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72436Y1 - 화장용 퍼프 - Google Patents

화장용 퍼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436Y1
KR200472436Y1 KR2020130001534U KR20130001534U KR200472436Y1 KR 200472436 Y1 KR200472436 Y1 KR 200472436Y1 KR 2020130001534 U KR2020130001534 U KR 2020130001534U KR 20130001534 U KR20130001534 U KR 20130001534U KR 200472436 Y1 KR200472436 Y1 KR 2004724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ff
cosmetic
center
liquid
guide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5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렬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엔피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엔피월드 filed Critical (주)에스엔피월드
Priority to KR20201300015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4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4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43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상의 화장 내용물이 퍼프 구조체의 외측으로 분출될때 조직 사이로 분출되지 않고 상부 측면 방향으로 분사되도록 구성하여 화장 내용물이 낭비되지 않음과 동시에 퍼프 표면으로 분사된 화장 내용물을 이용하여 화장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구조에 관한 것으로,
중앙에 끼움홀을 형성한 퍼프 구조체(10)와; 상기 퍼프 구조체의 하부면을 통해 결합되며 화장 용액을 출력하기 위한 관통부(21)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고정수단(20)과; 상기 퍼프 구조체의 중앙을 관통하면서 상기 고정수단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수단의 관통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장 내용물이 퍼프 구조체의 상부 표면 측면으로 흘러 나오도록 유도하는 화장액 토출부(30)로 이루어지고; 상기 화장액 토출부(30)는, 원형 또는 타원형 머리부(31)와, 머리부의 중심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부(32)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32)가 상기 액상 화장품용 퍼프 구조체(10)의 중앙을 관통하여 퍼프 고정수단(20)의 관통부(21)에 끼움 결합되게 설치하며, 머리부(31)의 저면에 가이드홈(31a)을 형성하여 고정수단(20)의 관통부(21) 및 화장액 토출부(30)의 몸체부(32)를 통해 올라오는 액상 화장용액이 가이드홈(31a)을 통해 흘러서 퍼프 구조체(10)의 상부 표면으로 토출되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화장용 퍼프{The Puff for make-up}
본 고안은 화장용 퍼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상의 화장 내용물이 퍼프 구조체의 외측으로 분출될때 조직 사이로 분출되지 않고 상부 측면 방향으로 분사되도록 구성하여 화장 내용물이 낭비되지 않음과 동시에 퍼프 표면으로 분사된 화장 내용물을 이용하여 화장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을 사용하여 얼굴을 비롯한 신체 부위를 화장할 때에는 손이나 브러시, 펜슬, 퍼프 등의 각종 화장도구를 이용하게 되며, 특히 화운데이션 등 액상의 화장품을 화장부위에 골고루 바를 때에는 퍼프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상기 퍼프는 화장품 케이스에 내장될 수 있도록 화장품 케이스와 대응되는 형상인 원판형이나 사각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면에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 삽입밴드가 마련되는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퍼프를 사용할 때에는 손가락 삽입밴드와 일측면 사이로 손가락을 끼워 넣어 퍼프를 지지한 후 화장품을 묻힌 타측면으로 화장할 신체부위를 적당한 타격력으로 두드리게 되면 퍼프에서 이탈되는 화장품이 신체 부위에 정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퍼프는 스펀지 또는 NBR 라텍스 등으로 제조되는 것으로서, 액상화장품용 퍼프의 배출통로와, 퍼프를 지지하는 퍼프 지지대는 액상화장품용 배출통로가 직접 연결되어 있어서 액상화장품이 들어있는 용기에 설치된 펌프를 작동시켰을 때 퍼프 지지대의 통로를 통해서 퍼프로 직접 배출되었다.
상기 퍼프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실용신안등록 제 20-0451704는 액상 화장품용 퍼프와 퍼프 지지대의 액상 화장품 배출구조가 제안되어 있는바, 그 기술을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액상화장품용 퍼프와 퍼프지지대의 액상화장품 배출구조는 액상화장품을 신체에 바르는 퍼프(10)와, 상기 퍼프(10)를 일측에 지지하고 타측에 액상화장품이 담긴 용기(도시되지 않음)와 결합되는 퍼프지지대(20)로 구성된다.
