단말기(10)를 감싸고 있는 수납부(130)가 임의적으로 풀리지 않게 된다.When the rear surface of the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휴대 단말기(10)의 크기가 수납부(130)의 크기와 맞지 않아도 수납부(130)를 휴대 단말기(10)의 크기에 꼭 맞게 밀착시켜 수납할 수 있게 되어 휴대 단말기(10)의 기종에 상관없이 다양한 크기를 갖는 휴대 단말기를 케이스에 수납시킬 수 있는 범용성을 갖게 된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한편, 후면커버의 내면(121)에 형성된 수납부(130)가 휴대 단말기(10)의 정면을 감싸게 될 때 휴대 단말기(1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부분은 가려지지 않도록 수납부(130)가 형성된다.When the receiving
부연하자면, 최근 등장하는 휴대 단말기(10)는 외부 밝기에 따라 화면의 밝기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배터리 수명을 증가시키는 기술이 탑재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직접 화면(14)을 터치하지 않고 사용자의 손이 휴대 단말기(10)의 정면에 근접한 상태에서 손짓(제스처)을 인식하여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기술이 탑재된다.In other words, recently, the
이와 같은 기술을 구현시키기 위해 휴대 단말기(10)의 정면에는 제스처 센서(12) 또는 조도 센서(13)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스처 센서(12) 또는 조도 센서(13)는 화면이 배치된 휴대 단말기(10)의 정면 중 상부에 위치한 통화용 스피커(11)와 근접하게 위치하게 된다.In order to implement such a technique, a
따라서, 본 고안의 수납부(130)는 제스처 센서(12) 또는 조도 센서(13)를 가리지 않도록 수납부의 상단(134)이 제스처 센서(12) 또는 조도 센서(13)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제스처 센서(12) 또는 조도 센서(13)가 외부로 직접적으로 노출되고, 따라서 제스처 센서(12) 또는 조도 센서(13)가 작동할 때 수납부(130)에 의해 방해받지 않아 제스처 센서(12) 또는 조도 센서(13)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다.The
한편, 앞서 설명한 수납부의 논-슬립 영역에는 경우에 따라 패스너가 형성되어 수납부의 내측단(133)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를 도 3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a fastener may be formed in the non-slip region of the storage portion as described above to improve the fixing force of the storage portion with respect to the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중 수납부의 내측단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를 나타낸 평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end of the storage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ployed.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se for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nfolded, and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case for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수납부(130)와 후면커버(120)에 형성된 논-슬립 영역에는 수납부의 내측단(133)과 후면커버의 내면(121)을 접합시켜 고정하는 패스너가 형성된다.A fastener is formed in the non-slip region formed in the
이러한 패스너는 예를 들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수 한 쌍으로 이루어진 벨크로 테이프(140a)(140b)이거나 또는 극성을 달리하여 서로 잡아당기는 한 쌍의 자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Such a fastener may be, for example, a pair of male and
이때, 패스너는 앞서 설명한 암수 한 쌍의 패스너 중 어느 하나가 후면커버 내면(121)의 논-슬립 영역에 형성되며, 이와 대응하는 형태의 패스너가 수납부의 내측단(133)에 형성되어 수납부의 내측단(133)이 후면커버의 내면(121)과 대면하여 결속된다.At this time, any one of the pair of female and male fasteners described above is formed in the non-slip region of the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패스너가 자석으로 이루어진 경우 후면커버의 내면(121)에 형성되는 자석이 후면커버의 내면(121)에 매립되도록 형성되고, 수납부의 내측단(133)에 형성되는 자석은 분말의 형태로 수납부의 내측단(133)에 코팅되어 수납부의 내측단(133)과 후면커버의 내면(121)이 접촉하였을 때 패스너의 두께를 최소화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In some cases, the magnet formed on the
한편, 논-슬립 영역이 마련되는 수납부의 내측단(133)에 연장 스트립(133a)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 스트립(133a)은 후면커버(120)에 형성된 관통 슬롯(125)을 통해 후면커버(120)의 후방으로 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를 도 6 및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an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수납부의 내측단(133)에 형성되는 연장 스트립(133a)은 띠의 형태를 갖도록 수납부의 내측단(133) 전체 길이에 비해 그 폭이 짧게 형성된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수납부의 내측단(133)에 형성된 연장 스트립(133a)과 대응하여 후면커버의 내면(121)에는 관통 슬롯(125)이 형성되어 수납부(130)에 휴대 단말기(10)가 수납되었을 때 수납부의 내측단(133)이 휴대 단말기(10)의 측면을 감싸 후면커버의 내면(121)과 휴대 단말기(10)의 배면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A through
