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112Y1 - Hold up channel of mesh type cable tray for access floor - Google Patents
Hold up channel of mesh type cable tray for access flo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2112Y1 KR200472112Y1 KR2020130002796U KR20130002796U KR200472112Y1 KR 200472112 Y1 KR200472112 Y1 KR 200472112Y1 KR 2020130002796 U KR2020130002796 U KR 2020130002796U KR 20130002796 U KR20130002796 U KR 20130002796U KR 200472112 Y1 KR200472112 Y1 KR 20047211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double
- cable tray
- channel
- mes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9408 floo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8—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for receiving utility lines, e.g. cables,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바닥재를 구성하기 위한 지주대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공사기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안전상의 문제점 개선과 능률적인 사무환경조성 및 학습환경 변화에 따른 레이아웃 변경이 용이하여, 각종 시스템의 유지보수가 경제적이며 효과적인 이중바닥재용 메시형 케이블트레이 지지찬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이중바닥재용 메시형 케이블트레이 지지찬넬은, 내부가 중공되어 수용부(12)를 형성하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일측면이 절개되고 절개된 길이방향의 단부가 내측으로 라운딩된 안착부(13)를 형성한 고정부몸체(11)와, 상기 고정부몸체(11)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각각 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브라켓(20, 25)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라켓(20, 25)은 상기 고정부몸체(11)의 단부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찬넬부착부(21, 26)와, 상기 찬넬부착부(21, 26)로부터 직각되고 상기 고정부몸체(11)의 안착부(13)를 형성한 면과 직교되게 절곡되어 유(U)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유볼트 삽입구(24, 29)가 형성된 고정부(23, 2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on the holding base for constituting the double floor material easily and quickly, greatly reducing the construction period, improving the safety problems, creating an efficient office environment, and easily changing the layout according to changes in the learning environ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sh-type cable tray support channel for a double-floor, which is economical and effective in maintaining various systems.
Mesh-type cable tray support channel for a double-fl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ide is hollow in the form of a square pillar to form the receiving portion 12, one side is cut and the end por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the incision is rounded inward ( 13 and a fixing bracket 20 and 25 which are attached to and fixed to both ends of the fixing unit body 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and the fixing brackets 20 and 25.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fixing unit body 11 is fixed to the channel mounting portion (21, 26), and the mounting portion 13 of the fixing unit body (11) perpendicular to the channel mounting portion (21, 26)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portion (23, 28) is formed to be orthogonal to the surface forming the U bolt insertion holes (24, 29) so that the U bolt can be inserted.
Description
본 고안은 이중바닥재를 구성하기 위한 지주대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공사기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안전상의 문제점 개선과 능률적인 사무환경조성 및 학습환경 변화에 따른 레이아웃 변경이 용이하여, 각종 시스템의 유지보수가 경제적이며 효과적인 이중바닥재용 메시형 케이블트레이 지지찬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on the holding base for constituting the double floor material easily and quickly, greatly reducing the construction period, improving the safety problems, creating an efficient office environment, and easily changing the layout according to changes in the learning environ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sh-type cable tray support channel for a double-floor, which is economical and effective in maintaining various systems.
이중바닥재(Access floor)란 일반 바닥 위에 단위패널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뜬구조의 바닥재로 각종 배선의 노출에 의한 운영상, 안전상의 문제점 개선과 능률적인 사무환경조성 및 학습환경 변화에 따른 변경이 용이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Access floor is flooring of flooring that is installed by connecting unit panels on a common floor. It improves operational and safety problems due to exposure of various wiring, improves office environment and facilitates changes due to changes in learning environment. Is installed.
이중바닥재는 설치의 간편성과 공사기간의 단축이 용이하고, 다양한 재질과 마감재의 선택으로 환경 친화적인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배선공간의 확보로 설비증설 및 변경에 따른 대응이 용이하여 각종 시스템의 유지보수가 경제적이며 효과적인 특징이 있다.Double flooring is easy to install and shortens the construction period, and it has the advantage of creat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atmosphere by selecting various materials and finishing materials. In addition, due to the provision of wiring space, it is easy to respond to facility expansion and change, and maintenance of various systems is economical and effective.