퍼프지지대(20)는 액상화장품이 담긴 용기의 펌핑 파이프에 결합되어 용기에 설치된 펌프의 펌핑 작동에 의해 용기 내에 담긴 액상화장품을 퍼프(1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퍼프(10)는 액상화장품을 배출하도록 전면에 째진구멍(13)(slit)이 형성되고, 이 째진구멍(13)은 퍼프지지대(20)와 결합하도록 후방에 형성한 결합홈(12)과 퍼프통로(11)에 의해 연통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액상 화장품용 퍼프는 째진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째진구멍을 통해 용기 내부의 액이 분출되도록 제작되는바, 퍼프 내부로 액이 스며들어 퍼프의 외측으로 분출되는 화장액이 적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아울러 액상이 퍼프 내에서 굳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즉, 현재까지의 액상 화장품을 분출하는 퍼프는 째진 구멍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째진 구멍을 통해 화장액이 출력되도록 하기 때문에 째진 구멍 외부로 화장액이 출력됨과 동시에 째진구멍 내에서 퍼프 구조체의 측면으로 화장액이 분출될 수 밖에 없는 구조이며, 따라서 화장액이 퍼프 구조체로 뭉쳐지는 현상을 막을 수 없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퍼프 구조체의 상부 외측면으로 화장 내용물이 흘러 나올 수 있도록 저면에 가이드홈을 형성한 화장액 토출부를 삽입 설치함으로서, 화장 내용물의 손실을 없애고 퍼프 구조체의 상부로 흘러나온 화장 내용물로 용이하게 화장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중앙에 끼움홀을 형성한 퍼프 구조체(10)와; 상기 퍼프 구조체의 하부면을 통해 결합되며 화장 용액을 출력하기 위한 관통부(21)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고정수단(20)과; 상기 퍼프 구조체의 중앙을 관통하면서 상기 고정수단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수단의 관통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장 내용물이 퍼프 구조체의 상부 표면 측면으로 흘러 나오도록 유도하는 화장액 토출부(30)로 이루어지고; 상기 화장액 토출부(30)는, 원형 또는 타원형 머리부(31)와, 머리부의 중심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부(32)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32)가 상기 액상 화장품용 퍼프 구조체(10)의 중앙을 관통하여 퍼프 고정수단(20)의 관통부(21)에 끼움 결합되게 설치하며, 머리부(31)의 저면에 가이드홈(31a)을 형성하여 고정수단(20)의 관통부(21) 및 화장액 토출부(30)의 몸체부(32)를 통해 올라오는 액상 화장용액이 가이드홈(31a)을 통해 흘러서 퍼프 구조체(10)의 상부 표면으로 토출되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퍼프 구조체(10)는, NBR(Nitrile Butadiene Rubber) 퍼프, SBR(Styrene Butadiene Rubber) 퍼프, 천연고무(Natural Rubber) 퍼프, 플로킹(Flocking, Polyurethane Flocked Foam) 퍼프, 루비셀(Rubycell, 습식 우레탄)퍼프, 면 벨루어(Cotton Velour) 퍼프, PVA(Poly vinyl Alcohol) 퍼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화장액 토출부(30)의 몸체부(32)는, 하부에 테이퍼면(32a)을 형성하고, 수직 양측면을 절개한 상태에서 내측에 토출홀(32b)을 형성하며, 상기 토출홀(32b)은 머리부(31)의 가이드홈(31a)에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화장액 토출부(30)의 몸체부(32)는, 중앙에 수직한 토출홀이 형성되는 원통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토출홀(32b)이 머리부(31)의 가이드홈(31a)에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퍼프 구조체의 상부 외측면으로 화장 내용물이 흘러 나올 수 있도록 저면에 가이드홈을 형성한 화장액 토출부를 삽입 설치함으로서, 화장 내용물의 손실을 없애고 퍼프 구조체의 상부로 흘러나온 화장 내용물로 용이하게 화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퍼프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퍼프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 제 1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 결합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 