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71479Y1 - Smart card - Google Patents

Smart c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479Y1
KR200471479Y1 KR2020120009110U KR20120009110U KR200471479Y1 KR 200471479 Y1 KR200471479 Y1 KR 200471479Y1 KR 2020120009110 U KR2020120009110 U KR 2020120009110U KR 20120009110 U KR20120009110 U KR 20120009110U KR 200471479 Y1 KR200471479 Y1 KR 2004714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oil
fitting portion
fitting
card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11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기현
Original Assignee
최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기현 filed Critical 최기현
Priority to KR20201200091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47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4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479Y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3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nsisting of two or more mechanically separable parts
    • G06K19/0773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nsisting of two or more mechanically separable parts comprising a first part capable of functioning as a record carrier on its own and a second part being only functional as a form factor changing part, e.g. SIM cards type ID 0001, removably attached to a regular smart card form fa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코일의 단선 부분이 노출되는 카드 본체에 외장형 접속 부재를 결합 또는 분리시켜 비접촉식 카드 기능을 온 또는 오프 시킬 수 있는 스마트 카드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는 가장자리에 끼움부를 구비하는 카드 본체와, 상기 카드 본체에 내장되고 비접촉식 카드 기능이 수행되는 집적회로 칩과, 상기 집적회로 칩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카드 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반대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며, 타단이 각각 상기 끼움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카드 본체에 내장되는 제1 코일 및 제2 코일과,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 각각의 타단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속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코일, 상기 집적회로 칩 및 상기 제2 코일이 폐회로 또는 개회로를 이루도록 상기 끼움부에 탈착 가능한 접속 부재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card capable of turning on or off a contactless card function by coupling or separating an external connection member to a card body to which a disconnected portion of the coil is exp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card includes a card body having a fitting portion at an edge, an integrated circuit chip embedded in the card body and performing a contactless card function,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integrated circuit chip, respectively.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along the edge of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embedded in the card main body such that the other end is exposed to the fitting portion, and the other ends of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respectively. And a connection plate for connecting to each other, the connection member being detachable from the fitting portion such that the first coil, the integrated circuit chip, and the second coil form a closed circuit or an open circuit.

Description

스마트 카드{SMART CARD}Smart card {SMART CARD}

본 고안은 스마트 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접촉식 카드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카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car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card that can selectively use a contactless card function.

스마트 카드는 1개 이상의 집적회로 칩이 내장되는 전자식 카드이다. 이러한 스마트 카드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메모리 등이 집적회로 형태로 내장되어 기존의 마그네틱 카드에 비해 정보 저장 용량이 크고, 사용에 따른 파손 가능성이 적으며, 위조나 변조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최근 스마트 카드는 금융, 교통, 통신, 보안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마그네틱 카드를 대체하여 그 사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Smart cards are electronic cards that contain one or more integrated circuit chips. Such a smart card has a microprocessor and a memory embedded in an integrated circuit form, and thus has a larger information storage capacity, less damage due to use, and harder to forge or alter than a conventional magnetic card. Therefore, smart cards have recently been replaced by magnetic cards in various fields such as finance, transportation, communication, security, and the like.

스마트 카드의 기능을 살펴보면, 스마트 카드는 집적회로 칩의 종류, 개수 등에 따라 신용 카드나 현금 카드 등으로 사용되는 경우와 같이 카드리더기 등의 단말장치와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작동하는 접촉식 카드 기능과, 교통 카드 등으로 사용되는 경우와 같이 단말장치와 물리적인 접촉 없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여 작동하는 비접촉식 카드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가진다. 스마트 카드에 비접촉식 카드 기능이 포함되는 경우, 스마트 카드에는 안테나 역할을 하는 코일이 내장되며, 이러한 코일은 집적회로 칩과 폐회로를 이루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스마트 카드를 단말장치에 근접시키면, 단말장치에서 발생하는 RFID 방식 등에 따른 무선 신호에 의해 코일에 전류가 유도되어 집적회로 칩의 전원으로 사용된다.Looking at the function of the smart card, the smart card has a contact card function that operates in physical contact with a terminal device such as a card reader, such as when used as a credit card or a cash card, depending on the type and number of integrated circuit chips, As in the case of being used as a traffic card, it has at least one function of a contactless card function that operates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signals without physical contact with the terminal device. When the smart card includes a contactless card function, the smart card includes a coil that functions as an antenna, and the coil is connected to form an integrated circuit chip and a closed circuit. Therefore, when the smart card is close to the terminal device, a current is induced in the coil by a radio signal according to the RFID method generated in the terminal device and used as a power source for the integrated circuit chip.

