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73778Y1 - Air filter using plants - Google Patents

Air filter using pla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778Y1
KR200473778Y1 KR2020110011752U KR20110011752U KR200473778Y1 KR 200473778 Y1 KR200473778 Y1 KR 200473778Y1 KR 2020110011752 U KR2020110011752 U KR 2020110011752U KR 20110011752 U KR20110011752 U KR 20110011752U KR 200473778 Y1 KR200473778 Y1 KR 2004737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ses
planting
plant
plan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75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04208U (en
Inventor
김광진
유은하
정명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20201100117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778Y1/en
Publication of KR201300042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20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7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778Y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on of plants
    • A01G13/30Ground coverings
    • A01G13/32Mats; Nets; Sheets or fil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4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cleaning of environmental air, e.g. by filters installed on vehicles or on str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5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air condition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베이스를 포함하는 프레임과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복수의 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와 결합되는 식물 식재 용기를 제공하며, 제공되는 식물 식재 용기가 결합되는 베이스의 개수에 따라 크기가 바뀌기 때문에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다양한 크기의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 plant, and a planting material container provided with a space including a plurality of bases and a space for planting the plants and being coupled with at least one base of the plurality of bases, Since the sizes of the bases vary depending on the number of the bases to which the provided planting food containers are connected, it is possible to plant various sizes of plants in the ai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plants.

Description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AIR FILTER USING PLANTS}{AIR FILTER USING PLANTS}

본 고안은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의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식물을 이용하여 정화하는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plant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purification apparatus for purifying foreign matters contained in air in a room using plants.

식물은 빛에너지를 이용해 이산화탄소와 물로부터 유기물을 합성하는 광합성 및 그 반대의 현상인 호흡을 한다. 이때, 이산화탄소 및 산소가 포함된 공기는 식물의 잎에 형성된 기공을 통해 유입되며, 이 과정에서 공기 중의 이물질까지 함께 유입된다.Plants use light energy to produce photosynthesis that combines organic matter from carbon dioxide and water, and vice versa. At this time, the air containing carbon dioxide and oxygen flows through the pores formed in the leaves of the plant, and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are also introduced into the air.

이와 같이 식물은 광합성 또는 호흡을 위해 공기를 유입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을 함께 흡수하기 때문에 다양한 공기정화장치에 활용되고 있으며, 공간 활용 및 공기 정화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식물이 벽면에 배치되는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As such, the plants absorb the foreign substances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air for photosynthesis or breathing, and thus are utilized in various air purification apparatuses. In order to improve space efficiency and air purification efficiency, plants are us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plants are arranged on a wall have.

하지만, 종래의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는 벽 등에 화분 받침대를 진열하여 화분 및 꽃병 등을 올려놓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사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해 화분 및 꽃병 등이 쉽게 파손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 air purification apparatuses using plants have a structure in which pots and vases are placed on a wall to display pots, so that pollen and vases are easily damaged due to carelessness of users.

이러한 불편함을 보완하기 블록을 이용하여 식물을 벽 등에 고정하는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특허10-0653790호(발명의 명칭: 벽면 부착식 컬러블록화분 및 이를 이용한 컬러블록화분세트) 등을 통해 개시되어 있다.A technique for fixing a plant to a wall or the like using a block to compensate for the inconvenienc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653790 entitled " Wall-mounted color block pot and a color block pot set using the same " .

하지만, 상기 인용기술은 외판과 바탕판이 결합되어 형성된 동일한 고정 공간에 식물을 식재하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식물을 식재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citation technique has disadvantages that plants of various sizes can not be planted because plants are planted in the same fixed space formed by joining the outer and base plates.

또한, 하나의 바탕판에 외판이 결합되어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외판의 형태를 바꾸더라도 전체 공간의 변화는 미미하여 다양한 크기의 식물을 식재하기 불편함 점이 있으며, 고정 공간에 맞는 획일적인 식물만을 식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식물을 식재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In addition, since a space in which plants are planted is formed by joining the shell plate to one base board, even if the shape of the shell plate is changed, the change of the entire space is insignificant and it is inconvenient to plant plants of various sizes. Since only plants can be planted,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various plants can not be planted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taste.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화분 및 꽃병 등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다양한 크기의 식물을 식재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cation apparatus for purifying air by preventing plants and vases from being easily damaged and planting plants of various sizes.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는 복수의 베이스를 포함하는 프레임; 및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와 결합되는 식물 식재 용기; 를 포함하며, 상기 식물 식재 용기는 결합되는 베이스의 개수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것으로 프레임에 설치가 가능하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plant-based ai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including a plurality of bases; And a planting material container having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for planting the plant and being coupled to at least one base of the plurality of bases; The planting container may be installed in a frame of various siz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bases to be connected.