제 2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 결합 부분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 제 1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 결합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 제 2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 결합 부분 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의 구성을 살펴보면, 액상 화장품용 퍼프 구조체(10)와, 상기 퍼프 구조체의 내측에 결합되며 퍼프 구조체를 지지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20)과, 상기 퍼프 구조체의 중앙을 관통하면서 고정수단에 고정되는 화장액 토출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퍼프 구조체(10)는 NBR(Nitrile Butadiene Rubber) 퍼프, SBR(Styrene Butadiene Rubber) 퍼프, 천연고무(Natural Rubber) 퍼프, 플로킹(Flocking, Polyurethane Flocked Foam) 퍼프, 루비셀(Rubycell, 습식 우레탄)퍼프, 면 벨루어(Cotton Velour) 퍼프, PVA(Poly vinyl Alcohol) 퍼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중앙에 끼움홀(11)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수단(20)은 중앙에 관통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부(21)를 통해 화장용기에 담긴 화장용액이 출력된다.
상기 화장액 토출부(30)는 원형 또는 타원형 머리부(31)와 머리부의 중심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부(32)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32)가 상기 액상 화장품용 퍼프 구조체(10)의 중앙을 관통하여 퍼프 고정수단(20)의 관통부(21)에 끼움 결합되게 설치하며, 머리부(31)의 저면에 가이드홈(31a)을 형성하여 고정수단(20)의 관통부(21) 및 화장액 토출부(30)의 몸체부(32)를 통해 올라오는 액상 화장용액이 가이드홈(31a)을 통해 흘러서 퍼프 구조체(10)의 상부 표면으로 토출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몸체부(32)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바, 제 1 실시예에서는 몸체부(32)의 하부에 테이퍼면(32a)을 형성하고, 수직 양측면을 절개한 상태에서 내측에 토출홀(32b)을 형성하며, 상기 토출홀(32b)은 머리부(31)의 가이드홈(31a)에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32)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원통형으로 구성하여 중앙에 수직한 토출홀(32b)을 형성하고, 상기 토출홀(32b)이 머리부(31)의 가이드홈(31a)에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퍼프 구조체 어셈블리를 조립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은 액상 화장품용 퍼프 구조체(10)와, 고정수단(20) 및 화장액 토출부(3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액상 화장품용 퍼프 구조체(10)의 하단부에 고정수단(20)을 끼워 넣어서 퍼프 구조체(10)가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화장액 토출부(30)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퍼프 구조체(10)의 끼움홀(11)을 통해 몸체부(31)를 끼우고 손으로 눌러서 고정수단(20)의 관통부(21)에 끼움 결합시킨다.
그러면, 관통부(21)에 화장액 토출부(30)의 몸체부(31)가 삽입되면서 화장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화장액 토출부(30)의 구성중 제 1 실시예 구성을 이용하여 전체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화장액 토출부(30)의 제 1 실시예는 몸체부(32)의 하부에 테이퍼면(32a)을 형성하고, 양측면을 절개하여 토출홀(32b)을 형성하며, 상기 토출홀(32b)은 머리부(31)의 가이드홈(31a)에 연결되도록 구성하는바, 화장용기에서 출력되는 화장 내용물이 고정수단(20)의 관통부(21)를 통해 올라오게 되면 테이퍼면(32a)의 토출홀(32b)을 통해 진입하게 된다.
그리고, 테이퍼면(32a)의 토출홀(32b)을 통해 진입한 화장 내용물은 테이퍼면 상부에 존재하는 토출홀(32b) 중심을 통해 쭉 올라오게 되고, 이후 화장액 토출부(30)의 머리부(31)에 직면하게 된다.