일상적으로, 스마트 카드는 지갑이나 가방에 수납되어 휴대 및 사용된다. 하지만, 지갑 등에 비접촉식 카드 기능을 갖는 스마트 카드를 복수 개 수납시킨 경우, 단말장치에 지갑 채로 근접시키면 한 개 이상의 스마트 카드가 단말장치에 반응하여 통신의 혼선이 야기된다. 따라서, 하나의 스마트 카드를 지갑 등에서 꺼내어 사용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Routinely, smart cards are stored in a purse or bag for carrying and use. However, when a plurality of smart cards having a contactless card function are stored in a wallet or the like, when one or more smart cards are kept close to the terminal device, one or more smart cards respond to the terminal device, causing communication confusion. Therefore,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one smart card must be taken out of a wallet or the like.

이러한 카드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비접촉식 카드 기능을 선택적으로 온, 오프 시킬 수 있는 스마트 카드가 제안되어 있으며, 그 일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76720호(공개일 2009.07.13)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따른 스마트 카드는, 집적회로 칩에 연결된 코일을 끊거나 이어주는 스위치가 카드 본체에 내장된다. 즉, 스위치 조작에 따라 집적회로 칩과 코일이 폐회로(닫힌회로) 또는 개회로(열린회로)를 이루도록 하여 비접촉식 카드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지갑 등에 비접촉식 카드 기능을 갖는 스마트 카드가 복수 개 수납된 경우라도, 한 개의 스마트 카드만 카드 단말장치에 반응하도록 설정할 수 있어 지갑 등에서 스마트 카드를 꺼내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In order to alleviate the inconvenience of using such a card, a smart card capable of selectively turning on and off a contactless card function has been proposed, and an example thereof i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9-0076720 (published 2009.07.13) Is disclosed in. In the smart card according to the patent document, a switch for disconnecting or connecting a coil connected to an integrated circuit chip is embedded in the card body. That is, the contactless card function can be selectively used by making the integrated circuit chip and the coil form a closed circuit (closed circuit) or an open circuit (open circuit) according to a switch operation. Therefore, even when a plurality of smart cards having a contactless card function are stored in a wallet or the like, only one smart card can be set to respond to the card terminal device, thereby preventing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move the smart card from the wallet or the lik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76720호, 공개일 2009.07.13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76720, Publication Date 2009.07.13

