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391Y1 - Mechanical ginseng seeding plan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Mechanical ginseng seeding plant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2391Y1 KR200472391Y1 KR2020120005054U KR20120005054U KR200472391Y1 KR 200472391 Y1 KR200472391 Y1 KR 200472391Y1 KR 2020120005054 U KR2020120005054 U KR 2020120005054U KR 20120005054 U KR20120005054 U KR 20120005054U KR 200472391 Y1 KR200472391 Y1 KR 20047239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planting
- seedlings
- base frame
- power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08340 Araliaceae Species 0.000 title description 7
- 235000005035 Panax pseudoginseng ssp. pseudoginseng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7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7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7
- 238000010899 nucleation Methods 0.000 title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311547 Pati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31 s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054 transpla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5 wor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4—Transplanting machines for deeper setting or shifting of plan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6—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drills or furrows for sowing or planting
- A01C5/062—Devices for making drills or furrow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묘포에서 키운 묘삼을 삼포에 이식할 때 수행하는 작조 작업과 식부 작업 및 복토 작업을 순차적으로 연속하여 자동 수행하는 기구식 묘삼식부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따른 본 고안은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묘삼을 경사진 바닥에 경사지게 이식하는 식부유닛; 상기 식부유닛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묘삼의 이식이 끝남과 동시에 두둑의 흙을 파서 묘삼을 이식하는 구덩이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만드는 작조유닛;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작조유닛의 동작이 끝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일정거리 주행시키도록 하는 주행유닛을 포함하는 기구식 묘삼식부장치에 관한 것이다. Provided is a mechanical seedling plant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nd successively carrying out construction work and planting work and cover work work when transplanting seedlings grown in seedlings into samp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base frame planting unit for receiving the power from the power unit to transplant the seedlings inclined to the inclined floor; A construction unit installed on the base frame so as to be located in front of the planting unit, and at the same time as the end of transplanting the seedlings, the construction unit makes the pit for transplanting the seedlings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by digging the soil of the seedlings; And a traveling unit installed on the base frame to allow the base frame to travel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s soon as the operation of the construction unit is finished.
Description
본 고안은 묘삼식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묘포에서 키운 묘삼을 삼포에 이식할 수 때 수행되는 작조(作條)작업과 식부(植付)작업이 순차적으로 자동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기구식 묘삼식부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edling plan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a mechanism for sequentially performing the planting work and planting work performed when transplanting seedlings grown in seedlings into sampo It is related with a seedling planting apparatus.
일반적으로 인삼 재배는 인삼 종자를 파종 후 일 년 남짓 자란 어린 인삼(이하, "묘삼"이라고 한다)을 식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인삼은 부가가치가 높은 농산물로서 근래에 인삼 재배를 전업하는 농가가 늘어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인삼 재배에 따른 많은 인력이 필요한 시점으로서 그에 따라 기계 식재가 요구되지만, 여전히 묘삼 식재는 인력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즉, 아직도 사람이 직접 흙을 파서 묘삼을 식재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농촌 노동력의 고령화로 작업이 힘들 뿐만 아니라 인력 수급에도 한계가 있어 적기에 묘삼을 식재하는데 여러 가지로 어려움이 있다.In general, ginseng cultivation is achieved by planting young ginse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myoengsam") that has been grown for about a year after sowing seed. Ginseng is a high value-added agricultural product, and it is true that the number of farmers who specialize in ginseng cultivation is increasing recently. Therefore, a lot of manpower for ginseng cultivation is required, and mechanical planting is required accordingly, but still the seedling planting is forced to rely on manpower. In other words, people are still digging soil and planting seedlings. In addition, there is a variety of difficulties in planting seedlings in a timely manner due to the aging of the rural labor force and the difficulty in supplying and supplying manpower.