이때, 화장액 토출부(30)의 머리부(31) 저면에는 가이드홈(31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토출홀(32b)을 통해 올라온 화장 내용물은 가이드홈(31a) 방향을 따라 측면으로 이동하게 되며, 가이드홈(31a)이 끝나는 지점에서 퍼프 구조체(30)의 상부 표면으로 출력되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퍼프 구조체(30)의 상부 표면에 흘러나온 화장 내용물을 이용하여 얼굴 화장을 하면 된다.
본 고안의 화장액 토출부의 구성중 제 2 실시예 구성을 이용하여 전체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화장액 토출부 제 2 실시예는 화장액 토출부(30)의 몸체부(32)를 구성시에 원통형으로 구성하여 중앙에 수직한 토출홀(32b)을 형성하고, 상기 토출홀(32b)이 머리부(31)의 가이드홈(31a)에 연결되도록 구성하였는바, 화장 용기에서 출력되는 화장 내용물이 고정수단(20)의 관통부(21)를 통해 출력되고, 상기 관통부(21)는 화장액 토출부(30)의 몸체부(32)를 끼움 결합시킨 상태이므로 관통부(21)를 통해 출력되는 화장 내용물은 몸체부(32)의 중앙에 형성된 토출홀(32b)을 통해 올라온다.
그리고, 상기 토출홀(32b)을 통해 올라온 화장 내용물은 머리부(31)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홈(31a)을 따라 측면으로 흐르게 되고, 머리부(31)의 가이드홈(31a)을 따라 흐르는 화장 내용물은 퍼프 구조체(10)의 상부 표면으로 흘러나오게 되며, 사용자는 상기 퍼프 구조체(10)를 이용하여 화장을 하면 된다.
결국, 본 고안은 액상 화장 내용물을 퍼프 구조체의 상부 외측으로만 유도하게 되어 얼굴 화장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퍼프 구조체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10: 액상 화장품용 퍼프 구조체
20: 고정수단
21: 관통부
30: 화장액 토출부
31: 머리부
31a: 가이드홈
32: 몸체부
32a: 테이퍼면
32b: 토출홀

Claims (4)

  1. 중앙에 끼움홀을 형성한 퍼프 구조체(10)와;
    상기 퍼프 구조체의 하부면을 통해 결합되며 화장 용액을 출력하기 위한 관통부(21)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고정수단(20)과;
    상기 퍼프 구조체의 중앙을 관통하면서 상기 고정수단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수단의 관통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장 내용물이 퍼프 구조체의 상부 표면 측면으로 흘러 나오도록 유도하는 화장액 토출부(30)로 이루어지고;
    상기 화장액 토출부(30)는,
    원형 또는 타원형 머리부(31)와, 머리부의 중심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부(32)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32)가 상기 액상 화장품용 퍼프 구조체(10)의 중앙을 관통하여 퍼프 고정수단(20)의 관통부(21)에 끼움 결합되게 설치하며, 머리부(31)의 저면에 가이드홈(31a)을 형성하여 고정수단(20)의 관통부(21) 및 화장액 토출부(30)의 몸체부(32)를 통해 올라오는 액상 화장용액이 가이드홈(31a)을 통해 흘러서 퍼프 구조체(10)의 상부 표면으로 토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 구조체(10)는,
    NBR(Nitrile Butadiene Rubber) 퍼프, SBR(Styrene Butadiene Rubber) 퍼프, 천연고무(Natural Rubber) 퍼프, 플로킹(Flocking, Polyurethane Flocked Foam) 퍼프, 루비셀(Rubycell, 습식 우레탄)퍼프, 면 벨루어(Cotton Velour) 퍼프, PVA(Poly vinyl Alcohol) 퍼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액 토출부(30)의 몸체부(32)는,
    하부에 테이퍼면(32a)을 형성하고, 수직 양측면을 절개한 상태에서 내측에 토출홀(32b)을 형성하며, 상기 토출홀(32b)은 머리부(31)의 가이드홈(31a)에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액 토출부(30)의 몸체부(32)는,
    중앙에 수직한 토출홀이 형성되는 원통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토출홀(32b)이 머리부(31)의 가이드홈(31a)에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KR2020130001534U 2013-02-27 2013-02-27 화장용 퍼프 Expired - Lifetime KR2004724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534U KR200472436Y1 (ko) 2013-02-27 2013-02-27 화장용 퍼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534U KR200472436Y1 (ko) 2013-02-27 2013-02-27 화장용 퍼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436Y1 true KR200472436Y1 (ko) 2014-04-28

Family