종래의 스마트 카드와 같이 카드 본체에 스위치가 내장되는 경우, 카드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스위치는 카드 본체에서 돌출된다. 얇은 두께를 갖는 카드 본체에서 스위치가 돌출되기 때문에 지갑 등에 스마트 카드를 수납시키는데 제한을 받으며, 스마트 카드의 휴대 중에 스위치가 임의로 조작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스마트 카드의 비접촉식 카드 기능을 원하는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스위치를 반복해서 조정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스마트 카드에 비접촉식 카드 기능과 더불어 접촉식 카드 기능이 포함되는 경우, 내장된 스위치로 인해 스마트 카드의 두께가 증가되어 현금자동입출기(ATM) 등에 스마트 카드를 삽입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스마트 카드의 사용에 제한을 받는 문제점이 있다.When a switch is built in the card body as in a conventional smart card, the switch protrudes from the card body so that the card user can operate the switch. Since the switch protrudes from the card body having a thin thickness, it is restricted to storing the smart card in a wallet or the like,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witch can be arbitrarily operated while the smart card is being carried. Therefore, it is inconvenient to repeatedly adjust the switch to maintain the contactless card function of the smart card in a desired state. In addition, when the smart card includes a contact card function as well as a contactless card function, the thickness of the smart card is increased due to the built-in switch, making it difficult to insert the smart card into an ATM.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 of the smart card is limited.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코일의 단선 부분이 노출되는 카드 본체에 외장형 접속 부재를 결합 또는 분리시켜 비접촉식 카드 기능을 온 또는 오프 시킬 수 있는 스마트 카드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provides a smart card that can be turned on or off the contactless card function by coupling or disconnecting the external connection member to the card body exposed to the disconnection portion of the coil.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는 가장자리에 끼움부를 구비하는 카드 본체와, 상기 카드 본체에 내장되고 비접촉식 카드 기능이 수행되는 집적회로 칩과, 상기 집적회로 칩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카드 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반대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며, 타단이 각각 상기 끼움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카드 본체에 내장되는 제1 코일 및 제2 코일과,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 각각의 타단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속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코일, 상기 집적회로 칩 및 상기 제2 코일이 폐회로 또는 개회로를 이루도록 상기 끼움부에 탈착 가능한 접속 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card includes a card body having a fitting portion at an edge, an integrated circuit chip embedded in the card body and performing a contactless card function,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integrated circuit chip, respectively.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along the edge of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embedded in the card main body such that the other end is exposed to the fitting portion, and the other ends of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respectively. And a connection plate for connecting to each other, the connection member being detachable from the fitting portion such that the first coil, the integrated circuit chip, and the second coil form a closed circuit or an open circuit.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 부재는 전면 수평부, 후면 수평부, 상기 전면 수평부와 상기 후면 수평부를 연결하는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판은 상기 후면 수평부와 마주보는 상기 전면 수평부의 하부면에 부착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member includes a front horizontal portion, a rear horizontal portion, a vertical portion connecting the front horizontal portion and the rear horizontal portion, and the connection plate is the front horizontal portion facing the rear horizontal portion. It can be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부는 상기 전면 수평부와 상기 후면 수평부를 상기 카드 본체의 전면 및 후면과 같은 평면상에 위치시키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portion may have a thickness to position the front horizontal portion and the rear horizontal portion on the same plane as the front and rear of the card body.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 수평부 및 상기 후면 수평부는 자유단의 마주보는 부분에 고정돌기를 각각 가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horizontal portion and the rear horizontal portion may each have a fixing projectio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ree end.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카드 본체는 맞대어져 접합되는 상부 플라스틱 판 및 하부 플라스틱 판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d body may include an upper plastic plate and a lower plastic plate to be joined to each other.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끼움부는 상하로 포개어지는 제1 끼움부와 제2 끼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끼움부는 상기 상부 플라스틱 판의 가장자리에 오목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 끼움부는 상기 제1 끼움부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플라스틱 판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 끼움부보다 좁게 개방되도록 오목하게 구비되고, 상기 하부 플라스틱 판의 하부면 중 상기 제1 끼움부 상에 노출되는 상기 제2 끼움부 주변에 리세스부가 구비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tting part includes a first fitting part and a second fitting part which are folded up and down, the first fitting part is provided concavely at an edge of the upper plastic plate, and the second fitting part is formed of the first fitting part. A recess is provided so as to be narrower than the first fitting portion at an edge of the lower plastic plate corresponding to the fitting portion, and the second fitting portion is exposed on the first fitting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stic plate. The recess may be provided.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플라스틱 판은 상기 제1 끼움부 상에 노출되는 상기 제2 끼움부 주변의 상부면 및 상기 리세스부가 형성되는 하부면에 상기 접속 부재의 고정돌기가 끼워지는 고정홈이 구비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lastic plate is fixed to which the fixing projec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fits on the upper surface around the second fitting portion exposed on the first fitting portion and the lower surface on which the recess is formed. Grooves may be provided.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 카드는, 코일의 단선 부분을 갖는 카드 본체와 카드 본체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외장형 접속 부재를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하여 스마트 카드의 비접촉식 카드 기능을 온 도는 오프 시킬 수 있다. 즉, 코일의 단선 부분에 접속 부재를 결합시켜 집적회로 칩과 코일을 폐회로(닫힌회로)가 되도록 하거나 또는 코일의 단선 부분에서 접속 부재를 분리시켜 집적회로 칩과 코일을 개회로(열린회로)가 되도록 하여 집적회로 칩을 작동시키는 전원의 공급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The smart c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nufacture a card main body having a disconnection portion of the coil and an external connection member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card main body in a simple process to turn on or off the contactless card function of the smart card. That is, by connecting the connection member to the disconnection part of the coil to make the integrated circuit chip and coil become a closed circuit (closed circuit), or by disconnecting the connection member from the disconnection part of the coil to open the integrated circuit chip and coil (open circuit). It is possible to control whether or not to supply the power to operate the integrated circuit chip.

