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73905Y1 - Bridge of the nose underpinning structure body of glasses - Google Patents

Bridge of the nose underpinning structure body of glass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905Y1
KR200473905Y1 KR2020130002415U KR20130002415U KR200473905Y1 KR 200473905 Y1 KR200473905 Y1 KR 200473905Y1 KR 2020130002415 U KR2020130002415 U KR 2020130002415U KR 20130002415 U KR20130002415 U KR 20130002415U KR 200473905 Y1 KR200473905 Y1 KR 2004739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pedestal
main frame
sides
p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41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용희
Original Assignee
(주)우성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성씨텍 filed Critical (주)우성씨텍
Priority to KR20201300024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90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9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905Y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경의 코받침대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렌즈(5)가 장착된 안경의 메인프레임(7) 중앙부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콧대 양측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메인프레임(7)을 떠받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7) 중앙부와 연결되는 받침대본체(10) 및 상기 받침대본체(10)에 장착되는 한 쌍의 콧대안착부(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코받침대 구조체가 메인프레임 중앙부와 연결되는 받침대본체에 한 쌍의 콧대안착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한 쌍의 콧대안착부가 별도의 연결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일체형 구조가 되도록 하고, 상기 콧대안착부를 안착감이 뛰어난 실리콘 재질로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받침대본체로의 콧대안착부 결합 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면서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실리콘 재질의 콧대안착부에 의해 안착감 및 착용감이 뛰어나도록 하며, 또한, 연결대를 통한 한 쌍의 콧대안착부가 서로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어 분실의 우려가 현저히 낮아지게 되는 등 관리 및 취급상의 용이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se pedestal structure of a spectacle, which is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of a main frame (7) of a spectacle on which a lens (5) is mounted and is attached to both sides of a wearer's nose, A pedestal main body 10 connected to a central portion of the main frame 7 and a pair of saddle seating portions 20 mounted on the pedestal main body 10.
Accordingly, the nose pedestal structur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pedestal main body connected to the main frame central portion, and the pair of slack seating porti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separate connecting rods, By using a silicone material having a good seating feeling,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simply carry out the bonding operation of the crotch seat to the pedestal main body,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in use. Further, by the use of a silicone- It is possible to provide excellent ease of handling and handling, for example, the seated feeling and the feeling of wearing are excellent, and the pair of the saddle seating parts through the connecting rod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

Description

안경의 코받침대 구조체{Bridge of the nose underpinning structure body of glasses}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se under-

본 고안은 안경의 코받침대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받침대 구조체가 메인프레임 중앙부와 연결되는 받침대본체와, 이 받침대본체 상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콧대안착부로 구성되되, 상기 한 쌍의 콧대안착부는 별도의 연결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일체형 구조가 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콧대안착부를 안착감이 뛰어난 실리콘 재질로 제작하여 된 안경의 코받침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se pedestal structure of a specta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se pedestal structure of a spectacle, which comprises a pedestal body connected to a central portion of a main frame, and a pair of pedestal seating portions detachably coupled to the pedestal body, And a pair of cradle seating parts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eparate connecting rod, and the cradle seating part is made of a silicone material having excellent seating feeling.

일반적으로 글래시스(glasses)라 함은 착용자의 시력 보정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안경과, 또한, 자외선이 강한 여름철 등에 자외선으로부터 착용자의 눈을 보호해 줄 수 있도록 하는 고글(선글라스) 등을 들 수 있다.Glasses generally refer to glasses used as means for correcting the wearer's vision and goggles (sunglasses) for protecting the wearer's eyes from ultraviolet rays in the summer when ultraviolet rays are strong. have.

이러한 안경이나 고글은 안경알(자외선 차단렌즈)을 장착하기 위한 렌즈장착부와 코받침대가 마련된 메인프레임과, 이 메인프레임과 힌지 연결되어 착용자의 귀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안경다리(또는, 다리) 및 상기 렌즈장착부에 장착되어 시력을 보정하거나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시력 보정 또는 자외선 차단)렌즈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Such glasses or goggles include a main frame provided with a lens mounting portion and a nose support for mounting eyeglasses (ultraviolet ray blocking lens), a pair of glasses legs (or legs) hinged to the main frame and capable of being fixed to the ears of the wearer, And a lens for correcting visual acuity or blocking ultraviolet rays (a vision correction or an ultraviolet ray blocking) mounted on the lens mount.