또한, 상기 식물 식재 용기는 결합되는 베이스의 행렬의 조합에 따라 다른 크기의 것이 사용된다. In addition, the plant food containers may be of different sizes depending on the combination of the matrices of the bases to be joined.

그리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형성된 홀; 상기 홀을 덮는 그물망; 및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그물망을 고정하는 고정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식물 식재 용기는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그물망으로 상기 식물의 뿌리가 지나갈 수 있도록 상기 식생부의 일측이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base includes a hol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rame; A mesh covering the hole; And a fixing unit coupled to the frame to fix the mesh; Wherein the vegetable material container comprises: a coupling part coupled with the fixing part; And a vegetation part where the plant is planted; Wherein one side of the vegetation part is opened so that the roots of the plant can pass through the mesh network.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식물 식재 용기에 식재되는 식물의 뿌리가 원활하게 생장할 수 있도록 하는 뿌리 생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rame may include a root growth part for allowing the roots of plants planted in the planting material container to grow smoothly; And further comprising:

그리고 상기 뿌리 생장부는 내부에 공극이 형성된 다공질물질(Porous Material)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root growth portion is formed of a porous material having a void formed therein.

또한, 상기 고정부 및 상기 결합부는 서로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fixing portion and the coupling portion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그리고 상기 고정부 및 상기 결합부는'U'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fixing portion and the coupling portion are formed in a U-shape.

아울러 상기 베이스의 행렬의 조합은 1×1, 1×2, 2×1, 2×2 및 3×3의 행렬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mbination of the matrices of the base includes at least one combination of matrices of 1x1, 1x2, 2x1, 2x2, and 3x3.

또한, 복수의 베이스를 포함하는 프레임; 및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와 결합되는 식물 식재 용기; 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베이스의 개수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식물 식재 용기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 frame including a plurality of bases; And a planting material container having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for planting the plant and being coupled to at least one base of the plurality of bases; Wherein the bases are combined with plant food containers of different siz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base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는 프레임에 형성된 베이스의 개수에 따라 식물 식재 용기의 크기를 다른 것으로 바뀌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다양한 크기의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the plant can change the size of the plan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bases formed on the frame, so that it is possible to plant plants of various sizes .

또한,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식물을 선택적으로 식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plants suitable for the user's taste can be selectively planted, the user's satisfaction is enhanced.

그리고 그물망 및 뿌리 생장부를 통해 식물의 뿌리가 식물 식재 용기 외부로 돌출되어 보다 넓은 공간에서 생장될 수 있기 때문에 식물이 원활히 자랄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roots of the plants protrude outside the planting material container through the mesh and root growth part, and the plant can grow smoothly because it can grow in a larger space.

도 1은 본 고안의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의 일부를 절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하나의 베이스와 결합되는 식물 식재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상하 두 개의 베이스와 결합되는 식물 식재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좌우 두 개의 베이스와 결합되는 식물 식재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네 개의 베이스와 결합되는 식물 식재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아홉 개의 베이스와 결합되는 식물 식재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an ai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n ai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nting container combined with one bas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nting pottery container coupled with upper and lower base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nting container combined with two left and right base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ing plant container coupled with four base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nting container combined with nine base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다음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A)는 프레임(10), 프레임(10) 상에 형성된 베이스(11) 및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11)와 결합되는 식물 식재 용기(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and 2, an air purification apparatus A using a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rame 10, a base 11 formed on the frame 10, And a plant food container 20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nd being coupled to the base 11. [

프레임(10)은 식물 식재 용기(20) 및 식물 식재 용기(20)에 수용되는 토양, 식물, 물 등의 하중을 지지한다. 이와 같은 프레임(10)은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형태의 것이면 어떠한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나 공간 활용을 위하여 실내의 벽면에 배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rame 10 supports loads of soil, plants, water and the like accommodated in the planting plant vessel 20 and the planting plant vessel 20. The frame 10 may have any shape as long as it supports the load,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frame 10 is disposed on the wall of the room for space utilization.

즉, 프레임(10)은 일정 두께를 가지는 평면 형태로 이루어져 실내의 벽면에 배치된다.That is, the frame 10 has a plan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dispos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room.

