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73039Y1 - 주방가구 - Google Patents

주방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039Y1
KR200473039Y1 KR2020130001648U KR20130001648U KR200473039Y1 KR 200473039 Y1 KR200473039 Y1 KR 200473039Y1 KR 2020130001648 U KR2020130001648 U KR 2020130001648U KR 20130001648 U KR20130001648 U KR 20130001648U KR 200473039 Y1 KR200473039 Y1 KR 2004730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orage
storage space
door pane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6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비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비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비채
Priority to KR20201300016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0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0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0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전측으로 개방된 제1수납공간부를 갖는 제1수납부, 상기 제1수납부의 어느 한 측으로 위치되고, 내부에 전측으로 개방된 제2수납공간부를 갖는 제2수납부, 상기 제1수납부의 다른 한 측으로 위치되며, 내부에 전측으로 개방된 제3수납공간부를 갖는 제3수납부, 상기 제1수납부의 제1수납공간부와 제2수납부의 제2수납공간부를 개폐하도록 슬라이딩되는 미닫이도어, 및 상기 제3수납부의 제3수납공간부를 개폐하도록 회전되는 여닫이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수납공간부를 개방하기 위해 이동되는 도어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 및 최소화하여 활동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방가구{Kitchen furniture}
본 고안은 주방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품 수납을 위해 수납공간부를 개방시킬 경우, 이동된 도어가 활동하는 사람에게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게 하여 공간을 확보하고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주방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은 요리와 식사를 할 수 있도록 마련된 공간으로서 현재는 단순히 식사만을 위한 공간이라기보다는 안락함과 편안함, 더불어 실용성까지 갖춘 신개념의 주방문화를 실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주방에 구비된 주방가구들은 그 내부에 각각의 수납공간부가 형성되며, 이 수납공간부를 개폐시키도록 각각의 도어가 구비되어 있다.
종래 등록실용신안 제20-0244447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주방가구에 도어는 구비되어 해당 수납공간부를 개방시키게 된다.
여기서, 도어는 회전되어 수납공간부를 개방시키는 것으로, 수납공간부의 완전 개방을 위해 여닫이식 도어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여닫이식 도어는 개방을 위한 공간이 많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도어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활동할 경우, 도어에 의해 활동이 제약됨에 따라 불편함이 발생된다.
특히, 최근에는 주방가구가 붙박이식과 함께 별도의 조리할 수 있는 주방가구가 주방의 중앙부나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도어가 공간을 많이 차지할 경우, 활동이 더욱 불편함에 따라 수납공간부의 개방은 물론, 활동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주방가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제1수납공간부를 갖는 제1수납부와 제1수납부의 어느 한 측으로 위치되고, 제2수납공간부를 갖는 제2수납부, 제1수납부의 다른 한 측으로 위치되며, 제3수납공간부를 갖는 제3수납부, 제1수납공간부와 제2수납공간부를 개폐하도록 슬라이딩되는 미닫이도어 및 제3수납부의 제3수납공간부를 개폐하도록 회전되는 여닫이도어로 구성되어 각 수납공간부를 개방하기 위해 이동되는 도어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 및 최소화하여 활동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주방가구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전측으로 개방된 제1수납공간부를 갖는 제1수납부, 상기 제1수납부의 어느 한 측으로 위치되고, 내부에 전측으로 개방된 제2수납공간부를 갖는 제2수납부, 상기 제1수납부의 다른 한 측으로 위치되며, 내부에 전측으로 개방된 제3수납공간부를 갖는 제3수납부, 및 상기 제1수납부와 제2수납부, 제3수납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도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어수단은, 미닫이도어이며, 상기 제2수납부의 제2수납공간부를 개폐하기 위한 제1미닫이도어, 및 상기 제3수납부의 제3수납공간부를 개폐하기 위한 제2미닫이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미닫이도어와 제2미닫이도어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수납부의 제1수납공간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해당 수납공간부를 개방시키고, 제1수납공간부를 폐쇄시킨다.
