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733Y1 - water saving device for fresh wash toilet seat - Google Patents
water saving device for fresh wash toilet sea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2733Y1 KR200472733Y1 KR2020130008758U KR20130008758U KR200472733Y1 KR 200472733 Y1 KR200472733 Y1 KR 200472733Y1 KR 2020130008758 U KR2020130008758 U KR 2020130008758U KR 20130008758 U KR20130008758 U KR 20130008758U KR 200472733 Y1 KR200472733 Y1 KR 20047273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flange
- toilet
- discharge amount
- dischar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12—Flushing device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조가 없는 양변기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관로에 설치되어, 용변후 조작레버를 조작시 양변기에 공급되는 수돗물의 압력에 의해 양변기의 세척수 량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변기용 후레쉬 세척 절수기는,
수조가 없는 양변기용 후레쉬 세척 절수기에 있어서:
상단의 걸림플랜지와 상기 걸림플랜지 하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는 원통형 몸체로 이루어지는 내부 하우징;
상기 원통형 몸체의 외측면에 끼워맞춤되고, 바닥면에 배출공이 형성되는 외부 하우징;
수개의 유입공이 관통형성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 하방에 연장형성되는 조절봉으로 이루어지는 토출량 조절구, 상기 내부 하우징의 상단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운동에너지를 상기 토출량 조절구에 의해 압력에너지로 변환하며, 변환된 압력에너지의 크기에 의해 슬라이딩이동량이 가변되는 상기 조절봉에 의해 상기 배출공의 단면적 크기를 가변 조절하여 상기 배출공을 통과하는 유량을 자동으로 조절시킴;
상기 원통형 몸체의 내주연 상단에 형성되는 걸림턱에 상기 토출량 조절구의 플랜지를 가압하여 밀착시킨 것을 초기상태로 탄성바이어스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후레쉬 세척 절수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duct for supplying washing water to a toilet without a water tank so that the amount of washing water in the toilet can be controlled by the pressure of the tap water supplied to the toilet when the operation lever is ope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What is claimed is: 1. A flush toilet water-saving toilet water tank,
An inner housing having an upper engagement flange and a cylindrical body extending below the engagement flange and having upper and lower ends opened;
An outer housing fit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and having a discharge hole formed on a bottom surface thereof;
A discharge amount regulating section composed of a flange having a number of inflow holes formed therethrough and a regulating bar extending downwardly of the flange, a kinetic energy of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upper end opening of the inner housing is converted into pressure energy by the discharge amount regulating section And automatically adjusting a flow rate through the discharge hole by variably controlling the cross-sectional area size of the discharge hole by the adjusting rod whose sliding movement amount is varied by the magnitude of the converted pressure energy;
And a spring for elastically biasing the flange of the discharge amount regulating member into contact with the flange of the discharge amount regulating member in an initial state.
Description
본 고안은 양변기용 후레쉬 세척 절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조가 없는 양변기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관로에 설치되어, 용변후 조작레버를 조작시 양변기에 공급되는 수돗물의 압력에 의해 세척수의 량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양변기용 후레쉬 세척 절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sh water-saving water-saving machine for a toil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saving toilet bowl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water to the toilet, To a flushing water-saving water-saving toilet for a toilet.
일반적으로, 수돗물의 토출량은 수도관이 같은 크기인 경우에도 각 수도기기의 설치위치에 따라 수돗물 토출량이 다름을 알 수 있다. 즉 물탱크가 설치된 위치또는 상기 물탱크와 각 수도기기 간의 거리 차이 등으로 인하여 각 가정마다 수도관에서 흐르는 물의 수압 및 토출량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오래된 수도관일 경우 그 내부에 이물질 등에 의하여 스케일(scale)이 생성되어 토출량이 달라질 수 있다.In general, the amount of tap water dispensed varies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water equipment even when the water pipe has the same size. That is, the water pressure and the discharge amount of the water flowing in the water pipe can be changed for each household due to the position where the water tank is installed or the difference in distance between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supply equipment. Also, in case of an old water pipe, a scale may be generated due to foreign substances or the like, and the amount of discharged water may be changed.