또한, 접속 부재는 카드 본체에 끼움결합이 가능하며, 결합된 상태에서 카드 본체의 전, 후면 및 측면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마트 카드를 지갑 등에 걸림 없이 수납시킬 수 있으며, 휴대 중에 접속 부재가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아 비접촉식 카드 기능의 온, 오프 상태가 임의로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비접촉식 카드 기능을 갖는 스마트 카드를 지갑 등에 복수 장 수납시켜 지갑 채 카드 단말장치에 접근시키더라도 통신의 혼선이 발생되지 않는다. 즉, 지갑으로부터 스마트 카드를 꺼내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접속 부재가 카드 본체에 돌출되지 않도록 끼워지기 때문에 스마트 카드를 아무런 제약 없이 현금자동입출기에 인출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카드에 접촉식 카드 기능이 포함되는 경우에도 카드 사용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member can be fitted to the card body, and does not protrude to the front, back and side of the card body in the engaged state. Therefore, the smart card can be stored without being caught in a wallet or the like, and the connection member is not easily separated during carrying, thereby preventing the on-off state of the non-contact card function from being randomly changed. Therefore, even if a plurality of smart cards having a contactless card function are stored in a wallet or the like to approach the card holder of the wallet, communication confusion does not occur. That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use the smart card from the wallet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nnection member is fitted so as not to protrude from the card body, the smart card can be withdrawn to and from the ATM. Therefore, even if a smart card includes a contact card function, the card usage is not limited.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드 본체와 접속 부재를 분리시켜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에 채용되는 카드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부 플라스틱 판의 제1 끼움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하부 플라스틱 판의 제2 끼움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카드의 회로 연결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에 채용되는 접속 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Ⅰ-Ⅰ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 c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rd main body and the connection member shown in FIG. 1 separated from each other.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rd body employed in a smart c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first fitting portion of the upper plastic plate shown in FIG.
FIG. 5 is a view showing a second fitting portion of the lower plastic plate shown in FIG. 3.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connection state of the smart card shown in FIG. 1.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member employed in a smart c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7.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스마트 카드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smart card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에서, 스마트 카드는 교통 카드 기능과 같이 비접촉식 카드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스마트 카드는 하이브리드 카드(Hybrid Card) 또는 콤비 카드(Combi Card) 등과 같이 비접촉식 카드 기능과 접촉식 카드 기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mart card includes a contactless card function, such as a traffic card function. In addition, the smart card may include both a contactless card function and a contact card function, such as a hybrid card or a combination card.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1000)는 카드 본체(100)와, 카드 본체(100)에 결합 또는 분리되어 비접촉식 카드 기능을 온, 오프 시킬 수 있는 외장형 스위치로서의 접속 부재(200)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카드 본체(100)에 접속 부재(200)가 끼워지면 비접촉식 카드 기능이 온(on) 상태로 유지되며, 카드 본체(100)에서 접속 부재(200)가 분리되면 비접촉식 카드 기능이 오프(off) 상태가 된다.1 to 9, the smart card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card body 100 and the card body 100 to turn on and off a contactless card function. The connection member 200 as an external switch is included. In an embodiment, the contactless card function remains on when the connection member 200 is inserted into the card body 100, and the contactless card function is turned off when the connection member 200 is detached from the card body 100. (off) state.

카드 본체(100)는 통상의 신용 카드 등과 같은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카드 본체(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패인 끼움부(102)가 구비된다. 카드 본체(100)에 내장된 코일(140, 150)의 단선 부분이 끼움부(10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이러한 끼움부(102)에 접속 부재(200)가 끼워져 결합되거나 또는 분리되어 코일(140, 150)의 단선 부위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차단될 수 있다.The card body 100 may have a shape and size such as a conventional credit card.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ard body 100 is provided with a fitting portion 102 which is recessed inward from the edge. The disconnection portion of the coils 140 and 150 embedded in the card body 10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tting portion 102, and the connection member 200 is fitted to the fitting portion 102 to be coupled or separated to form a coil. Disconnection sites of 140 and 1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or blocked.

카드 본체(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라스틱 판(110)과 하부 플라스틱 판(120)을 포함하고, 상부 플라스틱 판(110)과 하부 플라스틱 판(120)은 맞대어져 접합된다. 카드 본체(100)에 내장되는 집적회로 칩(130)과, 제1 코일(140) 및 제2 코일(150)은 상부 플라스틱 판(110)과 하부 플라스틱 판(120) 사이에 구비된다.As shown in FIG. 3, the card body 100 includes an upper plastic plate 110 and a lower plastic plate 120, and the upper plastic plate 110 and the lower plastic plate 120 are joined to each other. . The integrated circuit chip 130 embedded in the card body 100, the first coil 140, and the second coil 150 are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stic plate 110 and the lower plastic plate 12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라스틱 판(110)에는 상측에서 볼 때 가장자리에 사각 형상으로 패여 들어간, 즉 오목한 제1 끼움부(112)가 구비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플라스틱 판(120)에는 상부 플라스틱 판(110)과 맞대어져 제1 끼움부(112)에 대응하는 가장자리에 제1 끼움부(112)보다 좁게 개방되도록 사각 형상으로 패여 들어간, 즉 오목한 제2 끼움부(122)가 구비된다. 여기서, 제1 끼움부(112)는 제2 끼움부(122)를 덮을 수 있을 정도의 사각 형상을 갖는다. 실시예에서는, 제1 끼움부(112)와 제2 끼움부(122)를 사각 형상으로 형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 반원형, 반타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4, the upper plastic plate 110 is provided with a first recess 112 that is recessed in a square shape at the edge thereof, that is, a concave first fitting portion 112.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lower plastic plate 120 may be fitted with the upper plastic plate 110 so as to be opened to be narrower than the first fitting portion 112 at an ed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tting portion 112. The recessed 2nd insertion part 122 is provided in the shape. Here, the first fitting portion 112 has a square shape enough to cover the second fitting portion 122. In the embodiment, the first fitting portion 112 and the second fitting portion 122 are formed in a square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polygons such as triangles and pentagons, semicircles, and semi-ellipses. .