그리고, 상기 코받침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중앙부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착용자의 콧대로 연장 형성되는 일체형 타입과, 상기 메인프레임 중앙부에 연결되는 받침대본체와 상기 받침대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콧대안착부로 이루어진 분리형 타입으로 나눌 수 있다. The nose pedestal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frame and extended to the wearer's nose. The nose pedestal includes a pedestal main body connected to the main frame central portion,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pedestal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pedestal main body. And can be divided into a separate type comprising a seat portion.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콧대안착부는 보통 플라스틱 등의 딱딱한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받침대본체에 나사 체결 방식 등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Here, the pair of the saddle-shaped seating parts are made of a rigid material such as plastic, and are coupled to the pedestal body by a screw fastening method or the like.

그러나, 종래 기술의 분리형 타입 콧대안착부는 딱딱한 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콧대로의 안착감 및 착용감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However, the prior art detachable type saddle seat portion is made of a hard material, and thus has a problem that the wearer feels a sense of sitting on the nose and feeling of wearing is remarkably deteriorated.

그리고, 상기 콧대안착부는 나사 체결 방식 등으로 받침대본체에 결합되기 때문에, 그 결합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불편함을 갖고 있었다.그리고, 상기 한 쌍의 콧대안착부가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분실의 우려가 있는 등 그 관리 및 취급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above-described saddle-stuck part is connected to the pedestal main body by a screw-tightening method or the like,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anage and handle such that there is a fear of loss.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코받침대 구조체가 메인프레임 중앙부와 연결되는 받침대본체에 한 쌍의 콧대안착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한 쌍의 콧대안착부가 별도의 연결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일체형 구조가 되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받침대본체로의 콧대안착부 결합 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면서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연결대를 통한 한 쌍의 콧대안착부가 서로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어 분실의 우려가 현저히 낮아지게 되는 등 관리 및 취급상의 용이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안경의 코받침대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ose support structure in which a pair of saddle seating portions are detachably coupled to a pedestal main body connected to a central portion of a main fram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in use as a result of quick and simple bonding operation of the nose seat part to the pedestal main body in addition to providing an integrated structure in which the pair of saddle seat parts are integrally forme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ose pedestal structure for spectacles which can be easily managed and handled, for example, the risk of loss is significantly lowered.