ID=51489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534U Expired - Lifetime KR200472436Y1 (ko) 2013-02-27 2013-02-27 화장용 퍼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43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05045A1 (ko) * 2015-12-14 2017-06-22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멤브레인 필름을 이용한 화장용 퍼프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용 퍼프
KR20190000818U (ko) * 2017-09-22 2019-04-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함침재의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0354A (ja) 2000-06-26 2002-01-08 Ikeda Bussan Kk 塗布具
KR100843642B1 (ko) 2006-09-14 2008-07-03 김샘 용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퍼프를 구비한 화장품용기
KR20100010824A (ko) * 2008-07-23 2010-02-02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퍼프가 구비된 액상화장용 디스펜스
KR101116842B1 (ko) 2011-11-09 2012-03-06 신기봉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0354A (ja) 2000-06-26 2002-01-08 Ikeda Bussan Kk 塗布具
KR100843642B1 (ko) 2006-09-14 2008-07-03 김샘 용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퍼프를 구비한 화장품용기
KR20100010824A (ko) * 2008-07-23 2010-02-02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퍼프가 구비된 액상화장용 디스펜스
KR101116842B1 (ko) 2011-11-09 2012-03-06 신기봉 화장품 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05045A1 (ko) * 2015-12-14 2017-06-22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멤브레인 필름을 이용한 화장용 퍼프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용 퍼프
US10709225B2 (en) 2015-12-14 2020-07-14 Cosmecca Korea Co., Ltd. Method for producing cosmetic puff using membrane film, and cosmetic puff producing using same
KR20190000818U (ko) * 2017-09-22 2019-04-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함침재의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KR200494457Y1 (ko) 2017-09-22 2021-10-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함침재의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0963B2 (en) Cap for scalp care container capable of applying liquid
USD742588S1 (en) Cosmetic case
JP6277561B2 (ja) クリームタイプ真空化粧品容器
US20120266907A1 (en) Structure of eyeliner applicator
EP3571954B1 (en) Head structure of applicator
KR200497647Y1 (ko) 피부관리기구
WO2004087036A3 (en) An applicator
KR20140000942U (ko) 진동을 이용한 화장용구
KR200472436Y1 (ko) 화장용 퍼프
JP3222595U (ja) 液溜め機能を有する液体アイライナー
US6572301B1 (en) Soap dispensing toy
KR101392980B1 (ko) 퍼프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내용물 토출장치
JP3168986U (ja) アイライナー
KR200461267Y1 (ko) 마사지판을 구비한 진동파운데이션
KR200473936Y1 (ko) 화장 내용물 토출구조를 갖는 액상 도포장치
KR200471713Y1 (ko) 화장용 퍼프 구조
KR200467750Y1 (ko) 액상화장품용 퍼프
KR20160066915A (ko) 패티큐어용 매니큐어 브러쉬
KR101023410B1 (ko) 보관이 용이한 핀 타입의 리퀴드 파운데이션용 퍼프
KR20120002277U (ko) 화장브러쉬를 포함한 튜브용기의 배출장치
WO2020238469A1 (zh) 一种美容微针防水结构
CN206808895U (zh) 液态化妆笔结构
CN205651847U (zh) 档案袋封口用胶水涂抹器
CN203505865U (zh) 一种带有振动按摩器的化妆品容器
CN205197331U (zh) 一种化妆用的粉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022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1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4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4042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3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