또한, 묘삼 식재에 있어서, 통상 45도 정도 기울게 심어 토양 성분의 흡수와 뿌리의 성장을 원활하게 하지만, 인력에 의존해 수작업으로 한 뿌리씩 흙의 기울림에 의해 각도가 불규칙하게 정해지고, 또한 간격이 일정치 않을 뿐더러 최종 흙으로 묻을 때 손작업으로 인한 발뿌리의 묻힘 상태가 불안정해 짐으로써, 이에 각각의 묻힘 상태가 이후 성장에 많은 장애를 주어 인삼의 상품가치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seedling planting, it is normally inclined about 45 degrees to facilitate absorption of soil components and growth of roots, but the angle is irregularly determined by tilting the soil by hand one by one depending on the attraction force. Not only is it unstable, but the buried state of the foot roots due to the hand work when it is burying in the final soil is unstable, so that each buried state causes a lot of obstacles to the subsequent growth, the product value of ginseng falls.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묘포에서 키운 묘삼을 삼포에 이식할 때 수행하는 작조 작업과 식부 작업 및 복토 작업을 순차적으로 연속하여 자동 수행하는 기구식 묘삼식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chanical seedling planting apparatus that automatically performs a continuous operation and a planting work and a cover work work carried out when transplanting the seedlings grown in the nursery to the sampo.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구식 묘삼식부장치는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묘삼을 경사진 바닥에 경사지게 이식하는 식부유닛과, 상기 식부유닛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묘삼의 이식이 끝남과 동시에 두둑의 흙을 파서 묘삼을 이식하는 구덩이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만드는 작조유닛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작조유닛의 동작이 끝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일정거리 주행시키도록 하는 주행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Mechanical seedling pla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nting unit is installed in the base frame to receive the power from the power unit to transplant the seedlings inclined to the inclined floor, and the base frame to be located in front of the planting unit Installed in the base unit and the base frame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pit the seedlings to dig the soil of the seedlings at the same time the transplanting of the seedlings is installed in the base frame at the same time the operation of the It may include a driving unit to run a certain distance.
상기 식부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복수개의 호퍼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묘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의 직 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부로부터 묘삼을 공급받고 상기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동하여 묘삼을 이식한 후 다시 제자리로 상승하는 식부부와, 상기 동력부의 동력이 상기 식부부로 전달되도록 하는 제1 클러치 및 상기 제1 클러치를 동작시켜 상기 식부부로 동력을 전달하여 가동될 수 있도록 하는 식부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식부부는 동력 전달 수단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크랭크 축과, 상기 크랭크 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샤프트에 복수개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크랭크 축의 직선운동에 따라 구덩이 방향으로 회전하여 묘삼을 상기 구덩이에 이식하는 집게부 및 상기 샤프트를 구속하여 묘삼 이식 시 상기 집게부의 회전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크랭크 축이 원상복귀됨에 따라 상기 집게부를 원상복원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부부의 회동각도는 133 ~ 137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게부는 회전시 동력을 전달받아 집게가 벌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 유닛은 상기 샤프트에 설치되어 상기 식부부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스토퍼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식부부가 상승 시 수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식부부를 구속하는 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lanting un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pper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frame to b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to supply the seedlings, and installed directly below the supply part is supplied with seedlings from the supply and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unit After receiving and rotating to transplant the seedlings, the planting part to rise back to the seat, the power of the power unit to operate the first clutch and the first clutch to transfer the power to the planting portion to transfer power to the planting portion It may include a planting lever to enable operation. For example, the planting part is installed so tha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the crank shaft that can conver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into a linear motion, and a plurality of shaft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rank shaft in accordance with the linear motion of the crank shaft A stopper unit that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pit and restrains the forceps to transplant the seedlings into the pit and the shaft to adjust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forceps when transplanting the seedlings and restore the forceps to the original position as the crank shaft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It may include. At this time, the rotation angle of the planting portion is preferably 133 ~ 137 degrees. In addition, the tongs may be received when the power is rotated to open the tongs. In addition, the stopper unit is installed on the shaft and the first stopper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planting portion and the base frame is installed to restrain the planting portion so that the planting portion can be fixed vertically when raised It may include two stoppers.