또한, 상기 콧대안착부를 안착감이 뛰어난 실리콘 재질로 함으로써, 실리콘 재질의 콧대안착부에 의해 안착감 및 착용감이 뛰어나도록 하는 안경의 코받침대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ose pedestal structure for spectacles, which is made of a silicone material having a good seating feeling, so that the saddle seat portion is made of a silicone material so that the seat feeling and comfort are excellent.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코받침대 구조체는 렌즈가 장착된 안경의 메인프레임 중앙부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콧대 양측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메인프레임을 떠받치도록 하는 안경의 코받침대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코받침대 구조체는, 상기 메인프레임 중앙부와 그 일측이 연결되고 그 타측이 착용자의 콧대 양측부를 향해 각각 분기되는 한 쌍의 분기부를 갖는 받침대본체 및 상기 받침대본체의 각 분기부에 그 일측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타측이 상기 착용자의 콧대 양측부에 안착되는 한 쌍의 콧대안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콧대안착부는 별도의 연결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일체형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nose support structure of the eyeglass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frame of the eyeglasses equipped with the lens so as to support the main frame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nose of the wearer. Wherein the nose pedestal structure has a pedestal main body having a pair of branch portion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frame central portion and the other side branching toward both side portions of the wearer's nose, And a pair of cradle seating parts, one side of which is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branch part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seated on both sides of the cradle of the wearer, and the pair of cradle seating par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eparate connecting rod And has an integral structure.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코받침대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콧대안착부를 향하는 각각의 분기부 선단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콧대안착부의 일측에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홈이 마련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nose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agement protrusions are formed at the distal end portions of the branching portions facing the saddle seating portion, and the engagement protrusion is hooked to one side of the corresponding saddle seating portion A groove may be provided.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코받침대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분기부의 걸림돌기는, 상기 분기부에 그 일단부가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타방으로 연장되는 직립돌기 및 상기 직립돌기의 상단부에서 각각 양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수평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홈은 상기 수평돌기가 삽입 안착되도록 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수평돌기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출입되도록 하는 출입구가 상기 수평돌기의 폭 보다 좁게 형성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nose support structure of the eyeglass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pper protrusion of the branch portion may include an upright projectio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branch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o the other, And the horizontal protrusion is horizontally extended to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protrusion, and the latching groove is formed with an inner space through which the horizontal protrusion is inserted and received, Lt; / RTI >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코받침대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의 콧대 양측부에 안착되는 상기 콧대안착부의 일측면에 상기 콧대안착부와 대응되는 착용자의 콧대 양측부 간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접촉면감소부가 더 구비된 것일 수 있다.In the nose support structure of the eyeglass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two side portions of the nose of the wearer corresponding to the nose seat portion on one side of the nose seat portion that is seated on both sides of the nose of the wearer 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tact surface reducing portion that can minimize the wear and improve the wearing comfort.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코받침대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감소부는, 상기 콧대밀착부 상에서 소정 넓이로 오목하게 패인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의 표면상에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직선돌기 이루어진 줄무늬돌기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nose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surface reducing portion may include a concave portion recessed in a predetermined width on the sidewall contact portion and a concave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concave por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may be composed of stripe projections of a plurality of linear protrusions arranged.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코받침대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콧대안착부와 이를 연결하는 연결대는 서로 간의 접힘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유연한 실리콘 재질로 된 것일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nose support structure of the eyeglas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saddle-seating portions and the connecting rods connecting the pair of saddle-seating portions may be made of a flexible silicone material to facilitate folding.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코받침대 구조체는 메인프레임 중앙부와 연결되는 받침대본체에 한 쌍의 콧대안착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한 쌍의 콧대안착부가 별도의 연결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일체형 구조가 되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받침대본체로의 콧대안착부 결합 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면서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연결대를 통한 한 쌍의 콧대안착부가 서로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어 분실의 우려가 현저히 낮아지게 되는 등 관리 및 취급상의 용이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se support structure of glasses is detachably coupled to a pedestal main body connec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frame, wherein the pair of saddl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venient and simple operation of fastening the crotch part to the main body of the pedestal, and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pair of the crotch part It is possible to provide ease of handling and handling, for example, the risk of loss is significantly lowered because they are connect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콧대안착부를 안착감이 뛰어난 실리콘 재질로 함으로써, 실리콘 재질의 콧대안착부에 의해 안착감 및 착용감이 뛰어나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saddle-stuck portion is made of a silicone material having a good seating feeling, whereby an effect such as an excellent seating feeling and a comfortable feeling can be obtained by a saddle-shaped seat made of a silicone material.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코받침대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코받침대 구조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코받침대 구조체를 나타낸 개략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코받침대 구조체 중 콧대안착부가 받침대본체에 장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ose pedesta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nose pedestal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nose pedestal structure of a specta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a nose seat of a nose support structure of a specta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pedestal body.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o refer to the same or like parts.

본 고안에 따른 안경은 콧대밀착부가 받침대본체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착탈 가능하게 되도록 하는 구조를 제시한다.The eyeglas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structure for allowing the nose close-up portion to be easily and quickly detachably attached to the pedestal body.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코받침대 구조체는 렌즈(5)가 장착된 안경의 메인프레임(7) 중앙부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콧대 양측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메인프레임(7)을 떠받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7) 중앙부와 연결되는 받침대본체(10) 및 상기 받침대본체(10)에 장착되는 한 쌍의 콧대안착부(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1 to 4, the nose pedestal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frame 7 of the glasses on which the lens 5 is mounted,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nose of the wearer A pedestal body 10 connected to a central portion of the main frame 7 to support the main frame 7 and a pair of cradle seating portions 20 mounted on the pedestal body 10 .

상기 받침대본체(10)는 상기 메인프레임(7) 중앙부와 그 일측이 연결되고 그 타측이 착용자의 콧대 양측부를 향해 각각 분기되는 한 쌍의 분기부(11)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The pedestal main body 10 has a pair of branch portions 11 connected to a central portion of the main frame 7 and one side thereof and the other side branched toward both side portions of the wearer's nose.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분기부(11)는 착용자의 콧대 형상에 대응해서 시옷자(ㅅ) 구조로 벌어져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branching portions 11 are widened in the shape of a sash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nose of the wearer.

여기서, 상기 받침대본체(10)는 상기 메인프레임(7)의 중앙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분리 구조로 할 수 있다.Here, the pedestal body 10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frame 7 in a detachable manner.