이러한 이중바닥재는 반도체 생산을 위한 크린룸이나, 컴퓨터의 전력 케이블, 네트워크 케이블의 보호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전산실에 설치되고 있으며, 각종 수술장비의 케이블 보호 및 정전기방지가 필요한 병원 수술실에도 적용되고 있다. 이 밖에도 음향 컨트롤 룸, 스튜디오, 무대, 강의실, 회의실, 화학실험실, 전화국, 첨단공장설비뿐만 아니라 근래에는 일반 사무실에도 널리 적용되고 있다.Such a double floor is installed in a computer room for a clean room for semiconductor production, a computer's power cable, and a network cable for easy protection and management, and is applied to a hospital operating room requiring cable protection and antistatic protection of various surgical equipment. In addition, it is widely applied to general offices as well as sound control rooms, studios, stages, lecture rooms, conference rooms, chemical laboratories, telephone stations, and high-tech factory facilities.
그러나, 종래의 이중바닥재는 건물의 바닥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수직으로 입상된 이중바닥재 지주대의 상면에 이중바닥재를 이어 붙이는 것으로, 이중바닥재 지주대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수직 하중에는 무난히 견디어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지진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측방 하중으로는 독립된 이중바닥재 지주대가 지지되지 못하고 넘어지거나 휘어지게 됨으로써 중요한 전산 자료가 입력된 전산장비의 손상이나 데이터의 유실에 따른 손실을 초래하는 문제점과 이중바닥재로 시공된 건물의 바닥 면이 균일하지 못하여 전산장비의 오작동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double floor material is plac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floor of the building to connect the double floor materia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double bed support, which is a solid state to withstand the vertical load ac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ouble floor material support However, due to lateral loads caused by earthquakes, the independent double-floor struts cannot be supported and fall or bend, resulting in damage due to damage to computer equipment or loss of data.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floor surface of the building constructed of flooring material is not uniform, causing malfunction of the computer equipment.
이에 등록실용신안 제20-0302996호(등록일: 2003. 01. 20.)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직으로 입상되어 상단부로 다수의 이중바닥재가 지지되어진 지주대를 감싸도록 고정 결합되고 양단부로 연결공이 형성된 지지구에 스트링거의 양단부를 각각 고정 연결함으로서 수직 및 수평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한 "이중 바닥판의 받침대의 지지구"를 제안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302996 (filed on Jan. 20, 2003) is fixedly coupled so as to surround the vertically erected upper and lower support pillars And a "supporting base of a double bottom plate" which can withstand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loads by fixedly connecting the both ends of the stringer to the support where the connecting hole is formed at both ends.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로 설치되는 정방형의 이중바닥재(80: "이중 바닥판"이라고도 함)를 지지하기 위해 각 꼭지점의 하단부에 기립되어 설치되는 이중바닥재 지주대(50: "받침대"라고도 함)로 이중바닥재가 시공된다. 그리고, 상기 이중바닥재 지주대(50)를 감싸면서 사방으로 스트링거(56)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구(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중바닥재 지주대(50)는 상단부에 이중바닥재(80)가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판상의 이중바닥재 안착부(52)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바닥면에 기립되도록 판상의 지주대 바닥부(53)가 형성된다.Specifically, as illustrated in FIG. 8, a double floor holding support stands erected at a lower end of each vertex in order to support a plurality of square double floors (also referred to as “double bottom plates”) installed in a plurality ( 50: also referred to as a "base", is a double floor. And a
따라서, 바닥면에 기립된 이중바닥재 지주대(50)에 지지구(55)를 통해 연결되어 고정되는 스트링거(56)에 의해 수직 및 수평하중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스트링거(56)에 메시형 케이블트레이(35)를 거취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ccordingly, the vertical and horizontal loads can be maintained by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중바닥재 지주대(50)에 고정되는 지지구(55)는 각각 스트링거(56)로 연결되기 때문에 방향성이 고정되어 있다. 다시 말해, 각각의 스트링거(56)는 구조적으로 각각 직각으로 결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스트링거(56)에 거취되는 케이블트레이의 형상에 대응하여 변화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케이블트레이를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지주대에 모두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공시간이 소요되고, 시공작업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not only can not be easily seated in the cable tray, but also requires a lot of construction time, because the construction must be connected to each str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work becomes difficult.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정 간격으로 각각 기립되어 설치된 지주대에 이중바닥재용 메시형 케이블트레이 지지찬넬을 자유로운 방향을 갖도록 고정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케이블트레이의 형상에 따라 설치방향으로 조절하여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면서, 인접하는 지주대와 독립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이중바닥재용 메시형 케이블트레이 지지찬넬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fixed cable mesh cable tray support panel for the double-floor material to be fixed to have a free direction on each of the uprights installed standing at regular intervals of the cable tray According to the shape can be effectively adjusted by the installation direction, while being able to be installed independently of the adjacent struts to provide a double-floor mesh type cable tray support channel can greatly improve the workability.
