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638Y1 - A Lid for Disposable cups - Google Patents
A Lid for Disposable cup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1638Y1 KR200471638Y1 KR2020130008444U KR20130008444U KR200471638Y1 KR 200471638 Y1 KR200471638 Y1 KR 200471638Y1 KR 2020130008444 U KR2020130008444 U KR 2020130008444U KR 20130008444 U KR20130008444 U KR 20130008444U KR 200471638 Y1 KR200471638 Y1 KR 20047163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lture soil
- cup
- lid
- disposable
- insertion groo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101100327917 Caenorhabditis elegans chup-1 gene Proteins 0.000 abstract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41001122767 The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171 hot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694 eating hab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1 postprand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3—Plates, dishes or the like for using only once, e.g. made of paper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컵용 컵뚜껑은,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일회용 컵(2)의 상단에 탈부착되는 컵뚜껑(1)에 관한 것으로써, 일단부에 음용구(12)가 관통형성된 상면부(10), 상면부(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일정 높이를 갖는 몸통부(20), 몸통부(2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일회용 컵(2)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플랜지 형태의 뚜껑 결합부(30), 및 상면부(10)의 중앙부에 개구가 형성되며 몸통부(20) 방향으로 움푹 파여지도록 형성되어 내부 공간에 씨앗(52)과 배양토(50)가 삽입되는 배양토 삽입홈부(40)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음료를 음용한 후에 배양토 삽입홈부(40)에 삽입된 배양토(50)를 꺼낸 후, 컵뚜껑(1)을 뒤집어서 일회용 컵(1)에 안착시킨 후 배양토(5)를 컵뚜껑(1) 내부 공간에 넣음으로써 화분으로 활용할 수 있어, 결국 자원 낭비를 방지하는 동시에 취미생활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Cup lid for a disposable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lid (1) detachable to the upper end of the disposable cup (2) of paper or synthetic resin material that can hold a drink, the drinking appliance 12 is Flange which extends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portion 10, the upper surface portion 10 formed through the body portion 20,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dy portion 20 and fitted to the top of the disposable cup (2) Opening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id coupling portion 30,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10 of the shape is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20 is cultured soil seed 52 and the culture soil 50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space It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drinking the beverage, the culture soil 50 inserted into the culture soil insertion groove 40 is taken out, and then the cup lid 1 is turned upside down and seated in the disposable cup 1, and then the culture soil 5 is covered by the cup lid ( 1) It can be used as a flower pot by putting it in the interior space, which can prevent the waste of resources and at the same time have a hobby.
Description
본 고안은 일회용 컵용 컵뚜껑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컵뚜껑 중앙부에 씨앗과 배양토가 삽입되는 배양토 삽입홈부가 움푹 형성되어, 다 쓴 일회용 컵 및 컵뚜껑을 버리지 않고 화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 컵용 컵뚜껑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lid for disposable cups, and more specifically, the cultivated soil insertion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seed and the culture soil are inserted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up lid, so that the used disposable cups and cup lids can be utilized as pots without discarding them. A cup lid for a disposable cup.
현대인에게 식후 음료를 마시는 것은 필수 식생활 습관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 사람을 포함하여 세계인은 많은 종류의 음료 중 특히 커피를 가장 즐겨 마시고 있다. Drinking post-prandial drinks is a mandatory dietary habit for modern people. In particular, people from all over the world, including Koreans, enjoy drinking coffee most of all.