또한, 프레임(10)의 재질은 식물 식재 용기(20) 및 식물 식재 용기(20)에 수용되는 토양, 식물, 물 등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철,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레임(10)이 배치된 벽면의 하중을 최소화하고 프레임(10)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경량화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frame 10 may be made of iron, aluminum, alloy or the like in order to support the loads of the soil, the plant, and the water contained in the planting plant vessel 20 and the planting plant vessel 20, Can be made of lightweight plastic so as to minimize the load on the wall surface where the frame 10 is disposed and to prevent oxidation of the frame 10.

프레임(10) 상에 형성된 베이스(11)는 식물 식재 용기(20)가 결합되는 곳이다. 이러한 베이스(11)는 식물 식재 용기(20)가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프레임(10)의 일면에 다수의 요철부(미도시)를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일면에 형성된 홀(11a), 홀(11a)을 덮는 그물망(11b) 및 프레임(10)과 결합되어 그물망(11b)을 고정하는 고정부(11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경우 일정 두께를 가지는 프레임(10)은 속이 비어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The base 11 formed on the frame 10 is a place where the planting container 20 is joined. The base 11 may be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recessed portions (not shown) on one side of the frame 10 so that the planting food container 20 can be seated and joined. A hole 11a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rame 10, a mesh 11b covering the hole 11a and a fixing portion 11c fixed to the frame 10 to fix the mesh 11b. In this case, the frame 10 having a certain thickness is formed in a hollow form, and a receiving space is formed therein.

프레임(10)에 형성된 홀(11a)은 식물 식재 용기(20)에 식재되는 식물의 뿌리 및 물 등이 프레임(10) 내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프레임(10)과 식물 식재 용기(20)가 결합되는 면에 형성된다.The hole 11a formed in the frame 10 allows the frame 10 and the planting food container 20 to be combined so that the roots and water of the plant to be planted in the planting plant vessel 20 can be moved into the frame 10. [ As shown in Fig.

즉,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정 두께를 가지는 프레임(10)의 일면에 형성된 홀(11a)을 통해 식물 식재 용기(20)에 식재되는 식물의 뿌리가 프레임(10)의 내부를 향하여 생장할 수 있다.That is, the roots of the plants planted in the planting plant container 20 grow through the holes 11a formed in one side of the frame 10 having a certain thickness so that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inside the frame 10 toward the inside of the frame 10 .

이때, 프레임(10)의 내부 수용 공간을 향해 생장한 식물의 뿌리가 보다 원활히 생장할 수 있도록 프레임(10)의 내부 수용 공간에 뿌리 생장부(12)를 설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oot growth portion 12 can be install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frame 10 so that the roots of the plant growing toward the inner accommodation space of the frame 10 can grow more smoothly.

이러한 뿌리 생장부(12)는 수분을 흡수할 수 있으며, 식물의 뿌리가 생장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극이 형성된 다공질물질(Porous Material)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root growth portion 12 may be made of a porous material having a void formed therein to absorb moisture and to allow the roots of the plant to grow.

이와 같은 다공질물질(Porous Material)은 생산단가를 절약하기 위해 스펀지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Such a porous material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sponge in order to save the production cost.

그물망(11b)은 식물 식재 용기(20)에 수용되는 토양이 프레임(10)에 형성된 홀(11a)을 통해 프레임(10) 내부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그물망(11b)은 토양이 흘러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토양을 다지기 위한 외력으로 인하여 그물망(11b)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 구리,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니켈, 철사 등의 금속이나 그 합금을 그물 모양으로 뜬 철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sh 11b prevents the soil contained in the planting food container 20 from flowing into the frame 10 through the hole 11a formed in the frame 10. [ The mesh 11b is a metal such as steel, copper, aluminum, stainless steel, nickel, wire or the like to prevent the soil from flowing out and to prevent the mesh 11b from being damaged due to external force for soil- It is preferable that the alloy is made of a wire mesh in the form of a net.

고정부(11c)는 프레임(10)에 결합되어 그물망(11b) 및 식물 식재 용기(20)를 고정한다. 이러한 고정부(11c)의 형태는 식물 식재 용기(20)를 고정할 수 있는 형태의 것이면 어떠한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지만 식물 식재 용기(20)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U'자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xing portion 11c is coupled to the frame 10 to fix the mesh 11b and the planting container 20. The shape of the fixing portion 11c may be any shape as long as it can fix the planting plant container 20,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planting plant container 20 has a 'U' shape desirabl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 식재 용기(20)는 결합부(21) 및 식생부(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4, the planting container 20 includes a coupling portion 21 and a vegetation portion 22.