또한, 본 고안은 별도의 스트링거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이중바닥재 지주대의 수평하중을 분산시키기 때문에 더욱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이중바닥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이중바닥재용 메시형 케이블트레이 지지찬넬을 제공하는 한편, 이중바닥재 지주대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이중바닥재용 메시형 케이블트레이 지지찬넬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istributes the horizontal load of the double-floor props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stringer, and thus provides a double-floor mesh cable tray support channel for providing a more stable and effective double-floor syste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sh-type cable tray support channel for a double floor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firmly fixed to a floor support.
본 고안에 의한 이중바닥재용 메시형 케이블트레이 지지찬넬은, 내부가 중공되어 수용부(12)를 형성하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일측면이 절개되고 절개된 길이방향의 단부가 내측으로 라운딩된 안착부(13)를 형성한 고정부몸체(11)와, 상기 고정부몸체(11)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각각 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브라켓(20, 25)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라켓(20, 25)은 상기 고정부몸체(11)의 단부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찬넬부착부(21, 26)와, 상기 찬넬부착부(21, 26)로부터 직각되고 상기 고정부몸체(11)의 안착부(13)를 형성한 면과 직교되게 절곡되어 유(U)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유볼트 삽입구(24, 29)가 형성된 고정부(23, 2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sh-type cable tray support channel for a double-fl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ide is hollow in the form of a square pillar to form the
또한, 상기 찬넬부착부(21, 26)의 하단부에 상기 고정부몸체(11)의 수용부(12)와 통공되도록 배출구(2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브라켓(20, 25)을 형성하는 고정부(23, 28)의 상단 및 하단부에 굽힘방지단(31, 32)이 더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고정브라켓(20, 25)을 형성하는 고정부(23, 28)와 찬넬부착부(21, 26)를 연결하는 리브(33, 34)가 더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ribs (33, 34) connecting the fixing portion (23, 28) and the channel mounting portion (21, 26) forming the fixing bracket (20, 25) is further form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메시형 케이블트레이를 설치하기 위한 지지찬넬을 각각의 지주대에 독립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시공시간이 크게 절감되고, 시공이 편리하여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upport channel for installing the mesh type cable tray is installed on each support stand independently, the construction time is greatly reduced, and the construction is convenient, thereby greatly improving workability. There is.