한편, 상기 작조유닛은 상기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식부유닛 방면의 끝단부 양측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는 굴삭부와, 상기 굴삭부의 고정 단부의 반대측 단부와 연결되며 굴삭부의 일측을 승하강 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식부유닛의 동작이 완료됨과 동시에 상기 승강부로 동력을 전달해주는 제2 클러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굴삭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는 주축과, 상기 승강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지축과, 상기 주축과 지축과 연결되어 지지해주는 좌우 지지대와, 상기 주축과 지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체인기어 및 상기 체인기어에 복수개의 라인으로 설치되어 체인기어가 회전하면서 흙을 팔 수 있도록 하는 굴삭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엔진 축 일단이 축 결합되는 구동링크와, 상단은 상기 구동링크의 타단에 연동축으로 축 결합하는 가동링크와, 중간부에 상기 가동링크의 하단이 축 결합 고정되는 가동로드 및 상단은 상기 로드의 양단부에 각각 축 결합 고정하고 하단은 지축의 양단부에 각각 축 결합하는 한 쌍의 연동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상기 굴삭부의 선단부의 주축을 축으로 43~45도의 각도로 하강시켜 두둑의 경사가 43~45도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unit is rotated by receiving the power from the engine and the excavating portion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end of the planting unit to be rotatable to the base frame, and connected to the opposite end of the fixed end of the excavating portion excavated It may include a lifting unit for raising and lowering one side of the unit, and a second clutch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lifting unit at the same time the operation of the planting unit is completed. For example, the excavating portion is a main shaft that is rotatably fixed to the base frame, the support shaf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ifting unit, the left and right support that is connected to the support and the main shaft and the support shaft, the main shaft and the support shaft It may include a chain gear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hain gear and an excavation plat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lines on the chain gear to sell the soil while the chain gear rotates. In addition, the elevating part is a drive link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shaft of the engine shaft, the upper end is a movable link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drive link in the interlocking shaft, and the movable rod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movable link shaft in the middle portion And the upper end may include a pair of interlocking link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rod and the lower end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upport shaft,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elevating portion is preferably lowered at an angle of 43 ~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main axis of the tip of the excavation portion so that the inclination of the head can achieve 43 ~ 45 degrees.
한편, 상기 주행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이동시키도록 하는 주행용 궤도와, 상기 작조유닛의 동작이 완료됨과 동시에 상기 주행용 궤도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주행용 궤도가 일정량 회전하도록 하는 제3 클러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주행용 궤도는 상기 식부유닛 전방에 설치되는 제1 궤도 및 상기 식부유닛 후방에 설치되는 제2 궤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궤도와 제2 궤도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행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 측면부에 설치되어 두둑의 하면에서 이동하도록 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휠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riving unit is installed on the base frame and the driving track to move the base frame, and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is completed and at the same time transmits power to the driving track to rotate the driving track by a certain amount It may include a third clutch to make. For example, the driving track includes a first track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planting unit and a second track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planting unit,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track and the second track is connected to the base fram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dr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moving wheels installed at both side portions of the base frame to mov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본 고안에 따르면, 묘포에서 키운 묘삼을 삼포에 이식할 때 두둑을 경사지게 파는 작업과 동시에 묘삼을 식부하는 작업이 동식에 이루어짐으로써 묘삼식부시간이 짧아져 일정시간 안에 많은 묘삼을 식부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공급부를 통하여 묘삼을 공급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효율적인 작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ransplanting seedlings grown from seedlings to sampo, the seedlings are shortened at the same time as the seedlings are planted at the same time, and the seedlings planting time is shortened, so that many seedlings can be planted within a certain time. Since only needs to supply the seedlings through the supply can be obtained an efficient working effect.
또한, 식부유닛이 135도 회전하면서 묘삼을 식부하기 때문에 묘삼을 공급할 때 묘삼의 머리부분이 아래를 향하도록 공급할 수 있어 공급부를 통한 묘삼 공급이 용이한 이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묘삼 식부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lanting unit rotates 135 degrees, seedlings are planted so that the head of the seedlings can be fed downward when supplying the seedlings, so that the seedlings can be easily supplied through the feeder, thereby reducing the seedling planting time. You can get the same effect.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구식 묘삼식부장치의 동력 전달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구식 묘삼식부장치의 식부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구식 묘삼식부장치의 식부유닛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구식 묘삼식부장치의 작조유닛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구식 묘삼식부장치의 작조유닛이 하강했을 때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구식 묘삼식부장치의 작조유닛이 상승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구식 묘삼식부장치의 주행유닛 설치위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1 shows a power transmission process of the mechanical seedlings pla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plan view showing a planting unit of the mechanical seedlings pla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lanting unit of the mechanical seedlings pla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unit of the mechanical seedlings pla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side view showing when the construction unit of the mechanical seedling pla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wered.