결합부(21)는 고정부(11c)와 결합되는 곳으로 식물 식재 용기(20)의 일측이 단차지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결합부(21)는 고정부(11c)와 보다 견고히 고정되기 위하여 고정부(11c)와 같이 'U'자 형태를 갖도록 단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joining portion 21 is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11c and is formed so that one side of the planting food container 20 is stepp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engaging portion 21 is stepped so as to have a U-shape like the fixing portion 11c in order to be more firmly fixed to the fixing portion 11c.

이와 같은 결합부(21)는 두 물체를 서로 붙이는 데 쓰는 물질인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고정부(11c)와 결합될 수 있지만 손쉽게 식물 식재 용기(20)를 탈부착하기 위해 나사 등을 이용하여 고정부(11c)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고정부(11c) 및 결합부(21)는 나사가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결합홀(H1,H2)이 형성된다.The coupling portion 21 may be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11c using an adhesive or the like used to attach two objects to each other. However, in order to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planting material container 20, (11c). In this case, the fixing portion 11c and the engaging portion 21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engaging holes H1 and H2 so that a screw can be inserted.

또한, 결합홀(H1, H2) 간의 상하 간격(d)을 모두 동일하게 하여 다양한 형태의 식물 식재 용기(20)를 보다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Also, the vertical spacing d between the coupling holes H1 and H2 is made the same, so that various types of planting food containers 20 can be installed more easily.

식생부(22)는 식물이 식재되는 곳이다. 이러한 식생부(22)는 그물망(11b)으로 식물의 뿌리가 지나갈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되어 이루어진다.The vegetation part (22) is a place where plants are planted. The vegetation part 22 is formed by opening one side of the net 11b so that the roots of the plant can pass.

즉, 식생부(22)는 식물 및 토양 등을 담을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된 상태에서 식물의 뿌리 및 물 등이 그물망(11b)을 통해 프레임(10) 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측면이 함께 개구된 상태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vegetation part 22 is provided with a side surface so that the roots and the water of the plant can be moved toward the frame 10 through the mesh 11b with the top surface thereof opened so as to contain plants and soil, .

또한, 식물 식재 용기(20)의 표면에는 자연석 질감의 도료가 도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식물 식재 용기(20)의 표면에 자연석 질감의 도료를 도포함으로 인해 식물 식재 용기(20)를 자연석과 같이 표현할 수 있으며, 식물 식재 용기(20)가 식물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진 환경을 표현할 수 있다.Further, the surface of the planting food container 20 can be coated with a paint of natural stone texture. By applying the paint of the natural stone texture on the surface of the planting food container 20, the planting plant container 20 can be expressed like a natural stone, and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planting plant container 20 is naturally mixed with the plant can be expressed.

아울러 식물 식재 용기(20)는 결합되는 베이스(11)의 개수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것으로 바꾸어 프레임에 설치가 가능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결합되는 베이스(11)의 행렬의 조합에 따라 크기가 다른 것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planting food container 20 can be mounted on the frame in various siz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bases 11 to be coupled. More specifically, .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식물 식재 용기(20)의 다양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various forms of the planting food container 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8. FIG.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베이스(11)의 가로길이를 x, 세로길이를 y, 베이스(11)와 다른 베이스(11)와의 상하 간격을 i, 베이스(11)와 다른 베이스(11)와의 좌우 간격을 없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In order to simplify the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width of one base 11 is x, the length thereof is y,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base 11 and the other base 11 is i, It is assumed that there is no left-right spacing between them.

이때, 식물 식재 용기(20)의 높이(h1, h2, h3)는 설계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heights (h1, h2, h3) of the planting food container 20 can have various values depending on the design.

도 4에 도시된 식물 식재 용기(20)는 프레임(10)에 형성된 다수의 베이스(11) 중 하나의 베이스(11)와 결합된다. 즉, 베이스(11)의 행렬 조합이 1×1인 경우에 해당하는 식물 식재 용기(20)이다. 이 경우 식물 식재 용기(20)의 가로길이는 x, 세로길이는 y가 된다.The planting container 20 shown in Fig. 4 is joined to the base 11 of one of the plurality of bases 11 formed on the frame 10. That is, the plant cultivating container 20 corresponds to a case where the matrix combination of the base 11 is 1 × 1. In this case,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planting food container 20 is x and the vertical length is y.