그리고 상기 도어수단은, 미닫이도어이며, 상기 제1수납부의 제1수납공간부를 개폐하기 위한 제1미닫이도어, 상기 제2수납부의 제2수납공간부를 개폐하기 위한 제2미닫이도어, 및 상기 제3수납부의 제3수납공간부를 개폐하기 위한 제3미닫이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미닫이도어는 상기 제2미닫이도어와 제3미닫이도어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수단은, 여닫이도어이며, 상기 제1수납부의 제1수납공간부를 개폐하기 위한 제1여닫이도어, 상기 제2수납부의 제2수납공간부를 개폐하기 위한 제2여닫이도어, 및 상기 제3수납부의 제3수납공간부를 개폐하기 위한 제3여닫이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수납부와 제2수납부의 폭은 동일하고, 상기 도어수단은, 상기 제1수납부와 제2수납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수납공간부와 제2수납공간부 중 어느 하나를 개방시키고, 다른 하나를 폐쇄시키도록 슬라이딩되는 미닫이도어, 및 상기 제3수납부에 구비되어 제3수납공간부를 개폐시키도록 회전되는 여닫이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수납부와 제2수납부의 폭은 동일하고, 상기 도어수단은, 상기 제1수납부에 구비되어 제1수납공간부의 개방을 위해 상기 제2수납부로 슬라이딩되는 제1미닫이도어, 상기 제2수납부에 구비되는 제2수납공간부의 개방을 위해 상기 제1수납부로 슬라이딩되는 제2미닫이도어, 및 상기 제3수납부에 구비되어 제3수납공간부를 개폐시키도록 회전되는 여닫이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여닫이도어는, 해당 수납부의 일측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해당 수납공간부의 일부를 가려 폐쇄시키기 위한 제1여닫이도어패널, 상기 제1여닫이도어패널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해당 수납공간부의 나머지부분을 가려 폐쇄시키기 위한 제2여닫이도어패널, 및 상기 제2여닫이도어패널의 단부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해당 수납공간부의 상단부와 하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해당 수납공간부의 상단부와 하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제2여닫이도어패널의 단부에 구비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해당 수납부의 수납공간부를 개방시키도록 상호 절첩된 제1여닫이도어패널과 제2여닫이도어패널을 상기 수납공간부로 인입시키도록 인출수단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인출수단은, 상기 제1여닫이도어패널의 단부에 구비되어 제1여닫이도어패널을 회전 가능함과 동시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인출롤러, 상기 일출롤러를 가이드하여 제1여닫이도어패널이 인출되도록 상기 해당 수납공간부에 구비되는 제1인출레일, 및 상기 제1인출레일과 평행하게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과 연결되어 가이드롤러를 가이드하여 제2여닫이도어패널이 인출되도록 구비되는 제2인출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인출레일과 제2인출레일은, 상기 해당 수납공간부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수납공간부의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각 인출레일과 연통되며, 상기 제1여닫이도어패널과 제2여닫이도어패널은 수납공간부의 어느 한 단부로 절첩된 후, 해당 인출레일을 따라 인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주방가구에 의하면, 수납공간부를 개방하기 위해 이동되는 도어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 및 최소화하여 활동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주방가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수단의 미닫이방식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수단의 미닫이방식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수단의 여닫이방식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수단의 미닫이방식과 여닫이방식의 혼합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수단의 미닫이방식과 여닫이방식의 다른 혼합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식 도어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인출수단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인출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주방가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수단의 미닫이방식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수단의 미닫이방식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수단의 여닫이방식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수단의 미닫이방식과 여닫이방식의 혼합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수단의 미닫이방식과 여닫이방식의 다른 혼합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식 도어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인출수단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인출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방가구(10)는 제1수납부(100)와 제2수납부(200), 제3수납부(300) 및 도어수단(400)으로 구성된다.
먼저, 제1수납부(100)는 내부에 전측으로 개방된 제1수납공간부(110)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측으로 레인지(2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레인지(20)는 가스레인지나 전기레인지 등을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2수납부(200)는 제1수납부(100)의 어느 한 측으로 위치되고, 내부에 전측으로 개방된 제2수납공간부(210)가 형성된다.
제3수납부(300)는 제1수납부(100)의 다른 한 측으로 위치되며, 내부에 전측으로 개방된 제3수납공간부(310)가 형성된다.
또한 도어수단(400)은 제1수납부(100)와 제2수납부(200), 제3수납부(300)를 개폐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제1수납공간부(110)와 제2수납공간부(210) 및 제3수납공간부(310)는 각각 폭방향으로 다수 개 구획되고, 제1수납부(100)와 제2수납부(200), 제3수납부(300)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도어수단(400)은 일 실시 예로, 미닫이도어이며,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미닫이도어(410)와 제2미닫이도어(420)로 구성된다.