Figure 3c is a side view showing that the construction unit of the mechanical seedlings pla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aised.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traveling unit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mechanical seedlings pla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claim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ing" or "having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도 1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1 to 4,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구식 묘삼식부장치는, 식부유닛(100), 작조유닛(200), 주행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1 to 4, the mechanical seedling pla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상기 식부유닛(100)은 엔진(10a)의 동력에 의하여 묘삼을 경사지게 파여진 두둑에 묘삼을 식부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식부유닛(100)은 공급부(110)에 의해 묘삼을 머리쪽부터 공급하여 식부부(120)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식부부(120)가 135도 회전하여 묘삼을 이식함으로써 묘삼이 이식될 때에는 머리쪽이 위로 올라오도록 이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상기 작조유닛(200)은 엔진(10)의 동력을 회전하는 굴삭부(210)를 승강부(220)를 통하여 상기 굴삭부(210)의 일 측을 하강시켜 두둑을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파내는 기능을 한다. 상기 작조유닛(200)은 상기 식부유닛(100)이 동작한 후에 제2 클러치(230)에 의하여 승강부(220)가 엔진(10a)의 동력과 연결되어 동작한다. 상기와 같이 동작을 시작하면 두둑을 파내는 동안 발생하는 흙이 묘삼이 이식되어 있는 곳을 자연스럽게 덮어주어 이식을 완료할 수 있게 한다. The
상기 주행유닛(300)은 상기 작조유닛(200)에 의한 작조작업이 끝난 후 다음 묘삼의 이식 및 작조작업을 위해 베이스 프레임(10b)을 일정거리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주행유닛(200)은 상기 작조유닛(200)이 동작이 완료되면서 제3 클러치(330)를 작동시켜 엔진(10a)과 일정시간동안 연결함으로써 동력을 전달받아 베이스 프레임(10b)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주행유닛(300)은 제3 클러치(330)의 동력연결 시간에 따라 이동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The traveling unit 300 functions to move the
다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기구식 묘삼식부장치의 주요 구성요소들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Agai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components of the mechanical seedling pla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식부유닛(100)은 공급부(110), 식부부(120), 제1 클러치(130), 식부레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First, the
상기 공급부(110)는 베이스 프레임(10b)의 양측 프레임 후측부에 직립설치한 지주들의 상단부에 고정하여 가로지르게 설치한 가로대(112)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묘삼을 수용하는 복수개의 호퍼(11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호퍼(111)는 상단이 넓고 하단이 좁은 형태의 사각뿔대 형상을 할 수 있다. 이는 묘삼을 공급할 때 넓은 입구로 묘삼을 쉽게 공급할 수 있고, 묘삼이 하단으로 배출되어 상기 식부부(120)에 안착될 때 목표하는 곳에 정확하게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The supply unit 110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posts installed upright on both sides of the rear frame of the base frame (10b)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cross the
상기 식부부(120)는 크랭크축(121), 집게부(122), 스토퍼 유닛(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랭크축(121)은 동력 전달 수단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킨다. 예를들면, 상기 크랭크축(121)은 동력이 전달되는 회전축(121a)과 캠(121b)을 통하여 편심 연결되어 회전축이 회전할 때 캠이 회전하면서 편심 연결된 크랭크축(121)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꿀 수 있다. 한편, 상기 집게부(122)는 상기 크랭크축(121)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샤프트(122a)에 복수개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크랭크축(121)의 직선운동에 따라 구덩이 방향으로 회전하여 묘삼을 상기 구덩이에 이식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 유닛(123)은 상기 샤프트(122a)를 구속하여 묘삼 이식 시 상기 집게부(122)의 회전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크랭크축(121)이 원상복귀됨에 따라 상기 집게부(122)를 원상복원 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를들면, 상기 스토퍼 유닛(123)은 상기 샤프트(122a)에 설치되어 상기 식부부(120)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스토퍼(123a)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10b)에 설치되어 상기 식부부(120)가 상승 시 수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식부부(120)를 구속하는 하는 제2 스토퍼(12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클러치(130)는 상기 식부레버(140)과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식부레버(140)를 작동시키면 상기 식부부(120)에 동력을 전달시켜줄 수 있도록 한다. The planting part 120 may include a