즉, 상기 받침대본체(10)의 장착 구조는 메인프레임(7)의 중앙부에 장착돌부(7a)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대본체(10)의 상단부에 상기 장착돌부(7a)가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장착홈부(12)가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pedestal body 10 includes a mounting protrusion 7a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main frame 7, and a mounting protrusion 7a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mounting protrusion 7a to the upper end of the pedestal body 10 A groove 12 may be provided.

상기 콧대안착부(20)는 상기 받침대본체(10)의 각 분기부(11)에 그 일측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타측이 상기 착용자의 콧대 양측부에 안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The cradle seating part 20 is formed in a pair in which one side is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branch 11 of the pedestal body 10 and the other side is seated on both sides of the cradle of the wearer.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콧대안착부(20)는 별도의 연결대(3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일체형 구조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saddle-straddling parts 20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eparate connecting rod 30.

그리고, 상기 콧대안착부(20)를 향하는 각각의 분기부(11) 선단부에는 걸림돌기(13)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콧대안착부(20)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돌기(13)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홈(21)이 마련되어 있다.A locking protrusion 13 is formed at the distal end of each branched portion 11 toward the crotch seat portion 20 and the locking protrusion 13 is engaged with one side of the corresponding crotch seating portion 20, (Not shown).

여기서, 상기 분기부(11)의 걸림돌기(13)는, 상기 분기부(11)에 그 일단부가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타방으로 연장되는 직립돌기(13a) 및 상기 직립돌기(13a)의 상단부에서 각각 양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수평돌기(13b)로 이루어진 영문자 티이자(T)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걸림홈(21)은 상기 수평돌기(13b)가 삽입 안착되도록 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수평돌기(13b)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출입되도록 하는 출입구(21a)가 상기 수평돌기(13b)의 폭 보다 좁게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stopper protrusion 13 of the branching section 11 has an upright projection 13a connected at one end thereof to the branching section 11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o the other end and an upper end 13a of the upright projection 13a, And a horizontal protrusion 13b extending horizontally to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protrusion 13b. The latching recess 21 has an inner space for receiving the horizontal protrusion 13b, And the entrance 21a for allowing the horizontal protrusion 13b to enter and exit the inner space is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horizontal protrusion 13b.

즉, 상기 콧대안착부(20)는 내부공간을 갖는 타원 주머니 형상으로서 그 일측면에서 출입구(21a)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되고, 이들 각각의 콧대안착부(20)를 길다란 신축성 봉 형상의 연결대(30)가 연결하여 일체형 구조로 된다. 또한 상기 직립돌기(13a)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수평돌기(13b)는 일측이 타측보다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일측이 타측보다 길게 형성되면 보다 길게 형성된 걸수평돌기(13b)의 일측이 출입구(21a)에 삽입되면 보다 짧게 형성된 수평돌기(13b)의 타측이 자동적으로 출입구(21a)에 삽입되기 때문이다.In other words, the crotch seat 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ellipse having an inner space and has an entrance 21a formed on one side thereof. Each of the crotch seating portions 20 is formed into a long, (30) are connected to form an integral structure. Further, the horizontal protrusions 13b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right projections 13a are preferably longer than the other. When the one side is formed longer than the other side, the other side of the horizontal projection 13b, which is formed to be shorter, is automatically inserted into the entrance 21a when one side of the horizontal projection 13b is inserted into the entrance 21a.

그리고, 상기 착용자의 콧대 양측부에 안착되는 상기 콧대안착부(20)의 일측면에는 착용자의 콧대 양측부에 대한 상기 콧대안착부(20)의 안착감 향상 및 미끄럼 방지 등을 위한 빗살무늬돌기(22)가 형성되어 있다.One side of the crotch seat 20, which is seated on both sides of the wearer's nose, is provided with a comb-like projection (not shown) for improving the seating feeling of the crosstalk seat 20 with respect to both sides of the wearer's nose, 22 are formed.