제1미닫이도어(410)는 제2수납부(200)의 제2수납공간부(210)를 개폐하기 위해 구비되고, 제2미닫이도어(420)는 제3수납부(300)의 제3수납공간부(310)를 개폐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도어수단(4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제1미닫이도어(410)와 제2미닫이도어(420) 중 어느 하나를 제1수납부(100)의 제1수납공간부(110) 방향으로 이동시켜 해당 수납공간부를 개방시키고, 제1수납공간부(110)를 폐쇄시킨다.
한편, 다른 실시 예의 도어수단(400')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미닫이도어이며, 제1미닫이도어(410')와 제2미닫이도어(420') 및 제3미닫이도어(430')로 구성된다.
제1미닫이도어(410')는 제1수납부(100)의 제1수납공간부(110)를 개폐하기 위해 구비되고, 제2미닫이도어(420')는 제2수납부(200)의 제2수납공간부(210)를 개폐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3미닫이도어(430')는 제3수납부(300)의 제3수납공간부(310)를 개폐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제1미닫이도어(410')는 제2미닫이도어(420')와 제3미닫이도어(430')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위치될 수 있으며, 실시 예로, 제1미닫이도어(410')는 제2미닫이도어(420')와 제3미닫이도어(430')의 전방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물론, 제1미닫이도어(410')는 제2미닫이도어(420')와 제3미닫이도어(430')의 후방측에 위치될 수도 있으며, 이는 설치되는 현장의 상황을 고려하여 결정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의 도어수단(50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여닫이도어이며, 제1여닫이도어(510)와 제2여닫이도어(520) 및 제3여닫이도어(530)로 구성된다.
제1여닫이도어(510)는 제1수납부(100)의 제1수납공간부(110)를 개폐하기 위해 구비되고, 제2여닫이도어(520)는 제2수납부(200)의 제2수납공간부(210)를 개폐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3여닫이도어(530)는 제3수납부(300)의 제3수납공간부(310)를 개폐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제1여닫이도어(510)와 제2여닫이도어(520) 및 제3여닫이도어(530)는 해당 수납공간부에 일단부 또는 타단부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각 수납공간부를 개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각 여닫이도어(510, 520, 530)는 제1여닫이도어패널(512, 522, 532)과 제2여닫이도어패널(514, 524, 534) 및 가이드수단(610, 620, 630)으로 구성되며, 자세한 설명은 추후에 하기로 한다.
한편,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의 도어수단은 미닫이도어(400)와 여닫이도어(500)로 구성되며, 제1수납부(100)와 제2수납부(200)의 폭은 동일하게 형성된다.
미닫이도어(400)는 제1수납부(100)와 제2수납부(20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제1수납공간부(110)와 제2수납공간부(210) 중 어느 하나를 개방시키고, 다른 하나를 폐쇄시키도록 슬라이딩된다.
그리고 여닫이도어(500)는 제3수납부(300)에 구비되어 제3수납공간부(310)를 개폐시키도록 회전된다.
이에, 미닫이도어(400)에 의해 제1수납공간부(110)와 제2수납공간부(210)를 용이하게 개방 및 폐쇄시키고, 여닫이도어(500)에 의해 제3수납공간부(310)를 용이하게 개폐하되, 도어수단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수단은 제1미닫이도어(410)와 제2미닫이도어(420) 및 여닫이도어(500)로 구성되고, 제1수납부(100)와 제2수납부(200)의 폭은 동일하게 형성된다.
제1미닫이도어(410)는 제1수납부(100)에 구비되어 제1수납공간부(110)의 개방을 위해 제2수납부(200)로 슬라이딩되고, 제2미닫이도어(420)는 제2수납부(200)에 구비되는 제2수납공간부(210)의 개방을 위해 제1수납부(100)로 슬라이딩된다.
그리고 여닫이도어(500)는 제3수납부(300)에 구비되어 제3수납공간부(310)를 개폐시키도록 회전된다.
이에, 미닫이도어(400)에 의해 제1수납공간부(110)와 제2수납공간부(210)를 용이하게 개방 및 폐쇄시키고, 여닫이도어(500)에 의해 제3수납공간부(310)를 용이하게 개폐하되, 도어수단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각 실시 예의 여닫이도어(500)를 살펴보면,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여닫이도어(500)는 제1여닫이도어패널(502)과 제2여닫이도어패널(504) 및 가이드수단(600)으로 구성된다.