커피 등의 음료를 마시는 경우 보통 음료를 파는 매장의 테이블에서 마시거나 또는 테이크아웃(take out or take away)을 하여 마시는데, 테이크아웃을 하는 경우 종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일회용 컵을 이용하고, 매장의 테이블에서 마시는 경우 머그컵이나 또는 일회용 컵을 이용하게 된다. 환경 오염이나 자원 낭비 등의 이유로 머그컵이나 개인 휴대용 컵을 권장하게 되나, 바쁜 현대인의 생활 습관으로 인해 일회용 컵은 여전히 많이 사용하게 된다. 또한 음료를 전문적으로 파는 매장 뿐만 아니라 편의점 등에서도 일회용 컵에 담겨있는 음료를 많이 취급하게 된다.When you drink a drink such as coffee, you usually drink at the table of the store where you sell the drink or take out or take away.When you take out, use a disposable cup made of paper or synthetic resin. If you drink at a mug or a disposable cup will be used. Mug cups or personal portable cups are recommended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or waste of resources, but disposable cups are still used a lot due to busy modern lifestyles. In addition to the stores that specialize in selling beverages, convenience stores, etc. will handle a lot of the drinks contained in disposable cups.
한편 일회용 컵의 상단에는 컵뚜겅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컵뚜껑은 보통 그 하단에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일회용 컵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고, 그 상단에 음용을 위한 개구가 관통되게 형성된다. 최근에는 일회용 컵 내부에 뜨거운 음료가 담기는 경우 이동중에 상기 음용을 위한 개구를 통해 뜨거운 음료가 나오지 않도록 상기 개구가 개폐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Meanwhile, the cup li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top of the disposable cup. The cup lid is usu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lange portion is fitted to the top of the disposable cup, the upper end is formed so that the opening for drinking. Recently, when a hot beverage is contained in a disposable cup, it is disclosed that the opening is openable so that the hot beverage does not come out through the opening for drinking during movement.
이와 같이 일회용 컵용 컵뚜껑의 구조는 매우 단순하며, 지금까지 연구된 일회용 컵뚜껑은 대부분 사용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써, 예를 들어 뚜껑을 분리시키지 않고도 일회용 컵 내부의 내용물을 저을 수 있도록 하는 '회전스푼을 구비하는 일회용 컵(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33310호), 컵용기와 용기뚜껑에 일회용 티백을 수용할 수 있는 티백수용부를 구비하여 티백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하기 편리한 컵(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2064호), 첨가재(설탕 또는 프림)를 용기 뚜껑 내에 구비되게 함으로써 휴대성을 향상시키고 첨가재를 필요에 따라 기호에 맞게 사용하도록 하는 '음료용기용 뚜껑'(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8823호) 등이 있다. As such, the structure of the cup lid for disposable cups is very simple, and the disposable cup lids studied so far are mostly for convenience of use, for example, a 'rotation that stirs the contents inside the disposable cup without removing the lid. Disposable cups with a spoo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33310), a convenient cup to carry a tea bag receptacle to accommodate the disposable tea bag in the cup container and the container lid to reuse the tea bag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82064), 'Additional beverage (sugar or prim) is provided in the lid of the container to improve the portability and to use the additive according to your preferences as needed,' the beverage container lid '(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08823).
그러나 환경 오염이나 자원 낭비 등을 고려할 때 이러한 일회용 컵 및 컵뚜껑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However, in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or waste of resources,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utilizing these disposable cups and cup lids in various ways.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음료를 음용한 후 다 쓴 일회용 컵 및 컵뚜껑을 버리지 않고 화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 컵용 컵뚜껑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in view of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osable cup cup lid that can be utilized as a pot without throwing away the disposable cup and cup lid after drinking the beverag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컵용 컵뚜껑은,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일회용 컵(2)의 상단에 탈부착되는 컵뚜껑(1)에 관한 것으로써, 일단부에 음용구(12)가 관통형성된 상면부(10); 상기 상면부(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일정 높이를 갖는 몸통부(20); 상기 몸통부(2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일회용 컵(2)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플랜지 형태의 뚜껑 결합부(30); 및, 상기 상면부(10)의 중앙부에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몸통부(20) 방향으로 움푹 파여지도록 형성되어 내부 공간에 씨앗(52)과 배양토(50)가 삽입되는 배양토 삽입홈부(40)를 포함한다.Disposable cup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relates to a cup lid (1) detachable to the upper end of the disposable cup (2) of paper or synthetic resin material that can hold a beverage, An
상기 상면부(10)는 음용구(12)가 형성된 일단에서 반대편의 타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컵뚜껑(1)이 뒤집어져서 상기 일회용 컵(2)의 상단에 안착될 경우 상기 음용구(12)가 배수구 역할을 하게 된다.The
상기 배양토 삽입홈부(40)의 개구(42)에는 스티커(60)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스티커(60)에는 광고문구가 인쇄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dvertisement text is printed on the
본 고안에 의하면 음료를 음용한 후에 배양토 삽입홈부에 삽입된 배양토를 꺼낸 후, 컵뚜껑을 뒤집어서 일회용 컵에 안착시킨 후 배양토를 다시 컵뚜껑 내부에 넣음으로써 화분으로 활용할 수 있어, 결국 자원 낭비를 방지하는 동시에 취미생활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drinking the beverage, the culture soil inserted into the culture soil insertion groove is taken out, and then the cup lid is inverted and seated in the disposable cup, and then the culture soil can be used as a pot by putting the culture soil back into the cup lid, thereby preventing resource waste. At the same time, you can have a hobby.