제1 끼움부(112)와 제2 끼움부(122)는 상부 플라스틱 판(110)과 하부 플라스틱 판(120)이 맞대어져 카드 본체(100)의 끼움부(102)를 형성한다. 한편, 접속 부재(200)가 카드 본체(100)의 끼움부(102)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부 플라스틱 판(120)은 제1 끼움부(112) 상에 노출되는 제2 끼움부(122) 주변(A)의 하부면에 단차진 리세스부(124)가 형성된다. 또한, 하부 플라스틱 판(120)은 제1 끼움부(112) 상에 노출되는 제2 끼움부(122) 주변(A) 중 전방 부분이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접속 부재(200)를 카드 본체(100)의 끼움부(102)에 끼워 넣은 경우, 접속 부재(200)가 카드 본체(100)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fitting part 112 and the second fitting part 122 may be fitted with the upper plastic plate 110 and the lower plastic plate 120 to form the fitting part 102 of the card body 100. On the other hand, the lower plastic plate 120 is around the second fitting portion 122 exposed on the first fitting portion 112 so that the connection member 200 can be fitted to the fitting portion 102 of the card body 100. A stepped recess 124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A). In addition, the lower plastic plate 120 is formed such that the front portion of the peripheral portion A of the second fitting portion 122 exposed on the first fitting portion 112 is stepped inward. Accordingly, when the connection member 200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portion 102 of the card body 100, the connection member 200 can be prevented from protruding from the edge of the card body 100.

집적회로 칩(130)은 중앙처리장치(CPU)와, EEPROM 등의 메모리, RF/디지털 변환 회로, 전원 정류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집적회로 칩(130)은 스마트 카드(1000)가 카드 단말장치에 반응하여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신호를 데이터로 저장하고 연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 칩(130)은 비접촉식 카드 기능만을 갖는 집적회로 칩이거나 또는 비접촉식 카드 기능과 접촉식 카드 기능을 모두 갖는 집적회로 칩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집적회로 칩(130)이 카드 본체(100)에 1개가 내장되지만, 비접촉식 카드 기능을 갖는 집적회로 칩과 접촉식 카드 기능을 갖는 집적회로 칩이 개별적으로 카드 본체(100)에 내장될 수 있다. 집적회로 칩(130)이 접촉식 카드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 집적회로 칩(130)은 카드 본체(100)의 전면에 노출될 수 있다.The integrated circuit chip 130 may includ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memory such as an EEPROM, an RF / digital conversion circuit, a power rectifier circuit, and the like. That is, the integrated circuit chip 130 may store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wirelessly by the smart card 1000 as data in response to the card terminal device and perform a calculation function. The integrated circuit chip 1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an integrated circuit chip having only a contactless card function or an integrated circuit chip having both a contactless card function and a contact card function. In addition, although one integrated circuit chip 130 is embedded in the card main body 100 in the embodiment, an integrated circuit chip having a contactless card function and an integrated circuit chip having a contact card function are separately provided in the card main body 100. It can be built in. When the integrated circuit chip 130 includes a contact card function, the integrated circuit chip 130 may be ex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rd body 100.

카드 본체(100)에 내장되는 집적회로 칩, 특히 비접촉식 카드 기능이 수행되는 집적회로 칩(130)에는 카드 단말장치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카드 단말장치에서 발생하는 무선 신호에 의해 유도 전류가 발생될 수 있도록 안테나 역할을 하는 코일이 연결된다. 실시예에서, 카드 본체(100)에 필름 형상의 제1 코일(140) 및 제2 코일(150)이 내장된다. 제1 코일(140) 및 제2 코일(150) 각각의 일단은 집적회로 칩(130)에 연결되고 카드 본체(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반대 방향, 예컨대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연장된다. 또한, 제1 코일(140) 및 제2 코일(150) 각각의 타단은 끼움부(102)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노출된다. 실시예에서, 제1 코일(140) 및 제2 코일(150)은 구리를 재료로 하는 금속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카드 단말장치와 무선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고, 전자기 유도에 의해 전류가 발생되는 다양한 도체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금속선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integrated circuit chip embedded in the card main body 100, in particular, the integrated circuit chip 130 performing a contactless card function,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relessly with the card terminal device, and induced current is generated by a wireless signal generated from the card terminal device. Coils acting as antennas are connected so that they can be generated. In an embodiment, the film main body 100 includes a first coil 140 and a second coil 150 having a film shape.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coil 140 and the second coil 150 is connected to the integrated circuit chip 130 and extends along the edge of the card body 100 in opposite directions, for example,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other ends of each of the first coil 140 and the second coil 150 are exposed to face each other at the fitting portion 102. In an embodiment, the first coil 140 and the second coil 15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metal plate made of copp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types of conductor material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signals with the card terminal device and generating current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may be used, and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metal wires.