다음으로, 작조유닛(200)은 굴삭부(210), 승강부(220), 제2 클러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굴삭부(21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b)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는 주축(211)과, 상기 승강부(220)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지축(212)과, 상기 주축(211)과 지축(212)과 연결되어 지지해주는 좌우 지지대(213)와, 상기 주축(211)과 지축(212)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체인기어(214) 및 상기 체인기어(214)에 복수개의 라인으로 설치되어 상기 체인기어(214)가 회전하면서 흙을 팔 수 있도록 하는 굴삭판(2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220)는 상기 엔진 축 일단이 축 결합되는 구동링크(221)와, 상단은 상기 구동링크(221)의 타단에 연동축으로 축 결합하는 가동링크(222)와, 중간부에 상기 가동링크(222)의 하단이 축 결합 고정되는 가동로드(223) 및 상단은 상기 가동로드(223)의 양단부에 각각 축 결합 고정하고 하단은 지축(212)의 양단부에 각각 축 결합하는 한 쌍의 연동링크(2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클러치(230)는 상기 식부부(120)가 회전한 후 원래 자리로 상승될 때 동작된다. 상기 제2 클러치(230)가 동력과 연결되면 상기 승강부(220)에 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굴삭부(210)가 상기 승강부(220)에 의해 하강되어 굴삭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Next, the
다음으로, 주행유닛(300)은 주행용 궤도(310), 제3 클러치(3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주행용 궤도(31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이동시키도록 한다. 상기 제3 클러치(330)는 상기 작조유닛(200)의 동작이 완료됨과 동시에 엔진과 연결되어 상기 주행용 궤도(310)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주행용 궤도(3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3 클러치(330)는 일정시간동안만 엔진과 연결되도록 하여 일정량만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베이스 프레임()을 소정의 거리만큼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상기 주행용 궤도(330)는 상기 식부유닛 전방에 설치되는 제1 궤도(311) 및 상기 식부유닛 후방에 설치되는 제2 궤도(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궤도(311)와 제2 궤도(312)는 적어도 하나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궤도(312)는 묘삼의 이식작업이 끝나고 상기 작조유닛(200)에 의해 흙이 덮어진 곳을 단단하게 다져주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묘삼의 이식을 마무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 측면부에 설치되어 두둑의 하면에서 이동하도록 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휠(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휠(320)은 두둑의 바깥쪽에 위치됨으로써 두둑이 아닌 아래쪽의 바닥면과 접촉하여 이동중에 베이스 프레임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묘삼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Next, the driving unit 300 may include a driving
다시, 도 1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기구식 묘삼식부장치의 작동과정과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Again, with reference to Figures 1 to 4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mechanical seedling pla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기구식 묘삼식부장치의 엔진에 시동을 걸면 엔진(10)이 회전하면서 상기 엔진(10)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있는 작조유닛(200)의 굴삭부(210)가 회전하게 된다. 이후, 식부유닛(100)의 공급부(110)에 묘삼을 머리가 아래쪽으로 내려가도록 거꾸로 공급한 후 식부레버(140)를 작동시킨다. 상기 공급부(110)에 묘삼의 머리가 아래로 향하게 거꾸로 투입하는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식부부(120)가 상기 공급부(110)로부터 상기 묘삼을 공급받아 바닥이 후방을 향해 43-47도의 각도로 경사지게 만들어진 구덩이에 이식하기 위해서는 상부에서 수직으로 낙하하여 공급된 상기 묘삼을 잡은 다음 133-137도의 각도로 정 회전시켜 뿌리가 하향하게 함과 동시에 43-47도의 각도로 경사지게 하강시켜야 상기 구덩이에 정상적으로 이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식부레버(140)가 작동되면 제1 클러치(130)에 의해 동력이 식부부(120)의 회전축으로 전달되게 되고, 상기 회전축(121a)과 캠(121b)을 통하여 편심 연결되어 있는 크랭크축(121)이 직선운동 함으로써 집게부(122)를 밀어 135도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회전된 집게부(122)는 경사지게 파져 있는 두둑에 묘삼을 식부한 후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복귀를 마친 식부부(120)는 제1 클러치(130)에 의해 동력이 차단되게 되고 다음 식부를 위하여 대기하게 된다. 1 to 4, when starting the engine of the mechanical seedling pla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한편, 상기와 같이 식부부(120)가 동작을 하며 회전축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2 클러치(230)를 동작시키게 된다. 상기 제2 클러치(230)가 동작을 하게 되면 작조유닛(200)의 승강부(220)에 동력이 전달되어 굴삭부(210)를 45도로 일정시간 하강시켜 두둑을 판 후 다시 원래의 각도로 승강시킨다. 한편, 상기와 같이 두둑이 파이면서 발생되는 흙은 이전에 묘삼을 식부한 자리를 자연스럽게 덮어주게 되고, 이후 주행유닛(300)이 이동하면서 주행용 궤도(310)에 의해 단단하게 덮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lanting unit 120 operates as described above and operates the