한편 음용구의 높이를 점차적으로 높도록 형성하여 화분으로 활용 시 상기 음용구가 배수구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되며, 컵뚜껑을 받치는 일회용 컵에 물이 고이게 되어 화분 받침대 역할을 하므로, 별도의 도구 없이 화분을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by gradually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drinking utensils, the drinking utensils can act as drains when used as pots, and water is accumulated in the disposable cups that hold the cup lids. It is effective to manage the pot easily.
또한 배양토가 삽입된 배양토 삽입홈부의 개구에 스티커 또는 배양토 삽입홈부 뚜껑을 부착시켜 배양토가 빠지지 않도록 하며, 이 스티커 또는 배양토 삽입홈부 뚜껑에 광고문구를 인쇄하도록 하여 광고효과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attaching a sticker or a lid of the culture soil insertion groove to the opening of the culture soil insertion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culture soil is inserted, the culture soil is prevented from falling out, 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dvertising effect by printing an advertisement phrase on the sticker or the culture soil insertion groove lid.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용 컵뚜껑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컵뚜껑의 일측면도,
도 3은 도 1의 컵뚜껑에 배양토가 삽입되고 스티커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A-A 단면에서 본 컵뚜껑이 일회용 컵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에서 배양토를 빼낸 후 컵뚜껑을 뒤집은 상태에서 배양토를 다시 삽입 후 일회용 컵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1의 컵뚜껑에 배양토가 삽입되고 배양토 삽입홈부 뚜껑이 부착된 상태에서 일회용 컵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osable cup 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cup lid of Figure 1,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lture soil is inserted into the cup lid of Figure 1 attached stickers;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p lid is coupled to the disposable cup seen in section AA of Figure 3,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state seated in a disposable cup after the culture soil is removed again in Figure 4 after removing the culture soil in the cup lid inverted state,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ulture soil is inserted into the cup lid of FIG. 1 and coupled to the disposable cup in a state where the culture soil insertion groove lid is attached.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용 컵뚜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s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a cup lid for a disposable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용 컵뚜껑(1)은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일회용 컵(2, 도4 참조)의 상단에 탈부착되는 것으로써, 상면부(10)와, 몸통부(20)와, 뚜껑 결합부(30) 및 배양토 삽입홈부(40)를 구비한다.1 and 2, the disposable
상면부(10)는 일단부에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음용구(12)가 관통 형성된다. 한편 상면부(10)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음용구(12)가 형성된 면이 높도록 즉, 음용구(12)가 형성된 일단에서 반대편의 타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뚜껑(1)을 뒤집어서 일회용 컵(2)의 상단에 안착시켜 화분으로 사용할 경우, 음용구(12)는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결국 배수구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몸통부(20)는 상면부(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일정 높이를 갖게 된다. 따라서 몸통부(20)는 그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몸통부(20)는 상면부(10)의 원주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지름)이 넓어지는 사다리꼴의 형상을 갖게 되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면부(10)의 원주에서 직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뚜껑 결합부(30)는 몸통부(2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일회용 컵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도록 플랜지 형태를 갖는다. The