접속 부재(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본체(100)의 끼움부(102)에 끼워져 카드 본체(100)의 끼움부(102) 상에서 대향된 상태로 노출되는 제1 코일(140)의 타단과 제2 코일(150)의 타단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즉, 집적회로 칩(130), 제1 코일(140) 및 제2 코일(150)을 폐회로가 되도록 연결시킨다. 제1 코일(140)과 제2 코일(150)의 단선 부위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접속 부재(20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코일(140)과 제2 코일(150)의 단선 부위를 연결시키는 접속판(240)이 내측에 구비된다. 실시예에서, 접속 부재(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에서 볼 때 ‘ㄷ’자 형상, 예컨대 클립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접속 부재(200)는 전면 수평부(210), 후면 수평부(220), 전면 수평부(210)와 후면 수평부(220)를 이격시켜 연결하는 수직부(230)를 포함한다. 접속 부재(200)는 카드 본체(100)와 같이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접속 부재(200)가 카드 본체(100)에 끼워졌을 때, 전면 수평부(210)는 카드 본체(100)의 전면에서 보이는 부분이며, 후면 수평부(220)는 카드 본체(100)의 후면에서 보이는 부분이다. 또한, 수직부(230)는 카드 본체(100)의 측면에서 보이는 부분이다. 수직부(230)에 의해 마주보는 전면 수평부(210)와 후면 수평부(220) 중에서 전면 수평부(210)의 하부면에 접속판(240)이 부착된다. 따라서, 제1 끼움부(112) 상에 노출되는 제2 끼움부(122) 주변(A)의 상부면에 안착된 제1 코일(140) 및 제2 코일(150) 각각의 타단 상에 접속판(240)이 놓여 제1 코일(140) 및 제2 코일(150) 각각의 단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접속 부재(200)의 수직부(230)는, 접속 부재(200)가 카드 본체(100)에 끼워진 상태에서 전면 수평부(210)와 후면 수평부(220)가 카드 본체(100)의 전면과 후면으로 돌출되지 않는 두께, 예컨대 카드 본체(100)의 전면과 후면과 같은 평면상에 위치시키는 두께를 갖는다. 따라서, 접속 부재(200)를 카드 본체(100)에 끼운 상태에서도 카드 본체(100)의 두께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connection member 200 is fitted to the fitting portion 102 of the card body 100 and is exposed to the opposite state on the fitting portion 102 of the card body 100. The other end of the)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il 1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hat is, the integrated circuit chip 130, the first coil 140 and the second coil 150 are connected to be a closed circuit. As shown in FIG. 7, the connection member 200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disconnection portions of the first coil 140 and the second coil 150 to the first coil 140 and the second coil 150. Connection plate 240 for connecting the disconnection portion of the) is provided on the inside. In an embodiment, the connection member 200 has a 'c' shape, such as a clip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as shown in FIG. 8. The connection member 200 includes a front horizontal part 210, a rear horizontal part 220, and a vertical part 230 connecting the front horizontal part 210 and the rear horizontal part 22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connection member 200 may be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such as the card body 100. When the connecting member 200 is inserted into the card body 100, the front horizontal portion 210 is a portion seen from the front of the card body 100, and the rear horizontal portion 220 is formed from the rear side of the card body 100. This is the visible part. In addition, the vertical portion 230 is a portion seen from the side of the card body (100). The connection plate 240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horizontal part 210 among the front horizontal part 210 and the rear horizontal part 220 facing by the vertical part 230. Therefore, the connecting plate on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first coil 140 and the second coil 150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riphery A around the second fitting portion 122 exposed on the first fitting portion 112. 240 may be plac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ends of each of the first coil 140 and the second coil 150. The vertical portion 230 of the connection member 2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ront horizontal portion 210 and the rear horizontal portion 220 face the front surface of the card body 100 with the connection member 200 fitted to the card body 100. It has a thickness that does not protrude to the rear side, for example, a thickness which is placed on the same plane as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card body 100. 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card body 100 can be prevented from increasing even when the connection member 200 is inserted into the card body 100.

전면 수평부(210)와 후면 수평부(220)는 수직부(230)와 연결되는 반대되는 쪽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좁아지거나 또는 마주보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벌어짐이 가능한 자유단을 가지며, 각각의 자유단에는 마주보는 부분에 고정돌기(212, 222)가 돌출된다. The front horizontal part 210 and the rear horizontal part 220 have free ends that can be narrow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r opposite to the opposite direction connected to the vertical part 230, and can be open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Fixing protrusions 212 and 222 protrude from the free end to the opposite portions.