또한, 각각의 지주대에 장착되는 지지찬넬을 유볼트의 조임에 따라 휘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키게 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bending of the support channel mounted on each strut according to the tightening of the U-bolt to greatly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도 1 내지 도 2c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이중바닥재용 메시형 케이블트레이 지지찬넬,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이중바닥재용 메시형 케이블트레이 지지찬넬,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이중바닥재용 메시형 케이블트레이 지지찬넬,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이중바닥재용 메시형 케이블트레이 지지찬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이중바닥재용 메시형 케이블트레이 지지찬넬에서 조립부의 개략적인 단면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이중바닥재용 메시형 케이블트레이 지지찬넬의 사용상태도,
도 8은 종래의 일실시 예에 의한 이중바닥재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1 to 2c is a mesh type cable tray support channel for a double fl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mesh cable tray support channel for a double flo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mesh type cable tray support channel for a double flo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ate of use of the mesh-type cable tray support channel for a double-fl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assembly portion in the mesh-type cable tray support channel for the double fl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tate of use of the mesh type cable tray support channel for a double fl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use state diagram of a double floor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이중바닥재용 메시형 케이블트레이 지지찬넬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mesh-type cable tray support channel for a double floor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c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이중바닥재용 메시형 케이블트레이 지지찬넬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이중바닥재용 메시형 케이블트레이 지지찬넬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이중바닥재용 메시형 케이블트레이 지지찬넬이다.1 to 2c is a double bottom mesh type cable tray support cha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ouble bottom floor mesh type cable tray support chan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Mesh-type cable tray support channel for a double flo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이중바닥재용 메시형 케이블트레이 지지찬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이중바닥재용 메시형 케이블트레이 지지찬넬에서 조립부의 개략적인 단면구성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이중바닥재용 메시형 케이블트레이 지지찬넬의 사용상태도이다.In addi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ate of use of the double bottom mesh-type cable tray support cha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ouble bottom mesh-type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assembly portion in the tray support channel,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mesh-type cable tray support channel for a double fl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elements even when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us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Also, directional terms such as "top", "bottom", "front", "back", "front", "forward", "rear", etc. are used in connection with the orientation of the disclosed drawing (s). Since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ositioned in various orientations, the directional terminology is u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not limitation.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이중바닥재용 메시형 케이블트레이 지지찬넬은 상기 도 1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되어 수용부(12)를 형성하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일측면이 절개되고 절개된 길이방향의 단부가 내측으로 라운딩된 안착부(13)를 형성한 고정부몸체(11)와, 상기 고정부몸체(11)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각각 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브라켓(20, 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Mesh-type cable tray support channel for the double flo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2c, one side is cut into a square pillar shape to form a receiving
여기서, 상기 고정브라켓(20, 25)은 상기 고정부몸체(11)의 단부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찬넬부착부(21, 26)가 형성되고, 상기 찬넬부착부(21, 26)로부터 직각되고 상기 고정부몸체(11)의 안착부(13)를 형성한 면과 직교되게 절곡되어 유(U)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유볼트 삽입구(24, 29)가 형성된 고정부(23, 28)를 포함한다.Here, the
따라서, 상기 고정브라켓(20, 25)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바닥재(80)를 설치하기 위한 이중바닥재 지주대(50)와 유(U)볼트(30) 및 유볼트 고정너트(38)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Therefore, the
한편, 상기 찬넬부착부(21, 26)의 하단부에는 상기 고정부몸체(11)의 수용부(12)와 통공되도록 배출구(2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출구(22)는 본 고안에 의한 이중바닥재용 메시형 케이블트레이 지지찬넬을 제작한 후에 부식방지를 위한 도금과정에서 도금액이 고정부몸체(11)의 수용부(12)에서 쉽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이중바닥재용 메시형 케이블트레이 지지찬넬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고정부몸체(11)는 일실시 예와 동일하다. 다만, 상기 고정브라켓(20, 25)을 형성하는 고정부(23, 28)의 상단 및 하단부에 굽힘방지단(31, 32)이 더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굽힘방지단(31, 32)은 이중바닥재 지주대(50)에 유볼트(30) 및 유볼트 고정너트(38)에 의해 고정되는 경우에, 상기 고정부(23, 28)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더욱 견고하게 상기 이중바닥재 지주대(5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3 is a view illustrating a mesh type cable tray support channel for a double flo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상기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이중바닥재용 메시형 케이블트레이 지지찬넬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고정부몸체(11)는 일실시 예에와 동일하다. 다만, 상기 고정브라켓(20, 25)을 형성하는 고정부(23, 28)와 찬넬부착부(21, 26)를 연결하는 리브(33, 34)가 더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리브(33, 34)는 이중바닥재 지주대(50)에 유볼트(30) 및 유볼트 고정너트(38)에 의해 고정되는 경우에, 상기 고정부(23, 28)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더욱 견고하게 상기 이중바닥재 지주대(5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리브(33, 3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23, 28)와 상기 찬넬부착부(21, 26)의 하단부에 연결될 수 있지만, 상단부에도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4 is a view showing a mesh-type cable tray support channel for a double flo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이중바닥재용 메시형 케이블트레이 지지찬넬의 조립과정을 상기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본다.An assembly process of the mesh-type cable tray support channel for a double fl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먼저, 다수의 이중바닥재(80)가 각각 이중바닥재 지주대(50)에 의해 기립되어 시공된다. 일정 간격으로 시공된 이중바닥재 지주대(50)에는 본 고안에 의한 이중바닥재용 메시형 케이블트레이 지지찬넬(10)이 유볼트(30) 및 유볼트 고정너트(38)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First, a plurality of
그 후 이중바닥재용 메시형 케이블트레이 지지찬넬(10)에 안착되는 메시형 케이블트레이(35)는 공지된 바와 같이 클램프(40) 및 스프링너트(43)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다시 말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43)과 스프링너트(42)는 고정부몸체(11)의 수용부(12)에 위치시키고, 메시형 케이블트레이(35)의 세로대(36)를 클램프(40)로 고정되도록 상기 스프링너트(42)와 클램프 고정볼트(44)로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Thereafter, the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이중바닥재용 메시형 케이블트레이 지지찬넬은, 메시형 케이블트레이를 설치하기 위한 지지찬넬을 각각의 이중바닥재 지주대에 독립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시공시간이 크게 절감되고, 시공이 편리하여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double-floor mesh cable tray support chan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support channel for installing the mesh cable tray independently on each double-floor strut,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construction time and construction. This convenience can greatly improve workability.