그리고, 상기 콧대안착부(20)의 바깥쪽에도 이 콧대안착부(20)를 받침대본체(10)에 장착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미끄럼 방지용 빗살무늬돌기(23)가 형성되어 있다. A non-sliping comb-like projection 23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saddle seating portion 20 so as not to slip when the user holds the saddle-type seating portion 20 in the pedestal main body 10 .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콧대안착부(20)는 그 출입구(21a)로 수평돌기(13b)가 원활하게 출입되도록 하는 동시에 콧대로서 안착감을 향상시키고, 또한, 상기 콧대안착부(20)를 연결하는 연결대(30)는 서로 간의 접힘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기 위해 유연한 실리콘 재질로 되어 있다.The pair of the saddle stitching parts 20 are designed to allow the horizontal projections 13b to smoothly enter and exit through the entrance 21a thereof and at the same time to improve the sense of seating as a sassy stitch and to connect the saddle stitching part 20 The connecting rods 30 are made of a flexible silicone material so that they can be easily folded together.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안경의 코받침대 구조체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받침대본체(10)의 장착홈부(12)로 메인프레임(7)의 장착돌부(7a)가 삽입되도록 하여 받침대본체(10)를 메인프레임(7)에 장착한다.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nose support structure of the eyeglass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s as follows. First, the mounting protrusion 7a of the main frame 7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12 of the pedestal main body 10, The main body 10 is mounted on the main frame 7.

그러고 나서, 상기 받침대본체(10)의 분기부(11)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콧대안착부(20)를 그 중앙의 연결대(30)가 역브이자(^) 형상으로 휘어지도록 하여 콧대안착부(20)의 장착 준비를 한다.The connecting rod 30 at the center of the saddle seat 20 is bent in an inverted V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ranching portion 11 of the pedestal body 10, 20).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콧대안착부(20)의 출입구(21a)를 향해 상기 분기부(11)의 수평돌기(13b)가 가압되도록 하면 상기 출입구(21a)는 신축력있게 벌어지면서 상기 수평돌기(13b)가 콧대안착부(2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고, 삽입 후에는 상기 벌어져 있던 출입구(21a)가 다시 원상태로 수축되면서 상기 수평돌기(13b)가 상기 출입구(21a)의 내부 테두리에 걸려 고정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horizontal projection 13b of the branching portion 11 is pressed toward the entrance 21a of the cradle seating portion 20, the entrance 21a is stretched and stretched so that the horizontal projection 13b The inserted opening 21a is retracted and the horizontal protrusion 13b is caught and fixed on the inner edge of the entrance 21a after the insertion.

또는, 상기 출입구(21a)를 통해 수평돌기(13b)의 일단부를 먼저 걸림홈(21) 내부로 삽입하고 나서 그 타단부를 출입구(21a)에 대고 가압하면 이 출입구(21a)가 벌어지면서 수평돌기(13B)가 걸림홈(21)으로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when one end of the horizontal projection 13b is inserted into the latching groove 21 through the entry / exit port 21a and then the other end is pressed against the entry / exit port 21a, the entry / exit port 21a is opened, (13B) may be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21).

이렇게 하여 상기 받침대본체(10)에 대한 상기 콧대안착부(20)의 장착이 완료된다.Thus, the attachment of the crotch seat 20 to the pedestal body 10 is completed.

그리고, 장시간 안경을 착용하다가 상기 콧대안착부(20)의 마모나 손상 등에 의해 교체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콧대안착부(20)를 손으로 잡고 잡아당기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상기 콧대안착부(20)를 상기 받침대본체(1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When the user wears the glasses for a long time and wants to replace the saddle seat 20 due to wear or damage, the saddle seat 20 can be easily removed by simply holding the saddle seat 20 by hand, So that it can be released from the pedestal main body 10.

그리고, 새로운 콧대안착부(20)를 다시 상기 받침대본체(10)에 장착함으로써 안경 착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The user can wear glasses by mounting the new saddle stitching part 20 on the pedestal main body 10 again.

위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코받침대 구조체는 메인프레임 중앙부와 연결되는 받침대본체에 한 쌍의 콧대안착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한 쌍의 콧대안착부가 별도의 연결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일체형 구조가 되도록 하고, 상기 콧대안착부를 안착감이 뛰어난 실리콘 재질로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받침대본체로의 콧대안착부 결합 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면서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실리콘 재질의 콧대안착부에 의해 안착감 및 착용감이 뛰어나도록 하며, 또한, 연결대를 통한 한 쌍의 콧대안착부가 서로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어 분실의 우려가 현저히 낮아지게 되는 등 관리 및 취급상의 용이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se support structure of the eyeglasses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pedestal main body connected to the main frame central portion, wherein the pair of saddle support portions are separated by a separate linkage And the saddle-stuck part is made of a silicone material having a good seating feeling, the operation of fastening the saddle-stuck part to the pedestal body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easily, so that convenience in use can be provided And the saddle seat of the silicone material is excellent in wearing feeling and feeling of fit. Further, since the pair of saddle seat portions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ng rod, the risk of loss is significantly lowered. It is possible to give ease.