배양토 삽입홈부(40)는 상면부(10)의 중앙부에 개구(42)가 형성되며 몸통부(20) 방향으로 움푹 파여지도록 형성된다. 즉 배양토 삽입홈부(40)은 상면부(10)로부터 일정 깊이를 갖는 홈의 형태를 갖게 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배양토 삽입홈부(40) 내부에는 씨앗(52)과 배양토(50)가 삽입되게 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배양토(50) 위에 씨앗(52)이 올려진 상태로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것이 좋다.The culture soil inserting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배양토 삽입홈부(40)의 개구(42)에는 스티커(60)가 부착된다. 이렇게 스티커(60)를 부착함으로써 음료를 마실 때 또는 이동 중에 배양토(50)가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스티커(60)에는 광고문구가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의해 광고 효과를 가지는 이점이 있게 된다. 컵뚜껑 또는 일회용 컵 자체에 광고 문구를 인쇄하게 되는 경우 제조 비용이 상승되나, 본 고안과 같이 스티커(60)에 광고 문구를 인쇄하게 되는 경우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동일한 광고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양토 삽입홈부(40)의 개구(42)에는 배양토 삽입홈부 뚜껑(70)이 설치된다. 이 배양토 삽입홈부 뚜껑(70)은 일단이 상면부(1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면부(10)에 끼움결합된다. 이를 위해 도시되지 않았으나, 배양토 삽입홈부(70)의 타단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그에 대응되는 상면부(10)에는 상기 끼움돌기에 대응되는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배양토 삽입홈부 뚜껑(70)에 의해 음료를 마실 때 또는 이동 중에 배양토(50)가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일 실시예의 스티커와 마찬가지로, 배양토 삽입홈부 뚜껑(70) 역시 광고문구가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어 광고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the opening 42 of the culture
이하 상기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용 컵뚜껑의 사용 상태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state of use of the disposable cup 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도 3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컵용 컵뚜껑(1)은 배양토 삽입홈부(40)내부에 배양토(50)가 삽입되어 스티커(60)가 부착된 상태로 제공되며, 그 하단이 음료가 담겨있는 일회용 컵의 상단에 결합된다.
음료를 다 마신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커(60)를 제거한 후, 배양토 삽입홈부(40)에 삽입된 배양토(50)를 꺼낸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뚜껑(1)을 뒤집은 상태에서 몸통부(20) 내부의 공간으로 상기 배양토(50)를 다시 집어 넣은 후, 일회용 컵(2)의 상단에 안착시켜 놓는다. 배양토(50)를 컵뚜껑(1)의 몸통부(20) 내부에 넣는 순서와, 컵뚜껑(1)을 일회용 컵(2)에 안착시켜 놓는 순서는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After the drink is finished, the
그리고 씨앗(52)을 배양토(50) 내부에 일정 깊이 심어놓고 배양토(50)에 적당량이 물을 공급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양토(50) 내부의 씨앗은 시간이 지나 발화되어 꽃이나 식물로 자라게 된다. 한편 상면부(10)은 경사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배양토(50)에 공급되는 물은 화살표 A 방향으로 흐르게 되어 음용구(12)로 흐르게 되어 일회용 컵(2) 내부에 고이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정 시간이 지나고 일회용 컵(2) 내부에 고여있는 물을 비우면 된다.And when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음료를 음용한 후에 컵뚜껑 및 컵을 버리지 않고 화분으로 활용할 수 있어, 결국 자원 낭비를 방지하는 동시에 취미생활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용구가 형성된 상면부를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컵뚜껑을 화분으로 활용 시 상기 음용구가 배수구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되며, 컵뚜껑을 받치는 일회용 컵에 물이 고이게 되어 화분 받침대 역할을 하고 일정시간이 지날 경우 일회용 컵에 고인 물을 비우기만 하면 되므로, 별도의 도구 없이 화분을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양토가 삽입된 배양토 삽입홈부의 개구에 스티커 또는 배양토 삽입홈부 뚜껑을 부착시켜 음료 음용시나 이동시 배양토가 빠지지 않도록 하며, 이 스티커 또는 배양토 삽입홈부 뚜껑에 광고문구를 인쇄하도록 하여 광고효과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drinking a drink, the cup lid and the cup can be used as a pot without throwing away the cup, and thus,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a waste of resources and enjoying a hobby.