이와 같은 상태에서 수납부의 내측단(133)에 형성된 연장 스트립(133a)은 후면커버의 내면(121)에 형성된 관통 슬롯(125)을 지나 후면커버(120)의 후방으로 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후면커버(120)의 후방으로 인출된 연장 스트립(133a)을 수납부의 외측단(131)을 향해 잡아당겨 수납부(130)를 휴대 단말기(10)에 꼭맞게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The
이때, 연장 스트립(133a)과 후면커버(120)의 배면에는 앞서 설명한 논-슬립이 형성되어 연장 스트립(133a)이 후면커버(120)의 배면과 접촉하였을 때 미끄러지지 않고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bove-described non-slip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20)의 후방으로 인출된 연장 스트립(133a)과 상기 연장 스트립(133a)이 접촉하게 되는 후면커버(120)의 배면에 암수 한 쌍으로 이루어진 벨크로 테이프(140a)(140b) 또는 극성을 달리하여 서로 잡아당기는 한 쌍의 자석으로 이루어진 패스너가 형성될 수 있다.8, an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연장 스트립(133a)과 후면커버(120)의 배면에 패스너가 형성된 경우 후면커버(120)의 배면에 형성되는 패스너가 후면커버(120)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매립되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When the fastener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10)를 케이스에 넣어 보관할 때 수납부(130)를 휴대 단말기(10)의 크기에 꼭 맞게 밀착시킬 수 있어 휴대 단말기(10)의 기종이 변경되더라도 케이스를 새로 구매할 필요없이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또한, 수납부(130) 전체가 투명한 전도성 필름으로 이루어져 휴대 단말기(10)의 화면(14)에 가려짐이 없어 시인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10)를 수납부(130)에서 꺼내지 않고도 휴대 단말기(10)의 터치 스크린 패널을 조작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Since the whole of the
한편,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modified and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also considered to belo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
10 : 휴대 단말기 11 : 통화용 스피커
12 : 제스처 센서 13 : 조도 센서
14 : 화면
110 : 전면커버 111 : 전면커버의 내면
112 : 포켓 120 : 후면커버
121 : 후면커버의 내면 125 : 관통 슬롯
130 : 수납부 131 : 수납부의 외측단
132 : 수납부의 하단 133 : 수납부의 내측단
133a : 연장 스트립 134 : 수납부의 상단
140a,140b : 벨크로 테이프10: portable terminal 11: speaker for communication
12: gesture sensor 13: illuminance sensor
14: Screen
110: front cover 111: inn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112: Pocket 120: Rear cover
121: inner surface of the rear cover 125: through slot
130: storage part 131: outer side of the storage part
132: lower end of the storage portion 133: inner end of the storage portion
133a: Extension strip 134: Top of compartment
140a, 140b: Velcro tape
Claims (6)
상기 전면커버의 내면과 대면하는 후면커버의 내면에 휴대 단말기가 수납되도록 투명한 전도성 필름으로 이루어진 수납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부 중 후면커버의 외측을 향하는 외측단 및 상기 외측단과 직각을 이루는 수납부의 하단이 후면커버에 고정되며, 상기 외측단과 대향하는 내측단과 상기 내측단과 대면하는 후면커버에 논-슬립(non-slip) 영역이 마련되어 수납부에 휴대 단말기가 수납되었을 때 수납부의 내측단이 휴대 단말기의 측면 및 배면을 감싸 후면커버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connected so that the inner surfaces of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cover are facing each other and the portable terminal is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cover,
A receiving part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cover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so as to accommodate the portable terminal,
Wherein a rear end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facing the outside of the rear cover and a bottom end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perpendicular to the outside end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are fixed to the rear cover and a rear cover facing the inside end and a rear cover facing the inside end are non- wherein the inner end of the storage unit is closely attached to the rear cover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housed in the storage unit.