한편, 도면부호 53은 이중바닥재 지주대(50)의 지주대 바닥부를 지시하고, 도면부호 52는 이중바닥재 지주대(50)의 이중바닥재 안착부를 지시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odif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y ar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 이중바닥재용 메시형 케이블트레이 지지찬넬
11: 고정부몸체 12: 수용부
13: 안착부 20, 25: 고정브라켓
21, 26: 찬넬부착부 22: 배출구
23, 28: 고정부 24, 29: 유볼트 삽입구
30: 유(U)볼트 31, 32: 굽힘방지단
33, 34: 리브 35: 메시형 케이블트레이
36: 세로대 38: 유볼트 고정너트
40: 클램프 42: 스프링너트
43: 스프링 44: 클램프 고정볼트
50: 이중바닥재 지주대 52: 이중바닥재 안착부
53: 지주대 바닥부 55: 지지구
56: 스트링거 80: 이중바닥재10: Mesh cable tray support channel for double floors
11: fixed part body 12: receiving part
13: Seating
21, 26: Channel attachment part 22: Outlet
23, 28: fixing
30:
33, 34: Rib 35: Mesh cable tray
36: length 38: u-bolt fixing nut
40: clamp 42: spring nut
43: spring 44: clamping bolt
50: double floor holding post 52: double floor seating portion
53: prop base bottom 55: support
56: stringer 80: double floor
Claims (3)
상기 고정부몸체(11)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각각 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브라켓(20, 25)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라켓(20, 25)은 상기 고정부몸체(11)의 단부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찬넬부착부(21, 26)와, 상기 찬넬부착부(21, 26)로부터 직각되고 상기 고정부몸체(11)의 안착부(13)를 형성한 면과 직교되게 절곡되어 유(U)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유볼트 삽입구(24, 29)가 형성된 고정부(23, 2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바닥재용 메시형 케이블트레이 지지찬넬.
A fixing part body 11 having a seating part 13 in which one side is cut into a rectangular pillar shape having an interior hollowed out to form a receiving part 12 and the longitudinal end in which the cut is rounded inwardly;
It includes fixed brackets 20 and 25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fixing body 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The fixing brackets 20 and 25 are attached to the end portions of the fixing body 11 and fixed to the channel mounting parts 21 and 26, and are perpendicular to the channel mounting parts 21 and 26, respectively. 11) bent orthogonal to the surface on which the seating portion 13 is formed, including the fixing portions 23 and 28 formed with the u bolt insertion holes 24 and 29 so that the U bolts can be inserted. Featured mesh cable tray support channel for double floor materials.
상기 찬넬부착부(21, 26)의 하단부에 상기 고정부몸체(11)의 수용부(12)와 통공되도록 배출구(2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브라켓(20, 25)을 형성하는 고정부(23, 28)의 상단 및 하단부에 굽힘방지단(31, 32)이 더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바닥재용 메시형 케이블트레이 지지찬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let 22 is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channel mounting portion (21, 26) so as to be through the receiving portion 12 of the fixing body (11),
Double bottom floor mesh-type cable tray support chan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ding prevention end 31, 32 is further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xing portion (23, 28) forming the fixing bracket (20, 25). .