제1여닫이도어패널(502)은 해당 수납부의 일측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해당 수납공간부의 일부를 가려 폐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2여닫이도어패널(504)은 제1여닫이도어패널(502)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해당 수납공간부의 나머지부분을 가려 폐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가이드수단(600)은 제2여닫이도어패널(504)의 단부를 가이드하도록 해당 수납공간부의 상단부와 하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어 용이하게 해당 수납공간부를 개폐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가이드수단(600)은 가이드레일(602)과 가이드롤러(604)로 구성된다.
가이드레일(602)은 해당 수납공간부의 상단부와 하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고, 가이드롤러(604)는 가이드레일(602)을 따라 이동되도록 제2여닫이도어패널(504)의 단부에 구비되어 가이드레일(610)의 면과 닿아 회전됨에 따라 여닫이도어(500)를 용이하게 개폐되도록 가이드되는 것이다.
또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수납부의 수납공간부를 개방시키도록 상호 절첩된 제1여닫이도어패널(502)과 제2여닫이도어패널(504)을 수납공간부로 인입시키도록 인출수단(700)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인출수단(700)은 인출롤러(710)와 제1인출레일(720) 및 제2인출레일(730)로 구성된다.
인출롤러(710)는 제1여닫이도어패널(502)의 단부에 구비되어 제1여닫이도어패널(502)을 회전 가능함과 동시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제1인출레일(720)은 인출롤러(710)를 가이드하여 제1여닫이도어패널(502)이 인출되도록 해당 수납공간부에 구비된다.
제2인출레일(730)은 제1인출레일(720)과 평행하게 구비되며, 가이드레일(602)과 연결되어 가이드롤러(604)를 가이드하여 제2여닫이도어패널(504)이 인출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절첩된 제1여닫이도어패널(502)과 제2여닫이도어패널(504)을 제1인출레일(720)과 제2인출레일(730)을 따라 인출시킬 수 있어 인입 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인출레일(720)과 제2인출레일(730)은 해당 수납공간부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각각의 제1인출레일(720)과 제2인출레일(730)은 수납공간부의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구비되고, 가이드레일(602)은 각 인출레일(720, 730)과 연통된다.
이에, 절첩된 제1여닫이도어패널(502)과 제2여닫이도어패널(504)을 일단부의 제1인출레일(720)과 제2인출레일(730)에서 인출시키거나 또는 타단부의 제1인출레일(720)과 제2인출레일(730)에서 인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제1여닫이도어패널(502)과 제2여닫이도어패널(504) 중 여닫히는 방향으로 위치된 제1인출레일(720)과 제2인출레일(730)로 인출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주방가구(10)에 인접하여 조리 및 식사를 할 수 있는 별도의 조리용 가구(미 도시)가 각 수납공간부의 개방된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더 설치될 경우, 각 도어수단이 이동되어 해당 수납공간부가 개방된 상태라도 종래보고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사용자의 활동을 제약하지 않아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10 : 주방가구 100 : 제1수납부
110 : 제1수납공간부 200 : 제2수납부
210 : 제2수납공간부 300 : 제3수납부
310 : 제3수납공간부 400, 500 : 도어수단
600 : 가이드수단 610 : 가이드레일
620 : 가이드롤러 700 : 인출수단

Claims (11)

  1. 내부에 전측으로 개방된 제1수납공간부를 갖는 제1수납부;
    상기 제1수납부의 어느 한 측으로 위치되고, 내부에 전측으로 개방된 제2수납공간부를 갖는 제2수납부;
    상기 제1수납부의 다른 한 측으로 위치되며, 내부에 전측으로 개방된 제3수납공간부를 갖는 제3수납부; 및
    상기 제1수납부와 제2수납부, 제3수납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도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수납부와 제2수납부의 폭은 동일하고,
    상기 도어수단은,
    상기 제1수납부와 제2수납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수납공간부와 제2수납공간부 중 어느 하나를 개방시키고, 다른 하나를 폐쇄시키도록 슬라이딩되는 미닫이도어; 및
    상기 제3수납부에 구비되어 제3수납공간부를 개폐시키도록 회전되는 여닫이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여닫이도어는,
    해당 수납부의 일측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해당 수납공간부의 일부를 가려 폐쇄시키기 위한 제1여닫이도어패널;
    상기 제1여닫이도어패널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해당 수납공간부의 나머지부분을 가려 폐쇄시키기 위한 제2여닫이도어패널; 및