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drinking equipment is formed by the inclined surface, when the cup lid is used as a potted pot, the drinking apparatus can act as a drainage port. If you pass, you only need to empty the water in the disposable cup,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asily manage the pot without a separate tool. In addition, by attaching a sticker or a lid of the culture soil insertion groove into the opening of the culture soil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culture soil is inserted, the culture soil does not fall out when drinking or moving the beverage, and by printing an advertisement phrase on the sticker or the lid of the culture soil insertion groove, the advertisement effect can be enhanced. It works.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일회용 컵용 컵뚜껑 2. 일회용 컵
10. 상면부 20. 몸통부
30. 뚜껑 결합부 40. 배양토 삽입홈부
42. 개구 50. 배양토
52. 씨앗 60. 스티커
70. 배양토 삽입홈부 뚜껑1. Cup lid for
10.
30.
42.
52.
70. Lid of culture soil insertion groove
Claims (4)
일단부에 음용구(12)가 관통형성된 상면부(10);
상기 상면부(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일정 높이를 갖는 몸통부(20);
상기 몸통부(2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일회용 컵(2)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플랜지 형태의 뚜껑 결합부(30); 및,
상기 상면부(10)의 중앙부에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몸통부(20) 방향으로 움푹 파여지도록 형성되어 내부 공간에 씨앗(52)과 배양토(50)가 삽입되는 배양토 삽입홈부(40)를 포함하며,
상기 상면부(10)는 음용구(12)가 형성된 일단에서 반대편의 타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컵뚜껑(1)이 뒤집어져서 상기 일회용 컵(2)의 상단에 안착될 경우 상기 음용구(12)가 배수구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용 컵뚜껑.
In the cup lid (1) detachable to the top of the disposable cup (2) made of paper or synthetic resin that can hold a drink,
An upper surface portion 10 having a drinking tool 12 penetrated at one end thereof;
A body portion 2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portion 10 and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 flange coupling portion 3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dy portion 20 and having a flange shape fitted to an upper end of the disposable cup 2; And
An opening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10 and is formed to be pitted in the direction of the trunk portion 20 and includes a culture soil insertion groove 40 into which the seeds 52 and the culture soil 50 ar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
The upper surface portion 10 is formed of an inclined surface that gradually decreases in height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drinking sphere 12 is formed, the cup lid (1) is turned upside down and seated on the top of the disposable cup (2) If the drinking sphere 12 is a disposable cup lid, characterized in that it serves as a drain.
상기 배양토 삽입홈부(40)의 개구(42)에는 스티커(60) 또는 배양토 삽입홈부 뚜껑(70)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용 컵뚜껑.
The method of claim 1,
Disposable cup cup lid, characterized in that the sticker (60) or the culture soil insertion groove cap 70 is attached to the opening 42 of the culture soil insertion groove (40).