전술한 바와 같이 수압은 제한된 수도관의 크기와 시간 내에서 토출될 수 있는 수돗물의 량과 비례하게 되므로, 수도관 속의 수압이 약한 수도기기에서는 한정된 시간 내에서 적은 량의 수돗물이 토출되고, 이와 반대로 수압이 강한 수도기기에서는 보다 많은 량의 수돗물이 토출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ater pressure becomes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limited water pipe and the amount of tap water that can be discharged within the time, a small amount of tap water is discharged within a limited time in the water pipe having a weak water pressure in the water pipe, Larger tap water can be discharged in strong waterworks.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수도밸브가 설치된 이후, 일일이 가정을 방문하여 수도관 내부의 수압을 측정한 다음 수도관 내부의 면적을 적절하게 줄여 토출량을 기준치에 맞도록 하는 유량조절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하였다. 즉 일일이 각 가정을 방문하여 수도관의 크기, 수압 및 토출량을 측정한 다음, 수도밸브를 분해하여 유량조절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많은 인력과 시간/비용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실정이다.Considering these problems, after the water valve was installed, the water pressure was measured at the water pipe inside the water pipe after each visit to the home, and then the flow rate control device was installed, which appropriately reduces the internal area of the water pipe to adjust the discharge amount to the reference value. That is to sa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ize, the water pressure and the discharge amount of the water pipe are measured after each visit to each househol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ter valve is disassembled to cause a lot of manpower and time / cost for installing the flow control device.
한편, 수조가 없는 양변기의 경우, 용변후 조작레버를 조작함에 따라 공급밸브의 개방에 의해 양변기에 공급되는 세척수 량은 6리터 정도가 필요하게 된다. 반면에 수압이 강한 수도관에서는 13∼18정도의 세척수가 양변기에 공급될 수 있어 필요이상의 세척수가 낭비되는 문제점을 갖는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toilet without a water tank, the amount of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toilet by the opening of the supply valve is required to be about 6 liters by operating the operation lever after the us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water pipe having a high water pressure, about 13 to 18 wash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toilet, thus wasting more washing water than necessary.
실용신안등록출원 20-2001-0014767호에 "수돗물 토수량 조절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수돗물 토수량 조절장치는 수도관 내의 관로의 면적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흐르는 수돗물의 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수돗물 토수량 조절장치 중앙 부위에 1개 이상의 배출홈을 갖는 원형 플레이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2001-0014767, "Water Soil Quantity Control Device" is posted. The tap water quantity regulating device is capable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tap water flowing through the pipe in the water pipe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area of the pipe, and is provided with a circular plate having one or more discharge grooves in the central part of the water sole water quantity control device .
본 고안의 실시예는, 토출량 조절구에 의해 양변기의 세척수 량이 수압에 의해 자동적으로 조절되므로, 고층 건물의 저층에서 발생되는 강한 수압으로 인해 물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양변기용 후레쉬 세척 절수기와 관련된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since the amount of washing water in the toilet is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water pressure control by the discharge amount control section, the water washing flushing water-saving water heater for the toile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wasted due to the strong water pressure generated in the low- .
본 고안의 실시예는, 수도관의 크기 및 수도관의 수압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양변기의 세척수 량이 일정하게 조절되므로, 각 가정의 수도기기에 알맞는 유량조절장치를 별도로 장착하는 작업이 불필요하여 실용성 및 편리성을 갖도록 한 양변기용 후레쉬 세척 절수기와 관련된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even when the size of the water pipe and the water pressure difference of the water pipe occur, the amount of washing water in the toilet can be controlled to be constant, so that it is unnecessary to separately install a flow control device, This is related to a flushing water-saving water-saving toilet bowl for convenience.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변기용 후레쉬 세척 절수기는,
상단의 걸림플랜지와 상기 걸림플랜지 하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는 원통형 몸체로 이루어지는 내부 하우징;
상기 원통형 몸체의 외측면에 끼워맞춤되고, 바닥면에 배출공이 형성되는 외부 하우징;
수개의 유입공이 관통형성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 하방에 연장형성되는 조절봉으로 이루어지는 토출량 조절구, 상기 토출량 조절구는 상기 내부 하우징의 상단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이동량이 조절되며, 상기 토출량 조절구의 조절봉이 상기 내부 하우징에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 크기에 대응되게 상기 배출공으로 이동되어 상기 배출공을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시킴;
상기 원통형 몸체의 내주연 상단에 형성되는 걸림턱에 상기 토출량 조절구의 플랜지를 가압하여 밀착시킨 것을 초기상태로 탄성바이어스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후레쉬 세척 절수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ner housing having an upper engagement flange and a cylindrical body extending below the engagement flange and having upper and lower ends opened;
An outer housing fit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and having a discharge hole formed on a bottom surface thereof;
A discharge amount regulating portion including a flange having a plurality of inflow holes formed therethrough and an adjusting rod extending downwardly of the flange, the discharge amount regulating portion being adjusted by a pressure of a fluid flowing through an upper opening of the inner housing, The control rod of the discharge amount control valve is moved to the discharge hol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magnitude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inner housing to adjust the flow rate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hole;
And a spring for elastically biasing the flange of the discharge amount regulating member into contact with the flange of the discharge amount regulating member in an initial state.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토출량 조절구의 조절봉은 구면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rod of the discharge amount control valve is formed as a spherical bod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양변기용 후레쉬 세척 절수기는,In the washing machine for washing toilet seats,
조작레버가 구비되는 공급밸브와, 용변후 상기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 세척수를 양변기에 공급하는 토출관의 이음부위에 설치되거나, 벽면에 매설되는 급수관과 상기 공급밸브를 이음연결하는 연결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upply valve provided with an operation lever, and a water supply pipe provided at a joint portion of a discharge pipe for supplying the wash water to the toilet bowl by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after use, or a water supply pipe embedded in the wall and a connection port for connecting the supply valve .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토출량 조절구에 의해 양변기의 세척수 량이 수압에 의해 자동적으로 조절되므로, 고층 건물의 저층에서 발생되는 강한 수압으로 인해 국가적인 차원에서 물 낭비로 인한 엄청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Since the amount of washing water in the toilet is controlled automatically by the water pressure by the discharge volume control valve, the water pressure which is generated in the lower layer of the high-rise building can save enormous cost due to water waste at the national level.