한편, 본 고안의 안경은 일반적인 용도의 안경 이외에도 스포츠용 고글이나 의료 시술용 또는 음식 조리용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t is obvious that the eyegla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variously to sports goggles, medical treatment or food cooking as well as general purpose glasses.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변형예는 물론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은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of the techniques that can be easily changed and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렌즈 7 : 메인프레임
7a : 장착돌부 10 : 받침대본체
11 : 분기부 12 : 장착홈부
13 : 걸림돌기 13a : 직립돌기
13b : 수평돌기 20 : 콧대안착부
21 : 걸림홈 21a : 출입구
22, 23 : 빗살무늬돌기 30 : 연결대
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5: lens 7: main frame
7a: mounting protrusion 10: pedestal body
11: branch portion 12: mounting groove portion
13: locking protrusion 13a: upright projection
13b: horizontal projection 20:
21: engaging groove 21a: entrance
22, 23: comb-like projection 30: connecting rod

Claims (4)

렌즈가 장착된 안경의 메인프레임 중앙부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콧대 양측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메인프레임을 떠받치도록 하는 안경의 코받침대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코받침대 구조체는,
상기 메인프레임 중앙부와 그 일측이 연결되고 그 타측이 착용자의 콧대 양측부를 향해 각각 분기되는 한 쌍의 분기부를 갖는 받침대본체; 및
상기 받침대본체의 각 분기부에 그 일측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타측이 상기 착용자의 콧대 양측부에 안착되는 한 쌍의 콧대안착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콧대안착부는 별도의 연결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일체형 구조로 되며,
상기 받침대본체의 장착 구조는 메인프레임의 중앙부에 장착돌부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대본체의 상단부에 상기 장착돌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장착홈부가 마련되며,
상기 착용자의 콧대 양측부에 안착되는 상기 콧대안착부의 일측면에는 착용자의 콧대 양측부에 대한 상기 콧대안착부의 안착감 향상 및 미끄럼 방지를 위한 빗살무늬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코받침대 구조체.
A nose pedestal structure of a pair of spectacles, which is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of a main frame of a spectacle with lenses attached thereto to support the main frame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a wearer's nose,
The nose pedestal structure may include:
A pedestal main body having a pair of branch portions connected to a center portion of the main frame and one side of the main frame and branched at opposite sides of the other side of the wearer's nose; And
A pair of cradle seating parts, one side of which is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branch part of the pedestal body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seated on both sides of the nose of the wearer;
And,
Wherein the pair of the saddle-shaped receiving portions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eparate connecting rod,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pedestal body includes a mounting reces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main frame, and a mounting recess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mounting recess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pedestal body,
Wherein one side of the cradle seating part seated on both sides of the wearer's cradle is provided with a comb-like projection for improving the seating feeling of the cradle seating part against both sides of the cradle of the wearer and for preventing slipp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콧대안착부를 향하는 각각의 분기부 선단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콧대안착부의 일측에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코받침대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hooking protrusion is formed at each branching end portion facing the crotch seat portion and a hooking groov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orresponding crotch seat portion so that the hooking protrusion is caugh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부의 걸림돌기는,
상기 분기부에 그 일단부가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타방으로 연장되는 직립돌기; 및
상기 직립돌기의 상단부에서 각각 양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수평돌기;
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홈은 상기 수평돌기가 삽입 안착되도록 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수평돌기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출입되도록 하는 출입구가 상기 수평돌기의 폭 보다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코받침대 구조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topper of the branch portion
An upright projectio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branch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o the other; And
A horizontal protrusion horizontally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upright projection;
Lt; / RTI >
Wherein the latching groove is formed with an internal space through which the horizontal protrusion is inserted and inserted, and an entrance port through which the horizontal protrusion is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internal space is narrower than a width of the horizontal protrus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부의 걸림돌기는,
상기 분기부에 그 일단부가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타방으로 연장되는 직립돌기; 및
상기 직립돌기의 상단부에서 각각 양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수평돌기;
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직립돌기(13a)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수평돌기는 일측이 타측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코받침대 구조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topper of the branch portion
An upright projectio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branch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o the other; And
A horizontal protrusion horizontally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upright projection;
Lt; / RTI >
And the horizontal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right projection (13a) are longer than the other side.