하부 플라스틱 판(120)에는, 제1 끼움부(112) 상에 노출되는 제2 끼움부(122) 주변(A)의 상부면에 오목하게 함몰된 고정홈(126) 및 리세스부(124)가 형성되는 하부면에 오목하게 함몰된 고정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접속 부재(200)에 형성된 고정돌기(212, 222)에 맞춰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카드 본체(100)에 끼워진 접속 부재(20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면 수평부(210)의 상부면에는 복수의 오목홈(214)이 형성되어 카드 본체(100)에 끼워진 접속 부재(200)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The lower plastic plate 120 includes a recess 126 and a recess 124 recessed concave in an upper surface of the periphery A of the second fitting portion 122 exposed on the first fitting portion 112. Fixing grooves (not shown) recessed in a concave shape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is formed can be fitted in accordance with the fixing projections (212, 222) formed in the connection member (20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nection member 200 fitted to the card body 100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A plurality of concave grooves 214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horizontal part 210, so that the connection member 200 fitted to the card body 100 can be easily separated.

본 실시예에서는, 카드 본체(100)에 접속 부재(200)를 부착시켜 제1 코일(140)과 제2 코일(150)의 단선 부분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카드 본체(100)로부터 접속 부재(200)를 분리시켜 제1 코일(140)과 제2 코일(150)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함으로써 스마트 카드(1000)가 갖는 비접촉식 카드 기능을 온 또는 오프시켰다. 하지만, 카드 본체(100)에 접속 부재(200)가 분리된 경우, 끼움부(102)에 노출되는 제1 코일(140)과 제2 코일(150)에 이물질이 끼거나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지 위해, 미도시되었지만 접속판(240)을 구비하지 않는 별도의 접속 부재를 구비하고, 이 접속 부재를 사용하여 위와 같은 문제를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카드 본체(100)에 접속 부재(200)를 뒤집어 탈착 가능하게 함으로써 위와 같은 문제를 보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on member 200 is attached to the card body 100 to electrically connect the disconnection portions of the first coil 140 and the second coil 150 to the connection member (from the card body 100). The contactless card function of the smart card 1000 is turned on or off by break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il 140 and the second coil 150 by separating the 200. However, when the connection member 200 is separated from the card body 100, foreign matter may be caught or damaged in the first coil 140 and the second coil 150 exposed to the fitting portion 102. In order to prevent this, it is provided with a separate connection member that is not shown, but does not include a connection plate 240, by using this connection member can solve the above problems.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problem can be compensated by turning the connection member 200 on the card body 100 so as to be detachable.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permuta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 to those who have it.

100: 카드 본체 102: 끼움부
110: 상부 플라스틱 판 112: 제1 끼움부
120: 하부 플라스틱 판 122: 제2 끼움부
124: 리세스부 126: 고정홈
130: 집적회로 칩 140: 제1 코일
150: 제2 코일 200: 접속 부재
210: 전면 수평부 212: 고정돌기
214: 오목홈 220: 후면 수평부
222: 고정돌기 230: 수직부
240: 접속판 1000: 스마트 카드
100: card body 102: fitting portion
110: upper plastic plate 112: first fitting portion
120: lower plastic plate 122: second fitting portion
124: recess 126: fixing groove
130: integrated circuit chip 140: first coil
150: second coil 200: connection member
210: front horizontal portion 212: fixing protrusion
214: recessed groove 220: rear horizontal portion
222: fixing protrusion 230: vertical portion
240: connection board 1000: smart card

Claims (7)