수도관의 크기 및 수도관의 수압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양변기의 세척수 량이 일정하게 조절되므로, 각 가정의 수도기기에 알맞는 유량조절장치를 별도로 장착하는 작업에 따른 인건비 및 작업시간, 물류비용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다.Since the amount of washing water in the toilet is constantly adjusted even when the size of the water pipe and the water pressure difference of the water pipe occur, the labor cost, the working time and the logistics cost due to the operation of separately installing the flow control device, Can be reduced.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변기용 후레쉬 세척 절수기의 사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변기용 후레쉬 세척 절수기의 분리시사도,
도 3(a)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변기용 후레쉬 세척 절수기의 단면도,
도 3(b)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변기용 후레쉬 세척 절수기에서, 세척수 토출량을 조절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변기용 후레쉬 세척 절수기의 사용상태도이다.FIG. 1 is a sash view of a washing machine for a toilet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shing / washing water-saving machine for a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shing machine for a toilet flush toil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b)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djustment of the washing water discharge amount in the washing machine for washing a toilet bo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flash washing water-saving machine for a toil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such a manner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mean that the technical idea and category of the design is limited.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변기용 후레쉬 세척 절수기는,1 to 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수조가 없는 양변기용 후레쉬 세척 절수기에 있어서:CLAIMS What is claimed is: 1. A flush toilet water-saving toilet water tank,
상단의 걸림플랜지(도면부호 미표기)와 상기 걸림플랜지 하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는 원통형 몸체(12)로 이루어지는 내부 하우징(10);An
상기 원통형 몸체(12)의 외측면에 끼워맞춤되고, 바닥면에 배출공(23)이 형성되는 외부 하우징(20);An outer housing (20) fit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12) and having a discharge hole (23)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수개의 유입공(31a)이 관통형성되는 플랜지(31)와 상기 플랜지(31) 하방에 연장형성되는 조절봉(32)으로 이루어지는 토출량 조절구(30), 상기 내부 하우징(10)의 상단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운동에너지를 상기 토출량 조절구(30)에 의해 압력에너지로 변환하며, 변환된 압력에너지의 크기에 의해 슬라이딩이동량이 가변되는 상기 조절봉(32)에 의해 상기 배출공(23)의 단면적 크기를 가변 조절하여 상기 배출공(23)을 통과하는 유량을 자동으로 조절시킴;A discharge
상기 원통형 몸체(12)의 내주연 상단에 형성되는 걸림턱(11)에 상기 토출량 조절구(30)의 플랜지(31)를 가압하여 밀착시킨 것을 초기상태로 탄성바이어스하는 스프링(40)(압축코일스프링이 사용됨);을 구비한다.A
상기 토출량 조절구(30)의 조절봉(32)은 구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도면중 미 설명부호 21은 내부 하우징(10)의 원통형 몸체(12)와 대응되는 결합공(22)이 형성되는 원통형 몸체이고, 31b 및 23a는 스프링(40)의 상하단이 각각 안착되는 스프링시트부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변기용 후레쉬 세척 절수기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use examples of a washing machine for washing a toilet bow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양변기용 후레쉬 세척 절수기(100)는, 조작레버(a)가 구비되는 공급밸브(b)와, 용변후 조작레버(a)의 조작에 의해 세척수를 양변기에 공급하는 토출관(c)의 이음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도 4에 도시됨). 또는 상기 양변기용 후레쉬 세척 절수기(100)는 벽면에 매설되는 급수관(e)과 공급밸브(b)를 이음연결하는 연결구(d)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용변후 상기 조작레버(a)를 조작시 개방되는 공급밸브(b)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에 의해 양변기를 세척하는 구성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내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1 to 4, the toilet flush washing water-saving