KR2020130002415U 2013-04-01 2013-04-01 Bridge of the nose underpinning structure body of glasses Expired - Lifetime KR20047390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415U KR200473905Y1 (en) 2013-04-01 2013-04-01 Bridge of the nose underpinning structure body of glas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415U KR200473905Y1 (en) 2013-04-01 2013-04-01 Bridge of the nose underpinning structure body of glass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905Y1 true KR200473905Y1 (en) 2014-08-08

Family

ID=51987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415U Expired - Lifetime KR200473905Y1 (en) 2013-04-01 2013-04-01 Bridge of the nose underpinning structure body of glass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905Y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203B1 (en) 2014-10-13 2016-05-23 김응철 A goggle
KR200487652Y1 (en) * 2018-01-24 2018-10-17 손병훈 Goggles For Sports
KR20190102510A (en) * 2018-02-26 2019-09-04 오토스테크 주식회사 Protective eyewear
US20230004020A1 (en) * 2021-06-30 2023-01-05 Yi-Ping Tung Full frame glass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011Y1 (en) * 2000-04-07 2000-09-15 주식회사한국 오.지.케이 Goggles
KR200416684Y1 (en) 2006-03-08 2006-05-22 주식회사 프레임텍 Nose restraint structure of glasses
KR20090011507A (en) * 2007-07-26 2009-02-02 오토스테크 주식회사 Safety goggles
KR20110053214A (en) * 2011-04-21 2011-05-19 (주) 디 테크놀로지 Stereoscopic Glass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011Y1 (en) * 2000-04-07 2000-09-15 주식회사한국 오.지.케이 Goggles
KR200416684Y1 (en) 2006-03-08 2006-05-22 주식회사 프레임텍 Nose restraint structure of glasses
KR20090011507A (en) * 2007-07-26 2009-02-02 오토스테크 주식회사 Safety goggles
KR20110053214A (en) * 2011-04-21 2011-05-19 (주) 디 테크놀로지 Stereoscopic Glasse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203B1 (en) 2014-10-13 2016-05-23 김응철 A goggle
KR200487652Y1 (en) * 2018-01-24 2018-10-17 손병훈 Goggles For Sports
KR20190102510A (en) * 2018-02-26 2019-09-04 오토스테크 주식회사 Protective eyewear
KR102124192B1 (en) 2018-02-26 2020-06-17 오토스테크 주식회사 Protective eyewear
US20230004020A1 (en) * 2021-06-30 2023-01-05 Yi-Ping Tung Full frame glasses
US11852898B2 (en) * 2021-06-30 2023-12-26 Yi-Ping Tung Full frame glass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6372B2 (en) Eyewear with multi-function insert chassis clips
US7497570B2 (en) Adjustable nose pad system
EP3913423A1 (en) Adjustable lens holder for protective eyewear
KR20170017243A (en) Detachable sub-glasses frame
KR200473905Y1 (en) Bridge of the nose underpinning structure body of glasses
US20190265516A1 (en) Eyeglasses structure
KR20130013290A (en) Structure of glasses
KR101420774B1 (en) A separable multi-functional spectacles
US9395561B2 (en) Eyeglasses having flip-up lenses
KR20150017133A (en) Optional auxiliary frames ride, glasses that can be attached
KR101512593B1 (en) Glasses frame which is lightweight
KR101946990B1 (en) Glasses with detachable auxiliary eyeglass frames with improved clamping force
KR101010756B1 (en) Legless glasses
KR200455089Y1 (en) Secondary glasses
KR200433694Y1 (en) Eyeglass frame for easy replacement of the glasses legs
KR20160022025A (en) Supporting means for spectacles
CN212575072U (en) a goggle
KR20180053564A (en) Sungalsses that is constituted to replace glass lens and temple
KR20160003557U (en) Glasses frame
KR20090132433A (en) Eyeglass nose
KR102629394B1 (en) Manual Clip Spectacle Lens Having Aberration Reduction Structure
CN217739651U (en) A new type of combined sunshade glasses
KR101488791B1 (en) Clip eyeglasses
CN216351597U (en) Glasses with protective structure
KR20100117431A (en) Fixing an opening for glas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040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40123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40430

U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X09011S01I

U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19

Patent event code: UX07013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12

Patent event code: UX07012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40430

Patent event code: UX07011S01I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4080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9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3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