한편, 상기와 같이 작조유닛(200)의 승강부(220)가 1회전 하여 동작을 완료하면 상기 제3 클러치(330)를 동작시켜 일정시간동안 주행유닛(300)에 동력을 전달한다. 동력을 전달받은 상기 주행유닛(300)은 동력이 연결된 시간만큼 회전하여 베이스 프레임(10a)을 일정거리만큼 이동시킨다. 즉, 상기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0a)이 작조유닛(200)이 작업한 자리에 식부유닛(100)이 위치하여 다음 작업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 까지를 한 사이클로 하여 식부레버(140)의 동작 시 작조유닛(200)과 주행유닛(300)이 순차적으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묘삼 식부 작업을 반복적으로 행할 수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아래의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고안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have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rt. Therefore,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rawings should be construed as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not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엔진 10b: 베이스 프레임
100: 식부유닛 110: 공급부
111: 호퍼 120: 식부부
121: 크랭크축 122: 집게부
123: 스토퍼유닛 130: 제1 클러치
140: 식부레버 200: 작조유닛
210: 굴삭부 211: 주축
212: 지축 213: 좌우지지대
214: 체인기어 215: 굴삭판
220: 승강부 221: 구동링크
222: 가동링크 223: 가동로드
224: 연동링크 230: 제2 클러치
300: 주행유닛 310: 주행용 궤도
311: 제1 궤도 312: 제2 궤도
320: 이동 휠 330: 제3 클러치10a:
100: planting unit 110: supply unit
111: hopper 120: planting
121: crankshaft 122: tongs
123: stopper unit 130: first clutch
140: planting lever 200: construction unit
210: excavator 211: spindle
212: axis 213: left and right support
214: chain gear 215: excavator plate
220: elevation 221: drive link
222: movable link 223: movable rod
224: linkage link 230: second clutch
300: driving unit 310: driving track
311: first orbit 312: second orbit
320: moving wheel 330: third clutch
Claims (13)
상기 식부유닛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묘삼의 이식이 끝남과 동시에 두둑의 흙을 파서 묘삼을 이식하는 구덩이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만드는 작조유닛;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작조유닛의 동작이 끝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일정거리 주행시키도록 하는 주행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식부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복수개의 호퍼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묘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의 직 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부로부터 묘삼을 공급받고 상기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동하여 묘삼을 이식한 후 다시 제자리로 상승하는 식부부;
상기 동력부의 동력이 상기 식부부로 전달되도록 하는 제1 클러치; 및
상기 제1 클러치를 동작시켜 상기 식부부로 동력을 전달하여 가동될 수 있도록 하는 식부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식부부는
동력 전달 수단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크랭크 축;
상기 크랭크 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샤프트에 복수개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크랭크 축의 직선운동에 따라 구덩이 방향으로 회전하여 묘삼을 상기 구덩이에 이식하는 집게부; 및
상기 샤프트를 구속하여 묘삼 이식 시 상기 집게부의 회전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크랭크 축이 원상복귀됨에 따라 상기 집게부를 원상복원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 유닛을 포함하는 기구식 묘삼식부장치.A planting unit installed in the base frame and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unit to transplant the seedlings inclined on the inclined floor;
A construction unit installed on the base frame so as to be located in front of the planting unit, and at the same time as the end of transplanting the seedlings, the construction unit makes the pit for transplanting the seedlings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by digging the soil of the seedlings; And
A driving unit installed in the base frame to allow the base frame to travel a predetermined distance at the same time as the operation of the construction unit is finished;
The planting unit
A plurality of hoppers install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frame so as to b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supply seedlings;
A planting part which is installed directly below the supply part, receives seedlings from the supply part,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unit, rotates to transplant seedlings, and then rises back into place;
A first clutch for transmitting power of the power unit to the planting unit; And
And a planting lever for operating the first clutch to transfer power to the planting unit so as to be operated.