상기 내부 하우징(10)의 상단 개구부를 통해 수돗물이 유입될 경우, 수돗물은 토출량 조절구(30)의 유입공(31a)을 통과한 후 외부 하우징(20)의 배출공(23)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때 상기 내부 하우징(10)의 내경과 유입공(31a)(4개의 유입공이 형성됨)의 단면적 차이로 인해, 내부 하우징(10)에 유입된 수돗물의 통로가 좁혀지므로 유체의 운동에너지가 압력에너지로 변환된다. 즉 역압이 발생된다.When tap water flows in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또한, 상기 역압에 의해 상기 토출량 조절구(30)가 내부 하우징(10)의 출구쪽으로 밀리게 되므로, 토출량 조절구(30)의 조절봉(32)이 외부 하우징(20)의 배출공(23)의 일부분을 막아 배출공(23)을 통하여 배출되는 수돗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regulating
상기 역압은 수도관 내의 수압과 통과하는 유량의 크기와 비례하는 것으로, 수돗물이 토출량 조절구(30)의 유입공(31a)을 통과할 경우 발생되는 역압과, 상기 유입공(31a)을 통과한 후 외부 하우징(20)의 배출공(23)을 통과할 경우 발생되는 역압에 의해, 상기 내부 하우징(10) 내에서 토출량 조절구(30)의 이동량이 결정된다.The back pressure is proportional to the water pressure in the water pipe and the flow rate through which the tap water passes. The back pressure is generated when the tap water passes through the
따라서 수도관 내의 수압이 높은 경우, 상기 내부 하우징(10) 내에 수돗물이 유입될 경우 토출량 조절구(30)의 조절봉(32)의 이동량이 증대되므로 조절봉(32)에 의해 외부 하우징(20)의 배출공(23) 단면적을 축소하도록 조정하게 된다. 이로 인해 배출공(23)을 통과하는 유량은 줄어들게 된다.Therefore, when the tap water flows into the
반면에 수도관 내의 수압이 낮을 경우, 내부 하우징(10) 내에서 조절봉(32)의 이동량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므로 배출공(23)의 단면적을 상대적으로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배출공(23)을 통과하는 유량은 상대적으로 증가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ater pressure in the water pipe is low, the moving amount of the adjusting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변기용 후레쉬 세척 절수기에 의하면, 수도관 내의 수압이 낮고 및 토출량이 적은 수도기기에서는 상기 배출공(23)의 단면적을 크게 확보하고, 반면에 수압이 높고 및 토출량이 많은 수도기기에서는 배출공(23)의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작게 조정되므로, 수도관의 수압 및 토출량의 구분없이 모든 수도기기에서 양변기용 세척수의 토출량을 일정하게 토출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lush toilet water purifier for a toil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10; 내부 하우징
11; 걸림턱
12; 원통형 몸체
20; 외부 하우징
23; 배출공
30; 토출량 조절구
31; 플랜지
32; 조절봉
40; 스프링10; Inner housing
11; Jaw
12; Cylindrical body
20; Outer housing
23; Discharge hole
30; Discharge amount regulator
31; flange
32; Adjustable rod
40; spring
Claims (3)
상단의 걸림플랜지와 상기 걸림플랜지 하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는 원통형 몸체로 이루어지는 내부 하우징;
상기 원통형 몸체의 외측면에 끼워맞춤되고, 바닥면에 배출공이 형성되는 외부 하우징;
수개의 유입공이 관통형성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 하방에 연장형성되는 조절봉으로 이루어지는 토출량 조절구, 상기 토출량 조절구는 상기 내부 하우징의 상단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이동량이 조절되며, 상기 토출량 조절구의 조절봉이 상기 내부 하우징에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 크기에 대응되게 상기 배출공으로 이동되어 상기 배출공을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시킴;
상기 원통형 몸체의 내주연 상단에 형성되는 걸림턱에 상기 토출량 조절구의 플랜지를 가압하여 밀착시킨 것을 초기상태로 탄성바이어스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후레쉬 세척 절수기.CLAIMS What is claimed is: 1. A flush toilet water-saving toilet water tank,
An inner housing having an upper engagement flange and a cylindrical body extending below the engagement flange and having upper and lower ends opened;
An outer housing fit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and having a discharge hole formed on a bottom surface thereof;
A discharge amount regulating portion including a flange having a plurality of inflow holes formed therethrough and an adjusting rod extending downwardly of the flange, the discharge amount regulating portion being adjusted by a pressure of a fluid flowing through an upper opening of the inner housing, The control rod of the discharge amount control valve is moved to the discharge hol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magnitude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inner housing to adjust the flow rate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hole;
And a spring for elastically biasing the flange of the discharge amount regulating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flange of the discharge amount regulating memb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lange of the discharge amount regulating member formed in an inner peripheral upper end of the cylindrical body.