    상기 제2여닫이도어패널의 단부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해당 수납공간부의 상단부와 하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해당 수납공간부의 상단부와 하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제2여닫이도어패널의 단부에 구비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해당 수납부의 수납공간부를 개방시키도록 상호 절첩된 제1여닫이도어패널과 제2여닫이도어패널을 상기 수납공간부로 인입시키도록 인출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인출수단은,
    상기 제1여닫이도어패널의 단부에 구비되어 제1여닫이도어패널을 회전 가능함과 동시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인출롤러;
    상기 인출롤러를 가이드하여 제1여닫이도어패널이 인출되도록 상기 해당 수납공간부에 구비되는 제1인출레일; 및
    상기 제1인출레일과 평행하게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과 연결되어 가이드롤러를 가이드하여 제2여닫이도어패널이 인출되도록 구비되는 제2인출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1인출레일과 제2인출레일은,
    상기 해당 수납공간부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수납공간부의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각 인출레일과 연통되며,
    상기 제1여닫이도어패널과 제2여닫이도어패널은 수납공간부의 어느 한 단부로 절첩된 후, 해당 인출레일을 따라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2020130001648U 2013-03-05 2013-03-05 주방가구 KR2004730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648U KR200473039Y1 (ko) 2013-03-05 2013-03-05 주방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648U KR200473039Y1 (ko) 2013-03-05 2013-03-05 주방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039Y1 true KR200473039Y1 (ko) 2014-06-27

Family

ID=51490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648U KR200473039Y1 (ko) 2013-03-05 2013-03-05 주방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0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498A (ko) 2019-07-17 2021-01-27 광일산업 주식회사 사용이 용이한 주방용 수납도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2854A (ja) * 1989-12-22 1994-08-02 Bayer Ag 戸棚用の押込み・折畳み式ドア機構
JP2003061763A (ja) * 2001-08-27 2003-03-04 Sun Wave Ind Co Ltd 鏡体を備えた収納キャビネット用引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2854A (ja) * 1989-12-22 1994-08-02 Bayer Ag 戸棚用の押込み・折畳み式ドア機構
JP2003061763A (ja) * 2001-08-27 2003-03-04 Sun Wave Ind Co Ltd 鏡体を備えた収納キャビネット用引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498A (ko) 2019-07-17 2021-01-27 광일산업 주식회사 사용이 용이한 주방용 수납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39792A1 (en) Refrigerator appliance and a shelf assembly for the same
US10098456B2 (en) Built-in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 and household appliance assembly and built-in furniture unit for a household appliance
KR200473039Y1 (ko) 주방가구
KR101182781B1 (ko) 하부에 하중 지지수단을 갖는 가구용 도어 구조
JP2012217852A (ja) 少なくとも1つのスライドドアを有する家具
US20100079047A1 (en) Notebook cabinet
JP3148951U (ja) ミニキッチン構造
KR101567032B1 (ko) 수납 포켓을 구비한 수납장
KR20170103338A (ko) 개량형 붙박이장
KR101279556B1 (ko) 슬라이드식 붙박이형 수납가구
US11185160B2 (en) Corner-cabinet arrangement
US20200109586A1 (en) Door apparatus
KR101380007B1 (ko) 바닥 개폐식 서랍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투입금고
US8764131B2 (en) Undercabinet secretary with hidden compartment
KR200474158Y1 (ko) 책상기능을 가지는 이동가구
CN218571713U (zh) 一种多功能柜
JP2010148797A (ja) ミニキッチン改造用の台輪
CN215718192U (zh) 一种小移门结构
CN215532648U (zh) 一种含折叠式衣柜门的衣柜
KR20130102174A (ko) 룸식 독서실 책상
JPH04131485A (ja) 扉装置
JPH06343521A (ja) 厨房装置
KR101083694B1 (ko) 슬라이드형 김치냉장고 도어구조
JP3199861U (ja) システムキッチン
JP3098661U (ja) 物置空所付き収納キャビネ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030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40125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4053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3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