The planting part
A crank shaft capable of conver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into linear motion;
A plurality of tongs installed on the shaft rotatably connected to the crankshaft so as to b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the nippers rotating in the pit direction according to the linear movement of the crankshaft to transplant seedlings into the pit; And
Mechanism seedling planting device comprising a stopper unit for restraining the shaft to adjust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forceps when transplanting seedlings and to restore the forceps to the original when the crank shaft is returned to the original.
상기 식부부의 회동각도는 133 ~ 137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식 묘삼식부장치.The method of claim 1,
Rotation angle of the planting portion is a mechanical seedling plan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133 ~ 137 degrees.
회전시 동력을 전달받아 집게가 벌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식 묘삼식부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ngs
Mechanical seedlings plan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ceps are opened to receive the power during rotation.
상기 샤프트에 설치되어 상기 식부부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스토퍼;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식부부가 상승 시 수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식부부를 구속하는 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하는 기구식 묘삼식부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opper unit
A first stopper installed on the shaft to adjust a rotation angle of the planting part; And
And a second stopper installed on the base frame to restrain the planting portion so that the planting portion can be vertically fixed when the planting portion is raised.
상기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식부유닛 방면의 끝단부 양측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는 굴삭부;
상기 굴삭부의 고정 단부의 반대측 단부와 연결되며 굴삭부의 일측을 승하강 시키는 승강부;
상기 식부유닛의 동작이 완료됨과 동시에 상기 승강부로 동력을 전달해주는 제2 클러치를 포함하는 기구식 묘삼식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struction unit
An excavation part that rotates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part, and both ends of the planting unit are rotatably fixed to the base frame;
An elevating part connected to an opposite end of the fixed end of the excavating part and elevating one side of the excavating part;
Mechanism seedling planting apparatus comprising a second clutch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lifting unit at the same time the operation of the planting unit is completed.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는 주축;
상기 승강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지축;
상기 주축과 지축과 연결되어 지지해주는 좌우 지지대;
상기 주축과 지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체인기어; 및
상기 체인기어에 복수개의 라인으로 설치되어 체인기어가 회전하면서 흙을 팔 수 있도록 하는 굴삭판을 포함하는 기구식 묘삼식부장치.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excavation portion
A main shaft fixed to the base frame to be rotatable;
A support shaft rotatably connected to the lifting unit;
Left and right supports connected to the main shaft and the support shaft;
A chain gear rotatably connected to the main shaft and the support shaft; And
A mechanical seedling planting apparatus comprising an excavation plate installed in the chain gear in a plurality of lines to dig soil while the chain gear rotates.
상기 동력부 축 일단이 축 결합되는 구동링크와, 상단은 상기 구동링크의 타단에 연동축으로 축 결합하는 가동링크와, 중간부에 상기 가동링크의 하단이 축 결합 고정되는 가동로드 및 상단은 상기 로드의 양단부에 각각 축 결합 고정하고 하단은 지축의 양단부에 각각 축 결합하는 한 쌍의 연동링크를 포함하는 기구식 묘삼식부장치.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lifting unit
A drive link having one end of the power shaft coupled to the shaft, an upper end of the drive link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drive link as an interlocking shaft, and a movable rod and an upper end of which the lower end of the movable link is axially coupl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drive link A mechanical seedling planting device comprising a pair of interlocking links fixed to the opposite ends of the rod, respectively, and coupled to the opposite ends of the support shaft.
상기 굴삭부의 선단부의 주축을 축으로 43~45도의 각도로 하강시켜 두둑의 경사가 43~45도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식 묘삼식부장치.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lifting unit
Mechanically seedling plan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ation of the head to achieve 43 to 45 degrees by lowering the main axis of the excavating portion at an angle of 43 to 45 degrees.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이동시키도록 하는 주행용 궤도;
상기 작조유닛의 동작이 완료됨과 동시에 상기 주행용 궤도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주행용 궤도가 일정량 회전하도록 하는 제3 클러치를 포함하는 기구식 묘삼식부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riving unit
A driving track installed on the base frame to move the base frame;
Mechanism seedling planting device comprising a third clutch for transmitting the power to the running track and the rotation of the driving track a certain amount at the same time the operation of the construction unit is completed.