도 5에 도시된 식물 식재 용기(20)는 프레임(10)에 형성된 다수의 베이스(11) 중 상하 두개의 베이스(11)와 결합된다. 즉, 베이스(11)의 행렬 조합이 2×1인 경우에 해당하는 식물 식재 용기(20)이다. 이 경우 식물 식재 용기(20)의 가로길이는 x, 세로길이는 2y+i가 된다.The planting container 20 shown in FIG. 5 is joined to the upper and lower bases 11 of the plurality of bases 11 formed on the frame 10. [ That is, the plant cultivating container 20 corresponds to the case where the matrix combination of the base 11 is 2 × 1. In this case,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planting food container 20 is x and the vertical length is 2y + i.

도 6에 도시된 식물 식재 용기(20)는 프레임(10)에 형성된 다수의 베이스(11) 중 좌우 두 개의 베이스(11)와 결합된다. 즉, 베이스(11)의 행렬 조합이 1×2인 경우에 해당하는 식물 식재 용기(20)이다. 이 경우 식물 식재 용기(20)의 가로길이는 2x, 세로길이는 y가 된다.The planting container 20 shown in Fig. 6 is joined to the left and right bases 11 of the plurality of bases 11 formed on the frame 10. That is, the plant cultivating container 20 corresponds to the case where the matrix combination of the base 11 is 1 x 2. In this case,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planting food container 20 is 2x and the vertical length is y.

도 7에 도시된 식물 식재 용기(20)는 프레임(10)에 형성된 다수의 베이스(11) 중 네 개의 베이스(11)와 결합된다. 즉, 베이스(11)의 행렬 조합이 2×2인 경우에 해당하는 식물 식재 용기(20)이다. 이 경우 식물 식재 용기(20)의 가로길이는 2x, 세로길이는 2y+i가 된다.The planting container 20 shown in Fig. 7 is joined to four bases 11 of the plurality of bases 11 formed on the frame 10. Fig. That is, the plant cultivating container 20 corresponds to the case where the matrix combination of the base 11 is 2 × 2. 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planting plant vessel 20 is 2x and the length of the planting plant vessel 20 is 2y + i.

도 8에 도시된 식물 식재 용기(20)는 프레임(10)에 형성된 다수의 베이스(11) 중 아홉 개의 베이스(11)와 결합된다. 즉, 베이스(11)의 행렬 조합이 3×3인 경우에 해당하는 식물 식재 용기(20)이다. 이 경우 식물 식재 용기(20)의 가로길이는 3x, 세로길이는 3y+2i가 된다.
8 is joined to nine bases 11 of the plurality of bases 11 formed on the frame 10. The plant basin 20 shown in Fig. That is, the plant cultivating container 20 corresponds to the case where the matrix combination of the base 11 is 3 × 3. In this case,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plant material container 20 is 3x and the vertical length is 3y + 2i.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고안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fully described by way of exampl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nderstood as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10: 프레임
11 : 베이스 11a: 홀
11b: 그물망 11c: 고정부
12 : 뿌리 생장부 20: 식물 식재 용기
21: 결합부 22: 식생부
H1, H2: 결합홀
A: Air purifier using plants 10: Frame
11: Base 11a: Hole
11b: network 11c:
12: root growth part 20: plant food container
21: engaging portion 22: vegetated portion
H1, H2: Bonding hole

Claims (9)