상기 찬넬부착부(21, 26)의 하단부에 상기 고정부몸체(11)의 수용부(12)와 통공되도록 배출구(2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브라켓(20, 25)을 형성하는 고정부(23, 28)와 찬넬부착부(21, 26)를 연결하는 리브(33, 34)가 더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바닥재용 메시형 케이블트레이 지지찬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let 22 is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channel mounting portion (21, 26) so as to be through the receiving portion 12 of the fixing body (11),
Double flooring mesh, characterized in that the ribs (33, 34) connecting the fixing portion (23, 28) and the channel mounting portion (21, 26) forming the fixing bracket (20, 25) is further formed Cable tray support channe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2796U KR200472112Y1 (en) | 2013-04-12 | 2013-04-12 | Hold up channel of mesh type cable tray for access flo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2796U KR200472112Y1 (en) | 2013-04-12 | 2013-04-12 | Hold up channel of mesh type cable tray for access flo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2112Y1 true KR200472112Y1 (en) | 2014-04-10 |
Family
ID=51485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2796U Expired - Lifetime KR200472112Y1 (en) | 2013-04-12 | 2013-04-12 | Hold up channel of mesh type cable tray for access flo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2112Y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74346A (en) * | 2001-03-20 | 2002-09-30 | 김유성 | Full wiring floor system for office building |
KR200302996Y1 (en) | 2002-11-11 | 2003-02-11 | 주식회사 건화아이프로 | A support section of a backing of a double bottom board |
JP2003111255A (en) | 2001-09-26 | 2003-04-11 | Mitsubishi Jisho Sekkei Inc | Cable support for OA floor |
KR20100004684A (en) * | 2008-07-04 | 2010-01-13 | 최종혜 | The method assembling rung of cable tray |
-
2013
- 2013-04-12 KR KR2020130002796U patent/KR200472112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74346A (en) * | 2001-03-20 | 2002-09-30 | 김유성 | Full wiring floor system for office building |
JP2003111255A (en) | 2001-09-26 | 2003-04-11 | Mitsubishi Jisho Sekkei Inc | Cable support for OA floor |
KR200302996Y1 (en) | 2002-11-11 | 2003-02-11 | 주식회사 건화아이프로 | A support section of a backing of a double bottom board |
KR20100004684A (en) * | 2008-07-04 | 2010-01-13 | 최종혜 | The method assembling rung of cable tra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50146B2 (en) | Canopy system and group suspension system therefore | |
US4224769A (en) | Space divider system | |
KR100847877B1 (en) | Cable tray with cable anchor | |
US20180058068A1 (en) | Ceiling system and mounting bracket for use with the same | |
JP5557468B2 (en) | Floor panel | |
KR101658954B1 (en) | Light weight lattice shape-retaining double bottom structure of the floor | |
US9546483B2 (en) | Modular walls with seismic-shiftability | |
KR200472112Y1 (en) | Hold up channel of mesh type cable tray for access floor | |
KR101392509B1 (en) | Hold up panel of mesh type cable tray for access floor | |
KR101733211B1 (en) | System for wireway having earthquake resistant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for the same | |
JP6343239B2 (en) | System ceiling structure and support bracket | |
KR20230133103A (en) | Hold up channel of mesh type cable tray for access floor | |
KR20110037515A (en) | Lightweight Frame Structure of Apartment Housing and Construction Method | |
JP6226173B2 (en) | Suspended ceiling structure | |
JP5958858B2 (en) | Indoor frame structure | |
JP7202849B2 (en) | Mounting structure for unit room | |
JP2009171793A (en) | Method of extension of cable rack | |
US9528287B2 (en) | Angled wall connec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 |
JP7265709B2 (en) | Equipment frame structure and building equipped with this | |
JP2010196278A (en) | Column-beam frame | |
JP6143091B2 (en) | Suspended ceiling reinforcing member and suspended ceiling structure provided with the same | |
JP6924689B2 (en) | Suspended structure | |
JP6690978B2 (en) | System ceiling | |
EP2889442A1 (en) | Indoor office-type modular construction | |
KR102014472B1 (en) | Bracket Structure Installed in Wal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0412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3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4033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40331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3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