상기 스티커(60) 또는 배양토 삽입홈부 뚜껑(70)에는 광고문구가 인쇄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용 컵뚜껑.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Disposable cup cup lid, characterized in that the advertising form is printed on the sticker (60) or the culture soil insertion groove cap (7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8444U KR200471638Y1 (en) | 2013-10-14 | 2013-10-14 | A Lid for Disposable cup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8444U KR200471638Y1 (en) | 2013-10-14 | 2013-10-14 | A Lid for Disposable cup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1638Y1 true KR200471638Y1 (en) | 2014-03-06 |
Family
ID=51484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8444U Expired - Fee Related KR200471638Y1 (en) | 2013-10-14 | 2013-10-14 | A Lid for Disposable cup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1638Y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7275Y1 (en) * | 2017-10-25 | 2018-08-29 | (주)지오락 | A disposable beverage cup lid having a storage function capable of combining cups of various sizes while being reinforced so as not to be collapsed |
KR20180003128U (en) * | 2017-04-24 | 2018-11-01 | 주식회사 엔씽 | Led blind type plant cultivating apparatus for water culture |
KR20210133620A (en) | 2020-04-29 | 2021-11-08 | 이승환 | Cup having integral a lid |
KR20220096093A (en) | 2020-12-30 | 2022-07-07 | 이승환 | Cup with Integrated Li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46903Y1 (en) | 1996-10-10 | 1999-06-15 | 정효진 | The flower pot |
KR200429418Y1 (en) | 2006-08-07 | 2006-10-20 | 신승종 | Cup lid |
KR20100086700A (en) * | 2009-01-23 | 2010-08-02 | 송승민 | A lid assembly for cup |
KR20130003062U (en) * | 2011-11-15 | 2013-05-24 | 김영진 | A cup cover for a hot beverage having a multi-function dome unit |
-
2013
- 2013-10-14 KR KR2020130008444U patent/KR200471638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46903Y1 (en) | 1996-10-10 | 1999-06-15 | 정효진 | The flower pot |
KR200429418Y1 (en) | 2006-08-07 | 2006-10-20 | 신승종 | Cup lid |
KR20100086700A (en) * | 2009-01-23 | 2010-08-02 | 송승민 | A lid assembly for cup |
KR20130003062U (en) * | 2011-11-15 | 2013-05-24 | 김영진 | A cup cover for a hot beverage having a multi-function dome unit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3128U (en) * | 2017-04-24 | 2018-11-01 | 주식회사 엔씽 | Led blind type plant cultivating apparatus for water culture |
KR200488418Y1 (en) * | 2017-04-24 | 2019-04-17 | 주식회사 엔씽 | Led blind type plant cultivating apparatus for water culture |
KR200487275Y1 (en) * | 2017-10-25 | 2018-08-29 | (주)지오락 | A disposable beverage cup lid having a storage function capable of combining cups of various sizes while being reinforced so as not to be collapsed |
KR20210133620A (en) | 2020-04-29 | 2021-11-08 | 이승환 | Cup having integral a lid |
KR20220096093A (en) | 2020-12-30 | 2022-07-07 | 이승환 | Cup with Integrated Li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166448B1 (en) | Combined vessel lid and tea bag receptacle and method of using | |
KR200459398Y1 (en) | Disposable Tool Having Dripper for Original Coffee Beans | |
KR200471638Y1 (en) | A Lid for Disposable cups | |
KR101636661B1 (en) | Cup set for drip coffee | |
US2328599A (en) | Device for brewing and dispensing beverages | |
KR100757255B1 (en) | Tea strainer | |
KR200474817Y1 (en) | Take-out cup | |
US20170156541A1 (en) | A cup-shaped container capable of being converted into dutch coffee machine | |
US20090008390A1 (en) | Liquid container cap with integral steeper | |
KR200455438Y1 (en) | Disposable Bean Coffee Extraction Container | |
KR101824872B1 (en) | Recyclable disposable cup assembly as plant pots | |
KR101619805B1 (en) | Cup holder | |
KR20110001814U (en) | The Cup be Easy to Storage Stirrer | |
CN209932278U (en) | Drinking cup | |
JP3152879U (en) | Potable solution extractor | |
CN210697233U (en) | Tea filter | |
JP3197073U (en) | Drip equipment | |
CN205338441U (en) | Tea making device | |
US20220007865A1 (en) | Drinkware with Integrated Infuser Holder | |
KR200426927Y1 (en) | Tea rainforest | |
KR200404021Y1 (en) | A filter provided a paper cup | |
JP3189452U (en) | Flower base | |
KR20200001114U (en) | Cup for drink | |
KR101391783B1 (en) | Double cup | |
KR101507247B1 (en) | Cu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1014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1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14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31216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2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4022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40227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2112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