상기 수납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통화용 스피커와 근접하게 위치한 제스처 센서 또는 조도 센서가 가려지지 않게 휴대 단말기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d a gesture sensor or an illuminance sensor located close to a communication speaker of the portable terminal is formed apart from an upper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so as not to be hidden.
상기 수납부의 내측단 및 수납부의 내측단과 마주하는 후면커버의 내면에 패스너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astener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inner side of the rear cover facing the inner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상기 수납부의 내측단에 연장 스트립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 스트립은 후면 커버에 형성된 관통 슬롯을 통해 후면 커버의 후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extension strip is formed at an inner end of the storage part, and the extension strip is drawn to the rear of the rear cover through a through slot formed in the rear cover.
상기 연장 스트립 및 연장 스트립과 마주하는 후면커버의 배면에 패스너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4,
And a fastener i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rear cover facing the extension strip and the extension strip.
상기 패스너는 극성을 달리하여 서로 잡아당기는 한 쌍의 자석 또는 암수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벨크로 테이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5,
Wherein the fastener is any one of a pair of magnets or a pair of male and female velcro tapes pulling each other at different polariti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8513U KR200474606Y1 (en) | 2013-10-16 | 2013-10-16 | Case for portab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8513U KR200474606Y1 (en) | 2013-10-16 | 2013-10-16 | Case for portable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4606Y1 true KR200474606Y1 (en) | 2014-10-07 |
Family
ID=52000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8513U Expired - Fee Related KR200474606Y1 (en) | 2013-10-16 | 2013-10-16 | Case for portab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4606Y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83278B1 (en) | 2012-03-23 | 2012-09-14 | 여창기 | Carrying case for portable device |
KR20130014292A (en) * | 2011-07-29 | 2013-02-07 | 주식회사 뉴빛 | Zipper case for portable equipments |
-
2013
- 2013-10-16 KR KR2020130008513U patent/KR200474606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14292A (en) * | 2011-07-29 | 2013-02-07 | 주식회사 뉴빛 | Zipper case for portable equipments |
KR101183278B1 (en) | 2012-03-23 | 2012-09-14 | 여창기 | Carrying case for portable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86483B2 (en) | Accessory device having a retaining feature | |
US9894192B2 (en) | Case with interchangeable back plate | |
KR200451310Y1 (en) | wallet type mobile phone case | |
US9971379B2 (en) | Attachment features for an accessory device | |
US9307656B2 (en) | Electronic device case | |
US10715197B2 (en) | Exterior cover | |
US9979431B2 (en) |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 having cover with opaque and transparent regions | |
KR200466058Y1 (en) | Cover Case For Portable Divice Having Support Function | |
US20140128132A1 (en) | Case with interchangeable back plates | |
KR101265220B1 (en) | Case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1461004B1 (en) | Side-touch enabled smartphone case | |
KR200473245Y1 (en) | Case for Mobile Handsets | |
KR200473012Y1 (en) | Cellular phone case | |
KR200474606Y1 (en) | Case for portable terminal | |
KR102072676B1 (en) | Smart phone case with card and music album with video and music | |
KR200472146Y1 (en) | Protecting Case with Application which Capable of being Attached and Detached | |
KR200472573Y1 (en) | Cell-phone protecting case with purse | |
KR200464932Y1 (en) | Case for portable terminal | |
KR20150000060A (en) | Case for portable terminal | |
KR20140005628U (en) | A Move Phone Protect Case | |
KR101465024B1 (en) | A case for portable terminal | |
KR20110109668A (en) | Cell phone case with connector cover | |
KR200472661Y1 (en) | smart phone card holder case | |
KR101417854B1 (en) | Case with two bodies for protec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CN217590866U (en) | Mobile terminal protective hous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1016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16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312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4092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40924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80704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