조작레버가 구비되는 공급밸브와, 용변후 상기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 세척수를 양변기에 공급하는 토출관의 이음부위에 설치되거나, 벽면에 매설되는 급수관과 상기 공급밸브를 이음연결하는 연결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후레쉬 세척 절수기.2. The toilet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A supply valve provided with an operation lever, and a water supply pipe provided at a joint portion of a discharge pipe for supplying the wash water to the toilet bowl by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after use, or a water supply pipe embedded in the wall and a connection port for connecting the supply valve Wherein the flushing water-saving water-saving flushing water-saving flushing water-saving flushing water-saving flushing wat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8758U KR200472733Y1 (en) | 2013-10-25 | 2013-10-25 | water saving device for fresh wash toilet sea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8758U KR200472733Y1 (en) | 2013-10-25 | 2013-10-25 | water saving device for fresh wash toilet sea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2733Y1 true KR200472733Y1 (en) | 2014-05-19 |
Family
ID=51490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8758U Expired - Lifetime KR200472733Y1 (en) | 2013-10-25 | 2013-10-25 | water saving device for fresh wash toilet sea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2733Y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88480A (en) * | 1992-04-13 | 1994-10-11 | Kozo Kimura | Flow regulating valve |
JPH08200519A (en) * | 1995-01-30 | 1996-08-06 | Nippon Avionics Co Ltd | Open / close valve |
KR100951928B1 (en) * | 2009-07-21 | 2010-04-09 | (주)피노 크리에이티브 | Sma water saving valve |
KR101172865B1 (en) * | 2010-03-29 | 2012-08-10 | (주)피노 크리에이티브 | Pop-Up Open-Type SMA Water Saving Valve |
-
2013
- 2013-10-25 KR KR2020130008758U patent/KR200472733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88480A (en) * | 1992-04-13 | 1994-10-11 | Kozo Kimura | Flow regulating valve |
JPH08200519A (en) * | 1995-01-30 | 1996-08-06 | Nippon Avionics Co Ltd | Open / close valve |
KR100951928B1 (en) * | 2009-07-21 | 2010-04-09 | (주)피노 크리에이티브 | Sma water saving valve |
KR101172865B1 (en) * | 2010-03-29 | 2012-08-10 | (주)피노 크리에이티브 | Pop-Up Open-Type SMA Water Saving Valv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85220B2 (en) | Automatic flow regulator valve | |
US20130061944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Water Conservation | |
WO2007140519A1 (en) | Fluid regulator | |
CA2625559A1 (en) | Shower having a water saving system | |
CN111779095B (en) | A sunken water tank flushing device | |
CN203583632U (en) | Anti-blocking siphonic toilet employing spray pipe for dredging | |
KR200472733Y1 (en) | water saving device for fresh wash toilet seat | |
KR200407765Y1 (en) | Tap water discharge automatic control device using water pressure | |
US20200024836A1 (en) | Automated device for saving shower water | |
US20180002908A1 (en) | Inflow fitting | |
KR102070294B1 (en) | Cooled water in hot water pipe reuse system utilizing water saving faucet having drain function | |
CN114075838A (en) | U-shaped air-isolating and water-draining equipment | |
US20070136939A1 (en) | Dual Flush System for Toilet | |
JP7444723B2 (en) | Flow control unit and flow control system | |
KR200418281Y1 (en) | Water supply for toilet tank with backflow prevention | |
KR102605014B1 (en) | a dispensing valve for the shower | |
CN213358808U (en) | Domestic water supply system | |
JP2000282537A (en) | Rear-mounted automatic cleaning valve device with constant flow valve | |
KR20190111524A (en) | Cooled water in hot water pipe reuse system utilizing water saving faucet having drain function | |
KR20110058766A (en) | Fresh valve device with automatic flushing for bidet and toilet | |
KR200398102Y1 (en) | A boiler having an water-saving type | |
KR101755188B1 (en) | Water surface adjustment device of toilet | |
CN201149124Y (en) | DC pulse solenoid valve | |
KR200219467Y1 (en) | the quantity of water control device of using water pressure | |
TWM540148U (en) | Smart water-saving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1025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11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5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40326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4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4051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40514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4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