복수의 베이스가 배열되도록 마련된 프레임과;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상기 베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베이스와 결합되도록 마련된 식물 식재 용기;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는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형성된 홀과, 상기 홀을 덮는 그물망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그물망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물 식재 용기는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의 행렬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상기 식물 식재 용기를 동일한 결합방식으로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는 상기 프레임에 상하 및 좌우방향을 따라 바둑판 형태로 배열되며, 상기 고정부와 결합부는 같은 'U'자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와 결합부에는 나사의 결합을 위한 결합홀들이 좌우방향과 상하방향으로 각각 복수개씩 마련되며, 상기 고정부에 결합부에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는 결합홀들의 간격은 상호 동일하게 마련되고,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상기 베이스의 행렬의 조합은 1×1, 1×2, 2×1, 2×2 및 3×3의 행렬의 조합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A frame provided so that a plurality of bases are arranged; And a planting material container provided with a receiving space for planting the plant, the planting material container being provided to be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bases of the plurality of bases,
The base includes a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frame, a mesh network covering the hole, and a fixing unit coupled to the frame and fixing the mesh,
Wherein the plant-cultivated food container comprises a binding part to be combined with the fixing part, and a vegetation part in which the plant is planted,
The bases are arranged in a checkerboard shape along the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frame so that the planting containers of various sizes can be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rame in the same combination manner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matrices of the bases, And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in the same U shape. In the fixing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a plurality of engaging holes for engaging the screws are provid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up-down direction, The intervals of the engagement holes arranged are the same,
Wherein the combination of the matrices of the bases coupled to the coupling unit comprises at least two combinations of matrices of 1 x 1, 1 x 2, 2 x 1, 2 x 2, and 3 x 3. Used air purifier.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으로 상기 식물의 뿌리가 지나갈 수 있도록 상기 식생부의 일측은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side of the vegetation part is opened so that roots of the plant can pass through the network.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식물 식재 용기에 식재되는 식물의 뿌리가 원활하게 생장할 수 있도록 하는 뿌리 생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rame comprises: a root growing part for allowing the roots of plants planted in the planting material container to grow smoothly; Further comprising: an air purifier for removing air from the flue gas.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뿌리 생장부는 내부에 공극이 형성된 다공질물질(Porous Material)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oot growth portion is made of a porous material having a void formed therei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10011752U 2011-12-29 2011-12-29 Air filter using plants Expired - Lifetime KR20047377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752U KR200473778Y1 (en) 2011-12-29 2011-12-29 Air filter using pla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752U KR200473778Y1 (en) 2011-12-29 2011-12-29 Air filter using pla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208U KR20130004208U (en) 2013-07-09
KR200473778Y1 true KR200473778Y1 (en) 2014-08-04

Family

ID=51987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752U Expired - Lifetime KR200473778Y1 (en) 2011-12-29 2011-12-29 Air filter using pla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778Y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8533A (en) 2003-02-18 2004-09-09 Jiro Umehara Planting green wall
JP2011024543A (en) * 2009-07-29 2011-02-10 Takenaka Komuten Co Ltd Planting panel and wall surface greening structure
KR101074931B1 (en) * 2011-03-11 2011-10-27 농업회사법인 캬라반지에스(주) Vertical garden for wall greening and air purific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8533A (en) 2003-02-18 2004-09-09 Jiro Umehara Planting green wall
JP2011024543A (en) * 2009-07-29 2011-02-10 Takenaka Komuten Co Ltd Planting panel and wall surface greening structure
KR101074931B1 (en) * 2011-03-11 2011-10-27 농업회사법인 캬라반지에스(주) Vertical garden for wall greening and air purif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208U (en) 2013-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4269B1 (en) Method for the cultivation of plants using a carrier with a removable side support structure arranged thereon
JP2014502842A (en) Greening wall with internal air circulation
US20080209805A1 (en) Wall Planted with Vegetation and Constituent Elements
KR200476518Y1 (en) Pot apparatus for wall greening
KR20130004204U (en) Air filter using plants
KR20140006434U (en) Apparatus of plant-pot
KR20130028211A (en) Assemble type flowerpot
JP2008048640A (en) Plant growing bag, support stand for suspending the bag, and plant growing device comprising the bag and the support stand
KR200473778Y1 (en) Air filter using plants
CA2567198A1 (en) Apparatus for growing plants
CN203219787U (en) Building-block pattern household aerosol vegetable planting machine
CN107344757A (en) Vertical sewage purification and plant cultivation system
KR200472970Y1 (en) Air filter module using plants and air filter device using there of
JP3857540B2 (en) Planting equipment that can be placed vertically
JP2012060892A (en) Sheet pot unit for culturing root crop
KR20130050615A (en) Assembly plant stand
KR20120069857A (en) Ornament for decorative flowerpot
JP5016149B1 (en) Exhibition stand
US20160227713A1 (en) Mesh based system for floating bio-filters
JP3813110B2 (en) Container for plant cultivation
CN111226637A (en) Small-size domestic vegetable cultivation case
CN219893986U (en) A kind of tree nursery base frame
JP3168210U (en) planter
JP2011078367A (en) Wall surface-gree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201467750U (en) climbing vine flower w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1122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30703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40327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U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11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X09012R01I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U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5

Patent event code: UX07013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13

Patent event code: UX07012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40327

Patent event code: UX07011S01I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04

Patent event code: UX07012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2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utility model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R07021E01D

Patent event date: 20140722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0

Payment date: 2014072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2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