삭제delete 가장자리에 끼움부를 구비하는 카드 본체와,
상기 카드 본체에 내장되고 비접촉식 카드 기능이 수행되는 집적회로 칩과,
상기 집적회로 칩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카드 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반대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며, 타단이 각각 상기 끼움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카드 본체에 내장되는 제1 코일 및 제2 코일과,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 각각의 타단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속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코일, 상기 집적회로 칩 및 상기 제2 코일이 폐회로 또는 개회로를 이루도록 상기 끼움부에 탈착 가능한 접속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부재는 전면 수평부, 후면 수평부, 상기 전면 수평부와 상기 후면 수평부를 연결하는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판은 상기 후면 수평부와 마주보는 상기 전면 수평부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스마트 카드.
A card body having a fitting portion at an edge,
An integrated circuit chip embedded in the card body and performing a contactless card function;
First and second coils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integrated circuit chip and extends in opposite directions along the edge of the card body, and the other ends are embedded in the card body so that the other ends thereof are exposed to the fitting portions, respectively;
Connection plate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other ends of each of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are provided, and ar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tting portion such that the first coil, the integrated circuit chip, and the second coil form a closed circuit or an open circuit. Including members,
The connection member includes a front horizontal portion, a rear horizontal portion, a vertical portion connecting the front horizontal portion and the rear horizontal portion,
The connection plate is a smart card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horizontal portion facing the rear horizontal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는 상기 전면 수평부와 상기 후면 수평부를 상기 카드 본체의 전면 및 후면과 같은 평면상에 위치시키는 두께를 갖는 스마트 카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vertical portion has a smart card having a thickness to position the front horizontal portion and the rear horizontal portion on the same plane as the front and rear of the card bod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수평부 및 상기 후면 수평부는 자유단의 마주보는 부분에 고정돌기를 각각 갖는 스마트 카드.
The method of claim 3,
The front horizontal portion and the rear horizontal portion is a smart card each having a fixed projectio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ree en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본체는 상부 플라스틱 판 및 하부 플라스틱 판을 포함하는 스마트 카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ard body comprises a top plastic plate and a bottom plastic pla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상하로 포개어지는 제1 끼움부와 제2 끼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끼움부는 상기 상부 플라스틱 판의 가장자리에 오목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 끼움부는 상기 제1 끼움부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플라스틱 판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 끼움부보다 좁게 개방되도록 오목하게 구비되고,
상기 하부 플라스틱 판의 하부면 중 상기 제1 끼움부 상에 노출되는 상기 제2 끼움부 주변에 리세스부가 구비되는 스마트 카드.
The method of claim 5,
The fitting part has a first fitting part and a second fitting part which are stacked up and down,
The first fitting portion is recessed at an edge of the upper plastic plate, and the second fitting portion is recessed to be narrower than the first fitting portion at an edge of the lower plastic plat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tting portion. ,
And a recessed portion provided around the second fitting portion exposed on the first fitting portion among the lower surfaces of the lower plastic pla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라스틱 판은 상기 제1 끼움부 상에 노출되는 상기 제2 끼움부 주변의 상부면 및 상기 리세스부가 형성되는 하부면에 상기 접속 부재의 고정돌기가 끼워지는 고정홈이 구비되는 스마트 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lower plastic plate is provided with a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fixing projec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is fitted on the upper surface around the second fitting portion exposed on the first fitting portion and the lower surface on which the recess is formed.
KR2020120009110U 2012-10-10 2012-10-10 Smart card Expired - Fee Related KR20047147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110U KR200471479Y1 (en) 2012-10-10 2012-10-10 Smart c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110U KR200471479Y1 (en) 2012-10-10 2012-10-10 Smart ca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479Y1 true KR200471479Y1 (en) 2014-02-27

Family

ID=51483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110U Expired - Fee Related KR200471479Y1 (en) 2012-10-10 2012-10-10 Smart c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479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459B1 (en) * 2016-07-26 2016-12-07 주식회사 이에이치아이 Multipurpose card with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bluetooth low energ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6066A (en) 1999-02-19 2000-11-0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Non-contact type IC card and its system
JP2003076971A (en) * 2001-08-31 2003-03-14 Toppan Forms Co Ltd Antenna module detachable non-contact type ic card
JP2007065739A (en) 2005-08-29 2007-03-15 Toshiba Corp Wireless ic car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6066A (en) 1999-02-19 2000-11-0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Non-contact type IC card and its system
JP2003076971A (en) * 2001-08-31 2003-03-14 Toppan Forms Co Ltd Antenna module detachable non-contact type ic card
JP2007065739A (en) 2005-08-29 2007-03-15 Toshiba Corp Wireless ic car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459B1 (en) * 2016-07-26 2016-12-07 주식회사 이에이치아이 Multipurpose card with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bluetooth low energ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20853T3 (en) PORTABLE OBJECT WITHOUT CONTACT THAT INCLUDES ONE OR VARIOUS PERIPHERAL DEVICES WITHOUT CONTACT.
US7533826B2 (en) Electronic wallet
US9697453B2 (en) Wireless device security system
US20090002167A1 (en) Dual communication fob assembly comprising an insert within a base
JP2008160781A (en) Rfid reader multiplex loop antenna, rfid reader comprising the same, and rfid system comprising the same
US20080308640A1 (en) Contactless stand-alone assembly
KR100838561B1 (en) Contactless Card with Switch
KR101321648B1 (en) Metal credit card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0471479Y1 (en) Smart card
US20120037706A1 (en) Rfid proximity card holder with flux directing means
JP2004094561A (en) IC card
CN103069437A (en) Bank card with display screen
KR20110053102A (en)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using shopping cart lock
JP6855031B2 (en) IC card and IC card charging connector
KR101081666B1 (en) A Smart Card
KR102381033B1 (en) Smart card
CN103310268A (en) Smart card device
KR100809028B1 (en) RF module for transportation card
KR100963769B1 (en) How to destroy the RDF tag by removing the microchip
KR20210000548U (e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table card holder wallet for block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ignals
JP2007233979A (en) Non-contact ic medium, non-contact ic card,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cover, and reader/writer for non-contact ic medium
US12056548B2 (en) Transaction card with storage for a physical key
KR101429399B1 (en) Card-shaped chip holder for containing integrated circuit(ic) piece, ic piece and ic card
KR200472517Y1 (en) Card acceptance wallet for shilding electro-magnetic wave
KR200265243Y1 (en) Multi-function rf c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2101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3092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1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4021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81202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