상기 식부유닛 전방에 설치되는 제1 궤도; 및
상기 식부유닛 후방에 설치되는 제2 궤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궤도와 제2 궤도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식 묘삼식부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running track is
A first track installed in front of the planting unit; And
And a second track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planting unit,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track and the second track is installed at the base frame.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 측면부에 설치되어 두둑의 하면에서 이동하도록 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휠을 더 포함하는 기구식 묘삼식부장치.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driving unit
Mechanism seedling type device further comprises a moving wheel which is installed on both side portions of the base frame to mov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idge to maintain the horizontal of the base fram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5054U KR200472391Y1 (en) | 2012-06-14 | 2012-06-14 | Mechanical ginseng seeding plant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5054U KR200472391Y1 (en) | 2012-06-14 | 2012-06-14 | Mechanical ginseng seeding plant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7327U KR20130007327U (en) | 2013-12-24 |
KR200472391Y1 true KR200472391Y1 (en) | 2014-04-25 |
Family
ID=51489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5054U KR200472391Y1 (en) | 2012-06-14 | 2012-06-14 | Mechanical ginseng seeding plant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2391Y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575205A (en) * | 2018-07-16 | 2018-09-28 | 中国农业科学院特产研究所 | Full-automatic ginseng transplanting's machine |
KR102282611B1 (en) | 2019-01-28 | 2021-07-28 |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 The Apparatus for Cutting and Transplanting of Biodegradation Seeding Pot for Vegetable Seeding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3442B1 (en) * | 2006-09-30 | 2008-03-17 | 대한민국 | Seedling transplanter |
KR20090020455A (en) * | 2007-08-23 | 2009-02-26 | 홍형수 | Seedling planting and seedling planting method |
KR101021019B1 (en) | 2008-09-09 | 2011-03-09 | 신동균 | Seed graft |
-
2012
- 2012-06-14 KR KR2020120005054U patent/KR200472391Y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3442B1 (en) * | 2006-09-30 | 2008-03-17 | 대한민국 | Seedling transplanter |
KR20090020455A (en) * | 2007-08-23 | 2009-02-26 | 홍형수 | Seedling planting and seedling planting method |
KR101021019B1 (en) | 2008-09-09 | 2011-03-09 | 신동균 | Seed graf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7327U (en) | 2013-12-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529718A (en) | Transplanted seedling tree device and transplanted seedling tree vehicle | |
KR100813442B1 (en) | Seedling transplanter | |
CN115349419B (en) | Agricultural gardening seedling lifting device and seedling lifting method | |
US10004174B2 (en) | Transplanter for a walk-behind tractor | |
CN104365201B (en) | A kind of multi-functional plant setter with rotary cultivator attachment | |
CN109168433A (en) | A kind of swing offset punching variable-rate fertilization | |
CN208462592U (en) | A kind of band soil ball connects root and takes sapling transplanter | |
CN114846940A (en) | Intelligent lawn repairing vehicle for deteriorated grasslands and using method thereof | |
KR200472391Y1 (en) | Mechanical ginseng seeding planting apparatus | |
CN111758350A (en) | Seedling planting equipment | |
CN112616330B (en) | Reciprocating inter-row weeding device | |
CN2718997Y (en) | Rice bowl seeding body magnetic transplanting machine | |
CN204652935U (en) | Planter on a kind of potato film | |
CN116636360A (en) | Seedling transplanting machine for nutrition pot | |
CN212992930U (en) | Tobacco field intertillage hiller | |
CN112673774A (en) | Agricultural is with device of transplanting rice seedlings | |
CN208754662U (en) | A kind of ponkan plantation seeding integrated machine of digging pit | |
KR101190625B1 (en) | Apparatus for pricking out ginseng seedling | |
CN209676832U (en) | A kind of seedling planting machine | |
CN113545247A (en) | High-yield cultivation method for golden plum planting and capable of avoiding soil hardening | |
CN206640987U (en) | A kind of Multi-functional transplanting machine | |
CN214757715U (en) | Seedling cultivation device of digging | |
JP4191629B2 (en) | Agricultural seedling transplanter | |
KR101675650B1 (en) | Device for maintaining mulching vynil for onion transplanter | |
CN212677685U (en) | Device that woods medicinal material was planted fas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20614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31017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3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2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utility model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R07021E01D Patent event date: 20140417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0 Payment date: 20140417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2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